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923A - 분체 정량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정량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923A
KR20130125923A KR1020120049552A KR20120049552A KR20130125923A KR 20130125923 A KR20130125923 A KR 20130125923A KR 1020120049552 A KR1020120049552 A KR 1020120049552A KR 20120049552 A KR20120049552 A KR 20120049552A KR 20130125923 A KR20130125923 A KR 2013012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riven
shaft
ch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550B1 (ko
Inventor
김정현
조정
최명욱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2004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55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 B65G19/16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the impellers being elements having an area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at of the conduit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open troughs or channels
    • B65G19/06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open troughs or channels the impellers being scrapers similar in size and shape to the cross-section of the trough or channel
    • B65G19/08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open troughs or channels the impellers being scrapers similar in size and shape to the cross-section of the trough or channel and attached to a single belt, rope or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open troughs or channels
    • B65G19/06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open troughs or channels the impellers being scrapers similar in size and shape to the cross-section of the trough or channel
    • B65G19/1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open troughs or channels the impellers being scrapers similar in size and shape to the cross-section of the trough or channel and attached to a pair of belts, rop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65G19/24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분의 이송시에 투입되는 연분량의 증감에 상관없이 일정량을 공급할 수 있고, 허용 이송량을 초과하였을 경우에 다음 이송구간으로 분배할 수 있어 분체의 이송시에 소손 및 고장이 방지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체 정량 이송장치{Device for feeding fixed amount of powder}
본 발명은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분의 이송시에 투입되는 연분량의 증감에 상관없이 일정량을 공급할 수 있고, 허용 이송량을 초과하였을 경우에 다음 이송구간으로 분배할 수 있어 분체의 이송시에 소손 및 고장이 방지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체란 가루 형태의 재료로서 여러 산업분야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재료에서 분체형상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체를 이용하여 제품의 생산시에는 일정시간동안 균일한 양의 분체를 생산현장의 사일로와 같은 저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분체 정량 이송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분체 정량 이송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드래그 체인을 채용한 터블러 컨베이어가 주로 사용되었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는 U자형의 트로프 또는 원통 캐스팅 내에서 나선을 회전시켜 반송물(분체)을 밀어 보내는 컨베이어로써 일정량의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 용이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는 직선구간의 분체 이송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하는 공간적 제약이 따랐고, 컨베이어의 길이가 길경우 내부 스크류 처짐에 따른 컨베이어 케이스 내부와의 간섭이 발생됨에 따라서 부하가 증대되기 때문에 설계시에 거리가 약 12,000㎜를 넘을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그 길이 이상의 분체 이송시에 스크류 컨베이어를 추가로 설치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는 이송되는 분체량이 일정한 반면, 배출되지 않고, 잔류된 분체가 컨베이어 끝단부에 쌓이게 되면 압축 누적되어 과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스크류가 축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드레그 체인을 이용한 컨베이어는 구동부와 피동부 사이에 연장되는 이송관의 내측에서 드레그 체인이 왕복하면서 이송관으로 유입되는 분체를 이송하는 방식으로서 상기 드레그 체인은 이송관의 내측면에 거의 밀착되는 판형상으로 제조된다. 아울러 상기 드레그 체인은 일측의 구동부와 타측의 피동부에서 각각 회전되는 롤러와 스프라켓에 맞물리면서 상기 이송관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분체를 밀어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드레그 체인을 이용한 컨베이어는 체인의 노후 및 부하 발생에 따른 일부구간 소손 발생시에 수리가 어렵고, 피동부 스프라켓을 사용하는 작동하는 경우에 체인이 이완되면 스프라켓에 이송체인이 정상적으로 걸리지 않고, 스프라켓 마모 및 컨베이어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분체가 사일로로 이송되어 저장되는 바, 종래의 컨베이어에서 사일로로 분체를 전달하는 연결부에서 체인이 아래로 늘어져서 과부하가 발생되거나, 낙하되는 분체에서 사일로가 아닌 주변으로 비산되기 때문에 손실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의 이송시에 투입되는 양의 증감에 상관없이 일정량을 균일하게 분배하여 이송할 수 있고 스프라켓 방식이 아닌 휠타입의 피동부를 구비하여 장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 제조 및 관리유지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에서 분체를 밀어내는 가압판을 분할시켜 분체를 밀어내도록 하여 투입되는 분체량의 증감에 상관없이 일정량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되는 분체가 사일로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분체의 손실을 방지하고, 체인의 늘어짐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간단한 구성과 공수로서 제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분체를 저장하는 사일로; 상기 사일로에 분체를 안내하도록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내측에서 분체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체인;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인을 상기 이송관을 따라서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이송관을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이송체인의 다른 한 끝단을 지지하는 피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인은 상호 이격되어 직립된 한 쌍의 벽면으로 형성되는 가압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은 상호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바; 상기 연결바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가압판을 각각 고정시키는 한 쌍의 연결판; 양측 끝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체결단이 