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157A -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157A
KR20130125157A KR1020120048694A KR20120048694A KR20130125157A KR 20130125157 A KR20130125157 A KR 20130125157A KR 1020120048694 A KR1020120048694 A KR 1020120048694A KR 20120048694 A KR20120048694 A KR 20120048694A KR 20130125157 A KR20130125157 A KR 20130125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flow path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혁
이종환
이정환
주우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157A/ko
Publication of KR2013012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필터의 하부에 출수구가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는 정수필터(P)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구(A)에 연결되며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200); 및 상기 장치본체(200)에 구비되어 상기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구(A)와 장치본체(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정수필터의 하부에 출수구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배출하지 못했던 정수필터의 잔류공간에 잔류하는 공기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필터부의 모든 부분을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으며, 원수차단밸브가 정수필터 전단에 위치되어 정수필터에 연결되는 경우에 원수차단밸브를 닫을 때 발생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APPARATUS FOR VENTING AIR FROM WATER PURIFYING FILTER}
본 발명은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필터의 하부에 출수구가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 특히 종래에는 배출하지 못했던 정수필터의 잔류공간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등에 사용되는 정수필터(P)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의 내부에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F)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정수필터(P)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I)와 출수구(O)가 구비되어 있다.
입수구(I)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이나 다른 정수필터(P)의 출수구(O)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한, 출수구(O)는 파우셋이나 코크 등의 물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나 물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입수구(I)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출수구(O)로부터 배출된 물은 입수구(I)를 통해 정수필터(P)의 내부에 유입되어 필터부(F)에 의해서, 예컨대 필터부(F)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여과된 물은 출수구(O)를 통해 배출되어 파우셋이나 코크 등의 물배출부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물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입수구(I)를 통해 다른 정수필터(P)의 내부에 유입된다.
입수구(I)의 위치에 관계없이 출수구(O)가 정수필터(O)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필터(P)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출수구(O)를 통해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정수필터(P) 내부에 공기가 잔류하지 않게 된다. 즉, 외부 공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형성하는 공기가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출수구(O)가 정수필터(P)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공기가 물보다 가벼워서 정수필터(P)의 상부에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정수필터(P)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물과 함께 출수구(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P) 내부에는 공기가 잔류하게 된다. 즉, 외부 공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형성하는 공기가 정수필터(P) 내부의 상부에 잔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정수필터(P)의 상부에 잔류하게 되면, 정수필터(P) 내부에 유입된 물이 정수필터(P)의 상부에 잔류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정수필터(P)의 상부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P)에 구비된 필터부(F)의 상부는 물을 여과하는데 사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필터부(F)의 모든 부분을 물의 여과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수형 정수기와 같이 원수차단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정수필터(P) 전단에 위치되어 정수필터(P)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원수차단밸브를 닫는다고 하더라도, 정수필터(P)의 상부에 잔류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정수필터(P)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소정 시간 정수필터(P) 외부로 배출된다는, 즉 잔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어서 출수구(O)가 위를 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의 일부는 출수구(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는 내압설계에 의해서 정수필터(P)의 하우징(H)의 상부와 하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수필터(P) 하우징(H)의 이러한 형상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어도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출수구(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할 수 있는 잔류공간(S)이 정수필터(P)의 하우징(H)과 필터부(F) 사이에 생기게 된다.
즉, 이러한 잔류공간(S)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에 연결되는 필터부(F)에 의해서 출수구(O)와의 연결이 차단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어도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필터의 하부에 출수구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종래에는 배출하지 못했던 정수필터의 잔류공간에 잔류하는 공기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필터부의 모든 부분을 물의 여과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원수차단밸브가 정수필터 전단에 위치되어 정수필터에 연결되는 경우에 원수차단밸브를 닫을 때 발생하는 잔수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정수필터의 하부에 출수구가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는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며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 및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공기배출구와 장치본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밸브부는 장치본체에 포함되며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제1유로부와, 장치본체에 포함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부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장치본체에 포함되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는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연결구멍이 형성되며, 개폐부재는 연결부에서의 위치에 따라 제1,2연결연결구멍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는 연결부의 내면에 밀봉되게 접촉되도록 개폐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밀봉접촉부; 및 연결부의 내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2밀봉접촉부 사이의 개폐부재에 구비되며 연결부에서의 위치에 따라 제1,2연결구멍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연결되는 유로형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밀봉접촉부는 개폐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접촉부; 및 접촉부와 연결부의 내면에 밀착되게 개폐부재에 구비되는 밀봉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연결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는 개폐부재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연결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는 정수필터의 출수구와 제2유로부에 연결되는 제3유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정수필터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와, 정수필터의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잔류할 수 있는 잔류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필터의 하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구비되며, 공기배출구는 정수필터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의 하부에 출수구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는 배출하지 못했던 정수필터의 잔류공간에 잔류하는 공기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필터부의 모든 부분을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차단밸브가 정수필터 전단에 위치되어 정수필터에 연결되는 경우에 원수차단밸브를 닫을 때 발생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의 일실시예가 정수필터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L-L'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절개단면도이다.
