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455A - 의약 전달 장치 및 통증 완화 방법 - Google Patents

의약 전달 장치 및 통증 완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455A
KR20130127455A KR1020137012422A KR20137012422A KR20130127455A KR 20130127455 A KR20130127455 A KR 20130127455A KR 1020137012422 A KR1020137012422 A KR 1020137012422A KR 20137012422 A KR20137012422 A KR 20137012422A KR 20130127455 A KR20130127455 A KR 20130127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jector
shaped
housing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070B1 (ko
Inventor
티안 시아
Original Assignee
티안 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안 시아 filed Critical 티안 시아
Publication of KR2013012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61M15/085Fix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의약을 필요로 하는 환자로의 의약의 전달 장치는: (a) 환자의 비도 밖에 남도록 형상화된 제1 말단 및 환자의 비도 내로 진입하도록 형상화된 제2 말단을 포함하고, 보관 위치와 맞물림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주입기; 및 (b) 환자의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고, 주입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통로를 포함하며, 통로에 인접한 그 일부분에 따른 곡선을 포함하는 도입기를 포함한다. 환자의 통증 완화를 위한 방법은 (a) 환자의 비도를 통하여 주로 환자의 나비입천장신경절의 안쪽 및/또는 뒤쪽 및/또는 아래쪽인 영역으로 주입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b) 주입기로부터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약 전달 장치 및 통증 완화 방법{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PAIN}
본 출원은 순서대로 2008년 8월 1일에 출원된 선행 출원 제12/184,358호의 부분계속출원인, 2009년 3월 30일에 출원된 선행 출원 제12/414,300호의 부분계속출원이다. 위에 언급된 출원들 둘 모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과 부합하지 않는 개시내용 또는 정의를 제외하고는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고, 여기에서의 개시내용 또는 정의가 유력한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양태는 일반적으로 통증 완화 방법 및 장치에, 구체적으로는 (배타적 이지는 않음) 두통, 안면 통증 등과 관련된 통증의 관리에 관한 것이다.
두통 및 안면 통증과 관련된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은 원하는 만큼 안전하거나 또는 효과적이지 않다. 예로서, 약의 COX-2 브랜드와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 (NSAID)은 궤양 및 심장 마비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드물게 사용되어야 하고 오직 단기간 동안에만 사용되어야 한다-이러한 단점은 추가적으로 많은 수의 환자들에서 이러한 약의 비효율성에 의해 악화된다. 마약의 사용은 이것들의 잠재적인 중독성 특성 때문에 마찬가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불어, 수마트립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에 의해 상표명 이미트렉스(IMITREX) 하에 판매됨) 및 졸미트립탄 (아스트로제네카(AstroZeneca)에 의해 상표명 조미그(ZOMIG) 하에 판매됨)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트립타민-기재 약물의 사용은 고비용과 이러한 약물들의 잠재적인 높은 독성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두통 및 안면 통증과 관련된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어온 한 방법은 SPG 블록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접근법에서는, 훈련된 전문 의료진이 마취제를 나비입천장신경절 (SPG)에 도포하기 위해 마취제로 적시어진, 면으로 된 팁을 갖는 도포기를 보편적으로 환자의 비공 내로 삽입하여, 마취제를 환자의 SPG에 도포한다. 중비갑개를 해부학적 기준점으로 사용하여, 적셔진 면으로 된 팁을 갖는 도포기를 본질적으로 맹목 전진으로 위로 밀어넣는다 (이것의 성공은 의사의 기술과 경험에 매우 의존한다). 분명히, 이 절차의 효능과 안전성에는 아쉬운 점이 많다. 게다가, 종래 SPG 블록의 효능과 안전성은, 사실이 아니지만 SPG가 상비갑개 뒤쪽에 위치한다는 임상의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믿어왔으나 잘못된 믿음에 의해 상당히 위태로워져 왔다.
요컨대, 환자 및 임상의들 사이에서는 SPG 블록을 달성하는 더 안전하고 더 효율적인 방법 및 장치-특히 훈련된 의료진의 도움 또는 감독 없이 환자들에 의해 직접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되며, 본 발명의 내용 내의 서술에 의해서는 어느 정도로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의약을 필요로 하는 환자로의 의약의 전달을 위한 장치는: (a) 환자의 비도 밖에 남도록 형상화된 제1 말단 및 환자의 비도 내로 진입하도록 형상화된 제2 말단을 포함하며, 보관 위치와 맞물림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주입기; 및 (b) 환자의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고, 주입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통로를 포함하며, 통로에 인접한 이들의 부분을 따라 곡선을 포함하는 도입기를 포함한다.
환자의 통증 완화를 위한 방법은 (a) 환자의 비도를 통하여 환자의 나비입천장신경절의 실질적으로 안쪽 및/또는 뒤쪽 및/또는 아래쪽인 영역으로 위에 기술된 유형의 장치의 주입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b) 주입기에서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칙에 따라 환자의 비공 내로 장치를 삽입하기 전의, 의약을 필요로 하는 환자로 의약을 전달하는 제1 장치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선 2-2를 따라 취해진 도 1의 장치의 상부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칙에 따라 도입기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려진 후의 도 1의 장치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입기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려지고, 도입기가 보관 위치로부터 주입기의 제2 말단을 나비입천장신경절에 안쪽, 뒤쪽, 및 아래쪽으로 위치시키는 맞물림 위치로 움직인 후의 도 1의 장치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SPG (2)가 중비갑개 (4)의 뒤쪽인 올바른 해부학적 위치로 나타난 인간 머리의 중앙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하우징(housing) 내로 허브를 삽입하기 전의, 의약을 필요로 하는 환자로 의약을 전달하며 그 보관 위치에 주입기를 가지는 제2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보관 위치에 주입기를 가지는 도 6의 장치의 부분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맞물림 위치에 주입기를 가지는 도 6의 장치의 부분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6의 장치의 분해 투시도를 나타낸다.