상기 연결바와 연결판의 끝단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연통되어 상기 연결바와 연결판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고정축; 및 상기 체결단에서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축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양 끝단이 일방향으로 절첩되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연결바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직립된 벽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판의 한쪽 끝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의 일면에 밀착되는 절곡편; 및 상기 연결편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의 반대면 측 방향에 연결되는 타 연결바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수평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연결바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연장형성된 끝부분에 만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축의 체결단이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만곡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가압판의 타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바의 내측에 밀착되는 끝단에서 상기 고정축의 직경에 일치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이송관이 끼움식 플렌지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을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이송체인을 상기 피동롤러에 안내하는 피동연결관; 휠방식으로서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피동롤러; 및 하우징의 내측에서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피동롤러가 외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이 체결되는 피동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피동축의 외면에서 피동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피동롤러가 체결되는 상기 피동축의 양측면에서 상기 베어링이 안착되도록 내향된 홈이 형성되는 캡이 각각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피동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피동롤러에 지지되는 상기 이송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는 고정봉; 상기 고정봉의 끝단에서 상기 피동축의 양측 단부로 연장 및 고정되는 고정판; 및 하우징의 양측에서 상기 피동축의 양측 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피동부의 하우징에 체결되면서 이중너트구조로서 체결되어 수평방향의 회전에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동축은 양측 단부에서 상기 축지지봉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축지지봉의 외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내측에서 상기 이송체인이 인출입되는 방향과 일치되는 벽면의 하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이송체인의 쳐짐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내측에서 상기 이송체인이 인출됨을 안내하는 상기 피동연결관의 하측벽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사일로의 상측으로 하나 이상이 연장되며, 내측에서 이송되는 분체를 전달하도록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정량 이송장치는 상면에 개방된 유입구와 하면에서 개방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관에서 이송된 분체를 하측에 위치된 타 이송관 또는 상기 사일로의 투입구측으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연결부의 유입구와 배출구 중 어느 한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판형상의 분체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체인이 인출입되도록 하우징의 벽면을 연통하여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는 구동연결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수단; 내측에서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휠방식의 구동롤러; 및 내측에서 한쪽 끝단이 상기 전달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은 내측 벽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외면에 고정되는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는 구동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양측 단부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베어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내향된 홈이 형성되는 캡이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을 밀폐시키는 지지블럭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연결관의 하측에서 내측 벽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이송체인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동부와 구동부를 이송체인과 밀착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이송시키는 휠타입의 롤러를 통하여 이송체인을 회전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소손이 방지되기 때문에 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에서 분체를 밀어내는 가압판을 분할하고, 우레탄 재질로서 분할된 형상의 가압판을 제조함에 따라서 투입되는 분체의 양이 증가되어도 일정량의 분체를 이송하고, 증가된 분체를 다음체인으로 분배할 수 있어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아 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체를 이송관에서 이송관 및/또는 이송관에서 사일로로 전달하는 연결부의 구성을 개선하여 분체의 전달시에 분체가 주변으로 비산됨에 따른 분체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서 피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서 아이들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서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서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서 이송체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는 이송된 분체를 저장하는 사일로(60)와, 상기 사일로(60)에 분체를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관(40)과, 상기 이송관(40)내에서 왕복으로 이동되어 분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체인(70)과, 상기 이송체인(70)을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0)와, 상기 이송체인(70)을 지지하는 피동부(1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이송체인(70)에서 이송된 분체를 사일로(60) 및/또는 타 이송관(40)으로 전달하는 연결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피동부(10)와 구동부(30)는 각각 이송관(40)의 양 끝단에서 위치되며, 상기 이송관(40)은 내측으로 분체가 투입되고, 상기 이송체인(70)은 상기 이송관(40)의 내측에서 상기 피동부(10)와 구동부(30) 사이를 무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사일로(60)는 대량의 분체를 저장하기 때문에 그 높이와 폭이 큰 대용량이 적용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40)은 피동부(10)와 구동부(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사일로(60)의 상부에 형성되는 출입구에 분체를 이송하기 때문에 수평에서 수직, 수직에서 수평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방향전환은 상기 아이들부(20)에 의하여 가능하다.
