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554A - 신발류용 밑창 유닛 - Google Patents

신발류용 밑창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554A
KR20130127554A KR1020137029019A KR20137029019A KR20130127554A KR 20130127554 A KR20130127554 A KR 20130127554A KR 1020137029019 A KR1020137029019 A KR 1020137029019A KR 20137029019 A KR20137029019 A KR 20137029019A KR 20130127554 A KR20130127554 A KR 2013012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le
sole unit
unit according
barri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파이커트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Abstract

신발류(11)용 투습성 및 투수성 밑창 유닛(15)은, 그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큰 관통 구멍(27)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밑창층(25)과,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상하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시트 구조체로서, 제1 시트 구조체는 투습성 배리어층(39)을 갖고, 제2 시트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의 영역에서 적어도 제1 시트 구조체 아래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 내의 밑창층(25)의 저부로부터 볼 수 있는 투습성 장식층(45)을 갖는 것인 적어도 2개의 시트 구조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45)은 섬유층(39)의 재료에 의해 방지될 수 있거나, 몇몇 어려움을 갖고 섬유층(39)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는 밑창 유닛(15)의 하부면의 외관을 위한 미관적인 및 시각적인 디자인 가능성의 달성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신발류용 밑창 유닛{SOLE UNIT FOR FOOTWEAR}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방수성 및 투습성 갑피를 지닌 신발류를 이용할 수 있었는데, 이 갑피는 그 방수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신발류가 갑피 영역에서 땀 수분을 배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땀 수분이 밑창(sole) 영역 내로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그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겉창(outsole) 및 또한 예를 들어 멤브레인의 형태의 방수성 및 투습성 밑창 기능층을 갖는 밑창 구조체에 스위치가 형성된다. 일 예는 그 겉창이 투습도의 대응 제한을 갖는 미세 구멍의 형태의 관통 구멍을 갖는 EP 0 382 904 A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인간 발의 강한 발한 경향(sweating tendency)에 대해 상당한 투습도를 제공하기 위해, 미세 구멍에 비해 큰 관통 구멍을 갖는 겉창을 제공하는 스위치가 형성되었다. 일 예는, 그 교시로부터 특히 높은 투습도를 달성하기 위해 가능한 한 크게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EP 0 275 644 A2호에 개시되어 있다.
겉창의 관통 구멍이 커질수록, 겉창의 관통 구멍 위에 위치된 방수성 멤브레인이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돌멩이(pebble)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고, 따라서 그 방수성이 손상될 수 있게 되는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EP 0 275 644 A2호는 예를 들어 격자형 또는 펠트(felt) 재료로 제조된 보호층이 그 관통 구멍을 갖는 겉창과 겉창 위에 위치된 멤브레인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 보호층은 겉창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멤브레인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한다.
관통 구멍이 신발 내부로의 물의 통과에 대해 멤브레인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보호층이 멤브레인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며 멤브레인으로의 이물질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의도되어 있는 겉창의 큰 관통 구멍을 갖는 추가의 예가 WO 2004/028284 A1호, WO 2006/010578 A1호, WO 2007/147421 A1호 및 WO 2008/003375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 모든 경우에, 미세 메시의 형태의 직물 백킹(backing)이 일반적으로 필름인 멤브레인의 일 측면 상에 적층된다. 멤브레인과 겉창의 관통 구멍 사이에 배열된 메시형 보호층은 멤브레인으로의 이물질의 통과에 대한 특정 정도의 보호를 제공한다. 멤브레인을 위한 보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펠트층인 추가의 보호층이 멤브레인과 메시형 보호층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2개의 중첩된 층이 참여하는 멤브레인을 위한 2중 보호가 생성되고, 각각의 층은 그 자신의 기술적인 보호 기능을 갖는다.
이들 층 및 이들의 두께 및 천공 강도값을 위한 재료 선택이 대응하는 실용적인 변형의 요건에 적응되어야 한다. 이는 공지의 해결책 및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는 해결책에 적용된다.
매우 큰 밑창 개구의 다른 예가 WO 2007/101624 A1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 특허 출원에 따르면 겉창의 큰 관통 구멍은 바(bar) 및/또는 격자 구조에 의해 안정화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관통 구멍 내에 끼워진 펠트형 재료와 같은 투습성 직물 재료를 갖는다. 이 방식으로 구성된 신발 밑창 복합체는 그 갑피 저부가 방수성 및 투습성 갑피 저부 기능층으로 폐쇄되어 있는 갑피에 연결되어, 전체 신발이 방수성 및 투습성이 된다.
용융 온도의 견지에서 상이한 적어도 2개의 섬유 구성 요소를 갖는 섬유층이 직물 재료에 특히 매우 적합하고, 제1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용융 온도 및 제1 용융 온도보다 낮은 제1 연화 온도 범위를 가지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용융 온도 및 제2 용융 온도보다 낮은 제2 연화 온도 범위를 갖고, 제1 용융 온도 및 제1 연화 온도 범위는 제2 용융 온도 및 제2 연화 온도 범위보다 높으며, 섬유층은 열적 수단에 의해 강화되는 영역의 투습도를 유지하면서 제2 연화 온도 범위 내의 점착 온도를 갖는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열적 활성화의 결과로서 기계적으로 강화된다. 이 경우에, 관통 구멍 또는 선택적으로 겉창의 다수의 관통 구멍은 개별 부분의 직물 재료로 폐쇄될 수 있고, 또는 겉창의 모든 관통 구멍이 단일 부분(single piece)의 직물 재료로 폐쇄된다.
이 공지의 신발류의 직물 재료는 2개의 기능을 갖는다. 먼저, 직물 재료는 특히 큰 개구를 갖는 겉창이 밑창 구조체의 안정화에 그 자체로 적절하게 기여할 수 없다는 사실에 관하여, 밑창 구조체의 안정화를 위한 기능을 한다. 직물 재료는 비교적 높은 고유 안정도를 갖고 형성되는데, 이는 밑창 구조체의 전체 안정성에 유리하다. 둘째로, WO 2007/101624 A1호에 따른 완성된 신발류에서, 예를 들어 방수성, 투습성 멤브레인이 밑창 구조체 위에 위치되고, 멤브레인을 손상시킬 수 있는 돌멩이와 같은 이물질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직물 재료에 의해 보호된다.
예를 들어, PES(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PA(폴리아미드) 및 폴리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가 직물 재료에 특히 매우 적합하다.
전술된 WO 2007/101624 A1호에 따른 일 변형예에서, 직물 재료는 그 각각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되는 2개의 섬유 구성 요소를 갖는 기계적 열적으로 강화되고 추가적으로 열 표면 처리에 의해 표면 강화되는 부직포 직물의 형태의 섬유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더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1 섬유 구성 요소가 이어서 섬유 복합체의 지지 구성 요소를 형성하고, 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2 섬유 구성 요소가 강화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 특히 신발류가 제조 중에, 예를 들어 겉창의 성형 중에 비교적 높은 온도에 노출될 수 있다는 사실의 견지에서, 적어도 180℃의 전체 섬유 복합체의 온도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된 변형예에서 180℃를 넘는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양 섬유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된다. 이들 아래에 대응하게 위치하는 상이한 용융 온도 및 연화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상이한 변형예가 존재한다. 펠트형 재료의 고려된 변형예에서, 약 230℃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가 제1 구성 요소에 대해 선택되고, 반면에 제2 섬유 구성 요소에 대해 약 200℃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가 선택된다. 제2 섬유 구성 요소는 코어-쉘(core-shell) 섬유일 수 있고, 이 섬유의 코어는 약 230℃의 연화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이 섬유의 쉘은 약 200℃의 점착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상이한 용융 온도의 2개의 섬유 부분을 갖는 이러한 섬유 구성 요소는 또한 "비코(Bico)"라 칭한다. 펠트형 재료가 수반될 수 있는 이러한 직물 재료에 관한 추가의 정보는 이미 언급된 WO 20007/101624 A1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2개의 전술된 목적, 즉 안정화 및 멤브레인 보호에 특히 매우 적합한 열적 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강화된 직물 재료는, 강화 구성 요소로서 기능하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그 섬유 구성 요소가 만족스럽게 건조될 수 없거나 단지 불충분하게만 건조될 수 있고, 따라서 섬유 복합체 내에 백색부를 잔류시키고, 이는 직물 재료 전체에 불만족스러운 외관을 제공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는 직물 재료가 겉창의 큰 관통 구멍을 통해 가시화되기 때문에 결점으로서 주목될 수 있게 된다. 밑창 구조체의 저부에 또한 최신 유행의 외관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적절하고 다양한 염색에 의해 전체 신발류 및 따라서 또한 그 밑창 저부를 최신 유행에 맞게 구성하기 위한 증가하는 요구는 따라서 이 직물 재료로는 만족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다른 재료로, 예를 들어 케블라(KEVLAR)와 같은 아라미드(aramid) 섬유로 이루어진 펠트형 재료로 밑창 내의 큰 개구를 폐쇄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아라미드 섬유는 또한 건조될 수 없거나, 또는 단지 매우 열악하게만 건조될 수 있어, 전술된 문제점이 이 경우에도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예컨대 나일론으로 제조된 메시로 큰 밑창 개구를 폐쇄하는 것이 전술된 WO 20006/010578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펠트층의 보호층과 메시층에서 연결될 수 있는 멤브레인이 이 메시 위에 위치된다. 메시는, 특히 보행 중에 대응하도록 설계된 신발과의 외부 접촉으로부터 메시가 구조체로부터 해제되고 이어서 밑창 개구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메시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느슨한 메시 및/또는 현수하는 섬유는 시각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몇몇 상황 하에서는 신발의 안전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펠트형 재료 대신에 직물 섬유 또는 니트가 사용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는데, 이는 또한 사용되는 섬유에 기인하는 비염색성의 문제점을 갖고, 여기서 또한 개별 섬유가 섬유 복합체로부터 분리되게 될 수 있다.
