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029B1 -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029B1
KR100777029B1 KR1020060029791A KR20060029791A KR100777029B1 KR 100777029 B1 KR100777029 B1 KR 100777029B1 KR 1020060029791 A KR1020060029791 A KR 1020060029791A KR 20060029791 A KR20060029791 A KR 20060029791A KR 100777029 B1 KR100777029 B1 KR 100777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n
wave
follow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300A (ko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주)제일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피앤피 filed Critical (주)제일피앤피
Priority to KR102006002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0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1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 F03B13/180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 F03B13/181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 F03B13/181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with an up-and-dow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ate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e.g. from tidal flows, waves or curr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4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flat or V-belts and 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5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chains and sprockets; using toothed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결의 상승파에 의한 부구의 상승은 물론 물결의 하강파에 의한 부구의 하강에 의해서도 발전기 측으로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축(111) 상에 나란히 부구(112)의 아암(113)과 연결된 원동체(1)와 종동체(2)를 설치하되,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는 서로 반대방향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3a)에 의해서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의 사이에는 종동체(2)를 원동체(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달하는 전동부(4)가 구비됨으로써 에너지 발생 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부구, 아암, 원동풀리, 종동풀리,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전동풀리

Description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The power forwarding device of a generator for the floating power of the waves}
도 1 내지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도 2b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동체 및 종동체에 내장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을 나타낸 정면도.
도 4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도 6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도 8b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도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종래의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동력전달체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원동풀리 2:종동풀리
3,3a: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4:전동부
5:외체부 5a:작동홈
11:원동풀리 12:원동기어
13:원동 베벨수직기어 21:종동풀리
22:종동기어 23:종동 베벨수직기어
31:경사면 32:정지홈
33:볼 41:지지축
42,42a:제1,2 전동풀리 43:벨트
44:지주 44a:베어링 하우징
44b:상부프레임 45,45a:제1,2 전동기어
46:베벨수평기어 47:지지프레임
본 발명은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결의 상승파에 의한 부구의 상승은 물론 물결의 하강파에 의한 부구의 하강에 의해서도 발전기 측으로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즉 전기는 주로 수력과 화력 및 풍력, 증기 등을 이용하여 생산하고 있으며, 수력의 경우에는 물의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을 일으키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른 막대한 설비 및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별도의 막대한 설비없이 간단한 구조만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치, 즉 특허출원 제2006-2890호(2006.01.10)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발생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110)와 연계된 회전축(111)에 다수의 부구(112)를 연동되게 형성하여 물결에 의한 부구(112)의 상.하운동에 의해서 회전축(111)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발전기(110)를 통하여 발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구(112)는 아암(113)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아암(113)의 타측 단부는 동력전달장치(M)에 의해서 회전축(111)과 연결되어 부구(112)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이 동력전달장치(M)를 통해서 회전축(11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장치(M)는 부구(112)가 물결에 의해서 상승하는 경우에만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 5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한 바와 같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1) 상에 정지홈(114a)을 갖는 일방향 경사면(114b)으로 이루어진 래칫(114)을 형성하고, 아암(113)의 하우징(113a) 내측에는 상기 정지홈(114a)과 일방향 경사면(114b)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다수의 작 동핀(115)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핀(115)의 운동방향에 따라 정지와 운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물결의 상승파에 의해서 부구(112)가 상승하게 되면, 아암(113)을 통해 하우징(113a) 내부의 작동핀(115)이 래칫(114)의 작동홈(5a)에 맞물려 회전축(111)에 축설된 래칫(114)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부구(112)의 동력을 회전축(111)에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물결의 