KR20130131571A - 농축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축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571A
KR20130131571A KR1020120055214A KR20120055214A KR20130131571A KR 20130131571 A KR20130131571 A KR 20130131571A KR 1020120055214 A KR1020120055214 A KR 1020120055214A KR 20120055214 A KR20120055214 A KR 20120055214A KR 20130131571 A KR20130131571 A KR 2013013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filler
cells
fat cells
adipos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실
Original Assignee
김영실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실,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filed Critical 김영실
Priority to KR102012005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1571A/ko
Publication of KR2013013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3Adipocytes; Adipos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조직으로부터 단독지방세포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팻필러제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팻필러제재는 단독지방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제조함으로써 단독지방세포를 농축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일반 필러주사와 같은 주사침으로 사용이 가능할만큼 미세하여 기존의 지방주사 시술로는 연출하기 힘들었던 부분을 채워줄 수 있고 기존 필러와 달리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필러만큼 미세한 주사바늘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눈꺼풀, 눈가, 처진 눈 밑, 애교살, 콧대, 콧날, 입술볼륨, 입술선 등 미용성형뿐 아니라 흉터제거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보형물과 달리 훨씬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모양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지방이식과 같이 생착의 개념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반복시술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축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t filler material and product using Condensed Single Adipose Cell(CSAC)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팻필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방조직으로부터 단독지방세포를 분리, 배양하고, 이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의학적으로 최초의 필러는 1890년대 자가지방이식으로 본다. 그후 110년이 지난 지금 필러의 종류는 100가지가 넘는다. 자가지방 이후 사용된 이물질필러는 파라핀과 액상실리콘으로, 이는 이후 심각한 부작용으로 많은 나라에서 불법의료행위로 규정되고 있다. 이후 나온 필러가 콜라겐으로 Zyderm과 Zyplast가 대표적으로 소 콜라겐을 크로스링크시켜 인체내에서의 수명을 길게 만들었다. 그러나 시술 전 알러지 테스트를 미리 받아야 하며, 과도교정이 필요하고 또한 수명이 3-6개월로 짧다.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히알루론산 계열의 필러가 개발되었으며 이들의 수명은 6-12개월로 기존의 콜라겐 필러보다 두배이상 길어졌어졌으며, 알러지 테스트가 필요없이 초진환자를 바로 시술할 수 있고 과도교정이 필요하지 않아 즉시 일상생활에 돌아갈 수 있다.
한편 필러의 범주에는 들어가지만 주사가 아닌 절개 후 삽입하는 e-PTFE 계열의 Gore-Tex, SoftForm 등이 사용 중에 있고, 시체의 진피를 이용하는 Alloderm, Cymetra등도 잘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에서 만들어진 Aptos-threads가 수술적인 안면거상술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시술법으로 등장했다. 이런 와중에 여러 연구소에서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 필러의 수명에 한계가 있음을 직시하고 새롭게 연구한 분야가 소위 '반영구필러 semi-permanent filler'이다.
반영구 필러 이전에는 '영구필러 permanent filler'로 부르기도 했는데, 필러물질 자체는 영구적으로 남아있을지 모르나 그 연부조직 증강효과는 3-5년 후에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반영구필러로 부르는 것이 좀더 정확하다 하겠다. 현재 시중에 볼 수 있는 주사용 반영구 필러는 크게 Artecoll, Dermalive등의 고형입자 필러와 Aquamid, liquid silicone등의 액상 필러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이들은 대게 심부진피 이하 즉, 피하지방층의 상부에 주사하는 것을 권장하며 이는 주로 나이가 들면서 연부조직이 빠져나갈 때 영구적으로 남은 물질들이 외부에서 만져지거나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반영구 필러의 Artecoll은 현재까지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반영구필러로서 소콜라겐과 뼈접합제로 알려진 PMMA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 콜라겐이 수개월에 걸쳐 흡수되어 사라질 때쯤 사람의 결체조직들이 PMMA 입자 주위를 둘러싸게 되어 오랫동안 연부조직 증강효과가 유지된다는 이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비슷한 개념으로 나온 Dermalive는 히알루론산과 acrylic hydrogel 입자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Artecoll과 비슷한 기전을 바탕으로 반영구적인 효과를 유지한다.
