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492A -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492A
KR20130129492A KR1020120053385A KR20120053385A KR20130129492A KR 20130129492 A KR20130129492 A KR 20130129492A KR 1020120053385 A KR1020120053385 A KR 1020120053385A KR 20120053385 A KR20120053385 A KR 20120053385A KR 20130129492 A KR20130129492 A KR 20130129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rame
gear
propellers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만
Original Assignee
이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만 filed Critical 이용만
Priority to KR102012005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9492A/ko
Publication of KR2013012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8Steering or slowing-down by deflection of propeller slipstream otherwise than by rud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굴러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샤프트와, 원동기어와 원동기어와 기어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축과, 와이어축에 설치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한다. 종동기어를 여러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프로펠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축이 연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프로펠러 각각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추진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수중 스포츠에 적합한 특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DRIVING APPARATUS FOR AQUA BIKE}
본 발명은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프로펠러를 갖고 각각의 방향을 다양하게 변위시킬 수 있는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중 자전거는 반잠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추진되는 장치로서, 최근 성능이 향상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수중 자전거는 주로 놀이공원 같은 곳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성능이 향상되어 수중 스포츠 장치로서도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기존의 수중 자전거는 대부분 추진장치가 샤프트에 결합된 하나의 프로펠러만을 가지는 방식이며, 이러한 구조로는 성능향상에 대하여 한계가 있다. 더욱이 다수개의 프로펠러가 필요할 때 샤프트를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다수개 설치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개선된 구성을 가지는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프로펠러를 구비할 수 있는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와이어축을 프로펠러의 구동축으로 이용하는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를 제공하며, 이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굴러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샤프트; 원동기어와 상기 원동기어와 기어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부로서, 상기 원동기어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축으로서, 상기 와이어축은 연성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와이어축 각각에 설치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펠러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압관으로서, 상기 가압관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진다.
상하방향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방향조절부는 상기 가압관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형추가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형추는 상기 프레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분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출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분출용 프로펠러와, 상기 분출용 프로펠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의 연통되는 분출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와이어축이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프로펠러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로펠러와 축을 다수개 설치할 수 있고 그러한 설치가 큰 비용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구현 가능하다. 가압관을 설치함으로써 통과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추진력을 높일 수 있고, 가압관에 형성되는 분출관으로 물을 분출시킬 수 있다. 간단히 균형추를 이동시킴으로써 쉽게 균형상태에 변동을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추진력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수중 스포츠용으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채용된 기어박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채용된 가압관과 프로펠러 부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분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수중 자건거는 원동기어와 그 둘레에 기어결합되는 종동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박스를 채용함으로써 다수개의 프로펠러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각 프로펠러들이 연성을 가지는 와이어축에 결합됨으로써 와이어축을 구부려서 프로펠러의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펠러를 감싸는 가압관을 채용함으로써 배출 압력이 높아지도록 하여 추진력을 높이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채용된 기어박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채용된 가압관과 프로펠러 부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분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프레임(1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히도록 형성되며 후술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게 된다.
프레임(10)에는 부양장치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양장치는 특별한 제약이 없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10)에는 또한 안장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조향장치(40)의 핸들(41)을 이용하여 조향 조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조향 조작에 의해 방향키(42)가 회전하게 된다.
프레임(10)에는 구동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위(13)가 구비되고, 그곳에 구동부의 요소들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크랭크암(21)과 페달(25)이 설치되고 크랭크암(21)에는 제1기어(23)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25)을 회전시키면 제1기어(23)가 회전하게 된다. 제2기어(24)가 제1기어(23)와 기어결합되어 제1기어(23)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여 추진을 위한 기본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동부의 제2기어(24)에는 샤프트(31)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 받게 된다. 샤프트(31)의 타단은 기어박스(33)로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샤프트(31)의 타단에는 기어박스(33)의 원동기어(331)가 결합된다. 따라서 샤프트(31)의 회전이 원동기어(331)에 전달된다.
기어박스(33)는, 도 2에서도 보이는 것과 같이, 원동기어(331)와 그 둘레에 기어결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332)를 포함한다. 원동기어(331)가 회전할 때 종동기어(332)들이 회전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이러한 종동기어(332)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프로펠러(321)를 다수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종동기어(332)에는 와이어축(32)이 결합된다. 종동기어(332)의 회전과 함께 와이어축(32)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와이어축(32)은 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구부러진 상태를 만들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프로펠러(321)가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프로펠러(321)가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프로펠러(321)는 종동기어(332)가 다수개 구비될 때에는 더 많은 숫자의 프로펠러(3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프로펠러(321)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 및 3에서와 같이 프로펠러(321)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압관(322)이 구비된다. 가압관(322)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를 가지며, 이 때문에 배출 압력이 높아지면서 추진력에 증대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방향조절부는 가압관(322)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된 케이블(51)을 포함한다. 이 케이블(51)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가압관(322)을 상하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하방향조절부는 케이블(51) 외에 지지바(5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케이블(51)이 지지바(52)를 통하여 가압관(322)에 결합된다. 케이블(51)은 바람직하게는 핸들(41) 부위에 설치되는 레버(53)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버(53)를 이용하여 케이블(51)를 조작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지지바(52) 하단부에 탄성체(54)가 배치됨으로서 가압관이 상방향으로 견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53)를 놓을 때 하방향으로 복원되게 된다. 이런식으로 가압관(322)을 상하로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수중자전거의 전방측이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상승될 때 상대적으로 더욱 속력을 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도 1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출부(60)는 샤프트(31)에 분출용 프로펠러(61)가 설치되고 그 둘레를 본체관(62)이 감싸게 된다. 본체관(62)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게 되며, 상술한 가압관(322)들과 같은 방식이다. 본체관(62)에는 분출관(63)이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샤프트(31)가 회전될 때 분출용 프로펠러(61)가 회전하면서 본체관(62) 내부의 물을 후방으로 강제 이송시키고 분출관(63) 내경이 좁아짐에 따라 압력이 상승되어 분출관(63)으로 강하게 분출되게 된다.
프레임(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형추(12)가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형추(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언제든지 균형추(12)를 이동시켜서 수중 자전거의 자세를 변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다수개의 프로펠러(321)를 구비시킬 수 있고, 또한 그러한 프로펠러(321)의 방향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행 중에도 각각의 프로펠러(321)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수중 자전거의 가속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프레임 11: 안장 12: 균형추
21: 크랭크암 23: 제1기어 24: 제2기어
25: 페달 31: 샤프트 32: 와이어축
33: 기어박스 321: 프로펠러 322: 가압관
331: 원동기어 332: 종동기어 40: 조향장치
41: 핸들 51: 케이블 52: 지지바
53: 레버 54: 탄성체 60: 분출부
61: 분출용 프로펠러 62: 본체관 63: 분출관

