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161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161A
KR20130123161A KR20120046362A KR20120046362A KR20130123161A KR 20130123161 A KR20130123161 A KR 20130123161A KR 20120046362 A KR20120046362 A KR 20120046362A KR 20120046362 A KR20120046362 A KR 20120046362A KR 20130123161 A KR20130123161 A KR 2013012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hannel gain
estimated channel
outpu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835B1 (ko
Inventor
김현철
변명광
윤유석
조성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835B1/ko
Priority to US13/886,151 priority patent/US9356633B2/en
Publication of KR2013012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2Weighting of fingers for combining, e.g. amplitude control or phase rotation using an inner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입력받아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channel estimator); 상기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channel gain)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weighting)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웨이팅 블록(weighting block); 및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하는 보상부(compensator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PATH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는 다중 경로를 통해 서로 다른 시간에 수신된 신호들을 각 경로 별로 복조하여 시간적 지연을 제거한 후, 각 경로의 신호를 결합하여 복호를 수행한다. 여기서, 다중 경로 신호에 대해 독립적인 복조를 수행하고 결합하는 장치를 일반적으로 레이크 수신기(rake receiver)라고 한다.
종래에 제공되는 일반적인 레이크 수신기는 각 경로별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channel estimator)를 구비하고,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channel gain) 값을 보상하여 최대비 합성(Maximum Ratio Combining)을 하고 있다. 즉, 최대비 합성은 채널 추정기의 출력 값인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없을 경우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이크 수신기에 구비된 채널 추정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 및 입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에 따라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보상기(compensator)에서 채널 이득 값을 보상하기 전에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 값의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웨이트(weight) 적용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채널 추정기의 추정 에러를 고려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웨이트를 채널 추정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널 추정기에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웨이트를 적용하여 수신기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입력받아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channel estimator); 상기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channel gain)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weighting)가 부여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웨이팅 블록(weighting block); 및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하는 보상부(compensator unit)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신호 중 파일럿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채널 추정기 및 상기 웨이팅 블록으로 상기 역확산된 신호를 전달하는 파일럿 역확산기(pilot despreader);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추정하여 상기 웨이팅 블록 및 상기 보상부로 상기 추정된 노이즈 추정값을 전달하는 노이즈 추정기(noise estimator); 및 상기 수신 신호 중 트래픽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보상부로 상기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를 전달하는 트래픽 역확산기(traffic desprea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이팅 블록은,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 및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1 블록;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상기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에러(err)를 반영한 가중치를 출력하는 제1 제산기(divider); 및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가중치를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제1 곱셈기(multipli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제3 블록; 상기 제3 블록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평균을 구하는 제1 평균기(averager); 상기 제1 평균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실수 값만을 출력하는 실수기; 및 상기 실수기에서 출력된 값과 노이즈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기(noise cance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전력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기(power calculator); 상기 전력 계산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평균을 구하여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2 평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중치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블록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하는 제1 공액 복소기(complex conjugator); 및 상기 제1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제2 곱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이즈 제거기는, 상기 노이즈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하는 제3 곱셈기; 및 상기 실수기에서 출력된 값과 상기 제3 곱셈기에서 출력된 값의 마이너스 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값을 더하여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가산기(add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상부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하는 제2 공액 복소기; 상기 제2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값과 노이즈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2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노이즈 추정값으로 나눈 값을 출력하는 제2 제산기; 및 상기 제2 제산기에서 출력된 값과 트래픽 역환산부에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입력받은 값을 곱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을 출력하는 보상기(compens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 경로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채널을 추정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신호 중 파일럿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역확산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추정하여 상기 추정된 노이즈 추정값을 전달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 신호 중 트래픽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 및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과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입력받아 상기 추정된 에러(err)를 반영한 가중치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가중치를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 및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입력받아 평균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평균값을 입력받아 실수 값만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된 실수 값과 상기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전력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된 전력 값을 입력받아 평균을 구하여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중치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된 실수 값과 상기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된 실수 값과 상기 노이즈 추정값에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의 마이너스 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값을 더하여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하는 과정은,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켤레 복소수 값과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출력된 켤레 복소수 값을 상기 노이즈 추정값으로 나눈 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된 켤레 복소수 값을 상기 노이즈 추정값으로 나눈 값과 역환산된 트래픽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입력받은 값을 곱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채널 추정기의 추정 에러를 고려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웨이트를 채널 추정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팅 블록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블록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블록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기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상부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파일럿 역확산기(pilot despreader, 101), 노이즈 추정기(noise estimator, 102), 트래픽 역확산기(traffic despreader, 103), 채널 추정기(channel estimator, 104), 웨이팅 블록(weighting block, 105), 보상부(compensator unit, 106), MRC(Maximum Ratio Combining, 107) 및 곱셈기(multiplier, 1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일럿 역확산기(101)는 수신 신호 중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파일럿 신호를 역확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칩(chip) 단위의 신호 r(m)는 파일럿 역확산기(101)에서 파일럿의 확산 인자(spreading factor)만큼 역확산되어 심볼(simbol) 단위의 신호인
Figure pat00005
가 된다.
