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253A -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253A
KR20130130253A KR1020120052668A KR20120052668A KR20130130253A KR 20130130253 A KR20130130253 A KR 20130130253A KR 1020120052668 A KR1020120052668 A KR 1020120052668A KR 20120052668 A KR20120052668 A KR 20120052668A KR 20130130253 A KR20130130253 A KR 20130130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lactobacillus
acid bacteria
group
sn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아
전정례
배순화
Original Assignee
최영아
전정례
배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아, 전정례, 배순화 filed Critical 최영아
Priority to KR102012005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0253A/ko
Publication of KR2013013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7Thicken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4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characterised by using a Lactobacillus sp. other than Lactobacillus Bulgaricus, including Bificlobacterium s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8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using specific L. bulgaricus or S. thermophilus microorganisms; using entrapped or encapsulated yoghurt bacteria;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L. bulgaricus or S. thermophilus cultures; Fermentation only with L. bulgaricus or only with S. therm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13Acid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21Streptococcus, lactococcus
    • A23V2400/249Therm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7Bifid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을 첨가하여 유산균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소화기능 향상과 변비 완화 등 장기능을 증진시키면서도 체내에 미치는 독성은 나타나지 않아 건강기능성 식품 및 힐링용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눈꽃동충하초 추출물을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를 얻는 단계; (b) 유산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c) 탈지분유에 상기 (b)단계의 유산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결과물에 상기 (a)단계의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actic acid fermented Paecilomyces japonica improving intestinal motility}
본 발명은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을 첨가하여 유산균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소화기능 향상과 변비 완화 등 장기능을 증진시키면서도 체내에 미치는 독성은 나타나지 않아, 건강기능성 식품 및 힐링용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경제성장과 사회문화의 발달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웰빙이 대두됨에 따라 식생활 패턴에 있어서도 고급화, 다양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발효유(lactic fermented milk)는 우유, 산양유, 마유 등 포유동물의 젖을 유산균이나 효모를 starter로 이용하여 발효시킨 제품을 말한다. 유산균은 인체 외부로부터 병원성균 또는 설사를 일으키는 세균의 감염을 예방하여 장내 미생물의 균형 유지, 발암 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면역력 증강 등의 기능이 기대되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발효유뿐만 아니라 다른 유산균 식품, 의약품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90년대부터는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식음료의 소비패턴이 향상되어 발효유 제품의 고급화, 건강 지향적 선호 경향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 결과, 장 기능성, 위 기능성, 간 기능성 발효유 등 기능성이 업그레이드된 발효유가 현제 국내 유업계의 주요 트렌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성 식품 소재를 발효유에 첨가함으로써 기존 발효유 자체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리활성이 강화된 발효유를 제조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변비 및 면역기능 부진을 나타내는 노년층이나 항암제 및 진통제 투여로 소화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항암환자의 힐링용 기능성 식품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소화기능 향상과 변비 완화 등 장기능을 증진시키면서도 체내에 미치는 독성은 나타나지 않아 건강기능성 식품 및 힐링용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은 (a) 눈꽃동충하초 추출물을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를 얻는 단계; (b) 유산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c) 탈지분유에 상기 (b)단계의 유산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결과물에 상기 (a)단계의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및 균사체를 증류수에 넣고 중탕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의 유산균주는 Lactobacillus acidophilus(LA-5), Streptococcus thermophilus(TH-4), Bifidobacterium bifidum(BB-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산균 혼합 균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탈지분유를 homogenizer로 균질화시키고 가열처리하여 살균한 후 방냉하고 상기 유산균 혼합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을 첨가하여 유산균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소화기능 향상과 변비 완화 등 장기능을 증진시키면서도 체내에 미치는 독성은 나타나지 않아 건강기능성 식품 및 힐링용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을 섭취한 맹장의 조직학적 관찰결과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을 섭취한 맹장의 조직학적 관찰결과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은 분말화 단계, 배양 단계, 발효 단계 및 분말첨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말화 단계는 눈꽃동충하초 추출물을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를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분말화 단계에서는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및 균사체를 증류수에 넣고 중탕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배양 단계는 유산균주를 배양하는 단계이다.
