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063B1 -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063B1
KR100777063B1 KR1020060015968A KR20060015968A KR100777063B1 KR 100777063 B1 KR100777063 B1 KR 100777063B1 KR 1020060015968 A KR1020060015968 A KR 1020060015968A KR 20060015968 A KR20060015968 A KR 20060015968A KR 100777063 B1 KR100777063 B1 KR 10077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put shaft
wind
way clutch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920A (ko
Inventor
홍재호
Original Assignee
홍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재호 filed Critical 홍재호
Priority to KR102006001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0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separate conn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9Structures with a sloping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블레이드와 구동 드라이브 유닛에 의해 풍향에 관계없이 입력되는 바람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지속 발전할 수 있게 한 풍력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안가나 산지에서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수시로 방향을 바꾸어 가며 지속적으로 불어오는 바람의 힘을 느낄 수 있다. 이에 좌.우 분리된 2개의 입력축에 입체 블레이드를 각각 장착시키고 일방향 클러치와 유성기어장치를 조합시켜 각각의 입체 블레이드가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회전 방향이 정방향 회전시나 역방향 회전시나 동시에 정 또는 역방향 회전시나 블레이드가 따로 교번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것에 관계없이 좌.우 2개의 입력축으로 회전력을 전달시켜 입력된 바람의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출력하도록 하여 수시로 방향이 바뀌는 바람에 있어서의 에너지를 구동 드라이브 유닛을 통하여 모두 한 방향으로만 출력, 지속 발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풍력 발전

Description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Wind force generator system having three-dimensional type blade and driving unit}
도 1은 풍력 발전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구동 드라이브 유닛의 단면도.
도 3은 구동 드라이브 유닛의 상세도.
도 4는 부품도.
도 5는 구동 드라이브 유닛의 동작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가설대 B : 증속 기어 장치
C : 발전장치 D : 축전장치
E : 전기장치
1 : 일측 입력축 1' : 타측 입력축
2 : 일측 입체형 블레이드 2' : 타측 입체형 블레이드
3 : 일측 전자 클러치 3' : 타측 전자 클러치
4 : 동력 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
5 : 내부지지 베어링 6 : 일측 고정 부라켓
7 : 정 1방향 클러치 8 : 플랜지
9 : 역 1방향 클러치 10 : 중앙 기어
11 : 공동 방향 전환 기어 12 : 타측 고정 부라켓
13 : 외부지지 베어링 14 : 고정핀
15 : 제 2 고정핀 16 : 멈춤판
17 : 방향 전환 기어 18 : 제 2 방향 전환 기어
본 발명은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의 에너지로 전기를 얻는 풍력 발전에 있어서 풍속과 풍향은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에 있어 풍속에 관계없이 발전 가능하도록 발전기의 극수를 크게 하여 발전하도록 한 다극형 발전기가 선진국에서 현실화 되어 있는 바, 풍향이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수평형 풍력 발전 시스템은 항상 바람을 마주보거나 등지는 방향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통계에 의한 일정 풍향이 고정적인 곳으로 설치 장소를 택해야만 하므로 입지 선정이 한정적이 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도 방향을 바꾸는 바람을 따라 풍향계와 측정기기 및 컴퓨터를 통한 데이터처리 후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조절시키는 장치 및 발전 시스템 동체 전체를 회전시키는 요잉장치 등 많은 설비와 장치가 투입된다. 그러나, 수시로 바뀌는 풍향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 방법 역시 한정적이다. 따라서 많은 초기 건설비용이 발생되며 특히 정해진 대규모 풍력단지에 반하여 도서지방이나 산간지방에서의 중,소형 보급형에서는 설치 장소의 여 건뿐만 아니라 많은 설비와 장치가 어울리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레이드를 입체화시켜 풍향에 관계없이 회전 가능하게 한 후, 좌.우 입력축으로부터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회전력을 입력받아 일방향 클러치와 유성기어장치를 간단하며 경제적으로 조합.구성된 구동 드라이브 유닛을 거쳐 한 방향으로 출력되는 회전력으로 발전기의 회전자를 한 방향으로만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발전 한계를 넘어서는 풍속에 있어서는 전자 클러치로 단속하여 블레이드를 자유회전시켜 안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입지 선정부터가 한정적인 대규모의 풍력발전소에 비하여 경제적인 중.소형 풍력발전기로의 원활한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1에서는 본 풍력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가 보여진다. 먼저 지면으로부터 가설대(A)가 설치되며, 가설대의 상부면에 증속기어장치(B), 발전장치(C),축전장치(D) 및 전기 장치(E)로 구성되어 동체로 불리는 나셀 부위가 안착된다.
