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057A -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057A
KR20130123057A KR1020120046178A KR20120046178A KR20130123057A KR 20130123057 A KR20130123057 A KR 20130123057A KR 1020120046178 A KR1020120046178 A KR 1020120046178A KR 20120046178 A KR20120046178 A KR 20120046178A KR 20130123057 A KR20130123057 A KR 20130123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tact switch
electrode
pattern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동
Original Assignee
김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동 filed Critical 김창동
Priority to KR102012004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057A/ko
Publication of KR2013012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조립이 간편하며 접속 불량이 현격히 저하되어 전기 접속률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입구가 좁은 오목한 요부를 갖는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제1 전극 패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를 가지면 서로 이격된 구조로서 상기 제1 전극 패턴의 오목한 요부 내에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요부 외부에 형성된 본체부를 갖는 제2 전극 패턴으로 구성되는 패턴 조립체; 및 상기 제1 전극 패턴의 표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전극 패턴과는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부품 버튼 클릭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제2 전극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메탈 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부재와 메탈 돔 사이에 어떠한 절연물질이 개재되어 있지 않아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택트 스위치의 방수성과 기밀성이 향상되어 이물질에 의한 접촉 불량이나 쇼트를 방지할 수 있어 전자부품 버튼 접속률이 보다 높아지고 실제 수명도 늘어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Tact switch for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며 접속 불량이 현격히 저하되어 전기 접속률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리모콘, 자동차의 전기장치, 이어폰, 도어록, 엠피쓰리(MP3),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는 정보를 입력하고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 입력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키 입력장치는 통신 기기의 경량화, 소형화, 박형화의 추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위에 회로의 접점을 온/오프하는 택트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4693호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및 그의 조립방법"에서는, 회로기판 위에 표면 실장(SMD)이 가능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가 개시되었다. 이 특허에 소개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의 기술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강부재(10, 60)와 필름부재(30, 70), 전극부재(20), 양면 테이프(40), 및 돔형 스위치(50, 이하 '돔 스위치'라 함)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선택적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부재(20)는 상호 대응하는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22)으로 구성되고,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22)의 각 대응 단부에는 전극 단자(21a, 22a)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전극판(21)은 입구가 좁은 오목한 요부(21b)가 형성된 구조이고, 제2 전극판(22)은 상기 요부(21b)에 삽입된 형태로 제공되는 목이 좁은 헤드부(22b)가 돌출된 구조로서, 이들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22)의 결합된 형태는 요부(21b)와 헤드부(22b)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분리된 상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돔 스위치(50)는 전극부재(20)의 상부에 장착되며 누름방식에 의해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22)을 접속시킨다. 돔 스위치(50)의 크기는 돔 스위치(50)가 전극부재(20)의 상부에 올려졌을 때, 돔 스위치(50)의 둘레단이 상기 헤드부(22b)의 외측, 즉 상기 요부(21b)의 외주연을 형성한 제1 전극판(21)의 표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필름부재들(30, 70)은 전기절연재로 구성된 제1 필름지(30)와 제2 필름지(70)로 제공되고, 상기 보강부재들(10, 60)은 제1 보강판(10)과 제2 보강판(60)으로 구분된다.
먼저, 제1 보강판(10)은 택트 스위치의 하부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택트 스위치의 최 하단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제1 보강판(10)은 열압착 방식에 의해 전극부재(20)의 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제1 필름지(30)는 돔 스위치(50)와 전극부재(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돔 스위치(50)와 전극부재(20)의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열압착 방식에 의해 전극부재(20)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지(30)는 그 표면상에 상기 돔 스위치(50)의 둘레단과 제1 전극판(21)이 접촉하도록 중앙에 소정 형상의 통공(31)이 제공되는데, 이 통공(31)은 돔 스위치(50)의 둘레단과 제2 전극판(22)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제2 전극판(22)의 헤드부(22b)의 아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2 필름지(70)는 택트 스위치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돔 스위치(50)의 돔 부분과 그 둘레 부분을 커버하기 위해 제공되며, 열압착 방식에 의해 상기 돔 스위치(50)의 상면과 그 둘레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제2 보강판(60)은 택트 스위치의 상부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돔 스위치(50)와 제2 필름지(70) 사이에 위치하며, 제2 보강판(60)의 중앙에는 상기 돔 스위치(5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통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양면 테이프(40)는 돔 스위치(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필름지(30)와 제2 보강판(6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양면 테이프(40)의 중앙은 상기 돔 스위치(50)가 통과하는 통공(41)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양면 테이프(40)는 저면이 상기 제1 필름지(30)의 상면에 접착되고 상면이 돔 스위치(50)를 통과하여 상기 제2 보강판(60)의 저면에 접착됨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한다.