상기 아이들부(20)는 수평과 수직방향, 또는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관(40)이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입출구(하기의 아이들연결관(25, 26))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체인(70)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상기 이송관(40)은 지면의 피동부(10)에서 아이들부(20)를 거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측에서 다른 아이들부(20)를 거쳐 수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부(30)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40)은 하나 이상(40', 40'')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체인(70)을 수용하고, 내측에서 분체를 이송시킨다.
상기 연결부(50)는 이송관(40)에서 이송관(40'), 이송관(40')에서 사일로(60)에 분체를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관(40')과 이송관(40'') 사이, 이송관(40'')과 사일로(60)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된 분체 정량 이송장치의 세부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서 피동부(10)를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서 피동부(10)의 내측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피동부(10)는 쌍방향의 이송관(40)이 각각 연결되는 피동연결관(16, 17), 상기 이송체인(70)을 회전시키는 피동롤러(12)와, 지면에 고정되는 피동하우징(11)과, 상기 피동롤러(12)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피동축(13)과, 상기 피동축(13)에 양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피동축(13)을 고정시켜 이송체인(70)의 텐션(Tension)이 풀림됨을 방지하는 텐션수단(14)과, 윤활유를 내측으로 전달하는 윤활유안내수단(18)을 포함한다.
상기 피동연결관(16, 17)은 상기 구동부(30)측 방향에서 연장되는 이송관(40)이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구동부(30)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체인(70)이 수용되는 이송관(40)이 연결된다. 상기 피동연결관은(16, 17), 예를 들면, 상기 이송관(40)과 끼움식 플랜지(161, 171)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동연결관(16, 17)은 상기 피동하우징(11)의 내측에서 이송체인(70)이 쳐지게 되어 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16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162)는 상기 피동연결관(16)을 통과하는 이송체인(70)이 쳐지면 하측에서 지지하여 상기 피동하우징(11)의 벽면과 연결관 사이에 경계부근의 단턱이나 벽면에 접촉되지 않은체로 상기 피동연결관(16) 또는 피동롤러(12) 방향으로 이송체인을 안내하도록 하향되는 경사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동하우징(11)은 지면에서 상기 피동축(13)등이 수용되는 내측을 지지하도록 하면에서 연장되는 지지대(11a)를 포함하며, 상하 측면이 철제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판형상의 구조물이 각각 체결되어 내측에 상기 피동축(13)과, 피동롤러(12)와, 텐션수단(14)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피동축(13)은 상기 피동하우징(11)의 내측에서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후술되는 상기 텐션수단(14)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피동롤러(12)가 외면에 체결된다.
상기 피동롤러(12)는 상기 피동축(13)의 외주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동축(13)의 외면에 체결되는 상기 베어링(12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피동롤러(12)는 외주면에 상기 이송체인(70)이 밀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30)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송체인(70)의 한쪽을 지지한다.
상기 베어링(121)은 상기 피동롤러(12)의 내측에서 상기 피동축(13)의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피동롤러(12)를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피동부(10)는 분체의 이송시에 분체가 베어링(121)과 피동축(13) 및 피동롤러(12) 사이에 침투되어 회전력을 저하시킬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121)을 완전 밀폐시켜 분체나 기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피동부(10)는 상기 피동롤러(12)와 피동축(13)의 접합된 양측에서 상기 베어링(121)에 일치되는 형상의 홈(도면번호 표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는 캡(19)을 설치하여 상기 베어링(121)과 상기 피동롤러(12)와 피동축(13)이 체결되는 연결부분을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수단(14)은 상기 피동하우징(1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는 고정봉(141)과, 상기 고정봉(141)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142)와, 상기 수평바(142)의 양끝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피동축(13)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143)과, 상기 피동하우징의 양측에서 상기 피동축(13)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봉(14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봉(141)은 상기 피동하우징(11)의 연통시에 고정되는 제1너트(141a)와, 제2너트(141b)가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이중너트구조로서 좌우로 회전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정봉(141)은 상기 피동하우징(1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바(142)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판(143)은 나사(도면번호 표시되지 않음)를 통해 상기 수평바(142)의 양쪽 끝단에서 각각 고정되고, 상기 피동축(13)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어 고정봉(141)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을 상기 피동축(13)에 전달하여 상기 피동축(13)을 이동시킨다.
