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002A - 다용도 화분받침 - Google Patents

다용도 화분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002A
KR20130123002A KR1020120046066A KR20120046066A KR20130123002A KR 20130123002 A KR20130123002 A KR 20130123002A KR 1020120046066 A KR1020120046066 A KR 1020120046066A KR 20120046066 A KR20120046066 A KR 20120046066A KR 20130123002 A KR20130123002 A KR 20130123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support
soil
fixing groove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448B1 (ko
Inventor
조영운
조계성
Original Assignee
조영운
조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운, 조계성 filed Critical 조영운
Priority to KR102012004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4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받침 그 자체 또는 화분으로 이용되기도 하는 다용도 화분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캐스터가 마련된 이동받침과 화분을 직접 받치는 안치받침을 별도로 마련하되, 상기 이동받침에 안치받침을 안치하였을 때 안치받침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안치받침에 밀음부재를 직립 결합시킨 후 화분의 바닥면 구멍을 관통시킴으로써, 화분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는 흙받침을 상방으로 밀어서 화분으로부터 흙덩어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화분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분받침(100)에 있어서, 저수 가능한 그릇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11)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3~4개의 직립하는 유동방지리브(112)가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상부면 중앙에 중심 방향으로 낙하되는 흙을 유도하는 경사진 단턱(113)과 상기 단턱(113) 중앙에 하방으로 분갈이용 밀대(114)를 끼워서 직립시키는 고정홈(115)이 마련되고,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3~4개의 이동용 캐스터(116)가 마련되며, 상기 하향 돌출되는 고정홈(115) 부분과 캐스터(116) 사이의 하부면 또는 상기 고정홈(115) 부분과 유동방지리브(112) 사이의 상부면에 상기 밀대(114)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탄발고정체(117)가 마련된 이동받침(110); 상기 이동받침(110)의 유동방지리브(112)에 대응하여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121)이 마련된 다리(122)를 갖으며 화분(V)이 직접 안치되는 면 또는 공간부를 갖는 안치받침(120); 상기 화분(V)의 내측 바닥면에 놓여져 화분(V)에 충진되는 흙이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고정홈(115)에 끼워져 직립하는 밀대(114)에 의해 상방으로 밀리면서 화분(V)의 흙덩이를 들어올리는 흙받이(130); 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캐스터가 마련된 이동받침과 화분을 직접 받치는 안치받침을 별도로 마련하되, 상기 이동받침에 안치받침을 안치하였을 때 안치받침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분과 화분이 안치된 화분받침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며, 일측으로 치우쳐서 무게중심이 어긋나게 안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화분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안치받침에 밀대를 직립 결합시킨 후 화분의 바닥면 구멍을 관통시켜, 화분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는 흙받이를 상방으로 밀어서 화분으로부터 흙덩어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을 잡아서 끌어당기지 않고도 분갈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등 용이하면서도 안정된 분갈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다용도 화분받침{MULTI PURPOSE FLOWERPOT SOUCER}
본 발명은 화분받침 그 자체 또는 화분으로 이용되기도 하는 다용도 화분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캐스터가 마련된 이동받침과 화분을 직접 받치는 안치받침을 별도로 마련하되, 상기 이동받침에 안치받침을 안치하였을 때 안치받침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안치받침에 밀음부재를 직립 결합시킨 후 화분의 바닥면 구멍을 관통시킴으로써, 화분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는 흙받침을 상방으로 밀어서 화분으로부터 흙덩어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화분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화초ㆍ꽃 등과 같은 식물을 좁은 공간에서 재배하기 위해 흙을 일정 형상과 모양으로 빚어서 구워 만든 그릇이다.
이러한 화분 중에서 물을 자주 요구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그리고 물의 공급시기를 놓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물을 주고 있는데 이는 극히 번거롭고 특히, 상기한 수경재배의 경우 물의 지속적인 공급을 게을리하면 발육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주의를 요하고 있다.
