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058A -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058A
KR20130124058A KR1020120047672A KR20120047672A KR20130124058A KR 20130124058 A KR20130124058 A KR 20130124058A KR 1020120047672 A KR1020120047672 A KR 1020120047672A KR 20120047672 A KR20120047672 A KR 20120047672A KR 20130124058 A KR20130124058 A KR 2013012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weight
frame
measurement
loa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249B1 (ko
Inventor
설완석
이창영
Original Assignee
설완석
이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완석, 이창영 filed Critical 설완석
Priority to KR102012004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24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05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2Indicating the weight by optical proj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자동차의 차체프레임 상측으로 구비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양측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 하부적재프레임, 하부적재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화물자동차에 적재되는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적재프레임,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및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측정수단은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설치되며,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측정 신호를 제어부가 연산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대상물의 무게 측정 후,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서 각 측정수단을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물을 적재할 경우, 실시간으로 적재된 중량을 측정 및 확인할 수 있어 적재 중량의 적정성확인은 물론, 과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적단속을 피함에 따라 혹시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Load apparatus able to weight measurement for heavy duty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적하지 않도록 화물자동차의 무게를 측정하되,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측정하게 하여 최대 적재량을 넘지않도록 조절할 수 있어 범칙금을 내야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적차량의 운행은 도로 및 교량 구조물 등에 손상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도로의 내구연한을 단축시켜 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키고 과중한 무게로 인하여 조종 및 제동 능력이 떨어지므로 대형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과적차량은 주행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해당 도로의 용량을 저하시키며, 운행시 소음과 진동의 유발, 배기가스 배출 등으로 도로 주변의 환경 오염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이와 같은 과적에 의한 폐해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시스템들을 도입한 단속방법과 측정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 중 대부분이 도로면의 바닥에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고정식 축 중 측정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과적단속시스템은 등록번호 제10-0992936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타이어가 접촉하기 위한 재하판과 재하된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구비하여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재하판은 한 쌍이 형성되어 화물자동차의 각 축 별로 하중을 측정함에 따라 그 측정시간 길어 동 시간대에 많은 차량이 몰릴 경우, 시간을 낭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 편법으로 화물자동차의 각 축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여 측정되는 축을 상측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인근에 위치한 다른 두 개의 축으로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여 단속을 피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화물차량 전체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나의 재하판을 구비하고 이 재하판의 하측으로 측정장치를 다수 개 설치하여 과적단속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방식은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커 설치장소에 제한이 있으며, 비용 또는 높아 부가되는 범칙금으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차주 스스로 적재되는 대상물의 전체 중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스스로 과적을 금지함에 따라 종래 적재된 대상물이 과적 대상인지 여부를 몰라서 발생되는 사항들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차체프레임의 상측에 하부적재프레임을 구비하되, 하부적재프레임은 다수의 측정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적재프레임의 상측으로 대상물이 적재되는 상부적재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대상물의 중량 측정 시, 측정수단을 각 측정공간에 설치 후 측정수단의 측정부를 승강시켜 대상물의 중량을 필요에 따라 측정하여 확인하고, 측정 후, 각 측정수단을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함에 따라 비교적 비싼 측정수단의 수명을 연장하여 유지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른 실시간 측정이 가능함에 따라 과적을 방지하고, 과적단속을 피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자동차의 차체프레임 상측으로 구비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양측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 하부적재프레임,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화물자동차에 적재되는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적재프레임,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및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수단은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설치되며,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측정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연산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대상물의 무게 측정 후,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서 각 측정수단을 분리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체프레임과 하부적재프레임 사이에 수평유지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화물자동차가 경사지거나 평평한 노면에 위치되지 않아 차체프레임이 기울어질 경우,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에 구비되어 수평상태를 센싱하는 수평센서,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단부와 하부적재프레임의 전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위치조절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위치조절부, 및 상기 수평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위치조절부와 제2위치조절부 중 해당되는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수평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화물자동차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수평제어부는 제1위치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수평이 유지되며, 화물자동차의 후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수평제어부는 제2위치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단부가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수평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수평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화물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센서의 신호를 전송받아 제1위치조절부 또는 제2위치조절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위치조절부는,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단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평제어부에 의해 하부적재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를 승강시킴에 따라 하부적재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제2위치조절부는, 상기 차체프레임이 후단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차체프레임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측정공간부는,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너비방향으로 지나는 동일선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공간부는,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다수 개 형성되되,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너비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측정공간부는 그 반대 측에 형성된 인접한 두 개의 측정공간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수단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및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형상 변형량을 신호로 송신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정공간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설치된 측정수단을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수단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수단은, 상기 각 