인용된 케이스에서, 사용된 섬유의 비염색성 또는 섬유 구조체에 대한 작은 손상은 사용된 재료 및 따라서 이를 구비한 신발의 불만족스러운 외관을 유도할 수 있다.
밑창 유닛의 투습도 또는 그 배리어 또는 보호 기능을 심각하게 손상시키지 않고, 염색 및 패터닝뿐만 아니라 재료 선택에 대해 밑창 구조체의 저부의 만족스럽고 매우 임의적인 최신 유행의 구성을 허용하는 신발류용 밑창 유닛이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청구항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밑창 유닛에 의해 달성되며 이 밑창 유닛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가 청구항 25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는 종속 청구항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용 밑창 유닛은 투습성(water vapor permeable) 및 투수성(water permeable)이고, 그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큰 면적의 관통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밑창층을 갖는다. 밑창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적어도 2개의 중첩된 제1 및 제2 시트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갖고, 상기 시트 구조체의 제1 시트는 투습성 직물 배리어층을 갖고, 상기 시트 구조체의 제2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의 영역에서 적어도 제1 시트 아래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통해 밑창층의 저부에서 보이는 투습성 장식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배리어층은 용융 온도와 관련하여 상이한 적어도 2개의 섬유 구성 요소를 갖는 섬유층으로 구성되고, 제1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용융 온도 및 제1 용융 온도보다 낮은 제1 연화 온도 범위를 가지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용융 온도 및 제2 용융 온도보다 낮은 제2 연화 온도 범위를 갖고, 제1 용융 온도 및 제1 연화 온도 범위는 제2 용융 온도 및 제2 연화 온도 범위보다 높다. 섬유층은 기계적 열적으로 강화된 범위의 영역에서 투습도를 유지하면서 제2 연화 온도 범위 내의 점착 온도로의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열적 활성화의 결과로서 열적 기계적으로 강화된다.
특히 방금 언급된 유형의 밑창 유닛을 갖는 신발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에 의해 개구라고 칭하는 큰 면적의 관통 구멍을 통해 겉창의 저부에서 보이는 밑창 유닛의 재료를 덮는 데에는 상이한 이유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된 섬유층을 갖는 밑창 유닛에서의 상기 장식층의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강화 구성 요소로서 기능하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섬유 구성 요소의 염색이 이 섬유 구성 요소의 연화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로 이 섬유 구성 요소를 가열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섬유 구성 요소를 염색할 수 없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이는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다른 섬유 구성 요소와는 상이하다. 그 용융 온도는 염색을 위해 요구되는 온도보다 높다. 따라서, 염색은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섬유 구성 요소에 대해서가 아니라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섬유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가능하여, 미관적으로 호소력이 없는 외관을 유도하는 직물 재료의 섬유 구성 요소 내의 백색 얼룩이 회피될 수 있게 된다.
이 문제점은 직물 재료의 불만족스러운 채색이 견뎌지고 적절한 색상 또는 염색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장식층이 이 직물 재료의 앞에 위치되며, 이 재료는 예를 들어 그리드형 또는 네트형이거나 높은 투습도를 갖는 천공된 시트 또는 직물 재료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장식층에 의한 밑창 유닛의 투습도를 거의 손상시키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섬유층을 갖는 밑창 구조체에서 부닥치게 된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투습도에 어떠한 악영향도 갖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서, 직물 섬유층의 덜 매력적인 외관이 장식층의 후방에 은폐될 수 있고, 이는 직물 재료와 함께 전술된 색상 또는 염료에 대해 제한을 받게되지 않는다. 따라서, 장식층은 염색되고 거의 임의의 패션 사상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전술된 섬유층의 직물 재료에 대해서는 가능하지 않다. 용이하게 염색되거나 및/또는 패터닝되거나 자연스럽게 매력 및/또는 패턴을 가질 수 있는 재료를 의도적으로 장식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기술적인 요건, 즉 보호 기능 및 미관적인 요건, 즉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외관이 더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이들 2개의 요건에 부합하는 것이 더 이상 단일층으로 시도되지 않고 대신에 요건들이 그 각각이 그 특정 요건 및 기능에 대해 의도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2개의 상이한 층 사이에 분배되는 점에서 상업적으로 더 매력적이게 된다. 한편, 기술적인 기능을 갖는 층에서, 적어도 중도의 매력적인 미관적인 인상을 달성하기 위해 더 이상 절충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없다. 다른 한편, 미관적인 기능을 갖는 층은 다른 층의 기술적인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의 이 기능에 따라서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인 기능, 예를 들어 안정화 기능 및 미관적인 기능의 본 발명에 따른 분리에 관한 다양한 상업적인 장점이 존재한다. 기술적인 기능을 갖는 층, 예를 들어 안정화층은 표준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술적으로 효율적인 층을 구비하는 모든 신발에 대해 사용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매우 비용 효율적이다. 미관적인 기능을 갖는 층, 즉 장식층은 표준 분류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데, 이는 또한 매우 비용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열적으로 강화된 섬유층의 2개의 구성 요소를 위한 재료가 색상 또는 염색에 대해 전술된 제한을 받지 않거나 받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층의 열적 기계적으로 강화되는 직물 재료는 장식층에 적합한 재료보다 가격이 높다. 예를 들어 상이한 패션 구성을 갖는 상이한 연령 그룹에 응답하기 위해, 특히 레저 신발의 고급 패션 시장 분야에서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패턴을 갖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신발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강한 경향이 존재한다. 이 요건이 상이하게 착색되고 패터닝된 섬유층으로 충족되면, 각각의 신발 제조업자는 대응하도록 착색되고 및/또는 패터닝된 상이한 섬유층을 획득하고 비축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섬유층의 제조업자 및 신발 제조업자의 모두에 대해 사업 계획적 관점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색상 및/또는 패턴마다 비교적 제한된 수의 부분의 결과로서 신발 제조업자에 대한 더 높은 구매 비용에 대해 결점이 될 수 있다. 장식층이 사용될 때, 밑창 유닛의 저부의 외관이 더 이상 섬유층 재료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장식층의 외관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신발 제조업자는 균일한 섬유층 재료를 주문할 수 있고, 밑창 유닛의 저부의 시각적 및 패션 외관에 대해 장식층에 집중할 수 있다. 신발 제조업자 또는 신발 제조업자 자체가 그 신발용 밑창을 제조하지 않는 경우에 밑창 제조업자는 목표된 양 및 색상뿐만 아니라 구조 및 재료 유형에서 이 목적으로 재료를 주문할 수 있고, 또는 염색 및 색상 패턴에 대해 재료를 그 자신이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조업자는 다수의 공급자로부터 그가 원하는 장식층을 위한 재료를 주문할 수 있어, 가격 및 상이한 재료의 이용 가능성의 모두에 대해 상이한 재료 제조업자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섬유층의 재료가 원하는 사상에 따라 염색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특히 사업 계획, 다변성 및 가격의 전술된 이유에 대해, 추가의 장식층을 갖는 색상 및 패턴에 대해 밑창 유닛의 저부를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장식층을 위한 재료가 예를 들어 스프레이,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그 제조 후에 염색되어야 하면, 단지 원하는 투습도가 유지되기에 충분하게 장식층의 재료의 메시 또는 다른 개구 또는 기공이 개방 유지되는 방식으로만 염색 또는 패터닝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단 및 방법에 의한 이러한 색상 구성은 직물층, 특히 공지의 경우에 겉창의 관통 구멍을 통해 가시화되는 펠트층에서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특히 미세하게 구조화된 유형의 색상 패턴은 펠트와 같은 직물 재료의 표면에 충분한 레졸루션(resolution)을 갖고 생성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것은 단지 스프레이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한 색상의 적용 중에 이러한 재료의 표면은 상당히 폐색되어 원하는 투습도가 더 이상 달성될 수 없게 되는 어려움만을 갖고 회피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기술은 비교적 고비용이다. 직물 재료의 엠보싱은 불균일한 표면 높이를 초래하는데, 이는 직물층 내로의 밑창 재료의 흐름이 계산될 수 없기 때문에 밑창 재료의 성형 중에 또한 결점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은 섬유층이 2개의 섬유 구성 요소를 갖고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연화 온도 범위가 제2 섬유 구성 요소를 염색하기 위해 요구되는 온도보다 낮은 제2 섬유 구성 요소에 재료가 사용되는 변형예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에, 백색 스폿을 갖는 섬유층의 미관적으로 덜 매력적인 외관이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으로 라미네이팅될 수 있어 밑창 유닛의 저부가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을 구비한 밑창 유닛을 갖는 신발이 더 젊은 소비자를 향해 지향되는 경우에, 장식층에 의해 달성되는 "메탈 룩(metal look)"이 매력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금속의 외관을 제공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목적을 위해 규정된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서, 장식층의 재료는 금속, 예를 들어 금속 그리드 또는 금속 네트로만 이루어진다. 이 목적을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서, 장식층의 재료는 금속화된 플라스틱 그리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얀(yarn) 구조 또는 얀 네트의 형태가 되는 금속화된 섬유로 구성된다.
