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965A - 청소기 헤드 - Google Patents

청소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965A
KR20130124965A KR1020137023650A KR20137023650A KR20130124965A KR 20130124965 A KR20130124965 A KR 20130124965A KR 1020137023650 A KR1020137023650 A KR 1020137023650A KR 20137023650 A KR20137023650 A KR 20137023650A KR 20130124965 A KR20130124965 A KR 20130124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opening
edge
cleaner he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774B1 (ko
Inventor
진-폴 마크 아일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기용 청소기 헤드는 회전 가능한 에지테이터 조립체, 이 에지테이터 조립체를 수용하는 에지테이터 체임버, 및 에지테이터 조립체에 의해 활동 상태가 되는 잔해물이 에지테이터 체임버 내로 유입되는 하방 지향된 개구를 한정하는 소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개구는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고, 소울 플레이트는 개구의 전방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연 부분 및 개구의 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연 부분을 갖는다. 한 세트의 지지부재는 소울 플레이트의 각 부분 상에 위치되고, 지지 부재는 비교적 단단한 바닥면 상에 소울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해 소울 플레이트를 초과하여 하방으로 연장한다.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가 비교적 연성의 카펫이 깔린 바닥면의 섬유 사이에 침투하여 개구의 에지와 카펫이 깔린 바닥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5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지지 부재의 세트의 최하측 선단부는 제 1 평면 내에 위치되고, 개구의 에지는 제 1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 2 평면 내에 위치된다.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제 2 평면을 초과하지만 제 1 평면 이내에서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교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 헤드{A CLEANER HEAD}
본 발명은 청소기기용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청소기 헤드는 진공 청소기기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진공 청소기는 전형적으로 쓰레기 및 먼지 분리 장치를 수용하는 본체, 이 본체에 연결되고 또한 흡인 개구를 갖는 청소기 헤드, 및 흡인 개구 및 청소기 헤드를 통해 본체 내로 쓰레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모터 구동 팬 유닛을 포함한다. 흡인 개구는 청소될 바닥면에 대면하도록 하방 지향된다. 쓰레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이 공기가 대기로 토출되기 전에 이 공기로부터 쓰레기 및 먼지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리 장치로 수송된다. 분리 장치는 필터, 필터 백, 또는 공지된 바와 같은 사이클론식 기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또는 캐니스터형 청소기, 직립형 청소기 및 휴대형 청소기를 포함한다. 원통형 진공 청소기는 본체와 청소기 헤드 사이에 연장하는 호스 및 청소봉(wand) 조립체에 의해 바닥면을 따라 견인되는 한 세트의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청소기 헤드는 일반적으로 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청소봉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직립형 진공 청소기는 전형적으로 본체, 청소될 바닥면 상에서 진공 청소기를 조작하기 위해 본체 상에 장착되는 롤링 조립체, 및 본체 상에 장착되는 청소기 헤드를 포함한다. 사용 중에, 사용자는 직립형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바닥면을 향하여 기울이고, 다음에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핸들을 연속하여 밀고 당김으로써 바닥면 상에서 진공 청소기를 조작한다.
통상적으로 브러시 바(brush bar) 형태인 피동형 에지테이터(agitator)는 청소기 헤드의 브러시 바 체임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브러시 바는 코어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강모(bristles)를 가지는 기다란 원통형 코어를 포함한다. 강모는 일반적으로 브러시 바의 코어를 따라 주위에 이격되는 강모의 군집 또는 다발로 제공된다. 흡인 개구는 브러시 바 체임버의 저부에 위치되고, 또 브러시 바는 흡인 개구를 통해 작은 범위로 돌출하도록 체임버 내에 장착된다. 브러시 바 체임버의 배기 포트는 일반적으로 브러시 바 체임버의 후방 부근에 위치된다. 배기 포트는 통상적으로 브러시 바 체임버 내에 형성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개구의 형태이다.
브러시 바는 카펫이 깔린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주로 작동된다. 그 종축선을 중심으로 한 브러시 바의 회전은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유래하는 전력 공급부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모터에 의해, 또는 청소기 헤드를 통과하거나 청소기 헤드 내에 유입되는 공기류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브러시 바의 회전으로 인해 강모는 청소될 카펫의 섬유 사이에서 스위핑(swept)되어, 카펫의 섬유 및 카펫의 표면 상 및/또는 카펫의 섬유 사이에 위치되는 먼지 입자, 섬유 및 머리카락과 같은 임의의 잔해물의 양자 모두를 교란시킨다.
WO 2010/142968은 각각 브러시 바의 회전에 의해 흡인 개구를 통해 돌출하는 2 가지 상이한 유형의 강모를 포함하는 브러시 바를 갖는 청소기 헤드를 기재한다. 흡인 개구는 청소기 헤드의 평면의 소울 플레이트(sole plate) 내에 위치된다. 브러시 바는 열을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는 일련의 다발 내에 배치되는 다수 열의 비교적 강성인 짧은 강모 및 이 비교적 짧은 강모를 초과하여 브러시 바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 열의 비교적 연성인 긴 강모를 갖는다. 청소기 헤드는, 이 청소기 헤드가 단단한 바닥면 상에 위치된 경우에 소울 플레이트가 그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바닥면 상에 청소기 헤드를 지지하는 바퀴를 포함한다. 바퀴의 최하측 선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평면은 소울 플레이트와 흡인 개구를 포함하는 제 2 평면에 평행하다.
