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85B1 -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85B1
KR101204085B1 KR1020110078780A KR20110078780A KR101204085B1 KR 101204085 B1 KR101204085 B1 KR 101204085B1 KR 1020110078780 A KR1020110078780 A KR 1020110078780A KR 20110078780 A KR20110078780 A KR 20110078780A KR 101204085 B1 KR101204085 B1 KR 101204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electrode
electronic component
electrode portion
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길
Original Assignee
권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길 filed Critical 권순길
Priority to KR102011007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통전이 가능한 판 형상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이 일정한 두께의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패턴을 구성하고, 상부 패턴의 상부에는 전자부품 버튼키 클릭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전기적으로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돔 스위치가 구비되되, 상부 패턴은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절연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어 상부 패턴의 중심 부분에서 상기 절연부의 축선이 좌우 양 방향으로 진입,진출을 반복하며 여러 회 굴곡진 꼬불꼬불한 형태의 단부를 갖는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부 패턴의 중앙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응하는 소정 길이를 갖는 본체와 이들 본체 주변에 형성된 원형 또는 곡선의 라운드진 형태의 절연부에 의해 상기 각 본체로부터 원형 또는 곡선 형태로 상호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의 가지라인들을 갖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지고, 하부 패턴은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절연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어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지며, 상부 패턴의 제1,2 전극부와 하부 패턴의 제1,2 전극부, 및 절연 패널에 이들 간에 상호 대응하는 관통홀들이 각각 천공되어 이들 관통홀들을 통해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TACT SWITCH FOR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회로기판 위에 표면실장(SMT)이 가능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부품 버튼키를 눌렀을 때 버튼 접점률이 높고 조립이 간편하며 불량률이 현격히 저하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가벼운 접촉에 의해 회로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로의 개폐 동작이 정확하고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어 현대화된 각종 전자제품 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스위치이다.
최근에 있어서는 소형화 추세의 셀룰러폰과 같은 휴대 통신기기 및 각종 소형화된 노트북, 휴대용 카세트, MP3 등 갈수록 첨단화, 소형화되는 제품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바, 택트 스위치도 중량과 크기가 작고 두께도 얇은 피씨비(PCB)형 택트 스위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회로기판 위에 표면실장(SMT)이 가능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가 국내 특허출원 제2009-0069508호로 출원된 바 있으며, 이 특허출원에 소개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의 기술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의 구성을 나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임의 선택하여 조립한 일 례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로서, 도시된 종래 형태의 택트 스위치는 각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강부재(10)(60)와 필름부재(30)(70), 전극부재(20), 양면 테이프(40) 및 돔 스위치(50)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부재(20)는 상호 대응하는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22)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전극판(21)(22)의 각 대응 단부에는 전극 단자(21a)(22a)가 구비된다. 제1 전극판(21)은 입구가 좁은 오목한 요부(21b)가 형성된 구조이고, 제2 전극판(22)은 상기 요부(21b)에 삽입된 형태로 제공되는 목이 좁은 헤드부(22b)가 돌출된 구조로서, 이들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22)의 결합된 형태는 요부(21b)와 헤드부(22b)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분리된 상태로 단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돔 스위치(50)는 전극부재(20)의 상부에 장착되며 누름방식에 의해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22)을 접속시키는 것으로, 도 1에서 돔 스위치(50)의 크기는 돔 스위치(50)가 전극부재(20)의 상부에 올려졌을 때 그의 둘레단이 상기 헤드부(22b)의 외측, 즉 상기 요부(21b)의 외주연을 형성한 제1 전극판(21)의 표면상에 위치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필름부재들(30)(70)은 전기절연재로 구성된 제1 필름지(30)와 제2 필름지(70)로 제공되고, 상기 보강부재들(10)(60)은 제1 보강판(10)과 제2 보강판(60)으로 구분된다.
