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509A -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509A
KR20130128509A KR1020120052266A KR20120052266A KR20130128509A KR 20130128509 A KR20130128509 A KR 20130128509A KR 1020120052266 A KR1020120052266 A KR 1020120052266A KR 20120052266 A KR20120052266 A KR 20120052266A KR 20130128509 A KR20130128509 A KR 20130128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te box
automatic warehouse
rack structure
storage
t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871B1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김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진 filed Critical 김대진
Priority to KR102012005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8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6Racks equipped with a displaceable load carrying surface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적층되어 토트박스를 적치하는 둘 이상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치타워와, 승강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전후좌우로 상기 적치타워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다수의 승강타워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에 대한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된 자동창고로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해 토트박스를 전달하거나 상기 자동창고로 토트박스를 회수하기 위해 토트박스를 전달받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단이 상하로 다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수평상의 일 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송단의 개수와 동일한 제 1 걸림포크단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을 이용해 상하로 토트박스를 이동시켜 상기 이송단으로 적치하기 위한 제 1 랙 구조물;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Load apparatus for storage and retrieval of tote box in automated warehouse}
본 발명은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으로 적층되고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의 적치장소를 포함한 자동창고로 토트박스를 저장하고 회수하기 위한 로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의 발달로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자동창고에 관한 기술 또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자동창고는 다수, 다종의 화물을 공간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적치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러한 화물의 적치와 하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이송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창고는 랙 형식으로 구성된 적치공간을 좌우에 두고서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적치/하역장치를 구비하여 화물을 정해진 위치에 적치하거나, 정해진 위치에 보관된 화물을 하역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창고의 경우 하나의 적치/하역장치가 담당해야 하는 화물의 수가 적지 아니하고, 자동창고의 규모(폭, 높이)가 증가할수록 담당해야 하는 화물의 수가 급격히 늘어남으로써, 적치/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자동창고의 규모가 큰 경우, 하나의 적치/하역장치가 담당하는 공간에 둘 이상의 적치/하역장치를 배치하여 적치/하역 시간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있으나, 둘 이상의 적치/하역장치간의 간섭을 배제하면서 효율적인 적치/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자동창고에 대해 출원한 바가 있다.
이런 자동창고만으로는 다수의 화물을 적치하고 있는 적치공간으로 필요한 화물만을 저장하거나 회수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자동창고로 화물을 저장하고 회수함으로써, 화물에 대한 적치/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자동식 이동 작업대를 이용한 자동창고 및 운영체계(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46004호)
2.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DEVICE OF WAREHOUSING AND DELIVERY FOR AUTOMATIC STOREHOUSE(특허출원번호 제10-1995-004552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하는 화물을 자동창고로 저장하고 회수함으로써, 화물에 대한 적치/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는, 수직으로 적층되어 토트박스를 적치하는 둘 이상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치타워와, 승강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전후좌우로 상기 적치타워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다수의 승강타워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에 대한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된 자동창고로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해 토트박스를 전달하거나 상기 자동창고로 토트박스를 회수하기 위해 토트박스를 전달받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단이 상하로 다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수평상의 일 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송단의 개수와 동일한 제 1 걸림포크단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을 이용해 상하로 토트박스를 이동시켜 상기 이송단으로 적치하기 위한 제 1 랙 구조물;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는, 상기 이송부의 수평상의 다른 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송단의 개수와 동일한 제 2 걸림포크단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걸림포크단을 이용해 상하로 토트박스를 이동시켜 상기 이송단으로 적치하기 위한 제 2 랙 구조물;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넓이 방향(D1)의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수평 컨베이어벨트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 이동하는 길을 제공하는 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길이 방향(L1)으로 2개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된 구조 상부의 넓이 방향(D1)의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수평 컨베이어벨트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 이동하는 길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상기 