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353A - 양방향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353A
KR20130130353A KR1020120054095A KR20120054095A KR20130130353A KR 20130130353 A KR20130130353 A KR 20130130353A KR 1020120054095 A KR1020120054095 A KR 1020120054095A KR 20120054095 A KR20120054095 A KR 20120054095A KR 20130130353 A KR20130130353 A KR 20130130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entral axis
rotate
rotors
reverse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804B1 (ko
Inventor
이성태
곽승근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804B1/ko
Priority to PCT/KR2013/003571 priority patent/WO2013176407A1/ko
Publication of KR2013013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05Machines with only rotors, e.g. counter-rotating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2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wave movements to drive a motor or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2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 H02K7/18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wherein the turbine is a wind turb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과 제1 일방향 베어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자; 상기 제1 회전자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중심축과 제2 일방향 베어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자; 및 상기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회전자 또는 제2 회전자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회전자 또는 제1 회전자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는 양방향 운동하는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동될 수 있고 양방향 운동 중 일방향의 운동이 우세한 경우에도 그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고 각 회전자의 회전 단속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피로파괴의 위험성이 낮아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발전장치 {BI-DIRECTIONAL GENERATOR}
본 발명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를 갖는 양방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동력원의 양방향 운동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양방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장치는 터빈, 전동기, 가솔린 엔진 등에 의해 구동되어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고정자 내부에 위치한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전기를 생성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발전장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것이 고정자와 회전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높이는 양방향 발전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양방향 발전장치의 경우 대부분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정자와 회전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뿐 대부분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을 이용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었다.
설령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외부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파력과 같이 양방향 운동을 하는 동력원이 계절적 요인 또는 지형적 요인으로 인해 양방향 운동 중 한쪽 방향의 운동이 우세할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그 구성이 복잡하여 내구성과 유지보수 편이성이 고려되어야할 파력 발전 장치 등에 사용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외부 동력원의 양방향 운동 중 한쪽 방향의 운동이 우세할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높이면서 고장에 대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양방향 발전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에 의해 가동되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동력원의 작은 움직임에도 가동될 수 있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동력원의 작은 움직임을 발전장치 구성요소의 큰 움직임으로 배가시켜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의 한쪽 운동이 우세할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을 최소화, 간소화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킨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과 제1 일방향 베어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자;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중심축과 제2 일방향 베어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자; 및 상기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회전자 또는 제2 회전자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회전자 또는 제1 회전자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의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회전자 내주면에서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연결 부재를 구비할 경우 연결 부재는 제1 회전자를 중심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의 실시예로서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 부재가 위치하는 곳의 간격보다 나머지 위치의 간격을 좁게하는 것이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의 실시예로서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중심축이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에 의해 직접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을 시작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정지될 때에도 회전 관성이 남아있는 한 계속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부 동력원의 작은 움직임에 가동을 시작하여 그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자 또는 제2 회전자의 적어도 하나에 플라이휠을 설치하면 더욱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에 의해 가동되며, 외부 동력원의 작은 움직임에도 가동될 수 있고, 외부 동력원의 작은 움직임을 발전장치 구성요소의 큰 움직임으로 배가시켜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며, 구성을 최소화, 간소화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킨 뿐만 아니라 양방향 운동 중 일방향 운동이 우세한 경우에도 발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양방향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자의 회전 단속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회전자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자의 비틀림 응력에 의한 피로파괴 가능성이 낮고, 이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3a는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3b는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 제1, 2 회전자 및 연결 부재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발전장치는 회전자 내부에 위치한 고정자가 회전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회전자와 고정자가 모두 회전하는 양방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이를 제1 회전자 및 제2 회전자로 명명하지만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자 및 회전자의 역할을 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일부 절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는 중심축(10)을 중심으로 제1 회전자(20)와 제2 회전자(30)가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회전자(20)는 중심축(10)이 정방향 회전을 할 때 정방향 회전을 하며, 본 발명의 제2 회전자(30)는 중심축이 역방향 회전을 할 때 역방향 회전을 한다. 즉, 제1, 2 회전자는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여기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은 특정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는 제1 일방향 베어링(21)과 제2 일방향 베어링(31)에 의해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중심축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일방향 베어링(21)은 상기 중심축(10)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중심축과 결합되어 제1 회전자(20)가 중심축과 함께 정방향 회전을 하도록 하고, 상기 중심축이 역방향 회전할 때에는 중심축과 분리되어 중심축의 회전이 제1 회전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반면 제2 일방향 베어링(31)은 상기 중심축(10)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중심축과 분리되어 중심축의 회전이 제2 회전자(3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상기 중심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중심축과 결합되어 제2 회전자가 중심축과 함께 역방향 회전을 하도록 한다.