강모의 길이는, 청소기 헤드가 단단한 바닥면 상에 위치된 경우에 비교적 긴 강모는 바닥면과 맞물리는 반면 비교적 짧은 강모는 강모가 바닥면에 흔적을 남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선택된다. 청소기 헤드가 카펫이 깔린 바닥면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롤링(rolling) 요소는 카펫의 섬유 사이에 침투하고, 소울 플레이트 및 비교적 짧은 강모는 카펫과 접촉하게 된다.
청소기 헤드가 단단한 바닥면 상에 위치된 경우에 청소기 헤드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인 개구를 바닥면에 가능한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청소기 헤드는, 소울 플레이트와 단단한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1 mm 이하로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적 짧은 강모의 팁 부분은, 이 비교적 짧은 강모가 단단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소울 플레이트를 1 mm를 초과하는 거리 만큼 초과하여 돌출되면 안 된다. 이것은, 청소기 헤드와 관련된 다수의 제조 파라미터가 그것의 규정된 공학적 허용범위 내에 속하도록, 신중한 제어를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비교적 짧은 강모의 길이, 브러시 바의 회전축선과 소울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 바퀴의 반경, 및 바퀴의 회전 축선과 소울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엄격한 공학적 허용범위에 맞추어 청소기 헤드 및 그것의 다양한 부품을 제조하는 것은 청소기 헤드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청소기 헤드 및 그 부품이 이와 같은 엄격한 허용범위에 맞추어 제작되지 않으면, 예를 들면, 비교적 짧은 강모가 흡인 개구로부터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비교적 짧은 강모가 개구로부터 제 1 평면을 초과하여 돌출하는 경우에, 생산 라인 상에서 제조된 청소기 헤드의 비교적 높은 불량품 발생률이 존재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청소기기용 청소기 헤드로서,
회전 가능한 에지테이터 조립체;
에지테이터 조립체를 수용하는 에지테이터 체임버;
에지테이터 조립체에 의해 활동 상태가 되는 잔해물이 에지테이터 체임버 내로 유입되는 하방 지향된 개구를 한정하는 소울 플레이트로서, 개구는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고, 소울 플레이트는 개구의 전방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연 부분 및 개구의 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연 부분을 갖는, 소울 플레이트; 및
소울 플레이트의 각 부분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로서, 소울 플레이트를 초과하여 하방으로 연장하고, 5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의 최하측 선단부는 제 1 평면 내에 위치되고, 개구의 연부는 제 1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 2 평면 내에 위치되고,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제 2 평면을 초과하지만 제 1 면 이내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교란 수단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 사이에서 연장하는 소울 플레이트의 개구는 지지 부재의 최하측 선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 2 평면 내에 위치된다. 제 1 평면에 대한 제 2 평면의 경사의 결과, 교란 수단이 최대의 범위 만큼 돌출하는 경향이 있는 개구의 중앙 영역은 제 2 평면이 제 1 평면에 평행한 경우(그리고 제 1 평면과 개구의 전방 에지 사이에 동일한 거리가 유지되는 상태)보다 큰 거리만큼 제 1 평면의 상측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여전히 교란 수단이 제 1 평면을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는 제약 내에서, 교란 수단이 개구를 통해 돌출할 수 있는 거리가 증대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청소기 헤드의 제작이 촉진된다.
교란 수단이 개구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이러한 거리 증가의 범위는 개구의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 사이에서 측정된 개구의 폭 및 제 1 평면과 제 2 평면 사이의 각도에 의존한다. 개구의 폭은 바람직하게 20 내지 40 mm 범위이다. 제 1 평면과 제 2 평면 사이에 내재하는 각도는 바람직하게 10°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개구의 폭은 약 25 mm이고, 제 1 평면과 제 2 평면 사이의 각도는 약 3°이다. 이것에 의해, 교란 수단은 제 1 평면을 초과하여 연장하지 않은 상태로 개구를 통해 약 1.5 mm의 거리 만큼 돌출할 수 있다. 제조 상의 공차를 완화시키는 것 외에도, 이것은 카펫의 섬유 사이에 교란 수단의 침투를 증대시킴으로써 카펫이 깔린 바닥면 상에서의 청소기 헤드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청소기 헤드가 카펫 상에 위치된 경우에 지지 부재는 카펫의 섬유 사이에 침투하여 개구의 후방 에지와 카펫의 표면을 접촉시킨다.
바람직하게 소울 플레이트는, 지지 부재가 카펫의 섬유 사이에 침투함에 따라, 개구의 후방 에지를 카펫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에지테이터 체임버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울 플레이트는 에지테이터 체임버를 한정하는 청소기 헤드의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청소기 헤드가 사용자에 의해 카펫이 깔린 바닥면 상에서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기 헤드의 후방을 들어올리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이러한 소울 플레이트의 선회 운동에 의해, 청소 중에, 개구의 에지는 이 바닥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청소 중에, 개구의 에지와 바닥면 사이에 시일(seal)이 유지될 수 있고, 이것은 청소기 헤드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울 플레이트는 개구의 전방 에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에지테이터 체임버에 대해 선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소울 플레이트와 카펫의 표면 사이의 시일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울 플레이트의 부분 중 하나의 저면은, 소울 플레이트의 그 저면이 소울 플레이트의 그 부분의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적 상에 연장하는 시일을 형성하도록 카펫의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제 2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소울 플레이트의 이 부분은 소울 플레이트의 후연 부분이지만, 청소기 헤드의 배향은, 소울 플레이트의 전연 부분이 제 2 평면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울 플레이트의 이 부분의 저면은 제 2 평면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개구의 후방 에지를 따라 제 2 평면과 교차하는 제 3 평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기 헤드가 카펫 상에 위치될 때, 청소기 헤드가 카펫의 표면 상에서 조작됨에 따라, 카펫의 섬유를 교란시키도록 개구의 전방 에지는 제 2 평면의 하측에 위치된다. 제 2 평면과 제 3 평면 사이에 내재되는 각도는 바람직하게 5°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이다.