유산균주로는 Lactobacillus acidophilus(LA-5), Streptococcus thermophilus(TH-4), Bifidobacterium bifidum(BB-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산균 혼합 균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산균주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효 단계는 탈지분유에 배양된 유산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일례로, 탈지분유를 homogenizer로 균질화시키고 가열처리하여 살균한 후 방냉하고, 유산균 혼합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킬 수 있다.
분말첨가 단계는 발효 단계의 결과물에 분말화 단계에서 얻은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이다.
천식 및 기관지 관련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연구, 입증되어 온 눈꽃동충하초를 이용한 유산균제품의 개발은 대장내 생존 유산균수의 저하로 인한 변비 및 면역기능 부진을 나타내는 노년층이나 항암제 및 진통제 투여로 소화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항암환자의 힐링용 기능성식품으로서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눈꽃동충하초의 장기능 증진을 위한 일환으로 자실체와 균사체를 각각 첨가하여 유산균제품을 제조하고, 장기능 증진효과를 동물실험에서 소화기능 및 장내 유산균 검사 및 변비완화효과를 평가함으로써 건강기능성 식품 및 힐링용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실험 재료
눈꽃동충하초
실험에 사용한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은 영천양잠영농협동조합 에서 구입하여 -40℃ deep freezer (MDF U-442, Sanyo, Japan)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균사체 및 자실체 추출물은 각 100g에 10배의 증류수를 넣고 80℃에서 1시간 중탕시킨 다음 원심분리(5,000rpm, 10min)하여 얻은 상등액을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로 제조한 것을 구입하였다. 발효유 제조에 사용한 탈지분유는 서울우유협동조합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사용 유산균주 및 배지
유산균주는 Christian Hansen Co. (Denmark)에서 구입한 Lactobacillus acidophilus(LA-5), Streptococcus thermophilus(TH-4), Bifidobacterium bifidum(BB-12)을 각각 Lactobacilli MRS broth (Difco, USA)에 접종(0.5%, w/v)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starter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실험동물은 생후 4주령 된 평균체중 120~140g의 수컷 흰쥐(Sprague-Dawley) 54마리를 Orientbio Inc. (Seongnam,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stainless steel- bottomed cage에 한 마리씩 분리하여 일주일간 고형사료(5L79 rat & mouse 18% chow, PMI nutrition international, USA)로 환경에 적응시킨 뒤 실험하였다. 사육조건은 습도 50~60%, 온도 18~24℃, 명암 12시간(8:00~20:00)으로 조절하였고 물과 조제한 실험 식이는 제한 없이 자유 공급하였다.
2. 실험방법
눈꽃동충하초 유산균 제품의 제조
발효유는 탈지분유를 첨가하여 고형분 함량 14%로 조절하고 homogenizer (AM-11, Nihonseiki Kaisha, Japan)로 2분간 균질화시킨 후, 65℃에서 30분간 가열처리하여 살균하였다. 살균된 시료는 37℃로 방냉한 후 유산균 혼합 균주(Lac. acidophilus + Str. thermophilus + Bif. bifidum, 1:1:1, v/v)를 3%(v/v)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발효시켜 제조하였다(도 1 참조). 눈꽃동충하초 첨가 발효유는 자실체, 균사체 추출 분말을 각각 1%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표 1 참조).
Figure pat00001
표 1 : Paecilomyces japonica 가 첨가된 유산균 발효유의 성분
동물실험
눈꽃동충하초 첨가 발효유가 흰쥐의 장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2종의 동물실험, 즉 장내 유산균수 및 장통과시간 측정(1)과, 변비완화효과(2) 실험을 행하였다.