노이즈 추정기(102)는 수신 신호 중에 포함된 노이즈를 추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칩 단위의 신호 r(m)는 노이즈 추정기(102)를 거쳐 해당 심볼에서 사용할 노이즈 추정값인
Figure pat00006
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노이즈 추정값이 노이즈 분산인
Figure pat00007
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트래픽 역확산기(103)는 수신 신호 중 트래픽 신호를 역확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칩 단위의 신호 r(m)는 트래픽 역확산기(103)에서 트래픽 데이터의 확산 인자만큼 역환산되여
Figure pat00008
라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트래픽 데이터의 확산 인자와 파일럿의 확산 인자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식 유도의 편의성을 위해 같은 값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여기서,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인
Figure pat00009
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Figure pat00011
는 역확산된 후에 파일럿과 트래픽의 비를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12
는 노이즈 항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노이즈 항인
Figure pat00013
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른 분산을 갖는다.
Figure pat00014
여기서, 간단한 수식 유도를 위해 채널 추정의 입력에 사용되는 역확산된 파일럿의 노이즈도 수학식 2와 같은 분산을 갖도록 스켈링(scaling)되었다고 가정한다.
채널 추정기(104)는 파일럿 역확산기(101)에서 역확산된 심볼 단위의 신호인
Figure pat00015
을 입력받아 채널을 추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널 추정기(104)는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채널을 추정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channel gain) 값인
Figure pat00016
을 출력한다. 여기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인
Figure pat00017
는 아래의 <수학식 3>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pat00018
여기서,
Figure pat00019
는 채널 추정기를 충분히 큰 Tap 수(=2A+1)를 갖는 FIR 필터로 근사화하여 나타낸 행렬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20
는 i번째 패스를 위한 채널 추정기의 입력 신호를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21
은 채널 추정기를 FIR 필터로 근사화 했을 때 l 번째 채널 추정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수학식 3>에 포함된
Figure pat00022
는 아래의 <수학식 4>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pat00023
여기서,
Figure pat00024
는 채널 이득 값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25
는 노이즈 항으로 아래 <수학식 5>과 같은 분산을 갖는다.
Figure pat00026
또한,
Figure pat00027
는 아래의 <수학식 6>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pat00028
여기서,
Figure pat00029
은 채널 추정기를 FIR 필터로 근사화 했을 때 l 번째 채널 추정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웨이팅 블록(105)은 채널 추정(104)기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weighting)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일럿 역확산기(101)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채널 추정기(104)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 즉, 가중치를
Figure pat00030
라고 했을 때,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가중치가 곱해진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웨이팅 블록(105)은 채널 추정기(104)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의 에러를 반영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수신기에 구비된 채널 추정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 및 입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에 따라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웨이팅 블록(105)을 구비하여, 보상부(106)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보상하기 전에 채널 추정기(104)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웨이트(weight)를 적용하는 장점이 있다.
보상부(106)는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이즈 추정기(102)로부터 추정된 노이즈 값, 트래픽 역확산기(103)로부터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 및 웨이팅 블록(105)으로부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한다. 즉, 아래의 <수학식 7>에 따라 결정되는 채널 이득을 보상한 값을 출력한다.
Figure pat00033
여기서,
Figure pat00034
는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35
는 추정된 노이즈 값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36
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37
는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MRC(107)는 복수의 보상부(106)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을 보상한 값을 입력받아 최대비 합성에 의하여 채널 이득을 보상한 값을 모두 더한다.