제 1 평면과 제 2 평면 사이에 내재되는 각도는 제 1 평면과 소울 플레이트의 후연 부분의 후방 단부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소울 플레이트의 후연 부분의 후방 단부는 제 1 평면으로부터 약 3 내지 4 mm의 거리 만큼 상승될 수 있다. 청소기 헤드가 단단한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청소기 헤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청소기 헤드는, 이 청소기 헤드가 위치되는 표면과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소울 플레이트의 후연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표면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맞물림 수단은 바람직하게 후연 부분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바람직하게 개구의 후방 에지에 인접하여, 그리고 후방 에지와 소울 플레이트의 후연 부분 상에 위치되는 지지 부재(들) 사이에 연장한다. 표면 맞물림 수단은 가요성 재료의 스트립(strip) 또는 강모의 열을 포함할 수 있다. 소울 플레이트와 카펫의 표면 사이에 형성된 시일이 손상되지 않도록, 그리고 카펫 상에서의 청소기 헤드의 운동에 대해 작은 저항만을 제공하도록, 강모는 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청소기 헤드가 카펫이 깔린 바닥면 상에 위치된 경우에 소울 플레이트의 후연 부분에 대해 눕혀지도록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비교적 가요성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소울 플레이트의 전연 부분인 소울 플레이트의 다른 부분의 저면은 제 2 평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울 플레이트의 다른 부분의 저면은 제 1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 위치될 수 있으나, 제 1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평면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청소기 헤드가 바닥면 상에서 전방으로 조작됨에 따라, 전연 부분은 러그(rug) 또는 긴 섬유로 된 카펫이 깔린 바닥면의 섬유를 청소기 헤드의 하측으로 그리고 개구 내로 안내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바닥면 상에서 청소기 헤드의 전방 운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교란 수단은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교란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강모, 복수의 필라멘트, 및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단한 바닥면으로부터 쓰레기 및 먼지를 스위핑하기 위해,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제 1 평면 및 제 2 평면의 양자 모두를 초과하여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추가의 교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청소기기용 청소기 헤드로서,
회전 가능한 에지테이터 조립체;
에지테이터 조립체를 수용하는 에지테이터 체임버;
에지테이터 조립체에 의해 활동 상태가 되는 잔해물이 에지테이터 체임버 내로 유입되는 하방 지향된 개구를 한정하는 소울 플레이트로서, 개구는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고, 소울 플레이트는 개구의 전방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연 부분 및 개구의 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연 부분을 갖는, 소울 플레이트; 및
소울 플레이트의 각 부분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로서, 소울 플레이트를 초과하여 하방으로 연장하고, 5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의 최하측 선단부는 제 1 평면 내에 위치되고, 개구의 연부는 제 1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 2 평면 내에 위치되고,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제 1 평면 및 제 2 평면의 양자 모두를 초과하여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교란 수단, 및 제 2 평면을 초과하지만 제 1 평면 이내에서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교란 수단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를 제공한다.
제 2 교란 수단은 제 1 교란 수단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낮은 표면 저항률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 2 교란 수단과 접촉 시에 단단한 바닥면이 정전기로 대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대전이 억제되지 않은 경우에 바닥면에 부착되는 미세 먼지 및 분말을 제 2 교란 수단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제 2 교란 수단의 표면 저항률은 바람직하게 1x10-5 내지 1x1012 Ω/sq(옴 퍼 스퀘어)의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표면 저항률의 값은 ASTM D257 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제 2 교란 수단은 금속, 탄소 섬유, 탄소 복합체 또는 기타 복합 재료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탄소 입자 및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재료는 일반적으로 1x103 내지 1x106 Ω/sq 범위의 표면 저항률을 갖고, 반면에 금속 재료는 훨씬 더 낮은 표면 저항률, 일반적으로 1 Ω/sq 미만을 갖는다. 다른 정전기 소산(dissipative) 재료는 일반적으로 1x105 내지 1x1012 Ω/sq 범위의 표면 저항률을 갖는다.
제 1 교란 수단은 나일론과 같은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1x1012 내지 1x1016 Ω/sq 범위의 표면 저항률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교란 수단은 제 2 교란 수단과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카펫이 깔린 바닥면 상에 정전기의 축적을 억제하기 위해 전술한 제 2 교란 수단을 위한 범위 내의 표면 저항률을 가질 수 있다.
제 1 교란 수단은 제 2 교란 수단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1 교란 수단은 제 2 교란 수단의 내부 또는 아니면 제 2 교란 수단과 접촉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란 수단의 각각은 복수의 강모 또는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교란 수단의 강모 또는 필라멘트는 제 2 교란 수단의 강모 또는 필라멘트의 부근이나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교란 수단은 제 1 교란 수단을 바람직하게 0.5 내지 5 mm 범위의 거리만큼,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 범위의 거리만큼 초과하여 외측으로 돌출한다.