순금속 장식층에 대한 재료의 예는 철, 알루미늄 및 강철이다. 금속화된 플라스틱의 장식층에 대한 재료의 예는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 니클라스도르프 소재의 Platingtech Besshichtung GmbH & Co. KG로부터의 POLYMET
Figure pat00001
과 같은 주석, 은, 구리, 니켈 또는 다른 합금의 외장을 갖는 직조, 편조 및 경편 직물이다. 재료는 내인열성,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된다. 비금속화된 플라스틱의 장식층에 대한 재료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머,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이탈리아 25030 조코 데르부스코 소재의 Panatex로부터의 폴리아미드 메시 실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가공, 예를 들어 천공에 의해 투습성이 된 재료, 또는 또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조된 천공된 금속 시트, 또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직물, 가죽, 금속, 유리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자연적으로 투습성인 시트 재료가 또한 장식층에 대한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한, 원하는 색상 및 패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장식층에 대한 전술된 재료의 예를 서로 또는 추가의 재료와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기판 및 기판의 표면을 덮는 코팅부를 갖고, 코팅부는 염색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 장식층을 위한 상이한 재료 요건이 조합될 수 있는데, 장식층의 원하는 또는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 및 원하는 투습도에 기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원하는 기계적 특성 및 원하는 투습도를 갖는 기판이 단지 미관적인 관점에 따라서만 염색되고 패터닝될 수 있는 코팅부와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방진성(dirt repellant) 재료로 구성된다.
장식층이 네트형, 그리드형 또는 메시형 재료, 예를 들어 직물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에, 장식층은 모노필라멘트 섬유 또는 멀티필라멘트 얀(yar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얀은, 그 사이에 모세관 영역이 존재하는 다수의 섬유로 구성된다. 오물과 같은 오염 물질, 오수와 같은 오염된 액체 또는 오일과 같은 오염 액체가 상기 얀 내에 침투할 수 있고, 얀으로부터 재차 거의 제거될 수 없어 얀 및 얀으로 구성된 장식층이 영구적으로 비가역적으로 오염되어 보일 수 있거나 적어도 시각적으로 손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이는 장식층이 자연적으로 어떠한 모세관 채널도 갖지 않는 모노필라멘트 섬유로 구성된다는 사실에 의해 방지된다. 이 유형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비흡수성인 섬유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가 모노필라멘트 섬유에 대해 사용된다.
장식층이 얀, 즉 멀티필라멘트 구조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오염 물질의 혼입은 실리콘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얀을 피복함으로써 방지되어, 이 장식층의 네트 또는 그리드형 개구가 개방 유지되고, 따라서 투습도가 유지되게 된다. 얀의 이 외장 피복(sheathing)에 의해, 상기 오염 물질이 얀을 형성하는 섬유 사이에 침투할 수 없다. 거의 제거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영구적인 장식층의 오염이 이에 의해 방지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얀의 색상 및 따라서 장식층의 색상은 이러한 본질적으로 무색 재료로의 외장 피복에 의해 가시화되어 유지된다.
다른 변형예에서, 멀티필라멘트 얀의 모세관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플라스틱으로 충전되거나 함침된다. 이에 의해 모세관 영역 내로의 오물의 침투가 억제되고, 장식층의 영구적인 오염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단지 에지 영역에서만 배리어층에 연결되어, 특히 보행 이동 중에 서로 연결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배리어층에 대해 장식층의 상대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는 장식층이 아래에 놓여 있는 밑창층, 특히 겉창의 큰 면적의 관통 구멍 위에 위치되는(그리고, 이 큰 표면적의 관통 구멍을 통해 가시화되는) 모든 장소에서, 장식층이 배리어층에 결합되지 않고, 이는 적어도 이 큰 면적의 결합되지 않은 관통 구멍의 영역에서 배리어층에 대한 장식층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그리드 또는 네트 개구 내에 고정되게 되는 건조된 진흙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이 장식층의 이 상대 이동에 의해 느슨해지거나 해제될 수 있어, 오염 물질이 탈락 제거될 수 있고 청결한 장식층이 유지된다. 이러한 오물-느슨해짐(dirt-loosening) 상대 이동은 또한 예를 들어 오물이 매우 견고하게 부착되어 보행 이동에 의해 장식층으로부터 적절하게 느슨해지지 않을 때, 손으로 구부려 발로부터 분리되는 신발류의 밑창 구조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단지 주위 에지 영역에서만 배리어층에 연결된다. 배리어층에 하나 이상의 바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장식층은 또한 또는 추가적으로 바 또는 커넥터들의 영역에서 배리어층에 연결될 수 있다. 단지 장식층이 밑창층, 예를 들어 겉창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위치되어 있는 배리어층으로부터 분리 유지되어, 배리어층에 대한 장식층의 오물 느슨해짐 상대 이동이 거기서 가능하게 되는 것만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앞서 개시된 2개의 방편이 조합된다. 이 변형예에서, 한편으로는 장식층이 단지 에지 영역에서만 배리어층에 연결되어 연결되지 않은 영역에서 언급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장식층의 개구 내에 고착되어 있는 오물의 느슨해짐 및 탈락 제거를 촉진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실리콘 재료에 의해 피복되거나 함침된 얀이나 모노필라멘트 재료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이 얀을 침투할 수 없고 얀은 청결한 원래 색상 외관으로 유지된다. 이 변형예에서, 오물은 네트형 또는 그리드형 장식층의 개구 내로 침투할 수 있고, 여기서 장식층과 배리어층 사이의 개략 설명된 상대 이동의 결과로서 탈락 제거될 수 있어, 장식층이 재차 청결하게 되고 원래 시각적 외관을 갖게 된다.
장식층의 개구로부터 오물의 느슨해짐은, 앞서 설명된 방편에 추가하여, 예를 들어 열적 표면 처리에 의해 평활화되고 표면이 폐쇄될 수 있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어도 장식층을 향하는 그 측면에서 비교적 평활하고 폐쇄된 표면을 갖는 배리어층이 사용되는 변형예에서 특히 효율적이고 완전하다. 이러한 배리어층이 사용될 때, 오물은 배리어층의 평활한 폐쇄된 표면에 고착되지 않기 때문에 단지 장식층의 개구에만 침전된다. 한편으로는 단지 에지에서만 배리어층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리콘 또는 유사 재료로 함침되거나 피복된 얀 또는 모노필라멘트 재료로 구성되는 장식층과 평활한 표면을 갖는 배리어층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이 변형예에서, 장식층의 특히 효율적이고 완전한 청결 유지가 달성되고, 따라서 장식층 및 따라서 신발류의 신발 구조체의 저부의 손상되지 않은 시각적 외관의 유지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가죽으로 구성되고, 이 가죽은 가죽 구조체 내로의 오염 물질의 침투 및 따라서 이 장식층의 시각적 외관의 손상을 저지하기 위해 물, 오일 및 오물 저항성이 되도록 피니싱 처리된다. 플루오로카본, 특히 플루오로카본 수지의 형태, 실리콘 함유제 등이 예를 들어 이 목적을 위해 피니싱 재료로서 적합하다. 이 변형예에서, 장식층으로서 기능하는 가죽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방금 설명된 장식층과 배리어층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따라서 장식층으로부터 건조된 오물의 탈락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단지 그 에지 영역에서만 배리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10,000 g/m2·24 h 내지 50,000 g/m2·24 h의 범위, 특히 20,000 g/m2·24 h 내지 30,000 g/m2·24 h의 범위의 투습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은 26,000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여기서 배리어층 또는 섬유층(직물 재료)이라고도 칭하는 안정화층은 3,000 g/m2·24 h 내지 20,000 g/m2·24 h의 범위, 특히 8,000 g/m2·24 h 내지 15,000 g/m2·24 h의 범위의 투습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안정화층은 12,588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다. 장식층 및 안정화층에 대한 투습도의 이러한 값에 의해, 전체 밑창 유닛을 위해 바람직한 투습도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전체 밑창 유닛은 1,000 g/m2·24 h 내지 20,000 g/m2·24 h의 범위, 특히 6,000 g/m2·24 h 내지 12,000 g/m2·24 h의 범위의 투습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전체 밑창 유닛의 투습도는 9,337 g/m2·24 h이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장식층이 할당되는 밑창 유닛의 밑창층은 사출 가능한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는 섬유층 및 장식층이 밑창층 재료를 통해 밑창층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밑창층이 섬유층 및 장식층 상에 성형되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허용한다. 일 변형예에서, 섬유층 및 장식층은 밑창층 재료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섬유층 및 장식층은 밑창층 재료가 통과될 수 있다. 이들 변형예는 밑창층, 섬유층 및 장식층의 특히 유리한 연결을 허용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연결은 비용이 적게 들고 기술적인 요구가 적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밑창층은 겉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밑창층은 밑창 유닛의 중간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섬유층 및 장식층은 서로 조합하여 인서트를 형성한다. 이는 동일한 겉창이나 중간창 및/또는 다른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는 동일한 유형의 밑창 구조체가 예를 들어 특히 이들의 장식층에 대해 서로 상이한 상이하게 구성된 인서트와 이들의 조합에 의해 사업 계획적으로 유리한 관점에서 합리적이고, 따라서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교적 다수의 밑창 유닛을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을 구비하고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에 방수성 및 투습성 갑피 저부 기능층을 구비하는 갑피를 갖는 밑창 유닛을 갖는 신발류를 형성하고, 이때 갑피 저부 기능층을 구비하는 밑창 유닛은, 갑피 저부 기능층이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의 영역에서 적어도 섬유층에 접합되지 않도록 갑피 단부 영역에 접합된다. 이는 관통 구멍(들)의 영역에서의 갑피 저부 기능층과 섬유층 사이에 투습도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높은 투습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신발류는 갑피 저부 기능층에 추가하여, 갑피 저부 기능층에 방수성으로 접합되거나 그에 접합되어 양말형 인서트[또한 부티(bootie)라 칭함]를 형성하는 갑피 외측부 재료의 상당한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갑피 기능층을 갖는다.