지금까지는 알려지지 않았고 매우 효과적인, 환자의 통증, 총망라한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두통, 안면 통증 등과 관련된 통증의 완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따른 의약의 손쉬운 자가-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사용이 편리한 장치가 발견되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되었다. 하기에 추가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장치는 나비입천장신경절의 실질적으로 안쪽 및/또는 뒤쪽 및/또는 아래쪽인 영역으로부터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의약의 전달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어구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및 유사한 이런 어구들은 SPG 자체와 SPG를 수용하는 날개입천장오목 및 나비입천장구멍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서론으로, 도 5는 많은 임상의들이 잘못 생각한 바와 같이 상비갑개 (6)의 뒤쪽 또는 체판 (9)에 인접한 비강의 끝 (8)에서가 아니라, 중비갑개 (4)의 뒤쪽에 있는 것으로 SPG (2)의 위치를 올바르게 확인시키는 인간 머리의 중앙 단면도를 나타낸다. 아울러, SPG (2)의 올바른 위치는 실제로 도면의 면으로부터 옆쪽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다시 말해서, SPG는 많은 임상의들이 역시 잘못 믿어왔던 것과 같이 도시된 단면과 관련하여 2차원 면에 놓여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4,886,493호에서 조단 이(Jordan Yee)는 SPG를 수용하는 날개입천장오목으로 의약을 전달하기 위해 환자의 비공을 통해 튜브를 삽입하는, SPG 블록의 수행 방법을 기술한다. 불행히도, 미국 특허 제4,886,493호의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날개입천장오목 (18)의 위치는 상비갑개의 뒤쪽 그리고 튜브 (11)를 통해 비공으로부터 직선으로 접근가능한 x-y 면에 놓여 있는 것으로 오인되었다. 잘못된 위치로 의약을 전달하는 것에서 예상할 것인 효능의 예상된 결여에 추가로, 이러한 착오의 결과, 이(Yee)의 장치의 말단 (13)은 위험하게도 민감한 체판에 거의 접촉할 뻔하게 된다. 체판은 체와 유사하고 뇌의 전두엽과 통하기 때문에, 마취제를 이러한 체판에 인접하여 도입하는 것은, 이것들이 전두엽을 통해 쉽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미국 특허 제6,491,940 B1호에서 브루스 에이치. 레빈(Bruce H. Levin)는 SPG 블록을 수행하는 대안적인 절차를 기술한다. 상기 기술된 이의 특허와는 대조적으로, 미국 특허 제6,491,940 B1호는 마취제의 도입을 위해 직선이 아닌 곡선 몸체 (100)를 기술하기 때문에 SPG의 옆쪽 오프셋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불행히도, 이의 특허와 유사하게, 레빈의 특허도 역시 레빈의 도 4A에 나타나고 그 안에 기술 (예를 들어, 72 컬럼, 20-22 행)된 바와 같이 SPG의 올바른 위치는 비강의 끝이 아니라 중비갑개의 뒤쪽이라는 것을 인식하는데 실패한다. 따라서, 이의 특허에서처럼, 레빈의 특허에 기술된 방법은 다시 한번 마취제 전달 장치를 체판에 위험할 정도로 인접하게 도입하고 이에 위험들이 수반하고 그와 함께 관련하여 효능이 줄어든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6,322,542 B1호는 환자의 비강으로 의약을 전달하는 장치를 기술한다. 이 장치의 언급된 목적은 비강의 뒤쪽 영역으로 의약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 (1 컬럼, 29-32 행)이지만, 이의 형상 (예를 들어, 튜브형 멤버 (35)의 직선성)은 의약을 SPG로 또는 이에 인접하여 전달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오히려, 의약은 주로 본 출원의 도 5에 나타난 영역 (7)으로 전달될 것이다. 영역 (7)에 인접하여 마취제를 전달하는 것은, 마취제가 구역반사를 쉽게 억제하여, 연하성 폐렴의 위험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임의의 특정 이론으로 구속되길 원치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이의 등가물의 범위에 어떤 정도로도 영향을 미칠 의도는 아니나, 하기에 제공된 장치 및 방법의 설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SPG의 해부학에 대한 오늘날의 이해와 관련하여 다음의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SPG (날개입천장신경절로도 알려짐)는 두개강 외부에 있는 가장 큰 군의 뉴런이고, 너비가 약 1-cm이고 높이가 약 2-cm인 날개입천장오목에 놓여 있다. 날개입천장오목은 앞쪽으로 상악동의 뒤쪽 벽에 의해, 뒤쪽으로 날개 돌기의 안쪽판에 의해, 안쪽으로 입천장뼈의 수직판에 의해, 그리고 위쪽으로 나비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옆쪽으로, 날개입천장오목은 관자아래우묵과 통한다.
오목 내의 SPG는 코의 중비갑개의 뒤쪽에 위치하고, 옆쪽 비점막의 수 밀리미터 (1 mm 내지 5 mm) 깊이에 놓여 있다. SPG는 복합 신경 중추(complex neural center) 및 다수의 연결을 가진다. SPG는 날개입천장신경을 통해 날개입천장오목에서의 삼차신경의 상악 가지로부터 매달려 있고, 시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악 가지에 안쪽으로 놓여 있다. 뒤쪽으로, SPG는 익돌관 신경에 연결되어 있다. SPG 자체는 날가지를 가지고 위쪽 뒤쪽 옆쪽 코 및 인두 신경을 형성한다. 꼬리쪽으로, 신경절 (SPG)은 큰입천장신경 및 작은입천장신경과 직접 연결된다.
SPG는 감각, 운동 및 자율 성분을 가진다. 감각 섬유는 상악 신경으로부터 나오고, SPG를 통과하여, 코 막, 물렁입천장 및 인두의 일부 부분으로 분포된다. 몇몇 운동 신경들은 또한 감각 동맥으로 운반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SPG의 자율 신경분포는 보다 복잡하다. 이 교감 성분은 상흉 척수에서 유래하는 신경절이전 교감 섬유로 시작되어, 백색 교통 가지를 형성하고, 교감 신경절을 통해 흐르고, 여기서 신경절이전 섬유는 신경절이후 것들과 시냅스(synapse)한다. 신경절이후 섬유는 그 다음 목동맥 신경에 합류한 후, 갈라져서 깊은 바위 신경 및 익돌관 신경을 통해 이동한다. 신경절이후 교감 신경은 SPG를 통한 경로를 계속하여 눈물샘 및 코 및 입천장 점막층에 간다.
SPG는 일반적으로 기능상으로 부교감신경성이라 생각된다. SPG의 부교감신경 성분은 위 침분비 핵에서 신경절이전 기원을 가지고, 그 다음 안면 신경 (Ⅶ)의 일부분을 통해 이동한 후, 큰 바위 신경을 형성하여 익돌관 신경을 형성하며, 이것은 SPG에서 끝난다. 신경절 내에서, 신경절이전 섬유는 이들의 신경절이후 세포와 시냅스하고, 코 점막층상으로 계속되며, 한 가지는 상악 신경과 함께 눈물샘으로 이동한다.
상기 설명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SPG의 해부학과 관련되어 현재 믿어지고 있는 이론들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통증 완화가 하기 기술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한 결과 달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6-9와 관련하여 각각 대표 장치 (10) 및 (54)가 기술될 것이지만, 이 대표 장치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대체적인 구조물이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칙에 따라 의약을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 기술된 각종 대표 장치들의 요소 및 특징들이 상이한 방법들로 조합되어 마찬가지로 본 내용의 범위 내에 속하는 새로운 실시양태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 도면 및 설명들은 오직 예시로써 제공되었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이의 등가물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4는 의약을 필요로 하는 환자로 의약을 전달하기 위한 대표 장치 (10)를 나타낸다. 장치 (10)은 환자의 비도 밖에 남도록 형상화된 제1 말단 (29) 및 환자의 비도 내로 진입하도록 형상화된 제2 말단 (30)을 포함하는 주입기 (12)를 포함한다. 장치 (10)은 추가로 환자의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고 주입기 (1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통로 (48)를 포함하는 도입기 (18)를 포함한다. 주입기 (12)는 도입기 (18)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려지기 전의 보관 위치 (도 1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남)와, 도입기 (18)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림에 따른 맞물림 위치 (도 4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남)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도입기 (18)가 환자의 비공과 처음 맞물려질 때, 주입기 (12)는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지휘하에 의도적으로 맞물림 위치 (도 4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남)로 움직여질 때까지 보관 위치 (도 3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남)에서 적어도 잠시 동안 유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의 맞물림 위치는 SPG의 안쪽 및/또는 아래쪽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의 맞물림 위치는, 도 4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SPG의 안쪽, 아래쪽, 및 뒤쪽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어구 "보관 위치" 및 "맞물림 위치"는 각각 선택된 범위 내에서 다수의 위치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가 제1 환자 (예를 들어, 아동)의 비공내로 연장된 정도는 주입기 (12)가 제2 환자 (예를 들어, 성인 남성)의 비공 내로 연장된 정도와 다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구 "맞물림 위치"는 비공 내 주입기 (12)의 정확한 위치에서의 많은 변동을 포괄하도록 의도되고, 이것들 중 임의의 것은 SPG의 안쪽 및/또는 뒤쪽 및/또는 아래쪽에 있는 것으로 적절히 여겨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도입기 (18)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없고, 오히려 도입기 (18)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려질 때 SPG의 안쪽 및/또는 아래쪽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로 고정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도입기 (18)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없고, 오히려 도입기 (18)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려질 때 SPG의 안쪽, 뒤쪽, 및 아래쪽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로 고정된다.