제1 필름지(30)는 돔 스위치(50)와 전극부재(20)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표면에 돔 스위치(50)의 둘레단과 제1 전극판(21)이 접촉하도록 중앙에 소정 형상의 통공(31)이 제공되며, 이 통공(31)은 돔 스위치(50)의 둘레단과 제2 전극판(22)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 전극판(22)의 헤드부(22b)의 아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2 필름지(70)는 택트 스위치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돔 스위치(50)의 돔 부분과 그 둘레 부분을 커버하기 위해 제공되며, 열압착 방식에 의해 상기 돔 스위치(50)의 상면과 그 둘레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제1 보강판(10)은 택트 스위치의 하부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택트 스위치의 맨 하단에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2 보강판(60)은 택트 스위치의 상부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돔 스위치(50)와 제2 필름지(70) 사이에 위치하며, 제2 보강판(60)의 중앙은 상기 돔 스위치(5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통공(61)으로 이루어진다.
양면 테이프(40)는 돔 스위치(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필름지(30)와 제2 보강판(6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양면 테이프(40)의 중앙은 상기 돔 스위치(50)가 통과하는 통공(41)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양면 테이프(40)는 저면이 상기 제1 필름지(30)의 상면에 접착되고 상면이 돔 스위치(50)를 통과하여 상기 제2 보강판(60)의 저면에 접착됨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한다.
한편, 양면 테이프(40)와 제2 보강판(60)은 각각 통공(41)(61)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통공은 돔 스위치(5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택트 스위치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돔 스위치(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돔 스위치(5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각 통공(41)(61)의 선단에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하나 이상의 벤트홀(vent hole;42,62)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벤트홀(42)(62)은 돔 스위치(50)를 눌렀을 때 상기 돔 스위치(50) 내부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가 있어 돔 스위치(50)의 원활한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종래 형태의 전자 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제1 전극판(21)의 오목한 요부(21b)에 제2 전극판(22)의 헤드부(22b)가 삽입된 형태의 전극부재(20)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전극부재(20)의 상부에 올려지는 돔 스위치(50)의 둘레단이 상기 제2 전극판(22)의 헤드부(22b)의 외측, 즉 상기 오목한 요부(21b)를 둘러싸는 제1 전극판(21)의 표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극부재(20)와 돔 스위치(50)의 사이에는 제1 필름지(30)가 끼워져 상기 제1 필름지(3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31)을 통해 상기 돔 스위치(50)의 둘레단 일부와 제1 전극판(21)의 표면이 접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통공(31)의 하부가 제2 전극판(22)의 헤드부(22b)의 아래를 덮어 상기 돔 스위치(50)의 둘레단과 제2 전극판(22)의 접촉은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인 바, 전극부재와 제1 필름지와 돔 스위치를 조립함에 있어 상당히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 종래 형태의 택트 스위치는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으로 이루어진 전극부재의 다소 복잡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제1 필름지를 전극부재 상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키는데 상당한 정밀성이 요구되므로 결국 작업 효율이 떨어져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돔 스위치의 부착 위치의 오류로 인해 전자부품 버튼키의 클릭시 접점 불량(통전 불량)이나 쇼트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출된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전자부품의 버튼키를 눌렀을 때 메탈 돔의 누름 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부품 버튼의 접점률 또는 통전률이 향상되어 접점 불량이 현격히 저하되고 안정성이 향상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부품의 버튼키를 눌렀을 때 클릭률 또는 클릭감이 더욱 향상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전이 가능한 판 형상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이 일정한 두께의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패턴을 구성하고, 상부 패턴의 상부에는 전자부품 버튼키 클릭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전기적으로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돔 스위치가 구비되되, 상기 상부 패턴은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절연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어 상부 패턴의 중심 부분에서 상기 절연부의 축선이 좌우 양 방향으로 진입,진출을 반복하며 여러 회 굴곡진 꼬불꼬불한 형태의 대응 단부를 갖는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부 패턴의 중앙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응하는 소정 길이를 갖는 본체와 이들 본체 주변에 형성된 원형 또는 곡선의 라운드진 형태의 절연부에 의해 상기 각 본체로부터 원형 또는 곡선 형태로 상호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의 가지라인들을 갖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패턴은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절연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어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지되, 이들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양 귀퉁이 부분에 각각 전극 단자들이 구비된 구성의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패턴을 구성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그리고 하부 패턴을 구성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 간에 상호 대응되게 천공되어 있고, 절연 패널의 표면에는 상기 제1 전극부들의 관통홀들과 