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167A - 미디어 기기 - Google Patents

미디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167A
KR20130131167A KR1020120055033A KR20120055033A KR20130131167A KR 20130131167 A KR20130131167 A KR 20130131167A KR 1020120055033 A KR1020120055033 A KR 1020120055033A KR 20120055033 A KR20120055033 A KR 20120055033A KR 20130131167 A KR20130131167 A KR 20130131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support groove
displa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기
강승규
윤지훈
김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1167A/ko
Publication of KR2013013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내측벽에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지지홈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홈과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미디어 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디어 기기{MEDIA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 기기는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로서 TV, 모니터, 프로젝터 등을 포함한다.
미디어 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기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하드웨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시도들에는 미디어 기기의 외관을 개선하는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된다.
상기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일 예로서, 인치수 대비 화면을 넓게 쓸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베젤(bezel)을 보다 얇게 만들기 위한 구조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베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디어 기기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내측벽에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지지홈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홈과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홈이 리세스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을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삽입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지지홈을 형성하는 측벽 및 상기 제2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단차진 계단 형태를 이루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지지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미디어 기기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벽에 상기 지지홈이 리세스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을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삽입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기기는 상기 제2프레임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보스와, 상기 보스가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롯과, 상기 보스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 및 상기 보스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내측벽에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지지홈과 상기 지지홈이 리세스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미디어 기기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와 고정부재는 제1프레임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및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형합을 이루도록 하므로, 체결부재가 베젤 부분에 배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보다 얇은 베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디어 기기의 일 예를 보인 전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디어 기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지지부재가 지지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5는 도 2의 체결부재가 보스에 체결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3프레임이 제2프레임과 결합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디어 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미디어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디어 기기(100)의 일 예를 보인 전면도이다.
본 발명의 미디어 기기(100)는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미디어 기기(100)의 일 예로서 영상과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이루어지는 TV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기기(10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170) 및 상기 디스플레이(17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170)를 감싸는 제1프레임(110)의 전면 테두리 부분을 베젤(bezel, 111)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170)는 모듈화된 상태로 입고되고 베젤(111) 부분에는 구조물들의 형합을 위한 체결부재(160)가 배치되어, 베젤(111)의 폭을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하에서는 베젤(111)을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디어 기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디어 기기(100)는 디스플레이(170),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및 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70)는 제어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17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 TFT -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7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 디스플레이 패널(175, 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175)의 배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75)로 빛을 투사하도록 이루어진다.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미도시), 반사시트(171), 도광판(172, LGP, Light Guide Plate), 확산시트(173) 및 프리즘시트(174)를 구비한다.
램프는 디스플레이 패널(175)에 빛을 비추도록 형성된다. 램프는 도광판(172)의 배면에 배치되거나, 반사시트(171)와 도광판(172) 사이로 빛을 비추도록 도광판(17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는 예를 들어, 빛을 발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71)는 도광판(172)의 배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72)의 하부로 누출되는 빛을 도광판(172)으로 반사시켜 빛의 누출을 방지한다. 반사시트(171)의 도광판(172)과 마주보는 면은 높은 반사율을 갖도록 거울과 같은 경면을 이룰 수 있다.
도광판(172)은 램프를 통해 비치는 빛이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빛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확산시트(173)는 도광판(172)의 상면에 배치되고, 도광판(172)을 통과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형성된다. 확산시트(173)의 표면에는 빛을 효율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패턴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시트(173)의 빛의 확산으로 인해 빛은 균일해지는 반면, 빛의 밝기는 저하될 수 있다. 프리즘시트(174)는 프리즘 패턴을 구비하여 확산시트(173)에서 나오는 빛을 굴절, 집광시켜 빛의 휘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시트(174)의 상면에는 프리즘시트(174)를 보호하고, 프리즘시트(174)에 의해 시야각이 좁아진 빛을 확산시키는 보호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75)은 실질적으로 화상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영역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패널(175)은 액정에 전압이 가해질시 액정 분자의 방향이 변화하는 형상을 이용하여 빛을 선별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화상을 조절한다.