이러한 신발류(발 삽입 개구는 제외)는 한편으로는 전체적으로 방수성이지만 여전히 투습성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신발류의 밑창 저부의 외관에 대해 거의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미관적 이유로 또는 신발 제조업자가 신발 제조업자에게 요구되는 밑창 저부의 특정 시각적인 구성을 원하기 때문에 패션 신발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정의 및 시험 방법
신발류:
발 삽입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밑창 또는 하나의 밑창 유닛을 갖는 폐쇄된 상부 부분(갑피 구조)을 갖는 발 덮개.
갑피 외측부 재료:
갑피의 외측부, 그리고 이에 따라 갑피 구조를 형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가죽, 직물, 플라스틱 또는 다른 기지의 재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로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투습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밑창측의 갑피 외측부 재료의 하부 단부는 밑창 또는 밑창 유닛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고 갑피와 밑창 또는 밑창 유닛 사이의 경계 평면 위의 영역을 형성한다.
인레이(inlay) 밑창(안창):
인레이 밑창은 갑피 저부의 부분이다. 밑창측의 하부 갑피 단부 영역이 인레이 밑창에 체결된다.
밑창:
신발은 적어도 하나의 겉창을 갖지만, 또한 서로 중첩하여 배열되어 밑창 유닛을 형성하는 다수의 유형의 밑창층을 가질 수 있다.
겉창:
겉창은 바닥/지면과 접촉하거나 바닥/지면과의 주 접촉을 이루는 밑창 영역의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겉창은 바닥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면을 갖는다.
중간창:
겉창이 갑피 구조에 직접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 중간창이 겉창과 갑피 구조 사이에 삽입된다. 중간층은 예를 들어, 쿠션, 완충 또는 충전재 재료로서 작용할 수 있다.
부티:
갑피 구조의 양말형 내부 라이닝을 부티라 칭한다. 부티는 신발류의 내부를 본질적으로 완전히 덮는 갑피 구조의 쌕형(sack-like) 라이닝을 형성한다.
기능층:
예를 들어 멤브레인 또는 대응하도록 처리되거나 피니싱 처리된 재료,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된 직물의 형태의 방수성 및/또는 투습성 층. 기능층은 갑피 저부 기능층의 형태의 갑피 구조의 갑피 저부의 적어도 하나의 층일 수 있지만, 또한 갑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이닝하는 갑피 기능층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갑피 기능층 및 갑피 저부 기능층은 다층, 일반적으로 2층, 3층 또는 4층 멤브레인 적층체의 부분일 수 있다. 갑피 기능층 및 갑피 저부 기능층은 각각 기능층 부티의 부분일 수 있다. 기능층 부티 대신에, 갑피 기능층 및 개별 갑피 저부 기능층이 사용되면, 이들은 예를 들어 방수성 밀봉부 내에서 서로에 대한 갑피 구조의 밑창측 하부 영역에서 서로 밀봉된다. 갑피 저부 기능층 및 갑피 기능층은 상이한 재료 또는 동일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방수성, 수증기 불투과성 기능층을 위한 적절한 재료는 특히, 문헌 US-A-4,725,418 및 US-A-4,493,870에 설명된 바와 같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이들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서, 기능층은 예를 들어 문헌 US-A-3,953,566 및 US-A-4,187,390에 설명된 바와 같이 미세다공성 팽창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으로 구성된다. 일 변형예에서, 기능층은 친수성 함침제 및/또는 친수성 층을 구비한 팽창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된다(예를 들어 문헌 US-A-4,194,041호 참고). 미세다공성 기능층은 그 평균 기공 크기가 약 0.2 ㎛ 내지 약 0.3 ㎛인 기능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층체:
적층체는 일반적으로 상호 접착에 의해 서로 영구적으로 접합되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복합체이다. 기능층 적층체에서, 방수성, 투습성 기능층에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이 마련된다. 또한 백킹이라 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은 주로 그 처리 중에 기능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2층 적층체를 일컬을 수 있다. 3층 적층체는 2개의 직물층 내에 매립된 방수성, 투습성 기능층으로 이루어진다. 기능층 및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은 수증기 불투과성 접착제의 불연속적인 접착제층에 의해 또는 연속적인 투습성 접착제층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일 변형예에서, 스폿형 패턴의 형태의 접착제가 기능층과 하나 또는 2개의 직물층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의 스폿형 또는 불연속적인 도포는, 그 자체로는 투습성이 아닌 접착제의 전체 표면층이 기능층의 투습성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루어진다.
배리어층:
배리어층은 보호될 재료층, 특히 기계적으로 민감한 기능층 또는 기능층 멤브레인에 대한 입자 또는 이물질, 예를 들어 돌멩이의 형태의 물질의 통과에 대한 배리어로서 기능한다.
장식층:
장식층은 미관적인 이유로 제공되는 재료층이며, 이러한 장식층의 기능은, 특히 재료층이 불만족스러운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미관적인 외관을 갖는 경우, 장식층이 없는 상태에서 볼 수 있으며 장식층으로 덮이고 기술적 기능을 위해 특별히 마련되는 재료층의 외관을 덮는 것을 포함한다.
다공성: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과 관련하여, 다공성은 장식층의 재료가 자연적으로 투수성 및 투습성 또는 처리의 결과로서의 투과성인 것을 의미한다.
내천공성:
직물 조직의 내천공성은 인스트론(Instron) 인장 시험기(모델 4465)의 시험 도구를 사용하여 EMPA(Federal Material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 연방 재료 시험 연구소)에 의해 사용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펀치로, 13 cm 직경의 원형 직물편이 펀칭되고, 17개의 구멍이 위치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된다. 17개의 핀형 니들(재봉 니들 타입 110/18)이 체결되는 펀치는, 1,000 mm/min의 속도로 니들이 지지 플레이트의 구멍 내로 직물편을 통과할만큼 충분히 멀리 하강된다. 직물편의 천공을 위한 힘은 측정 프로브(힘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결과는 동일한 수의 3개의 샘플로부터 결정된다.
배리어층 또는 안정화층과 같은 재료층의 내천공성은 영국 NN16 8SD 노스햄턴샤이어 케터링 윈드햄 웨이 소재의 SATRA Technology Center의 시험 방법 TM 37 SATRA로 시험된다.
참조 문헌:
*유럽 표준(European Standard) EN 344-1, 특히 섹션 4.3.3(관통 저항).
시험 설명:
날카로운 팁이 장화 또는 신발 저부를 관통하도록 강화된 강철 못을 구동하는 데 요구되는 힘이 결정된다.
에시험 장치-파라미터:
독일 64319 풍슈타트 베르너-폰-지멘스-슈트라쎄 2 소재의 Instron Deutschland GmbH로부터의 인열 시험 디바이스,
4.5 mm의 직경 및 30°의 팁 각도를 갖는 날카로운 팁이 마련된 강철 못이 앤빌(anvil)로서 기능함,
전진 속도는 10±3 mm/min임,
시험 위치: 시험 TM 37 SATRA는 밑창의 내천공성 시험을 위해 서로로부터 적어도 20 mm의 간격을 갖는 밑창 상에 분포된 4개의 시험 위치[발 내측의 볼(ball), 발 외측의 볼, 발등 영역, 발꿈치]를 규정한다. 배리어층의 내천공성은, 그러나 이를 구비한 밑창층의 높은 투습도를 위해 제공된 큰 표면적의 관통 구멍의 영역에서만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통과에 의해 직접 위협을 받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제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통 구멍이 발꿈치 영역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본 발명의 이들 변형예에서는, 발꿈치 영역의 시험 위치는 시험 TM 37 SATRA의 사용 중에 배제된다.
내천공성의 정의:
본 발명과 관련하여, 내천공성이라는 것은 시험되는 재료,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안정화 재료 또는 배리어 재료는 천공 시험 TM 37 SATRA에서 적어도 40 뉴턴의 힘을 견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께: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안정화 재료의 두께는 DIN ISO 5084(10/1996)에 따라 시험된다.
방수성:
기능층/기능층 적층체/멤브레인은, 적어도 1×104 Pa의 입수 압력을 보장하면, 선택적으로 기능층/기능층 적층체/멤브레인 상에 제공된 시임을 포함하여 방수성인 것으로 고려된다. 기능층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1×105 Pa을 초과하는 입수 압력을 보장한다. 입수 압력은 20±2℃에서 증류수가 증가하는 압력으로 100 cm2의 기능층의 샘플에 적용되는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물의 압력 증가는 분당 60±3 cm H2O이다. 이때, 입수 압력은 물이 먼저 샘플의 다른 측에서 나타나는 압력에 대응한다. 이 절차의 상세는 1981년부터 ISO 표준 0811에 명기되어 있다.
신발이 방수성인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US-A-5 329 807에 설명된 유형의 원심 장치로 시험될 수 있다.
투습성:
기능층/기능층 적층체는 150 m2×Pa×W-1 미만의 투습도수(Ret)를 가지면 투습성인 것으로 고려된다. 투습도는 호헨스타인 스킨 모델(Hohenstein skin model)에 따라 시험된다. 이 시험 방법은 DIN EN 31092 (02/94) 또는 ISO 11092(1993)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층/섬유층/안정화층/장식층의 투습도 값은 DIN EN ISO 15496(09/2004)[A3]에 따른 소위 컵 방법에 의해 시험된다.