상기 축지지봉(144)은 상기 피동하우징(11)의 내면 양측에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한 쌍으로서 상기 피동축(13)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31)에 관통되어 상기 피동하우징(11)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축지지봉(144)은 양측 단부가 각각 볼트와 너트등의 고정수단(145, 146)에 의하여 고정되며, 그 사이를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의 몸체(144)가 상기 피동축(13)의 단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131)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고정봉(141)은 작업자가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동하우징(11)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동하우징(1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고정봉(141)은 상기 수평바(142)에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수평바(14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상기 고정판(143)에 고정되는 피동축(13)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피동축(13)은 상기 고정봉(141)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고정판(143)을 통해 전달되면, 상기 축지지봉(144)의 외면을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된다. 이때 상기 피동롤러(12)의 외측 단면에 밀착되는 이송체인(70)은 상기 피동축(13)의 이동에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서 텐션이 조절된다.
상기 피동부(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체인(70)을 지지하며, 상기 이송관(40)을 통해 진입하는 이송체인(70)을 상기 피동롤러(12)의 회전에 의하여 타측 이송관(4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피동부(10)의 피동롤러(12)는 종래와 달리 스프라켓 방식이 아니라 단면에 상기 이송체인(70)이 밀착되는 휠 방식이기 때문에 이송체인(70)의 이완시에 발생되는 스프라켓과의 맞물림이 어긋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윤활유안내수단(18)은 상기 베어링(121)과 피동축(13) 및 피동롤러(12)의 동작과 수명연장을 위하여 윤활유가 내측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윤활유안내수단(18)은 피동축(13)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주입구(181)와, 상기 주입구(181)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동축(13)과 피동롤러(12)의 접합부분으로 연장되는 안내관(182)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구(181)는 상기 피동축(13)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작업자가 주사기와 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먼지등의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관(182)은 상기 주입구(181)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동축(13)의 외면을 통하여 상기 피동축(13)과 피동롤러(12)의 연결부위까지 연장되어 상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윤활유를 상기 피동축(13)과 피동롤러(12)의 접촉부분으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피동부(10)는 상기 피동축(13)의 외면에서 상기 피동롤러(12)가 체결되며, 상기 피동롤러(12)가 체결되는 피동부(10)의 양측 연결부분을 밀폐시키는 캡(19)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캡(19)은 내측에서 상기 피동축(13)의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피동축(13)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121)이 안착되도록 내향된 홈(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피동축(13)과 피동롤러(12)의 결합부분에 베어링(121)이 설치되는 캡(19)이 체결됨에 따라서 상기 베어링(121) 및 피동축(13)과 피동롤러(12)의 연결부분이 밀폐되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가 차단된다.
상기 아이들부(20)는 도 3a 내지 도 3c의 아이들부(20)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아이들부(20)의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부(20)의 내측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부(20)의 정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부(20)는 아이들하우징(21)과, 아이들하우징(21)의 외측에서 상기 피동부(10)에서 연장되는 이송관(40)과 타 아이들부(20) 또는 구동부(30)에서 연장되는 이송관(40)이 체결되는 아이들연결관(25, 26)과, 이송체인(7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아이들롤러(22)와, 상기 아이들롤러(22)가 외면에 고정되는 아이들축(23)과, 상기 아이들축(23)을 상기 아이들하우징(21)의 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럭(27, 28)을 포함한다.
상기 아이들하우징(21)은 아이들 지지대(24)에 의하여 지면 또는 기타 구조물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아이들 지지대(24)는 상기 아이들 하우징(21)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수평 판넬로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들 연결관(25, 26)은 아이들하우징(2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이송관(40)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연결관(25)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이송관(40)의 끝단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수직연결관(2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40)은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체인(70)을 안내하도록 한 쌍이다. 따라서 상기 아이들 연결관은 이송관(40)의 숫자와 일치되도록 상기 아이들 하우징(21)의 외측에서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연결관(25)과, 상측에서 한 쌍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의 수직연결관(26)이 형성된다.
상기 아이들롤러(22)는 상기 아이들 하우징(21)이 내측에서 상기 아이들축(23)의 외면에 고정된다. 상기 아이들롤러(22)는 외측 단면에서 상기 이송체인(70)과 밀착되어 상기 이송체인(70)의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회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아이들롤러(22)는 단면에서 이송체인(70)이 밀착되어 그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휠방식이기 때문에 이송체인(70)의 이완이나 수축시에도 이송체인(70)과의 접촉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아이들축(23)은 양 끝단에서 상기 아이들 하우징(21)의 내측 벽면에서 상기 베어링(22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외면에 고정된 아이들 롤러(22)를 회전시킨다.
