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958A - 망막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망막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958A
KR20130122958A KR20137017036A KR20137017036A KR20130122958A KR 20130122958 A KR20130122958 A KR 20130122958A KR 20137017036 A KR20137017036 A KR 20137017036A KR 20137017036 A KR20137017036 A KR 20137017036A KR 20130122958 A KR20130122958 A KR 2013012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nal
disease
blue light
retina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1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오티르모이 엑스. 쿠사리
쉴라 엑스. 조우
밍팅 티엔
에드윈 유. 패딜로
산드히야 에스. 라오
다니엘 더블유. 길
래리 에이. 휠러
Original Assignee
알러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러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러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61K31/55131,4-Benzodiazepines, e.g. diazepam or cloza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올란자핀, 이의 일정한 대사산물, 클로자핀, 그리고 n-데스메틸 클로자핀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이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막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망막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OF THE RETINA}
발명자: Jyotirmoy Kusari, Sheila X. Zhou, Mingting Tian, Edwin Padillo, Sandhya Rao, Daniel W. Gil, 그리고 Larry A. Wheeler
관련된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0년 12월 3일자 제출된 U.S. 특허가출원 번호 61/419,660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것은 본 발명에 전체로서 참고문헌으로 편입된다.
망막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본원에서는 클로자핀, n-데스메틸 클로자핀, 올란자핀, 올란자핀의 일정한 대사산물 및 하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다른 화합물을 이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함으로써, 망막에 영향을 주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되는 망막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병든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
Figure pct00002
,
Figure pct00003
,
Figure pct00004
, 그리고
Figure pct00005
; 또는 이들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가 요망되는 망막 질환은 습성과 건성 연령 관련된 황반 변성, 색소성 망막염, 스타르가르트병, 추체 이영양증 및 망막 색소 상피의 패턴 이영양증, 황반 부종, 망막 박리, 망막 외상, 망막 종양 및 상기 종양과 연관된 망막 질환, 망막 색소 상피의 선천적 비대, 급성 후부 다발성 판상 색소 상피증, 그리고 급성 망막 색소 상피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망막 질환은 습성과 건성 연령 관련된 황반 변성, 색소성 망막염, 스타르가르트병, 추체 이영양증 및 망막 색소 상피의 패턴 이영양증, 망막 색소 상피의 선천적 비대, 급성 후부 다발성 판상 색소 상피증, 그리고 급성 망막 색소 상피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되는 화합물은 경구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되는 화합물은 눈 내로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되는 화합물은 눈에 국소 투여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에서는 올란자핀이 망막 색소 상피 (RPE) 세포를 산화 스트레스 (tBH) 유도된 아폽토시스 (A)로부터 용량 반응성 방식으로 유의미하게 보호하고 & RPE 세포로부터 폴리 I:C 유도된 IL-8 분비 (B)를 저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차 바, SEM
도 2에서는 올란자핀, 이의 대사산물, 그리고 클로자핀이 RPE를 tBH 유도된 세포 사멸로부터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차 바, SEM
도 3에서는 올란자핀이 청색광 노출된 쥐의 상망막 두께를 유의미하게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약물 치료는 청색광 노출 2일 전에 시작되었다. 동물은 3일 동안 하루 1회 올란자핀 IP 주사가 제공되고, 그리고 마지막 투약은 청색광 노출 1시간 전이었다. 쥐는 ~6-7 k의 럭스 강도 (lux intensity)를 갖는 청색광에 4시간 동안 노출되기에 앞서, 24시간 동안 암순응되었다. 청색광 노출 직후에, 쥐는 정상적인 실내조명 (12-시간 명/12-시간 암)으로 복귀하기에 앞서, 추가로 3일 동안 다시 한 번 암순응되었다. 청색광 노출 후 7-10일 시점에 청색광에 의해 유발된 망막 두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광간섭 단층 촬영장치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가 이용되었다. 오차 바, SEM. OS = 왼쪽 눈, OD = 오른쪽 눈.
도 4에서는 올란자핀이 청색광 노출된 쥐의 망막 a-와 b-파를 유의미하게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약물 치료 및 암순응 (dark adaptation)은 도 3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하였다. 청색광 노출 후 7-10일 시점에 망전도 (electroretinogram)가 기록되었다. 오차 바, SEM. BL = 청색광.
도 5에서는 올란자핀이 청색광 노출된 쥐의 외핵층 (outer nuclear layer)을 유의미하게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약물 치료 및 암순응은 도 3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하였다. H&E 염색은 청색광 노출 후 2-3주 시점에 수행되었다. B-L = 청색광. ONH = 시신경 두부 (optic nerve head).
도 6에서는 올란자핀이 청색광 노출에 의해 유발된 망막 시홍소 상실을 유의미하게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약물 치료 및 암순응은 도 3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연구는 청색광 노출 후 2-3주 시점에 수행되었다. B-L = 청색광. ONH = 시신경 두부.
도 7에서는 올란자핀이 RPE65 상실을 유의미하게 보호하고 GFAP 상향 조절을 부분적으로 저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약물 치료 및 암순응은 도 3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연구는 청색광 노출 후 2-3주 시점에 수행되었다. B-L = 청색광. ONH = 시신경 두부.