이러한 화분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써, 본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국내특허등록출원10-2008-32444호(다용도 화분 ; 출원일 2008.04.05.자)가 있다.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 고안은 화분 받침대를 개량하여 화분 받침대로서의 기능과 함께 급수기능을 함께 구비한 것으로, 급수기능에 있어서 급수조절 기능과 물의 지속적인 공급수단을 겸한 것이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단턱진 통공(11a)이 형성된 상판(11); 상기 상판(11)의 외경 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중 하방으로 돌출된 주연부분에 물유입홈1(12a)이 형성된 상부환턱(12); 상기 상판(11)의 하부면 중 상부환턱(12) 하단부분과 통공(11a) 사이에 하향 돌출 형성되고, 그 하단 주연부분에 물유입홈2(13a)가 형성된 하부환턱(13); 판체 형상으로 되면서 중앙에 끼움구멍(14a)이 형성되고, 외곽부분에 연통홈(14b)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받침편(14c)이 마련되어, 상기 상판(11)의 통공(11a) 상부면 단턱(11b) 또는 화분(1)의 바닥면 중앙구멍(2) 중 어느 한 부분에 안착되는 차단부재(14); 일측 단은 상기 차단부재(14)의 끼움구멍(14a)에 엇걸어 끼워지고, 타측 단은 하방으로 늘어져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원인의 선출원 특허 및 이와 관련된 종래 화분 받침대는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받침대가 요구되며, 이러한 별도의 받침대에 화분이 안치된 화분받침대를 안치시킬 경우,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유동하여 전체적인 모양이 불규칙하며 불안전해 보일 뿐 아니라,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칠 경우 화분이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화분의 경우, 분갈이를 위해 흙을 화분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식물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화분으로부터 흙덩어리(화분 내에서 흙이 오래되면, 딱딱하게 굳어져서 덩어리 형태를 취함)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식물의 가지를 잡고 들어올려야 하므로 식물에 상해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화분받침대는 화초나 수경재배의 경우 햇볕이 드는 쪽으로 화분을 이동 또는 방향 전환하여야 하는데, 화분이 무거운 경우 자주 옮기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화분받침대의 다른 예를 살펴보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20135호(환경미화용 분리형 수경화분 ; 출원일 2006.04.11.자)를 들 수 있다.
이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와, 받침부 상에 올려지는 식재분으로 구성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협 하광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조립공이 형성되고, 상부 조립공으로 부터 일정 깊이로 수조가 형성되며, 상기 식재분은 조립공에 내접되어 탑재되도록 조립 바닥부가 돌출 형성되고, 여기에 슬릿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조립바닥부에서 상측으로 확장되는 공간에 흙이 채워지고 조경식물이 식재되도록 반구형으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재분의 조립 바닥부에 형성된 슬릿홀에 끼워져 흡수된 물을 저면 관수시키는 삼투압심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타인의 선행기술의 경우 역시, 분갈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다른 화분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사용의 폭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타인의 선행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초나 수경재배의 경우 햇볕이 드는 쪽으로 화분을 이동 또는 방향 전환하여야 하는데, 화분이 무거운 경우 자주 옮기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화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캐스터가 마련된 이동받침과 화분을 직접 받치는 안치받침을 별도로 마련하되, 상기 이동받침에 안치받침을 안치하였을 때, 안치받침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안치받침에 밀음부재를 직립 결합시킨 후 화분의 바닥면 구멍을 관통시킴으로써, 화분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는 흙받침을 상방으로 밀어서 화분으로부터 흙덩어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화분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화분받침(100)에 있어서, 저수 가능한 그릇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11)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3~4개의 직립하는 유동방지리브(112)가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상부면 중앙에 중심 방향으로 낙하되는 흙을 유도하는 경사진 단턱(113)과 상기 단턱(113) 중앙에 하방으로 분갈이용 밀대(114)를 끼워서 직립시키는 고정홈(115)이 마련되고,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3~4개의 이동용 캐스터(116)가 마련되며, 상기 하향 돌출되는 고정홈(115) 부분과 캐스터(116) 사이의 하부면 또는 상기 고정홈(115) 부분과 유동방지리브(112) 사이의 상부면에 상기 밀대(114)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탄발고정체(117)가 마련된 이동받침(110); 상기 이동받침(110)의 유동방지리브(112)에대응하여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121)이 마련된 다리(122)를 