즉, 회전축(10)의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회전자(20)가 정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고, 회전축(10)의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회전자(30)가 역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그러나 제1 회전자(20)와 제2 회전자(30)는 외부 동력원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일방향 베어링을 통해 중심축의 회전을 간접적으로 받아 회전하기 때문에 외부 동력원의 운동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받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2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시작하지만,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회전 방향이 변경될 때에도 회전 관성이 남아있는 한 계속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동력원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에 비해 더 많이 회전할 수 있어 발전장치의 효율이 높아지고, 파력 발전기로 사용될 경우 낮은 파랑에서도 가동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제1, 2 회전자의 적어도 하나에 플라이휠(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설치할 경우, 중심축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회전 방향이 변경될 때에도 플라이휠에 저장된 회전력에 의해 플라이휠이 설치된 회전자가 계속 회전하여 발전할 수 있어 더 높은 발전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양방향 발전장치는 종래 발전장치에 비해 높은 발전 효율을 가질 수 있으나 제1 회전자가 회전할 때 제2 회전자가 자기적 인력에 의해 제1 회전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양방향 운동 방향 중 일방향의 운동을 우세할 경우에는 양방향 발전장치로서의 발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양방향 발전장치는 제1 회전자가 추진력을 얻을 때 제2 회전자는 추진력에서 제외되는 등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회전의 단속(회전자의 회전이 정지됨)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반대의 경우도 동일함) 각각의 회전자가 내부의 비틀림 응력에 의해 피로파괴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는 제1 회전자 또는 제2 회전자가 회전할 때 제2 회전자 또는 제1 회전자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40)를 구비하며, 연결 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의 움직임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10)이 정방향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축에 의해 제1 회전자(20)가 정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며, 연결 부재(40)에 의해 제2 회전자(30) 역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회전자의 정방향 회전, 제2 회전자의 역방향 회전은 회전축이 정방향 회전을 정지한 경우에도 관성이 남아 있는 한 계속된다.
또한 외부 동력의 운동 방향이 바뀌어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축의 회전력은 제2 회전자(30)에 전달되어 제2 회전자의 역방향 회전을 가속시키고 제2 회전자의 역방향 회전은 연결 부재(40)에 의해 제1 회전자(20)에 전달되어 제1 회전자의 정방향 회전을 가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는 외부 동력원의 양방향 운동이 균일하게 발생하거나 양방향 중 일방향 운동이 우세한 경우에 관계없이 항상 높은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2 회전자의 회전 단속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회전하므로 각 회전자의 비틀림 응력에 의한 피로파괴 가능성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기어로 구현할 수 있으며, 기어에 의해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가 위치하는 제1 회전자(20)의 외주면에 톱니(22)를 형성하고, 제2 회전자(30)의 내주면에 톱니(32)를 형성하며, 이 때 톱니의 규격은 기어의 톱니(42)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가 기어(40)에 의해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어는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에서의 헛돌지 않고 연결 역할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해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로 구현된 연결부재(40)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의 움직임을 도 3a와 도 3b를 참고로 다시 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이 정방향 회전을 시작하면 일방향 베어링(21)에 의해 제1 회전자(20)가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제1 회전자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회전자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22)에 맞물려 있는 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의 톱니(42)에 맞물려 있는 제2 회전자가 기어의 회전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이 역방향 회전을 시작하면 일방향 베어링(31)에 의해 제2 회전자(30)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자 내주면에 형성된 톱니(32)에 맞물려 있는 기어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의 톱니(42)에 맞물려 있는 제1 회전자가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제1 회전자는 항상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자는 항상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양방향 발전장치로서의 효율성을 항상 유지하고 발전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는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에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복수 개의 연결 부재는 제1 회전자를 중심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의 회전력이 각각 상대방 회전자에 잘 연결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가 2개 구비될 경우 이들 연결 부재는 제1 회전자를 중심으로 180도 각도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만약 3개 구비될 경우 제1 회전자를 중심으로 120도 각도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에 연결부재(40)를 예를 들어 기어로 구현하여 도시하였으나 제1 회전자 및 제2 회전자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도 물론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는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 회전자(20)에 코일이 권회되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회전자(30)에는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자(20)에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회전자에는 코일이 권회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2 회전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기가 발생하고, 제1 회전자 또는 제2 회전자의 일측에 예를 들어, 코일의 양 끝이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정류자편 및 정류자편 양쪽에 접촉된 브러쉬와 같은 장치를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을 바로 뽑아낼 수 있다.
