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600A - 스팀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600A
KR20130128600A KR1020120052429A KR20120052429A KR20130128600A KR 20130128600 A KR20130128600 A KR 20130128600A KR 1020120052429 A KR1020120052429 A KR 1020120052429A KR 20120052429 A KR20120052429 A KR 20120052429A KR 20130128600 A KR20130128600 A KR 20130128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eam
hot water
pressur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123B1 (ko
Inventor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호 filed Critical 정승호
Priority to KR102012005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1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3/00Steam-generation plants, e.g. comprising steam boilers of different types in mutual association
    • F22B33/02Combinations of boilers having a single combustion apparatus in comm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using combustion under pressure substantially exceeding atmospheric pressure
    • F22B1/24Pressure-fired steam boilers, e.g. using turbo-air compressors actuated by hot gases from boiler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03Feed-water heate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3/00Accumulators for preheated water
    • F22D3/06Accumulators for preheated water directly connected to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와,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관과 접속된 압력탱크와,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가압 펌핑하여 제1배출관을 통해 압력탱크로 송출하는 가압 펌프와, 폐쇄된 내부공간을 갖으며 생성된 스팀을 메인 토출관을 통해 토출하는 메인스팀생성탱크와, 압력탱크에 저수된 온수를 메인스팀생성탱크까지 송출할 수 있게 연장된 제2배출관과, 제2배출관으로부터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공간 까지 연장되어 압력탱크로부터 토출된 가압온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부와,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를 경유하게 형성된 열교환관을 통해 연소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메인스팀생성탱크내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와, 온수 탱크의 물이 설정된 제1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가열부를 제어하고,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제2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제2가열부를 제어하며, 압력탱크 내에 압력이 설정된 목표 압력이 유지되도록 가압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메인스팀생성탱크에서 스팀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팀 발생장치에 의하면 온수를 압축 분사에 의해 고온 고압의 분무 스팀을 단시간에 생성할 수 있으면서도, 메인 스팀 생성탱크의 내부를 연료와 스팀의 혼합에 의한 연소방식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팀 발생장치{steam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팀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은 물을 가열하여 생성되며, 그 용도별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는 스팀 세차기, 산업용 가정용 의료기기등을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스팀 세척기, 스팀 다리미, 스팀 보일러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는 물이 저수된 저수 탱크와, 저수 탱크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 또는 전기 히터와 같은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물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을 저수 탱크로부터 외부로 송출 및 분출하는 분사장치로 되어 있다.
이러한 스팀 발생장치에서 저수 탱크 내에서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충분히 멀리까지 응축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저수 탱크 내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압력이 충분히 높아야 한다. 그런데, 저수 탱크 내의 압력을 충분히 높게 유지하도록 저수용기 내의 물을 100℃ 이상으로 가열하고, 스팀의 압력을 동시에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 소모가 많이 발생하고, 예열 과정이 상대적으로 긴 단점이 있다.
또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연료의 연소에 의해 가열하는 방식의 경우 단순히 연료만을 연소시키는 경우 연소효율이 크게 개선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온수를 압축 분사 방식에 의해 고온 고압의 분무 스팀을 생성하되, 가열을 위해 적용되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팀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에 있어서, 물이 저수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와; 상기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관과 접속된 압력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가압 펌핑하여 상기 제1배출관을 통해 상기 압력탱크로 송출하는 가압 펌프와; 폐쇄된 내부공간을 갖으며 생성된 스팀을 메인 토출관을 통해 토출하는 메인스팀생성탱크와; 상기 압력탱크에 저수된 온수를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까지 송출할 수 있게 연장된 제2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으로부터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공간 까지 연장되어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토출된 가압온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부와;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를 경유하게 형성된 열교환관을 통해 연소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내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와;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이 설정된 제1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가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제2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가열부를 제어하며, 상기 압력탱크 내에 압력이 설정된 목표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가압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에서 스팀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열교환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연소하우징과; 상기 연소하우징 내로 제1연료공급관을 통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연소하우징 내로 상기 제1연료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와 혼합되게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관과; 상기 연소하우징 내의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관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보조스팀발생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스팀발생기는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상기 메인 스팀생성탱크로 이어지는 온수공급경로로부터 분기되어 온수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된 보조 온수유입관과; 상기 보조 온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온수를 내부에 장착된 히터에 의해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스팀공급관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보조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공급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된 보조토출관과; 상기 보조토출관을 개폐하는 스팀선택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메인 스팀생성탱크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2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히터의 가동을 중지하고, 상기 보조토출관을 통해 스팀이 상기 연소하우징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선택밸브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연소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팀과 상기 연료의 혼합비율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스팀 28 내지 32중량퍼센트와 상기 연료 68 내지 72중량퍼센트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에 의하면 온수를 압축 분사에 의해 고온 고압의 분무 스팀을 단시간에 생성할 수 있으면서도, 메인 스팀 생성탱크의 내부를 연료와 스팀의 혼합에 의한 연소방식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팀 발생장치의 제어계통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팀 발생장치의 제어계통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팀 발생장치(100)는 온수탱크(110), 제1히터(H1)(120), 압력탱크(130), 가압펌프(P)(140), 메인스팀생성탱크(150), 제2가열부(160), 분사부(170), 보조스팀발생기(180) 및 제어유니트(190)를 구비한다.