주입기 (12)는 제1 말단 (29)으로부터 제2 말단 (30)으로 연장되고 의약을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채널 (22)을 포함하는 튜브형 구간 (24) (튜브의 연장성을 인정하여 소위 코브라 튜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튜브형 구간 (24)의 외부 직경은 약 5 mm이고, 채널 (22)의 내부 직경은 약 2 mm이다. 본 설명 전반에 걸쳐, 바로 위에 주어진 직경과 같은 측정치 및 거리는 단지 대표적인 것으로 엄격히 여겨져야 하고, 결코 제한적이거나/이고 고정되지 않는다. 본 설명에 제공된 모든 측정치 및 거리에 있어서는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것과 같이, 많은 변동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의 제2 말단 (30)은 SPG를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분무하도록 형상화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멍 (36)을 포함하는 팁 (34)을 갖는 노즐 (2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노즐 (28)은 SPG를 향해 옆쪽 및/또는 위쪽으로 의약을 분무하도록 형상화되고, 다른 실시양태에서, 노즐 (28)은 SPG를 향해 옆쪽, 위쪽, 및 앞쪽으로 의약을 분무하도록 형상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노즐 (28)은 주입기 (12)의 제2 말단 (30)으로부터 상향 각도 경사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노즐 (28)은 SPG가 중비갑개의 뒤쪽인 옆쪽 케이브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자 해부학에 부응하기 위해 약 45 도 내지 약 60 도인 경사 각도로 옆쪽, 앞쪽, 및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노즐 (28)은 약 2 mm 내지 약 5 mm 범위의 길이를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손잡이성(handedness)을 보이도록 설계되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환자의 좌측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는 반면, 다른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환자의 우측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다 (왼손잡이 주입기의 윤곽은 오른손잡이 주입기의 윤곽과 일반적으로 상보적임).
도입기 (18)는 하비갑개의 안쪽인 위치까지의 실질적으로 비강의 하단부 또는 코의 바닥과 평행인 수평 경로를 제공하여 도입기 (18)가 비강의 하단부 상에서 지지되도록, 비공 내로 겨냥될 수 있다. 도입기 (18)의 이러한 자가-장착 특징은 의료 전문진으로부터의 감독을 필요하게 하지 않으면서 환자에 의한 빠르고 정확한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입기 (18)는 비공 내로 약 1.5 cm와 약 2 cm 사이인 연장된 경로를 제공한다. 일단 도입기 (18)가 코에 가까이 확실히 배치되면, 코의 팁은 위쪽으로 향하려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주입기 (12)의 튜브형 구간 (24)은 그 다음 비공의 후방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밀어넣어질 수 있다. 코의 내부 해부학의 약간 곡선진 성질에 부응하기 위해, 튜브형 구간 (24)이 놓여 있는 통로 (48)는 약 5 내지 약 20 도로 같은쪽 비공으로 약간 곡선으로 될 수 있다. 일단 튜브형 구간 (24)이 제자리에 있으면, 의약은 그 다음 노즐 (28)로부터 SPG로 전달되어 요망되는 SPG 블록킹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 (10)는 주입기 (12)에 이용되는 비공 내로의 이동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임의의 안전 지대치 멈춤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3, 및 4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도입기 (18)는 제1 부분 (44) 및 제2 부분 (3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부분 (44)의 단면적은 제2 부분 (38)의 단면적보다 크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부분 (44)은 일반적으로 오목하고, 비공의 내부와 그 형상이 상보적이어서 그것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상화된 윤곽 (46)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좁은 제2 부분 (38)은 둥근 볼록 부분 (39) 및 일반적으로 평평한 표면 (42)을 갖는 아랫면 (40)을 가진다. 도입기 (18)의 통로 (48)는 주입기 (12)의 튜브형 구간 (24)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그 직경이 약 6 mm와 약 7 mm 사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입기 (18)의 제2 부분 (38)은 약 1 cm 내지 약 3 cm 연장되는 비공-맞물림 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입기 (18)의 제1 부분 (44)은 약 2 cm 내지 약 3 cm 연장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입기 (18)는 손잡이성을 보이도록 설계되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입기 (18)는 환자의 좌측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는 반면,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입기 (18)는 환자의 우측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다 (왼손잡이 도입기의 윤곽은 오른손잡이 도입기의 윤곽과 일반적으로 상보적임).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 (10)는 추가로 주입기 (12)의 제1 말단 (29) 및 채널 (22)과 통하고, 의약 (16) (예를 들어, 마취제)을 보유하도록 형상화된 용기 (1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 1,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기 (14)는 하부 구간 (31)을 갖는 줄기 (26) 상에서 지지되고,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것의 외부 직경은 실질적으로 튜브형 구간 (24)의 것과 동일하다. 하부 구간 (31)은 주입기 (12)의 제1 말단 (29)으로부터 외향 및/또는 상향 및/또는 경사 각도로 연장될 수 있고,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용기 (14)의 출구 (33)를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확대된 직경을 갖는 상부 구간 (32)에 연결된다. 하부 구간 (31)과 유사하게, 상부 구간 (32)은 외향 및/또는 상향 및/또는 경사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기 (14)는 상부 줄기 구간 (32)에 유효하게(operatively) 연결, 탑재 또는 다르게 고정되고, 의약 (16)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용기 (14)가 주입기 (12)의 채널 (22)과 통하기 때문에, 의약 (16)은 튜브형 구간 (24)을 따라 전달되고 노즐 (28)의 하나 이상의 구멍 (36)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용기 (14)는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채널 (22)로의 의약 전달을 용이하기 위해 압착가능하고/하거나 가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기 (14)는 포트 (나타나지 않음)로 대체되어, 의약이 주사기와 같은 전달 장치에 의해 상부 구간 (32)으로 포트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 (10)는 추가로 제1 부분 (44)에 인접한 도입기 (18)의 뒷부분에 연결된 임의의 핸들 (20)을 포함한다. 핸들 (20)은 주입기 (12)의 튜브형 구간 (24)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아들이기 위해 도입기 (18)의 통로 (48)와 통하고,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트랙 (52)을 제공하는 상향으로 향해있는 홈 (5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트랙 (52)의 깊이 또는 너비는 약 6 mm 내지 약 7 mm이다. 핸들 (20)은 환자의 얼굴을 향해 움직이도록 형상화되어, 핸들 (20)의 뒤쪽 움직임에 의해 도입기 (18)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리도록 움직인다.
주입기 (12), 도입기 (18), 및 핸들 (20)은 가요성, 강성 또는 반-강성 중합체성 물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등), 금속 및 이들의 합금 등, 및 이들의 조합물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 온갖 종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도입기 (18)는 엘라스토머성 및/또는 탄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형성되고, 핸들 (2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주입기 (12), 도입기 (18), 및 핸들 (20)은 일회용 및/또는 생분해성이도록 하기 위한 물질로부터 설계된다.
