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362A -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362A
KR20130122362A KR1020120045625A KR20120045625A KR20130122362A KR 20130122362 A KR20130122362 A KR 20130122362A KR 1020120045625 A KR1020120045625 A KR 1020120045625A KR 20120045625 A KR20120045625 A KR 20120045625A KR 20130122362 A KR20130122362 A KR 2013012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support
light emit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2362A/ko
Publication of KR2013012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01L33/387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 region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body and being electrically interconnected by another electrod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방법은,
중공형 구조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와 다른 방향에서 적어도 한 쌍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하나는 상기 리드부 중 하나와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를 지지하고, 상기 연장된 지지부의 일부와 결합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 상에 발광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부와 함께 상기 몸체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된 상기 리드부 중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리드부는 상기 지지부를 분리하기 전까지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ND FRAME BOAR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의 PN접합을 통해 발광원을 구성함으로서, 다양한 색의 빛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소자의 일종이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한 발광장치는 일반적으로 케이스에 해당하는 몸체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해 결합되는 리드프레임을 구비하며, 리드프레임 상에 발광소자가 배치 및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장치를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기판에는 리드프레임이 각 발광장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형성 및 배열되어 있어, 각 리드프레임에 발광다이오드를 실장 및 몸체를 형성하고 프레임 기판으로부터 각각 분리함으로써 발광장치가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프레임 기판의 구조상 발광다이오드의 점등 검사나 와이어 연결 등의 검출을 공정 플로우 도중에 수행할 수 없어 발광장치가 제조된 이후에 각 제품에 대해 개별적으로 검사를 수행하여 불량으로 검출된 제품에 대해서는 폐기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발광장치를 대량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프레임 기판으로부터 완성된 제품이 분리되기 이전에 공정 플로우 중 실시간으로 각 발광장치의 작동 여부 등의 검사를 일괄하여 수행함으로써 불량 검출이 가능한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방법은,
중공형 구조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와 다른 방향에서 적어도 한 쌍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하나는 상기 리드부 중 하나와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를 지지하고, 상기 연장된 지지부의 일부와 결합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 상에 발광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부와 함께 상기 몸체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된 상기 리드부 중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리드부는 상기 지지부를 분리하기 전까지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발광소자의 작동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부에 제1 극성의 전극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된 상기 리드부에 제1 극성의 전극을 공급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된 다른 리드부에 제2 극성의 전극을 연결하여 상기 다른 리드부에 제2 극성의 전극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리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발광소자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드부는 복수개가 상기 프레임 기판에 배열되어 구비되며, 각 쌍의 리드부 중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된 리드부들은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일체로 제1 극성의 전극을 공급받고,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된 다른 리드부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2 극성의 전극을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 기판에 구비된 각 쌍의 리드부 전체에 대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드부 중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리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부는,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외부 리드프레임과,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내부 리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은 상기 각 외부 리드프레임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서로 마주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은 상기 몸체 내에 몰딩되어 지지되며,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일측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리드부와 연결된 상기 지지부를 절단하거나, 상기 몸체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말단부를 상기 몸체로부터 적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부 및 상기 지지부와 다른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리드부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리드부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연장된 지지부의 말단부 일부가 상기 몸체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를 상기 보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리드부와 연결된 상기 보조 지지부를 절단하고,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몸체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말단부를 상기 몸체로부터 적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분리된 상기 리드부를 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를 덮도록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리드부 상에 실장된 상기 발광소자를 노출시키는 캐비티를 구비하며, 상기 봉지부는 상기 캐비티 내에 충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은,
중공형 구조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와 다른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리드부 각각을 향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중 하나는 상기 리드부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부는,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외부 리드프레임과,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내부 리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은 상기 각 외부 리드프레임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서로 마주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발광장치를 대량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프레임 기판으로부터 완성된 제품이 분리되기 이전에 공정 플로우 중 실시간으로 각 발광장치의 작동 여부 등의 검사를 일괄하여 수행함으로써 불량 검출이 가능한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1 은 평면도이고, 도 2는 부분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4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면도에 해당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1 은 평면도이고, 도 2는 부분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100)은 프레임부(110), 리드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펀칭 공정을 통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기판(100)은 전기 전도성과 광 반사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Ag, Al, Cu, Ni, Au, Cr, Ti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중심부에 관통 영역(111)이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후속 공정에서 발광장치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중공형 구조라 함은 일 방향으로 관통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 관계없이 모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도 2에서 프레임부(11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실시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이나 다른 다각형과 유사한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리드부(12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으로 한 쌍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최종 발광장치에서 리드프레임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내측의 관통 영역(111)으로 연장된 한 쌍의 외부 리드프레임(121)과,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내부 리드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은 상기 각 외부 리드프레임(121)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서로 마주하여 근접하는 방향(상기 프레임부의 일측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은 발광소자의 실장영역으로 제공되며,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은 전극 단자로 제공된다.