(1) 동물실험 1 (장 내 유산균수 측정 및 장통과 시간 측정)
눈꽃동충하초 첨가 발효유가 흰쥐의 장 내 유산균수 및 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눈꽃동충하초 자실체, 균사체 추출 분말을 각각 1%를 첨가하여 만든 발효유를 4개군 즉, 고형사료 섭취군(Control), skim milk 발효유 섭취군(YG), 1.0% 자실체 첨가 발효유 섭취군(YG/FB)군, 1% 균사체 첨가 발효유 섭취군(YG/M)으로 각각 나누어 각 군당 6마리씩 구성하였으며, 분쇄한 분말 상태의 고형사료에 물 또는 각각의 발효유를 10%씩 첨가하여 제공하였다(표 2 참조). Control의 식이는 고형사료에 발효유 대신 물을 10% 첨가하되 발효유 제조 시 첨가된 고형분 양 만큼은 고형사료를 더 첨가해 가능한 덩어리지지 않게 골고루 잘 섞어서 제공하였다. 발효유 섭취군들은 고형사료에 각각의 발효유를 10%씩 첨가한 뒤 잘 섞어서 제공하였으며 발효유는 매주 1회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2
1)분말 탈지우유로만 만들어짐 : 탈지우유로 만든 유산균발효유
2)분말 탈지우유와 1.0% 자실체로 만들어짐 : 1% 자실체로 만든 유산균발효유
3)분말 탈지우유와 1.0% 균사체로 만들어짐 : 1% 균사체로 만든 유산균발효유
표 2 : 동물 연구용 실험군
식이효율(FER, %)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pat00003
①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
실험기간 동안 체중은 매주 1회 측정하였고, 식이 섭취량은 매주 3회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여 체중 증가와 식이 섭취량으로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을 계산하였다.
② 분변 및 맹장 내용물의 유산균수
분변 내 유산균수는 실험식이 섭취 하루 전과 섭취 3주째 각 실험동물의 분변 1g씩을 취해 측정하였다. 채취한 분변은 10배의 멸균 증류수에 넣고 잘 균질화시킨 다음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MF-300, Hanil, Korea)하여 얻은 상등액을 다시 적당한 농도로 희석해 Lactobacilli MRS broth agar (Difco, USA)에 도말한 뒤 37℃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동물 희생 후 맹장 내용물 0.5g을 취해 변에서 측정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맹장 내용물의 유산균수와 pH를 측정하였다.
③ 배변량
눈꽃동충하초 첨가 발효유가 흰쥐의 배변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식이 섭취 전과 섭취 3주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기 전 24시간 동안 배설되는 분변을 각각 수집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직장 내 변 개수 및 장통과 시간
실험식이 섭취 3주째에 12시간 절식시킨 후, 각 군의 식이 2g에 10% brilliant blue 용액을 1 ㎖ 첨가하여 모두 섭취하게 한 다음 정상식이를 동일한 시간에 넣어주었다. Brilliant blue 첨가식이를 급여하기 시작한 시간과 그 후 푸른색 변이 처음 나타나기 시작한 시간 간격을 기록하여 장 통과 시간으로 하였다. 또한 실험동물 희생 후 맹장에서 직장까지를 적출하여 대장관 내에 존재하는 변 덩어리의 숫자를 관찰하였다.
⑤ 장 내 유산균수 변화
눈꽃동충하초 첨가 발효유가 흰쥐의 성장 및 장 내 유산균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효유가 포함된 실험식이를 3주 동안 급여하여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 그리고 분변 및 맹장 내용물의 유산균수를 측정하였다.