상기 기술된 대표 장치 (10)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칙에 따라 환자의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대안적인 구조물이 마찬가지로 유사하게 이러한 전달을 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주입기 (12)의 제2 말단 (30)에 제공된 각진 노즐 (28)과 유사하게, 말단들 중 하나에서 환자의 비공 내로의 삽입을 위해 형상화된 곡선 부분을 갖는 전달 튜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예를 들어, 펜- 또는 시가(cigar)-형상)인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전달 튜브는 가요성 또는 반-강성 물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형성될 수 있어서, 하우징 내 보관 위치에 있는 동안은 실질적으로 선형 또는 비-곡선인 배열로 유지될 수 있으나, 하우징으로부터 맞물림 위치로 연장될시 곡선의 형상으로 쉽게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외부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내부 표면들은 전달 튜브가 맞물림 위치로 움직이고, 그 결과 튜브의 곡선이 복원되는 것과 같은 시간까지 전달 튜브의 고유의 곡선을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똑바르게 하거나 또는 제약하도록 작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달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어, 의약을 방출하도록 설계된 말단)은 요망되는 경우 (예를 들어, 공기, 산소 및/또는 다른 기체들, 및/또는 의약이 가압하에 튜브를 통해 통과될 때) 팽창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원통형 하우징에 하나 이상의 임의의 지시 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에 보관된 전달 튜브의 곡선 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하우징을 360 도의 원호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전달 튜브를 통해 의약을 전달하기 위한 분무의 임의의 요망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단순히 하우징을 회전시킴으로써, 분무의 방향을 0 도 내지 360 도의 연속된 원호를 거쳐 증강식으로 변화할 수 있다. 설계로는, 하우징의 한 말단은 의약을 포함하는 주사기와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루어 락(luer lock)으로 핏팅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환자의 비도 밖에 남도록 형상화된 하우징의 말단은 의약이 이를 통해 그 안에 수용된 전달 튜브 내로 도입될 수 있는 격벽 또는 이런 유사한 막으로 핏팅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설명에 따라 환자의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정도로의 사용을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전달 장치 및 대안적인 구조물에 대해 수많은 다른 변형이 마찬가지로 고안된다. 예로서, 환자의 비공 내로의 삽입을 위해 형상화된 장치의 부분 (예를 들어, 상기 기술된 주입기 (12)의 일부분)은 사용자가 다룰 때 요망되는 형상 (예를 들어, 주입기 (12)의 제2 말단 (30)에 제공된 각진 노즐 (28)의 증가된 또는 감소된 곡선)을 받아들이고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순응성의 물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금속 합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예를 들어, 임상의가 임상 세팅에서 환자에 사용하기 전에 장치의 정확한 기하학을 맞추기를 희망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9는 의약을 필요로 하는 환자로 의약을 전달하기 위한 대표 장치 (54)를 나타낸다. 장치 (54)는 환자의 비도 밖에 남도록 형상화된 제1 말단 (58) 및 환자의 비도 내로 진입하도록 형상화된 제2 말단 (60)을 포함하는 주입기 (56)를 포함한다. 장치 (54)는 추가로 환자의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고 주입기 (5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통로 (64)를 포함하는 도입기 (62)를 포함한다. 주입기 (56)는 도입기 (62)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려지기 전의 보관 위치 (도 6 및 7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남)와, 도입기 (62)가 환자의 비공과 맞물림에 따른 맞물림 위치 (도 8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남)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6 및 7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주입기 (56)는 환자에게 전달되도록 의약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실 (보이지 않음)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루어 락 기구로 핏팅된 허브 (66)에 연결된다. 도 7-9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허브 (66)는 압축할 수 있는 스톱바 (68)에 연결된다. 주사기와 맞물리기 전에, 허브 (66)는, 스톱바 (68)가 하우징 (70)의 두 반구에 의해 형성된 키 슬롯(keyed slot) (72)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우징 (70)의 밖에 남고 그 안의 회전을 견디도록 형상화된다. 허브 (66)를 축방향으로 눌러서 하우징 (70)에 넣고 (예를 들어, 허브 (66)의 루어 락 기구에 연결된 주사기에 의함), 스톱바 (68)는 립(lip) (74)에 닿을 때까지 키 슬롯 (72)을 따라 이동하며 그 시점에서 스톱바 (68)가 립 (74)에 맞물려서 하우징 (70)의 내부로부터 허브 (66)의 후퇴를 막으며, 허브 (66) (및 그에 연결된 주사기)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하우징 (70) 내에서 허브 (66) 축 이동의 비가역성은 의사가 사용한 장치와 사용하지 않은 것을 쉽게 구별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다시말해, 만일 허브 (66)가 하우징 (70)으로부터 튀어나와있지 않으면, 그 장치는 이미 사용된 것이다.
도 8 및 9의 고려사항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스톱바 (68)는 추가로 하우징 (70) 안에서의 렛지(ledge) (78)와 결합되어 작용하도록 형상화되었으므로, 허브 (66) (및 그에 연결된 주사기)의 회전의 각도는 정해진 각도 (예를 들어, 약 45°의 시계방향 또는 45°의 반시계방향)로 제한된다. 정해진 각도 (렛지 (78)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를 넘어서 회전하는 것은, 스톱바 (68)를 위로 올려서 렛지 (78)를 받을 때 방지된다. 이런 특징은 의약이 주입기 (56)에서 도입될 수 있는 위치를 표적 부위를 향해 바람직한 궤도를 가지는 것으로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정확한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8에 의해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주입기 (56)-일부 실시양태에서 형상 기억을 가지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하는 것-는 저장하는 동안에 곡선 도입기 (62)에 의하여 부여된 약간의 곡선을 유지한다. 이런 곡선으로 인하여 그리고 제2 말단 (60)의 측면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멍을 제공함으로써, 주입기 (56)는 손잡이성을 고려하지 않고 환자의 좌측 및 우측 비공 모두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56)의 제2 말단 (60)의 측면을 따라 있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멍의 직경은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의 바깥쪽 직경보다 더 작으므로, 주사기의 플런저(plunger)를 눌러서 구멍을 통해 배출된 액체는 격렬하게 분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튜브의 가요성에 따라서, 주입기 (56)는 주사기 플런저의 함몰로 가해진 압력하에서 더욱 곡선이 된다 (예를 들어, 구멍에서 분출하는 액체에서 멀어지는 방향).