곱셈기(108)는 MRC(107)에서 최대비 합성에 의하여 출력된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과 트래픽의 비(
Figure pat00038
)를 곱하여 수신기의 최종값을 출력한다. 수신기의 최종값은 아래의 <수학식 8>에 의하여 결정된다.
Figure pat00039
여기서, 여기서,
Figure pat00040
는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41
는 추정된 노이즈 값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42
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43
는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수학식 8>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웨이팅 블록(105)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곱해진 가중치가 수신기의 최종값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신기의 최종값에 가중치가 곱해져 있어, 채널 추정기(104)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에러를 반영하는 장점이 있다.
최종적으로, 상술한 가중치인
Figure pat00044
가 도출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먼저, 상술한 <수학식 1>을 전개하면, 아래의 <수학식 9>과 같이 전개된다.
Figure pat00045
여기서,
Figure pat00046
는 추정된 노이즈 값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47
는 역확산된 후에 파일럿과 트래픽의 비를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48
는 채널 이득 값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49
는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50
는 노이즈 항의 켤레 복소수 값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51
는 노이즈 항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52
는 송신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수학식 9>에서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는 각각 <수학식 10> 및 <수학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수학식 11>의
Figure pat00057
와 같은 형태의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하는
Figure pat00058
는 아래의 <수학식 12>와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59
여기서,
Figure pat00060
는 아래의 <수학식 13>과 같은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61
여기서, 각 패스 별 노이즈는 서로 독립이므로, <수학식 13>은 아래의 <수학식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62
여기서, <수학식 14>는 대각선 성분 이외의 원소들이 모두 0인 diagonal matrix이므로, 역행렬(inverse matrix)는 아래의 <수학식 15>와 같다.
Figure pat00063
또한, 상술한 <수학식 12>의
Figure pat00064
는 아래의 <수학식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65
상술한 <수학식 15>와 <수학식 16>을 <수학식 12>에 대입하여 가중치인
Figure pat00066
를 구하면, 아래의 <수학식 17>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67
여기서,
Figure pat00068
는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분산이므로, 채널 추정기의 입력의 노이즈 분산인
Figure pat00069
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아래의 <수학식 18>과 같이 근사화할 수 있다. 즉,
Figure pat00070
에서 분모에 비하여 분모가 매우 작으로므로,
Figure pat00071
는 0이라는 값에 수렴될 수 있다.
Figure pat00072
<수학식 18>을 구현 가능한 식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1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73
상술한 <수학식 3>과 <수학식 4>를 이용해 <수학식 19>를 채널 추정기의 입력 및 출력의 식으로 변환하면, 아래의 <수학식 2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74
여기서,
Figure pat00075
는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76
는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Figure pat00077
)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
Figure pat00078
)의 곱한 값의 평균을 구한 후, 실수 값만을 취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79
는 노이즈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
Figure pat00080
는 0번째 해당하는 계수를 나타낸 값이고
Figure pat00081
는 노이즈 추정값을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82
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
Figure pat00083
)의 전력을 계산한 후, 그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팅 블록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팅 블록(weighting block, 201)은 제1 블록(202), 제2 블록(203), 제1 제산기(divider, 204), 제1 곱셈기(multiplier, 2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블록(202)은 제3 블록(206), 제1 평균기(averager, 207), 실수기(208), 노이즈 제거기(noise canceller, 2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블록(202)은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202)은 파일럿 역확산기(미도시)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채널 추정기(210)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 및 노이즈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한다. 먼저, 제1 블록(202)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제3 블록(206)은 채널 추정기(210)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파일럿 역확산기(미도시)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한다. 제1 평균기(207)는 제3 블록(206)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값의 평균을 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블록(206)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의 평균을 구한다. 실수기(208)기는 제1 평균기(207)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 노이즈 제거기(209)는 실수기(208)에서 출력된 값과 노이즈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이즈 제거기(209)는 실수기(208)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의 평균에서 실수만을 취한 값에서, 노이즈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제2 블록(203)은 채널 추정기(210)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가중치라 함은 채널 추정기(210)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에러를 보상하기 위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곱하여진 값을 정의될 수 있다. 세부적인 수식은 도 1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수학식 2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제산기(204)는 제1 블록(202)에서 출력된 값과 제2 블록(203)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채널 추정기(210)에서 추정된 에러를 반영한 가중치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202)에서 출력된 값을 제2 블록(203)에서 출력된 값으로 나누어 추정된 에러를 반영한 가중치를 출력한다.