연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제2 전극부들의 관통홀들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천공되어 상기 절연 패널을 중심으로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이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돔 스위치는 이의 볼록한 상부가 상부 패턴의 중앙 부분, 즉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꼬불꼬불한 대응 단부를 커버하되, 절연 필름에 의해 상부 패턴과 전기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부 패턴은 전자부품 버튼 클릭시 돔 스위치 내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도록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주변의 절연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트홀을 구비하고, 돔 스위치는 상부 패턴 상에 장착시 그의 볼록한 상부가 상부 패턴의 중앙 부분, 즉 본체와 다수의 가지라인들을 갖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동시에 커버하되, 상기 돔 스위치의 하부 둘레단이 벤트홀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택트 스위치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돔 스위치의 장착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돔 스위치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홀이 천공된 보강판과, 상부 패턴과 돔 스위치 사이에 단차를 두기 위한 단차 필름과, 상부 패턴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필름과, 하부 패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 필름, 및 상기 돔 스위치의 상부에 부착되는 돌출 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방수성과 기밀성이 향상되어 이물질에 의한 접촉 불량이나 쇼트를 방지할 수 있어 전자부품 버튼 접점률(통전률)이 보다 높아지고 제품의 실제 수명도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전극 패턴과 제2 전극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조립체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각 부품의 조립 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정밀성도 요구하지 않으므로 결국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제품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전자부품의 버튼키를 눌렀을 때 버튼키와 돔 스위치의 접촉성이 향상되어 전자부품 버튼 접점률 또는 통전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돔 스위치의 누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 전자부품 버튼키의 클릭률과 클릭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택트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택트 스위치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조립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조립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에서는 도면 중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하여는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의 구성요소들을 나열하여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통전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판 형상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패턴(100)과, 통전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판 형상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하부 패턴(110)과, 상기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 사이에 위치되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 패널(120), 및 상기 상부 패턴의 상부에 올려지는 돔 스위치(130; 이하 ‘메탈 돔’이라 한다)를 포함한다.
상부 패턴(100)은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절연부(103)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어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로 이루어진다.
하부 패턴(110)은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절연부(113)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어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111)와 제2 전극부(112)로 이루어지며, 제1 전극부(111)와 제2 전극부(112)의 양 귀퉁이 부분에는 각각 전극 단자(111b)(112b)들이 구비된다.
상부 패턴(100)을 구성하는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홀(101a)(102a)이 천공되어 있고, 하부 패턴(110)을 구성하는 제1 전극부(111)와 제2 전극부(112)에도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a)(112a)이 천공되어 있으며, 절연 패널(120)의 표면에는 상기 제1 전극부(101)(111)의 관통홀(101a)(111a)들과 연통하는 관통홀(121) 및 상기 제2 전극부(102)(112)의 관통홀(102a)(112a)들과 연통하는 관통홀(122)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을 결합하면 절연 패널(120)을 중심으로 상부 패턴(100)과 하부 패턴(110)은 제1 전극부(101)(111)들 사이에 관통홀(101a)(121)(111a)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제2 전극부(102)(112)들 사이에 관통홀(102a)(122)(112a)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패턴(110)의 제1 전극부(111)에 구비된 전극 단자(111b)가 양극(+) 전원에 연결되고, 하부 패턴(110)의 제2 전극부(112)에 구비된 전극 단자(112b)가 음극(-) 전원에 연결된 것으로 예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전극부(111)는 양극을 띄게 되고, 제2 전극부(112)는 음극을 띄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부 패턴(10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절연부(103)는,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가 만나는 상부 패턴(100)의 중심 부근에서 상기 절연부(103)의 축선이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에 대하여 진입,진출을 반복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여러 회 굴곡진 꼬불꼬불(zigzag)한 형상을 갖출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패턴(100)의 중앙 부분에서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의 대응 단부가 순차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되어 서로 끼워진 것과 같은 형태를 띄게 된다.