한편 PAAG 성분의 액상 반영구필러인 interfall과 Amazing Gel이 1980년대 초에 각각 우크라이나와 중국에서 생산되면서 관심을 끌었지만 비서구국가의 한계 때문에 잘 알려지지 않다가 interfall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많은 유럽회사에서 PAAG 필러들을 만들었고 그 중 Aquamid가 잘 알려져 있다. PAAG는 고형입자가 아닌 젤리같은 성분으로 시술결과가 좋고 안전해 반영구필러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반영구 필러의 개발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지방조직으로부터 단독지방세포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배양함으로써 농축된 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하여 팻필러제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팻필러는 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에서 지방흡입등을 통해 얻은 지방조직을 콜라게나아제 효소를 사용하여 단독지방세포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단독지방세포를 배양함으로써 농축하여 팻필러제재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의 필러는 주름이나 패인 흉터 등에 주사하거나 삽입하는 보완재료나 내용물을 말한다. 주로 콜라겐, 지방, 히알우론산,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폴리 페타크릴, 보톡스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팻필러제재는 지방조직을 그대로 사용하는 기존의 팻필러와 달리 지방조직을 단독지방세포(single Adipose-cell)로 분리하여 농축하여 제조하게 된다. 또한 단독지방세포만을 분리하여 배양하여 제조함으로써 다량의 지방세포가 농축되어 더 큰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팻필러제재는 하나의 지방세포로 분리하여 배양하여 사용함으로써 일반 필러주사와 같은 주사침으로 사용이 가능할만큼 미세하여 기존의 지방주사 시술로는 연출하기 힘들었던 부분을 채워줄 수 있고 기존 필러와 달리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필러만큼 미세한 주사바늘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눈꺼풀, 눈가, 처진 눈 밑, 애교살, 콧대, 콧날, 입술볼륨, 입술선 등 미용성형뿐 아니라 흉터제거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보형물과 달리 훨씬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모양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지방이식과 같은 생착의 개념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반복시술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지방흡입을 통해 분리한 지방조직의 모습이다.
도 2는 단독지방세포의 모습이다.
도 3은 농축단독지방세포의 모습이다.
도 4는 분획공정지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팻필러제재는 단독지방세포를 농축하여 제조하게되며,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농축하는 방법과 단독지방세포를 배양하여 농축하는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농축단독지방세포를 만들어 사용한다.
상기 단독지방세포는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에서 지방흡입술을 통해 추출한 지방으로 제조하게되며 이렇게 추출한 지방조직은 콜라게나아제 효소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인 팻필러제재를 제조하기 위해선 (a)흡입된 지방조직으로부터 콜라게나아제 효소를 사용하여 분획공정지방을 제조하는 단계; (b) 분획공정지방으로부터 단독지방세포를 제조하는 단계; (c)단독지방세포를 농축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구성되며 각 단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는 분획공정지방을 제조하는 단계로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에서 지방흡입을 통해 수득한 지방조직을 콜라게나아제 효소 처리를 통해 분해하는 과정을 실시한다.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에서 지방흡입등을 통해 지방조직을 수거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거된 지방조직은 투메센트 용액과 혈액, 오일 등 불순물이 혼합되어 있게 된다. 이 지방조직을 원심분리와 세척과정을 통해 정제하여 사용한다. 먼저 수거된 지방조직은 원심분리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혈액과 투메센트, 지방, 오일 등이 층층이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분리한 후, 혈액은 따로 수거하고 투메센트와 오일층은 제거한 후 지방조직만을 수거한다. 이렇게 수거한 지방조직은 다시 2-3회 생리식염수 등으로 세척하여 정제된 지방조직만을 수거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정제된 지방조직은 콜라게아나제 효소를 사용하여 효소처리를 통해 지방조직을 분해한 것을 분획공정지방이라 한다.