(2) 동물실험 2 (변비완화 효능 측정)
Figure pat00004
1)분말 탈지우유로만 만들어짐 : 탈지우유로 만든 유산균발효유
2)분말 탈지우유와 1.0% 자실체로 만들어짐 : 1% 자실체로 만든 유산균발효유
3)분말 탈지우유와 1.0% 균사체로 만들어짐 : 1% 균사체로 만든 유산균발효유
표 3 : 변비 실험을 위한 실험군
변비 완화 효과 측정은 30마리의 흰쥐를 5개 군으로 나누어 고형사료 및 각각의 발효유를 동물실험1과 동일한 조건으로 4주간 섭취시키고 생리식염수(0.9% sodium chloride)에 용해시킨 Loperamide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체중 Kg당 1.5 mg씩 하루에 2회, 7주간 투여하여 변비를 유도하고(표 3 참조), 마지막 날 금식 후 희생하여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 정상군은 loperamide를 제외한 생리식염수만 동일한 양으로 1주간 투여하였다. 조직검사는 방혈 후 맹장을 4㎛의 크기로 절편하여 10%포르말린에 고정 후 탈파라핀화하고, 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을 하였다. 조직검사는 2명의 병리전문의에게 각각 독립적으로 의뢰한 후 판독하였으며, 눈꽃동충하초 균사체 및 자실체 요구르트의 체내 미치는 독성여부는 신선한 간장을 절취하여 실시한 조직검사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3. 결과 및 고찰
실험기간 동안 각 실험군의 체중 변화 및 식이섭취량은 표 4와 같다. 실험식이를 섭취하기 전 각 군의 평균체중은 약 135g으로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체중증가량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FB/YG군과 M/YG군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식이 섭취량 역시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control군의 평균 섭취량이 29.51로 가장 높았고, YG군, M/YG군, FB/YG군순으로 낮아졌으며, 식이효율 또한 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Figure pat00005
표 4 : Paecilomyces japonica이 첨가된 발효유를 3주동안 공급한 후에 쥐의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F.E.R.)의 변화
실험식이 섭취 하루 전과 섭취 3주 후 분변의 유산균 수를 각각 측정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분변 내 유산균수는 실험동물의 개체차에 의해서 실험식이를 제공하기 전부터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FB/YG군의 유산균수가 3.16(106CFU/㎖)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control군 2.88(106CFU/㎖), YG군2.22(106CFU/㎖), M/YG군 2.06(106CFU/㎖) 순으로 낮아졌다. 3주간 실험식이 섭취 결과 각 군의 유산균수는 섭취 전보다 평균적으로 1.5~2배 정도 증가했으며 그 증가량은 FB/YG군 1.78(106CFU/㎖), M/YG군 2.01(106CFU/㎖)으로 control군의 1.19(106CFU/㎖)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실체 첨가 발효유 섭취군보다 균사체 첨가 발효유 섭취군에서 유산균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Figure pat00006
표 5 : Paecilomyces japonica 첨가된 발효유를 공급한 후에 쥐의 분변에서 생균수의 변화
분변 내 유산균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맹장 내용물의 유산균수 및 pH를 측정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3주 동안 실험식이를 섭취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고형사료만 섭취한 control군의 pH가 가장 높았고 M/YG군, FB/YG군, YG군순으로 낮은 pH값을 나타냈다. 맹장 내용물의 유산균수는 FB/YG군에서 8.59(105CFU/㎖)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M/YG군 7.85(105CFU/㎖), control군 7.78(105 CFU/㎖), YG군 7.26(105CFU/㎖) 순으로 낮아져 분변 내 유산균수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맹장 내용물의 유산균수 또한 자실체 및 균사체 첨가 발효유 섭취군에서 좀 더 높은 유산균수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표 6 : Paecilomyces japonica이 첨가된 발효유를 공급한 후에 쥐의 맹장에서 pH 변화와 생균수 변화
배변량 및 장통과 시간에 미치는 영향
실험식이 섭취 전과 섭취 3주 후 배설되는 분변을 각각 수집하여 무게를 측정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실험식이 섭취 전 각 군이 하루 동안 배설한 분변량은 7.54~7.79g으로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실험식이 섭취 3주 후 변 증가량은 control군과 YG군에 비해서 FB/YG군과 M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식이 섭취 후 M/YG군의 분변량이 10.16g으로 control군 9.23g과 YG군 9.57g보다 유의적으로 많았고 그 다음으로 FB/YG군이 9.90g로 높게 나타나 균사체 0.5% 첨가 발효유 섭취 시 배변활동이 가장 원활하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8
표 7 : Paecilomyces japonica이 첨가된 발효유를 공급한 후에 쥐의 분변량 변화
장 통과 시간 측정 결과(표 8) control군의 평균 장 통과 시간이 유의적으로 가장 긴 591.67분으로 나타났으며 발효유 섭취군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FM 535.67분, M/YG군 534.83분, FB/YG군 530.67분으로 빨라져 자실체 1% 첨가 발효유 섭취군의 장 통과 시간이 가장 빨랐다.