지지부(130)는 상기 리드부(120)와 다른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리드부(120) 각각을 향해 한 쌍이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는 후속하는 몰딩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몸체와 결합될 수 있어 발광장치의 몸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 중 하나는 상기 리드부(120) 중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리드부(120)가 상기 지지부(130)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으로부터 각각 서로 마주하며 연장되되, 각 지지부(130)에 근접한 리드부(120)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30)가 연장된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리드부(120)가 연장된 일측과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을 이루는 관통 영역(111)이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며,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리드부(120)가 연장된 일측과 직교하는 양측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30)는 각각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과 직교하는 구조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 중 하나는 상기 리드부(120), 구체적으로 내부 리드프레임(122) 중 하나와 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30) 중 하나는 상기 리드부(120) 중 하나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리드부(120)가 상기 프레임부(110)와 연결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드부(120)와 연결되지 않는 다른 지지부(130)는 그 연장된 말단부(131)가 상기 리드부(120)와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분리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쌍으로 구성되는 리드부(120)와 지지부(130)는 복수개로 제공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100')을 구성하는 구성은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기본적인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보조 지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과 지지부(130)의 구조가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보조 지지부(140) 및 지지부(130)에 관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100')은 프레임부(110), 리드부(120), 지지부(130)에 더하여 보조 지지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부(140)는 상기 리드부(120) 및 지지부(130)와 다른 방향에서 상기 리드부(120)를 향해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후속하는 몰딩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몸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30)와 마찬가지로 발광장치의 몸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상기 리드부(120) 중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리드부(120)가 상기 프레임부(11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마주하는 리드부(120)를 향해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지지부(140)가 연장된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은 상기 리드부(120)가 연장된 일측, 상기 지지부(130)가 연장된 일측 및 타측과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측을 이루는 관통 영역(111)이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며,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상기 리드부(120)가 연장된 일측과 마주하는 타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상기 지지부(130)와 직교하는 구조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과 나란하게 마주하는 구조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상기 리드부(120), 구체적으로 내부 리드프레임(122) 중 하나와 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상기 리드부(120) 중 하나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리드부(120)가 상기 프레임부(110)와 연결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리드부(120)와 연결되지 않아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부(130)의 각 연장된 말단부(131)는 상기 리드부(120)와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말단부(131)의 일부는 추후 설명하는 상기 몸체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적어도 한 쌍이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지지부(140) 중 하나는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리드부(120)와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을 준비한 후, 도 4 내지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드부(120)를 지지하고, 상기 연장된 지지부(130)의 일부와 결합하는 몸체(20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은 상기 몸체(200) 내에 몰딩되어 지지되며,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은 상기 몸체(200)의 일측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며, 상기 프레임부(110)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130) 중 상기 리드부(120)와 연결된 지지부(130)는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과 같이 상기 몸체(200) 내에 몰딩되며, 상기 리드부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지지부(130)는 그 말단부(131) 일부가 상기 몸체(2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0)는 전면 중앙에 반사컵 구조의 캐비티(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210)의 내측면은 경사진 테이퍼 형태를 가지며, 반사면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210)의 바닥면으로는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이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0)는 실리콘이나 에폭시 수지 등을 몰딩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지 내부에는 광 반사성 입자가 분산되어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몸체(400)는 반드시 수지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세라믹 등의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드부(120) 상에 발광소자(300)를 실장하고, 도전성 와이어(31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발광소자(300)는 전기 신호 인가 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소자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는 상기 몸체(200)의 캐비티(210)를 통해 일부 노출된 내부 리드프레임(122)상에 실장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310)를 통해 다른 내부 리드프레임(122)과 와이어본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발광소자(200)가 단일로 실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개로 실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체를 형성한 이후에 발광소자를 실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순서는 바뀔 수도 있다. 