측정공간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수단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는 각 지지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거나 또는 모든 지지프레임을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연산된 대상물의 무게가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에 의하면, 대상물을 적재할 경우, 실시간으로 적재된 중량을 측정 및 확인할 수 있어 과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적단속을 피함에 따라 혹시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의 측정수단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 설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의 수평유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의 측정수단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 설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의 수평유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10)는 하부적재프레임(100)과 상부적재프레임(200), 측정수단(300) 및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하부적재프레임(100)은 화물자동차의 차체프레임(20) 상측으로 구비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110)가 양측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적재프레임(200)은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화물자동차에 적재되는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측정수단(300)은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측정공간부(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적재프레임(100)에 형성된 모든 측정공간부(110)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선택된 측정공간부(110)에만 설치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측정공간부(110)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300)의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것으로, 화물자동차에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측정수단(300)은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측정공간부(110)에 설치되며, 설치된 각 측정수단(300)의 측정 신호를 제어부(400)가 연산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대상물의 무게 측정 후,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측정공간부(110)에서 각 측정수단(300)을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표시부(500)가 더 구비되어 연산된 대상물의 무게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적재된 무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공간부(1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좌측과 우측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되, 하부적재프레임(100)의 너비방향으로 지나는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측정공간부(110)에 측정을 위한 측정수단(300)이 각각 위치됨에 따라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적재프레임(200)의 하측 전체를 균등하게 지지하여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공간부(110)는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다수 개 형성되되, 하부적재프레임(100)의 너비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측정공간부(110)는 그 반대 측에 형성된 인접한 두 개의 측정공간부(110)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화물자동차의 전방을 보는 방향으로,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좌측으로 세 개의 측정공간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우측으로 두 개의 측정공간부(110)가 형성된다고 가정하에, 우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측정공간부는 그 반대편인 좌측에 형성된 인접한 두 개의 측정공간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공간부(110)에 측정을 위한 측정수단(300)이 각각 위치됨에 따라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적재프레임(200)의 하측 전체를 균등하게 지지하여 무게를 측정함은 물론, 최소한의 개수를 설치함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키고, 설치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측정수단(30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310)과 측정부(3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측정부(320)는 몸체하우징(310)에 하측이 지지되도록 구비되되, 측정부(320)의 상단부가 몸체하우징(3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부적재프레임(200)과 닿아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수단(300)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하우징(310)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고, 측정부(320)는 몸체하우징(310)의 설치공간부 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이러한 측정부(320)의 형상 변형량을 제어부(400)가 수신하여 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측정수단(300)은 승강부(미 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승강부는 몸체하우징(310)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측정부(320)를 승강시키거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하우징(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봉 및 몸체하우징(310)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측정부(320)를 승강 및 위치를 유지시키는 링크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하우징(310)의 설치공간부에는 가이드부(미 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가이드부는 승강되는 측정부(32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부적재프레임(200)의 하측을 해당 위치에서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하게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20)과 하부적재프레임(100) 사이에 수평유지수단(600)이 더 구비되며, 수평유지수단(600)은 화물자동차가 경사지거나 평평한 노면에 위치되지 않아 차체프레임(20)이 기울어질 경우, 하부적재프레임(10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평유지수단(600)은 수평센서(610)와 제1위치조절부(620), 제2위치조절부(630) 및 수평제어부(640)로 구성된다.
수평센서(610)는 하부적재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수평상태를 실시간 센싱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1위치조절부(620)는 차체프레임(20)의 전단부와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전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전단부를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위치조절부(630)는 차체프레임(20)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체프레임(20)의 후단부를 승강시키게 된다.
수평제어부(640)는 수평센서(610)의 신호를 수신하여 하부적재프레임(100)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제1위치조절부(620)와 제2위치조절부(630) 중 해당되는 어느 하나를 제어함에 따라 하부적재프레임(100)을 필요에 따라 수평상태로 용이하게 위치 및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자동차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수평제어부(640)는 제1위치조절부(620)를 제어하여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수평이 유지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자동차의 후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수평제어부(640)는 제2위치조절부(630)를 제어하여 차체프레임(20)의 후단부가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수평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수평상태로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수평제어부(640)는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화물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수평센서(610)의 신호를 전송받아 제1위치조절부(620)와 제2위치조절부(630)를 제어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제1위치조절부(620)는 차체프레임(20)의 전단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평제어부(640)에 의해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전단 모서리부를 승강시킴에 따라 하부적재프레임(100)을 수평상태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위치조절부(630)는 차체프레임(20)이 후단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차체프레임(20)을 승강시킴에 따라 하부적재프레임(10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차체프레임(20)의 중앙부에 더 구비되어 하부적재프레임(100)의 중앙부 하측을 지지하도록 위치조절부(미 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중앙에 위치되는 위치조절부에 의해 하부적재프레임(100) 중앙부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공간부(1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설치된 측정수단을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수단(700)이 더 구비되며, 이 리프트수단(700)은 지지프레임(710)과 구동부(720)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710)은 측정수단(30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각 측정공간부(110)의 저면에 구비되고, 구동부(720)는 지지프레임(710)을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부(720)는 각 지지프레임(710)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거나 또는 모든 지지프레임을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작동시킴이 바람직하다.