밑창 유닛의 투습도의 게이지[A4]는 전체 신발의 투습도의 측정을 위해 고려되는 문헌 EP 0 396 716 B1호에 설명된 측정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단지 신발의 밑창 유닛만의 투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EP 0 396 716 B1호에 따른 측정 방법은 EP 0 396 716 B1호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측정 레이아웃으로, 2개의 연속적인 측정 시나리오로, 즉 투습성 밑창 유닛을 지닌 신발에 관해 1회 측정하고, 다음번에 수증기 불투과성 밑창 유닛을 지닌 동일한 신발을 측정함으로써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투습성 밑창 유닛의 투습도에 기인하는 투습도의 백분율은 2개의 측정된 값들의 차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측정 시나리오에서, EP 0 396 716 B1호에 따른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퀀스가 사용된다.
1. 적어도 12 시간 동안 기후 조건이 맞춰진 공간(23℃, 50% 상대 습도)에 이를 방치함으로써 신발을 조절함.
2. 인서트 밑창[풋 베드(foot bed)]의 제거.
3. 신발 내부에 적응된 방수성, 투습성 라이닝 재료로 신발을 라이닝함. 이 재료는 방수성이고, 방수성, 투습성 밀봉 플러그(예를 들어 플렉시글래스로서 제조되고 팽창성 슬리브를 가짐)를 갖는 신발의 발 삽입 개구의 영역에서 수증기 기밀성으로 폐쇄될 수 있음.
4. 라이닝 재료 내로의 물 충전 및 밀봉 플러그로 신발의 발 삽입 개구의 폐쇄.
5. 물로 충전된 신발을 물의 온도가 3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미리 결정된 시기(3 시간) 동안 휴지 상태로 방치함으로써 사전 조절. 주위 공간의 기후는 또한 23℃ 및 50% 상대 습도로 일정하게 유지됨. 신발은 적어도 2 m/s 내지 3 m/s의 평균 풍속값을 갖는 팬에 의해 시험 중에 정면에 대해 송풍됨(수증기 통과에 대한 상당한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세워져 있는 신발 주위에 형성된 휴지 공기층을 파괴함).
6. 물로 충전되고 사전 조절 후에 밀봉 플러그로 밀봉된 신발의 중량을 재측정함[중량(m2)(g)을 제공함].
7. 신발을 재차 세워 단계 5)에서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3 시간 동안 실제 시험 단계를 허용함.
8. 3 시간의 시험 단계 후에 물로 충전된 밀봉된 신발의 중량을 재측정함[중량(m3)(g)을 제공함].
9. M=(m2-m3)(g)/3(h)이 관계에 따라 신발을 통해 3 시간의 시험 시간 중에 탈출된 수증기량(m2-m3)으로부터 신발의 투습도를 결정.
투습도 값이 한편으로는 투습성 밑창 유닛을 갖는 전체 신발에 대해 측정되고(값 A), 다른 한편으로는 수증기 불투과성 갑피 저부 구조체를 갖는 전체 신발에 대해 측정되는(값 B) 2개의 측정 시나리오가 수행된 후에, 단지 투습성 밑창 유닛에 대한 투습도 값이 차이 A-B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투습성 밑창 유닛을 갖는 신발의 투습도의 측정 중에, 신발 또는 그 밑창이 폐쇄된 기판 상에 직접 세워져 있는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환기 공기 유동이 겉창 아래로 추가적으로 또는 완전히 유동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쇠격자 구조체 상에 신발을 배치함으로써 또는 신발을 상승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측정 산포도를 더 양호하게 추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시험 레이아웃에서 특정 신발에 대해 반복 측정을 수행하고 이들로부터의 평균값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상기 측정 레이아웃으로 각각의 신발에 대해 적어도 2회의 측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모든 측정에서, 실제값을 중심으로 ±0.2 g/h의 측정 결과의 자연적인 변동(예를 들어, 1 g/h)이 가정되어야 한다. 이 예에서, 따라서 동일한 신발에 대해 0.8 g/h 내지 1.2 g/h의 측정값이 얻어질 수 있다. 이들 변동에 대해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예를 들어 시험을 수행하는 사람, 또는 상부 갑피 에지 상의 밀봉의 품질일 수 있다. 동일한 신발에 대한 다수의 개별 측정된 값을 평균화함으로써, 실제값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밑창 유닛의 투습도에 대한 모든 값은 사이즈 43(프랑스 사이즈)의 일반적으로 끈을 묶은 남성화에 기초하고, 여기서 이 사이즈 언급은 표준화되는 것은 아니고 상이한 제조업자의 신발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제 단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비한정적인 예를 표현하는 변형예에 의해 더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창 유닛의 투습도 또는 그 배리어 또는 보호 기능을 심각하게 손상시키지 않고, 염색 및 패터닝뿐만 아니라 재료 선택에 대해 밑창 구조체의 저부의 만족스럽고 매우 임의적인 최신 유행의 구성을 허용하는 신발류용 밑창 유닛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밑창 유닛을 갖는 갑피 및 신발 밑창 복합체를 갖는 신발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2는 신발 밑창 복합체가 신발 갑피에 아직 접합되어 있지 않은 도 1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신발 밑창 복합체를 평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갑피가 완전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은, 도 2에 따른 조립 단계에서 신발 밑창 복합체 상에 접착된 변형예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갑피가 또한 완전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은, 신발 밑창 복합체가 갑피 상에 사출되어 있는 신발의 변형예에 대한 도 4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상부, 저부, 우측, 좌측 등과 같은 용어가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경우, 이는 반드시 대응하는 도면의 특정 설명만을 참조하고, 절대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갑피(13) 및 밑창 유닛(15)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11)의 실시예의 저부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신발(11)은 갑피(13) 및 밑창 유닛(15)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밑창 유닛(15)이 갑피(13)에 접합되기 전에 조립 단계에서의 도 1에 따른 신발을 도시하고 있다.
신발(11)은 앞발 영역(forefoot area)(17), 중간발 영역(midfoot area)(19), 발꿈치 영역(heel area)(21) 및 발 삽입 개구(23)를 갖는다. 밑창 유닛(15)은 지지층(25)의 형태의 밑창층을 갖는데, 이 밑창층은 완성된 밑창 유닛(15)의 안정화에 결정적으로 기여하고 앞발 영역(17) 및 중간발 영역(19)(도 2)에서 큰 면적의 관통 구멍(27)을 갖는다. 그 안정화 효과의 결과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지층(25)은 또한 안정화층이라 칭한다. 이와 관련하여 큰 면적이라는 것은, 개별 관통 구멍(27)이 수 cm2, 예를 들어 약 2 cm2 내지 약 30 cm2의 범위, 이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약 10 cm2 내지 20 cm2의 면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관통 구멍(27)은 가능한 최대 투습도를 갖는 밑창 유닛(15)을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한 크게 선택된다.
다수의 개별 겉창부, 즉 발꿈치 영역의 겉창부(29a), 발 영역의 볼의 겉창부(29b) 및 발가락 영역의 겉창부(29c)로부터 조립된 겉창(29)이 지지층(25) 아래에 위치된다. 이들 겉창부는 지지층(25)의 저부에 체결된다. 발 영역의 볼 및 발가락 영역에서, 겉창부(29b, 29c)는 겉창 재료가 전혀 없이 또는 본질적으로 없는 상태로 지지층(25)의 관통 구멍(27)이 유지되도록 치수 설정된 큰 면적의 관통 구멍(27)을 갖고, 이에 따라 지지층(25)의 관통 구멍(27)에 의해 달성되는 밑창 유닛의 투습도가 악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완충 밑창층(damping sole layer)(31)이 지지층(25) 위에 위치되고 트레드 완충(tread damping)을 발생시켜, 이에 의해 신발의 보행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완충 밑창층(31)은 발꿈치 영역의 완충 밑창부(31a)와 앞발 영역의 완충 밑창부(31b)를 갖는다. 완충 밑창부(31a, 31b)는 또한 지지층(25)의 관통 구멍(27)에 의해 달성되는 투습도를 손상시키거나 상당히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지지층(25)의 관통 구멍(27)을 완전히 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개방 상태로 남겨두는 큰 면적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밑창은 또한 하나의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이때 완충층 및 겉창층이 조합되어, 트레드 완충 특성 및 보행 특성에 대해 2개의 특성을 가장 양호하게 허용하는 재료 선택이 이루어지는 단일 밑창층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완충 밑창층(31)뿐만 아니라 겉창(29)의 부분은 양호한 보행 편안함을 달성하고 양호한 트레드 특성을 갖는 겉창을 제조하기 위해, 특정 연성을 갖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교적 연성 탄성 재료에 의해 그리고 큰 관통 구멍을 갖는 개별 부분으로부터의 그 구조에 의해, 겉창(29)은 전체 밑창 유닛(15)의 안정성에 충분히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겉창을 갖는 변형예에서도, 연성 탄성 재료 및 큰 관통 구멍에 의해, 전체 밑창 유닛의 충분히 만족스러운 안정성이 달성되지 않는다.
한편으로는 비교적 연성 재료 및 큰 면적의 관통 구멍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 부분의 구조에 의해, 겉창(29)의 부분 뿐만 아니라 완충 밑창층(31)의 부분도 밑창 유닛에 대해 바람직한 안정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트레드 완충 특성 또는 겉창 특성을 허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강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안정화층으로서 작용하는 지지층(25)이 제공된다. 큰 면적의 관통 구멍(27)에 의해 비교적 강성 재료에도 불구하고 특정 정도로 악영향을 받을 수 있는 안정화층으로서 작용하는 지지층(25)의 안정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층(25)의 개별 관통 구멍(27)은 바(33)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층(25)은 소정 정도의 굽힘 및 왜곡 강성을 획득하고, 이는 전체 밑창 유닛(15)에 원하는 안정성을 부여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갑피(13)의 하부 단부는 밑창 유닛(15)이 갑피(13)에 접합되기 전에 갑피 저부(35)로 폐쇄된다. 갑피 저부(35)에는,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갑피 저부 기능층(37)이 마련된한다. 상기 갑피 저부 기능층(37)은 예를 들어 적어도 방수성이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투습성인 멤브레인을 갖는다.