이와 같은 상부 패턴(100)의 구조는, 전자부품 버튼키를 클릭하여 메탈 돔(130)이 아래로 눌러질 때, 상기 메탈 돔(130)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의 접점 수 또는 접속 면적을 증대시켜 전기 접속률을 향상시키므로 택트 스위치의 접속 불량을 낮추는데 큰 효과가 있다.
메탈 돔(130)은 전자부품 버튼 클릭시 탄성적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것으로, 상부 패턴(100) 상에 장착시 그의 볼록한 상부가 상부 패턴(100)의 중앙 부분, 다시 말해 제1 전극부(101)의 일부와 제2 전극부(102)의 일부를 덮고, 하부의 둘레단은 제1 전극부(101)의 관통홀(101a) 외측 표면 및 제2 전극부(102)의 관통홀(102a) 외측 표면에 안착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택트 스위치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상부 패턴(100), 하부 패턴(110) 및 절연 패널(120)의 패턴 조립체와 메탈 돔(130) 외에도 상부 패턴(100)과 메탈 돔(130)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 필름(140)과, 조립 후의 택트 스위치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강판(160), 그리고 택트 스위치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필름(170)과, 택트 스위치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 필름(1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절연 필름(140)은 상부 패턴(100)의 상면에서 메탈 돔(130)에 의한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절연 필름(140)은 메탈 돔(130)의 하단이 상부 패턴(100)의 표면, 즉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택트 스위치의 조립 시 상부 패턴(100)과 메탈 돔(130)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절연 필름(140)은 중앙에 메탈 돔(130)의 볼록한 상부가 통과할 수 있는 소정 직경의 통과공(141)을 가지며, 메탈 돔(130)은 하부의 둘레단이 절연 필름(140)의 통과공(141)의 둘레 표면에 올려진다. 여기서, 절연 필름(140)의 통과공(141)의 직경은 적어도 상부 패턴(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의 꼬불꼬불한 대응 단부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되, 상기 메탈 돔(130)의 하부 둘레단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연 필름(140)의 표면에 올려진 메탈 돔(130)은 외력에 의해 눌러질 때 그의 볼록한 상부가 상기 절연 필름(140)의 통과공(141)을 통과하여 상부 패턴(100)의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를 접속시키게 된다.
한편, 절연 필름(140)은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 간에 쇼트 방지라는 기능 외에도, 메탈 돔(130)과 상부 패턴(100)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전자부품 버튼키의 클릭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메탈 돔(130)과 상부 패턴(100) 간에 마찰을 방지하여 택트 스위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보강판(160)은 택트 스위치의 내충격성을 보강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절연 필름(140)의 상부에 올려지는 것으로, 그 중앙에 상기 메탈 돔(130)의 장착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메탈 돔(130)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 직경의 삽입홀(161)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판(160)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이나 필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 필름(170)과 하부 커버 필름(15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덮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부 커버 필름(170)이 부착된 상부 패턴(100)의 상부로부터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방진효과가 실현되고, 하부 커버 필름(150)이 부착된 하부 패턴(110)의 하부로부터는 복수의 관통홀(111a)(112a)들을 통해 침투되는 수분이나 습기가 차단되어 방수효과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부 커버 필름(150)은 네 귀퉁이가 모따기되어 각각 절취부(151)(152)를 갖는 형태로서, 이러한 절취부(151)(152)들로 인해, 상기 하부 커버 필름(150)이 하부 패턴(110)의 표면에 접착될 때 이후 납땜 리드가 형합되는 제1 전극부(111)의 전극 단자(111b)와 제2 전극부(112)의 전극 단자(112b)를 각각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버 필름(170)과 하부 커버 필름(150), 그리고 절연 필름(140)을 포함하여 상기 보강판(160)도 필름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이러한 필름은 전기절연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PI 필름이나 캡톤 필름(kapton film)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하부 커버 필름(150)의 경우에는 이를 대신해서 하부 패턴(110)상에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패턴(110)의 네 귀퉁이에 각각 형성된 전극 단자(111b)(112b)들의 경우에는 필름을 사용하거나 인쇄 방식에 의해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 패턴(100)과 하부 패턴(110)은 도전체인 금속 또는 비금속의 판상 부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택트 스위치는 메탈 돔(130)의 상부에 위치되는 돌출 보스(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돌출 보스(180)는 전자부품의 버튼키(미도시)와 메탈 돔(130) 