하강파에 의해서 부구(112)가 반대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작동핀(115)의 래칫(114)의 경사면(114b)을 타고 이동 및 운동하게 됨으로써 공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1)의 동력은 벨트 전동에 의해서 발전기(110)로 전달되어 발전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는 물결의 상승파에 의해서 부구가 상승하는 경우에만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하강파에 의한 부구의 하강에 의해서는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발전 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래칫을 직접 회전축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가공에 따른 어려움 및 비용상승과 조립의 불편성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결의 상승파에 의한 부구의 상승은 물론 물결의 하강파에 의한 부구의 하강에 의해서도 발전기 측으로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져 발전 및 에너지 발생 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방향 래칫 기능을 회전축에 직접 형성하지 않고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등과 같은 기성품의 조립에 의해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전기와 연결된 회전축이 부구의 아암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에 있어서, 회전축 상에 나란히 부구의 아암과 연결된 원동체와 종동체를 설치하되, 상기 원동체와 종동체는 서로 같은방향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원동체와 종동체의 사이에는 종동체를 원동체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달하는 전동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원동체와 종동체는 각각 원동풀리와 종동풀리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부는 회전축과 직교되는 방향의 지지축 상에 나란히 한 쌍의 제1,2 전동풀리를 축설하여 원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엇걸기로 벨트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동체와 종동체는 각각 원동기어와 종동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부는 원동기어에 치합되는 제1 전동기어와, 상기 제1 전동기어 및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제2 전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동체와 종동체는 원뿔면에 치형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원동 베벨수직기어와 종동 베벨수직기어로 각각 구성되고, 전동부는 원동 베벨수직기어 및 종동 베벨수직기어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치합되는 베벨수평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동체와 종동체는 구동기어와 종동스프로킷으로 형성되고, 전동부는 전동축 상에, 일측 및 타측에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와 종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을 갖는 전동체가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는 통상에서와 같이 발전기(110)와 연계된 회전축(111)에 다수의 부구(112)를 연동되게 형성하여 물결에 의한 부구(112)의 운동에 의해서 회전축(111)이 회전 및 구동되도록 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기(11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발전을 일으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에 있어, 본 발명은 물결의 상승파 또는 하강파에 상관없이 부구(112)의 상.하운동 모두에 의해서 발전을 일으키기 위한 동력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M)를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2a,도 2b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예시한 사시도로서, 도 2a는 부구의 상승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부구의 하강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M)는 물결에 의해서 상.하 운동을 하는 부구(112)의 아암(113)과 일체로 연결된 원동체(1)와, 원동체(1)의 동력을 전동부(4)에 의해서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체(2)로 구성되고,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는 회전축(111) 상에 나란히 축설된다.
이때, 원동체(1)와 종동체(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3a)에 의해서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111)의 회전방향이 항상 발전을 일으킬 수 있는 발전기(110)의 입력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원동체(1)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과 종동체(2)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은 서로 같은방향으로 원동체(1)와 종동체(2)의 내부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는 원동풀리(11)와 종동풀리(21)로 구성되고, 전동부(4)는 회전축(111)에 직교되는 지지축(41) 상에 나란히 축설되는 제1 전동풀리(42) 및 제2 전동풀리(42a)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 전동풀리(42) 및 제2 전동풀리(42a)를 포함하여 이들 모두는 벨트(43)의 엇걸기에 의해서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41)은 하나의 축으로 제1,2 전동풀리(42)(42a)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치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베어링 하우징(44a)에 의해서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주(44)의 상부프레임(44b) 양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제1,2 전동풀리(42)(42a)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동체 및 종동체에 내장된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서 제시된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은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형태나 구조에 상관없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3a)은 각각 정지홈(32)을 갖는 다수의 경사면(31)으로 구성되고, 상기 정지홈(32)과 경사면(31)의 사이에 각각 볼(33)이 구비되어 상기 볼(33)의 운동방향에 따라 정지와 운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원동체(1)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과 종동체(2)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은 각각 서로 같은 경사면(31)으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회전축(1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발전기(110)의 가동을 위한 입력 방향으로 가정했을 때, 