2개가 연결된 구조의 지지판의 양쪽 끝단, 그리고 상기 2개가 연결된 지지판의 사이에 각각 제 1 가이딩 수직바와 제 2 가이딩 수직바의 쌍으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3개의 가이딩 수직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랙 구조물과 인접한 가이딩 수직단은, 상기 제 1 랙 구조물의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에 맞물려 있는 토트박스가 상기 이송단으로 적치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딩 수직바와 상기 제 2 가이딩 수직바는,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넓이 방향(D1)의 양쪽 끝단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상기 제 1 랙 구조물로부터 적치되는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한 것과, 상기 제 2 랙 구조물로 하역되는 토트박스를 하역시까지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넓이 방향(D1)으로 2개가 형성되는 저장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상기 제 1 가이딩 수직바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이송 롤러와 상기 제 2 가이딩 수직바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2 이송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랙 구조물과 인접한 가이딩 수직단을 구성하는 제 1 가이딩 수직바와 제 2 가이딩 수직바를 통해 적치되는 토트박스를 상기 저장판으로 밀착시키도록 내측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 롤러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상기 제 1 랙 구조물로부터 적치되는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판의 넓이 방향(D1)의 끝단과 맞닿으며, 길이 방향(L1)에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제 1 랙 구조물로부터 적치되는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판을 타고 넓이 방향(D1)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토트박스를 외부로 하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랙 구조물은, 2개의 걸림포크의 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이송단의 개수만큼 형성된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가 상호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제 1 랙 구조물의 최상단에 형성된 상단 도르래; 상기 제 1 랙 구조물의 최하단에 형성된 하단 도르래; 및 상기 상단 도르래와 상기 하단 도르래 사이에 감겨져 형성되며, 수직 방향에는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가 길이 방향(L1) 중 상기 이송부를 향하는 쪽으로 형성되는 밸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은, 토트박스의 상단의 양쪽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삽입단으로 각각의 걸림포크가 삽입되어 토트박스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은, 토트박스 상단의 양쪽 모서리로부터 길이 방향(L1)으로 형성된 수평방향 연장바와, 상기 수평방향 연장바로부터 높이 방향(H1) 중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방향 연장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랙 구조물은, 2개의 걸림포크의 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 2 걸림포크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이송단의 개수만큼 형성된 제 2 수직 컨베이어벨트가 상호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제 2 랙 구조물의 최상단에 형성된 상단 도르래; 상기 제 2 랙 구조물의 최하단에 형성된 하단 도르래; 및 상기 상단 도르래와 상기 하단 도르래 사이에 감겨져 형성되며, 수직 방향에는 상기 제 2 걸림포크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가 길이 방향(L1) 중 상기 이송부를 향하는 쪽으로 형성되는 밸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는, 필요로 하는 화물을 자동창고로 저장하고 회수하여, 자동창고에서 화물에 대한 적치/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동창고의 규모가 증대되더라도 원하는 화물을 원하는 위치에 저장하고 회수가 가능하므로, 자동창고의 규모에 상관없이 적치 및 하역시 작업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이송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이송단, 그리고 토트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제 1 랙 구조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제 2 랙 구조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1의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가 자동창고로부터 토트박스를 받아 저장하고 원 위치로 복귀하는 하나의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1)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이송부(200)를 구성하는 하나의 이송단(210), 그리고 토트박스(4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제 1 랙 구조물(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제 2 랙 구조물(3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1의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1)가 자동창고로부터 토트박스(400)를 받아 저장하고 원 위치로 복귀하는 하나의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이하, 로드 장치) (1)는 제 1 랙 구조물(100), 이송부(200), 제 2 랙 구조물(300), 다수의 토트박스(400)를 포함한다. 한편, 로드 장치(1)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자동창고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자동장치는 다단으로 적층되고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정하기 배열된 다수의 적치장소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자동창지는 수직으로 적층되어 토트박스를 적치하는 둘 이상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치타워와, 승강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전후좌우로 적치타워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다수의 승강타워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에서 이송부(200)는 도 2(a)의 이송단(210)이 상하로 다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송단(210)은 가이딩 수직단(211), 이송 롤러단(212), 지지판(213), 수평 컨베이어벨트(214), 저장판(215), 판 스프링(216)을 포함한다.
가이딩 수직단(211)은 2개의 지지판(213)의 양쪽 끝단, 그리고 2개의 지지판(213)의 사이에 각각 제 1 가이딩 수직바(211a)와 제 2 가이딩 수직바(211b)의 쌍으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제 1 랙 구조물(100)과 인접한 가이딩 수직단(211)은 제 1 랙 구조물(100)의 제 1 걸림포크단(103)에 맞물려 있는 토트박스(400)가 이송단(211)으로 적치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제 1 가이딩 수직바(211a)와 제 2 가이딩 수직바(211b)은 지지판(213)의 상단에 넓이 방향(D1)의 양쪽 끝단에 하나씩 형성된다.