상기 증속기어장치 좌.우 양단으로 일측 입력축(1)과 타측 입력축(1')이 보여지며 일측 및 타측 입력축(1,1') 선단에 통상의 로터 블레이드가 각각 부착되어지는 바, 여기서의 블레이드는 '├' 단면 형태의 일측 입체형 블레이드(2)와 타측 입체형 블레이드(2')가 각각 부착되어져 있다. 이는 바람이 사면이나 측면에서 불어오더라도 효과적으로 일측 및 타측 입력축(1,1')을 회전시켜서 풍력 발전이 가능하도록 한 디자인이다. 풍향에 관계없이 바람의 에너지는 일측 및 타측 입체형 블레이드(2,2')를 회전시켜, 일측 및 타측 입력축(1,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또는 좌.우 2개의 축이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혹은 좌.우로 교대로 각각의 블레이드가 회전할 때마다 일측 및 타측 입력축(1,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바람에 의한 운동 에너지는 계속하여 좌,우 입력축을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지속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드라이브 유닛으로 전달되어진다. 도2에서는 구동드라이브유닛 단면의 구성이 보여진다.
여기서, 먼저 외주면이 치형 기어인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에 대해 설명하면 동력의 전달 방법에 있어 기어, 밸트풀리, 체인 스프로켓, 와이어 드럼 등 여러 동력전달요소가 있으며, 기어의 경우도 많은 종류가 있는바 베벨기어 한 쌍으로 직각방향으로 동력전달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일반 기어를 도시하였으며 이는 내부에 톱니모양의 치형이 형성된 링 기어와 다시 링 기어 외주면에 또 다시 톱니모양의 치형이 형성 된 것을 칭하여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라 하였으며, 링기어 외주면에 동력전달의 성격 및 방법에 맞춰 체인 스프로켓, 벨트풀리, 베벨기어, 등으로 변경되어 질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는 발전기를 발전 가능한 회전수로 증속시키기 위한 증속기어장치(B) 내에 위치하며 다수의 기어열로 구성된 증속을 위한 기어장치의 제 1번 기어와 치합되어져 구성된다. 따라서, 일방향으로만 회전출력 되게 하는 구동유닛의 동력 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로부터 이에 치합 된 기어열을 거쳐 증속된 회전출력은 발전장치(C)의 회전자 입력축으로 연결되며, 발전장치(C)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는 축전장치(D)로 저장되고 전기적 제어는 전기장치(E)에의해 행하여진다. 이는 일반의 발전장치와 구성이 유사하다.
다시 도 2에서 일측 및 타측 전자 클러치(3,3')가 일측 및 타측 입력축(1,1')의 중단에 각각 축설되어지는 바, 이는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으나 증속 기어장치(B)내의 바닥이나 측면으로부터의 부라켓에 고정 부착된다. 상기 일측 및 타측 전자 클러치(3,3')의 역할은 정해진 한계 풍속 이상일 경우만 전자 클러치의 접촉면이 무여자 이격되어 일측 및 타측 입체형 블레이드(2,2')만 자유회전이 되도록 하여 안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클러치의 내부에는 정도 높은 베어링부가 내장되어있어 블레이드의 원활한 회전을 돕는다. 필요시 부가하여 상기 전자 클러치와 블레이드 사이에 블레이드의 유격 및 안정을 위하여 별도의 제 2 베어링부를 고정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는 발전 설비 규모에 의해 정해진다. 별도의 방법으로는 발전장치선단과 증속기어장치의 종단 사이에 유압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블레이드의 회전을 완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종례의 방법이다.
다시 도2의 단면에서 일측 입력축(1)의 일단에 회전을 돕는 내부 지지베어링(5)을 삽입하고 증속 기어박스의 측면이나 바닥에 고정될 일측 고정 부라켓(6)이 보여지며, 또 다시 상기 일측 입력축의 일단에 정1방향 클러치(7) 내륜이 압입.고정되며, 상기 정1방향 클러치의 외륜에는 플랜지(8)가 압입 고정되어져 분해/점검이 용이하도록 고정나사로 상기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일측면과 고정되어져 제1열의 단면과 도3-a에 보여진다.