상기 지지블럭(27, 28)은 상기 아이들축을 지지하고, 상기 베어링을 내측에서 밀폐시키도록 상기 아이들축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상기 아이들하우징에 고정된다.
즉, 제1지지블럭(27)은 상기 아이들축(23)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아이들축(23)의 한쪽 단부의 외면에 체결되는 베어링(273)의 형상에 일치되도록 내향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273)을 밀폐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블럭(27)은 상기 아이들축(23)의 한쪽 단부가 연통되도록 외면에 체결되며, 상기 아이들축(23)이 체결되는 양측 결합부분에 캡(271, 272)을 체결시켜 상기 베어링(273)이 설치되는 내측영역을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캡(271, 272)은 상기 베어링(273)을 외형에 일치되도록 내향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273)을 밀폐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지지블럭(28)은 상기 아이들축(23)의 다른쪽 단부를 지지하되, 그 단부의 외면에 체결된 베어링(282)이 내측에 안착되는 홈이 형성된 캡(281)이 고정되어 내측을 밀폐시킨다.
즉, 상기 아이들부(2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이송관(40)이 수평에서 수직, 수직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양 방향으로 상기 이송체인(70)을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관(40)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아이들롤러(22)는 상기 피동부(10)측에서 이송되는 이송체인(70)을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송관(40)으로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피동롤러(12)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상기 아이들롤러(22)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송체인(70)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때 상기 베어링(273, 282)은 상기 지지블럭(27, 28)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내에서 설치되었기 때문에 분체 또는 기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 원활한 회전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30)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정량 이송장치에서 구동부(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체인(70)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0a)와, 상기 모터(30a)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수단(34)과, 상기 전달수단(34)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33)과, 상기 구동축(33)의 외면에서 고정되어 회전되는 구동롤러(32)와, 상기 구동축(33)을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지지블럭(37, 38)과, 구동하우징(31)과, 상기 구동하우징(31)의 벽면을 연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관(40)이 연결되는 구동연결관(35, 36)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하우징(31)은 내측에서 상기 구동축(33)과 지지블럭(37)을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연장되는 수직지지대(313)과, 상기 수직지지대(313)에서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지대(3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하우징(31)은 상기 전달수단(34)과 상기 구동축(33)이 체결되는 방향의 벽면(314)이 상기 구동축(33)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개구 형성되는 중심부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반대쪽 벽면은 수직벽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대(312)는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수직지지대(313)에 연결 및 고정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312)과 수직지지대(313)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되 직립된 단면을 갖는 판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블럭(37, 38)은 상기 구동축(33)의 외면에서 체결되는 베어링(371)이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축(33)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럭(37, 38)은 한 쌍으로서 마주 보면서 대향된 위치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대(312)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구동축(33)의 양쪽 단부를 지지하고, 각각 상기 구동축의 외면에 체결되는 베어링(373, 382)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향되는 홈이 형성되는 캡(371, 372, 381)에 의하여 밀폐되어 분체등의 이물질의 침투가 차단된다.
상기 구동롤러(32)는 상기 구동축(33)의 외면에 고정되는 휠방식의 롤러로서 단면에 상기 이송체인(70)이 안착된다. 상기 구동롤러(32)는 상기 구동축(33)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어 상기 이송체인(7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연결관(35, 36)은 분체를 밀어서 이송시키는 입력측 이송체인(70)을 안내하는 입력측 이송관(40)과 상기 구동하우징(3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송되는 이송체인(70)을 안내하는 이송관(40)이 연결되는 출력측 이송관(40)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연결관(35, 36)은 상기 이송관(40)과 끼움식 플렌지(351, 361)로서 체결되며, 상기 구동하우징(31)의 내측에서 상기 이송체인(70)의 쳐짐 또는 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판으로 형성되는 가이드(35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30)는 상기 모터(30a)와 상기 전달수단(34)이 벨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33)은 상기 전달수단(34)이 상기 벨트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구동롤러(32)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은 상기 구동축(33)의 양단부, 즉 상기 지지블럭(37)의 내측에서 밀폐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0)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50)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50)의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50)는 외측 벽면(54)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측의 이송관(40)과 하측의 이송관(40) 또는 상측의 이송관(40)과 하측의 사일로(60) 사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0)는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이송관(40)에서 