직장 내 정체되어 있는 변 개수 또한 장 통과 시간 측정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 control군이 평균 3.83개로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YG군 2.83개, M/YG군 2.67개, FB군 2.50개 순으로 낮아져 자실체 1% 첨가 발효유 섭취군의 직장 내 정체된 변의 개수가 가장 적었다.
Figure pat00009
표 8 : Paecilomyces japonica이 첨가된 발효유를 공급한 후에 쥐의 직장 내 변 개수(fecal pellets) 및 장통과 시간의 변화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
변비는 일상에서 흔히 나타나는 변통이 원활하지 못한 증세를 일컫으며, 미국성인의 8.0(남자) 및 20.8(여자)가 변비로 고통을 받고있으며, 일본에서는 9.1 및 23.5%의 성인남녀가 각각 고통을 받고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특허는 눈꽃동충하초 균사체 및 자실체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유가 변비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병리조직학적인 검증을 통해 관찰하였다. 4주간의 주어진 식이를 섭취하고 변비유도제인 loperamide (LPM)를 1주간 투여 후 절취한 맹장의 조직학적 관찰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M 투여군에서는 crypt의 단축과 손실 및 goblet cell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YG-LPM군에서는 crypt의 일부에서 단축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염증세포 중 림프구가 관찰되었다. 한편, 균사체 발효유 및 자실체 발효유를 각각 4주간 투여후 LPM을 투여한 군들[도 1 D(FM/YG-LPM group), 도 1 E(M/YG-LPM 군)]. crypt의 단축현상이 사라졌으며 goblet cell 수가 정상군[도 1(A)]에 가깝게 나타났다. 도 1(E)에 나타난 자실체 요구르트 투여군에서는 LPM의 투여로 인한 변비유도에도 불구하고 crypt의 재생 및 goblet cell의 복원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도 1에서 A~E는 다음과 같다.
Histological findings in the cecum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 Control group. Normal colonic mucosa is present (H&E stain, 200).
(B) LPM group. The shortening and loss of crypt are present. Goblet cells are depleted (H&E stain, 200).
(C) YG-LPM group. Some crypt shortening and inflammatory lymphocytes are observed (H&E stain, 200).
(D) FM/YG-LPM group. (H&E stain, 200).
(E) M/YG-LPM group. crypt의 단축 및 배상세포(goblet cell)의 감소가 관찰된다. crypt의 단축 및 손실이 감소된다.
Figure pat00010
표 9는 중등도의 crypt 단축과 goblet cell의 고갈현상 및 경도의 crypt의 소실, 중성구침윤, 림프구침윤, 부종현상이 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YG 투여군에서는 경도의 crypt 단축현상 및 림프구침윤이 관찰되었고, 자실체발효유를 섭취한 FM/YG-LPM군에서 경도의 crpypt의 단축 및 goblet cell의 고갈현상이, 균사체 M/YG-LPM군에서 경도의 림프구침윤현상만이 각각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말기암환자의 통증완화 및 중환자의 수술치료에 많이 적용되는 진통제인 모르핀의 과다한 투여는 이들 환자에게 고도의 변비증세가 부가적으로 유발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삼투성 완화제 및 부피형성 완화제 등의 변비완화 약물을 처방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해 볼 때 눈꽃동충하초 균사체 및 자실체 발효유의 섭취는 모르핀 투여 암환자에게서 발생되는 고도 변비증세의 완화, 장점막의 재생, 장염증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a) 눈꽃동충하초 추출물을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를 얻는 단계;
    (b) 유산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c) 탈지분유에 상기 (b)단계의 유산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결과물에 상기 (a)단계의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및 균사체를 증류수에 넣고 중탕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로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유산균주는 Lactobacillus acidophilus(LA-5), Streptococcus thermophilus(TH-4), Bifidobacterium bifidum(BB-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산균 혼합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탈지분유를 homogenizer로 균질화시키고 가열처리하여 살균한 후 방냉하고 상기 유산균 혼합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KR1020120052668A 2012-05-17 2012-05-17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KR20130130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68A KR20130130253A (ko) 2012-05-17 2012-05-17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68A KR20130130253A (ko) 2012-05-17 2012-05-17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53A true KR20130130253A (ko) 2013-12-02