또다시, 상기 일측 구동축 선단에 역1방향 클러치(9)의 내륜을 압입 고정시키고 상기 역1방향 클러치의 외륜에는 중앙기어(10)를 압입고정하며, 상기중앙기어를 공동방향전환기어(11)와 치합되어 지도록 하고, 다시 공동방향전환 기어는 상기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내주면에 톱니형상의 치형과 치합되어져 제2열의 단면과 도3-b에서 보여진다.
여기서, 타측 입력축(1') 쪽으로는 도4에서와 같은 타측 고정부라켓(12)이 증속기어박스에 고정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상기 타측 구동축의 회전지지를 돕도록 내부지지베어링(5)을 가지며 외주에 상기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의 균형과 회전을 돕는 외부지지베어링(13)을 가지며, 또 일정 거리의 원주상에 고정핀(14) 및 제 2 고정핀(15)을 삽입 할수 있도록 되어진 도 4에서의 멈춤판(16)이 타측 고정 부라켓(12) 에 고정 나사로 견고히 고정되어져 있다. 그리고 타측 입력축(1')의 일단에 정1방향 클러치(7)의 내륜이 압입 고정되어지고, 상기 정1방향 클러치 외륜에 중앙기어(10)를 압입 고정한 후, 방향전환기어(17)와 치합 시키고 방향전환기어를 다시 제2방향 전환기어(18)와 치합시킨 후 상기 제2방향 전환 기어를 상기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내치와 치합되어져 있음이 제4열 단면과 도3-d에 보여진다.
또, 타측 입력축(1') 선단에 역1방향 클러치(9) 내륜이 압입 고정되고 역1방향 클러치 외륜에는 중앙 기어(10)가 압입고정되며, 중앙기어는 공동 방향 전환기어(11)와 치합되어지고 다시 공동 방향 전환기어는 상기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내치차와 치합되어져있음이 제3열 단면상과 도3-c에 나타내어져있다.
이는 제2열과 제3열의 단면이 동일함을 나타내고 좌,우 구동축이 약간의 사이를 두고 나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일측 입력축(1)과 타측 입력축 (1')의 중단에 각각 축에 나뉘어져 일측 및 타측 전자 클러치(3,3')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전자 클러치(3,3')앞쪽으로의 일측 및 타측 입력축(1,1')선단에 입체형 블레이드가 각각 설치되어있다.
이렇게 1열에서 4열까지의 단면구성이 완료되며, 여기서 제1열의 단면 요소 중 플랜지(8)를 중앙기어(10)로 대신하게 하고 중앙기어를 방향전환기어(17)와 치합시킨 후 상기 방향 전환기어를 제2방향전환기어(18)와 치합시키고 제2방향 전환기어를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내치와 치합되게 한다. 즉, 제 1열의 단면을 제4열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변경 구성 시킬 수 있게 한다. 이는 좌,우 2개의 입력축이 동일한 풍력에 의해 동시 입력 회전할 경우, 상기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 기어(4)의 동일한 출력회전을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2열과 제3열은 동일단면이며 제1열과 제4열은 동일단면으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구성완료된 구동드라이브 유닛의 동작관계 실시예를 첨부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방향 클러치 에 대해 설명을 하면 <역1방향 클러치 ....내륜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외륜에 전달되어져 외륜이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내륜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외륜에 전달되지 않고 내륜만 공전되며, 이때의 외륜 자체는 역방향으로 공회전이 가능한 통상 개념의 1방향 클러치 임.>
<정1방향 클러치....내륜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외륜에 전달되어져 외륜이 함께 정방향 회전되고, 내륜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외륜에 전달되지 않고 내륜만 공회전 되며, 이 때의 외륜 자체는 정방향으로 공회전이 가능한 통상 개념의 1방향 클러치.>이다.
첫째, 일측 입체형 블레이드(3)가 풍력에 의해 회전되어져 회전 방향이 역방향(반시계)회전하여 연계된 일측 입력축(1)을 역회전 시키는 경우,
이 경우는, 제1열의 정1방향 클러치(7)의 내륜은 외륜에 대해 역방향으로 일측 입력축(1)과 함께 공회전 하고, 제2열의 역1방향 클러치(9) 내륜도 역방향 회전된다. 이 때 역1방향 클러치(9)의 특성상 내륜이 역회전 할 때, 외륜에 회전력이 전달되어져 외륜과 일체인 중앙기어(10)가 같이 역회전 한다. 그리고, 이에 맞물린 공동 방향 전환 기어(11)는 회전방향이 바뀌어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에 전달되어져 출력은 정방향 회전되고 정방향 회전은 증속기어장치(B)의 기어열중 제 1번 기어에 전달되어진다.