제 1 교란 수단은 제 2 교란 수단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교란 수단은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는 각각의 본체 상에 장착되거나 아니면 각각의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 1 교란 수단은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제 1 방향으로 병진되는 제 1 본체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제 2 교란 수단은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제 2 방향으로 병진되는 제 2 본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교란 수단 및 제 2 교란 수단은 공통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공통의 회전 가능한 본체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본체는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의 형태일 수 있고, 제 1 및 제 2 교란 수단은, 제 2 교란 수단이 제 1 교란 수단을 초과하여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의 동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그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의 동일 측면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제 2 교란 수단이 제 1 교란 수단을 초과하여 본체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란 수단은 임의의 원하는 패턴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본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교란 수단의 각각은 본체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구조로 배치된다.
교란 수단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복수의 강모, 필라멘트 또는 기타 교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란 수단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본체 상에 장착되는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교란 수단이 복수의 강모를 포함하는 경우, 이 강모는 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열의 강모의 군집 또는 다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교란 수단은 본체를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2 교란 수단이 복수의 강모 또는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경우, 각 열의 강모 또는 필라멘트는, 각 열이 바닥면 상에서 스위핑됨에 따라 바닥면 상에 쓰레기 또는 먼지의 패턴이 형성되지 않도록,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제 2 교란 수단이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각 열은 재료의 단일 스트립으로 또는 복수의 인접하는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2 교란 수단의 강모는 탄소 섬유 또는 Thunderon® 섬유와 같은 도전성 아크릴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교란 수단은 제 2 교란 수단에 비해 비교적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 1 교란 수단의 강모 또는 필라멘트는 제 2 교란 수단의 강모 또는 필라멘트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 1 교란 수단의 강모는 100 내지 500 ㎛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교란 수단의 강모는 5 내지 500 ㎛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란 장치는 회전 가능한 브러시 바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된 전술한 특징은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청소기 헤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청소기 헤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청소기 헤드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청소기 헤드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청소기 헤드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청소기기용 청소기 헤드(10)의 실시형태의 외관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청소기 헤드(10)는 원통형 진공 청소기기의 청소봉 또는 호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청소기 헤드(10)는 본체(12) 및 이 본체(12)에 연결되는 도관(14)을 포함한다. 본체(12)는 이 본체(12)의 후방 부분(20)의 대향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벽(16, 18), 및 본체(12)의 측벽(16, 18) 사이에 위치되는 가동 부분(22)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가동 부분(22)은 본체(12)의 측벽(16, 18) 사이에서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을 위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부분(22)은 만곡된 상벽(24), 하측 플레이트 또는 소울 플레이트(26), 및 상벽(24)에 소울 플레이트(26)를 연결하는 2 개의 측벽(28, 30)을 포함한다. 측벽(28, 30)은 본체(12)의 측벽(16, 18) 사이에 위치되고, 측벽(28, 30)은 본체(12)의 측벽(16, 18) 중 각각의 하나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사용 시, 소울 플레이트(26)는 청소될 바닥면에 대면하고,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카펫이 깔린 바닥면의 표면에 맞물린다. 소울 플레이트(26)는 쓰레기를 포함하는 공기류가 청소기 헤드(10) 내에 진입하는 흡인 개구(36)의 대향 측부 상에 위치되는 전연 부분(32) 및 후연 부분(34)을 포함한다. 흡인 개구(36)는 대체로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각각 소울 플레이트(26)의 저면으로부터 직립하는 측벽(28, 30), 비교적 긴 전방 벽(38) 및 비교적 긴 후방 벽(40)에 의해 한정된다. 이러한 벽은 또한 청소기 헤드(10)의 본체(12)를 통한 흡입 통로의 도입부를 한정한다.
소울 플레이트(26)는, 청소기 헤드(10)가 이와 같은 표면 상에서 조작됨에 따라, 카펫이 깔린 바닥면의 섬유를 교란시키기 위한 2 개의 작동 에지(edge)를 포함한다. 소울 플레이트(26)의 전방 작동 에지(42)는 전방 벽과 소울 플레이트(26)의 전연 부분(32)의 저면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되고, 측벽(28, 30)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소울 플레이트(26)의 후방 작동 에지(44)는 후방 벽(40)과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의 저면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되고, 측벽(28, 30)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작동 에지(42, 44)는 비교적 날카로운 것이 바람직하고, 0.5 mm 미만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범퍼(46)는 가동 부분(22) 상에 오버-몰딩(over-mould)되고, 상벽(24)과 소울 플레이트(26) 사이에 위치된다. 비교적 짧은 보푸라기 포집 스트립(47)은 소울 플레이트(26)의 전연 부분(32)의 저면의 일측에 부착된다.
청소기 헤드(10)가 단단한 바닥면 상에서 조작됨에 따라, 작동 에지(42, 44)가 이와 같은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아니면 흔적을 남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청소기 헤드(10)는 단단한 바닥면으로부터 작동 에지(42, 44)를 이격시키도록 작용하는 표면 맞물림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청소기 헤드(10)는 각각 롤링 요소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바퀴인 복수의 표면 맞물림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제 1 쌍의 바퀴(48)는 소울 플레이트(26)의 전연 부분(32)에 형성되는 한 쌍의 리세스(recess)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바퀴(50)는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에 형성되는 리세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추가의 바퀴(5)가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48, 50)는, 이 바퀴(48, 50)의 최하측 선단부가 작동 에지(42, 44)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평면(P1) 내에 위치되도록, 작동 에지(42, 44)를 초과하여 하방으로 돌출한다.