부구(112)와 연결된 원동풀리(11)는 내부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회전축(111)에 대한 동력이 전달되고, 종동풀리(21)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은 제1,2 전동풀리(42)(42a)를 통한 벨트(43)의 전동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동풀리(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원동풀리(11)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이 공회전하게 되는데 반하여, 종동풀리(21)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은 회전축(111)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결의 상승파 또는 하강파에 의해서 원동풀리(1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최종적으로 회전축(111)을 통하여 출력되는 방향은 모두 발전을 일으킬 수 있는 입력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에너지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장치(M`)의 원동체(1) 및 종동체(2)를 원동기어(12) 및 종동기어(22)로 형성하고, 상기 전동부(4)는 원동기어(12)에 치합되는 제1 전동기어(45)와, 상기 제1 전동기어(45) 및 종동기어(22)에 치합되는 제2 전동기어(45a)로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동기어(45) 및 제2 전동기어(45a)는 외체부(5)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이며, 당연히 축설부에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외체부(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112)의 아암(113)이 회전할 때 간섭받지 않도록 작동홈(5a)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전축(1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발전기(110)의 가동을 위한 입력 방향으로 가정했을 때, 부구(112)와 연결된 원동기어(12)는 내부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회전축(111)에 대한 동력이 전달되고, 종동기어(22)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은 제1,2 전동기어(45)(45a)를 통한 기어전동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동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원동기어(12)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이 공회전하게 되는데 반하여, 종동기어(22)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은 회전축(111)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결의 상승파 또는 하강파에 의해서 원동풀리(1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최종적으로 회전축(111)을 통하여 출력되는 방향은 모두 발전을 일으킬 수 있는 입력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에너지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도 8b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장치(M)의 원동체(1) 및 종동체(2)를 원뿔면에 치형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원동 베벨수직기 어(13) 및 종동 베벨수직기어(23)로 형성하고, 전동부(4)는 원동 베벨수직기어(13) 및 종동 베벨수직기어(23)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치합되는 베벨수평기어(46)로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베벨수평기어(46)는 양단이 평행하게 회전축(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프레임(47)의 중앙부 고정축(47a)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전축(1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발전기(110)의 가동을 위한 입력 방향으로 가정했을 때, 부구(112)와 연결된 원동 베벨수직기어(13)는 내부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회전축(111)에 대한 동력이 전달되고, 종동 베벨수직기어(23)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은 베벨수평기어(46)를 통한 기어전동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동 베벨수직기어(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원동 베벨수직기어(13)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이 공회전하게 되는데 반하여, 종동 베벨수직기어(23)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은 회전축(111)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결의 상승파 또는 하강파에 의해서 원동풀리(1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최종적으로 회전축(111)을 통하여 출력되는 방향은 모두 발전을 일으킬 수 있는 입력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에너지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동력전달장치(M)의 원동체(1) 및 종동체(2)를 서로 마주하는 구동기어(14) 및 종동스프로킷(24)으로 형성하고, 전동부(4)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동기어(14)에 치합되는 피동기어(48a)와 종동스프로킷(24)과 체인(49)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48b)을 갖는 전동체(48)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체(48)는 전동축(48c) 상에 축설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전축(1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발전기(110)의 가동을 위한 입력 방향으로 가정했을 때, 부구(112)와 연결된 구동기어(14)는 내부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회전축(111)에 대한 동력이 전달되는 것으로서, 구동기어(14)가 회전축(111)의 회전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스프로킷(24)은 내부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a)에 의해서 전동체(48)의 피동기어(48a) 및 구동스프로킷(48b)의 체인(49) 전동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물결의 하강파에 의해서 부구가 하강하여 구동기어(14)가 반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되면, 종동스프리킷(24)은 상기 전동체(48)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회전축(111)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결의 상승파 또는 하강파에 의해서 구동기어(14)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최종적으로 회전축(111)을 통하여 출력되는 방향은 모두 발전을 일으킬 수 있는 입력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에너지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결의 상승파에 의한 부구의 상승은 물론 물결의 하강파에 의한 부구의 하강에 의해서도 발전기 측으로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물결을 이용한 발전 및 에너지 발생의 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서와 같이 일방향 래칫 기능을 회전축에 직접 형성하지 않고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등과 같은 기성품의 조립에 의해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효율성, 간편성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Claims (5)

