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691A -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691A
KR20130129691A KR1020120053745A KR20120053745A KR20130129691A KR 20130129691 A KR20130129691 A KR 20130129691A KR 1020120053745 A KR1020120053745 A KR 1020120053745A KR 20120053745 A KR20120053745 A KR 20120053745A KR 20130129691 A KR20130129691 A KR 20130129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raking
railway vehicle
coupl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남진양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2005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9691A/ko
Publication of KR2013012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esting brakes
    • G01L5/284Measuring braking-time or braking d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 중인 철도차량의 현차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동 작용 후 실제 제동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인 공주시간을 측정하여 고속 운행되는 화차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차륜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제동통의 작동에 따른 압부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동통의 성능을 확보 및 유지하여 불량차량으로 인한 장기체류차량의 해소로 민원발생 억제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Virtual pressure measuring jig of brake system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 중인 철도차량의 현차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동 작용 후 실제 제동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인 공주시간을 측정하여 고속 운행되는 화차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차륜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제동통의 작동에 따른 압부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동통의 성능을 확보 및 유지하여 불량차량으로 인한 장기체류차량의 해소로 민원발생 억제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도차량 화차의 제동장치는 공기의 변화량에 따라 작동되는 제동장치로서, 운행되지 않고 정차되어 있는 차량을 유지 및 보수할 때 제동통의 체적을 계산한 2개의 압력용기를 배관으로 연결하여 공차(화물을 싣지 않은 차량)시에는 1개의 압력용기를 사용하고 영차(화물을 실은 차량)시에는 2개의 압력용기를 연결하여 제동통에 공급하여 압력을 확인하고 있다.
즉, 종래의 시험기는 도 1과 같이 크기가 다른 2개의 원통형 공기통인 영차 공기통(10)과 공차 공기통(20)을 설치하여 현차의 제동통 역할을 하도록 하고 공차와 영차시 제동통의 피스톤 로드의 위치변화에 따라 서로 연결된 배관에 설치된 컷아웃 코크(cut-out coke,30)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제동통 체적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최초 공기압축기(9㎏/㎠)를 구동하여 감압밸브를 거친 후 시험기 동작 압력(5㎏/㎠)을 형성한 뒤 영차일 때 컷아웃 코크(30)를 개방하여 2개의 공기통(10,20)에 압력을 넣어 영차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하여 제어 밸브(50)를 개폐하여 제어변(40)에서 공급되는 제동압력을 측정하고, 공차일 때에는 컷아웃 코크(30)를 폐쇄하여 1개의 공차 공기통(20)에 압력을 넣어 공차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하여 제어 밸브(50)를 개폐하여 제어변(40)에서 공급되는 압력을 측정한다.
그런데 상기 시험기에서는 용적의 크기가 다른 공기통을 배관으로 연결하여 영차, 공차의 압력을 컷아웃 코크로 변화시켜 줌으로 제동압력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제동장치가 동작 후에 실제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시간까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공주시간의 측정이 불가하고 제동 피스톤이 제동력을 발휘하는 압부력의 측정이 불가함으로써 실제의 운행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선로와 차량의 지속적인 개선으로 인해 화물차량이 고속운행 되고 있어 선로 최고속도가 90㎞/h~120㎞/h 까지 향상됨에 따라 공주시간의 확보가 안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제동통의 압부력 및 공주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기의 제작 및 활용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KR 20-0229917)인 "화차 제동창치용 막판식 제어밸브의 시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KR 20-0229917 Y1 (2001.04.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제동통의 제동 피스톤이 공차 또는 영차 조건에서 실제로 제동력을 발휘하는 압부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동장치가 동작 후에 실제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시간까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공주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는, 상면 일측에 제동통(110)이 고정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며, 폭 방향 측면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내측에 가이드 레일(220)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200);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내측에 결합되되 외측에 돌출 리브(340)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 리브(340)가 상기 가이드 레일(220)의 하측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에 대응되는 고정홀(311)이 형성되어 고정핀(2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이동 브라켓(300);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 또는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부(400);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1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로드셀(500); 상기 제동통(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제동관(600); 및 상기 제동관(60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6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400)는 일측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회전 지지판(330)에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420); 상기 이송 스크류(420)의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430); 및 상기 이송 스크류(42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 또는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4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공차 관통홀(211) 및 영차 