상기 (b)단계는 본 발명의 단독지방세포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분획공정지방을 사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분획공정지방을 수거하는 동안 따로 수거해놓은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수거해 놓는다. 분획공정지방 속에 콜라게나아제 효소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혈청을 사용하여 중화과정을 한다. 중화과정을 진행한 후, PBS나 생리식염수, 하트만 용액등을 사용하여 대량의 세척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세척의 양은 분획공정지방 보다 대량의 용액으로 세척하게 된다. 이렇게 세척과정까지 마치게 되면 본 발명에 사용될 단독지방세포만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c)단계는 본 발명의 팻필러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의 단독지방세포를 농축하는 과정이다. 상기 단독지방세포를 농축하는 과정은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단독지방세포를 배양함으로써 농축하여 팻필러로 제조하는 것이고, 두번째 방법은 단독지방세포를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하여 팻필러로 제조하는 것이다. 첫번째 방법은 단독지방세포를 배양하여 개체수를 증가시키고 그 배양된 대량의 단독지방세포를 수거하여 팻필러로 사용하게 된다. 두번째 농축방법은 배양하지 않고 단독지방세포를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하나 이때는 소량으로 병의원 등에서 바로 제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지방조직으로부터 농축단독지방세포로 분리하여 팻필러로 제조하게 되면, 지방조직의 형태로 주사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지방세포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필러만큼 미세한 주사바늘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눈꺼풀, 눈가, 처진 눈 밑, 애교살, 콧대, 콧날, 입술볼륨, 입술선 등 기존의 지방주사 시술로는 연출하기 힘들었던 부분을 채워줄 수 있다. 또한 지방이식과 같은 생착의 개념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필러와 달리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예시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획공정지방 제조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에서 지방흡입술을 통해 지방을 채취한다. 채취된 지방은 1000G 3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층분리를 한다. 투메센트 용액은 제거하고 혈액은 50ml tube에 따로 옮겨 담아 둔다. 지방은 50ml tube에 옮겨담은 후 하트만 용액이나 생리식염수는 2-3배 정도의 양으로 2-3회 세척한다. 세척한 지방은 50ml tube에 20cc의 양으로 담아 둔다. 미리 콜라게나아제 효소는 생리식염수와 혼합하여 0.66~ 0.1%의 농도로 액상으로 제조한다. 세척하여 수거한 지방과 콜라게나아제 효소액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shaking incubator에서 37℃에서 30-60분간 효소처리한다. 이후 8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층분리를 하여 지방조직이 깨어진 분획공정지방만을 수거한다.
<실시예 2> 단독지방세포 제조
단독지방세포는 상기의 분획공정지방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의 분획공정지방을 대량의 세척과정과 중화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따로 50ml에 담아둔 혈액을 1000G에 3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추출한다. 이 혈청을 상기의 분획공정지방의 10%로 혼합하여 1000G 3분간 원심분리하여 중화한다. 이후 분획공정지방 20cc당 생리식염수나 하트만 용액을 사용하여 1000-1500ml의 양으로 4-6번의 세척과정을 진행한다. 다시 1000G 3분간 원심분리하여 지방만을 수거한 것을 단독지방세포라 한다. 이 단독지방세포는 지방세포 하나로 분리되었으며, 이는 도 2와 같이 현미경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단독지방세포 농축 과정
상기의 단독지방세포를 팻필러로 사용하기 위해선 농축과정을 거쳐야한다. 농축과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배양하여 농축하는 것과 배양하지 않고 농축하는 방법으로 나뉘게 된다.
단독지방세포를 배양하여 농축하는 것은 상기 분리된 단독지방세포를 세포배양을 통해 개체수를 늘리게 된다. 이렇게 개체수가 늘어난 단독지방세포를 다시 수거하여 생리식염수나 하트만용액으로 2-3회 세척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농축과정은 개체수의 증가로 인한 농축이다. 배양으로 인한 농축은 단독지방세포의 개체수를 증가시킨 것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단독지방세포를 배양하지 않고 농축하는 것은 개체수의 증가가 아닌 원심분리에 의한 응집으로 농축하는 방법이다. 이는 병,의원에서 바로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하며, 상기의 단독지방세포를 1000G 3분간 원심분리함으로써 단독지방세포의 응집으로 농축되게 된다. 이때는 개체수의 증가가 아니기 때문에 소량으로 생산되나 즉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농축된 단독지방세포는 1cc syringe에 담아 냉동보관하게 되며, 보조첨가물없이 장기간 냉동보관이 가능하며 지방세포의 파괴도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미세한 지방세포 입자이기 때문에 필러만큼의 가는 주사바늘로 사용이 가능하며, 흉터나 자극없이 지속적인 효과가 가능하다.