전달된 분체가 유입되는 유입구(52)와, 하면에서 개방형성되어 상기 사일로(60) 또는 타 이송관(40)으로 분체를 전달하는 배출구(53)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0, 50')는 상기 분체의 이송을 위해서는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부(50, 50')는 상기 구동부(30)에 연결되는 이송관(40)에서 낙하하는 분체를 상기 사일로(60)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이송관(40', 40'')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사일로(60) 상측에 연장되는 이송관(40')에서 이송관(40''), 그리고 이송관(40'')에서 사일로(60)로 분체를 전달하도록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상기 연결부(50, 50')는 상기 사일로(60)의 상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이송관(40')과 제2이송관(40'')에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40)은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50)의 유입구(52)에 연통되도록 일부가 개구 형성되어 상기 이송체인(70)에 의하여 이송되는 분체가 낙하시에 주변으로 비산됨을 방지하고, 이송체인(70)이 쳐졌을 경우에 지지하기 위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판으로 형성되는 제1분체가이드(4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분체가이드(41)는 상기 이송관(40)에서 상기 연결부(50)의 유입구(52)에 연통되는 개구의 단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이송체인(70)에 의하여 이송되는 분체가 상기 유입구(52)로 전달되면서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안내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이송관(40)은 상기 연결부(50)의 배출구(53)에 연통되는 개구의 단면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판으로 이루어진 제2분체가이드(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분체가이드(42)는 상기 연결부(50)의 배출구(53)에 연통되는 이송관(40)의 개구측에 형성되어 상측에서 낙하되는 분체가 외부로 비산되어 손실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50)와 이송관(40)간의 구조는 이송관(40)에서 연결부(50), 연결부(50)에서 사일로(60) 또는 이송관(40', 40'')으로 분체를 전달시에 공기중으로 비산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분체가이드(41)는 분체가 낙하와 동시에 상기 유입구(52)의 중심측으로 안내되어 낙하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비산되는 양을 줄일 수 있고, 제2분체 가이드(162)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분체가 공기중으로 비산되지 않고 상기 배출구(53)측 또는 이송관(40)측으로 가이드(162)할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인(70)은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서 이송체인(70)의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서 이송체인(70)의 평면도, 도 6c는 본 발명에서 이송체인(70)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체인(70)은 직립된 벽면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71)와, 분체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가압판(73)과, 상기 가압판(73)을 고정시키는 연결판(72)과, 상기 연결판(72)과 연결바(71)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연결축과 고정수단(75)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71)는 상호 이격되어 직립된 단면으로서 일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서 양 끝단에서 상기 연결판(72)의 한쪽 끝단과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연결판(72)은 상기 가압판(73)의 한쪽 면에 밀착되도록 절곡형성되는 절곡편(722)과, 상기 연결바(71)와 일치되는 체결공(721b)이 형성되어 한쪽으로 연장되는 연장편(721)과, 상기 연장편의 반대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 연결바(71)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수평편(723)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편(721)은 상기 가압판(73)의 한쪽 벽면에서 일측의 연결바(71)와 연결되도록 연장되며, 그 끝부분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72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편(721)은 상측 단면이 하향경사지고, 하측 단면이 상향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끝단에서 만곡된 단면으로 상기 체결공(721b)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71)와 밀착되는 만곡편(721a)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절곡편(722)은 상기 연장편(721)의 상측과 하측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압판(73)의 한쪽 벽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편(722)은 나사가 상기 가압판(73)까지 연통하여 고정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편(723)은 상기 연장편에서 상하측에서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편(722)의 중심높이에서 상기 연장편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에서 타 연결바(71)에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축(74)은 양측 단부가 상기 연결바(7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연장편의 내측면과, 상기 수평편(723)과 상기 연결바(71)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편(723)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몸체(742)와, 상기 몸체(74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편(723)과 연결바(71), 상기 연장편(721)과 연결바(71)를 연통하여 체결단(74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단(741)은 상기 고정수단(75)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축(74)을 고정시키도록 관통공(도면번호 미표시)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75)은 탄성을 갖고 양쪽 끝단이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75)은 상기 체결단(741)의 체결공을 연통하여 상기 체결단(741)을 걸림시켜 상기 연결축과 연결편(721)과 연결바(71), 연결축과 수평편(723)과 연결바(71)를 각각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75)은 체결단(741)을 걸림시켜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편(721)과 연결바(71), 상기 수평편(723)과 연결바(71)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가압판(73)은 