관통홀(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111) 단부에는 돌출핀(11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브라켓(300)에는 상기 돌출핀(112)에 대응되는 견인 고리(4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관(600)에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620) 및 상기 압력센서(620)가 제어변 시험기의 공주시간 표시부(700)와 연동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주시간 표시부(700)는 상기 제어밸브(630)가 개방되는 시간부터 상기 압력센서(620)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설정된 공급 압력의 70% 도달시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는, 철도차량의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제동통의 제동 피스톤이 공차 또는 영차 조건에서 실제로 제동력을 발휘하는 압부력을 측정할 수 있어 운행 중 과도한 제동으로 발생되는 활주 및 부족한 제동압력에 따른 피스톤 압부력 부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동장치가 동작 후에 실제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시간까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공주시간을 측정할 수 있어 고속 운행되는 화차의 안정성 확보 및 철도차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동통 압력측정용 시험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브라켓 및 위치 조절부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브라켓 및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를 이용한 영차 및 공차시 이동 브라켓의 고정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를 나타낸 정면도, 정면 단면도 및 이동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1000)는, 상면 일측에 제동통(110)이 고정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며, 폭 방향 측면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내측에 가이드 레일(220)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200);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내측에 결합되되 외측에 돌출 리브(340)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 리브(340)가 상기 가이드 레일(220)의 하측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에 대응되는 고정홀(311)이 형성되어 고정핀(2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이동 브라켓(300);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 또는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부(400);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로드셀(500); 상기 제동통(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제동관(600); 및 상기 제동관(60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6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베이스(100)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ㄷ형강, 각관, 각봉 또는 두꺼운 평판 등을 이용하여 용접 또는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일측에는 철도차량의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제동통(11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동통(110)은 도 2와 같이 하측에 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동통(110)은 피스톤 로드(111)가 좌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동통(110)은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 로드(111)가 밀려 나오고 압력이 제거되면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 로드(111)가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타측에는 고정 브라켓(20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2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폭 방향 양측에 수직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평판의 하측에는 수평평판으로 결합되어 수직평판의 폭 방향 거리가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4와 같이 측면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200)은 상기 수직평판의 내측면에 수평평판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가이드 레일(22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22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평판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 브라켓(300)은 상기 고정 브라켓(200)과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측면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한 쌍의 측판(310)이 연결판(320)과 결합되며 측판(310)의 하측에 수평 연결판(321)이 결합되고 우측에 수직 연결판(322)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브라켓(300)은 폭 방향 양측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판(310) 외측에 돌출 리브(340)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 리브(340)는 상기 수평 연결판(321)의 폭 방향 양측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가이드 레일(220) 하측 공간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돌출 리브(340)는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가이드 레일(220)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고정되되, 길이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측판(310)에는 도 5와 같이 고정홀(3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311)은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고정핀(2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핀(230)은 고정 브라켓(200)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홀(210)과 고정홀(311)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길이 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 또는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조절부(400)를 통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고정핀(230)을 이용하여 위치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부(400)는 일측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회전 지지판(330)에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420); 상기 이송 스크류(420)의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430); 및 상기 이송 스크류(42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 또는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4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과 같이 핸들(430)을 돌려 이송 스크류(420)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브라켓(300)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일측에는 제동통(110) 피스톤 로드(1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로드셀(500)이 결합된다. 