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멍의 직경은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의 안쪽 직경보다 더 작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는 나일론 수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표명 피박스(PEBAX) 72D 하에 판매되는 것과 같은 것).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는 피박스 72D를 포함하고, 0.039±0.001의 바깥쪽 직경 Φ을 가지고, 0.005±0.001 (즉, 천분의 오 인치)의 벽 두께를 가지며, 0.005±0.001의 직경을 가지는 구멍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구멍은 허브 쪽으로 배향된 방향으로 50°각도로 배향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입기 (62), 하우징 (70), 키 슬롯 (72), 립 (74), 및 렛지 (78)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부 실시양태에서, 두개의 상보적으로 성형된 반구는 프레스 핏팅되고/되거나 예를 들어 접착제, 초음파 용접 등으로 함께 접착한 것처럼),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부분들은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허브 (66) 및 스톱바 (68)는 마찬가지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내용에 따른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의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SPG를 향해 옆쪽 및/또는 위쪽으로 전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SPG를 향해 옆쪽, 위쪽, 및 앞쪽으로 전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은 (a) 환자의 비도를 통해 환자의 SPG의 실질적으로 안쪽 및/또는 뒤쪽 및/또는 아래쪽인 영역으로 주입기 (12)를 도입하는 단계; 및 (b) 주입기 (12)로부터 SPG를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환자의 비도를 통해 SPG의 실질적으로 안쪽 및/또는 아래쪽인 영역으로 도입되는 반면, 다른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SPG의 실질적으로 안쪽, 아래쪽, 및 뒤쪽인 영역으로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SPG를 향해 옆쪽 및/또는 위쪽으로 전달되는 반면,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SPG를 향해 옆쪽, 위쪽, 및 앞쪽으로 전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이를 통해 의약이 SPG를 향해 분무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멍 (36)을 포함하는 제2 말단 (30)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주입기 (12)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도입기 (18)에서 받아들여지고, 방법은 추가로 (c) 도입기 (18)를 환자의 비공과 맞물리게 하여, 환자의 비공의 일부분이 도입기 (18)와 맞물리면서 들려 올라가는 단계; 및 (d) 도입기 (18)가 비공과 맞물려진 후 주입기 (12)를 보관 위치로부터 맞물림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주입기 (12)의 맞물림 위치는 SPG의 안쪽 및/또는 뒤쪽 및/또는 아래쪽에 위치되고,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안쪽 및/또는 아래쪽, 그리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안쪽, 아래쪽, 및 뒤쪽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주입기 (12)와 연결되고 통하는 용기 (14)에서 제공되고, 방법은 추가로 (e) 의약을 SPG를 향해 분무하기 위해, 의약을 포함하는 용기 (14)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도입기 (18)를 비공 내에 꼭 맞고 편안하게 밀어넣어 환자의 비공의 팁을 들어올린 후, 주입기 (12)의 노즐 (28)을 SPG와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 주입기 (12)의 튜브형 구간 (24)을 도입기 (18)의 통로 (48)를 통해 슬라이딩하는 단계, 및/또는 주입기 (12)의 튜브형 구간 (24)를 핸들 (20)의 트랙 (52)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PG에서 또는 그 주변에의 도입에 적합한 온갖 종류의 의약이 본 내용에 따른 사용을 위해 고안된다. 의약의 물리적 상태는 액체, 고체, 반-고체, 현탁액, 분말, 페이스트, 겔 등,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인 형태로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마취제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양태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마취제는 암부카인, 아몰라논, 아밀로카인, 베녹시네이트, 베톡시카인, 비페나민, 부피바카인, 부타카인, 부탐벤, 부타닐리시카인, 부테타민, 부톡시카인, 카르티카인, 코카에틸렌, 코카인, 시클로메티카인, 디부카인, 디메티소퀸, 디메토카인, 디페로돈, 디클로닌, 에크고니딘, 에크고닌, 에틸 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클로라이드, 에티도카인, β-유카인, 유프로신, 페날코민, 포모카인, 헥실카인, 히드록시프로카인, 히드록시테트라카인, 이소부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류시노카인 메실레이트, 레복사드롤, 리도카인, 메페리딘, 메피바카인, 메프릴카인, 메타부톡시카인, 메틸 클로라이드, 미르테카인, 나에파인, 옥타카인, 오르토카인, 옥세타자인, 파레톡시카인, 페나카인, 페놀, 피페콜옥실리다이드, 피페로카인, 피리도카인, 폴리도카놀, 프라목신, 사메리딘, 프릴로카인, 프로파노카인, 프로파라카인, 프로피포카인, 프로폭시카인, 슈도코카인, 피로카인, 퀴닌 우레아, 리소카인, 로피바카인, 살리실 알콜, 테트라카인, 톨리카인, 트리메카인, 베라트리딘, 졸라민 등, 및 이들의 조합물, 및 이들의 모든 광학 및/또는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제약학상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벤조카인, 테트라카인, 로피바카인, 리도카인, 물, 염수,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마취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약 10 ℃ 미만, 그리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5 ℃ 미만의 온도를 갖는 물 및/또는 염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약 4 ℃의 온도를 갖는 물 및/또는 염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벤조카인, 테트라카인, 및 로피바카인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마취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벤조카인 약 14 중량%, 테트라카인 약 2 중량%, 및 로피바카인 약 1 중량%를 포함하는 마취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PG 블록의 빠른 개시를 달성하고 통증 완화의 효과를 지속하여, 반복된 적용에 대한 필요성을 줄이고 임의의 잠재적인 투여량-관련 합병증 및/또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벤조카인, 테트라카인, 및 로피바카인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국소 사용에 꽤 효과적이고 약 200 mg을 초과하여 독성 투여량을 갖는 벤조카인은 약 30 초의 개시 시간을 가지고, 약 0.5 내지 약 1 시간 동안 지속된다. 벤조카인은 통증 완화의 거의 즉각적인 개시를 제공하고, 이와 함께 혼합시 다른 국소 마취제의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약 175 mg의 독성 투여량을 갖는 로피바카인은 전형적으로 느린 개시를 가지나, 약 2 내지 약 6 시간 동안 지속된다. 로피바카인은 연장된 신경 블록 및 지속되는 통증 완화를 제공한다. 테트라카인은 빠른 개시를 가지고 약 0.5 내지 약 1 시간 동안 지속되는 매우 강한 국소 마취제이다. 테트라카인이 로피바카인과 병용되는 경우, 통증 완화의 지속기간은 6 시간을 초과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내용에 따라 사용되는 의약은 가압 또는 에어로졸화 혼합물로 용기 (14) (도 1, 3, 및 4에 나타남)에서 제공된다. 의약은 경우에 따라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것인 방부제, 액체 운반체, 및/또는 다른 불활성 성분 및 첨가제를 함유한다.