삭제
여기서, 제1열의 정1방향 클러치(7)의 외륜은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와 플랜지(8)로 고정.연결되어 있어서 정방향 회전되나 정1방향 클러치(7)의 특성상 내륜이 역회전 할 때, 외륜은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고 내륜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공회전함으로 간섭이 없다.
한편, 제3열에 있어 일측 입력축(1)의 역 회전력은 타측 입력축(1')과는 분 리되어 있어 타측 입력축(1')에는 역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동 방향 전환 기어(11)가 정방향 회전되고 있고, 이는 다시 제3열의 역1방향 클러치(9)의 외륜과 고정된 중앙기어(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나 역1방향 클러치(9)의 특성 상 외륜이 역방향 회전할 때, 내륜에 대해 공회전하므로 결과적으로 일측 입력축(1)이 역회전할 때, 제3열 역1방향 클러치(9) 내륜에 고정된 타측 입력축(1')에는 아무런 회전력이 전달되어지지 못해 타측 입력축(1')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때, 제4열의 상태는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가 정회전 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와 치합된 제2방향 전환기어(18)도 정회전되며, 또 이와 치합된 방향 전환 기어(17)는 역회전하고, 이때의 회전력은 제4열의 정1방향 클러치(7)의 외륜에 부착된 중앙기어(10)를 정회전시키게 되나, 정1방향 클러치(7)의 특성상 외륜이 정회전 될 때, 내륜에 대해 공회전 상태이므로 내륜은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고 따라서 이와 결합된 타측 입력축(1')은 움직이지 않지만 상기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는 정회전한다.
둘째, 여기서 다시 사면이나 측면으로 풍향이 바뀌어 일측 입체형 블레이드(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측 입력축(1)을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도5의 <정회전시>에서 보듯이 제 1열 상의 정 1방향 클러치(7) 내륜이 정회전되고 이 때의 회전력은 외륜에 전달되어, 플랜지(8)와 연결된 상기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를 정방향 회전시킨다.
그리고, 같은 일측 입력축(1)에 고정된 제2열의 역1방향 클러치(9) 내륜은 정방향 회전할 때, 역1방향 클러치(9)의 특성상 내륜은 외륜에 대해 회전력을 전달시키지 못하고 공회전함으로 정방향으로 일측 입력축(1)과 함께 공회전만 한다.
또, 일측 입력축(1)이 정회전 할 때 타측 입력축(1')과는 분리되어 있어 타측 입력축(1')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는 정회전 상태임으로 제2열 및 제3열의 공동방향 전환 기어(11)들 역시 정방향 회전 상태이고, 이와 맞물린 제2열 및 제3열의 중앙기어(10)들은 역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나, 둘 다 역1방향 클러치(9)의 외륜들과 각각 고정되어 있어 특성상 외륜은 역방향 회전력을 내륜에 전달치 못하고 공회전하여 타측 입력축(1')은 움직이지 않는다.
또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가 정회전 상태에서는 제4열의 제2방향 전환기어(18)들은 역시 정회전 상태이고, 이와 맞물린 방향전환기어(17)들은 역회전 하며 이들은 제4열의 중앙기어(10)를 정방향으로 회전키나 정1방향 클러치(7)의 특성상 외륜이 정회전 시에는 내륜에 회전력을 전달시키지 못하고 정방향으로 공회전 되어 타측 입력축(1')에는 아무런 회전력도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측 입력축(1)이 정회전 할 때나 역회전 할 때나 타측 입력축(1')에는 어떠한 외력도 전달되어지지 않고 타측 입력축(1')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상에서 보듯이 일측 입력축(1)이 역회전 할 때나, 정회전 할 때나,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를 항상 정방향 출력이 되도록 하여 이에 치합되는 증속기어 장치의 제 1번 기어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발전장치 회전자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 5에서와 같이 타측 입력축(1')을 정회전할 때도 역방향 회전할 때도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는 정회전 하나 일측 입력축(1)은 움직이지 않음으로 좌.우의 입력축은 각각 독립적으로 따로 따로 작동시켜 동력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를 정회전 출력 시킬 수가 있으며, 또 두 축을 동시에 정회전 시킬 때나 역회전 시킬 때나, 한축씩만 정회전 시킬때나 역회전 시킬때나 교대로 두 축을 교번하여 회전시킬 때나 관계없이 좌.우 입력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풍력에 의한 일측 및 타측 입체형 블레이드(2,2')의 어떠한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구동 드라이브 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동력 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회전이 항상 일방향으로 발전기의 회전자를 회전시켜 풍향에 관계 없이 지속 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좌.