한편, 양면 테이프(40)와 제2 보강판(60)은 각각 통공(41, 61)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통공은 돔 스위치(5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택트 스위치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돔 스위치(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돔 스위치(5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각 통공(41, 61)의 선단에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하나 이상의 벤트홀(vent hole; 42, 6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벤트홀(42, 62)은 돔 스위치(50)를 눌렀을 때, 상기 돔 스위치(50) 내부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돔 스위치(50)의 원활한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2 보강판(60)은 각 통공(61)의 선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6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63)는 돔 스위치(50)를 눌렀을 때, 상기 돔 스위치(50)의 내부로부터 나오는 공기에 의해 상기 앙면 테이프(40)와 제2 보강판(60)의 각 통공(41, 61)의 선단에서 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조립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극부재(20)의 하부에 제1 보강판(10)을 배치하고, 전극부재(20)의 상부에 제1 필름지(30)를 배치한 상태에서 열압착 방식에 의해 상기 전극부재(20)의 상하부에 제1 필름지(30)와 제1 보강판(10)을 접착시킴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하부를 구성한다.
이어서, 제1 필름지(30)의 상부에 돔 스위치를 장착하고, 그 위로부터 양면 테이프(40)와 제2 보강판(60)을 상기 돔 스위치(5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필름지(30)의 상면에 순서대로 적층시키고, 상기 돔 스위치(50)의 상부에는 제2 필름지(70)를 배치한 상태에서 열압착 방식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상기 양면 테이프(40)가 제1 필름지(30)의 상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보강판(60)이 양면 테이프(40)의 상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2 필름지(70)가 돔 스위치(50)와 상기 제2 보강판(60)의 상면에 각각 접착되어 택트 스위치의 상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술한 조립된 택트 스위치는 돔 스위치(50)의 상면 일부가 제2 필름지(70)의 통공(7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고, 돔 스위치(50)의 둘레단은 제1 전극판(21)과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조립 구조로부터 택트 스위치는 상기 돔 스위치를 누를 경우 돔 스위치(50)의 하부가 제2 전극판(21)의 헤드부(22b)에 접촉되면서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 형태의 전자 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제1 전극판(21)의 오목한 요부(21b)에 제2 전극판(22)의 헤드부(22b)가 삽입된 형태의 전극부재(20)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전극부재(20)의 상부에 올려지는 돔 스위치(50)의 둘레단이 상기 제2 전극판(22)의 헤드부(22b)의 외측, 즉 상기 오목한 요부(21b)를 둘러싸는 제1 전극판(21)의 표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극부재(20)와 돔 스위치(50)의 사이에는 제1 필름지(30)가 끼워져 상기 제1 필름지(3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31)을 통해 상기 돔 스위치(50)의 둘레단 일부와 제1 전극판(21)의 표면이 접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통공(31)의 하부가 제2 전극판(22)의 헤드부(22b)의 아래를 덮어 상기 돔 스위치(50)의 둘레단과 제2 전극판(22)의 접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인 바, 전극부재(20)와 제1 필름지(30)와 돔 스위치(50)를 조립함에 있어 상당히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의 종래 택트 스위치는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22)으로 이루어진 전극부재(20)의 다소 복잡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제1 필름지(30)를 전극부재(20) 상의 부착시키는데 상당한 정밀성이 요구되므로 결국 작업효율이 떨어져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필름지(30)의 부착 위치의 오류로 인해 돔 스위치의 클릭시 접속불량이나 쇼트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4693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2211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7043호 "피씨비 택트 스위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돔 스위치(메탈돔)의 누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며 접속 불량이 현격히 저하되어 전기 