도 2는 저부로부터 본 사시도로 밑창 유닛(15)을 도시하고 있는 반면, 도 3은 상부로부터 본 사시도로 밑창 유닛(15)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섬유층(예컨대 투습성 직물 배리어층)(39)으로서 형성된 배리어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이 지지층의 중간 영역(25b) 및 앞발 영역(25c)에서 겉창(29)의 반대측의 지지층(25)의 상부에 위치된다. 도 3에서 볼 수 없는 관통 구멍(27) 및 지지층(25)은 이들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로 덮여 있다. 지지층(25)의 상부에서 밑창 유닛(15)의 발꿈치 영역 및 앞발 영역에 배열된 트레드 완충층부(31a, 31b)도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다. 발꿈치 영역의 트레드 완충층부(31a)는 본질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완벽한 표면이고, 반면에 앞발 영역에서의 트레드 완충층부(31b)는 섬유층 부분(39b, 39c, 39d)이 위치되어 있는 위치에 리세스를 구비한다.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내지 39d)은 도 3에서 볼 수 없는 바(33) 위에 놓인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지지층(25)은 지지층(25)의 대응 관통 구멍(27)을 둘러싸고 대응 섬유층 피크를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기능하는 제한 에지(43a, 43b, 43c)를 갖는다.
겉창(29)의 겉창부, 지지층(25) 및 트레드 완충층부(31a, 31b)는 밑창 유닛(15)을 형성하는 신발 밑창 복합체 내에서 상이한 기능을 갖기 때문에, 이들은 상이한 재료로 또한 편리하게 구성된다. 양호한 내마모성을 갖고 트레드 안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겉창부는 겉창 재료로서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신발의 착화자를 위해, 보행 이동 중에 충격 완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트레드 완충층부(31a, 31b)는 대응적으로 탄성 순응성 재료,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되지 않은 겉창부(29a, 29b, 29c) 및 또한 연결되지 않은 트레드 완충층부(31a, 31b)를 위한 지지부로서, 그리고 대응 탄성 강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지는 전체 밑창 유닛(15)을 위한 안정화 요소로서 기능하는 지지층(25)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은 한편으로는 갑피 저부(35)가 구비하는 갑피 저부 기능층(37)을 위한 기계적인 보호부로서 기능한다. 갑피 저부 기능층(37)을 보호하도록, 예를 들어 지지층(25)의 관통 구멍(27)을 통과하여 갑피 저부 기능층(37)에 도달하여 이를 손상시킬 수 있는 돌멩이와 같은 작은 입자가 섬유층 부분에 이르지 못하게 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의 일 변형예에서,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은 안정화 기능을 추가로 갖는다. 이를 위해,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은 상이한 용융 온도 및 대응하는 상이한 연화 온도의 적어도 2개의 섬유 구성 요소를 갖는 전술된 유형의 열적 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강화된 섬유 재료로 이루어진다. 2개의 상이한 용융 온도를 갖는 섬유 구성 요소의 분율의 비를 선택함으로써 그리고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가열도 및 따라서 연화도에 의해, 한편으로는 강화 및 다른 한편으로는 섬유층의 투습도가 요구되는 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 열적 강화에 기인하여, 섬유층(39) 또는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이 밑창 유닛(15)을 위한 안정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섬유층(39)은 이와 같이 WO 2007/101624 A1호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이 구성하는 섬유층(39)에 대한, 특히 재료 선택 및 재료 조성에 대한, 그리고 제조 및 열적 활성화에 대한 추가의 상세는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고, WO 2007/101624 A1호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역시 WO 2007/101624 A1호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겉창(29), 트레드 완충층(31) 및 지지층(25), 예컨대 구조, 형상 및 이용된 재료에 관한 상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실용 변형예에 사용된 섬유층 재료는, 염색을 위해 섬유 구성 요소의 용융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2 섬유 구성 요소를 위해 사용된 재료가 염색될 수 없는 결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 섬유층 재료에서 더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섬유 구성 요소는 건조될 수 있고, 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2 섬유 구성 요소는 백색부로 잔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따라서 섬유층의 시각적 및 미관적인 구성 가능성은 매우 좁은 한계를 갖는다.
이 문제점은 관통 구멍(27)에서 볼 수 있는 그리드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 설명되는 도 4 및 도 5에서 일련의 정사각형 점으로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45)에 의해 해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밑창 유닛(15)의 변형예에서, 다수의 장식층(45) 부분이 제공되고, 이들 각각은 안정화층으로서 작용하는 지지층(25)의 관통 구멍(27) 중 하나에 할당되며, 그 각각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에 따른 대응 관통 구멍(27)의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 관통 구멍(27)을 통해 볼 수 있는 이들 섬유층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의 각각은 대응 장식층 부분으로 덮이고, 이에 따라 볼 수 없다. 대부분의 임의의 재료는 한편으로는 건조되거나 건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투습성인 한, 장식층(45)에 대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장식층(45)의 원하는 채색 및 패터닝은 실질적으로 제한을 갖지 않는다.
도 2에 따른 제조 단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의 2개의 변형예가 도 4 및 도 5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의 경우에는 갑피(13) 상에 접착되는 밑창 유닛(15)을 갖는 신발류에 대해, 도 5의 경우에는 갑피(13) 상에 성형되는 밑창 유닛(15)을 갖는 신발류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도면은 치수 및 축척의 견지에서 매우 개략적이고 반드시 실제적인 것은 아닌, 신발(11) 및 갑피(13)의 앞발 영역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단지, 갑피 저부(35) 및 갑피(13)의 좌측 갑피부만이 도시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우측 갑피부는 도시되어 있는 갑피부에 대해 거울상 대칭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2개의 변형예에서, 갑피(13)는 외부 재료층(47), 갑피 기능층(49) 및 선형층(51)을 갖는다. 2개의 변형예에서, 밑창측의 하부 갑피 단부(55)는 갑피 저부 기능층(37)을 갖는 다층 갑피 저부(35)에 의해 폐쇄된다. 2개의 변형예에서, 갑피 기능층(49) 및 갑피 저부 기능층(37)은 본질적으로 방수성으로 서로 접합되고, 이는 전체에 걸쳐 방수성 신발을 유도하고, 방수성 뿐만 아니라 투습성 기능층이 사용될 때 전체에 걸쳐 투습성 신발을 유도한다. 2개의 변형예에서, 밑창 유닛(15)은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된 구성 요소, 즉 겉창(29) 및 지지층(25)을 갖는다. 2개의 경우에, 언급된 밑창층을 통해 연장되는 큰 면적의 관통 구멍(27)이 섬유층(39)으로 덮이고, 그 아래에 장식층(45)이 위치된다.
도 4 및 도 5의 2개의 변형예는 이들의 밑창 유닛(15)의 층, 이들의 갑피 저부(35)의 구조 및 갑피(13)로의 밑창 유닛(15)의 체결 유형, 및 갑피 기능층(49)과 갑피 저부 기능층(37) 사이의 밀봉 유형에 있어서 상이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밑창 유닛(15)은, 겉창(29) 및 지지층(25)에 추가하여, 트레드 완충층(31)을 갖고, 갑피 저부(35)는 슈트로벨 시임(Strobel seam)(57)에 의해 밑창측에서 하부 갑피 단부(55)에 연결되는 종종 또한 안창이라 칭하는 인레이 밑창(53)을 갖는다. 갑피 저부 기능층 적층체(59), 즉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는 하부 기능층 지지층(61)과 상부 기능층 지지층(63) 사이에 매립된 갑피 저부 기능층(37)을 갖는 3층 적층체는 인레이 밑창(53) 아래에 위치된다. 2개의 기능층 지지층(61, 63)은 각각 예를 들어 직물층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직물층(63)은, 갑피 기능층(49)과 갑피 저부 기능층(37) 사이에 방수성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갑피 기능층(49)의 밑창측 하부 단부의 저부와 갑피 저부 기능층(37)의 주변 에지의 상부 사이에 위치되는 액체 밀봉 재료(65)에 의해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갑피 외측부 재료(47)의 밑창측 하부 단부는 갑피 기능층(49)의 밑창측 하부 단부로부터 상승되어 밑창 접착제(67)에 의해 갑피 저부 기능층 적층체(59)의 저부에 접착된다. 밑창 유닛(15)이 제작되고, 적어도 밑창 유닛(15)의 둘레 에지 구역의 상부에 도포되어 있는 하나의 밑창 접착제(67)에 의해 밑창측 하부 갑피 단부(55)에 체결된다.
