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107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107A
KR20130122107A KR1020120045175A KR20120045175A KR20130122107A KR 20130122107 A KR20130122107 A KR 20130122107A KR 1020120045175 A KR1020120045175 A KR 1020120045175A KR 20120045175 A KR20120045175 A KR 20120045175A KR 20130122107 A KR20130122107 A KR 2013012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ate
display area
displa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279B1 (ko
Inventor
이명호
민성식
김무연
김승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27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 합착하며 다수의 컬러필터패턴이 형성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위치를 반전시켜 상기 제 1 기판이 표시면이 되도록 구현하고,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후 상기 제 1 기판의 끝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밴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금속패턴에서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 패턴의 폭에 의한 단차를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에 투명 레진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면 Borderless 표시패널에 있어서 반사 방지를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에 따른 단차로 인하여 편광판 부착 시 발생하는 기포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 등의 특징을 지닌 여러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이 연구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2는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1)는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30)과, 구동 드라이버인 데이터 드라이버(40) 및 게이트 드라이버(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30)은 TFT기판(10)과 컬러필터기판(20) 그리고, TFT기판(10)과 컬러필터기판(20)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TFT기판(10)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미도시)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형성되며, 일 화소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화소전극(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기판(20)에는 화소영역에 대응되며 순차 반복적으로 구비된 되는 적, 녹, 청색 컬러필터패턴(미도시)을 포함하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기판(20)에서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등의 비표시요소를 가리기 위한 블랙매트릭스(미도시)와, 공통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TFT기판(10)과 컬러필터기판(20)의 외면에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편광판(5) 및 제2편광판(25)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30)의 외곽에는 위치하며 표시패널(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에 구현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표시패널(30)의 게이트 제어 신호 등을 전달하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데이터 제어 신호 등을 전달하는 데이터 인쇄회로기판(60)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미도시, 60)은 표시패널(30)의 외곽인 비표시영역(베젤부)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미도시, 60)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형태로 실장되거나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42, 52)를 통해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40)는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42) 및 표시패널(30)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드라이버 IC(44)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50)는 게이트 연성인쇄회로기판(52) 및 표시패널(30)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IC(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드라이버(40) 및 게이트 드라이버(50) 등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 영상표시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영상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은 최대로 형성하고 비표시영역(베젤부)을 가능한 작게 형성하도록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표시패널(30)의 비표시영역에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42) 및 게이트 연성인쇄회로기판(52)를 개재하여 데이터 인쇄회로기판(60)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하는 경우에 일정한 베젤 폭이 요구된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의 최소 2개의 측면에 대해 게이트 인쇄회로기판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60)이 게이트 연성인쇄회로기판(52) 및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42)을 통해 게이트 패드전극 또는 데이터 패드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42)은 TFT기판(10)의 비표시영역에 실장되며, 실장된 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딩하여 TFT기판(1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등과 함께 모듈화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영상표시장치(1)는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42) 등이 TFT기판(10)의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후 밴딩하여 최종적으로 TFT기판(10)의 배면에 위치하기 위한 폭(l)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영상표시장치(1)의 각 베젤부는 상기 폭(l)만큼 더 확장된 베젤 폭이 요구되므로, 네로우 베젤을 갖는 보더레스(Borderless) 영상표시장치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FT기판 및 컬러필터기판의 반전을 통하여 4면 Borderless 표시패널을 구현함에 있어서 베젤 부에 대응하여 테두리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베젤 부에서의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4면 Borderless 표시패널에 있어서 반사 방지를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에 따른 단차로 인하여 편광판 부착 시 발생하는 기포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는,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 합착하며 다수의 컬러필터패턴이 형성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위치를 반전시켜 상기 제 1 기판이 표시면이 되도록 구현하고,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후 상기 제 1 기판의 끝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밴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금속패턴에서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 패턴의 폭에 의한 단차를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에 투명 레진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패턴 및 투명 레진은 스크린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 합착하며 다수의 컬러필터패턴이 형성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위치를 반전시켜 상기 제 1 기판이 표시면이 되도록 