이송 롤러단(212)은 제 1 이송 롤러(212a)와 제 2 이송 롤러(212b)를 구비한다. 제 1 이송 롤러(212a)와 제 2 이송 롤러(212b)는 각각 제 1 랙 구조물(111)과 인접한 가이딩 수직단(211)을 구성하는 제 1 가이딩 수직바(211a)와 제 2 가이딩 수직바(211b)을 통해 적치되는 토트박스(400)를 저장판(215)으로 밀착시키도록 내측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지지판(213)은 길이 방향(L1)으로 2개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며, 연결된 구조 상부의 넓이 방향(D1)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형성가능한 수평 컨베이어벨트(214)가 회전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길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 컨베이어 벨트(214)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수평 컨베이어벨트(214)는 컨베이어벨트 외에 수평 운동이 가능한 수평 이송 크류, 수평 운동 엑츄에이터 , 선형 모터 등의 선형 운동 기구로 변경하여 적용가능하다.
저장판(215)은 제 1 랙 구조물(100)로부터 적치되는 토트박스(400)를 저장하기 위한 것(도 2(a) 상에서 우측에 위치한 것)과, 제 2 랙 구조물(300)로 하역되는 토트박스(400)를 하역시까지 저장하기 위한 것(도 2(b) 상에서 좌측에 위치한 것)으로 2개가 형성된다.
또한, 저장판(21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00)의 내부에 층당 2개의 설비가 배치된다.
판 스프링(216)은 제 1 랙 구조물(100)로부터 적치되는 토트박스(400)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판(215)의 넓이 방향(D1)의 끝단과 맞닿으며, 길이 방향(L1)에서 제 1 이송 롤러(212a)와 이격되어 제 1 랙 구조물(100)과 인접한 지지판(213)의 상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판 스프링(216)은 저장판(215)을 타고 넓이 방향(D1)으로 이동함으로써, 저장판(215)과 사이에 적치된 토트박스(400)를 외부로 하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자동창고는 이송부(2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토트박스(400)는 걸림홈(401), 삽입단(402)을 구비한다. 걸림홈(401)은 토트박스(400)의 하단이 모서리가 절삭되어 형성되며, 제 1 랙 구조물(100) 또는 제 2 랙 구조물(300)로부터 이송단(200)으로 적치시 적치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이송단(200)으로 안정되게 적치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걸림홈(401)은 토트박스(400)의 하단의 두 개의 모서리의 양쪽 또는 한쪽에 선택적으로 형성가능하다.
삽입단(402)은 토트박스(40)의 상단의 양쪽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삽입단(402)은 제 1 랙 구조물(100)에 형성된 제 1 걸림포크단(103)에 형성된 걸림포크(103a, 103b) 또는 제 2 랙 구조물(300)에 형성된 제 2 걸림포크단(303)에 형성된 걸림포크(303a, 303b)가 삽입된다. 삽입단(402)은 토트박스(400) 상단의 양쪽 모서리로부터 길이 방향(L1)으로 형성된 수평방향 연장바(402a)와, 수평방향 연장바(402a)로부터 높이 방향(H1) 중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방향 연장바(40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3(a)는 도 1의 A1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3(b)는 도 1의 A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랙 구조물(100)은 다수의 제 1 걸림포크단(103)이 수직방향에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101)가 넓이 방향(D1)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101)는 상단 도르래(101a), 벨트(101b), 하단 도르래(101c)을 구비한다.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101)는 상단 도르래(101a)와 하단 도르래(101c) 사이에 밸트(101b)가 감겨져 형성되며, 수직 방향에는 제 1 걸림포크단(103)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103a)가 길이 방향(L1) 중 이송부(200)를 향하는 쪽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걸림포크(103a, 103b)를 포함하는 제 1 걸림포크단(103)은 이송부(200)를 구성하는 이송단(21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걸림포크(103a, 103b)는 이송단(21)에 삽입되는 토트박스(400)의 삽입단(402)에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포크(103a) 및 걸림포크(103b)은 2개가 형성되는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101)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한편, 도 4(a)는 도 1의 A3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1의 A4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랙 구조물(300)은 제 2 수직 컨베이어벨트(301), 제 2 걸림포크단(303)을 포함한다. 제 2 랙 구조물(300)은 다수의 제 2 걸림포크단(303)이 수직방향에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2 수직 컨베이어벨트(201)가 넓이 방향(D1)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제 2 수직 컨베이어벨트(301)와 제 2 걸림포크단(303)은 도 3의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101) 및 제 1 걸림포크단(10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로드 장치(1)가 자동창고로부터 토트박스(400)를 받아 저장하고 원 위치로 복귀하는 하나의 싸이클(cycle)을 살펴보면, 먼저 도 5는 운송부(200)가 우측에 진입한 제 1 랙 구조물(100)의 제 1 걸림포크단(103)에 물려있는 토트박스(400)로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운송부(200)가 제 1 랙 구조물(100)로부터 토트박스(400)를 가이딩 수직단(211)을 통해 삽입하고 이송 롤러단(212)를 통해 우측의 지지판(213) 상부면의 내측으로 적치한 뒤, 지지판(213) 상부에 형성된 수평 컨베이어벨트(214)가 회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토트박스(400)를 보관시 지지판(213)의 상부에 위치한 수직회전판(미 도시 )이 밀리면서 고정핀이 돌출되어 제 1 랙 구조물(100)에 형성된 제 1 걸림 포크단( 103)에 걸려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송부(200)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작업이 가능하다.