갑피(13) 상에 성형된 밑창 유닛(15)을 갖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밑창 유닛(15)은 트레드 완충층(31)을 갖지 않는다. 갑피 저부(35)는 또한 3층 적층체인 인레이 밑창 적층체(69)에 의해 형성되고, 이 적층체의 하나의 외부층,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상부 외부층(63)은 안정한 강성 재료로 이루어져 이 인레이 밑창 적층체(69)가 하부 갑피 단부(55)의 폐쇄를 위한 안창 또는 인레이 밑창의 기능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 변형예에서, 갑피 기능층(49) 및 갑피 라이너(51)는 갑피 외측부 재료(47)를 지나서 밑창측 단부에 오버행(overhang)을 갖는다. 이 오버행은, 성형 중에 액체 겉창 재료에 대해 투과성인 메시 밴드(71)가 연장된다. 메시 밴드(71)는 일 측부에서는 갑피 기능층(49)이 아니라 단지 갑피 외측부 재료(47)에만 접합되고, 다른 측부에서는 슈트로벨 시임을 거쳐 갑피 기능층(49) 및 갑피 라이너(51)의 모두에 그리고 인레이 밑창 적층체(69)에 연결된다. 이 변형예의 밑창 유닛(15)은, 섬유층(39) 및 장식층(45)을 구비한 지지층(25)에 추가하여, 섬유층(39) 및 장식층(45)을 구비한 지지층(25)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방식으로 겉창층(29)의 성형 중에 매립되는 단지 하나의 겉창층(29)을 갖는다. 갑피(13) 상의 겉창층(29)의 성형 중에, 액체 겉창 재료가 메시 밴드(71)를 통해, 한편으로는 갑피 기능층(49)의 밑창측 하부 단부의 오버행으로 그리고 슈트로벨 시임(57)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인레이 밑창 적층체(69)의 둘레 에지 영역의 저부로 통과되고, 여기서 그 하부 직물층을 통과하여 거기서 갑피 저부 기능층(37)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겉창 재료에 의해, 갑피 기능층(49)과 갑피 저부 기능층(37) 사이의 전이부가 밀봉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2개의 변형예에서, 지지층(25)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장식층(45) 및 섬유층(39)은 사출 공정 전에 사출 몰드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사출 공정 중에, 지지층(25)의 재료가 장식층(45)의 외측 둘레 영역을 통해 섬유층(39)의 외측 둘레 영역 내로 통과되어, 지지층(25), 장식층(45) 및 섬유층(39)이 성형 공정에 의해 서로 체결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의 수정예에서, 섬유층(39) 및 장식층(45)은 이들이 밑창 유닛(15)에 결합되기 전에 서로 유닛으로 조합된다. 이 유닛은 밑창 유닛(15)의 나머지 구성 요소와 별도로 제조되어 밑창 유닛(15)의 제조 중에 삽입되는 인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삽입은 장식층(45) 및 섬유층(39)의 유닛이 제공되는 밑창층 내로 실시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이 인서트는 지지층(25) 내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장식층(45) 및 섬유층(39)을 구비한 밑창층이 지지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지지층과는 상이한 유형의 겉창 또는 중간창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서, 인서트는 대응 밑창층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인서트가 별도로 제조되고 이어서 특정 밑창 유닛(15)의 디자인 및/또는 원하는 외관에 따라 적절한 밑창층 내에 삽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각적으로 상이한 장식층(45)을 갖는 인서트가 비축되어 대응하게 선택된 인서트가 의도되는 신발 유형에 따라 밑창 유닛(1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바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층(25)의 관통 구멍(27) 내의 지지 커넥터(73)로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 커넥터(73)는 겉창층(29)의 접촉면(75)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동안 겉창층(29)과 같이 바닥(77)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보행하는 동안에도 특히 양호한 밑창 유닛(15)의 안정화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 커넥터(73)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적어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층(25)의 관통 구멍(27)의 단면 평면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11: 신발 13: 갑피
15: 밑창 유닛 17: 앞발 영역
19: 중간발 영역 21: 발꿈치 영역
23: 삽입 개구 25: 지지층
29: 겉창 29a, 29b, 29c: 겉창부
31: 완충 밑창층 33: 바
35: 갑피 저부 37: 갑피 저부 기능층
39: 섬유층 39a, 39b, 39c, 39d: 부분들
45: 장식층 47: 외부 재료층
49: 갑피 기능층 51: 선형층
53: 밑창 55: 하부 갑피 단부
57: 슈트로벨 시임 59: 적층체
65: 액체 밀봉 재료 69: 인레이 밑창 적층체

Claims (32)

  1. 신발류(11)용 투습성(water vapor permeable) 및 투수성(water permeable) 밑창 유닛(15)으로서,
    밑창층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큰 관통 구멍(27)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밑창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7)을 폐쇄하도록 상하로 배열되고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구조체로서, 상기 제1 시트는 투습성 직물 배리어층(39)을 갖고,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7)의 영역에서 상기 제1 시트 아래에 배열되어 상기 배리어층(39)을 덮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7)을 통해 밑창층의 저부에서 보이는 투습성 장식층(45)을 갖는 것인 시트 구조체
    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39)은 큰 면적의 관통 구멍(27)을 통해 상기 밑창 유닛의 제1 시트 위로 이물질의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배리어층(39)은 못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보호부를 천공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천공성으로서 구현되고,
    1,000 g/m2·24 h 내지 20,000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밑창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염색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기판 및 이 기판의 표면을 덮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부는, 염색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에지 영역에서만 상기 배리어층(39)에 결합됨으로써, 결합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배리어층(39)에 대한 상기 장식층(45)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 밑창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방진성(dirt-repellent) 재료로 구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의 재료는 그리드형 시트 재료, 네트형 시트 재료, 다공성 시트 재료 또는 천공형 시트 재료의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밑창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의 재료는 금속, 플라스틱, 직물, 가죽 또는 이들의 조합의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밑창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모노필라멘트 섬유로 구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상기 장식층의 네트형 또는 그리드형 개구가 개방 유지되고, 이에 따라 투습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리콘 재료에 의해 피복되는 얀(yarn)으로 구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얀에 발생하는, 오염 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모세관 영역이 폐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리콘 재료로 함침되는 얀으로 구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전체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금속화된 플라스틱 그리드로 구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큰 면적의 관통 구멍(27)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바(33)가 연장되는 것인 밑창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단지, 적어도 하나의 바(33)로 형성된 영역 및 장식층의 둘레 에지 영역 중 하나 이상에서만 배리어층(39)에 접합되는 것인 밑창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39)은 PES(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PA(폴리아미드) 및 폴리머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39)은 용융 온도와 관련하여 상이한 적어도 2개의 섬유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용융 온도 및 상기 제1 용융 온도보다 낮은 제1 연화 온도 범위를 가지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용융 온도 및 상기 제2 용융 온도보다 낮은 제2 연화 온도 범위를 갖고, 상기 제1 용융 온도 및 제1 연화 온도 범위는 상기 제2 용융 온도 및 제2 연화 온도 범위보다 높고,
    상기 배리어층(39)은 열적 수단에 의해 강화되는 범위에서 투습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연화 온도 범위에서의 점착 온도를 이용한 상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열적 활성화의 결과로서 열적 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강화되는 것인 밑창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제2 연화 온도 범위는 상기 제2 섬유 구성 요소의 염색을 위해 필요한 온도 미만인 것인 밑창 유닛.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39)은 3,000 g/m2·24 h 내지 20,000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것인 밑창 유닛.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10,000 g/m2·24 h 내지 50,000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것인 밑창 유닛.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층은 사출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인 밑창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39) 및 상기 장식층(45)이 상기 사출 가능한 재료를 통해 상기 밑창층과 연결되도록 상기 밑창층이 상기 배리어층(39) 및 상기 장식층(45) 상에 사출되는 것인 밑창 유닛.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층은 상기 밑창 유닛(15)의 겉창(29)인 것인 밑창 유닛.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층은 상기 밑창 유닛(15)의 중간창(midsole)인 것인 밑창 유닛.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39) 및 상기 장식층(45)은 서로 조합되어 상기 밑창 유닛의 제조 중에 삽입되는 인서트로서 사용 가능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인 밑창 유닛.
  25. 신발류(11)로서,
    제1항에 따른 밑창 유닛(15)을 구비하고, 밑창측 갑피 단부 영역(55)에 방수성 및 투습성 갑피 저부 기능층(37)이 마련된 갑피(13)를 포함하며,
    상기 갑피 저부 기능층(37)이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27)의 영역에서 배리어층(39)에 접합되지 않도록 상기 밑창 유닛(15)이 상기 갑피 단부 영역(55)에 접합되는 것인 신발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조체는 제1 시트의 다수의 부분들(39a, 39b, 39c, 39d)과 상기 다수의 부분들 각각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시트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유닛.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39)은 8,000 g/m2·24 h 내지 15,000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것인 밑창 유닛.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39)은 12,588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것인 밑창 유닛.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20,000 g/m2·24 h 내지 30,000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것인 밑창 유닛.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45)은 26,000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것인 밑창 유닛.
  31. 제1항에 있어서, 6,000 g/m2·24 h 내지 12,000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밑창 유닛.
  32. 제1항에 있어서, 9,337 g/m2·24 h의 투습도를 갖는 밑창 유닛.