사용 중, 청소기 헤드(10)를 통과하는 공기와 외부 환경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된다. 이 압력차는 청소기 헤드(10) 상에 바닥면을 향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발생한다. 청소기 헤드(10)가 카펫이 깔린 바닥면 상에 위치된 경우, 바퀴(48, 50)는 청소기 헤드(10)의 무게 및 청소기 헤드(10) 상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카펫이 깔린 바닥면의 섬유 사이에 압입된다. 바퀴(48, 50)의 두께는, 소울 플레이트(26)의 적어도 작동 에지(42, 44)가 바닥면의 섬유와 접촉하도록, 이 바퀴(48, 50)가 카펫이 깔린 바닥면 내에 쉽게 침투하도록, 선택된다. 바퀴(48, 50)의 두께는, 바퀴(48, 50)가 카펫이 깔린 바닥면의 섬유 사이에 확실히 침투하도록, 5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퀴(48, 5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1 내지 5 mm의 범위, 예를 들면, 2 내지 3 mm의 범위이다.
소울 플레이트(26)의 작동 에지(42, 44)는 제 1 평면(P1)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제 2 평면(P2) 내에 위치된다. 제 1 평면과 제 2 평면 사이에 내재하는 각도(α)는 바람직하게 1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3°이다. 소울 플레이트(26)의 전연 부분(32)의 저면은 제 2 평면(P2)에 대해 전방의 상방으로 경사를 이룬다. 그 결과, 사용 시, 전연 부분(32)은, 청소기 헤드(10)가 그 바닥면 상에서 전방으로 조작됨에 따라, 러그 또는 긴 섬유로 된 카펫이 깔린 바닥면의 섬유를 청소기 헤드(10)의 하측으로 그리고 흡인 개구(36) 내로 안내할 수 있고, 따라서 바닥면 상에서 청소기 헤드(10)의 전방 운동에 대한 저항을 저하시킨다.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의 저면은 제 1 평면(P1)에 대해 후방의 상방으로 경사를 이룬다. 그 결과, 사용 시, 후연 부분(34)은, 청소기 헤드(10)가 그 바닥면 상에서 후방으로 조작됨에 따라, 러그 또는 긴 섬유로 된 카펫이 깔린 바닥면의 섬유를 청소기 헤드(10)의 하측으로 그리고 흡인 개구(36) 내로 안내할 수 있고, 따라서 바닥면 상에서 청소기 헤드(10)의 후방 운동에 대한 저항을 저하시킨다.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의 저면은,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의 저면이 제 2 평면(P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흡인 개구(36)의 후방 작동 에지(44)를 따르는 제 2 평면(P2)과 교차하는 제 3 평면(P3) 내에 위치된다. 제 2 평면(P2)과 제 3 평면(P3) 사이에 내재하는 각도(β)는 바람직하게 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 미만, 본 실시예에서는 약 1° 이다.
청소기 헤드(10)가 사용자에 의해 카펫이 깔린 바닥면 상에서 후방으로 당겨질 때, 사용자는 청소기 헤드(10)의 본체(12)의 후방 부분(20)을 들어올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체(12)에 대한 가동 부분(22)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로 인해, 소울 플레이트(26)는 작동 에지(42, 44)를 바닥면과의 접촉 상태에 유지하도록 본체(12)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도 3에서 축선(A)를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본체(12)에 대한 가동 부분(22)의 시계방향 회전은 가동 부분(22)의 범퍼(46)의 단부의 근방에 위치된 상방으로 대면하는 표면(52)과 본체(12)의 측벽(16, 18)의 전방의 근방에 위치되는 하방으로 대면하는 표면(54)의 맞닿음을 통해 제한된다. 본체(12)에 대한 가동 부분(22)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은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의 상면(56)과 본체(12)의 측벽(16, 18)의 저면(58)의 맞닿음을 통해 제한된다. 본체(12)에 대한 가동 부분(22)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의 저면은 카펫의 상면과 접촉하고, 카펫과 소울 플레이트(26) 사이에 후연 부분(34)의 저면의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적에 걸쳐 연장하는 시일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평면(P2)과 제 3 평면(P3) 사이의 경사로 인해, 저면이 카펫의 표면과 접촉된 경우에 전방 작동 에지(42)는 후연 부분(34)의 저면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것으로 인해, 청소기 헤드(10)가 카펫 상에서 조작됨에 따라, 카펫 섬유의 교란이 증대될 수 있다.
제 3 평면(P3)에 대한 제 2 평면(P2)의 경사의 결과, 후방 작동 에지(44)는 전방 작동 에지(42)와 제 1 평면(P1) 사이의 거리보다 큰 거리만큼 제 1 평면(P1)의 상측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후방 작동 에지(44)와 제 1 평면(P1) 사이의 거리는 약 3 내지 4 mm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과 단단한 바닥면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후연 부분(34)은 제 1 평면(P1)을 초과하여 후연 부분(34)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일렬의 강모(59)를 포함한다. 이 강모는, 강모(59)가 단단한 바닥면 또는 카펫이 깔린 바닥면과의 접촉 시 쉽게 변형되어, 바닥면 상에서 청소기 헤드(10)의 조작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비교적 미세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나일론이나 유사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모(59)는, 축선(A)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에서 측정되는 바와 같이,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방 작동 에지(44)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기 헤드(10)는 바닥면 상에 위치된 쓰레기 및 먼지를 교란시키기 위한 에지테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하우징(16)의 에지테이터 체임버(62) 내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브러시 바(60)를 포함한다. 에지테이터 체임버(62)는 가동 부분(22)의 일부는 만곡된 상벽(24)에 의해 한정된다. 만곡된 상벽(24)은, 사용자가 에지테이터 체임버(62)가 폐색되었는지의 여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시 바(60)는 본체(12)의 모터 하우징(64) 내에 위치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는 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청소기기의 덕트 내에 위치되는 적합 형상(conformingly profiled)의 단자와의 연결을 위해 도관(14) 내에 위치되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브러시 바(60)는, 구동 기구가 흡입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 기구 하우징(6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구동 기구에 의해 모터에 연결된다. 브러시 바(60)의 일단부는, 이 브러시 바(60)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 기구에 연결되고, 반면에 브러시 바(60)의 타단부는 본체(12)의 측벽(18)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부 캡(6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닥 맞물림 센서(69)는, 소울 플레이트(26)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청소기 헤드(10)가 위치되는 바닥면과 센서(69)가 접촉하도록, 후연 부분(34)의 저면을 초과하여, 바람직하게는 제 1 평면(P1)을 초과하여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 내에 위치되는 리세스 내에 수용된다. 이 센서(69)의 이동에 의해, 모터는 브러시 바(60)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된다. 청소기 헤드(10)가 바닥면으로부터 상승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센서(69)의 이동에 의해, 모터는 정지된다.