간에 접촉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돌출 보스(18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택트 스위치가 조립된 후에는 전자부품의 버튼키를 누를 때 버튼 접속률과 클릭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돌출 보스(180)는 택트 스위치를 조립할 때 상부 커버 필름(17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부 커버 필름(17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돌출 보스(180)가 상부 커버 필름(170)과 메탈 돔(130) 사이에 위치될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메탈 돔(130) 고유의 탄성이 발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자부품의 버튼키를 누르면 메탈 돔(130)의 작동이 여전히 원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양호한 클릭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의 조립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이들 구성요소들의 선택적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조립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의 조립은 상부 패턴(100)과 하부 패턴(110)이 절연 패널(120)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접합된다. 이때, 상부 패턴(100)과 하부 패턴(110)은 제1 전극부(101)(111)들 사이에 관통홀(101a)(121)(111a)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제2 전극부(102)(112)들 사이에 관통홀(102a)(122)(112a)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패턴(100)의 표면 둘레부에 절연 필름(140)이 부착되고, 절연 필름(140)의 상면에는 메탈 돔(130)이 장착된다. 절연 필름(140)의 표면에 장착시, 메탈 돔(130)은 절연 필름(140)의 통과공(141)을 통해 상부 패턴(100)의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의 일부와 이들 전극부(101)(102)의 각각의 관통홀(101a)(102a)을 동시에 커버한다. 또, 전자부품 버튼키의 클릭시, 메탈 돔(40)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그의 볼록한 상부가 절연 필름(140)의 통과공(141)을 통해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에 동시에 접속되고, 이를 통해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한 택트 스위치의 조립 구성에서 보강판(160)과 돌출 보스(180)가 모두 결합된 형태로 소개하고 있지만, 이들 요소들은 조립 후의 택트 스위치의 사용 특성과 용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택트 스위치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 커버 필름(170)과 하부 커버 필름(150)이 씌워져 부착된 상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전자부품의 버튼키를 눌렀을 때 버튼키와 메탈 돔의 접촉성이 향상되어 전자부품 버튼 접점률 또는 통전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전자부품 버튼키의 클릭감과 클릭률도 더욱 좋아질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조립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로 가지며, 이들 구성요소들의 특징 및 결합 관계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다르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패턴(100’)의 외형과 구조적 특징에서 제1 실시예의 상부 패턴(100)과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와 같이 변형된 형태의 상부 패턴(100’)과 일부 구성과의 결합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패턴(100’)은 그 중앙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응하는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가 구비된 구조로 제공된다.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는 상부 패턴(100’)의 표면에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소정 길이를 갖는 본체와 이들 본체 주변에 형성된 원형 또는 곡선의 라운드진 형태의 절연부(103’)에 의해 상기 각 본체로부터 원형 또는 곡선 형태로 연장된 다수의 가지라인들을 갖는 구조로서, 이러한 각각의 가지라인들은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 상에 상호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대응 전극부(101’또는 102’)의 가지라인들 사이에 서로 끼워진 형태로 제공된다.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의 대응 단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홀(101’a)(102’a)이 천공되어 있으며, 절연 패널(120)을 중심으로 상부 패턴(100’)과 하부 패턴(110)을 조립할 경우 제1 전극부(101’)(111) 간에는 관통홀(101’a)(121)(111a)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부(102’)(112)간에는 관통홀(102’a)(122)(112a)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패턴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패턴(100’)의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는 절연부(103’)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된 상태로 하부 패턴(110)의 제1 및 제2 전극부(111)(112)의 전극 단자(111b)(112b)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을 갖게 된다. 예시적으로, 제1 전극부(101’)는 양극(+)을 띄게 되고, 제2 전극부(102’)는 음극(+)을 띌 수 있다.