도 8에서는 올란자핀의 유리체내 전달이 청색광 노출된 쥐의 ERG 변경을 유의미하게 예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리체내 주사 (IVT)를 위하여, 동물은 청색광 노출 1시간 전에 올란자핀이 제공되었다. 물이 IVT 주사 동안 병렬 대조 비히클로서 이용되었다. 쥐는 ~6-7 k의 럭스 강도 (lux intensity)를 갖는 청색광에 4시간 동안 노출되기에 앞서, 24시간 동안 암순응되었다. 청색광 노출 직후에, 쥐는 정상적인 실내조명 (12-시간 명/12-시간 암)으로 복귀하기에 앞서, 추가로 3일 동안 다시 한 번 암순응되었다. CTRL = 무경험 대조, Veh = 물, 0.04, 0.2, 또는 1 ug의 올란자핀/눈. 왼쪽 패널 = 각 눈으로부터 데이터의 산포도, 그리고 오른쪽 패널 = 평균 결과의 막대 도표. 망전도는 청색광 노출 후 7-10일 시점에 기록되었다. 오차 바, SEM.
도 9에서는 올란자핀의 국소 안구 투약이 청색광 노출된 SD 쥐의 망막 a-와 b-파 신호를 유의미하게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소 투여를 위하여, 상기 약물은 청색광 노출 24시간 (BID)과 1시간 (QI) 전에 제공되었다. 물은 국소 투여 동안 병렬 대조 비히클로서 이용되었다. 쥐는 ~6-7 k의 럭스 강도 (lux intensity)를 갖는 청색광에 4시간 동안 노출되기에 앞서, 24시간 동안 암순응되었다. 청색광 노출 직후에, 쥐는 정상적인 실내조명 (12-시간 명/12-시간 암)으로 복귀하기에 앞서, 추가로 3일 동안 다시 한 번 암순응되었다. 망전도는 청색광 노출 후 7-10일 시점에 기록되었다. 오차 바, SEM.
도 10에서는 올란자핀이 산소과다 유도된 망막 신혈관형성을 유의미하게 약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 배 새끼의 신생 생쥐와 그들의 어미는 P7에서부터 P12까지 75% 산소 챔버 내에 배치되었다. 상기 챔버는 5일 동안 충분한 사료와 물을 포함하고, 그리고 이들 동물에게 약물 투여를 허용하기 위해서만 개방되었다. 이들 생쥐는 P12에서 정상적인 산소 함량을 갖는 실내 공기에 복귀하였다. 물에서 올란자핀 또는 VEH (물)가 P10에서 시작하고 P16까지 지속되는 위관영양 (gavage)에 의해 하루 1회 투여되었다. 망막 신혈관형성은 실내 공기에 이들 동물의 5일간 노출 후 P17에서 평가되었다. 오차 바, SEM.
도 11에서는 올란자핀이 쥐에서 레이저 유도된 맥락막 신혈관형성을 유의미하게 저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차 바, SEM.
발명의 상세한 설명
망막의 질환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망막의 질환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망막의 질환"은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되는, 망막 또는 이를 둘러싸는 조직의 임의의 질환을 의미한다. 이들에는 황반 변성, 당뇨병성 망막증, 맥락막 신생혈관 막, 황반 부종 (일명, 낭포성 황반 부종 및 황반 팽창), 망막전막 (황반 주름), 황반 홀, 색소성 망막염, 황반 이영양증 (가령, 스타르가르트 연소성 황반 변성, Best 난환형 이영양증, 추체 이영양증, 그리고 망막 색소 상피의 패턴 이영양증), 망막 박리, 망막 외상, 망막 종양 및 이들과 연관된 망막 질환, 망막 색소 상피의 선천적 비대, 급성 후부 다발성 판상 색소 상피증, 그리고 급성 망막 색소 상피염이 포함된다.
연령-관련된 황반 변성으로 지칭되는 황반 변성은 미국에서 50세 또는 그 이상 연령에서 시력 상실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고, 그리고 이의 이환율 (prevalence)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한다. AMD는 습성 (신생혈관) 또는 건성 (비-신생혈관)으로 분류된다. 상기 질환의 건성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다. 이것은 중심 망막이 뒤틀리거나, 착색되거나, 또는 가장 일반적으로, 얇아질 때 발생하고, 이러한 과정은 망막 색소 상피의 위축 및 황반 광수용체의 상실과 연관된다. 그 결과는 중심 지도모양 위축 (central geographic atrophy)이다. 상기 질환의 습성 형태는 시력의 가장 심각한 상실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습성 형태는 통상적으로, 노화와 연관되지만, 습성 황반 변성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에는 심각한 근시와 일부 안구내 감염, 예를 들면, 히스토플라스마증 (histoplasmosis)이 포함되고, 이것은 AIDS를 앓는 개체에서 악화될 수 있다. 이러한 습성 형태는 출혈, 삼출, 흉터형성, 또는 망막 박리를 유발하는, 망막 색소 상피를 통하여 성장하는 비정상적 혈관으로 특징된다.