브러시 바(60)는, 이 브러시 바(60)가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쓰레기 및 먼지를 교란시키기 위한 2 개의 상이한 유형의 교란 수단을 구비하는 세장형 본체(70)를 포함한다. 상이한 유형의 교란 수단의 각각은, 브러시 바(60)가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양 만큼 소울 플레이트(26) 내의 흡인 개구(36)로부터 돌출한다.
브러시 바(60)의 본체(70) 상에 장착되는 제 1 교란 수단은 비교적 짧고,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강성의 강모(72)를 포함한다. 이러한 강모(72)는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비교적 짧은 강모(72)는 본체(70)를 따라 연장되는 2 개의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는 나선상 열로 배치된다. 각 열 내에서, 비교적 짧은 강모(72)는 열을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는 일련의 군집 또는 다발로 배치된다. 각 다발은 약 100 내지 150 개의 강모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다발은 2 내지 4 mm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각 강모(72)의 직경은 100 내지 500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적 짧은 강모(72)의 길이는, 브러시 바(60)가 회전됨에 따라, 이러한 강모(72)의 팁 부분이 제 2 평면(P2) 및 제 3 평면(P3)을 초과하지만 제 1 평면(P1)은 초과하지 않도록 돌출하는 직경(D1)을 갖는 원통형 체적을 그리도록, 선택된다.
브러시 바(60)의 본체(70) 상에 장착되는 제 2 교란 수단은 비교적 길고,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연성의 강모(74)를 포함한다. 비교적 긴 강모(74)는 비교적 짧은 강모(72)를 초과하여 본체(70)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본체(70)의 회전 중, 비교적 긴 강모(74)는 D1보다 큰 직경(D2)을 갖는 원통형 체적을 스위핑한다. D1과 D2 사이의 차이는 바람직하게 1 내지 10 mm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mm 범위이다. 비교적 짧은 강모(72)와 대조적으로, 비교적 긴 강모(74)의 길이는, 이 비교적 긴 강모(74)가 브러시 바(60)의 회전 중에 제 1 평면(P1) 및 제 2 평면(P2)의 양자 모두를 초과하여 돌출하도록 선택된다.
비교적 긴 강모(74)는 비교적 짧은 강모(72)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낮은 표면 저항률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비교적 긴 강모(74)의 표면 저항률은 1x10-5 내지 1x1012 Ω/sq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비교적 짧은 강모(72)의 표면 저항률은 1x1012 Ω/sq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적 긴 강모(74)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강모는 금속, 흑연, 도전성 아크릴 또는 기타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비교적 긴 강모(74)는 탄소 섬유 강모를 포함한다.
본체(70)는 복수의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는 연속 열의 비교적 긴 강모(74)를 포함하고, 이 비교적 긴 강모도 본체(70)를 따라 나선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본체(70)는 비교적 긴 강모(74)의 2 개의 연속 열을 포함하고, 각 열은 비교적 짧은 강모(72)로 형성되는 일렬의 다발로부터 각도 방향으로 이격된다. 비교적 긴 강모(74)가 탄소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경우, 이 비교적 긴 강모(74)는 5 내지 20 ㎛ 범위의 직경을 갖는 극히 미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비교적 긴 강모(74)의 각 열은 1 mm 길이 당 5,000 내지 30,000 개 범위의 강모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적 긴 강모(74)의 각 열은 단일 스트립의 강모로 형성된다. 각 스트립은, 강모(74)의 각 열이 캐리어 부재(76)의 각각의 긴 측부 에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세장형의 대체로 사각형의 가요성 캐리어 부재(76)를 강모의 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부재는 스티칭(stitching)에 의해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강모의 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에 각 스트립은, 강모의 단부가 본체(70)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본체(70)에 형성되는 각각의 나선형 그루브 내에 위치된다. 스트립은, 스트립 상에 장착되고 또한 커넥터(78) 내에 형성된 개구(80) 내에 삽입되는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본체(70)에 연결되는 나선형 커넥터(78)에 의해 본체(70)에 연결된다. 나사는 캐리어 부재를 통해 압입되거나, 캐리어 부재 내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청소기 헤드(10)가 카펫이 깔린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경우, 바퀴(48, 50)는, 소울 플레이트(26)의 후연 부분(34)의 저면이 카펫의 섬유와 맞물리도록, 카펫의 섬유 사이에 침투한다. 브러시 바(60)가 회전됨에 따라, 비교적 짧은 강모(72) 및 비교적 긴 강모(74)의 양자 모두가 흡인 개구(26)로부터 돌출하므로, 상이한 유형의 강모의 양자 모두가 바닥면으로부터 쓰레기 및 먼지를 교란시킬 수 있다. 청소기 헤드(10)의 흡입 통로를 통해 공기 유동이 생성되는 경우, 이 쓰레기 및 먼지는 공기 유동 내에 혼입되어 청소기 헤드(10)를 통해 청소기기로 운반된다.