Family

ID=4997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668A KR20130130253A (ko) 2012-05-17 2012-05-17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02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8781A (zh) * 2014-05-05 2014-07-30 李忠堂 一种改善肠功能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35188A (ko) * 2018-01-17 2018-04-05 (주) 비에스티 천연 보존제 및 선도 유지제 기능을 가지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그에 의한 동충하초 추출물 및 그에 의한 천연복합물
KR101908862B1 (ko) * 2017-10-26 2018-10-16 (주)세포활성연구소 서목태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간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20220103217A (ko) * 2021-01-14 2022-07-2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함초 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 건강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8781A (zh) * 2014-05-05 2014-07-30 李忠堂 一种改善肠功能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908862B1 (ko) * 2017-10-26 2018-10-16 (주)세포활성연구소 서목태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간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20180035188A (ko) * 2018-01-17 2018-04-05 (주) 비에스티 천연 보존제 및 선도 유지제 기능을 가지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그에 의한 동충하초 추출물 및 그에 의한 천연복합물
KR20220103217A (ko) * 2021-01-14 2022-07-2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함초 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 건강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04189B (zh) 一种复合益生乳酸菌粉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4455333B2 (ja) プロバイオティック細菌:Lactobacillusfermentum
CN105146614B (zh) 一种功能性钙果酵素、酵素饮料及其生产方法
US9649347B2 (en) Protective effects and application of a Lactobacillus rhamnosus on the alleviation of chronic alcoholic liver injury
CN102089422B (zh) 新的益生长双歧杆菌
US20140363501A1 (en) The protective effects and application of a Lactobacillus rhamnosus on the alleviation of chronic alcoholic liver injury
CN109430666A (zh) 一种益生菌冻干粉固体饮料
TWI463986B (zh) 胚芽乳酸桿菌cmu995菌株之新用途
JP5498698B2 (ja) シロキクラゲ雑多糖またはその抽出物の新用途
CN101926831A (zh) 凝结芽胞杆菌在制备防治便臭和便臭中毒综合征组合物制剂中的应用
Kolida et al. Gastrointestinal microflora: probiotics
JP2023544655A (ja) 排便を促進す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CN114921363A (zh) 一种抑制脂肪积累的复合益生菌及其应用
Li et al. Synbiotic yogurt containing konjac mannan oligosaccharides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BB12 alleviates constipation in mice by modulating the stem cell factor (SCF)/c-Kit pathway and gut microbiota
CN110917174A (zh) 调节女性阴道菌群平衡的口服益生菌胶囊剂及其制备方法
CN103446552A (zh) 用于预防和治疗消化系统疾病的发酵组合物
KR20130130253A (ko) 장기능증진 눈꽃동충하초 유산균발효제품의 제조방법
JP2002335907A (ja) キノコ乳酸発酵液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キノコ乳酸発酵液(amethodforpreparingalacticacidfermentedsolutionofmushroomandlacticacidfermentedsolutionofmushroomproducedthereby)
JP2005013211A (ja) 乳酸菌含有食品組成物
CN111528486A (zh) 一种含乳铁蛋白的组合物
CN114921383B (zh) 一种具有清除胆固醇功能的益生菌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995443A (zh) 一种婴幼儿益肠营养米粉及其制备方法
CN112779196B (zh) 一种用于降低母猪便秘发病率的复合益生菌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09616B1 (ko) 항비만효과를 가지는 케피어 유래 프로바이오틱 균주
CN103142657A (zh) 脆弱拟杆菌在制备防治高胆固醇血症组合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