도7은 종래에 출수구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정수필터의 하부에 출수구가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100)는 장치본체(200)와, 밸브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구(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에 연결되는 공기배출구(A)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P)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F)와, 정수필터(P)의 하우징(H)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잔류할 수 있는 잔류공간(S)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공간(S)에 잔류하는 공기가 공기배출구(A)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P)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F)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O)가 정수필터(P)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공기배출구(A) 또한 정수필터(P)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구(A)가 연결되는 전술한 잔류공간(S) 또한 정수필터(P)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3과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출수구(O)와 공기배출구(A)가 구비되고 잔류공간(S)이 형성된 정수필터(P)를 뒤집으면, 공기가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는 잔류공간(S)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잔류공간(S)에 모아진 공기는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구(A)에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배출구(A)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배출구(A)를 유동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공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구비되는 후술할 밸브부(300)에 의해서 장치본체(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잔류공간(S) 이외의 정수필터(P)의 영역에 잔류하는 공기는 전술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를 뒤집은 경우 출수구(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후술할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가, 출수구(O)에 연결되는 제3유로부(2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장치본체(200)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류공간(S)을 포함하여 정수필터(P)에 잔류하는 모든 공기가 장치본체(200)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구(O)가 정수필터(P)의 하부에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 즉 외부 공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형성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 출수구(0)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어도 외부로 배출하지 못했던 정수필터(P)의 잔류공간(S)에 잔류하는 공기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P)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수필터(P)에 구비되는 필터부(F)의 모든 부분을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원수차단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정수필터(P) 전단에 위치되어 정수필터(P)에 연결되는 경우에 원수차단밸브를 닫을 때 발생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원수차단밸브를 닫아도 잔수가 2분 이상 지속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100)를 사용하면 잔수를 10초 이내로 감소시킬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유로부(210), 제2유로부(22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부(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구(A)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유로부(210)와 공기배출구(A)는 관피팅부재 등의 연결부재(C)에 의해서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유로부(210)에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공기의 배출을 위해서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어서 정수필터(P)의 잔류공간(S)으로부터 공기배출구(A)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배출구(A)를 유동하여 제1유로부(210)의 제1유로(211)에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여과를 위해서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지 않은 경우에는 제1유로(21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1유로부(210)의 제1유로(211)에 유입된 물은 후술할 밸브부(300)에 의해서 장치본체(200)의 연결부(230)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부(220)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밸브부(300)에 의해서 제1유로부(210)로부터 제2유로부(220)에 유입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유로부(220)는, 예컨대 후술하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에와 같이 장치본체(200)가 정수필터(P)의 출수구(O)와 제2유로부(220)에 연결되는 제3유로부(2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관피팅부재 등의 연결부재(C)에 의해서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파우셋이나 코크 등의 물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나 물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입수구(I)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여과를 위해서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지 않는 물의 여과시에는 제2유로부(220)는 물배출부재나 물저장탱크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입수구(I)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는 잔류공기의 배출시에는 제2유로부(220)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지 않은 경우,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의 여과시에는, 정수필터(P)에 구비된 필터부(F)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를 통해 배출되어 제3유로부(240)를 통해 제2유로부(22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부(220)를 유동한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유로부(220)에 연결되는 물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물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입수구(I)를 통해 다른 정수필터(P)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3과 도4 및 도6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는 잔류공기의 배출시에는 제2유로부(220)의 일측은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잔류공간(S) 이외의 정수필터(P)의 영역에 잔류하는 공기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로 배출되어 제3유로부(240)를 통해 제2유로(220)에 유입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부(220)에는 제2유로(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바와 같이 밸브부(300)에 의해서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가 연결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부(210)의 제1유로(211)를 유동한 공기는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구(O)로 배출된 공기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유로부(240)를 통해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지 않는 물의 여과시에는 출수구(O)로부터 배출된 여과된 물은 제3유로부(240)를 통해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에 유입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물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물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입수구(I)를 통해 다른 