우 입력축이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동시에 회전 입력되는 경우는 보다 높은 출력 구동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풍향에 관계없이 지속 발전을 가능케 하는 입체형 블레이드 및 구동드라이브 유닛은 좌,우 2개로 나뉘어진 입력 입력축의 어떠한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일방향으로 출력회전 가능케 한 것으로 풍향에 관계없이 많은 에너지를 간직한 바람을 효과적으로 발전 가능하게 하여, 고가의 특별한 기구가 필요 없이 간단한 유성기어 부품과 일방향 클러치의 조합만으로 실현가능하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부하용량에 따른 구동 드라이브 유닛의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며, 설치 장소와 여건에 따라 중.소형 보급형으로 제작하여 전력이 요구되는 도서지역 및 산간지역과 자가 발전이 요구되는 사용자에게 입지 여건 선정에 크게 고심하지 않고 좀 더 경제적인 비용으로 능률적이며 실용적인 발전시스템을 구성하여 연간 많은 양의 발전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순수 국산 에너지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2)

  1. 가설대(A)상면에 증속 기어장치(B)와 발전장치(C)와 축전장치(D) 및 전기장치(E)로 구성되는 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증속 기어장치(B) 내 구동 드라이브 유닛으로부터 좌.우 일측 및 타측 입력축(1,1')이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입력축 중단에 일측 및 타측 전자 클러치(3,3')가 축설 되어져 있어 한계 풍속 이상일 경우 일측 및 타측 입체형 블레이드(2,2')만을 자유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일측 및 타측 입체형 블레이드(2,2')의 단면을 '├'형태로 하여 사면이나 측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서도 회전 가능하고,
    상기 일측 입력축(1) 외주면에는 정1방향 클러치(7)와 역1방향 클러치(9)내륜을 압입 고정시키고 상기 정1방향 클러치 외륜에는 플랜지(8)를 압입 고정시킨 후 외주면이 치형 기어로 된 동력 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에 고정 부착시키고,
    상기 역1방향 클러치 외륜에는 중앙기어(10)를 압입한 후 공동 방향전환기어(11)와 치합시키고 상기 공동 방향전환기어를 다시 상기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내치차와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타측 입력축(1') 외주면에 정1방향 클러치(7)와 역1방향클러치(9)를 압입고정 후 상기 역1방향 클러치 외주에는 중앙기어(10)를 압입한 후 공동 방향전환기어(11)와 치합시키고, 공동 방향전환기어를 다시 상기 외주면이 치형 기어로 된 동력 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와 치합되게 하며, 또 정1방향 클러치(7)외주에는 중앙기어(10)를 압입한 후 방향전환기어(17)와 치합시키고 상기 방향전환기어를 다시 제2방향전환기어(18)와 치합되도록 하며, 제 2 방향전환기어를 다시 외주면이 치형 기어로 된 동력 전달요소를 갖는 링기어(4)의 내치차와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입력축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내부 지지베어링(5)을 삽입하고 증속기어장치(B)내 고정 부착되는 일측 고정 부라켓(6)이 있고, 내부 지지베어링(5)을 가지며, 외주면에 외부 지지베어링(13)을 가지고 고정핀(14) 및 제 2고정핀(15)을 삽입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는 멈춤판(16)이 있으며,
    상기 멈춤판을 고정 부착시키고 증속 기어장치 내 고정.부착되는 타측 고정부라켓(12)으로 구성되어 좌,우 2개의 입력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일측 및 타측 입체형 블레이드(2,2')의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2개의 축을 동시에 정,역 회전시키거나 교번하여 순차적 정,역 회전시키는 것에 관계없이 외주면이 치형 기어로 된 동력전달 요소를 갖는 링기어(4)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발전장치(C)의 회전자축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발전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2. 삭제
KR1020060015968A 2006-02-20 2006-02-20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KR10077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968A KR100777063B1 (ko) 2006-02-20 2006-02-20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968A KR100777063B1 (ko) 2006-02-20 2006-02-20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920A KR20070082920A (ko) 2007-08-23
KR100777063B1 true KR100777063B1 (ko) 2007-11-21

Family

ID=3861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968A KR100777063B1 (ko) 2006-02-20 2006-02-20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04B1 (ko) 2010-06-25 2011-06-09 허현강 풍력발전기
KR101453527B1 (ko) 2011-08-19 2014-10-23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조류발전용 블레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25B1 (ko) * 2009-03-11 2011-05-20 남태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1045511B1 (ko) * 2010-09-16 2011-07-01 이지현 이중 날개 풍력발전기의 동력전달용 기어구조