온수탱크(110)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온수탱크(110)는 유입관(112)을 통해 물을 내부공간 내로 유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가열된 온수를 제1배출관(114)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02는 제어유니트(190)에 제어되어 유입관(112)을 개폐하는 전자밸브이다.
제1가열부로서 적용된 제1히터(120)는 전기히터로서 제어 유니트(190)에 제어되어 온수탱크(110) 내에 저수된 물을 가열한다.
제1가열부로서 전기히터 방식 이외에도 연료의 탄화에 의한 연소열에 의해 가열하는 방식 등 다양한 가열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위검출센서(116)는 온수탱크(110)내에 설치되어 온수탱크(110) 내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여 제어 유니트(190)에 출력한다.
제1온도센서(118)는 온수탱크(110) 내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유니트(190)에 출력한다.
압력탱크(130)는 온수 탱크(110)에 저수된 온수를 배출하는 제1 배출관(114) 에 접속되어 후술되는 가압펌프(P)(140)에 의해 펌핑된 가압온수를 저장한다.
압력검출센서(132)는 압력탱크(130)의 압력을 검출하여 제어유니트(190)에 출력한다.
제1압력밸브(136)는 압력탱크(130)로부터 메인스팀생성탱크(150)로 온수를 송출할 수 있게 연장된 제2배출관(134)의 가압온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압력탱크(130) 내의 압력이 설정된 목표 압력 이상이 되면 제2배출관(134)을 통해 가압온수를 배출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압력탱크(130) 내의 목표압력은 10 내지 12kg/cm2 가 적용되고, 제1압력밸브(136)는 압력탱크(130)에 유입된 가압온수의 압력이 10 내지 12kg/cm2 가 되면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펌프(140)는 제어 유니트(190)에 제어되어 온수 탱크(110)에 저수된 물을 가압 펌핑하여 제1배출관(114)을 통해 압력탱크(130)로 송출한다.
메인 스팀 생성 탱크(150)는 폐쇄된 내부공간을 갖으며 생성된 스팀을 메인 토출관(154)을 통해 토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압력밸브(156)는 메인 스팀생성탱크(150)로부터 메인 토출관(154)으로 이어지는 스팀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메인 스팀 생성탱크(150) 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메인 토출관(154)을 통해 스팀을 배출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제2압력밸브(156)는 메인 스팀생성탱크(150) 내의 압력이 압력탱크(130) 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도록 스팀의 압력이 5 내지 6kg/cm2 가 되면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온도센서(155)는 스팀 생성탱크(150)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유니트(190)에 출력한다.
제2가열부(160)는 메인스팀생성탱크(150) 내부를 경유하게 형성된 중공의 열교환관(162)을 통해 연소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메인스팀생성탱크(150) 내부를 가열한다.
여기서 열교환관(162)은 연소가스가 이송될 수 있게 중공을 갖으며, 코일 형태로 감겨 메인 스팀생성탱크(150) 내부를 경유하여 메인스팀생성탱크(150)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2가열부(160)는 연소하우징(161), 연료공급부 및 스팀공급관(167)을 구비한다.