당뇨병과 연관된 망막증은 1형 당뇨병에서 시력 상실의 주요 원인이고, 그리고 2형 당뇨병에서도 흔히 발생한다. 망막증의 정도는 당뇨병의 지속 기간에 좌우되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당뇨병의 발병 후 10년 또는 그 이상의 시점에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당뇨병성 망막증은 (1) 증가된 모세혈관 투과성, 부종, 출혈, 소동맥류, 그리고 삼출물로 특징되는 비-증식성 또는 배경 망막증; 또는 2) 망막에서부터 유리체까지 신장하는 신혈관형성, 흉터형성, 섬유성 조직 형성, 그리고 망막 박리에 대한 가능성으로 특징되는 증식성 망막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당뇨병성 망막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혈당에 기인한 당화된 단백질의 발달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당화된 단백질은 유리 라디칼 (free radical)을 발생시켜 산화성 조직 손상 및 세포 반응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스캐빈저, 예를 들면, 글루타티온의 고갈을 유발한다.
맥락막 신생혈관 막에서, 맥락막으로부터 유래하는 비정상적인 혈관은 망막 층을 통하여 성장한다. 연약한 신생 혈관은 쉽게 파괴되고, 망막의 층 내에서 혈액과 유체가 모이도록 유발한다.
질환, 손상 또는 수술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는 황반 부종에서, 유체가 황반의 층 내에 모이고 흐리고 뒤틀린 중심 시력을 유발한다.
망막전막은 황반 위에 형성되고, 흐림과 뒤틀림을 유발함으로써 중심 시력에 영향을 주는 셀로판-유사 막이다. 이것이 진전됨에 따라, 황반 상에서 상기 막의 견인이 팽창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은 75세 이상의 사람들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된다.
색소성 망막염은 궁극적으로 완전한 시력 상실로 귀결되는 야맹증 (night blindness) 및 주변 시력의 점진적인 상실로 특징되는 망막 퇴화이다; 검안경적 (ophthalmoscopic) 변화에는 어둠 모자이크 (dark mosaic)-유사 망막 색소형성, 망막 혈관의 약화, 시신경 유두 (optic disc)의 납양 창백 (waxy pallor), 그리고 진전된 형태에서, 황반 변성이 포함된다. 일부 경우에, 색소형성이 결핍될 수 있다. 색소성 망막염은 유리체의 퇴행성 불투명, 그리고 백내장에 연관될 수 있다.
황반 이영양증은 집합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에서 심각한 시력 상실의 원인인 이종의 질환 군에 적용되는 용어이다. 황반 이영양증의 일반적인 특징은 망막 황반 내에 광수용체 세포의 퇴화에 기인하는 중심 시력의 점진적인 상실이다. 많은 형태의 황반 이영양증에서, 상기 질환의 말기는 법적 시력 상실 (legal blindness)을 유발한다. 20가지 이상의 유형의 황반 이영양증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에서 일부는 예로써, 연령-관련된 황반 이영양증, 스타르가르트-유사 우성 황반 이영양증, 열성 스타르가르트병, 비정형 난환형 황반 이영양증 (VMD1), 아셔 증후군 타입 1B, 상염색체 우성 신생혈관 염증성 유리체망막증, 가족성 삼출성 유리체망막증, 그리고 Best 황반 이영양증 (일명, 유전성 황반 이영양증 또는 Best 난환형 황반 이영양증 (VMD2)이다.
스타르가르트-유사 우성 황반 이영양증 (일명, 상염색체 우성 황반 위축)은 연소-발병 황반 변성이다. 이러한 질환을 앓는 환자는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일 때 정상적인 시력을 갖지만, 소아기 동안 시력 상실이 시작되고, 이것은 법적 시력 상실로 빠르게 진행한다. 임상적으로, 이것은 날카로운 경계를 갖는 위축성 황반 병소의 존재로 특징되고, 그리고 황색의 안저 반점 (fundus fleck)과 종종 연관된다.
Best 황반 이영양증은 미지의 생화학적 원인의 유전성 상염색체 우성 황반 이영양증이다. 상기 질환은 소아기에서부터 40세 이후까지 범위에서 변할 수 있는 발병 연령을 갖는다. 임상적 증상에는 초기 단계에서, 황반의 기초가 되는 망막 색소 상피 (RPE) 내에서 황색을 띤 물질 리포푸신 (lipofuscin)의 비정상적인 축적이 포함된다. 이것은 RPE의 특징적인 "난황 (egg yolk)" 외관 및 시력 (visual acuity)의 점진적인 상실을 발생시킨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RPE는 더욱더 무질서해지는데, 그 이유는 리포푸신 (lipofuscin) 축적이 분산하고, 그리고 흉터형성과 신혈관형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들 변화는 시력의 추가적인 상실을 동반한다.
스타르가르트-유사 우성 황반 이영양증 및 Best 황반 이영양증에서 관찰되는 병리학적 특징 (pathological feature)은 선진국의 노령 환자에서 시력 상실의 주도적인 원인인 연령-관련된 황반 이영양증 (AMD)에서 관찰되는 특징과 많은 면에서 유사하다.