갖으며 화분(V)이 직접 안치되는 면 또는 공간부를 갖는 안치받침(120); 상기 화분(V)의 내측 바닥면에 놓여져 화분(V)에 충진되는 흙이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고정홈(115)에 끼워져 직립하는 밀대(114)에 의해 상방으로 밀리면서 화분(V)의 흙덩이를 들어올리는 흙받이(130); 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화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캐스터가 마련된 이동받침과 화분을 직접 받치는 안치받침을 별도로 마련하되, 상기 이동받침에 안치받침을 안치하였을 때 안치받침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분과 화분이 안치된 화분받침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며, 일측으로 치우쳐서 무게중심이 어긋나게 안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화분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안치받침에 밀대를 직립 결합시킨 후 화분의 바닥면 구멍을 관통시켜, 화분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는 흙받이를 상방으로 밀어서 화분으로부터 흙덩어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을 잡아서 끌어당기지 않고도 분갈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등 용이하면서도 안정된 분갈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화분받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화분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화분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화분 받침 상태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분갈이 시 사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안치받침이 화분 자체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받침(100)에 있어서, 저수 가능한 그릇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11)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3~4개의 직립하는 유동방지리브(112)가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상부면 중앙에 중심 방향으로 낙하되는 흙을 유도하는 경사진 단턱(113)과 상기 단턱(113) 중앙에 하방으로 분갈이용 밀대(114)를 끼워서 직립시키는 고정홈(115)이 마련되고,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3~4개의 이동용 캐스터(116)가 마련되며, 상기 하향 돌출되는 고정홈(115) 부분과 캐스터(116) 사이의 하부면 또는 상기 고정홈(115) 부분과 유동방지리브(112) 사이의 상부면에 상기 밀대(114)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탄발고정체(117)가 마련된 이동받침(110); 상기 이동받침(110)의 유동방지리브(112)에 대응하여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121)이 마련된 다리(122)를 갖으며 화분(V)이 직접 안치되는 면 또는 공간부를 갖는 안치받침(120); 상기 화분(V)의 내측 바닥면에 놓여져 화분(V)에 충진되는 흙이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고정홈(115)에 끼워져 직립하는 밀대(114)에 의해 상방으로 밀리면서 화분(V)의 흙덩이를 들어올리는 흙받이(130); 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이동받침(110)을 구성하는 본체(111)는 물이 수용되는 원형(타원포함) 또는 사각 또는 그 밖의 다각형 또는 불규칙 곡선을 띤 그릇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미감을 연출하는 꽃잎과 같은 장식체가 외곽 테두리 또는 외부면을 따라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 원형의 본체를 적용하여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받침(110)을 구성하는 유동방지리브(112)는 본체(111)의 내주면으로 부터 중앙의 고정홈(115) 방향으로 직립한 상태로 등간격을 두고 연장 마련되는 돌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 유동방지리브(112)의 개수를 4개로 적용하여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리브(112)는 본체(111)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유동방지리브(112)의 상부면에는 상기 안치받침(120)의 슬릿(121)의 상부면이 놓여지는 홈(112a)이 간격을 두고 요철형태로 마련되어, 안치받침(120)이 이동받침(110)에 대해 전후좌우 사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치받침(120)이 이동받침(110)의 정 중앙에 안치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받침(110)을 구성하는 단턱(113)은 중심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서 화분(V)으로부터 낙하되는 흙을 고정홈(115) 내측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일 수도 있고 평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 경사진 단턱(113)을 적용하여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받침(110)을 구성하는 밀대(114)는 일측 단은 밀폐되고 타측 단은 개방된 파이프 또는 양단 모두가 개방된 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밀대(114)를 실시예로 적용하여 도시하고 설명하나, 그 밖의 어떠한 형상의 밀대(114)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받침(110)을 구성하는 고정홈(115)은 단턱(113) 중앙에서 하향 연장된 공간부로서, 밀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면서 밀대(114)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받침(110)을 구성하는 캐스터(116)는 통상의 