즉, 리드부(120) 상에 발광소자(300)를 실장한 상태에서 몸체(200) 형성을 위한 몰딩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펀칭 공정 등을 통해 상기 리드부(120)를 상기 프레임부(110)와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일부는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200) 내에 지지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프레임부(110)와 연결된 상태의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을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분리하여 온전한 한 쌍의 외부 리드프레임(121)이 얻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200)는 한 쌍의 지지부(130)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30) 중 하나는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 중 하나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130)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다른 지지부(130)는 다른 내부 리드프레임(122)과 연결되지 않아 상기 다른 내부 리드프레임(122)은 상기 프레임부(11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지 않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리드부(120) 중 상기 지지부(130)와 연결되지 않은 리드부(120)는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이 상기 프레임부(110)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1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지 않게 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보조 지지부(140)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보조 지지부(140)는 상기 리드부(120)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리드부(120)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연장된 지지부(130)의 각 말단부(131) 일부가 상기 몸체(200)와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지지부(140)가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 중 하나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보조 지지부(140)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2)과 연결되지 않아 상기 다른 내부 리드프레임(122)은 상기 프레임부(11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지 않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의 작동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극성(예를 들어, 양극)의 전극을 갖는 프로브(P1)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에 제1 극성의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130)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와 연결된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120)에 제1 극성의 전극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2 극성(예를 들어, 음극)의 전극을 갖는 프로브(P2)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와 분리된 다른 내부 리드프레임(122)에 제2 극성의 전극을 연결하여 상기 다른 내부 리드프레임(122)에 음 전극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상기 리드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발광소자(300)를 작동시켜 작동 여부 및 작동 상태, 와이어 연결 상태, 광 특성 등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드부(120)와 지지부(130)가 복수개로 상기 프레임 기판(100)에 배열된 구조에서 각 쌍의 리드부(120) 중 상기 지지부(130)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와 연결된 리드부(120)들은 프로브(P1)와 접속된 상기 프레임부(110)를 통해 일체로 전극(예를 들어, 양극)을 공급받고, 상기 프레임부(110)와 분리된 다른 리드부(120)들은 각각 프로브(P2)와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전극(예를 들어, 음극)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 기판(100)에 구비된 각 쌍의 리드부(120)에 실장된 발광소자(300) 전체에 대해 일괄적으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개별 발광장치로 제조되기 전에 불량품 등의 검출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분리된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121)을 굴곡시켜 몸체(200)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하는 포밍(forming) 공정을 수행하여 몸체(200)의 외부 표면에 단자부(1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의 캐비티(2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발광소자(300)를 덮어 보호하도록 상기 캐비티(210) 내에 충진되는 봉지부(400)를 형성한다. 상기 봉지부(400)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빛을 다른 파장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드부(120)와 함께 상기 몸체(200)가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몸체(200)를 상기 지지부(130)와 분리함으로써 개별 발광장치(1)를 얻는다. 몸체(200)를 지지부(130)와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리드부(120)와 연결된 상기 지지부(130)를 절단하거나, 상기 몸체(200)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130)의 말단부(131)를 상기 몸체(200)로부터 적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절단된 상기 지지부(130)의 일부는 상기 몸체(200) 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절단 위치에 따라서 상기 몸체(200)의 표면과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몸체 외부로 일부 노출된 지지부(130)의 일부는 발광소자(300)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 방열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 지지부(140)가 몸체(200)와 결합된 구조에서는 상기 지지부(130)와 함께 상기 보조 지지부(140)를 분리함으로써 개별 발광장치(1)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리드부(120)와 연결된 상기 보조 지지부(140)를 절단하고, 상기 몸체(200)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130)의 말단부(131)를 상기 몸체(200)로부터 적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발광장치 100... 프레임 기판
110... 프레임부 120... 리드부
121... 외부 리드프레임 122... 내부 리드프레임
130... 지지부 140... 보조 지지부
200... 몸체 210... 캐비티
300... 발광소자 310... 와이어
400... 봉지부 P1,P2... 프로브

Claims (17)

  1. 중공형 구조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와 다른 방향에서 적어도 한 쌍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하나는 상기 리드부 중 하나와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를 지지하고, 상기 연장된 지지부의 일부와 결합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 상에 발광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상기 리드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부와 함께 상기 몸체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된 상기 리드부 중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리드부는 상기 지지부를 분리하기 전까지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발광소자의 작동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부에 제1 극성의 전극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된 상기 리드부에 제1 극성의 전극을 공급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된 다른 리드부에 제2 극성의 전극을 연결하여 상기 다른 리드부에 제2 극성의 전극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리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발광소자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드부는 복수개가 상기 프레임 기판에 배열되어 구비되며,