제1 곱셈기(205)는 채널 추정기(210)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제1 제산기(204)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산기(204)에서 출력된 추정된 에러를 반영한 가중치와 채널 추정기(210)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각각의 값을 곱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팅 블록(201)은 채널 추정기(210)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의 에러를 반영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수신기에 구비된 채널 추정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 및 입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웨이팅 블록(201)을 구비하여, 보상부(미도시)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보상하기 전에 채널 추정기(210)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웨이트를 적용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블록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블록(301)은 제1 공액 복소기(complex conjugator, 302) 및 제2 곱셈기(3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블록(301)은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각각의 값의 곱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블록(301)은 채널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파일럿 역확산기(미도시)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의 곱을 출력한다.
제1 공액 복소기(302)는 채널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한다.
제2 곱셈기(303)는 제1 공액 복소기(302)에서 출력된 값과 파일럿 역확산기(미도시)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각각의 곱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공액 복소기(302)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과 파일럿 역확산기(미도시)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의 곱을 출력한다.
이후, 제3 블록(301)에서 출력된 값은 제1 평균기(미도시)에 입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블록(301)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의 곱을 출력하여, 출력된 값을 제1 평균기(미도시)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블록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블록(401)은 전력 계산기(power calculator, 402) 및 제2 평균기(4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블록(401)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블록(401)은 채널 추정기(미도시)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가중치라 함은 채널 추정기(210)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에러를 보상하기 위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곱하여진 값을 정의될 수 있다. 세부적인 수식은 도 1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수학식 2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력 계산기(402)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전력을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계산기(402)는 채널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전력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제2 평균기(403)는 전력 계산기(402)에서 출력된 전력값의 평균값을 구하여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평균기(403)는 전력 계산기(402)에서 출력된 전력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전력값의 평균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즉, 제2 평균기(403)를 통하여 출력된 값은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값이 된다.
이후, 제2 블록(401)에서 출력된 값인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은 제1 제산기(미도시)에 전달되어, 제1 제산기(미도시)에서 가중치가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기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기(noise canceller, 501)는 제3 곱셈기(502) 및 가산기(adder, 5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이즈 제거기(501)는 제1 블록(미도시)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1 블록(미도시)에 포함된 실수기(미도시)에서 출력된 값과 노이즈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즉, 노이즈 제거기(501)는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된 값을 제1 가산기(미도시)에 전달한다.
제3 곱셈기(502)는 노이즈 제거기(501)에 포함된 것으로, 노이즈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한다.
제2 가산기(503)는 실수기(미도시)에서 출력된 값과 제3 곱셈기에서 출력된 값의 마이너스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각각의 값을 더하여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이후, 노이즈 제거기(501)에서 출력된 값은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으로 제1 가산기(미도시)에 전달되어, 제1 가산기(미도시)에서 가중치가 출력된다. 가중치의 세부적인 수식은 도 1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수학식 20>에 따라 결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상부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상부(compensator unit, 601)는 제2 공액 복소기(602), 제2 제산기(603) 및 보상기(compensator, 6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상부(601)는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상부(601)는 웨이팅 블록(미도시)으로부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하여 MRC(미도시)로 전달한다.
제2 공액 복소기(602)는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공액 복소기(602)는 웨이팅 블록(미도시)으로부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를 출력한다.
제2 제산기(603)는 제2 공액 복소기(602)에서 출력된 값과 노이즈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제2 공액 복소기(602)에서 출력된 값을 노이즈 추정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으로 나눈 값을 출력한다.
보상기(604)는 제2 제산기에서 출력된 값과 트래픽 역환산부(미도시)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입력받은 값을 곱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을 출력한다.
즉, 종래에 제공되는 일반적인 수신기는 각 경로별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를 구비하고,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 값을 보상하여 최대비 합성을 하고 있었지만, 최대비 합성은 채널 추정기의 출력 값인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없을 경우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의 수신기에 구비된 채널 추정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 및 입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보상부에서 채널 이득 값을 보상한다고 하더라도 채널 추정기에서 발생된 에러를 보상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채널 추정기에서 발생된 에러를 보상하기 위하여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 값의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웨이트를 적용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정된 채널 이득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곱한 값을 출력한다(701). 먼저, 제1 공액 복소기는 채널 추정기로부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한다. 이후, 제2 곱셈기는 제1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값과 파일럿 역확산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각각 입력받은 값의 곱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곱셈기는 제1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과 파일럿 역확산기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에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의 값의 곱을 출력한다.