연소하우징(161)은 열교환관(162)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연소공간을 형성하며 메인 스팀생성탱크(150)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연료공급부는 연소하우징(161) 내로 제1연료공급관(164)을 통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165)를 구비한다. 여기서 연료는 중유, 벙커시유와 같은 기름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연료공급관(164) 상에 설치되어 연료를 펌핑하는 연료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참조부호 168은 제1연료공급관(164)상에 설치되어 제어유니트(190)에 의해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이고, 참조부호 166은 연소 하우징(161) 내로 스팀을 흡입하기 위해 설치된 흡입용 팬이다.
스팀공급관(167)은 연소하우징(161) 내로 제1연료공급관(164)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에 스팀을 공급하여 혼합될 수 있게 연소 하우징(161)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점화부(169)는 연소하우징(161) 내의 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점화 플러그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연소하우징(161)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연료의 혼합비율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스팀 28 내지 32중량퍼센트와 연료 68 내지 72중량퍼센트가 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공급관(167)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에 대해서는 메인 스팀생성탱크(150)에서 생성된 스팀 또는 후술되는 보조스팀발생기(190)에서 생성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조스팀발생기(190)는 메인스팀 생성탱크(150)에 대해 별도로 마련되어 스팀공급관(167)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조 스팀발생기(190)는 온수탱크(110)로부터 메인스팀생성탱크(150)로 이어지는 온수공급경로로부터 분기되어 온수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된 보조 온수유입관(182a)(182b)과, 보조 온수 유입관(182a)(182b)을 통해 유입된 온수를 내부에 장착된 제2히터(H2)(184)의 가열에 의해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공급관(167)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보조 하우징(181)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배출관(114)과 접속된 보조 온수유입관(182a)과, 제2배출관(134)과 접속된 보조 온수 유입관(182b)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나,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185는 보조 하우징(181)의 내부온도를 검출하여 제어유니트(190)에 출력하는 제3온도센서이다.
한편, 메인스팀생성탱크(150)에서 생성된 스팀을 스팀공급관(167)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메인 스팀생성탱크(150)의 내부와 연통되게 접속되어 스팀공급관(167)으로 접속된 보조토출관(187)이 마련되어 있고, 보조토출관(187) 상에 스팀의 유통을 개폐하는 스팀선택밸브(188)가 마련되어 있다.
참조부호 183은 스팀공급관(167) 방향으로만 유로가 개방되게 설치된 체크밸브이다.
여기서, 제2히터(160)는 전기히터로서 제어 유니트(190)에 제어되어 보조 하우징(181) 내부를 가열한다.
분사부(170)는 압력탱크(130)로부터 메인스팀생성탱크(150) 까지 연장된 제2배출관(134)의 종단에 메인스팀생성탱크(150) 내부공간 까지 연장되어 압력탱크(130)로부터 토출된 가압온수를 분사하는 노즐(176)로 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176)은 제2배출관(134)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니트(190)는 온수 탱크(110)의 물이 설정된 제1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히터(120)를 제어하고, 메인스팀생성탱크(15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제2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제2가열부(160)를 제어하며, 압력탱크(130) 내에 압력이 설정된 목표 압력이 유지되도록 가압펌프(140)의 구동을 제어하여 메인스팀생성탱크(150)에서 고온 고압의 스팀이 생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목표온도는 95 내지 99℃가 적용되고, 제2목표온도는 150 내지 18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유니트(190)는 제1온도센서(118)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온수탱크(110)내의 온수의 온도가 95 내지 99℃가 되게 제1히터(120)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2온도센서(155)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스팀 생성탱크(150)내의 온도가 150 내지 180℃가 되게 제2가열부(160)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온수탱크(110)내의 온수의 온도가 95 내지 99℃로 유지된 상태에서 가압펌프(140)를 구동하여 온수를 압축탱크(130)로 송출한다. 여기서, 메인스팀생성탱크(150)로부터 스팀이 생성되기 이전 초기구동시에 제어유니트(190)는 보조스팀발생기(180)에 의해 스팀이 생성되어 제2가열부(160)에 공급되게 제2히터(184)를 가동하고, 스팀선택밸브(188)는 유로가 폐쇄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유니트(190)는 압력검출센서(132)로부터 수신된 압력정보로부터 압력탱크(130)내의 압력이 앞서 설명된 목표 압력이 유지되도록 가압펌프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압축탱크(130)내로 유입된 압축수인 가압온수가 앞서 설명된 목표압력에 도달하면 제1압력밸브(136)가 개방되어 분사부(170)의 노즐(176)을 통해 메인 스팀생성탱크(150)내에서 분무된다. 이때 압축탱크(130)로부터 유출될 때의 온수의 압력보다 내부 압력이 낮은 메인 스팀생성탱크(150)에서의 감압 및 150 내지 180℃로 유지되는 고온에 의해 곧 바로 스팀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메인 스팀생성탱크(150) 내에서 생성된 스팀의 압력이 증가하면 제2압력밸브(156)가 개방되어 토출관(154)을 통해 스팀이 토출된다.