상부 패턴(100’)은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 주변의 절연부(103’)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트홀(104’)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벤트홀(104’)은 전자부품 버튼 클릭시 메탈 돔(130)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메탈 돔(130)의 원활한 누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택트 스위치의 조립은 상부 패턴(100’)의 표면 둘레부에 메탈 돔(130)을 안착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메탈 돔(130)의 직경 크기는 상부 패턴 표면에 장착했을 때 상부 패턴(100’)의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메탈 돔(130)은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를 커버한 상태로 그의 하부 둘레단이 벤트홀(104’)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 구조로부터 본 발명의 택트 스위치는, 전자부품 버튼키를 클릭했을 때 메탈 돔(130)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그의 볼록한 상부가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에 동시에 접속되고, 이를 통해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벤트홀(104’)을 통해서는 메탈 돔(130)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메탈 돔(130)의 원활한 누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은 상부 패턴(100’)의 구조에 따르면, 전자부품 버튼키를 클릭하여 메탈 돔(130)이 아래로 눌러질 때 상기 메탈 돔(130)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의 접점 수 또는 접속 면적을 증대시켜 전기 접속률을 향상시키므로 택트 스위치의 접속 불량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상부 패턴(100’), 하부 패턴(110) 및 절연 패널(120)의 패턴 조립체와 메탈 돔(130) 외에도 상부 패턴(100’)과 메탈 돔(130) 사이에 단차를 두기 위한 단차 필름(140’)과, 조립 후의 택트 스위치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강판(160), 그리고 택트 스위치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필름(170)과, 택트 스위치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 필름(150), 및 메탈 돔(130)의 상부에 위치되는 돌출 보스(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단차 필름(140’)은 메탈 돔(130)과 상부 패턴(100’)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전자부품 버튼키의 클릭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메탈 돔(130)과 상부 패턴(100’) 간에 마찰을 방지하여 택트 스위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또한, 단차 필름(140’)은 메탈 돔(130)이 전기적으로 무극성 상태인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 외부의 벤트홀(104’) 상에 안착되는 관계로 절연 특성을 갖출 필요가 없으며, 단차 필름(14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과공(141’)은 상부 패턴(100’)의 제1 전극부(101’)와 제2 전극부(102’)를 동시에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판(160)은 그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161)이 메탈 돔(13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커버 필름(150)은 이를 대신해서 하부 패턴(110)상에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단차 필름(140’)의 경우에도 이를 대신해서 상부 패턴(100’)상에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은 조립 구성을 갖는 발명의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는, 전자부품의 버튼키를 눌렀을 때 메탈돔의 작동이 원활하고 버튼키와 메탈 돔의 접촉성도 향상되어 전자부품 버튼 접점률 또는 통전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전자부품의 버튼키의 클릭률 또는 클릭감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100,100’: 상부 패턴
101,101’,111 : 제1 전극부
102,102’,112 : 제2 전극부
103,103’, 113 : 절연부
104’: 벤트홀
110 : 하부 패턴
111b,112b : 전극 단자
101a,101’a,121,111a,102a,102’a,122,112a : 관통홀
120 : 절연 패널
130 : 메탈 돔
140 : 절연 필름
141 : 통과공
140’: 단차 필름
150 : 하부 커버 필름
151,152 : 절취부
160 : 보강판
161 : 삽입홀
170 : 상부 커버 필름
180 : 돌출 보스

Claims (10)

  1. 전자 부품용 택트 스위치로서,
    통전이 가능한 판 형상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이 일정한 두께의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패턴을 구성하고,
    상부 패턴의 상부에는 전자부품 버튼키 클릭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전기적으로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돔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부 패턴은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절연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어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지고,
    하부 패턴은 상기 상부 패턴의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에 대응하는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패턴은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가 만나는 상부 패턴의 중심 부분에서 상기 절연부의 축선이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에 대하여 진입,진출을 반복하여 좌우 방향으로 여러 회 굴곡진 꼬불꼬불한 형상을 갖되,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대응 단부가 순차적으로 돌출되어 서로 끼워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3. 전자 부품용 택트 스위치로서,
    통전이 가능한 판 형상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이 일정한 두께의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패턴을 구성하고,
    상부 패턴의 상부에는 전자부품 버튼키 클릭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전기적으로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돔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부 패턴은 중앙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응하는 소정 길이를 갖는 본체와 이들 본체 주변에 형성된 원형 또는 곡선의 라운드진 형태의 절연부에 의해 상기 각 본체로부터 원형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가지라인들을 각각 가지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지고,