도 7은 운송부(200)가 좌측의 제 2 랙 구조물(300)으로 이동하는 동안 저장장치로부터 좌측의 지지판(213) 상부로 다른 토트박스(400)를 적치한 뒤, 좌측 지지판(213)이 좌측의 수평 컨베이어벨트(214)의 회전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운송부(200)가 좌측의 끝에 형성된 제 2 랙 구조물(300)로 좌측의 지지판(213) 상부에 적치된 토트박스(400)를 하역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토트박스(400)가 반출될 경우 제 2 걸림포크단(303)가 토트박스(400)를 걸어서 가져 나오는 동안 안착하여 저장판(215)이 슬라이딩과 함께 이송부(200)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여기서 저장 판(215)이 도 7에서와 같이 슬라이딩하여 뒤로 간 것을 제 2 랙 구조물(300)에 설치된 제 2 걸림포크단(303)과 이송부(200)의 각 층에 위치한 수평 컨베이어벨트( 214)에 의한 전진하는 힘으로 작용하여 본 위치로 위치하게 하여 다음 저장 혹은 반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토트박스(400)가 제 2 랙 구조물(400)로 저장이 되면서, 운송부(200)가 우측에 형성된 제 1 랙 구조물(100)으로 돌아오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제 1 랙 구조물
101: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
101a: 상단 도르래
101b: 벨트
101c: 하단 도르래
103: 제 1 걸림포크단
200: 이송부
210: 이송단
211: 가이딩 수직단
212: 이송 롤러단
213: 지지판
214: 수평 컨베이어벨트
215: 저장판
216: 판 스프링
300: 제 2 랙 구조물
301: 제 2 수직 컨베이어벨트
303: 제 2 걸림포크단
400: 토트박스
401: 걸림홈
402: 삽입단

Claims (17)

  1. 수직으로 적층되어 토트박스를 적치하는 둘 이상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치타워와, 승강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전후좌우로 상기 적치타워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다수의 승강타워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에 대한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된 자동창고로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해 토트박스를 전달하거나 상기 자동창고로 토트박스를 회수하기 위해 토트박스를 전달받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단이 상하로 다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수평상의 일 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송단의 개수와 동일한 제 1 걸림포크단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을 이용해 상하로 토트박스를 이동시켜 상기 이송단으로 적치하기 위한 제 1 랙 구조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수평상의 다른 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송단의 개수와 동일한 제 2 걸림포크단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걸림포크단을 이용해 상하로 토트박스를 이동시켜 상기 이송단으로 적치하기 위한 제 2 랙 구조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넓이 방향(D1)의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수평 컨베이어벨트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 이동하는 길을 제공하는 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길이 방향(L1)으로 2개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된 구조 상부의 넓이 방향(D1)의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수평 컨베이어벨트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 이동하는 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상기 2개가 연결된 구조의 지지판의 양쪽 끝단, 그리고 상기 2개가 연결된 지지판의 사이에 각각 제 1 가이딩 수직바와 제 2 가이딩 수직바의 쌍으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3개의 가이딩 수직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랙 구조물과 인접한 가이딩 수직단은, 상기 제 1 랙 구조물의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에 맞물려 있는 토트박스가 상기 이송단으로 적치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딩 수직바와 상기 제 2 가이딩 수직바는,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넓이 방향(D1)의 양쪽 끝단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상기 제 1 랙 구조물로부터 적치되는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한 것과, 상기 제 2 랙 구조물로 하역되는 토트박스를 하역시까지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넓이 방향(D1)으로 2개가 형성되는 저장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상기 제 1 가이딩 수직바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이송 롤러와 상기 제 2 가이딩 수직바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2 이송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랙 구조물과 인접한 가이딩 수직단을 구성하는 제 1 가이딩 수직바와 제 2 가이딩 수직바를 통해 적치되는 토트박스를 상기 저장판으로 밀착시키도록 내측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 롤러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은,