정수필터(P)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230)는 제1유로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230)에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부(210)에 연결되는, 즉 전술한 제1유로부(210)의 제1유로(211)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멍(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3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유로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230)에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부(220)에 연결되는, 즉 전술한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멍(2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230)에는 후술할 밸브부(300)에 포함되는 개폐부재(3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230)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3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이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치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3유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유로부(240)는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의 출수구(O)와 유로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유로부(240)에는 제3유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지 않는 물의 여과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F)에 의해서 여과되어 출수구(O)로 배출된 물이 제3유로부(240)의 제3유로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유로부(240)의 제3유로를 유동한 물은 제3유로부(240)가 연결된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에 유입될 수 있다.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에 유입되어 유동한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유로부(220)에 연결된 파우셋이나 코크 등의 물배출부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제2유로부(220)에 연결된 물저장탱크에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입수구(I)를 통해 다른 정수필터(P)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는 잔류공기의 배출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공간(S) 이외의 정수필터(P)에 잔류하는 공기가 출수구(O)를 통해 제3유로부(240)의 제3유로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유로부(240)의 제3유로를 유동한 공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유로부(240)가 연결된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에 유입될 수 있다.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에 유입되어 유동한 공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밸브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밸브부(3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장치본체(200)의 연결부(2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부(3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 특히 종래에는 배출하지 못했던 정수필터(P)의 잔류공간(S)에 잔류하는 공기가 공기배출구(A)와 장치본체(200)를 통해 정수필터(P)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300)는 전술한 장치본체(200)의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는 잔류공기의 배출시에 밸브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출수구(O)가 하부에 구비된 정수필터(P)를 뒤집지 않는 물의 여과시에 밸브부(3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의 여과시에 출수구(O)를 통해 배출된 여과된 물이 장치본체(200)를 통해 공기배출구(A)로 역류하여 다시 정수필터(P)에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전술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O)를 통해 배출된 여과된 물은 장치본체(200)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물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정수필터(P)의 입수구(I)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잔류공기의 배출시에 공기배출구(A)를 통해 제1유로부(210)에 유입된 공기는 연결부(230)와 제2유로부(2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밸브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31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치본체(200)의 연결부(23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30)에서의 위치에 따라 전술한 연결부(230)의 제1,2연결구멍(231,232)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개폐부재(31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2밀봉접촉부(311,312)와 유로형성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2밀봉접촉부(311,312)는 개폐부재(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30)의 내면에 밀봉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2밀봉접촉부(311,312)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접촉부(311a,311a',312a,312a')와 밀봉부재(311b,31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접촉부(311a,311a',312a,312a')는 개폐부재(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311a,311a',312a,312a')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310)의 일측 또는 타측의 외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310)의 일측 과 타측에 각각 2개의 접촉부(311a,311a',312a,312a')가 구비될 수 있다.
밀봉부재(311b,312b)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11a,311a',312a,312a')와 연결부(320)의 내면에 밀착되게 개폐부재(3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밀봉접촉부(311,312)가 연결부(230)의 내면에 밀봉되게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후술할 유로형성부(313)가 제1,2밀봉접촉부(311,312)에 의해서 밀폐될 수 있다.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형성부(313)는 연결부(230)의 내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2밀봉접촉부(311,312) 사이의 개페부재(3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230)에서의 위치에 따라 제1,2연결연결구멍(231,323)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0)가 상승된 위치에서 유로형성부(313)는 제1연결구멍(231)에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부(210)의 제1유로(211)에 유입된 여과된 물 또는 공기는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0)가 하강된 위치에서 유로형성부(313)는 제1연결구멍(231)과 제1연결구멍(232) 모두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부(210)의 제1유로(211)에 유입된 공기는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밸브부(3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2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20)에 의해서 개폐부재(310)에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310)에 탄성부재(320)의 탄성력 이외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0)는 상승된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형성부(313)가 제1연결구멍(231)에만 연결되어 제1유로부(210)의 제1유로(211)에 유입된 여과된 물 또는 공기가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로 유동하지 못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개폐부재(310)를 사용자가 누른다든지 하여 개폐부재(310)에 탄성부재(320)의 탄성력 이외의 외력, 즉 탄성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0)는 하강된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형성부(313)가 제1연결구멍(231)과 제2연결구멍(232) 모두에 연결되어 제1유로부(210)의 제1유로(211)에 유입된 공기가 제2유로부(220)의 제2유로(221)로 유동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공기의 배출시에만 개폐부재(310)에 외력을 작용하여 정수필터(P)에 잔류하는 공기, 특히 정수필터(P)의 잔류공간(S)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부(300)는 덮개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33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0)가 전술한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부(230)에서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를 사용하면, 정수필터의 하부에 출수구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정수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배출하지 못했던 정수필터의 잔류공간에 잔류하는 공기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정수필터에 구비되는 필터부의 모든 부분을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으며, 원수차단밸브가 정수필터 전단에 위치되어 정수필터에 연결되는 경우에 원수차단밸브를 닫을 때 발생하는 잔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제1유로부 211 : 제1유로