한편, 제어유니트(190)는 메인스팀생성탱크(150)로부터 스팀이 생성되면 제2히터(184)의 가동을 중지하고 스팀선택밸브(188)가 개방되게 제어하여 메인스팀생성탱크(150)에서 생성된 스팀이 스팀공급관(167)을 통해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제어유니트(190)는 압축탱크(130)내로 유입된 압축수인 가압온수가 앞서 설명된 목표압력에 도달하면 스팀선택밸브(188)가 개방되게 제어하거나, 목표압력 도달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스팀선택밸브(188)가 개방되게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압력밸브(156)를 통해 배출되는 스팀의 토출 및 차단을 사용자 또는 제어유니트(190)의 입력부(181)의 조작 여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유니트(190)는 이러한 스팀 생성과정에서 수위검출센서(116)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온수의 사용에 의한 수위가 설정된 하한 수위에 도달하면 온수탱크(110)의 유입관(112)에 설치된 밸브(102)를 개방되게 제어하여 상한 목표 수위까지 유입되게 제어한다.
제어유니트(190)는 제어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191)와,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93) 및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92)로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91)는 온수탱크(110)의 제1목표온도, 스팀 생성 탱크(150)의 목표 온도 등을 제어부(192)에 제어되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시부(193)는 제어부(192)에 제어되어 검출된 온수탱크(110)의 온도정보를 포함한 각종 표시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92)는 제2가열부(160)의 점화부(169)를 포함한 가동요소들을 구동하는 연소구동부(193)와 스팀선택밸브(188)을 포함한 제어대상 밸브들을 구동하는 밸브구동부(195)를 제어하여 앞서 설명된 작동이 이루어지게 처리한다.
이러한 스팀 발생장치(100)는 토출관(154)을 통해 스팀을 소모하는 사용단까지 배관을 통해 연장시켜 소사용하거나, 난방 또는 온수 생성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생성탱크(150)의 토출관(154)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열교환체(250)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부(210)와, 열교환부(210)를 거쳐 응축된 응축수를 온수탱크(110)로 회수될 수 있게 접속된 순환관(220)을 설치한 구조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열교환체(250)는 열교환용기(251)내에 저수된 물과 같은 열매체가 열교환부(210)를 통해 이송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과 열교환을 통해 가열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스팀 발생장치(100)는 기름에 스팀을 혼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연소효율 및 연소열이 증가되어 연료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온수탱크 110: 제1히터
120: 압력탱크 140: 가압펌프
150: 메인스팀생성탱크 160: 제2가열부
170: 분사부 180: 보조스팀발생기
190: 제어유니트

Claims (5)

  1.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에 있어서,
    물이 저수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와;
    상기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관과 접속된 압력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가압 펌핑하여 상기 제1배출관을 통해 상기 압력탱크로 송출하는 가압 펌프와;
    폐쇄된 내부공간을 갖으며 생성된 스팀을 메인 토출관을 통해 토출하는 메인스팀생성탱크와;
    상기 압력탱크에 저수된 온수를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까지 송출할 수 있게 연장된 제2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으로부터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공간 까지 연장되어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토출된 가압온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부와;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를 경유하게 형성된 열교환관을 통해 연소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내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와;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이 설정된 제1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가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제2목표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가열부를 제어하며, 상기 압력탱크 내에 압력이 설정된 목표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가압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에서 스팀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열교환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연소하우징과;
    상기 연소하우징 내로 제1연료공급관을 통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연소하우징 내로 상기 제1연료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와 혼합되게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관과;