이후, 추정된 채널 이득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곱한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702). 즉, 제1 평균기는 제2 곱셈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평균기는 제2 곱셈기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에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의 값의 곱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
채널 이득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곱한 값의 평균을 출력한 후, 출력된 평균값 중 실수 값만을 출력한다(703). 보다 구체적으로, 실수기는 제1 평균기로부터 채널 이득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곱한 값의 평균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평균값 중 실수 값만을 출력한다.
출력된 평균값 중 실수 값만을 출력한 후, 출력된 실수값에서 노이즈 항을 제거한다(704). 즉, 노이즈 제거기는 실수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항을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곱셈기는 노이즈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한다. 이후, 제2 가산기는 실수기에서 출력된 값과 제3 곱셈기에서 출력된 값의 마이너스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각각의 값을 더하여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면, 가중치 분자를 구성하는 과정은 종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제2 블록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블록은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가중치라 함은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에러를 보상하기 위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곱하여진 값을 정의될 수 있다. 세부적인 순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평균 전력을 계산한다(801).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계산기는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전력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평균 전력을 계산한 후, 계산된 평균 전력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802).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평균기는 전력 계산기에서 출력된 전력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전력값의 평균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즉, 제2 평균기를 통하여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이 출력되면,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과정은 종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901). 보다 구체적으로, 채널 추정기는 파일럿 역확산기로부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 그러나, 채널 추정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 및 입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보상기에서 채널 이득 값을 보상하기 전에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 값의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계산한다(902). 먼저, 전력 계산기에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평균 전력을 계산하는데, 전력 계산기는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전력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이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평균 전력을 계산한 후, 계산된 평균 전력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평균기는 전력 계산기에서 출력된 전력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전력값의 평균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즉, 제2 평균기를 통하여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이 출력되면,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과정은 종료된다. 본 순서도에서는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계산한 후, 가중치의 분모를 계산하는 순서로 도시하였지만,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계산한 후, 가중치의 분모를 계산할 수도 있으며, 가중치의 분모와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동시에 계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계산한 후,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계산한다(903). 먼저, 제1 공액 복소기는 채널 추정기로부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한다. 이후, 제2 곱셈기는 제1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값과 파일럿 역확산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각각 입력받은 값의 곱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곱셈기는 제1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과 파일럿 역확산기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에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의 값의 곱을 출력한다. 이후, 추정된 채널 이득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곱한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 즉, 제1 평균기는 제2 곱셈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평균기는 제2 곱셈기에서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에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의 값의 곱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값의 평균을 출력한다. 채널 이득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곱한 값의 평균을 출력한 후, 출력된 평균값 중 실수 값만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수기는 제1 평균기로부터 채널 이득의 켤레 복소수 값에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곱한 값의 평균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평균값 중 실수 값만을 출력한다. 출력된 평균값 중 실수 값만을 출력한 후, 출력된 실수값에서 노이즈 항을 제거한다. 즉, 노이즈 제거기는 실수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항을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곱셈기는 노이즈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한다. 이후, 제2 가산기는 실수기에서 출력된 값과 제3 곱셈기에서 출력된 값의 마이너스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각각의 값을 더하여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면, 가중치 분자를 구성하는 과정은 종료된다.
가중치의 분모와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계산한 후에는 가중치를 계산한다(904).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산기는 노이즈 제거기에서 출력된 가중치를 구성하는 분모를 입력받고 제2 블록에서 출력된 가중치를 구성하는 분자를 입력받아, 노이즈 제거기에서 입력받은 값을 제2 블록에서 입력받은 값으로 나누어 가중치를 계산한다. 종래에 제공되는 수신기는 각 경로별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를 구비하고,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 값을 보상하여 최대비 합성을 하고 있다. 즉, 최대비 합성은 채널 추정기의 출력 값인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없을 경우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신기에 구비된 채널 추정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 및 입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채널 이득 값에 추정 에러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상기에서 채널 이득 값을 보상하기 전에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채널 이득 값의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할 수 있는 가중치를 적용한 것이다.