접속률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를 보호 필름으로 감싸서 내구성과 방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를 통해 제품의 실제 수명을 늘어나게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입구가 좁은 오목한 요부를 갖는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제1 전극 패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를 가지면 서로 이격된 구조로서 상기 제1 전극 패턴의 오목한 요부 내에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요부 외부에 형성된 본체부를 갖는 제2 전극 패턴으로 구성되는 패턴 조립체; 및 상기 제1 전극 패턴의 표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전극 패턴과는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부품 버튼 클릭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제2 전극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메탈 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턴 조립체의 상부에는 상기 메탈 돔의 장착을 안내하고 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탈 돔을 수용할 수 있게 천공된 소정 직경의 통과공을 갖는 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턴 조립체의 상부에는 상기 메탈 돔의 상부로부터 상부 커버필름이 씌워져 부착되고, 상기 패턴 조립체의 하부에는 하부 커버 필름이 씌워져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필름의 외측으로 상기 메탈 돔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부착되어 클릭률과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패턴의 헤드부와 본체부는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차는 각각 별개의 헤드부 프레임과 본체부 프레임을 별도로 제작한 후에 이를 결합하여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패턴의 헤드부와 본체부는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차는 하나의 전극판을 제작한 후에, 프레스를 사용하여 본체부 부분을 제외한 헤드부 부분을 압착하여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패턴의 헤드부와 본체부는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차는 하나의 전극판을 제작한 후에, 본체부 부분을 제외한 헤드부를 기계적 절삭 또는 화학적 식각에 의하여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부재와 메탈 돔 사이에 어떠한 절연물질이 개재되어 있지 않아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택트 스위치의 방수성과 기밀성이 향상되어 이물질에 의한 접촉 불량이나 쇼트를 방지할 수 있어 전자부품 버튼 접속률이 보다 높아지고 실제 수명도 늘어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 구성들의 위치관계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위치관계 평면도를 A-A'로 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위치관계 평면도를 B-B'로 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갖는 제2 전극판을 형성하는 도면들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택트 스위치는 패턴 조립체(120)와, 이 패턴 조립체(120)의 상부에 올려지는 돔 스위치(120; 이하 '메탈 돔' 이라 함), 상하부 커버필름(110, 170), 및 소정 직경의 통과공(161)을 갖는 돔 가이드(160)를 포함한다.
패턴 조립체(120)는 상호 대응하는 제1 전극판(121)과 제2 전극판(122)으로 구성되고, 제1 전극판(121)과 제2 전극판(122)의 각 대응 단부에는 전극 단자(121a, 122a)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전극판(121)은 입구가 좁은 오목한 요부(121b)가 형성된 구조이고, 제2 전극판(122)은 상기 요부(121b)에 삽입된 형태로 제공되는 목이 좁은 헤드부(122b)가 돌출된 구조로서, 이들 제1 전극판(121)과 제2 전극판(122)의 결합된 형태는 요부(121b)와 헤드부(122b)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분리된 상태로 위치한다. 요부(122b)는 도면에서는 원형이지만 사각형 등 설계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전극판(121)의 요부(121b)에 삽입되는 제2 전극판(122)의 목이 좁은 헤드부(122b)는 상기 제1 전극판(121)에 비하여 그 단차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전극판(122)은 헤드부(122b)와 본체부(122c)로 구성되는데, 헤드부(122b)는 제1 전극판(121)에 비하여 단차가 낮으며 제1 전극판(121)의 요부(121b)에 삽입되며, 본체부(122c)는 상기 요부(121b)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헤드부(122b)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판(121)과 동일한 단차를 갖는다.
돔 스위치(150)는 패턴 조립체(120)의 상부에 장착되며 누름 방식에 의해 제1 전극판(121)과 제2 전극판(122)을 접속시킨다. 돔 스위치(150)의 크기는 돔 스위치(150)가 패턴 조립체(120)의 상부에 올려졌을 때, 돔 스위치(150)의 둘레단이 상기 헤드부(122b)의 외측, 즉 상기 요부(121b)의 외주연을 형성한 제1 전극판(121)의 표면 상에 위치한다.