이동용 바퀴가 브래킷에 축설되고, 상기 브래킷이 본체(111)의 하부면에 나사고정 또는 인서트 사출에 의한 고정을 통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받침(110)을 구성하는 탄발고정체(117)는 밀대(114)의 외부면을 감싸는 돌편으로서, 끼워넣을 때 벌어지고 끼워진 상태에서 오므라들면서 탄발적으로 밀대(11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발고정체(117)는 1개 또는 간격을 두고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안치받침(120)은 접시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면에 다리(122)가 3~4개가 수직으로 마련되며, 상기 다리(122)의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절결된 슬릿(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121)의 폭은 유동방지리브(112)의 두께와 동일하여 타이트하게 끼워져(밀착되게 끼워짐), 안치받침(120)이 이동받침(110)에 대해 전후좌우 사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상기 슬릿(121)의 폭이 유동방지리브(112)의 두께보다 작아 안치받침(120)을 들어올릴 때 용이한 이탈을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슬릿(121)의 폭이 유동방지리브(112)의 두께보다 작은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리브(112)의 상부면에는 상기 안치받침(120)의 슬릿(121)의 상부면이 놓여지는 홈이 간격을 두고 요철형태로 마련되어, 안치받침(120)이 이동받침(110)에 대해 전후좌우 사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치받침(120)이 이동받침(110)의 정 중앙에 안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치받침(120)의 중앙 부분은 화분(V)에서 낙하되는 흙이 이동받침(110)으로 적하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공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흙받이(130)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판체로서, 이동받치(11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V)의 흙으로 유도하는 부직포 또는 천 또는 그 밖의 흡습체로 이루어진 급수부재(140)가 마련되어, 상기 이동받침(110)으로 늘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이동받침(110)에 물을 수용하고, 그 상부면에 안치받침(120)을 안치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받침(110)의 유동방지리브(112) 상부에 안치받침(120)의 다리(122)에 마련된 슬릿(121)이 끼워지면서 안치된다.
그리되면, 상기 안치받침(120)은 수평방향으로의 회전 유동이 방지될 뿐 아니라, 안치받침(120)의 슬릿(121)의 간격이 이동받침(110)의 유동방지리브(112)의 두께와 동일한 경우, 타이트하게 끼워져 전후좌우 사방으로의 움직임 또한 제한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분(V)이 안치받침(120) 상부면에 안치되면, 상기 흙받침(130)에 실시예적으로 마련된 급수부재(140)가 이동받침(11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V) 내의 흙으로 유도하여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가운데, 분갈이가 요구될 경우,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이 안치된 안치받침(120)을 이동받침(110)으로 부터 들어올려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받침(110)의 하부면에 마련된 탄발고정체(117)로부터 밀대(114)를 탈리시켜, 이동받침(110)의 고정홈(115)에 끼워서 직립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분(V)을 밀대(114) 상부에 위치시킨 후 하강시키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114)가 화분(V)의 하부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관통하여 흙받이(140)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그리되면, 흙받이(140)에 의해 받쳐진 흙덩어리가 화분(V)으로부터 탈리되면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용이하게 분갈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치받침(120)의 깊이를 깊게 할 경우,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체가 화분 대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화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캐스터가 마련된 이동받침과 화분을 직접 받치는 안치받침을 별도로 마련하되, 상기 이동받침에 안치받침을 안치하였을 때 안치받침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분과 화분이 안치된 화분받침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며, 일측으로 치우쳐서 무게중심이 어긋나게 안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화분을 받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치받침에 밀대를 직립 결합시킨 후 화분의 바닥면 구멍(배수공)을 관통시켜, 화분 내측 바닥면에 마련되는 흙받이를 상방으로 밀어서 화분으로부터 흙덩어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을 잡아서 끌어당기지 않고도 분갈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등 용이하면서도 안정된 분갈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화분받침 110 : 이동받침
111 : 본체 112 : 유동방지리브
112a : 홈 113 : 단턱
114 : 밀대 115 : 고정홈
116 : 캐스터 117 : 탄발고정체
120 : 안치받침 121 : 슬릿
122 : 다리 130 : 흙받이
140 : 급수부재 V : 화분

Claims (1)