망막 박리는 망막의 감각 층 (sensory layer)이 그들의 망막 색소 상피와 맥락막 기초 지지 조직으로부터 분리될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망막 박리는 망막 열공 (retinal tear) 또는 유리체 견인의 존재에 의해 유발되는데, 이들 중에서 어느 한 가지는 자발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외상에 기인할 수 있다. 망막 박리는 또한, 미숙아에서 미숙아 망막증 또는 당뇨병 개체에서 당뇨병성 망막증과 같은 병리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망막 박리의 증상은 한쪽 눈에서 통증이 없고 갑작스러운 부분적인 또는 전체적인 시력 상실이다. 열공이 있거나, 또는 기초 구조로부터 망막의 분리를 유발하는 견인이 있을 때, 액체 유리체가 구멍을 통과해 망막하 공간 내로 나아가고 망막하 공간에서 추가의 삼출을 유도한다. 망막은 기초 망막 색소 상피로부터 점진적으로 분리되고 박리된다. 이것은 맥락막으로부터 산소와 영양소의 정상적인 공급을 외망막 (outer retina)에서 박탈한다. 시간의 흐름에서, 망막 박리는 또한, 망막의 외부에 위치하는 광수용체 세포의 상실로 인하여, 시력의 상실을 유발한다.
본원에서 "치료한다"는 의학적으로 처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는 망막 질환의 증상, 예를 들면, 황반 변성에 동반되는 시력에서 감소를 경감하고, 그리고 상기 질환과 연관된 생리학적 변화, 예를 들면, 상기 질환에 동반되는 비정상적인 혈관 성장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본 발명의 방법은 클로자핀, 올란자핀, 또는 올란자핀의 일정한 대사산물을 이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투여함으로써 망막 질환을 치료한다. 이들 화합물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클로자핀은 1970년대 이후로, 항정신병약 (antipsychotic)으로서 처방되고 있다. 이것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6

이의 화학명은 2-클로로-11-(4-메틸피페라진-1-일)-5H-디벤조[b,e][1,4]디아제핀이다. 이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한 가지 방법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7

다른 방법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8
하기 구조식을 갖는 N-데스메틸 클로자핀은 Tocris로부터 구입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
올란자핀은 다른 널리 공지된 항정신성 약물이다. 이것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10

이의 화학명은 2-메틸-4-(4-메틸피페라진-1-일)-10H-벤조[b]티에노[2,3-e][1,4]디아제핀이다. Elli Lilly and Company는 상품명 Zyprexa 하에 상기 약물을 시판한다. 올란자핀을 만드는 한 가지 방법은 하기와 같다. 이것은 U.S. 특허 번호 5,631,250에서 개시되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편입된다:
Figure pct00011

다른 방법은 하기와 같다. 이것은 U.S.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6/035887에서 개시되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편입된다:
Figure pct00012

올란자핀은 하기 화합물로 물질대사되고, 이들 둘 모두 역시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13
대사산물 A
Figure pct00014
대사산물 B
올란자핀-N-산화물 (대사산물 A) 및 N-데메틸 올란자핀 (대사산물 B)은 Toronto Research Chemical로부터 구입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동물 또는 인간에 투여하기 적합한 부모 화합물의 임의의 염이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한, 산, 다른 염, 또는 산 또는 염으로 전환되는 프로드러그의 투여의 결과로서 생체내에서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염을 지칭한다. 염은 상기 화합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온 형태,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응하는 반대-이온과 결합된 접합체 산 또는 염기를 포함한다. 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탈양자화된 산성 기 (가령, 카르복실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자화된 염기성 기 (가령, 아민), 또는 둘 모두 (가령, 쌍성 이온)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들을 함입할 수 있다.
산성 기능 기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유기 또는 무기 염기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상기 염은 일가 또는 다가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이온,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이 특히 관심된다. 유기 염은 아민, 특히 암모늄 염, 예를 들면, 모노-, 디-, 그리고 트리-알킬 아민 또는 에탄올 아민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절한 염에 관한 검토를 위하여,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 (Wiley-VCH, 2002)를 참조한다.
제제 및 투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경피 (가령, 패치의 이용을 통해), 코내, 설하, 직장, 또는 비경구 루트를 거쳐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눈 내로 주사에 의해 전달된다.
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하루 약 0.25 mg 내지 약 1500 mg 범위의 용량에서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단일 또는 분할 용량에서 하루 0.25 내지 약 300 mg의 용량에서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비록 치료되는 개체의 체중과 상태, 선택된 특정 투여 루트, 치료에 대한 개체의 반응, 선택된 제제, 그리고 환자의 치료 기간에 따라 변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긴 하지만, 하루 체중 kg당 0.01 mg 내지 약 10 mg의 용량에서 투여된다. 일부 경우에, 하루 0.25 mg 이하의 용량이 적절한 반면, 다른 경우에, 임의의 유해한 부작용 없이 훨씬 많은 용량이 이용될 수도 있는데, 단서로서 이런 많은 용량은 먼저, 온종일 투여를 위해 여러 적은 분량으로 분할된다.