미디어 기기(100)는 디스플레이(170)를 포함한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고 구조물을 이루는 프레임들(케이스,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을 구비한다. 프레임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디스플레이(17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제3프레임(130)이 제2프레임(120)을 덮도록 결합되어 제1프레임(110)과 함께 외관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프레임(110)은 디스플레이(170)의 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전면 테두리 부분은 베젤(111)을 형성한다. 제1프레임(110)의 내측벽(112)에는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지지홈(112a)이 형성된다. 지지홈(112a)은 제1프레임(110)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후술할 지지부재(140)가 장착될 위치에만 한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110)의 내측벽(112)에는 지지홈(112a)이 리세스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고정홈(112b)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12b)은 지지홈(112a)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지지홈(112a)과 같이 제1프레임(110)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고정부재(150)가 장착될 위치에만 한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170)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제1프레임(110)과 함께 디스플레이(17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프레임(120)의 지지홈(112a)과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에는 관통홀(120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20a)이 제2프레임(120)의 배면에 두께 방향, 즉 지지홈(112a)이 리세스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도 3 참조).
지지부재(140)는 제2프레임(120)을 덮도록 배치되며, 관통홀(120a)을 관통하여 지지홈(112a)에 삽입됨으로써, 제2프레임(120)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프레임(120)에는 고정부재(1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50)는 고정홈(112b)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이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40)와 고정부재(150)는 체결요소로서 일 세트를 이룰 수 있으며, 복수의 세트로 구비되어 제2프레임(120)의 둘레를 따라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와 고정부재(150)는 제2프레임(12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40)와 고정부재(15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지지부재(140)가 지지홈(112a)에 삽입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150)가 고정홈(112b)에 삽입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2의 체결부재(160)가 보스(121)에 체결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40)는 제2프레임(120)을 지지하여 제2프레임(120)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40)는 고강도를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강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베이스부(141), 연결부(142) 및 삽입부(143)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은 하나의 지지부재(140)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41)는 제2프레임(120)을 덮도록 배치되고, 제2프레임(120)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142)는 베이스부(141)와 삽입부(143)를 연결한다. 연결부(1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43)가 지지홈(112a)에 삽입되면 관통홀(120a)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삽입부(143)는 지지홈(112a)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삽입부(143)는 베이스부(14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연결부(142)가 베이스부(141)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고 삽입부(143)가 연결부(142)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삽입부(143)가 베이스부(141)에 대하여 단차진 계단 형태를 이루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삽입부(143)는 관통홀(120a)에 삽입된 후 슬라이드 이동되어 지지홈(112a)에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베이스부(141)는 제2프레임(120)을 덮도록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삽입부(143)는 지지홈(112a)을 형성하는 측벽 및 제2프레임(1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지지되며, 베이스부(141)는 제2프레임(120)을 지지하여 제2프레임(120)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50)는 제1 및 제2프레임(110, 120)과 결합되어 제2프레임(120)이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고정부재(150)는 고강도를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강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본체부(151) 및 절곡부(152)를 포함한다.