  1. 발전기(110)와 연결된 회전축(111)이 부구(112)의 아암(113)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에 있어서,
    회전축(111) 상에 나란히 부구(112)의 아암(113)과 연결된 원동체(1)와 종동체(2)를 설치하되,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는 서로 같은방향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3a)에 의해서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의 사이에는 종동체(2)를 원동체(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달하는 전동부(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는 각각 원동풀리(11)와 종동풀리(21)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부(4)는 회전축(111)과 직교되는 방향의 지지축(41) 상에 나란히 한 쌍의 제1,2 전동풀리(42)(42a)를 축설하여 원동풀리(11) 및 종동풀리(21)와 엇걸기로 벨트(43)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는 각각 원동기어(12)와 종동기어(22)로 구성되 고, 상기 전동부(4)는 원동기어(12)에 치합되는 제1 전동기어(45)와, 상기 제1 전동기어(45) 및 종동기어(22)에 치합되는 제2 전동기어(45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는 원뿔면에 치형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원동 베벨수직기어(13)와 종동 베벨수직기어(23)로 각각 구성되고, 전동부(4)는 원동 베벨수직기어(13) 및 종동 베벨수직기어(23)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치합되는 베벨수평기어(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체(1)와 종동체(2)는 구동기어(14)와 종동스프로킷(24)으로 형성되고, 전동부(4)는 전동축(48c) 상에, 일측 및 타측에 구동기어(14)에 치합되는 피동기어(48a)와 종동스프로킷(24)과 체인(49)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48b)을 갖는 전동체(48)가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KR1020060029791A 2006-03-31 2006-03-31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KR100777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791A KR100777029B1 (ko) 2006-03-31 2006-03-31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791A KR100777029B1 (ko) 2006-03-31 2006-03-31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300A KR20070098300A (ko) 2007-10-05
KR100777029B1 true KR100777029B1 (ko) 2007-11-20

Family

ID=3880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791A KR100777029B1 (ko) 2006-03-31 2006-03-31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6055B2 (en) 2007-09-13 2015-04-28 Mile Dragic System for conversion of wave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5525542B2 (ja) * 2008-12-10 2014-06-18 ドラジック,マイル 水波エネルギを電気エネルギに変換するシステム
EP2596235B1 (en) 2010-07-19 2014-06-11 Mile Dragic Ocean wave power plant
US20230417216A1 (en) * 2022-06-23 2023-12-28 Vitalii Markov Pressure-Differential Engine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8251A (en) 1975-05-16 1976-11-29 Jiii Tooneibiin Maikeru Connection device between transmission and wave action
JPS53165948U (ko) 1977-06-03 1978-12-26
US4389843A (en) 1981-03-27 1983-06-28 John Lamberti Water wave energy transducer
JPH09184471A (ja) * 1995-12-28 1997-07-15 Rongu Well Japan Kk 方向変動エネルギー取出し装置
KR200326768Y1 (ko) 2003-06-11 2003-09-19 정연진 파력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8251A (en) 1975-05-16 1976-11-29 Jiii Tooneibiin Maikeru Connection device between transmission and wave action
JPS53165948U (ko) 1977-06-03 1978-12-26
US4389843A (en) 1981-03-27 1983-06-28 John Lamberti Water wave energy transducer
JPH09184471A (ja) * 1995-12-28 1997-07-15 Rongu Well Japan Kk 方向変動エネルギー取出し装置
KR200326768Y1 (ko) 2003-06-11 2003-09-19 정연진 파력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300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7873B1 (en) A transmission system for power generation
KR100777029B1 (ko)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JP2011505787A (ja) 波力タービンにおける往復運動システム
KR20080025278A (ko) 파력 발전시스템
KR101059497B1 (ko) 발전장치
KR101377804B1 (ko) 양방향 발전장치
CN102364087A (zh) 潮汐能和波浪能发电装置
KR20070082920A (ko)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드라이브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US20100019497A1 (en) Open ocean wave energy converter
JP2014055585A (ja) 波力発電装置
KR100777028B1 (ko)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KR100768786B1 (ko) 지속발전을 가능케 하는 구동드라이브유닛에의한 해수력 발전시스템
KR102268074B1 (ko) 파력에너지 변환장치
TWI704305B (zh) 高減速比減速機
KR100768787B1 (ko) 지속 발전을 가능케 하는 구동드라이브유닛에 의한 파력 발전시스템형
CN105864386A (zh) 一种潮汐发电装置的传动机构
KR200398572Y1 (ko) 파도의 수평운동에너지를 이용한 파력발전시스템
KR200402367Y1 (ko) 감속장치
CN101451488A (zh) 浮式波力机
KR101101360B1 (ko) 파력에너지 변환장치
KR101003639B1 (ko) 기어를 이용한 발전장치
RU27649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версивного вращения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KR200272896Y1 (ko) 세폭직기(자카드)의 캠 구동 동력전달장치
KR102302003B1 (ko) 파력 발전 장치
RU27630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маятникового движения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