청소기 헤드(10)가 카펫이 깔린 바닥면으로부터 단단한 바닥면으로 이동되는 경우, 소울 플레이트(26)는 바퀴(48, 50)에 의해 단단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비교적 짧은 강모(72)의 팁 부분이 바퀴(48, 50)의 최하측 선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평면(P1)의 하측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이 강모는 단단한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고, 따라서 단단한 바닥면의 강모에 의한 스크래치 또는 기타 흔적을 방지한다. 그러나, 비교적 긴 강모(74)는 제 1 평면(P1)을 초과하여 돌출하므로, 이러한 강모는 브러시 바(60)의 회전 시 단단한 바닥면과 맞물리고, 또 단단한 바닥면을 가로질러 스위핑된다. 비교적 긴 강모(74)의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 저항률은, 이 비교적 긴 강모(74)가 바닥면에 접촉할 때, 단단한 바닥면 상에 정전기의 축적을 억제하고, 그 결과 정전기의 축적이 억제되지 않았을 경우에 단단한 바닥면에 부착되었을 미세 먼지 및 분말은 강모(74)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기 유동 내에 혼입될 수 있다.

Claims (19)

  1. 청소기기용 청소기 헤드로서,
    회전 가능한 에지테이터 조립체;
    상기 에지테이터 조립체를 수용하는 에지테이터 체임버;
    상기 에지테이터 조립체에 의해 활동 상태가 되는 잔해물이 상기 에지테이터 체임버 내로 유입되는 하방 지향된 개구를 한정하는 소울 플레이트로서, 상기 개구는 전방 에지(edge) 및 후방 에지를 갖고, 상기 소울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의 전방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연 부분 및 상기 개구의 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연 부분을 갖는, 소울 플레이트; 및
    상기 소울 플레이트의 각 부분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로서, 상기 소울 플레이트를 초과하여 하방으로 연장하고, 5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최하측 선단부는 제 1 평면 내에 위치되고, 상기 개구의 연부는 상기 제 1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 2 평면 내에 위치되고, 상기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상기 제 2 평면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 1 면 이내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교란 수단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울 플레이트는 상기 에지테이터 체임버에 대해 선회 가능한, 청소기 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울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의 전방 에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에지테이터 체임버에 대해 선회 가능한, 청소기 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과 상기 제 2 평면 사이에 내재되는 각도는 10° 미만인, 청소기 헤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과 상기 제 2 평면 사이에 내재되는 각도는 5° 미만인, 청소기 헤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울 플레이트의 부분 중 하나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평면 내에 위치되는, 청소기 헤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울 플레이트의 부분 중 하나의 저면은 상기 제 2 평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청소기 헤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은 상기 제 2 평면에 대해 각을 이루는 제 3 평면 내에 포함되는, 청소기 헤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평면은 상기 개구의 후방 에지를 따라 상기 제 2 평면과 교차하는, 청소기 헤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과 상기 제 3 평면 사이에 내재되는 각도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인, 청소기 헤드.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중 하나는 상기 부분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표면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면 맞물림 수단은 상기 개구의 후방 에지에 인접하는, 청소기 헤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면 맞물림 수단은 강모의 열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울 플레이트의 다른 부분의 저면은 상기 제 2 평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청소기 헤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울 플레이트의 다른 부분의 저면은 상기 제 1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청소기 헤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란 수단은 복수의 강모, 복수의 필라멘트, 및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중 하나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상기 제 1 평면 및 상기 제 2 평면의 양자 모두를 초과하여 상기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추가의 교란 수단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8. 청소기기용 청소기 헤드로서,
    회전 가능한 에지테이터 조립체;
    상기 에지테이터 조립체를 수용하는 에지테이터 체임버;
    상기 에지테이터 조립체에 의해 활동 상태가 되는 잔해물이 상기 에지테이터 체임버 내로 유입되는 하방 지향된 개구를 한정하는 소울 플레이트로서, 상기 개구는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고, 상기 소울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의 전방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연 부분 및 상기 개구의 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연 부분을 갖는, 소울 플레이트; 및
    상기 소울 플레이트의 각 부분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로서, 상기 소울 플레이트를 초과하여 하방으로 연장하고, 5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최하측 선단부는 제 1 평면 내에 위치되고, 상기 개구의 연부는 상기 제 1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제 2 평면 내에 위치되고, 상기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상기 제 1 평면 및 상기 제 2 평면의 양자 모두를 초과하여 상기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교란 수단, 및 상기 제 2 평면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 1 평면 이내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교란 수단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9.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청소기 헤드.