본 내용에 따라 전달되는 의약의 양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고, 의약의 성질 및/또는 농도, 환자의 연령, 상태, 및/또는 의약에 대한 민감도 등과 같은 인자들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마취제의 투여량은 약 0.1 cc 내지 약 1.0 cc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마취제의 투여량은 약 0.5 cc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장치는 환자의 SPG를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온갖 종류의 상태들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해 고안된다. 치료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태는 접형구개 신경통, 중추삼차 신경통, 예를 들어, 혀인두 신경통, 조짐이 있는 또는 없는 편두통, 긴장형 두통, 군발 두통, 예를 들어, 만성 군발 두통, 발작성 반두증, 상 후두 신경통, 비전형적인 안면 통증, 안부 대상 포진, 혈관운동성 비염, 주요 우울증, 섬유근육통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약학상 활성 약제의 전신 전달을 위한 인간 조직으로의 의약의 국소 투여는 전형적으로 경피 및/또는 경점막의 페이스트, 크림, 액체, 고체, 반고체 등의 사용을 포함한다. 그러나, 국소 투여에 의한 제약학상 활성 약제의 전신 전달은 혈관에 도달하기 위해 약제가 적용된 조직을 통해 약제를 확산시켜서, 약제가 그 다음 전신 전달을 위해 흡수될 수 있게 하기 어려움에 의해 방해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장치가 임의의 의약의 투여에서 혈액 뇌 장벽의 증가된 투과성을 달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광범위한 집합체의 환자 병을 치료하는데 종래의 SPG 블록 절차가 사용되어 왔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장치가 그것들 모두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해 고안된다. 대표적인 병은 근육 연축과 관련된 통증 및/또는 불쾌감, 혈관 연축, 신경통, 반사 교감 신경이상증, 다수의 병인 (예를 들어, 근육성, 추간판성, 관절염성 등)의 만성 요통, 외 반지연골통증, 하악골 치통, 설통, 이통 (유스타키오관의 경우) 및 중이 병변, 후두암에 이차적인 이통, 후두 결핵으로부터의 통증, 안면 및 상기도의 연축, 매독 두통, 말라리아 두통, 군발 두통, 안구 편두통, 월경곤란성, 늑간 통증 (신경통), 위통, 구역 및 설사, 경부근의 근육통, 엉덩뼈신경통, 상악 신경통, 감각 안면 신경통, 상악 치아 통증, 발치 관련 통증, 인후 내 이물감, 외이도 내 지속되는 가려움, 귀 대상포진, 미각 장애, 비전형적인 안면 통증, 동통 티크, 자궁 관절염, 근막통증 증후근, 말초 신경병, 헤르페스 후 신경통, 골다공증에 이차적인 골절, 요천 과도긴장, 팔다리 관절염, 각종 다른 관절염 상태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 방법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추가의 징후는 분노 제어, 우울증 완화 등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이, 용어 "키트"는 본 내용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물질들의 조립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키트는 상기 기술된 대표 장치들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장치 및/또는 이들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상기 기술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마취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여, 이와 함께 사용될 하나 이상의 의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각각 환자의 좌측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주입기 및/또는 도입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환자의 우측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주입기 및/또는 도입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환자의 좌측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주입기 및 도입기뿐만 아니라 환자의 우측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주입기 및 도입기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오른손잡이성 또는 왼손잡이성 도입기에의 연결을 위해 교환가능한 핸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핸들 자체는 손잡이성을 보이며, 오른손잡이성 도입기 및 왼손잡이성 도입기 각각을 위해 별도의 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완전히 조립체가 된 상태로 제공되는 반면,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장치의 조립체가 필요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에 제공되는 장치는 상기 기술된 유형과 같이, 말단들 중 하나에서 환자의 비공 내로의 삽입을 위해 형상화된 곡선 부분을 갖고, 실질적으로 원통형 (예를 들어, 펜- 또는 시가-형상)인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전달 튜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요소는 일회용이고, 경우에 따라 생분해성이다.
키트에 제공된 의약은 단일 시약 또는 복수개의 시약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내용에 따른 사용을 위한 대표 의약은 상기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의약은 이것의 교차-반응성 및 안정성에 따라 동일한 또는 별도의 용기에서 포장된 조합물, 및 액체 또는 동결건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키트에서 제공된 임의의 시약의 양 및 비율은 특정한 용도를 위한 최적화된 결과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키트에 포함된 의약은 온갖 종류의 용기에서 공급될 수 있으며, 다른 성분들의 활성은 실질적으로 보존되는 반면, 성분들 자체는 실질적으로 용기의 물질에 의해 변경되거나 또는 흡착되지 않는다. 적합한 용기는 앰플, 병, 시험관, 바이알, 플라스크, 주사기, 주머니 및 외피 (예를 들어, 호일 라이닝된) 등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기는 유리, 유기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등), 세라믹,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속 합금 (예를 들어, 강), 코르크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는 격벽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멸균 접근 포트 (예를 들어, 바늘을 통한 접근을 위해)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에 바람직한 물질은 예를 들어, 듀퐁(DuPont) (윌밍턴, 독일(Wilmington, DE))에 의해 상표명 테플론(TEFLON) 하에 판매되는 유형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고무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는 성분들의 혼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는 칸막이 또는 막으로 분리된 둘 이상의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내용에 따른 키트는 또한 당업계에 알려지고/지거나 상업적 및 사용자의 관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는 다른 아이템들, 예를 들어, 빈 주사기, 튜브, 거즈, 패드, 소독제 용액, 세척 용액, SPG 신경 블록의 수행을 위한 및/또는 장치의 조립, 사용, 및/또는 세척을 위한 지시사항 등, 및 이들의 조합과 함께 공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시사항은 용기 (예를 들어, 바이알) 및/또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수송을 위해 키트의 하나 이상의 요소가 포장된 보다 큰 용기에 부착될 수 있다. 지시사항은 또한 포장 인서트(insert)라 칭해지는 별도의 인서트로 제공될 수 있다. 키트와 함께 제공되는 지시사항 자료는 (예를 들어, 종이에) 인쇄되고/되거나 전자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CD-ROM, DVD-ROM, 짚 디스크, 비디오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등)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사용자를 (예를 들어, 키트의 제조업자 또는 유통업자에 의해 명시된) 인터넷 웹 사이트로 안내함으로써, 및/또는 전자 메일을 통해 지시사항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 방법의 특징들을 보여주고,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이들의 등가물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실시예 1-30
상기 기술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편두통 및 긴장형 두통과 같은 만성 두통을 앓고 있는 30 명의 환자를 치료하는데 적용하였다. 이 시험의 결과는 놀랍고도 뜻밖이었다. 예시로서, 상기 기술된 방법은 100 %의 환자들에게서 통증의 90 % 이상의 감소와 100 % 유효한 SPG 블록을 야기하였다. 통증 완화의 개시는 약 30 초 내지 약 60 초이었고, 통증 완화의 지속기간은 약 4 내지 약 24 시간이었다. 벤조카인, 테트라카인, 및 로피바카인을 상기 기술된 양으로 함유하는 마취제 혼합물의 오직 0.5 cc 이하를 사용하여 각각의 SPG 블록을 수행하였다. 10 명 이상의 환자들에게서, 본 내용에 따라 달성된 통증 완화의 지속기간이 24 시간을 초과하였다. 전반적으로, 두통의 매우 효과적인 제어가 관찰되었다. 환자들은 거의 100 % 직장에 복귀하고 독성의 통증 의약을 피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신장, 체중, 성별 또는 인종과 무관하게, 95 %의 인구에서 15 세 이상의 대부분의 환자들에게 적용가능하다. 게다가, 현재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 방법이 주로 인간 환자들의 치료에 사용될 것이라고 여겨지나,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또한 온갖 종류의 비-인간 환자들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비공을 갖는 임의의 비-인간 환자 (예를 들어, 다른 포유동물, 예를 들어, 영장류, 개, 고양이, 돼지, 말, 소 등, 및 비-포유동물)가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칙에 따라 치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의사에 의해).
요약하면, 두통, 안면 통증 등과 관련된 통증의 보다 안전하고 보다 효과적인 완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기술되었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경제적이고, 훈련된 전문 의료진에 의해, 그리고 의료 전문가의 감독없이 환자 본인에 의해 환자에 쉽게 사용되어, 표적 위치로의 의약의 확실하고 반복가능한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 방법은 시간당 2 회 또는 필요한 만큼 환자에 의해 스스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10)의 임의의 핸들 (20)은 도입기 (18)가 환자의 비공 내에 꼭 맞고 편안하게 맞물리고 맞을 때까지 환자의 안면을 향해 밀어넣어져서, 환자의 코의 평평한 팁을 위쪽 그리고 약간 뒤쪽으로 향하도록 들어올릴 수 있다. 그 후에, 주입기 (12)는 환자의 코를 향해 뒤쪽으로 밀어넣어져서, 노즐 (28)이 SPG의 안쪽 및/또는 뒤쪽 및/또는 아래쪽-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안쪽 및/또는 아래쪽, 그리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안쪽, 아래쪽, 및 뒤쪽-에 위치할 때까지 튜브형 구간 (24) 및 노즐 (28)을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그 후에, 마취제와 같은 의약이 주입되고, SPG를 향해 상향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옆쪽 및/또는 상향, 그리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옆쪽, 상향, 및 앞쪽-, 그리고 그 주변으로 노즐 (28)의 구멍 (36)을 통해 분무될 수 있다. 적절한 마취제가 SPG 상으로 분무되는 경우, 같은쪽 머리 또는 뇌혈관의 빠르고 지속된 혈관 수축이 달성되어, 그 후에 효과적인 통증 관리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된 도면들은 설명과 예시로서 제공되었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현재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의 많은 변동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의 범위 내로 남는다.