구현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금속패턴에서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두리 패턴의 폭에 의한 단차를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에 투명 레진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 패턴 및 투명 레진은 스크린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후 상기 제 1 기판의 끝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밴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TFT기판 및 컬러필터기판의 반전을 통하여 4면 Borderless 표시패널을 구현함에 있어서 베젤 부에 대응하여 테두리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베젤 부에서의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프린팅을 통한 TFT기판의 표시영역에 투명 레진을 인쇄함에 따라 표시패널과 테두리 패턴 간 단차를 극복함에 따라 단차에 의해 편광판 부착 시 발생하는 기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반사 방지를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에 따른 단차로 인하여 편광판 부착 시 발생하는 기포 발생 불량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레진 인쇄를 통한 기포 발생 불량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로 액정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등 여러 평판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영역(미도시)을 포함하는 표시패널(130)과, 데이터 드라이버(140),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30)은 TFT기판(110)과 컬러필터기판(120) 그리고, TFT기판(110)과 컬러필터기판(120)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TFT기판(110)의 비표시영역에는 구동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다수의 게이트 패드전극(미도시) 및 데이터 패드전극(미도시)과, 이들과 각각 연결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링크 배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TFT기판(110)의 표시영역에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정의되는 다수의 화소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배선은 게이트 패드전극과 게이트 링크 배선을 통해 연결되며 제 1 방향(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데이터 배선은 데이터 패드전극과 데이터 링크 배선과 연결되며 제 2 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TFT기판(110)의 표시영역의 각 화소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화소전극(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 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하이 전압을 공급 받는 경우에 턴-온(Turn-On)되고, 턴-온되는 시간 동안에 데이터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을 화소영역의 화소전극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로우 전압을 공급 받는 경우에는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화소전극에 충전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액정의 배열 상태가 변화시켜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계조를 구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컬러필터기판(120)에는 화소영역에 대응되며 순차 반복적으로 구비된 되는 적, 녹, 청색 컬러필터패턴(미도시)을 포함하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기판(120)에서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등의 비표시요소를 가리기 위한 블랙매트릭스(미도시)와, 공통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TFT기판(110)과 컬러필터기판(120)의 외면에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편광판(105) 및 제2편광판(125)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130)의 외곽에는 위치하며 표시패널(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에 구현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표시패널(130)의 게이트 제어 신호 등을 전달하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데이터 제어 신호 등을 전달하는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60)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미도시, 160)은 표시패널(130)의 외곽인 비표시영역(베젤부)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미도시, 160)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형태로 실장되거나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40)는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패널(130)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드라이버 IC(도1의 44)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40)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 등으로부터 전달 받은 변환된 영상 신호(RGB)와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샘플링 클럭(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 등과 같은 드라이버 IC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신호를 다수의 데이터 배선을 통해 표시패널(130)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게이트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표시패널(130)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IC(도1의 54)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GIP(Gate In Panel)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전달 받은 다수의 게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배선을 통해 표시패널(130)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드라이버(140) 및 게이트 드라이버 등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래픽 카드와 같은 시스템(System)으로부터 다수의 영상 신호 및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과 같은 다수의 제어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때,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인터페이스는, 시스템(System)으로부터 전달 받은 다수의 영상 신호 및 다수의 제어 신호를 LVDS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LVDS 송신부(미도시)와, LVDS 송신부로부터 LVDS 신호로 변환된 다수의 N 비트 영상 신호 및 다수의 제어 신호를 전달 받는 LVDS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VDS 송신부는 시스템(System)에 내장되고, LVDS 수신부는 타이밍 제어부에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는, 다수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와 데이터 드라이버(14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마전압생성회로(미도시) 및 전원공급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감마전압생성회로는 고전위 전압과 저전위 전압을 분압하여 다수의 감마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드라이버(14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회로는, 외부로부터 전달 받은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TFT기판(110) 및 컬러필터기판(120)의 위치를 반전시켜 TFT기판(110)을 표시면(시야면)으로 구현하도록 표시패널(130)을 제작함에 따라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이 TFT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후 밴딩하여 최종적으로 TFT기판의 배면에 위치하기 위한 폭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TFT기판의 끝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는 