상호 이격되도록 분할형성되는 우레탄 또는 기타 플라스틱이나 재질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어 상기 이송관(40) 내에 유입된 분체를 가압하여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판(73)은 상호 이격되어 빈공간을 사이에 두고 분체를 가압하기 때문에 자체 면적에 비례하는 고정된 양의 분체만을 이송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압판(73)은 이송관(40)내의 분체의 양이 많더라도 상기 가압판(73)의 면적에 비례하는 일정량만큼만 이송되고 그 나머지 분량은 후방에 위치되는 다른 가압판(73)으로 분배하기 때문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송예정인 분체를 상기 피동부(10) 또는 이송관(40)에 형성되는 투입구(61)를 통하여 일정량의 분체가 일정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동시에 상기 모터(30a)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부(30)의 구동롤러(32)가 회전되어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체인(70)이 회전된다. 상기 이송체인(70)은 상기 아이들부(20)를 통하여 방향이 수평에서 수직, 수직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피동부(10)는 상기 구동부(30)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인(70)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피동롤러(12)가 회전되어 상기 이송체인(70)을 이송관(40)에 안내한다. 이때 상기 피동부(10)는 상기 구동부(30)의 구동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이송체인(70)이 쳐짐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가이드(162)에서 쳐지는 이송체인(70)을 지지하여 연결관에 걸림되지 않도록 무사히 빠져나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아이들부(20)는 하나 이상이 방향전환점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되는 이송체인(70)의 방향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전환시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체인(70)은 상기 이송관(40)에 투입되는 분체를 가압판(73)의 면적에 비례하는 일정량만을 가압하여 이송시키고, 그외 나머지 분량은 다음 가압판(73)으로 인계하기 때문에 투입되는 분체가 균일한 양이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많은 양과 소규모 량이 투입된다 하더라도 일정양만을 이송시킬 수 있어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이송한다.
아울러 상기 사일로(60)의 유입구(52)의 상측까지 이송된 분체는 상기 연결부(50)에 의하여 사일로(60)로 낙하된다. 즉, 상기 분체는 상기 이송관(40)의 하부에서 상기 유입구(52)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개방된 개구에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조가이드(162)의 안내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50)의 중심측 방향으로 낙하되어 분체의 낙하시에 분체가 손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50)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52)의 하측에 위치되는 이송관(40)은 상면에서 상향 경사지는 제2분체가이드(42)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52)를 통하여 낙하하는 분체를 상기 연결부(50)의 배출구(53) 중심측으로 안내할 수 있어 주변으로 비산되는 분체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체의 양에 상관없이 분할된 가압판(73)에 의하여 균일한 양의 분체를 이송할 수 있고, 상기 피동부(10)와 구동부(30)는 톱니 형식의 스프라켓이 아닌 휠방식의 롤러가 채택됨에 따라서 마모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피동부 11, 21, 31 : 하우징
11a : 지지대 12 : 피동롤러
13 : 피동축 14 : 텐션수단
16, 17 : 피동연결관 20 : 아이들부
22 : 아이들롤러 23 : 아이들축
24 : 지지대 25, 26 : 아이들연결관
30 : 구동부 32 : 구동롤러
33 : 구동축 34 : 전달수단
35, 36 : 구동연결관 37 : 지지블럭
40, 40', 40'' : 이송관 41 : 제1분체가이드
42 : 제2분체가이드 50 : 연결부
51 : 하우징 52 : 유입구
53 : 배출구 54 : 벽면
60 : 사일로 61 : 투입구
70 : 이송체인 71 : 연결바
72 : 연결판 73 : 가압판
74 : 고정축 75 : 고정수단
121 : 베어링 141 : 고정봉
142 : 수평바 143 : 고정판
161, 171, 351, 361 : 플렌지
162 : 가이드 371 : 베어링
721 : 연결편 722 : 절곡편
723 : 수평편 724 : 너트
725 : 나사 741 : 체결단
742 : 몸체

Claims (19)

  1. 분체를 저장하는 사일로;
    상기 사일로에 분체를 안내하도록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내측에서 분체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체인;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인을 상기 이송관을 따라서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이송관을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이송체인의 다른 한 끝단을 지지하는 피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인은 상호 이격되어 직립된 한 쌍의 벽면으로 형성되는 가압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은
    상호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바;
    상기 연결바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가압판을 각각 고정시키는 한 쌍의 연결판;
    양측 끝단에서 돌출형성되는 체결단이 상기 연결바와 연결판의 끝단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연통되어 상기 연결바와 연결판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고정축; 및
    상기 체결단에서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축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양 끝단이 일방향으로 절첩되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연결바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직립된 벽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판의 한쪽 끝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의 일면에 밀착되는 절곡편; 및
    상기 연결편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의 반대면 측 방향에 연결되는 타 연결바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수평편을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연결바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연장형성된 끝부분에 만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축의 체결단이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가압판의 타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바의 내측에 밀착되는 끝단에서 상기 고정축의 직경에 일치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체 정량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이송관이 끼움식 플렌지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을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이송체인을 상기 피동롤러에 안내하는 피동연결관;