이때,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수직 연결판(322)의 우측면 상부에 로드셀 고정부(450)를 형성하여 로드셀(50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통(110)의 일측에는 제동관(600)이 연결되고 상기 제동관(600)에는 제어밸브(630)가 연결되어, 상기 제동관(600)을 통해 제동통(110)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되며 상기 제어밸브(63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및 공급량이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를 이용한 제동통의 압부력 측정을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조절부(400)를 이용하여 이동 브라켓(300)의 위치를 조절하고 고정핀(230)으로 이동 브라켓(300)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어밸브(630)를 개방하면 제동관(600)을 따라 미리 설정된 압력의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제동통(110) 내부로 유입되면 피스톤 로드(111)가 좌측으로 밀려 나와 로드셀(500)에 닿게 되고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셀(500)에는 압부력 표시부(510)가 연결되어 로드셀(500)에서 측정된 압부력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동관(600)에는 압력계(610)가 연결되어 상기 제동통(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를 이용하면 특정한 압력에서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가 밀어주는 힘인 압부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공차 관통홀(211) 및 영차 관통홀(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과 같이 고정 브라켓(200)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관통홀(211,212)이 형성되어, 이동 브라켓(300)을 우측으로 이동하여 공차 관통홀(211)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좌측으로 이동하여 영차 관통홀(212)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제 철도차량(화차)에서 제동시 공차(빈차) 또는 영차(화물을 실은차)일 때 제동통(1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각각 약1.8kgf/cm2와 3.6kgf/cm2이며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111)가 밀려 나오는 길이가 다르므로, 이에 따라 제동통(110)의 압부력 측정을 위한 시험시 로드셀(500)이 결합된 이동 브라켓(300)의 위치를 2가지로 조절하고 상기 각각의 압력에 해당하는 공기를 공급하여 공차 및 영차시 압부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6 및 도 7과 같이 공차 또는 영차인 경우에 대해 시험하기위해 공급 압력을 달리하고, 이동 브라켓(300)의 위치를 맞추어 제동통(110)의 압부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제동통의 제동 피스톤이 공차 또는 영차 조건에서 실제로 제동력을 발휘하는 압부력을 측정할 수 있어, 운행 중 과도한 제동으로 발생되는 활주 및 부족한 제동압력에 따른 피스톤 압부력 부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111) 단부에는 돌출핀(11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브라켓(300)에는 상기 돌출핀(112)에 대응되는 견인 고리(46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2 및 도 6과 같이 이동 브라켓(300)의 로드셀 고정부(450)에 상기 견인 고리(460)가 결합되되 일측이 힌지로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타측에 후크가 형성되어 제동통(110) 피스톤 로드(111)에 형성된 돌출핀(112)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견인 고리(460)는 철도차량이 비상제동을 할 경우에 대한 시험을 하기위한 것이다.
시험 방법은 조절부(400)의 이송 스크류(420)를 회전시켜 이동 브라켓(300)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로드셀(500)과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111)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견인 고리(460)를 피스톤 로드(111)의 돌출핀(112)에 걸어 결합한 후 이송 스크류(420)를 반대로 회전시켜 이동 브라켓(300)을 좌측으로 끌어당겨 고정핀(230)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공차 또는 영차 시험시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빠르게 주입하며, 실제 비상제동시의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압부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견인 고리(460)를 걸고 피스톤 로드(111)를 끌어당기는 것은, 제동통(110)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111)를 좌측으로 당기기 어렵기 때문이며, 상기와 같이 견인 고리(460)와 이송 스크류(420)를 이용하면 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로드셀(500)과 피스톤 로드(111)의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것은, 제동통(110)에 많은 양의 공기를 빠르게 주입하므로 피스톤 로드(111)가 빠르게 작동하여 로드셀(500)에 충격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압부력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동관(600)에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620) 및 상기 압력센서(620)가 제어변 시험기의 공주시간 표시부(700)와 연동 작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공주시간 표시부(700)는 상기 제어밸브(630)가 개방되는 시간부터 상기 압력센서(620)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설정된 공급 압력의 70%에 도달했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어밸브(630)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111)가 이동하여 압부력이 작용함으로써 실제로 제동이 일어나기까지의 시간인 공주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며, 실제의 공주시간은 제동통(110)에 미리 설정된 압축공기가 공급되기 시작하여 설정압력의 약70%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여기에서 상기 공주시간 표시부(700)는 제어밸브(630)와 압력센서(620)로부터 신호를 받아 공주시간을 표시하며, 제어밸브(630)가 개방될 때 신호를 받아 공주시간 측정이 시작되며 압력센서(620)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설정압력의 70%에 도달했을 때 압력센서(620)로부터 신호를 받아 공주시간이 측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동장치가 동작 후에 실제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시간까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공주시간을 측정할 수 있어 고속 운행되는 화차의 안정성 확보 및 철도차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100 : 베이스 110 : 제동통
111 : 피스톤 로드 112 : 돌출핀