KR1020137023650A 2011-02-08 2012-01-13 청소기 헤드 KR101475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02131.8A GB2487920B (en) 2011-02-08 2011-02-08 A cleaner head
GB1102131.8 2011-02-08
PCT/GB2012/050069 WO2012107734A1 (en) 2011-02-08 2012-01-13 A cleaner h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965A true KR20130124965A (ko) 2013-11-15
KR101475774B1 KR101475774B1 (ko) 2014-12-23

Family

ID=4383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650A KR101475774B1 (ko) 2011-02-08 2012-01-13 청소기 헤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71514B2 (ko)
EP (1) EP2672869B1 (ko)
JP (1) JP5341217B2 (ko)
KR (1) KR101475774B1 (ko)
CN (1) CN102631170B (ko)
AU (1) AU2012215167B2 (ko)
GB (1) GB2487920B (ko)
WO (1) WO2012107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4423B2 (en) 2012-06-15 2018-05-22 The Prco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device having a sole plate to removably receive a cleaning sheet thereon
CA157984S (en) * 2014-02-21 2015-03-27 Dyson Technology Ltd Tool for a vacuum cleaner
CA158203S (en) * 2014-02-21 2015-03-04 Dyson Technology Ltd Tool for a vacuum cleaner
CA157982S (en) * 2014-02-21 2015-03-27 Dyson Technology Ltd Tool for a vacuum cleaner
CA157983S (en) * 2014-02-21 2015-03-27 Dyson Technology Ltd Tool for a vacuum cleaner
GB2542522B (en) * 2014-07-07 2017-09-13 Techtronic Ind Co Ltd Floor tool having a floor engaging support element and a cleaning member
AU360820S (en) * 2014-08-21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vacuum cleaner
JP1536338S (ko) 2014-08-21 2015-10-26
CA166228S (en) * 2015-07-13 2016-12-23 Dyson Technology Ltd Accessory for hairdryer
JP1552520S (ko) * 2015-07-13 2016-06-20
US10702108B2 (en) 2015-09-28 2020-07-07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for vacuum cleaner
JP6737883B2 (ja) 2015-10-21 2020-08-12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リーディングローラを有する表面清掃ヘッド
US11647881B2 (en) 2015-10-21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apparatus with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KR102386214B1 (ko) 2015-11-19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11202542B2 (en) 2017-05-25 2021-12-21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with dual cleaning rollers
CN110708993A (zh) * 2017-06-06 2020-01-17 阿尔弗雷德·卡赫欧洲两合公司 地面吸嘴设备、用于纺织面清洁的清洁辊和抽吸机
US10595624B2 (en) * 2017-07-25 2020-03-24 Irobot Corporation Cleaning roller for cleaning robots
WO2019040623A2 (en) * 2017-08-24 2019-02-28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FOR VACUUM CLEANER
GB201815655D0 (en) * 2018-09-26 2018-11-07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US11992172B2 (en) 2018-10-19 2024-05-28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866659B1 (en) 2018-10-19 2023-12-27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D937518S1 (en) * 2020-08-28 2021-11-30 Rugged Industries, Inc. Wand glide
CN113080765B (zh) * 2021-03-02 2023-01-24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切毛滚刷及其吸尘器
FR3138289A1 (fr) * 2022-07-29 2024-02-02 Seb S.A. Tête d’aspiration comprenant une semelle équipée d’une surface de glissement avant courbé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554A (en) * 1978-05-11 1979-10-23 The Hoover Company Nozzle height adjustment
JPH0824639B2 (ja) * 1988-04-12 1996-03-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H01259824A (ja) * 1988-04-08 1989-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TW410593U (en) * 1997-08-29 2000-11-01 Sanyo Electric Co Suction head for electric vacuum cleaner
DE19818568C1 (de) * 1998-04-25 1999-05-27 Wessel Werk Gmbh Staubsaugerdüse
GB0023732D0 (en) * 2000-09-28 2000-11-08 Notetry Ltd A floor tool
JP4557464B2 (ja) * 2001-07-25 2010-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用吸込具
AU2003283702A1 (en) * 2002-12-19 2004-07-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suction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er
US7290308B2 (en) * 2003-01-03 2007-11-06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pivotally mounted agitator section
JP4537274B2 (ja) * 2005-07-01 2010-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06031486A1 (de) * 2006-07-07 2008-01-10 Wessel-Werk Gmbh Düse für Bodenstaubsauger
US20080256743A1 (en) * 2006-10-24 2008-10-23 Yuen Chi Frankie Lam Surface-Cleaning Apparatus with Height Adjustable Base
DE102008022995B4 (de) * 2008-05-09 2012-05-31 Wessel-Werk Gmbh Saugdüse für Bodenstaubsauger
GB2470917A (en) * 2009-06-09 2010-12-15 Dyson Technology Ltd Agitating means for cleaning head
GB2470918A (en) * 2009-06-09 2010-12-15 Dyson Technology Ltd Agitating means for a cleaning head
GB201003604D0 (en) * 2010-03-04 2010-04-21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15167A1 (en) 2013-09-05
KR101475774B1 (ko) 2014-12-23
CN102631170A (zh) 2012-08-15
GB2487920B (en) 2013-01-09
US8671514B2 (en) 2014-03-18
CN102631170B (zh) 2014-12-31
EP2672869B1 (en) 2015-04-01
WO2012107734A1 (en) 2012-08-16
AU2012215167B2 (en) 2015-08-13
GB201102131D0 (en) 2011-03-23
GB2487920A (en) 2012-08-15
JP5341217B2 (ja) 2013-11-13
JP2012161611A (ja) 2012-08-30
EP2672869A1 (en) 2013-12-18
US20120198644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774B1 (ko) 청소기 헤드
US10667661B2 (en) Cleaner head
EP2521476B1 (en) A cleaner head
EP2440099B1 (en) A cleaner head
US8806710B2 (en) Cleaner head
EP2440103B1 (en) A cleaner head
KR20130103593A (ko) 청소기 헤드
GB2476811A (en)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476812A (en)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WO2012175932A1 (en)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99542A (en)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AU2010258411B2 (en) A cleaner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