    휠방식으로서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피동롤러; 및
    하우징의 내측에서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피동롤러가 외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이 체결되는 피동축;을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피동축의 외면에서 피동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피동롤러가 체결되는 상기 피동축의 양측면에서 상기 베어링이 안착되도록 내향된 홈이 형성되는 캡이 각각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피동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피동롤러에 지지되는 상기 이송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는 고정봉;
    상기 고정봉의 끝단에서 상기 피동축의 양측 단부로 연장 및 고정되는 고정판; 및
    하우징의 양측에서 상기 피동축의 양측 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봉을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피동부의 하우징에 체결되면서 이중너트구조로서 체결되어 수평방향의 회전에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고정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피동축은
    양측 단부에서 상기 축지지봉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축지지봉의 외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내측에서 상기 이송체인이 인출입되는 방향과 일치되는 벽면의 하측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이송체인의 쳐짐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내측에서 상기 이송체인이 인출됨을 안내하는 상기 피동연결관의 하측벽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사일로의 상측으로 하나 이상이 연장되며, 내측에서 이송되는 분체를 전달하도록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정량 이송장치는
    상면에 개방된 유입구와 하면에서 개방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관에서 이송된 분체를 하측에 위치된 타 이송관 또는 상기 사일로의 투입구측으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연결부의 유입구와 배출구 중 어느 한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판형상의 분체가이드를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체인이 인출입되도록 하우징의 벽면을 연통하여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는 구동연결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수단;
    내측에서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휠방식의 구동롤러; 및
    내측에서 한쪽 끝단이 상기 전달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은 내측 벽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외면에 고정되는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양측 단부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베어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내향된 홈이 형성되는 캡이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을 밀폐시키는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연결관의 하측에서 내측 벽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이송체인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분체 정량 이송장치.
KR1020120049552A 2012-05-10 2012-05-10 분체 정량 이송장치 KR10139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52A KR101392550B1 (ko) 2012-05-10 2012-05-10 분체 정량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52A KR101392550B1 (ko) 2012-05-10 2012-05-10 분체 정량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23A true KR20130125923A (ko) 2013-11-20
KR101392550B1 KR101392550B1 (ko) 2014-05-08

Family

ID=4985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552A KR101392550B1 (ko) 2012-05-10 2012-05-10 분체 정량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9507A (zh) * 2017-01-09 2017-06-20 中交航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跨球形仓超大桁架的安装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2547B2 (ja) 2000-09-06 2009-03-25 株式会社粉研パウテックス 粉粒体定量供給装置
JP4405240B2 (ja) 2003-11-13 2010-01-27 株式会社青南エンジニア 粉粒体の定量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9507A (zh) * 2017-01-09 2017-06-20 中交航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跨球形仓超大桁架的安装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550B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83257Y (zh) 管链输送机
CN201023948Y (zh) 新型管链式粉体输送机
CN210365698U (zh) 一种安全的带式输送机
CN104210807A (zh) 物料提升装置
KR101392550B1 (ko) 분체 정량 이송장치
CN203246810U (zh) 一种悬臂带式输送机
US6419078B1 (en) Lubricating device for conveyor systems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CA1100085A (en) Conveying arrangement
CN110027858A (zh) 一种螺旋输送机
CN209834744U (zh) 具备监测断链功能的刮板输送机
KR20180097190A (ko)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처리장치
CN101920836A (zh) 超宽鳞板输送机
KR20100056874A (ko)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92184B1 (ko) 벨트장력 조절장치를 갖는 급탄기
CN102452561B (zh) 布料给料系统
KR101887270B1 (ko) 리크레이머
CN206068728U (zh) 一种带式输送机
CN112456063A (zh) 一种用于矿石运输的输送机
CN205221797U (zh) 一种刮板机装置
CN204110777U (zh) 物料提升装置
KR10099952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CN113443351A (zh) 采矿用无底链可变角度型刮板输送机
CN208545649U (zh) 铺砖机的砖料输送装置
CN207188707U (zh) 一种天线基站用卡具螺纹连接件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