200 : 고정 브라켓 210 : 관통홀
211 : 공차 관통홀 212 : 영차 관통홀
220 : 가이드 레일 230 : 고정핀
300 : 이동 브라켓
310 : 측판 311 : 고정홀
320 : 연결판 321 : 수평 연결판
322 : 수직 연결판 330 : 회전 지지판
340 : 돌출 리브
400 : 조절부
410 : 스크류 지지대 420 : 이송 스크류
430 : 핸들
450 : 로드셀 고정부 460 : 견인 고리
500 : 로드셀 510 : 압부력 표시부
600 : 제동관 610 : 압력계
620 : 압력센서 630 : 제어밸브
700 : 공주시간 표시부

Claims (6)

  1. 상면 일측에 제동통(110)이 고정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며, 폭 방향 측면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내측에 가이드 레일(220)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200);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내측에 결합되되 외측에 돌출 리브(340)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 리브(340)가 상기 가이드 레일(220)의 하측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에 대응되는 고정홀(311)이 형성되어 고정핀(2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이동 브라켓(300);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 또는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부(400);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1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로드셀(500);
    상기 제동통(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제동관(600); 및
    상기 제동관(60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6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00)는 일측이 상기 이동 브라켓(300)의 회전 지지판(330)에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420); 상기 이송 스크류(420)의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530); 및 상기 이송 스크류(42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 또는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4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공차 관통홀(211) 및 영차 관통홀(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통(110)의 피스톤 로드(111) 단부에는 돌출핀(11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브라켓(300)에는 상기 돌출핀(112)에 대응되는 견인 고리(4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관(600)에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620) 및 상기 압력센서(620)와 제어밸브(630)에 연결되는 공주시간 표시부(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주시간 표시부(700)는 상기 제어밸브(630)가 개방되는 시간부터 상기 압력센서(620)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설정된 공급 압력의 70% 도달시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KR1020120053745A 2012-05-21 2012-05-21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KR20130129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745A KR20130129691A (ko) 2012-05-21 2012-05-21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745A KR20130129691A (ko) 2012-05-21 2012-05-21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691A true KR20130129691A (ko) 2013-11-29

Family

ID=4985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745A KR20130129691A (ko) 2012-05-21 2012-05-21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969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8532A (zh) * 2017-09-26 2018-01-23 眉山中车制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机车车辆自动防尘装置的锁止机构
WO2019238138A1 (zh) * 2019-03-01 2019-12-19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机车制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5406681A (zh) * 2022-08-30 2022-11-29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磁浮车用制动夹钳单元试验装置
CN115876366A (zh) * 2022-12-09 2023-03-31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刹车作动器输出压力测试装置
CN118090187A (zh) * 2024-04-22 2024-05-28 梁山三星机械有限公司 一种牵引座开合实验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8532A (zh) * 2017-09-26 2018-01-23 眉山中车制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机车车辆自动防尘装置的锁止机构
CN107618532B (zh) * 2017-09-26 2024-02-20 眉山中车制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机车车辆自动防尘装置的锁止机构
WO2019238138A1 (zh) * 2019-03-01 2019-12-19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机车制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5406681A (zh) * 2022-08-30 2022-11-29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磁浮车用制动夹钳单元试验装置
CN115876366A (zh) * 2022-12-09 2023-03-31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刹车作动器输出压力测试装置
CN118090187A (zh) * 2024-04-22 2024-05-28 梁山三星机械有限公司 一种牵引座开合实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9691A (ko) 철도차량의 제동통 압력측정 지그
CN101699247B (zh) 车体综合试验台
CN205670082U (zh) 一种测力轮对标定试验台
CN103674580B (zh) 车体侧墙载荷加载装置及载荷加载方法
JP2002131217A (ja) 自動車走行路面のすべり摩擦係数測定装置
CN202814614U (zh) 轨道车辆制动夹钳夹紧力检测工装
CN103439123A (zh) 一种用于测量轨道车辆车端关系的装置
CN205843974U (zh) 铁路货车微控压缩式闸调器试验台
CN105416268B (zh) 一种机车车辆粘着系数测试系统
CN209112186U (zh) 一种铁路机车新型盘型制动装置
CN109050570A (zh) 大坡度有轨运输电瓶车防溜车制动方法及其装置
CN203602979U (zh) 一种城市轨道交通59r2槽型钢轨轨检车
KR100536409B1 (ko) 철도차량의 윤축 수평하중 시험장치
CN203616148U (zh) 车体侧墙载荷加载装置
CN211347410U (zh) 一种踏面制动单元试验台
CN203616151U (zh) 轨道车辆编组试验的车辆固定装置
WO2022000899A1 (zh) 车体端墙防撞柱准静态压缩试验装置
CN109357889B (zh) 一种平板制动检测台及其检测方法
CN210618147U (zh) 一种轨道扣件检修设备
CN2936803Y (zh) 全自动微机控制机车轮对压装机
CN209115577U (zh) 具有在线制动性能检测的夹钳制动单元
CN207050994U (zh) 一种平板制动检验台的导向装置
CN112924297A (zh) 一种轨道车辆压溃测试台加载装置
CN204154514U (zh) 车体侧压力试验加载装置
CN204397806U (zh) 一种机车车钩缓冲器液压拆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