    각 쌍의 리드부 중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된 리드부들은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일체로 제1 극성의 전극을 공급받고,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된 다른 리드부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2 극성의 전극을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 기판에 구비된 각 쌍의 리드부 전체에 대해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드부 중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리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외부 리드프레임과,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내부 리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은 상기 각 외부 리드프레임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서로 마주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은 상기 몸체 내에 몰딩되어 지지되며,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일측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리드부와 연결된 상기 지지부를 절단하거나, 상기 몸체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말단부를 상기 몸체로부터 적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 및 상기 지지부와 다른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리드부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리드부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연장된 지지부의 말단부 일부가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상기 보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리드부와 연결된 상기 보조 지지부를 절단하고,
    상기 몸체를 상기 지지부와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몸체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말단부를 상기 몸체로부터 적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분리된 상기 리드부를 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를 덮도록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리드부 상에 실장된 상기 발광소자를 노출시키는 캐비티를 구비하며, 상기 봉지부는 상기 캐비티 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방법.
  15. 중공형 구조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와 다른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리드부 각각을 향해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중 하나는 상기 리드부 중 하나와 연결되는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외부 리드프레임과,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내부 리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드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 리드프레임은 상기 각 외부 리드프레임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서로 마주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KR1020120045625A 2012-04-30 2012-04-30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KR20130122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625A KR20130122362A (ko) 2012-04-30 2012-04-30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625A KR20130122362A (ko) 2012-04-30 2012-04-30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362A true KR20130122362A (ko) 2013-11-07

Family

ID=4985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625A KR20130122362A (ko) 2012-04-30 2012-04-30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23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35628A (ja) * 2018-08-30 2021-12-16 シェンツェン ジュフェイ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Jufei Optoelectronics Co., Ltd 発光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リードフレーム、ブラケット、発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35628A (ja) * 2018-08-30 2021-12-16 シェンツェン ジュフェイ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Jufei Optoelectronics Co., Ltd 発光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リードフレーム、ブラケット、発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331B2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半導体部品の製造方法
JP5908115B2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導体フレーム結合体及び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半導体素子
US8513680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260593B2 (ja) リードフレーム、パッケージ及び発光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TWI599080B (zh) 發光裝置
JP3219487U (ja) 予備成形リードフレーム
US20120028375A1 (en) Inspection method of light-emitt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after inspection of light-emitting device
US20100022039A1 (en) Method of making light emitting diodes
US8431949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195430A (ja)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8458A (ko)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0999746B1 (ko) 발광 디바이스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8853733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273813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493123Y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20048995A (ko)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용 프레임
KR101537795B1 (ko) Led 패키지 제조 방법 및 그 led 패키지
US9041022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22362A (ko) 발광장치 제조방법 및 발광장치 제조용 프레임 기판
JP3160994U (ja) 樹脂成形リードフレーム
KR101626904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123937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iode and section used in the method
JP2009295883A (ja) Ledチップ実装用基板の製造方法、ledチップ実装用基板のモールド金型、ledチップ実装用リードフレーム、ledチップ実装用基板、及び、led
TW201436302A (zh) 發光二極體的製造方法
CN104112811B (zh) 一种led的封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