KR1020137029019A 2008-06-20 2009-06-19 신발류용 밑창 유닛 KR20130127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9296A DE102008029296A1 (de) 2008-06-20 2008-06-20 Sohleneinheit für Schuhwerk
DE102008029296.6 2008-06-20
PCT/EP2009/004442 WO2009153054A1 (de) 2008-06-20 2009-06-19 Sohleneinheit für schuhwe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426A Division KR101406269B1 (ko) 2008-06-20 2009-06-19 신발류용 밑창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54A true KR20130127554A (ko) 2013-11-22

Family

ID=409366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426A KR101406269B1 (ko) 2008-06-20 2009-06-19 신발류용 밑창 유닛
KR1020137029019A KR20130127554A (ko) 2008-06-20 2009-06-19 신발류용 밑창 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426A KR101406269B1 (ko) 2008-06-20 2009-06-19 신발류용 밑창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167678A1 (ko)
EP (1) EP2296502A1 (ko)
JP (1) JP5563566B2 (ko)
KR (2) KR101406269B1 (ko)
CN (1) CN102112019B (ko)
CA (1) CA2728053C (ko)
DE (2) DE102008029296A1 (ko)
RU (1) RU2493755C2 (ko)
WO (1) WO2009153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0007A1 (de) * 2006-03-03 2007-09-06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hsohlenverbund und damit aufgebautes Schuhwerk
DE202007000668U1 (de) * 2006-03-03 2007-03-29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hsohlenstabilisierungsmaterial
CN102125332B (zh) 2006-03-03 2013-01-16 W.L.戈尔有限公司 复合鞋底、由其制成的鞋及其制造方法
DE102008027856A1 (de) 2008-06-11 2009-12-24 W. L. Gore & Associates Gmbh Schuh mit Belüftung im unteren Schaftbereich und dafür verwendbares luftdurchlässiges Abstandsgebilde
US8676541B2 (en) 2008-06-13 2014-03-18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US9549585B2 (en) 2008-06-13 2017-01-24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US8950404B2 (en) * 2008-12-10 2015-02-10 Resmed Limited Headgear for masks
DE102010006150A1 (de) 2010-01-29 2011-08-04 W. L. Gore & Associates GmbH, 85640 Schaftanordnung für Schuhwerk sowie Schuhwerk damit
DE102010006151A1 (de) 2010-01-29 2011-08-04 W. L. Gore & Associates GmbH, 85640 Schaftanordnung für Schuhwerk sowie Schuhwerk damit
DE102010044260A1 (de) * 2010-09-03 2012-03-08 Ecco Sko A/S Schaftanordnung für Schuhwerk sowie Schuhwerk damit
IT1402785B1 (it) * 2010-11-19 2013-09-18 Geox Spa Calzatura traspirante con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EP2675355B1 (en) 2011-02-17 2020-01-01 NIKE Innovate C.V.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CN112545101B (zh) 2011-02-17 2022-05-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带传感器系统的鞋
CN103717100A (zh) * 2011-07-29 2014-04-09 W.L.戈尔有限公司 用于鞋类物品的鞋帮组件和包括该鞋帮组件的鞋类物品
US9149087B2 (en) * 2011-08-05 2015-10-06 Newton Running Company, Inc. Shoe soles for shock absorption and energy return
US20130213147A1 (en) 2012-02-22 2013-08-22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US20130213144A1 (en) * 2012-02-22 2013-08-22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CN102669877B (zh) * 2012-05-28 2016-07-06 广东统一人力资源创富就业促进中心 前高跟保健鞋底
EP2742820B1 (en) * 2012-12-14 2015-03-18 W.L. Gore & Associates GmbH Monofilament footwear lining
US11006690B2 (en) 2013-02-01 2021-05-18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9743861B2 (en) 2013-02-01 2017-08-29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10926133B2 (en) 2013-02-01 2021-02-23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20140250564A1 (en) * 2013-03-11 2014-09-11 The North Face Apparel Corp. Waterproof Taped Glove and Mitten with Laminated Leather
WO2014139595A1 (en) 2013-03-15 2014-09-18 W.L. Gore & Associates Gmbh Footwear with air permeable layer and air permeable portion in a lower peripheral area of the upper arrangement
US10024740B2 (en) 2013-03-15 2018-07-17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US20140325876A1 (en) * 2013-05-02 2014-11-06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EP3003699B1 (en) 2013-05-24 2019-05-15 Ecco Sko A/S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forming the article
DE102015202014B4 (de) * 2015-02-05 2020-02-06 Adida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chuhs und damit hergestellter Schuh
EP3297482B1 (en) * 2015-05-22 2021-10-13 Nike Innovate C.V. Ground-engaging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ITUB20152773A1 (it) * 2015-08-03 2017-02-03 Geox Spa Calzatura impermeabile e traspirante
JP6452903B1 (ja) 2015-12-02 2019-01-16 カービテ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整可能異方性特質を有する接合繊維強化型複合材料アセンブリ
KR102173524B1 (ko) * 2016-07-20 2020-11-0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 플레이트
US11109639B2 (en) * 2018-05-23 2021-09-07 Carbitex, Inc. Footwear insert formed from a composite assembly having anti-puncture and anisotropic properties
US10729207B1 (en) * 2019-04-23 2020-08-04 Sergio Luna Construction unit and decorative component, and a shoe incorpor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390A (en) 1877-02-13 Improvement in ventilating railway-cars
SE392582B (sv) 1970-05-21 1977-04-04 Gore & Ass Forfarande vid framstellning av ett porost material, genom expandering och streckning av en tetrafluoretenpolymer framstelld i ett pastabildande strengsprutningsforfarande
US4421742A (en) 1977-02-08 1983-12-20 Dr. Werner Freyberg Chemische Fabrik Delitia Nachf. Phosphine producing pesticid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4194041A (en) 1978-06-29 1980-03-18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laminate
CA1191439A (en) 1982-12-02 1985-08-06 Cornelius M.F. Vrouenraets Flexible layered product
JPH0518962Y2 (ko) 1987-01-20 1993-05-19
ITPD20020246A1 (it) 2002-09-24 2004-03-25 Geox Spa Struttura di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per calzature e calzatura realizzata con detta suola.
US4918981A (en) 1988-10-28 1990-04-24 W. L. Gore & Associates, Inc. Method for measuring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in wearing apparel
IT1232798B (it) 1989-02-17 1992-03-05 Pol Scarpe Sportive Srl Struttura di suola traspirante/impermeabile per calzature.
RU2030158C1 (ru) * 1992-01-09 1995-03-10 Аркадий Николаевич Новогрудский Обувь с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5329807A (en) 1993-06-18 1994-07-19 W. L. Gore & Associates, Inc. Centrifuge test apparatus for footwear and apparel
DE19503308C2 (de) * 1995-02-02 1998-05-20 Uhlsystem Deutschland Gmbh Sohle für Sport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IN189119B (ko) * 1995-10-13 2002-12-21 Nottington Holding Bv
DE29601932U1 (de) * 1996-02-08 1996-07-25 Gore W L & Ass Gmbh Atmungsaktive Schuhsohle
DE19729341C5 (de) * 1997-07-09 2005-06-09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tzbekleidung mit Innen- und Außenhülle
DK174667B1 (da) * 2000-08-09 2003-08-18 Ecco Sko As Skomellemsål
JP2003204802A (ja) * 2002-11-21 2003-07-22 Kazuyuki Arai メッシュブーツ
DE10321491A1 (de) * 2003-05-13 2004-12-09 W.L. Gore & Associates Gmbh Wasserdichtes Schuhwer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R2857614B1 (fr) * 2003-07-17 2005-08-19 Saint Gobain Procede de decoupe d'un film fonctionnel en matiere plastique, applique sur un substrat, tel qu'une plaque de verre
US20050126036A1 (en) * 2003-12-16 2005-06-16 Huei-Ling Wu Sole structure with complex waterproof and gas-permeabl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TPD20030312A1 (it) * 2003-12-30 2005-06-30 Geox Spa Suola traspirante ed impermeabile per calzature
ITPD20040208A1 (it) 2004-07-30 2004-10-30 Geox Spa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per calzature
DE202007000668U1 (de) * 2006-03-03 2007-03-29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hsohlenstabilisierungsmaterial
ITTV20060104A1 (it) * 2006-06-14 2007-12-15 Geox Spa Suola per calzature, del tipo impermeabile all'acqua e permeabile al vapore acqueo e calzatura realizzata con detta suola
NZ573388A (en) * 2006-06-20 2011-05-27 Geox Spa Vapor-permeable element to be used in soles comprising studs and at least one protective layer contacting the ground
ITPD20060274A1 (it) 2006-07-06 2008-01-07 Geox Spa Calzatura, del tipo impermeabile all'acqua e permeabile al vapore acqueo
ITPD20060437A1 (it) * 2006-11-23 2008-05-24 Geox Spa Suola traspirante ed impermeabile per calzature, calzatura utilizzante detta suola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detta suola e detta calzatura
ITPD20070106A1 (it) * 2007-03-23 2008-09-24 Geox Spa Sottopiede di montaggio impermeabile all'acqua e permeabile al vapord'acqua e calzatura realizzata con detto sottopiede
IT1395217B1 (it) * 2008-09-22 2012-09-05 Foch Italia S R L Scarpa aerata avente effetto ammortizzante per il piede, equipaggiata con un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 flusso d'aria in entrata e in uscita su tutta la superficie della suo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269B1 (ko) 2014-06-12
CN102112019A (zh) 2011-06-29
CN102112019B (zh) 2013-05-29
DE202008009455U1 (de) 2009-08-06
DE102008029296A1 (de) 2009-12-24
RU2011101902A (ru) 2012-07-27
US20110167678A1 (en) 2011-07-14
EP2296502A1 (de) 2011-03-23
JP2011524229A (ja) 2011-09-01
WO2009153054A1 (de) 2009-12-23
CA2728053C (en) 2014-05-27
KR20110031205A (ko) 2011-03-24
JP5563566B2 (ja) 2014-07-30
RU2493755C2 (ru) 2013-09-27
CA2728053A1 (en)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269B1 (ko) 신발류용 밑창 유닛
KR101532000B1 (ko) 복합체 슈즈 밑창, 이로 구성된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84913B2 (ja) 履物の上側組立体及びこれを持つ履物
KR101457757B1 (ko) 신발류용 밑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신발류
AU2007222643B2 (en) Shoe reinforcing material and barrier unit, composite shoe sole and footwear constituted thereof
RU2615056C1 (ru) Предмет обуви с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м слоем и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м участком в нижней периферийной области верха
US20040139629A1 (en) Waterproof footwear
JP2009528105A5 (ko)
JP3191265U (ja) 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