    상기 제 1 랙 구조물로부터 적치되는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판의 넓이 방향(D1)의 끝단과 맞닿으며, 길이 방향(L1)에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제 1 랙 구조물로부터 적치되는 토트박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판을 타고 넓이 방향(D1)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토트박스를 외부로 하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랙 구조물은,
    2개의 걸림포크의 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이송단의 개수만큼 형성된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가 상호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제 1 랙 구조물의 최상단에 형성된 상단 도르래;
    상기 제 1 랙 구조물의 최하단에 형성된 하단 도르래; 및
    상기 상단 도르래와 상기 하단 도르래 사이에 감겨져 형성되며, 수직 방향에는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가 길이 방향(L1) 중 상기 이송부를 향하는 쪽으로 형성되는 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포크단은,
    토트박스의 상단의 양쪽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삽입단으로 각각의 걸림포크가 삽입되어 토트박스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은,
    토트박스 상단의 양쪽 모서리로부터 길이 방향(L1)으로 형성된 수평방향 연장바와, 상기 수평방향 연장바로부터 높이 방향(H1) 중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방향 연장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2 랙 구조물은,
    2개의 걸림포크의 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 2 걸림포크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이송단의 개수만큼 형성된 제 2 수직 컨베이어벨트가 상호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제 2 랙 구조물의 최상단에 형성된 상단 도르래;
    상기 제 2 랙 구조물의 최하단에 형성된 하단 도르래; 및
    상기 상단 도르래와 상기 하단 도르래 사이에 감겨져 형성되며, 수직 방향에는 상기 제 2 걸림포크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걸림포크가 길이 방향(L1) 중 상기 이송부를 향하는 쪽으로 형성되는 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KR1020120052266A 2012-05-17 2012-05-17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KR10137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266A KR101377871B1 (ko) 2012-05-17 2012-05-17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266A KR101377871B1 (ko) 2012-05-17 2012-05-17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42A Division KR20140018420A (ko) 2014-01-20 2014-01-20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509A true KR20130128509A (ko) 2013-11-27
KR101377871B1 KR101377871B1 (ko) 2014-03-24

Family

ID=4985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266A KR101377871B1 (ko) 2012-05-17 2012-05-17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8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0050A (en) 1993-09-09 1994-09-27 Donald L. Collver Continuous vertical conveyor
JP4816503B2 (ja) 2007-02-27 2011-11-16 株式会社ダイフク 埋設レール装置
KR101049977B1 (ko) 2011-03-03 2011-07-19 이상철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871B1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7061B2 (ja) 物品搬送設備
JP5605430B2 (ja) 自動倉庫及び自動倉庫への入庫方法
JP2022017357A (ja) アイテムをピッキ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078017B2 (en) Automated bot with transfer arm
US20160200511A1 (en) Storage and/or order collection system
JP2016052947A5 (ko)
CN104925444B (zh) 一种移动堆垛式自动立库
JP2016512806A5 (ko)
KR20120135246A (ko) 다층 자동 창고
US10336561B2 (en) Article loading facility
CN217050074U (zh) 机器人、料箱转移装置、料箱转移系统
TW202246149A (zh) 機器人和料箱轉移系統
US20240101347A1 (en) High-Density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2018052670A (ja) 自動倉庫
CN105151613B (zh) 一种升降堆垛式自动立库
JP5170552B2 (ja) 物品保管設備
KR101377871B1 (ko)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KR101561226B1 (ko) 이송대차 시스템
KR20140018420A (ko) 자동창고로의 토트박스 저장 및 회수를 위한 로드 장치
JP4619497B2 (ja) タイヤ用自動倉庫
JP2024511548A (ja) 物品輸送方法および設備
US11383929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and article transport method
JP6070448B2 (ja) パレット交換装置
JP7171992B2 (ja) ケース移載システム及びケース移載方法
KR20110101520A (ko) 자동물류용 소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