활성 화합물은 앞서 지시된 여러 루트 중에서 한 가지에 의해 단독으로, 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활성 화합물은 매우 다양한 상이한 제형 (dosage form)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정제, 캡슐, 용액, 현탁액 등의 형태에서, 다양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활성 담체와 합동될 수 있다. 이런 담체에는 고형 희석제 또는 충전제, 무균 수성 매체 및 다양한 비-독성 유기 용매가 포함된다. 이에 더하여, 경구 제약학적 조성물은 적절하게 감미되고 및/또는 풍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은 이런 제형 내에서, 중량으로 약 5.0% 내지 약 70% 범위의 농도 수준에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클로자핀은 눈에 국소 전달되거나, 또는 눈 내로 주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적절한 제제에는 액체, 현탁액, 유화액 등이 포함된다. 안과 약물 산물의 국소 제제는 당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그리고 예로써, U.S.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50059583; 번호 20050277584; 번호 20070015690; 번호 20070015691; 그리고 U.S. 특허 번호 5,474,979와 6,582,718에서 기술되고, 이들 모두의 개시는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편입된다.
한 구체예에서, 클로자핀 제제는 점안약으로서 투여된다; 전형적인 투여에서, 25 내지 50 μl의 제제가 눈에 투여된다. 이런 제제는 하루 1회, 2회, 3회, 4회, 또는 그 이상 투여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증된다.
ATCC로부터 ARPE-19 세포는 10% 소 태아 혈청 (FBS)으로 보충된 DEME/F12 배지에서 성장되고, 그리고 웰당 10,000개 세포의 밀도에서 96-웰 평판 내로 분할되었다. 세포는 화합물/약물의 첨가에 앞서, 0.1%FBS 배지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되었다. 관심되는 화합물의 스톡은 상이한 농도에서 만들어지고, 그리고 0.1% FBS 배지 내에 ARPE-19 세포에 1시간 동안 첨가되었다.
세포 생존능 검정: 1시간의 화합물/약물 전처리 후, 세포는 0.3 mM tert-부틸 히드로과산화물 (tBH)과 함께 3시간 동안 배양되고, 그 이후에 3회 세척되고 하룻밤 동안 새로운 약물과 배지 (0.1% FBS 배지)로 대체되었다. 세포 생존능은 세포 증식 검정 키트 (Millipore, 2210)에 의해 결정되었다. 오차 바, SEM. n = 3. 획득된 결과는 도 1, 2 & 12에서 도시된다.
IL-8 검정: 1시간의 약물 전처리 후, 세포는 1ug/ml 폴리I:C와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세포 배양 상층액은 IL-8 ELISA 키트 (R&D Systems, D8000C)로 IL-8 생산을 측정하는데 이용되었다. 오차 바, SEM. n = 3. 획득된 결과는 도 1에 도시된다.
청색광 연구: 4 내지 5개월령 Sprague-Dawley (SD) 수컷 쥐가 다음 연구에 이용되었다. 약물 치료는 청색광 노출 2일 전에 시작되었다. 동물은 3일 동안 하루 1회 올란자핀 IP 주사가 제공되고, 그리고 마지막 투약은 청색광 노출 1시간 전이었다. 유리체내 주사 (IVT)를 위하여, 동물은 청색광 노출 1시간 전에, 올란자핀 (하기에 도시된 구조식을 가짐)이 제공되었다. 국소 투여를 위하여, 상기 약물은 청색광 노출 24시간 (BID)과 1시간 (QI) 전에 제공되었다. 물은 병렬 대조 비히클 IP/IVT 주사 또는 국소 투여를 위해 이용되었다. 쥐는 ~6-7 k의 럭스 강도 (lux intensity)를 갖는 청색광에 4시간 동안 노출되기에 앞서, 24시간 동안 암순응되었다. 청색광 노출 직후에, 쥐는 정상적인 실내조명 (12-시간 명/12-시간 암)으로 복귀하기에 앞서, 추가로 3일 동안 다시 한 번 암순응되었다. 청색광 노출 후 7-10일 시점에 청색광에 의해 유발된 망막 두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광간섭 단층 촬영장치 (OCT)이 이용되었다. 오차 바, SEM. (도 3).