  1. 화분받침(100)에 있어서, 저수 가능한 그릇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11)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3~4개의 직립하는 유동방지리브(112)가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상부면 중앙에 중심 방향으로 낙하되는 흙을 유도하는 경사진 단턱(113)과 상기 단턱(113) 중앙에 하방으로 분갈이용 밀대(114)를 끼워서 직립시키는 고정홈(115)이 마련되고,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3~4개의 이동용 캐스터(116)가 마련되며, 상기 하향 돌출되는 고정홈(115) 부분과 캐스터(116) 사이의 하부면 또는 상기 고정홈(115) 부분과 유동방지리브(112) 사이의 상부면에 상기 밀대(114)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탄발고정체(117)가 마련된 이동받침(110); 상기 이동받침(110)의 유동방지리브(112)에 대응하여 끼워져 고정되는 슬릿(121)이 마련된 다리(122)를 갖으며 화분(V)이 직접 안치되는 면 또는 공간부를 갖는 안치받침(120); 상기 화분(V)의 내측 바닥면에 놓여져 화분(V)에 충진되는 흙이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고정홈(115)에 끼워져 직립하는 밀대(114)에 의해 상방으로 밀리면서 화분(V)의 흙덩이를 들어올리는 흙받이(130); 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화분받침.
KR1020120046066A 2012-05-02 2012-05-02 다용도 화분받침 KR10136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066A KR101361448B1 (ko) 2012-05-02 2012-05-02 다용도 화분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066A KR101361448B1 (ko) 2012-05-02 2012-05-02 다용도 화분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002A true KR20130123002A (ko) 2013-11-12
KR101361448B1 KR101361448B1 (ko) 2014-02-12

Family

ID=4985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066A KR101361448B1 (ko) 2012-05-02 2012-05-02 다용도 화분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4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61A1 (ko) * 2017-11-03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KR20200053456A (ko) * 2020-05-08 2020-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KR20220000297U (ko) 2020-07-24 2022-02-04 김영진 화분받침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091B1 (ko) 2018-02-28 2018-09-2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대한민국플라워마켓 조립이 편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620U (ko) * 1997-12-31 1999-07-26 염상호 화분 받침대구조
KR200217108Y1 (ko) * 2000-10-16 2001-03-15 성태수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JP3742327B2 (ja) * 2001-10-29 2006-02-01 株式会社後藤横浜事務所 植木鉢ケース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61A1 (ko) * 2017-11-03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CN111970919A (zh) * 2017-11-03 2020-11-20 大韩民国(农村振兴厅长) 花盆接水托盘
JP2021503298A (ja) * 2017-11-03 2021-02-12 リパブリック オブ コリア(マネージメント:ルーラル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アドミニストレーション) 鉢水受け皿
US11490574B2 (en) 2017-11-03 2022-11-08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 water receiver
KR20200053456A (ko) * 2020-05-08 2020-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KR20220000297U (ko) 2020-07-24 2022-02-04 김영진 화분받침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448B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448B1 (ko) 다용도 화분받침
KR20120059783A (ko)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KR200470506Y1 (ko) 구멍 없는 화분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US20150366144A1 (en) Adjustable Planter Disk
KR200465181Y1 (ko) 화분 겸용 테이블
KR200424597Y1 (ko) 채소재배를 위한 화분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101193733B1 (ko) 다용도 화분
KR102252397B1 (ko) 화분유닛
KR101914112B1 (ko) 화분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KR200454293Y1 (ko) 화분 물공급구
KR100840963B1 (ko) 병용 가능한 꽃꽂이용 이단화분
KR100591289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200090361A (ko) 자가 정화 및 관수기능을 갖는 화분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JP3164842U (ja) 自動給水付き植木鉢カバー
KR20090107116A (ko) 다용도 화분
CN107624422A (zh) 可蓄水的花盆结构
KR20120055025A (ko) 텃밭용 화분
KR200411877Y1 (ko) 다목적 분리식 화분
KR20150056018A (ko) 화분받침
KR200360370Y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0375488Y1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