하부 커버필름(110)은 택트 스위치의 하부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택트 스위치의 최 하단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전극단자(121a, 122a)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 커버필름(110)은 열압착 방식에 의해 패턴 조립체(120)의 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부 커버필름(170)는 택트 스위치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돔 스위치(150)의 돔 부분과 그 둘레 부분을 커버하기 위해 제공되며, 열압착 방식에 의해 상기 돔 스위치(150)의 상면과 그 둘레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상부 커버필름(170)의 중앙 부위에는 통공(17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상부에 위치하는 키패드(미도시)와 스위치의 정확한 접촉을 위하여 돌출부(Projection)를 만들 수 있다. 스위치의 상부에 돌출부를 부가함으로써 전자부품의 버튼키를 클릭하였을 때 메탈 돔의 누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 클릭률과 클릭감이 향상된다.
돔 가이드(160)는 택트 스위치의 상부를 보강하면서 돔 스위치(150)의 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돔 스위치(150)와 상부 커버필름(170) 사이에 위치하며, 돔 가이드(160)의 중앙에는 상기 돔 스위치(15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통공(16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 구성들의 위치관계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위치관계 평면도를 A-A'로 취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위치관계 평면도를 B-B'로 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패턴 조립체(120)의 하부에 하부 커버필름(110) 상에 제1 전극판(121)과 제2 전극판(122)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조립체(120)를 배치한 상태에서 열압착 방식에 의해 상기 패턴 조립체(120)과 하부 커버필름(110)을 접착시킴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하부를 구성한다. 도면과는 다르게, 열압착 방식이 아니라 하부 커버필름(110)과 패턴 조립체(120)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가 개재되어 서로 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부에 돔 스위치(150)를 장착하고, 그 위로부터 돔 가이드(160)를 상기 돔 스위치(150)를 통과하여 상기 패턴 조립체(120)의 상면에 적층시키고, 상기 돔 스위치(150)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필름(170)를 배치한 상태에서 열압착 방식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상기 돔 가이드(160)가 패턴 조립체(120)의 상면에 접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필름(170)이 돔 스위치(150)와 상기 돔 가이드(160)의 상면에 각각 접착되어 택트 스위치의 상부를 구성하게 된다. 도면과는 다르게, 열압착 방식이 아니라 돔 가이드(160)과 패턴 조립체(120)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가 개재되어 서로 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조립된 택트 스위치는 돔 스위치(150)의 상면 일부가 상부 커버필름(170)의 통공(17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고, 돔 스위치(150)의 둘레단은 제1 전극판(121)과 접촉한 상태이지만, 제2 전극판(122)과는 돔 스위치(15)의 둘레단이 위치하는 제1 전극판(121)과의 단차로 인하여 거리 'd' 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2 전극판(122)과 돔 스위치(150)를 절연하기 위한 어떠한 절연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단차(d)에 의하여 절연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전극판(122)이 제1 전극판(121)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본체부(122c)와 제1 전극판(121)의 요홈(121b) 내부에 삽입되는 상대적으로 단차 'd' 만큼 낮은 헤드부(122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아래는 그 예시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갖는 제2 전극판을 형성하는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 별개의 헤드부(222b) 프레임과 본체부(222c) 프레임을 각각 별도를 제작한 후에 이를 결합하여 단차를 갖는 제2 전극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전극판을 제작한 후에, 프레스를 사용하여 본체부(322c) 부분을 제외한 헤드부(322b) 부분을 압착하여 단차를 갖는 제2 전극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전극판을 제작한 후에, 본체부(422c) 부분을 제외한 헤드부(422b)를 기계적 절삭 또는 화학적 식각에 의하여 단차를 갖는 제2 전극판을 형성할 수 있다.