망막전도기록(ERG) 검정: 양측 플래시 망전도는 SD 쥐에서 Espion E2 망막전도기록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되었다. ERG 당일에, 동물은 적어도 30분 동안 암순응되었다. 이들의 눈은 트로픽아미드 HCl (1%) 및 Ak-dilate (10%)로 확장되었다. ERG 기록에 앞서, 이들 동물은 40mg/ml 케타민 HCL과 12mg/ml 자일라진 HCL의 근육내 주사로 마취되고, 그리고 가열된 플랫폼 위에 놓였다. 그라운드 바늘 (ground needle)이 팔 아래 피부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참고 바늘 (reference needle)은 머리 위의 피부 내에 배치되었다. 망막은 0.1 Hz에서 10 트레이스 (trace)의 평균을 위해 1 cd.s/m2 플래시를 이용하여 자극되었다. 기록 필터는 300 Hz에서 설정되었다. ERG 반응은 Espion E2 및 Microsoft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b-파 진폭은 a-파의 저점에서부터 b-파의 피크까지 측정되고, 그리고 a-파는 시작에서 기록 및 음성 편향도 (negative deflection)의 저점 사이에 진폭의 차이로서 측정되었다. 오차 바, SEM. (도s 4, 8, 그리고 9)
쥐 안구 조직 가공 처리 & H&E 염색: 청색광 노출 후 2-3 시점에 Sprague-Dawley 수컷 쥐는 CO2로 안락사되고 안와가 적출되었다. 눈은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Davidson 정착액에서 고정되고 24시간 동안 70% 에탄올로 이전되었다. 추가의 조직 가공 처리는 80%, 95% & 100% 알코올과 Propar에서 연속 탈수, 그 이후에 파라핀 포매 (paraffin embedding)에 의해 수행되었다. 전체 쥐 눈은 마이크로톰 (Microtome) (RM2255; Leica Microsystems)을 이용하여, 코에서 측두골 쪽으로 진행하는 수직 굴절 (vertical meridian)에서 횡단으로 절개되었다. 시신경 두부를 랜드마크로서 이용하여, 5 마이크론/박편을 갖는 총 45개의 연속 박편이 15개 유리 슬라이드 상에 수집되었다. 슬라이드 # 1, 5, 10 & 15는 탈파라핀화되고, 그리고 실험 군 간에 광수용체/RPE 병소를 비교하기 위해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헤마톡실린 (핵) 및 에오신 (세포질)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염색되었다. 나머지 슬라이드는 표준 면역-조직화학 기술에 의해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시홍소, RPE65와 GFAP의 발현을 결정하는데 이용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도 5-7에 도시된다.
산소-유도된 망막증: 산소-유도된 망막증 (OIR)/산소과다는 Smith et al. (Smith LE, Wesolowski E, McLellan A, et al. Oxygen-induced retinopathy in the mouse.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4;35(1):101-111)에 의해 보고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C57B6 생쥐에서 유도되었다. 한 배 새끼의 신생 생쥐와 그들의 어미는 P7에서부터 P12까지 75% 산소 챔버 내에 배치되었다. 상기 챔버는 5일 동안 충분한 사료와 물을 포함하고, 그리고 이들 동물에게 약물 투여를 허용하기 위해서만 개방되었다. 이들 생쥐는 P12에서 정상적인 산소 함량을 갖는 실내 공기에 복귀하였다. 물에서 올란자핀 또는 VEH (물)가 P10에서 시작하고 P16까지 지속되는 위관영양 (gavage)에 의해 하루 1회 투여되었다. 망막 신혈관형성은 실내 공기에 이들 동물의 5일간 노출 후 P17에서 평가되었다.
망막 혈관조영과 정량. 망막 신혈관형성은 기존 문헌 (Smith LE, Wesolowski E, McLellan A, et al. Oxygen-induced retinopathy in the mouse.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4;35(1):101-11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OIR에 종속된 생쥐에서 혈관조영에 의해 평가되었다. P17 생쥐는 깊게 마취되고, 이후 50 mg의 고분자량 (2000 kDa) 플루오레세인-덱스트란 (Sigma, St. Louis, MO)을 내포하는 1 mL의 PBS로 좌심실을 통해 관류되었다. 눈은 적출되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24시간 동안 고정되었다. 수정체의 제거 후, 망막은 해부되고 글리세롤-젤라틴으로 홀마운트되었다. 망막 신혈관형성의 정량은 기존 문헌 (Chen J, Connor KM, Aderman CM, Smith LE. Erythropoietin deficiency decreases vascular stability in mice. J Clin Invest. 2008;118(2):526-53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되었다. 형광 현미경 (epifluorescence microscope) (Olympus, Center Valley, PA)에서 4x 배율에서 촬영된 망막 홀마운트의 이미지는 Adobe Photoshop 7.0 소프트웨어 (Adobe Systems, Mountain View, CA) 내로 불러 들여지고 전체 망막의 이미지를 산출하기 위해 합병되었다. 신혈관형성은 기존 문헌 (Bai Y, Ma JX, Guo J, et al. Muller cell-derived VEGF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retinal neovascularization. J Pathol. 2009;219(4):446-45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정량되었다. Photoshop 프리핸드 툴은 신생혈관 다발 형성의 구역을 개설하는데 이용되었고, 그리고 신혈관형성의 구역 (픽셀에서)은 전체 망막의 구역 (픽셀에서)의 백분율로서 표시되었다. 선입견을 피하기 위하여, 신혈관형성의 정량은 동물 치료를 알지 못하는 관찰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도 10에 도시된다.