KR200464549Y1 (ko) * 2012-10-11 2013-01-08 나민형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2171967B1 (ko) * 2019-07-03 2020-10-30 이인섭 고효율 풍력발전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659Y1 (ko) 2000-11-23 2001-04-16 이정호 상반회전날개를 갖는 풍력발전기
KR200271513Y1 (ko) 2001-08-13 2002-04-10 사희명 더블허브 프로펠러형 풍력발전기
KR200279047Y1 (ko) 2002-03-11 2002-06-21 허현강 풍력발전장치
KR20030014776A (ko) * 2001-08-13 2003-02-20 사희명 더블허브 프로펠러형 풍력발전기
KR100418484B1 (ko) 2000-12-15 2004-02-11 허현강 풍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0420537B1 (ko) 2001-03-14 2004-03-02 백운철 풍력발전기의 회전력 결합장치
KR100469544B1 (ko) 2002-03-11 2005-02-02 허현강 풍력발전장치
KR200397063Y1 (ko) 2005-03-24 2005-09-29 허현강 풍력발전기
KR20050096094A (ko) * 2004-03-29 2005-10-05 원인호 이중풍차 날개로 된 풍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659Y1 (ko) 2000-11-23 2001-04-16 이정호 상반회전날개를 갖는 풍력발전기
KR100418484B1 (ko) 2000-12-15 2004-02-11 허현강 풍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0420537B1 (ko) 2001-03-14 2004-03-02 백운철 풍력발전기의 회전력 결합장치
KR200271513Y1 (ko) 2001-08-13 2002-04-10 사희명 더블허브 프로펠러형 풍력발전기
KR20030014776A (ko) * 2001-08-13 2003-02-20 사희명 더블허브 프로펠러형 풍력발전기
KR200279047Y1 (ko) 2002-03-11 2002-06-21 허현강 풍력발전장치
KR100469544B1 (ko) 2002-03-11 2005-02-02 허현강 풍력발전장치
KR20050096094A (ko) * 2004-03-29 2005-10-05 원인호 이중풍차 날개로 된 풍력발전장치
KR200397063Y1 (ko) 2005-03-24 2005-09-29 허현강 풍력발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04B1 (ko) 2010-06-25 2011-06-09 허현강 풍력발전기
KR101453527B1 (ko) 2011-08-19 2014-10-23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조류발전용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920A (ko)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063B1 (ko) 입체형 블레이드와 구동 유닛을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
KR101205329B1 (ko) 삼중 로터 통합 구동 풍력 발전기 장치
EP2391825B1 (en) Drive device for a wind turbine
US6731017B2 (en) Distributed powertrain that increases electric power generator density
EP2119940A4 (en) LOWERING GEARBOX AND PHOTOVOLTAIC SUNBURNERING EQUIPMENT WITH REPLACEMENT
EP1985850B1 (en) Planetary carrier assembly for wind generating apparatus, transmission for wind generating appapatus and wind generating apparatus
KR960001479A (ko) 복합 입력형 풍력장치
CN101449083A (zh) 用于风轮机的齿轮系统
RU2582432C2 (ru) Силовой агрегат, содержащий трехскоростную трансмиссию
CA2933999A1 (en) Planetary gear, wind generator comprising a planetary gear and use of a planetary gear
KR101710916B1 (ko) 회동형 폴 피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그네틱 기어
JP6706510B2 (ja) 発電装置を駆動する駆動装置
WO2010082011A8 (en) River / tidal energy converter
KR100777029B1 (ko) 물결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KR100768786B1 (ko) 지속발전을 가능케 하는 구동드라이브유닛에의한 해수력 발전시스템
JP2007154837A (ja) 風車用駆動装置
JP5180871B2 (ja) 多段式遊星歯車変速装置
US20130294916A1 (en) Inverted Tooth Silent Drive Chain for Wind Turbine Powertrain Applications
KR100768787B1 (ko) 지속 발전을 가능케 하는 구동드라이브유닛에 의한 파력 발전시스템형
KR100623082B1 (ko)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KR20140029792A (ko) 기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KR102129243B1 (ko) 터빈단의 수량에 따라 증가하는 속도 증가형 발전기구
KR200402367Y1 (ko) 감속장치
KR20110077808A (ko) 외부하우징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JPH04292577A (ja) 水力原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