이 때 전기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므로 제1 회전자(20)와 제2 회전자(30)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양방향 발전장치와 달리 연결 부재(40)가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 부재가 위치하는 곳의 간격보다 나머지 위치의 간격이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양방향 발전장치는 제1 회전자(20) 일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의 간격을 좁게 유지하였으나 제2 회전자(30)에 단차를 형성하거나 제1, 2 회전자 양쪽에 단차를 형성하여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의 간격을 좁게 유지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50)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중심축은 외부 동력원 운동과 연결되기 위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를 수중에 설치할 경우 방수를 위해 하우징과 중심축 사이의 밀봉이 필요하다.
또한 연결부재(40)는 제1 회전자(20)와 제2 회전자(30) 사이에서 연결 역할을 잘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부재를 기어로 구현할 경우 기어의 회전축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우징에 고정된다는 것은 하우징에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되어 고정됨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의 제2 회전자는 내부에 제1 회전자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 회전자는 회전축(10)과 결합되는 일방향 베어링(21)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비교적 균등하게 위치할 수 있음에 반해 제2 회전자는 회전축(10)과 결합되는 일방향 베어링(31)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한 쪽에 치우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력이 제1 회전자보다 제2 회전자에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자는 일측이 일방향 베어링(31)에 의해 상기 중심축(10)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 연결 부재(40)는 제2 회전자의 타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양방향 발전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방향 발전장치는 제2 회전자(30) 내부에 복수개의 제1 회전자가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회전축(10)과 제1, 2 회전자의 회전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즉, 복수개의 제1 회전자(20)는 제1 일방향 베어링(21)에 의해 상기 중심축(10)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중심축과 함께 정방향 회전을 하고, 제2 회전자(30)는 제2 일방향 베어링(31)에 의해 상기 중심축(10)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중심축과 함께 역방향 회전을 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자를 복수 개로 구성하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크기를 크게 구성할 때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인 발전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를 각각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발전장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양방향 운동을 하는 동력원 역시 파랑 등을 예로 들었으나 양방향 운동을 하는 모든 동력원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중심축 20: 제1 회전자
21: 제1 일방향 베어링 30: 제2 회전자
31: 제2 일방향 베어링 40: 연결부재
22, 32, 42 : 톱니

Claims (10)

  1.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과 제1 일방향 베어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자;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중심축과 제2 일방향 베어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심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자; 및
    상기 제1 회전자 또는 제2 회전자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회전자 또는 제1 회전자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 부재가 위치하는 곳의 간격보다 나머지 위치의 간격이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이며, 상기 연결 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회전자 내주면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복수개의 상기 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기어는 상기 제1 회전자를 중심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자는 일측이 상기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회전자의 타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을 시작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정지될 때에도 회전 관성이 남아있는 한 계속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자 또는 상기 제2 회전자의 적어도 하나에는 플라이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자에 코일이 권회되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회전자에는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회전자에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회전자에는 코일이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10. 양방향 운동을 하는 외부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자;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중심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자;
    상기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회전자 또는 제2 회전자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회전자 또는 제1 회전자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 및
    상기 중심축, 제1, 2 회전자 및 연결 부재가 수납된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이며, 상기 중심축의 양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발전장치.