맥락막 신혈관형성 (CNV) 검정: 250 - 300 그람 체중의 Brown Norway 쥐 (Charles Rivers)가 각각,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약물 치료는 레이저 치료 2일 전에 시작되었다. 올란자핀은 3일 (-2일, -1일 & 0일) 동안 하루 1회 i.p. (1mg/kg) 제공되었다. 0일자에 최종 용량은 레이저 치료 약 1시간 전에 전달되었다. 인산염 완충된 염수 (PBS)가 병렬 대조 비히클 IP 주사에 이용되었다. 레이저 시술의 0일자에, 쥐 눈 (눈동자)는 트로픽아미드 HCl (1%) 및 Ak-dilate (10%)로 확장되었다. 쥐는 이후, 40mg/ml 케타민 HCL과 12mg/ml 자일라진 HCL의 근육내 주사로 마취되었다. 안저는 눈 커플링제 (optical coupling agent)로서 Refresh Liquigel 점안약을 갖는 현미경 슬라이드 커브슬립을 이용하여 가시화되었다. 각 동물에 대해, 각 눈에서 6개의 레이저 스팟 (360 mW 파워, 0.07 초 지속 시간, 50 μm 스팟 크기)이 모든 2개의 망막 도관 (retinal vessel) 사이에, 시신경 유두 주변에 거의 동등한 거리에서 동심으로 아르곤 레이저 (Coherent Inc.; Santa Clara, Ca.)로 만들어졌다. 단일 5-ul 부피의 약물 (올란자핀) 또는 PBS가 레이저 광응고 시술 후 1, 4 & 6일자에서 유리체강 (vitreous cavity) 내로 주사되었다. 레이저 치료 후 11일 시점에, 동물은 CO2 노출에 의해 희생되고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CNV 형성이 검정되었다. 간단히 말하면, 눈은 적출되고 10% 포르말린 용액에서 1시간 동안 고정되었다. 눈은 PBS에서 5분 x 2회 헹굼되거나. 또는 PBS에서 하룻밤 동안 유지되었다. 눈은 충분하게 씻어지고 페트리 접시에서 절반으로 절단되어, 눈 컵 (eye cup) 및 부착된 망막이 제자리에 남겨졌다. 눈 컵-망막은 PBS에서 세척되고, 그리고 망막은 맥락막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전되었다. 눈 컵-맥락막은 PBS / 0.5 % Triton X 100 내에 이소렉틴 IB4 접합체 (10 ug/ml)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되었다. 눈 컵/맥락막은 PBS에서, 20분 x 3회 세척되고, 4개 위치에서 절단되고, 그리고 수성 봉입제 (aqueous mounting media)를 이용하여 편평 봉입되었다. 형광의 구역은 Metamorph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RPI, Natick, MA)를 이용하여 정량되었다. 획득된 결과는 도 11에서 도시된다.
이들 실험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산화 스트레스 (하기에 요약된 바와 같음) 및 이런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질환으로부터 RPE를 보호한다는 것을 확립한다.
Figure pct00015

비-특허 (가령, 과학 저널 참고문헌) 또는 특허 (허여된 특허 또는 공개된 특허 출원)인지에 상관없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각각의 모든 참고문헌은 본원에서 전체로서 참고문헌으로 편입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특정한 방법과 조성물을 상술하고, 그리고 고려되는 최적 양식을 대표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전체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적법한 구문 분석 (construction)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Claims (6)

  1.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된 망막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와 같이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병든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pct00016
    ,
    Figure pct00017
    ,
    Figure pct00018
    ,
    Figure pct00019
    , 그리고
    Figure pct00020
    ; 또는 이들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망막 질환은 습성과 건성 연령 관련된 황반 변성, 색소성 망막염, 스타르가르트병, 추체 이영양증 및 망막 색소 상피의 패턴 이영양증, 황반 부종, 망막 박리, 망막 외상, 망막 종양 및 상기 종양과 연관된 망막 질환, 망막 색소 상피의 선천적 비대, 급성 후부 다발성 판상 색소 상피증, 그리고 급성 망막 색소 상피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망막 질환은 습성과 건성 연령 관련된 황반 변성, 색소성 망막염, 스타르가르트병, 추체 이영양증 및 망막 색소 상피의 패턴 이영양증, 망막 색소 상피의 선천적 비대, 급성 후부 다발성 판상 색소 상피증, 그리고 급성 망막 색소 상피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화합물은 경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화합물은 눈 내로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화합물은 눈에 국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137017036A 2010-12-03 2011-11-18 망막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KR201301229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966010P 2010-12-03 2010-12-03
US61/419,660 2010-12-03
PCT/US2011/061370 WO2012074788A1 (en) 2010-12-03 2011-11-18 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of the retin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958A true KR20130122958A (ko) 2013-11-11

Family

ID=4550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17036A KR20130122958A (ko) 2010-12-03 2011-11-18 망막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018202B2 (ko)
EP (1) EP2646034A1 (ko)
JP (1) JP2013544838A (ko)
KR (1) KR20130122958A (ko)
CN (1) CN103327981A (ko)
AU (1) AU2011336976A1 (ko)
BR (1) BR112013013636A2 (ko)
CA (1) CA2819616A1 (ko)
RU (1) RU2013129748A (ko)
WO (1) WO2012074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2593B2 (en) 2018-12-28 2020-08-25 Endogena Therapeutics, Inc. Compounds for use as therapeutically active substances in the treatment of retinal diseases
AU2018297856A1 (en) * 2017-07-06 2020-02-06 Fus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Therapeutic drug for lipid-peroxidation-induced diseases and screening method for therapeutic drugs for lipid-peroxidation-induced diseases
US10807973B2 (en) 2018-12-28 2020-10-20 Endogena Therapeutics, Inc. Compounds for use as therapeutically active substances in the treatment of retinal diseases
EP3919052A4 (en) * 2019-01-09 2022-10-05 Fus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TRAOCULAR OR ORAL ADMINISTRATION FOR THE TREATMENT OF RETINAR DISEAS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1490B2 (ja) 1992-05-13 2005-03-23 ノバルティス ファーマ株式会社 シクロスポリン含有眼科用組成物