Claims (20)

  1. 환자의 비도 밖에 남도록 형상화된 제1 말단 및 환자의 비도 내로 진입하도록 형상화된 제2 말단을 포함하고, 보관 위치와 맞물림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주입기; 및
    환자의 비공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되고, 주입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통로를 포함하며, 통로에 인접한 이들의 부분에 따른 곡선을 포함하는 도입기
    를 포함하는, 의약을 필요로 하는 환자로의 의약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주입기가 통로의 곡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용하도록 형상화된 가요성 튜브를 포함하는 의약 전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주입기가 제2 말단에 인접한 가요성 튜브의 측면을 따라 있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의약 전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제1 말단이 환자의 비도 밖에 남도록 형상화되었으며 하우징의 제2 말단이 도입기를 포함하는 의약 전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장치가 추가적으로 주입기에 연결된 허브를 포함하고, 허브는 주사기에 연결되도록 형상화된 의약 전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허브가 주사기에 연결되기 전에 하우징의 밖에 남도록 형상화되었으며, 도입기를 향해 축방향으로 밀때 실질적으로 비가역적으로 하우징에 들어가도록 형상화된 의약 전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허브가 루어 락을 포함하는 의약 전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허브가 스톱바를 포함하고, 하우징이 스톱바를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키 슬롯을 포함하는 의약 전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추가적으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허브의 후퇴를 막도록 형상화된 립을 포함하는 의약 전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허브가 실질적으로 하우징 내에 위치할 때 정해진 각도의 범위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형상화되었지만, 실질적으로 하우징 밖에 위치할 때 실질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의약 전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회전하도록 형상화된 허브에서 각도의 정해진 범위가 약 45 도 시계방향 및 약 45 도 반시계방향인 의약 전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허브가 스톱바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그의 제1 및 제2 반대편에서 스톱바에 대향하게 형상화된 렛지를 포함하는 의약 전달 장치.
  13. 환자의 비도를 통해 환자의 나비입천장신경절의 실질적으로 안쪽 및/또는 뒤쪽 및/또는 아래쪽인 영역으로 제1항에 따른 장치의 주입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주입기로부터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위쪽 및/또는 옆쪽 및/또는 앞쪽으로 의약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주입기가 통로의 곡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용하도록 형상화된 가요성 튜브를 포함하고, 주입기가 제2 말단에 인접한 가요성 튜브의 측면을 따라 있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인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영역이 나비입천장신경절의 실질적으로 안쪽 및 아래쪽인 것인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영역이 나비입천장신경절의 실질적으로 안쪽, 아래쪽, 및 뒤쪽인 것인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의약이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옆쪽 및 위쪽으로 전달되는 것인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의약이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옆쪽, 위쪽, 및 앞쪽으로 전달되는 것인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영역이 나비입천장신경절의 실질적으로 안쪽, 아래쪽, 및 뒤쪽이고, 의약이 나비입천장신경절을 향해 옆쪽, 위쪽, 및 앞쪽으로 전달되는 것인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통증이 두통, 안면 통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환자의 통증 완화 방법.
KR1020137012422A 2010-11-15 2011-10-28 의약 전달 장치 및 통증 완화 방법 KR101755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46,576 US8905980B2 (en) 2008-08-01 2010-11-15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pain
US12/946,576 2010-11-15
PCT/US2011/058238 WO2012067787A1 (en) 2010-11-15 2011-10-28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p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455A true KR20130127455A (ko) 2013-11-22
KR101755070B1 KR101755070B1 (ko) 2017-07-06

Family

ID=4608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422A KR101755070B1 (ko) 2010-11-15 2011-10-28 의약 전달 장치 및 통증 완화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8905980B2 (ko)
EP (1) EP2640450B1 (ko)
JP (1) JP5813125B2 (ko)
KR (1) KR101755070B1 (ko)
CN (1) CN103298511B (ko)
AU (1) AU2011329425B2 (ko)
BR (1) BR112013011591B1 (ko)
CA (1) CA2815513C (ko)
CR (1) CR20130201A (ko)
HK (1) HK1189522A1 (ko)
MX (1) MX2013005399A (ko)
MY (1) MY165993A (ko)
NZ (1) NZ609747A (ko)
PL (1) PL2640450T3 (ko)
RU (1) RU2589645C2 (ko)
SG (1) SG190283A1 (ko)
TW (1) TWI478741B (ko)
WO (1) WO20120677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953A (ko) 2017-11-17 2019-05-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강을 통한 뇌 약물 전달 장치 및 비강을 통한 뇌 약물 전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5980B2 (en) 2008-08-01 2014-12-09 Tian Xia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pain
US20100057048A1 (en) * 2008-09-04 2010-03-04 Stephen Eldredg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typical Headaches
US10441959B2 (en) * 2011-10-28 2019-10-15 Medtronic Xomed, Inc. Multi-orifice spray head
JP2015507964A (ja) * 2012-02-10 2015-03-16 ド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患者の鼻腔内治療を促進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AU2015249141A1 (en) * 2012-02-10 2015-11-19 Dolo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tranasal treatment of a patient
WO2013142333A1 (en) * 2012-03-19 2013-09-2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delivering medication to a bodily passage
US10279155B1 (en) * 2012-11-02 2019-05-07 Michael B. Siegel Methods and systems for bathing nose and sinus passages
US9516995B2 (en) 2013-12-17 2016-12-13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US9510743B2 (en) 2013-12-17 2016-12-06 Biovision Technologies, Llc Stabilized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US9694163B2 (en) 2013-12-17 2017-07-04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US10016580B2 (en) 2013-12-17 2018-07-10 Biovision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treating sinus diseases
USD776259S1 (en) 2014-04-11 2017-01-10 Dolor Technologies, Llc Intranasal catheter
WO2016125016A1 (en) * 2015-02-04 2016-08-11 Desvac Portable automatic veterinary injector device
CN105999529A (zh) * 2016-07-05 2016-10-12 杨振九 鼻腔深部给药设备
US10195376B2 (en) * 2017-01-03 2019-02-05 Alex Nyirucz Device and method for administration of compositions to the eustachian tube
US10814076B2 (en) * 2017-01-03 2020-10-27 Alex Nyirucz Method for enhancing eustachian tube patency and treatment of otitis media
US10413505B1 (en) 2017-02-07 2019-09-17 Genus Lifescienc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149843B1 (en) 2017-02-07 2018-12-11 Gneus Lifescinec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231961B1 (en) 2017-02-07 2019-03-19 Genus Lifescienc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8147790A1 (en) * 2017-02-09 2018-08-16 Med Solutions Sweden Aktiebolag Anaesthetic composition comprising ropivacaine, prilocaine and lidocaine
WO2019087071A1 (en) * 2017-10-31 2019-05-09 Clexio Biosciences Ltd. Nasal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20005910A1 (en) 2018-06-28 2020-01-02 Sandler Scientific, Llc Sino-nasal rinse delivery device with agitation, flow-control and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WO2020069528A1 (en) 2018-09-28 2020-04-02 Achilleus LLC Secure device for delivering medications
EP3941561A4 (en) * 2019-03-28 2022-12-2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 FOR NASAL DRUG ADMINISTRATION