110: 하부 커버필름 115: 개구부
120: 패턴 조립체 121: 제1 전극판
121a: 전극 단자 121b: 요부
122: 제2 전극판 122a: 전극 단자
122b: 헤드부 122c: 본체부
150: 돔 스위치 160: 돔 가이드
161: 통공 170: 상부 커버필름
171: 통공

Claims (7)

  1. 전자 부품용 택트 스위치로서,
    입구가 좁은 오목한 요부를 갖는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제1 전극 패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를 가지면 서로 이격된 구조로서 상기 제1 전극 패턴의 오목한 요부 내에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요부 외부에 형성된 본체부를 갖는 제2 전극 패턴으로 구성되는 패턴 조립체; 및
    상기 제1 전극 패턴의 표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전극 패턴과는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부품 버튼 클릭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제2 전극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메탈 돔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조립체의 상부에는 상기 메탈 돔의 장착을 안내하고 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탈 돔을 수용할 수 있게 천공된 소정 직경의 통과공을 갖는 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조립체의 상부에는 상기 메탈 돔의 상부로부터 상부 커버필름이 씌워져 부착되고, 상기 패턴 조립체의 하부에는 하부 커버 필름이 씌워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필름의 외측으로 상기 메탈 돔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패턴의 헤드부와 본체부는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차는 각각 별개의 헤드부 프레임과 본체부 프레임을 별도로 제작한 후에 이를 결합하여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패턴의 헤드부와 본체부는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차는 하나의 전극판을 제작한 후에, 프레스를 사용하여 본체부 부분을 제외한 헤드부 부분을 압착하여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패턴의 헤드부와 본체부는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차는 하나의 전극판을 제작한 후에, 본체부 부분을 제외한 헤드부를 기계적 절삭 또는 화학적 식각에 의하여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20120046178A 2012-05-02 2012-05-02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20130123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178A KR20130123057A (ko) 2012-05-02 2012-05-02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178A KR20130123057A (ko) 2012-05-02 2012-05-02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057A true KR20130123057A (ko) 2013-11-12

Family

ID=4985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178A KR20130123057A (ko) 2012-05-02 2012-05-02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0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97B1 (ko) * 2014-11-27 2015-05-04 김경희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CN114044094A (zh) * 2021-12-03 2022-02-15 重庆交通大学 一种船舶行业使用的动力设备控制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97B1 (ko) * 2014-11-27 2015-05-04 김경희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WO2016085133A1 (ko) * 2014-11-27 2016-06-02 김경희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CN107112156A (zh) * 2014-11-27 2017-08-29 西诺帕思电子有限公司 电子部件用轻触开关
CN107112156B (zh) * 2014-11-27 2020-05-01 西诺帕思电子有限公司 电子部件用轻触开关
CN114044094A (zh) * 2021-12-03 2022-02-15 重庆交通大学 一种船舶行业使用的动力设备控制装置
CN114044094B (zh) * 2021-12-03 2023-01-03 重庆交通大学 一种船舶行业使用的动力设备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83099U (zh) 按键开关
US7129435B2 (en) Movable contact element and panel switch using the same
US8809709B2 (en) Push switch
JP3158714U (ja) 携帯装置のキーパッドモジュール
JP2013534710A (ja) Pcbタクトスイッチ
JP200329717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04079220A (ja) 横型押しボタンスイッチとその実装方法
KR101112211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20130123057A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JP5722198B2 (ja) 防水用押釦スイッチ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KR100934693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방법
KR10033989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08261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20100006877A (ko) 텍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04085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US7183634B2 (en) Printed circuit board tact switch
KR101307643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86715B1 (ko) 키패드에 돔 스위치가 고정되는 휴대폰용 기판 구조
US6710276B2 (en) Keyswitch for an electronic instrument
KR101199304B1 (ko) 휴대단말기 버튼스위치용 메탈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6275Y1 (ko) 키패드에 돔 스위치가 고정되는 휴대폰용 기판 구조
KR200368751Y1 (ko) 이동통신기기용 돔 스위치 조립체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101112727B1 (ko) 클릭률 또는 클릭감이 향상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KR101426490B1 (ko) 슬림형 푸쉬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