US5474979A (en) 1994-05-17 1995-12-12 Allergan, Inc. Nonirritating emulsions for sensitive tissue
US5631250A (en) 1995-03-24 1997-05-20 Eli Lilly And Company Process and solvate of 2-methyl-thieno-benzodiazepine
US5744468A (en) * 1996-10-23 1998-04-28 Tong-Ho Lin Hypotensive intraocular pressure activity of clozapine and sulpiride
JPH10175865A (ja) * 1996-12-11 1998-06-30 Towa Rin 抗眼圧活性製剤
US7160898B2 (en) * 2001-12-14 2007-01-09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sleep apnea
AU757870B2 (en) * 1998-11-23 2003-03-06 Sepracor,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olanzapine-N-oxide
DE10206941A1 (de) 2002-02-19 2003-09-25 Goetz Nowak Neue Arzneimittel
BRPI0406592A (pt) * 2003-01-23 2005-12-20 Acadia Pharm Inc Usos de n-desmetilclozapina, métodos para o tratamento de psicose, de distúrbios afetivos, de demência, de dor neuropática e de glaucoma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WO2004103263A2 (en) 2003-05-22 2004-12-02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Dopamine and agonists and antagonists thereof f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20050059583A1 (en) 2003-09-15 2005-03-17 Allergan, Inc. Methods of providing therapeutic effects using cyclosporin components
US20050277584A1 (en) 2004-06-09 2005-12-15 Allergan,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yclosporins
US20060035887A1 (en) 2004-07-02 2006-02-16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olanzapine
JP2008509147A (ja) * 2004-08-05 2008-03-27 アカディア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ヒト神経精神病を治療するためのn−デスメチルクロザピンの使用
AU2005294382A1 (en) 2004-10-04 2006-04-20 Qlt Usa, Inc. Ocular delivery of polymeric delivery formulations
CN101437478A (zh) * 2004-10-04 2009-05-20 Qlt美国有限公司 聚合送递制剂的眼部送递
US7297679B2 (en) 2005-07-13 2007-11-20 Allergan, Inc. Cyclosporin compositions
US20070015691A1 (en) 2005-07-13 2007-01-18 Allergan, Inc. Cyclosporin compositions
WO2008111497A1 (ja) * 2007-03-08 2008-09-18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トリテルペノイ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酸化ストレスが関連する眼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EP2146961B1 (en) * 2007-04-12 2014-01-29 IVAX International GmbH N-oxide and/or di-n-oxide derivatives of dopamine receptor stabilizers/modulators displaying improved cardiovascular side-effects prof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788A1 (en) 2012-06-07
CN103327981A (zh) 2013-09-25
AU2011336976A1 (en) 2013-07-11
CA2819616A1 (en) 2012-06-07
US20120142675A1 (en) 2012-06-07
US9561234B2 (en) 2017-02-07
US9018202B2 (en) 2015-04-28
JP2013544838A (ja) 2013-12-19
BR112013013636A2 (pt) 2016-11-08
EP2646034A1 (en) 2013-10-09
US20150290215A1 (en) 2015-10-15
RU2013129748A (ru) 201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harazawa et al. Protection of the retina by rapid diffusion of hydrogen: administration of hydrogen-loaded eye drops in reti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ES2494791T3 (es) Uso de rapamicina para el tratamiento o prevención de la degeneración macular asociada a la edad
JP6060168B2 (ja) レバミピドと涙液保持作用を有する薬剤からなる前眼部疾患治療剤
US9561234B2 (en) 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of the retina
AU202420086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ar pathologies
US20160151368A1 (en) Therapeutic formulation and methods of treatment
JP5801324B2 (ja) 緑内障及び高眼圧症の治療のためのシチコリン
CA2348890C (en) Use of staurosporine derivatives for treating ocular neovascular diseases
EP4141018A1 (en) Peptide fg and its use in preparation of drug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cular fundus vascular diseases
US2015025330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glaucoma
US6214819B1 (en) Method for treating ocular neovascular diseases
US20130316983A1 (en) Drug screening metho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glaucoma
US20140179741A1 (en) Use of chelators of divalent cations to promote nerve regeneration
US20090082455A1 (en) Therapeutic agent for ophthalmic disease
US968206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 for inhibiting angiogenesis
KR101587609B1 (ko)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신규한 안약 제형
EP4141019A1 (en) Peptide fh and its use in preparation of drug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cular fundus vascular diseases
US20150284393A1 (en) Methods for treating eye disorders
JP2023547412A (ja) 眼疾患の治療
CN116650461A (zh) 咖啡酸苯乙酯滴及其眼液在制备治疗糖尿病视网膜病变药物中的应用
Chitranshi Molecular mechanisms of neuronal death in glaucoma: development of a gene therapy approach for neuroprotection
TW200846008A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optic nerve disorder comprising a prostaglandin F2α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