    하부 패턴은 상기 상부 패턴의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에 대응하는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부 패턴은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가지라인들이 각각의 본체로부터 상호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호 대응하는 본체의 가지라인들 사이에 끼워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부 패턴을 구성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그리고 하부 패턴을 구성하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 간에 상호 대응되게 천공되어 있고, 절연 패널의 표면에는 상기 제1 전극부들의 관통홀들과 연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제2 전극부들의 관통홀들과 연통하는 관통홀이 천공되어 상기 절연 패널을 중심으로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이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6. 제 2항에 있어서,
    돔 스위치는 그의 볼록한 상부가 상부 패턴의 중앙 부분, 즉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의 꼬불꼬불한 대응 단부를 커버하되, 절연 필름에 의해 상부 패턴과 전기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부 패턴은 전자부품 버튼 클릭시 돔 스위치 내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도록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주변의 절연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트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8. 제 7항에 있어서,
    돔 스위치는 상부 패턴 상에 장착시 그의 볼록한 상부가 상부 패턴의 중앙 부분, 즉 본체와 다수의 가지라인들을 갖는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를 동시에 커버하되, 상기 돔 스위치의 하부 둘레단이 벤트홀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택트 스위치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돔 스위치의 장착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돔 스위치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홀이 천공된 보강판과,
    상부 패턴과 돔 스위치 사이에 단차를 두기 위한 단차 필름과,
    상부 패턴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필름과,
    하부 패턴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 필름, 및
    상기 돔 스위치의 상부에 부착되는 돌출 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10. 삭제
KR1020110078780A 2011-08-08 2011-08-08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1204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780A KR101204085B1 (ko) 2011-08-08 2011-08-08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780A KR101204085B1 (ko) 2011-08-08 2011-08-08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085B1 true KR101204085B1 (ko) 2012-11-28

Family

ID=4756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780A KR101204085B1 (ko) 2011-08-08 2011-08-08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068B1 (ko) * 2013-05-07 2013-11-11 주식회사 성지테크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16297B1 (ko) * 2014-11-27 2015-05-04 김경희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37Y1 (ko) * 2002-04-30 2002-08-13 이수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0934693B1 (ko) * 2009-07-29 2009-12-31 권순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37Y1 (ko) * 2002-04-30 2002-08-13 이수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0934693B1 (ko) * 2009-07-29 2009-12-31 권순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068B1 (ko) * 2013-05-07 2013-11-11 주식회사 성지테크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16297B1 (ko) * 2014-11-27 2015-05-04 김경희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WO2016085133A1 (ko) * 2014-11-27 2016-06-02 김경희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CN107112156A (zh) * 2014-11-27 2017-08-29 西诺帕思电子有限公司 电子部件用轻触开关
CN107112156B (zh) * 2014-11-27 2020-05-01 西诺帕思电子有限公司 电子部件用轻触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6536B2 (ja) Pcbタクトスイッチ
US7829813B2 (en) Touch sensor switch
US20040033717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US7596312B2 (en) Small-sized camera module in which adhesive does not flow in side electrode
JP200329717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01112211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US20110083946A1 (en) Slide Switch
CN107112156B (zh) 电子部件用轻触开关
KR101204085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0934693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방법
KR20120041065A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US6917000B2 (en) Signal input device
KR101208261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103862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JP200623680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20130123057A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1307643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07043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CN100421197C (zh) 印刷电路板触摸开关
KR101418047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1296835B1 (ko) Pcb 돔스위치 및 pcb 돔스위치 대량 제조방법
WO2011013924A2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 및 제조방법
KR100786715B1 (ko) 키패드에 돔 스위치가 고정되는 휴대폰용 기판 구조
JPH11126541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45164B2 (ja) 押ぼたん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