Claims (4)

  1. 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팻필러제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독지방세포는 콜라게나아제 효소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팻필러제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독지방세포는 배양하지 않고 농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팻필러제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독지방세포는 배양하여 농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팻필러제재
KR1020120055214A 2012-05-24 2012-05-24 농축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1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214A KR20130131571A (ko) 2012-05-24 2012-05-24 농축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214A KR20130131571A (ko) 2012-05-24 2012-05-24 농축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571A true KR20130131571A (ko) 2013-12-04

Family

ID=4998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214A KR20130131571A (ko) 2012-05-24 2012-05-24 농축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15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41B1 (ko) 2016-05-12 2016-08-04 김성남 입술 애교 볼륨 실
CN111760072A (zh) * 2020-08-24 2020-10-13 鲁峰 脂肪来源的真皮内填充物及其制备和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41B1 (ko) 2016-05-12 2016-08-04 김성남 입술 애교 볼륨 실
CN111760072A (zh) * 2020-08-24 2020-10-13 鲁峰 脂肪来源的真皮内填充物及其制备和应用
CN111760072B (zh) * 2020-08-24 2022-09-23 鲁峰 脂肪来源的真皮内填充物及其制备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ervelli et al. PRL platelet rich lipotransfert: our experience and current state of art in the combined use of fat and PRP
Tremolada et al. Adipose tissue and mesenchymal stem cells: state of the art and Lipogems® technology development
Modarressi Platlet rich plasma (PRP) improves fat grafting outcomes
CN1950039B (zh) 用于软组织增添的颗粒
KR100417896B1 (ko) 피부와연조직결함을복구하기위한자가진피섬유아세포
RU2660561C2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тволовых клеток, полученных из жировой ткани и выращенных ex-vivo,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липофилинга молочной железы или липофилинга и/или омоложения лица
Menkes et al. Subcutaneous injections of nanofat adipose-derived stem cell grafting in facial rejuvenation
JP6471259B2 (ja) 毛髪再生用の細胞製剤
AU2014259787A1 (en) Skin substitutes and methods for hair follicle neogenesis
KR100803576B1 (ko) 지방줄기세포 및 지방세포를 포함한 이식용 조성물
Zenker Platelet rich plasma (PRP) for facial rejuvenation
CN102284082B (zh) 一种可用于面部美容的皮下软组织填充定位纤维蛋白复合物及其制备方法
BR112020015616B1 (pt) Composição de biotinta para folha de regeneração de derme, método para fabricar folha de regeneração de derme customizada usando a mesma e folha de regeneração de derme customizada fabricada usando o método de fabricação
JP2022027930A (ja) 幹細胞濾液製剤及びその調製方法
US202003909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 wound with wound packing
US2017017508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ell culture
US9956317B2 (en) Clinical applications of formulations containing adipose-derived stem cells
KR20130131571A (ko) 농축단독지방세포를 이용한 팻필러제재 및 이의 제조방법
Goisis et al. Nanofat grafting compared to hyaluronic acid and PRP treatment of the lower lid and tear trough: clinical outcome
KR101719743B1 (ko) 지방 조직으로부터 지방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방법
Haneke Skin rejuvenation without a scalpel. I. Fillers
Hirsch et al. Soft tissue augmentation
Zhang et al. Use of platelet-rich fibrin in fat grafts during facial lipostructure
WO2013180431A1 (ko) 피알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부착능 및 귀소능 증진용 조성물
Barnes et al. Autologous fat harvest and preparation for optimal predictable outc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