KR1020120054095A 2012-05-22 2012-05-22 양방향 발전장치 KR10137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095A KR101377804B1 (ko) 2012-05-22 2012-05-22 양방향 발전장치
PCT/KR2013/003571 WO2013176407A1 (ko) 2012-05-22 2013-04-25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095A KR101377804B1 (ko) 2012-05-22 2012-05-22 양방향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353A true KR20130130353A (ko) 2013-12-02
KR101377804B1 KR101377804B1 (ko) 2014-03-26

Family

ID=4962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095A KR101377804B1 (ko) 2012-05-22 2012-05-22 양방향 발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7804B1 (ko)
WO (1) WO20131764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795A1 (ko) * 2016-02-12 2017-08-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전 사이클 시스템
KR20210145739A (ko) * 2019-04-23 2021-12-02 씨알 플라이트 엘.엘.씨. 역회전 축 전기 모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9966A (zh) * 2014-11-14 2015-01-28 曹时宜 一种新型轮毂发电机
IT201800001187A1 (it) * 2018-01-17 2019-07-17 Enecolab S R L Macchina elettrica
KR102038615B1 (ko) * 2018-08-22 2019-10-30 최외철 고효율 발전장치
CN113661647A (zh) * 2019-03-25 2021-11-16 吉格能源有限责任公司 能量转换装置和相关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067A (ja) * 1992-01-20 1995-07-11 Bitsugusu:Kk 二重ローター風力発電機
JP4676174B2 (ja) * 2004-01-26 2011-04-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回転慣性保持発電機
KR200413465Y1 (ko) * 2005-12-06 2006-04-07 허현강 대형 양방향 풍력발전기
KR100839485B1 (ko) * 2007-12-27 2008-06-19 제너럴로터(주) 다수 로터블레이드가 장착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KR100870133B1 (ko) * 2008-05-26 2008-11-25 제너럴로터(주) 진동 발전기
KR100963803B1 (ko) * 2010-01-20 2010-06-17 신남수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795A1 (ko) * 2016-02-12 2017-08-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전 사이클 시스템
KR20210145739A (ko) * 2019-04-23 2021-12-02 씨알 플라이트 엘.엘.씨. 역회전 축 전기 모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6407A1 (ko) 2013-11-28
KR101377804B1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804B1 (ko) 양방향 발전장치
US11296589B2 (en) Electrical machine
US8253294B1 (en) Increased efficiency dual rotational electric motor/generator
KR101577621B1 (ko) 모터 중심축에 위성기어를 장치하여 좌우 양축 상호 역회전하는 회전축이 두개인 모터장치
JP2011505787A (ja) 波力タービンにおける往復運動システム
KR100777029B1 (ko)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KR100469544B1 (ko) 풍력발전장치
CN107269455B (zh) 一种依靠摆动的发电装置
JP6174007B2 (ja) 流体発電装置
JP2013162592A (ja) 発電システム
KR20140103169A (ko) 전기 머신
CN103986290B (zh) 一种高效一体化双转子双向发电机装置
KR20130048588A (ko) 자연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방법
KR200279047Y1 (ko) 풍력발전장치
KR101377878B1 (ko) 발전장치
JP6184643B1 (ja) 動力伝達装置及び水力発電装置
RU2005116565A (ru) Планетарный электромотор-редуктор
KR101514668B1 (ko) 역방향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 양축 발전장치
KR100994218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120032112A (ko) 자력발동기
KR200394575Y1 (ko) 정역구동형 발전기
KR20090080027A (ko) 발전기
KR100777028B1 (ko)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RU36584U1 (ru) 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
KR200455028Y1 (ko) 유도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