본체부(151)는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베이스부(141)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때, 베이스부(141)의 양측에는 돌출부(141b)가 본체부(151)의 양측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본체부(151)의 안착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절곡부(152)는 본체부(151)로부터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고, 고정홈(112b)에 수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 5를 앞선 도 3 및 4와 함께 참조하면, 제2프레임(120)에는 보스(12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스(121)의 내부에는 체결부재(160)와 나사 결합을 이루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스(121)가 형성되는 부분(121a)은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체결부재(160)가 디스플레이(170)에 미치는 응력을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41)에는 보스(121)가 삽입되도록 공간을 이루는 슬롯(141a)이 형성된다. 슬롯(141a)은 지지부재(140)가 지지홈(112a)에 장착시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 즉 내측벽(112)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부(143)가 관통홀(120a)에 삽입되었을 때 보스(121)는 슬롯(141a)에 삽입되고, 삽입부(143)가 지지홈(112a)에 끼워졌을 때, 보스(121)는 슬롯(141a)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보스(121)가 슬롯(141a)에 삽입됨으로써, 제2프레임(120)은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본체부(151)에는 보스(121)에 대응되는 홀(151a)이 형성된다. 보스(121)는, 앞선 슬롯(141a)의 구조와 같이 홀(151a)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보스(121)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151)를 덮도록 배치된다. 지지부재(140)와 고정부재(150)는, 체결부재(160)에 의해 제2프레임(120)에 결합되며 지지홈(112a)과 고정홈(112b)에 각각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140)와 고정부재(150)는 제1프레임(11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홈(112a) 및 고정홈(112b)에 각각 삽입되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형합을 이루도록 하므로, 체결부재(160)가 베젤(111) 부분에 배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보다 얇은 베젤(111)(narrow bezel)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3프레임(130)이 제2프레임(120)과 결합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을 앞선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제3프레임(130)은 제2프레임(120)을 덮도록 결합되어 미디어 기기(1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제3프레임(130)은 제1프레임(110)의 측벽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3프레임(130)을 관통하여 제2프레임(1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80)를 통해 기구적으로 보다 견고한 형합을 이룰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디어 기기(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프레임(220) 및 지지부재(240)를 제외한 구성들의 기능, 배치, 결합관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지지부재(240)의 형상과 제2프레임(220)에 형성되는 관통홀(220a)의 다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2프레임(220)의 측벽은 제1프레임(210)의 내측벽(212)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1프레임(210)의 내측벽(212)에는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지지홈(212a)이 형성되고, 제2프레임(220)의 측벽에는 지지홈(2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20a)이 형성된다.
지지부재(24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2프레임(220)을 덮도록 배치된 후 슬라이드 이동되어 관통홀(220a)을 통과하여 지지홈(212a)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프레임(220)을 덮는 부분은 베이스부(241), 관통홀(220a)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부분은 연결부(242), 지지홈(212a)에 삽입되는 부분은 삽입부(243)로 구분될 수 있다.
삽입부(243)는 지지홈(212a)을 형성하는 제1프레임(210)의 내측벽(212) 및 관통홀(220a)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220)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지지부재(240)가 관통홀(220a)에 삽입된 후 슬라이드 이동되어 지지홈(212a)에 삽입되는 일련의 과정이 한 번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조립 공정이 보다 단순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미디어 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내측벽에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지지홈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홈과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홈이 리세스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을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삽입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지지홈을 형성하는 측벽 및 상기 제2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단차진 계단 형태를 이루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지지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벽에 상기 지지홈이 리세스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을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삽입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보스;
    상기 보스가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롯;
    상기 보스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 및
    상기 보스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10.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내측벽에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지지홈과 상기 지지홈이 리세스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기기.
KR1020120055033A 2012-05-23 2012-05-23 미디어 기기 KR20130131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033A KR20130131167A (ko) 2012-05-23 2012-05-23 미디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033A KR20130131167A (ko) 2012-05-23 2012-05-23 미디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167A true KR20130131167A (ko) 2013-12-03

Family

ID=4998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033A KR20130131167A (ko) 2012-05-23 2012-05-23 미디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11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828A (ko) * 2015-09-04 2017-03-14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케이스용 부재 및 전자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828A (ko) * 2015-09-04 2017-03-14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케이스용 부재 및 전자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64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873680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092833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US9215815B2 (en)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JP5226148B1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テレビ
JP4212062B1 (ja) 液晶表示パネル
WO2013115086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502606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WO2021134969A1 (zh) 一种显示装置
US9658390B2 (en) Light source cover including groove an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light source cover
KR20140006512A (ko) 액정표시장치
WO2013191051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7007820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30131167A (ko) 미디어 기기
WO2013191047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677996B2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388160B2 (en) Backlight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60209579A1 (en) Display apparatus
KR101797594B1 (ko) 표시 장치
KR2012000527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8496B1 (ko) 표시장치
JP5416851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テレビ
KR2020013058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782080B1 (ko) 표시 장치
WO2013088786A1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テレ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