이후, 가중치가 계산되었으면,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한다(905).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곱셈기에서는 제1 제산기에서 출력된 가중치와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입력받은 값을 곱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은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파일럿 역확산기 102: 노이즈 추정기
103: 트래픽 역확산기 104: 채널 추정기
105: 웨이팅 블록 106: 보상부
107: MRC 108: 곱셈기
201: 웨이팅 블록 202: 제1 블록
203: 제2 블록 204: 제1 가산기
205: 제1 곱셈기 206: 제3 블록
207: 제1 평균기 208: 실수기
209: 노이즈 제거기 210: 채널 추정기
301: 제3 블록 302: 제1 공액 복소기
303: 제2 곱셈기 401: 제2 블록
402: 전력 계산기 403: 제2 평균기
501: 노이즈 제거기 502: 제3 곱셈기
503: 가산기 601: 보상부
602: 제2 공액 복소기 603: 제2 제산기
604: 보상기

Claims (20)

  1.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입력받아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channel estimator);
    상기 채널 추정기에서 출력된 추정된 채널 이득(channel gain)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weighting)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웨이팅 블록(weighting block); 및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하는 보상부(compensator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 중 파일럿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채널 추정기 및 상기 웨이팅 블록으로 상기 역확산된 신호를 전달하는 파일럿 역확산기(pilot despreader);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추정하여 상기 웨이팅 블록 및 상기 보상부로 상기 추정된 노이즈 추정값을 전달하는 노이즈 추정기(noise estimator); 및
    상기 수신 신호 중 트래픽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보상부로 상기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를 전달하는 트래픽 역확산기(traffic despread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팅 블록은,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 및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1 블록;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상기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에러(err)를 반영한 가중치를 출력하는 제1 제산기(divider); 및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가중치를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제1 곱셈기(multipl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제3 블록;
    상기 제3 블록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평균을 구하는 제1 평균기(averager);
    상기 제1 평균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실수 값만을 출력하는 실수기; 및
    상기 실수기에서 출력된 값과 노이즈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기(noise cancel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전력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기(power calculator);
    상기 전력 계산기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평균을 구하여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2 평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Figure pat00084

    여기서,
    Figure pat00085
    는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86
    는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Figure pat00087
    )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
    Figure pat00088
    )의 곱한 값의 평균을 구한 후, 실수 값만을 취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89
    는 노이즈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
    Figure pat00090
    는 0번째 해당하는 계수를 나타낸 값이고
    Figure pat00091
    는 노이즈 추정값을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92
    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
    Figure pat00093
    )의 전력을 계산한 후, 그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블록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하는 제1 공액 복소기(complex conjugator); 및
    상기 제1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제2 곱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기는, 상기 노이즈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하는 제3 곱셈기; 및
    상기 실수기에서 출력된 값과 상기 제3 곱셈기에서 출력된 값의 마이너스 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값을 더하여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가산기(ad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하는 제2 공액 복소기;
    상기 제2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값과 노이즈 추정기에서 출력된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2 공액 복소기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노이즈 추정값으로 나눈 값을 출력하는 제2 제산기; 및
    상기 제2 제산기에서 출력된 값과 트래픽 역환산부에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입력받은 값을 곱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을 출력하는 보상기(compens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Figure pat00094

    여기서,
    Figure pat00095
    는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96
    는 노이즈 추정값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097
    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098
    는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11.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중 경로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채널을 추정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 중 파일럿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역확산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추정하여 상기 추정된 노이즈 추정값을 전달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 신호 중 트래픽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 및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과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입력받아 상기 추정된 에러(err)를 반영한 가중치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가중치를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 및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입력받아 평균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평균값을 입력받아 실수 값만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된 실수 값과 상기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전력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된 전력 값을 입력받아 평균을 구하여 상기 가중치의 분모를 구성하는 값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pat00099

    여기서,
    Figure pat00100
    는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101
    는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
    Figure pat00102
    )와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
    Figure pat00103
    )의 곱한 값의 평균을 구한 후, 실수 값만을 취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104