Claims (5)

  1.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굴러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샤프트;
    원동기어와 상기 원동기어와 기어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부로서, 상기 원동기어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축으로서, 상기 와이어축은 연성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와이어축 각각에 설치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압관으로서, 상기 가압관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것인,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하방향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방향조절부는 상기 가압관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인,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형추가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형추는 상기 프레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것인,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분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출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분출용 프로펠러와,
    상기 분출용 프로펠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의 연통되는 분출관을 포함하는 것인,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KR1020120053385A 2012-05-21 2012-05-21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KR20130129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385A KR20130129492A (ko) 2012-05-21 2012-05-21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385A KR20130129492A (ko) 2012-05-21 2012-05-21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492A true KR20130129492A (ko) 2013-11-29

Family

ID=4985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385A KR20130129492A (ko) 2012-05-21 2012-05-21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94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7249A (zh) * 2015-12-29 2016-04-06 范勤荣 一种健身艇
CN108974313A (zh) * 2018-07-27 2018-12-11 钦州学院 可摆动角度的导流罩装置
JP2019131173A (ja) * 2018-02-01 2019-08-08 エレルゴン・アントリーブステヒニク・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ELLERGON Antriebstechnik GmbH ハイドロフォイ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7249A (zh) * 2015-12-29 2016-04-06 范勤荣 一种健身艇
JP2019131173A (ja) * 2018-02-01 2019-08-08 エレルゴン・アントリーブステヒニク・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ELLERGON Antriebstechnik GmbH ハイドロフォイル
CN110104136A (zh) * 2018-02-01 2019-08-09 艾勒根传动工程有限责任公司 水翼
CN108974313A (zh) * 2018-07-27 2018-12-11 钦州学院 可摆动角度的导流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7363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ater wave energy
EP3256375B1 (en) Double motor power unit and procedure for mounting the unit onto bicycle frame
KR20130129492A (ko) 수중 자전거용 추진장치
CN109383717A (zh) 能骑乘的鱼型机器人
CN203889021U (zh) 一种多功能水上娱乐车
KR20070114636A (ko) 자전거 변속장치
KR101028047B1 (ko) 동력변환장치
WO2009035252A3 (en) Apparatus for moving forward on the water
US6165029A (en) Pedal boat
CN115571315B (zh) 一种赛艇划桨支架装置
KR101616192B1 (ko) 수상 자전거
KR101727680B1 (ko) 수상 자전거
CN104210626B (zh) 一种冲浪板
CN108163156B (zh) 一种多人滑水设备
KR101515968B1 (ko) 수상레저용 보트
CN204056243U (zh) 多功能电动碰碰船
US20140315692A1 (en) Up and down reciprocation treading lesiure exercise apparatus
KR101307215B1 (ko) 인력 추진 보트
KR101314177B1 (ko) 자전거 전진구동장치
KR20150143011A (ko)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KR20140101149A (ko) 로잉머신을 이용한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상기구
JP3144223U (ja) 後輪駆動式ペダル立ち漕ぎ自転車
CN208699021U (zh) 一种新型的水上自行车
CN205022757U (zh) 一种蛙式车
KR200393469Y1 (ko)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