10 : 적재장치 20 : 차체프레임
100 : 하부적재프레임 110 : 측정공간부
200 : 상부적재프레임 300 : 측정수단
310 : 몸체하우징 320 : 측정부
400 : 제어부 500 : 표시부
600 : 수평유지수단 610 : 수평센서
620 : 위치조절부 630 : 수평제어부
700 : 리프트수단 710 : 지지프레임
720 : 구동부

Claims (12)

  1. 화물자동차의 차체프레임 상측으로 구비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양측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 하부적재프레임;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화물자동차에 적재되는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적재프레임;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및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수단은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설치되며,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측정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연산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대상물의 무게 측정 후,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서 각 측정수단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중량 측정 시,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에 구비되어 수평상태를 센싱하는 수평센서;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단부와 하부적재프레임의 전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위치조절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제2위치조절부; 및
    상기 수평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위치조절부와 제2위치조절부 중 해당되는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수평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화물자동차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수평제어부는 제1위치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수평이 유지되며,
    화물자동차의 후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수평제어부는 제2위치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단부가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수평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화물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센서의 신호를 전송받아 제1위치조절부 또는 제2위치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절부는,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단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평제어부에 의해 하부적재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를 승강시킴에 따라 하부적재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조절부는,
    상기 차체프레임이 후단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차체프레임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공간부는,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너비방향으로 지나는 동일선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공간부는,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다수 개 형성되되, 상기 하부적재프레임의 너비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측정공간부는 그 반대 측에 형성된 인접한 두 개의 측정공간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및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형상 변형량을 신호로 송신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공간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설치된 측정수단을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수단은,
    상기 각 측정공간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수단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는 각 지지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거나 또는 모든 지지프레임을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연산된 대상물의 무게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KR1020120047672A 2012-05-04 2012-05-04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KR10135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72A KR101356249B1 (ko) 2012-05-04 2012-05-04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72A KR101356249B1 (ko) 2012-05-04 2012-05-04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058A true KR20130124058A (ko) 2013-11-13
KR101356249B1 KR101356249B1 (ko) 2014-01-28

Family

ID=4985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672A KR101356249B1 (ko) 2012-05-04 2012-05-04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2721A (en) * 2014-02-14 2014-10-08 Daimler Ag Vehicle with a load measuring system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of a weight of a load disposed in the vehicl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total
KR102011692B1 (ko) * 2018-09-13 2019-08-1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컨테이너 이동식 lng 공급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18B1 (ko) * 2014-12-17 2016-01-20 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수평조절기능과 난방기능을 구비한 캠핑트레일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906Y2 (ja) * 1993-06-30 1998-01-19 勝己 戸谷 重量測定装置付車輌
JP2007314004A (ja) * 2006-05-25 2007-12-06 Hino Motors Ltd 作業車両の姿勢制御装置
KR101099090B1 (ko) * 2011-03-07 2011-12-26 설완석 무게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2721A (en) * 2014-02-14 2014-10-08 Daimler Ag Vehicle with a load measuring system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of a weight of a load disposed in the vehicl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total
KR102011692B1 (ko) * 2018-09-13 2019-08-1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컨테이너 이동식 lng 공급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249B1 (ko)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2229C (en) Weighing system
US10203241B2 (en) Slow speed weigh-in-motion system with flexure
US201400320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stability of a loading crane mounted on a vehicle
KR101356249B1 (ko)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JP2008543642A (ja) 荷役用昇降床
JP2011189909A (ja) 車両のバッテリ交換装置
CN104880325A (zh) 一种重型多轴车重载再现式制动检测试验装置
CN210513376U (zh) 一种物流集装箱货车称重测量装置
KR20130141742A (ko) 화물차 중량측정을 위한 이동식 계근대
JP5882349B2 (ja) 自動車用のベルトユニットおよびベルトユニットを有する風洞天秤
US20230384144A1 (en) Tow weight evaluation system for wreckers
CN110887556A (zh) 大容量称重模块
CN210260442U (zh) 高度调节系统
CN112969658A (zh) 用于具有桅杆的高空作业平台的作业平台的称重系统
KR20120015541A (ko) 자동차 리프팅 장치
KR101562182B1 (ko)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JP2009184375A (ja) 荷役車両
KR100774062B1 (ko) 캠버 각도를 가진 타이어의 접지면 측정장치
CN204758303U (zh) 一种重型多轴车重载再现式制动检测试验装置
JP5361630B2 (ja) 積載量計測装置およびタンク車
KR20100030270A (ko) 과적 및 과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적 및 과속단속시스템
CN216717570U (zh) 一种设有高度调节机构的电子汽车衡
KR20130090291A (ko) 덤프트럭 적재량 측정장치
CN216512432U (zh) 一种集装箱卸箱装置
CN219368897U (zh) 一种高速公路收费站负载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