    는 노이즈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
    Figure pat00105
    는 0번째 해당하는 계수를 나타낸 값이고
    Figure pat00106
    는 노이즈 추정값을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107
    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
    Figure pat00108
    )의 전력을 계산한 후, 그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과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역확산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의 곱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실수 값과 상기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된 실수 값과 상기 노이즈 추정값에 해당 계수를 곱한 값의 마이너스 값을 입력받아 각각의 값을 더하여 상기 가중치의 분자를 구성하는 값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을 보상하는 과정은,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입력받아 켤레 복소수 값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켤레 복소수 값과 노이즈 추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출력된 켤레 복소수 값을 상기 노이즈 추정값으로 나눈 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된 켤레 복소수 값을 상기 노이즈 추정값으로 나눈 값과 역환산된 트래픽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입력받은 값을 곱하여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보상값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pat00109

    여기서,
    Figure pat00110
    는 가중치를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111
    는 노이즈 추정값을 나타낸 것이고,
    Figure pat00112
    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의 켤레 복소수 값을 나타낸 것이며,
    Figure pat00113
    는 역확산된 트래픽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KR1020120046362A 2012-05-02 2012-05-0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82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362A KR101828835B1 (ko) 2012-05-02 2012-05-0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US13/886,151 US9356633B2 (en) 2012-05-02 2013-05-02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path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362A KR101828835B1 (ko) 2012-05-02 2012-05-0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161A true KR20130123161A (ko) 2013-11-12
KR101828835B1 KR101828835B1 (ko) 2018-02-13

Family

ID=4951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362A KR101828835B1 (ko) 2012-05-02 2012-05-0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56633B2 (ko)
KR (1) KR101828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7817B2 (ja) * 2012-03-01 2014-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4643B2 (ja) * 2000-07-14 2004-07-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ャネル推定装置及びチャネル推定方法
US8005128B1 (en) * 2003-09-23 2011-08-23 Rambus Inc. Methods for estimation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signal processing
US7991088B2 (en) * 2005-11-15 2011-08-02 Tommy Guess Itera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using mixed feedback weights and stabilizing step sizes
US8339930B2 (en) * 2005-05-16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Pilot transmission and channel estimation with pilot weighting
US8077816B2 (en) * 2007-09-04 2011-12-1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Fast predictive automatic gain control for dynamic range redu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JP5149111B2 (ja) * 2008-09-09 2013-02-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中継方法
KR20120047449A (ko) * 2010-11-04 2012-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중치를 고려하는 피아이씨 채널 추정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85447B1 (ko) * 2011-02-15 201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옵셋 보상을 고려한 엠엠에스이 채널추정 장치 및 방법
WO2012169948A1 (en) * 2011-06-10 2012-12-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gnal equalization with compensation for scrambling code correlation
US8831530B2 (en) * 2012-04-30 2014-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transmission power estim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56633B2 (en) 2016-05-31
KR101828835B1 (ko) 2018-02-13
US20130294548A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810B2 (en) Delayed combining of frequency-domain equalized wireless channels with large delay-spreads
KR100931903B1 (ko) Mimo/miso 무선장치를 위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등화기 계수 결정
KR100931904B1 (ko) 듀얼 안테나 무선장치를 위한 하나의 주 간섭 제거를 갖는주파수 도메인 등화기
JP437533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無線装置
US7421009B2 (en) Noise power estimation apparatus, noise power estimation method and signal detection apparatus
EP221151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of delay spread compensation
US79333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bining weights for MIMO receivers
US200700546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noise estimation for frequency-domain equalizers
US20060199557A1 (en) MIMO receiver, MIMO recep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85091A (ko) 등화 장치 및 등화 방법
US200700534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fractional-spaced channel estimation for frequency-domain equalizers
EP1605601A1 (en) Interference el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TWI510033B (zh) 用於無線接收器的共同時間/頻率處理
US8351487B1 (en) Equalizer with adaptive noise loading
US20070053416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closed-loop transmit diversity with frequency-domain equalizers
EP1926219B1 (en) Interferenc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EP2454819A1 (en) Convolutional impairment covariance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82883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2077104A (ja) スペクトル拡散受信装置
JP3718403B2 (ja) レイク受信機
CN101573888A (zh) 具有接收分集的通信接收机中的数据均衡
JP2006303691A (ja) Mimo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1092256A1 (en) An equaliser for wireless receivers with normalised coefficients
JP2006054759A (ja) 送信装置、送受信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KR100585757B1 (ko) 사전 적응 필터링 기술을 사용한 하향 링크 성능 개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