US11324934B2 (en) 2020-01-07 2022-05-10 Sana Louis Bloch Deep nasal insertion sphenopalatine ganglion (“SPG”) treatment
CN113055826B (zh) * 2021-03-12 2022-04-22 南京大学 一种联合分簇和三维轨迹规划的大规模无人机群数据收集方法
US11684760B2 (en) * 2021-03-29 2023-06-27 Andrada I Bucataru Personal medical device for administering treatment via mucous membrane
CN116832277B (zh) * 2023-08-30 2023-11-17 上海埃立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一次性雾化注射给药器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5754A (en) 1927-12-09 1930-04-22 Reinhold H Wappler Nasal syringe
US3049125A (en) * 1960-03-28 1962-08-14 Kriwkowitsch George Nose packing device
US4384581A (en) * 1980-01-17 1983-05-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icrosyringe
US4323065A (en) * 1980-01-17 1982-04-06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Attachable connector for catheter
US4767416A (en) 1986-12-01 1988-08-30 Johnson & Johnson Patient Care, Inc. Spray nozzle for syringe
US4886493A (en) 1987-10-22 1989-12-12 Jordan Yee Medical applicator process
US4935017A (en) * 1988-04-29 1990-06-19 C. R. Bard, Inc. Variable shaped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catheterization
US5255691A (en) * 1991-11-13 1993-10-26 Medtronic, Inc. Percutaneous epidural lead introducing system and method
IL114154A0 (en) 1994-06-17 1995-10-31 Trudell Medical Ltd Nebulizing catheter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5642730A (en) 1994-06-17 1997-07-01 Trudell Medical Limited Catheter system for delivery of aerosolized medicine for use with pressurized propellant canister
US6729334B1 (en) 1994-06-17 2004-05-04 Trudell Medical Limited Nebulizing catheter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5637092A (en) 1995-01-30 1997-06-10 Shaw; Thomas J. Syringe plunger locking assembly
US5817073A (en) 1995-06-02 1998-10-06 Krespi; Yosef P. Apparatus for administering local anesthetics and therapeutic medications during endoscopic surgery
US20020111603A1 (en) * 1996-12-02 2002-08-15 Societe De Conseils De Recherches Et D'application Device for local administration of solid or semi-solid formulations and delayed-release formulations for proposal parental administ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DE19715594A1 (de) 1997-04-15 1998-10-22 Bayer Ag Analgetika-Kombination
US5846226A (en) * 1997-05-12 1998-12-08 Urmey; William F. Spinal-epidural administration system
US7799337B2 (en) 1997-07-21 2010-09-21 Levin Bruce H Method for directed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US6432986B2 (en) 1997-07-21 2002-08-13 Bruce H. Levin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inhibiting cerebral neurovascular disorders and muscular headaches
US6491940B1 (en) 1999-01-27 2002-12-10 Bruce H. Levin Apparatus for administering composition for inhibiting cerebral neurovascular disorders and muscular headaches
US20010004644A1 (en) 1997-07-21 2001-06-21 Levin Bruce H. Compositions, kits, apparatus, and methods for inhibiting cephalic inflammation
US20050281751A1 (en) 1997-07-21 2005-12-22 Bruce Levin Directed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 agents
SE9704769D0 (sv) 1997-12-19 1997-12-19 Astra Ab Medical device
CA2266958A1 (en) 1998-04-17 1999-10-17 Belee, Incorporated Deep nasal anesthetic applicator
GB0114272D0 (en) * 2001-06-12 2001-08-01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US6413499B1 (en) 2000-01-06 2002-07-02 Bryan M. Clay Methods and kits for maxillary dental anesthesia by means of a nasal deliverable anesthetic
JP4754147B2 (ja) * 2000-04-18 2011-08-24 エム ディー シー インベストメ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引き込み式針部材を持つシールド付医療用装置
US6350465B1 (en) 2001-01-17 2002-02-26 Murali M. R. Jonnalagadda Headache treatment and method
JP4133209B2 (ja) * 2002-10-22 2008-08-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圧処理装置
US20050123484A1 (en) 2003-10-02 2005-06-09 Collegium Pharmaceutical, Inc. Non-flammable topical anesthetic liquid aerosols
US8764729B2 (en) * 2004-04-21 2014-07-01 Acclarent, Inc. Frontal sinus spacer
US7654997B2 (en) * 2004-04-21 2010-02-02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sinusitus and other disorders of the ears, nose and/or throat
US7666914B2 (en) 2004-06-03 2010-02-23 Richlin David M Topical preparation and method for transdermal delivery and localization of therapeutic agents
JP4761837B2 (ja) * 2005-05-27 2011-08-31 信行 大原 鼻腔内麻酔薬塗布装置
RU2318540C2 (ru) * 2005-08-15 2008-03-10 Станислав Степанович Лиманский Двухпросветная канюля для промывания околоносовых пазух
JP4804088B2 (ja) 2005-09-27 2011-10-26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GB0604444D0 (en) 2006-03-06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vices
GB2448193A (en)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US8231588B2 (en) * 2008-08-01 2012-07-31 Tian Xia Methods for ameliorating pain and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US20100030187A1 (en) * 2008-08-01 2010-02-04 Tian Xi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aches
US8690839B2 (en) 2008-08-01 2014-04-08 Tian Xia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connector for same
US8905980B2 (en) 2008-08-01 2014-12-09 Tian Xia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pain
US20100057048A1 (en) 2008-09-04 2010-03-04 Stephen Eldredg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typical Headach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953A (ko) 2017-11-17 2019-05-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강을 통한 뇌 약물 전달 장치 및 비강을 통한 뇌 약물 전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3005399A (es) 2013-08-01
TW201219075A (en) 2012-05-16
JP2013543772A (ja) 2013-12-09
SG190283A1 (en) 2013-06-28
CN103298511B (zh) 2016-01-27
RU2589645C2 (ru) 2016-07-10
US9597486B2 (en) 2017-03-21
CN103298511A (zh) 2013-09-11
NZ609747A (en) 2014-11-28
EP2640450B1 (en) 2015-12-09
BR112013011591A2 (pt) 2017-08-01
JP5813125B2 (ja) 2015-11-17
KR101755070B1 (ko) 2017-07-06
CR20130201A (es) 2013-06-13
AU2011329425B2 (en) 2016-04-28
CA2815513C (en) 2015-06-30
WO2012067787A1 (en) 2012-05-24
BR112013011591B1 (pt) 2020-11-24
TWI478741B (zh) 2015-04-01
US20150045775A1 (en) 2015-02-12
RU2013127129A (ru) 2014-12-27
AU2011329425A1 (en) 2013-05-23
US8905980B2 (en) 2014-12-09
HK1189522A1 (zh) 2014-06-13
PL2640450T3 (pl) 2016-04-29
US20110152838A1 (en) 2011-06-23
EP2640450A1 (en) 2013-09-25
MY165993A (en) 2018-05-21
EP2640450A4 (en) 2014-08-20
CA2815513A1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7455A (ko) 의약 전달 장치 및 통증 완화 방법
KR101527998B1 (ko) 통증 완화 방법 및 의약 전달 장치
US8690839B2 (en)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connector for same
US20200338287A1 (en) Nasal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278948B1 (en) Method for transnasal delivery of anticonvulsant and therapeutic treatments
US10039736B1 (en) Method for transnasal delivery of blood-brain barrier permeation agent and therapeutic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