    상기 연소하우징 내의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관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보조스팀발생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스팀발생기는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상기 메인 스팀생성탱크로 이어지는 온수공급경로로부터 분기되어 온수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된 보조 온수유입관과;
    상기 보조 온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온수를 내부에 장착된 히터에 의해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스팀공급관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보조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팀생성탱크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공급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된 보조토출관과;
    상기 보조토출관을 개폐하는 스팀선택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메인 스팀생성탱크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2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히터의 가동을 중지하고, 상기 보조토출관을 통해 스팀이 상기 연소하우징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선택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팀과 상기 연료의 혼합비율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스팀 28 내지 32중량퍼센트와 상기 연료 68 내지 72중량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KR1020120052429A 2012-05-17 2012-05-17 스팀 발생장치 KR101415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29A KR101415123B1 (ko) 2012-05-17 2012-05-17 스팀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29A KR101415123B1 (ko) 2012-05-17 2012-05-17 스팀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600A true KR20130128600A (ko) 2013-11-27
KR101415123B1 KR101415123B1 (ko) 2014-07-04

Family

ID=4985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429A KR101415123B1 (ko) 2012-05-17 2012-05-17 스팀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1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18B1 (ko) * 2013-12-11 2014-11-10 (주)예산철판 증기발생장치
CN105299606A (zh) * 2014-05-28 2016-02-03 郑西进 一种温差进水余热循环锅炉
CN108006437A (zh) * 2017-10-31 2018-05-08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蒸汽干度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669Y1 (ko) 2001-07-19 2002-01-24 천지득 저.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증기보일러
KR100621575B1 (ko) 2005-07-26 2006-09-11 주식회사 티지이엔씨 밀폐형 증기보일러의 제어시스템
KR101017982B1 (ko) 2010-07-15 2011-03-02 임주혁 자체증기압력을 이용한 자동 급수식 증기발생장치
KR101260490B1 (ko) * 2011-04-26 2013-05-06 정용호 스팀 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18B1 (ko) * 2013-12-11 2014-11-10 (주)예산철판 증기발생장치
CN105299606A (zh) * 2014-05-28 2016-02-03 郑西进 一种温差进水余热循环锅炉
CN105299606B (zh) * 2014-05-28 2020-02-04 郑西进 一种温差进水余热循环锅炉
CN108006437A (zh) * 2017-10-31 2018-05-08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蒸汽干度的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123B1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205B1 (ko) 스팀 발생장치
CA2718811A1 (en) Vitiated steam generator
CN106195982B (zh) 加热单元及包括该加热单元的蒸汽发生器
JP2009030963A (ja) スチーム発生装置及びその発生方法
CN105339629A (zh) 具有燃料成分控制的燃气涡轮
KR101371688B1 (ko) 스팀 발생장치
KR101415123B1 (ko) 스팀 발생장치
CN103147849A (zh) 一种环保节能动力装置
JP2013148092A (ja) 液体燃料加熱システム
KR20140024335A (ko) 배열 회수 보일러 및 발전 플랜트
KR100739122B1 (ko) 증기를 이용한 연료분사장치
KR101260490B1 (ko) 스팀 발생장치
CN106574770B (zh) 锅炉、联合循环成套设备以及锅炉的蒸汽冷却方法
RU2008124277A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опливовоздушной смес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KR100725329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연료연소장치의 예열 겸용 점화장치
CN104329655A (zh) 一种用于提供引射工质的燃气发生器
KR100928183B1 (ko) 액체연료 복합노즐 및 이를 사용한 버너
CN106195978B (zh) 蒸汽发生装置及方法
CN208764903U (zh) 一种新型蒸汽发生器
KR100653386B1 (ko) 수소 연료를 이용한 고효율 보일러
CN103573232B (zh) 蒸汽二次增温增压直喷装置
KR101881556B1 (ko) 엘피지 액분사 연소장치
CN102072485B (zh) 一种混用水和重油的燃烧器
JP5440897B2 (ja) 燃焼装置
KR100818211B1 (ko) 수소버너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