220 : 제2유로부 221 : 제2유로
230 : 연결부 231 : 제1연결구멍
232 : 제2연결구멍 240 : 제3유로부
241 : 제3유로 300 : 밸브부
310 : 개폐부재 311 : 제1밀봉접촉부
311a,311a',312a,312a' : 접촉부 311b, 312b : 밀봉부재
312 : 제2밀봉접촉부 313 : 유로형성부
320 : 탄성부재 330 : 덮개부재
P : 정수필터 H : 하우징
I : 입수구 O : 출수구
A : 공기배출구 F : 필터 R : 밀봉부재 S : 잔류공간
C : 연결부재

Claims (11)

  1. 정수필터(P)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구(A)에 연결되며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200); 및
    상기 장치본체(200)에 구비되어 상기 정수필터(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구(A)와 장치본체(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300)는 상기 장치본체(200)에 포함되며 상기 공기배출구(A)에 연결되는 제1유로부(210)와, 상기 장치본체(200)에 포함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부(220)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300)는 상기 장치본체(200)에 포함되며 상기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에 연결되는 연결부(23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3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0)에는 상기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연결구멍(231,232)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310)는 상기 연결부(230)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2연결연결구멍(231,232)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개폐부재(310)는
    상기 연결부(230)의 내면에 밀봉되게 접촉되도록 상기 개폐부재(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밀봉접촉부(311,312); 및
    상기 연결부(230)의 내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2밀봉접촉부(311,312) 사이의 상기 개폐부재(310)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230)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2연결구멍(231,232)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연결되는 유로형성부(3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밀봉접촉부(311,312)는
    상기 개폐부재(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접촉부(311a,311a',312a,312a'); 및
    상기 접촉부(311a,311a',312a,312a')와 상기 연결부(230)의 내면에 밀착되게 상기 개폐부재(310)에 구비되는 밀봉부재(311b,312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300)는 상기 개폐부재(310)에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연결부(23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300)는 상기 개폐부재(310)가 상기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23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230)에 연결되는 덮개부재(3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200)는 상기 정수필터(P)의 출수구(O)와 상기 제2유로부(220)에 연결되는 제3유로부(2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A)는 상기 정수필터(P)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F)와, 상기 정수필터(P)의 하우징(H)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잔류할 수 있는 잔류공간(S)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P)의 하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O)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배출구(A)는 상기 정수필터(P)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KR1020120048694A 2012-05-08 2012-05-08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KR20130125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94A KR20130125157A (ko) 2012-05-08 2012-05-08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94A KR20130125157A (ko) 2012-05-08 2012-05-08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157A true KR20130125157A (ko) 2013-11-18

Family

ID=4985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694A KR20130125157A (ko) 2012-05-08 2012-05-08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15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58Y1 (ko) * 1999-09-16 2000-02-15 페이모터주식회사 필터교체용 정수기.
KR200338958Y1 (ko) * 2003-10-24 2004-01-24 앨트웰텍 주식회사 수도 직결식 정수기의 공기배출구조
JP2004167319A (ja) * 2002-11-18 2004-06-17 Ngk Insulators Ltd エアー/水抜き付き浄水器
KR100464122B1 (ko) * 2003-02-17 2005-01-03 유진열 연수기
KR100873665B1 (ko) * 2008-07-30 2008-12-12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58Y1 (ko) * 1999-09-16 2000-02-15 페이모터주식회사 필터교체용 정수기.
JP2004167319A (ja) * 2002-11-18 2004-06-17 Ngk Insulators Ltd エアー/水抜き付き浄水器
KR100464122B1 (ko) * 2003-02-17 2005-01-03 유진열 연수기
KR200338958Y1 (ko) * 2003-10-24 2004-01-24 앨트웰텍 주식회사 수도 직결식 정수기의 공기배출구조
KR100873665B1 (ko) * 2008-07-30 2008-12-12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78648T1 (de) Chemikalien-zufuhröffnung und chemikalienbehälter mit dieser öffnung
WO2009033048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aucet-mounted water filtration systems
KR20110102626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90020540A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189170B1 (ko)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MXPA05000624A (es) Valvula de presion de proteccion.
KR100914303B1 (ko)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KR20200126662A (ko) 정수기
KR20130125157A (ko) 정수필터의 공기배출장치
ES2359771T3 (es) Placa filtrante.
KR200403986Y1 (ko) 정수필터용 커넥터
US9151285B2 (en) Air pump structure
CN213009535U (zh) 密封袋排气阀及密封袋
JP2846852B2 (ja) 浄水器とその切替えコック
KR0156714B1 (ko) 정수기용 여과장치
KR20090004210U (ko) 가스미터기용 밸브시트 어셈블리
CN216638991U (zh) 冲洗装置
CN217148662U (zh) 储水装置、滤芯
CN212188102U (zh) 水箱组件和净水设备
CN108714325A (zh) 拆换时能自动封闭装配口的双流道过滤器
CN216638990U (zh) 滤芯
CN220158082U (zh) 一种纯水箱的外置装置
CN212476180U (zh) 一种活性炭滤芯及净水设备
KR0161085B1 (ko) 정수기용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