베젤부의 폭이 감소할 수 있어 네로우 베젤을 갖는 보더레스(Borderless) 영상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TFT기판(110) 및 컬러필터기판(120)의 위치를 반전시킨 표시패널(130)을 구현함으로 인하여 표시패널(130)의 비표시영역(베젤 부)의 금속패턴(패드전극 등)에 의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로 인하여 영상표시장치의 시감 특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TFT기판 및 컬러필터기판의 위치를 반전시킨 표시패널을 구현함에 있어서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베젤 부)의 금속패턴(패드전극 등)에 의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표시영역(베젤 부)에 대응하여 테두리 패턴(PTN)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 패턴(PTN)은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베젤 부)의 금속패턴에 의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블랙인 패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TFT기판 및 컬러필터기판의 위치를 반전시킨 영상표시장치에서 외광 반사 방지를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에 따른 단차로 인하여 편광판 부착 시 발생하는 기포 불량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반사 방지를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에 따른 단차로 인하여 편광판 부착 시 발생하는 기포 발생 불량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는 베젤부의 금속패턴에 의한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위한 테두리 패턴(PTN)을 구비함에 따라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에 의해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에 의한 단차는 TFT기판(110)의 표시면(외면)에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편광판(105)을 부착함에 있어서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 편광판(105)의 접착층은 주로 경화된 상태로 존재하며, 그러한 경화된 접착층이 단차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하게 되면 완전히 부착되지 못하고 단차 부분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에서 테두리 패턴(PTN)을 형성한 후 제1 편광판(105)을 부착함에 있어서도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에 의한 단차로 인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편광판(105)이 TFT기판(110)의 표면에 완전히 부착되지 못하고 들떠서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A 참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패턴(PTN)은 표시패널(130)의 4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TFT기판(110)의 표시면(외면)에 일 방향을 따라 제1 편광판(105)을 부착함에 있어서, 표시패널의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베젤부)의 경계마다 라인성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30)의 제 1 내지 제 4 영역(S1 내지 S4)를 확대해서 살펴보면, 표시패널(130)의 4면에서 비표시영역(a)과 표시영역(c)과 경계에 라인성 기포(b)가 발생하게 된다. (테두리 패턴의 두께가 6.3㎛인 경우)
그리고, 이러한 라인성 기포(b)의 발생은 단차의 높이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편광판의 접착층(PSA)의 두께가 약 25㎛인데,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가 5~7㎛인 경우에도 그 단차로 인하여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가 3㎛ 이하인 경우에는 라인성 기포(b)의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이하에서는 테두리 패턴을 형성에 따른 단차로 인하여 편광판 부착 시 발생하는 기포 발생 불량을 방지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레진 인쇄를 통한 기포 발생 불량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5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TFT기판(110)의 비표시영역에는 테두리 패턴(PTN)이 형성되고, TFT기판(110)의 표시영역에는 투명 레진(Resin)을 인쇄할 수 있다.
이때, 테두리 패턴(PTN) 및 투명 레진(Resin)은 모두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FT기판(110)의 비표시영역에 비표시영역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의 1도 인쇄를 통해 테두리 패턴(PTN)을 형성하고, TFT기판(110)의 표시영역에 표시영역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의 2도 인쇄를 통해 투명 레진(Resin)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TFT기판(110)의 비표시영역에 테두리 패턴(PTN)을 형성하는 경우에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에 의해 단차가 생겨 기포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의 2도 인쇄를 통해 투명 레진(Resin)을 형성함에 따라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를 보완하게 된다.
그리고,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를 보완된 상태에서 TFT기판(110)의 표시면(외면)에서 제1 편광판(105)을 부착하면,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편광판(105)은 평평한 상태로 TFT기판(110)의 표시면(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투명 레진(Resin)을 형성하여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를 보완함에 따라 단차를 제거한 후 TFT기판(110)의 표시면(외면)에서 제1 편광판(105)을 부착하게 되면, 평평한 상태로 TFT기판(110)의 표시면(외면)에 부착할 수 있어 테두리 패턴(PTN)의 단차로 인한 라인성 기포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도7은 표시패널(130)의 제 3 영역(S3)에서 비표시영역(a)과 표시영역(c)의 높이차를 나타내고, 도7의 2에서는 제 4 영역(S4)에서 비표시영역(a)과 표시영역(c)의 높이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30)의 제 3 영역(S3)의 표시영역(c) 및 비표시영역(a)의 높이차(x-x')가 1.3㎛가 되고 있다.
즉, TFT기판(110)의 표시영역에는 투명 레진(Resin)을 인쇄하는 과정에서 표시영역(c)의 투명 레진(Resin)가 비표시영역(a)의 테두리 패턴(PTN)보다 1.3㎛가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30)의 제 4 영역(S4)의 표시영역(c) 및 비표시영역(a)의 높이차(y-y')가 2.7㎛가 되고 있다.
즉, TFT기판(110)의 표시영역에는 투명 레진(Resin)을 인쇄하는 과정에서 표시영역(c)의 투명 레진(Resin)가 비표시영역(a)의 테두리 패턴(PTN)보다 2.7㎛가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영역(c) 및 비표시영역(a)의 높이차는 투명 레진(Resin)을 인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서, 제 1 내지 제 4 영역(S1 내지 S4)에서 상이한 높이차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높이차는 3㎛이하일 수 있다.
즉, 편광판을 부착함에 있어서, 테두리 패턴(PTN)의 두께가 3㎛ 이하인 경우에는 라인성 기포의 발생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와 같은 표시영역(c) 및 비표시영역(a)의 높이차로도 기포 발생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TFT기판의 표시면(외면)에 제1 편광판을 부착하기 전에 TFT기판(110)의 표시영역에는 투명 레진(Resin)을 인쇄하여 테두리 패턴에 의한 단차를 보완함에 따라 단차로 인한 라인성 기포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5: 제 1 편광판 110: TFT기판
120: 컬러필터기판 125: 제 2 편광판
130: 표시패널 140: 데이터 드라이버

Claims (7)

  1.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 합착하며 다수의 컬러필터패턴이 형성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위치를 반전시켜 상기 제 1 기판이 표시면이 되도록 구현하고,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후 상기 제 1 기판의 끝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밴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금속패턴에서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 패턴의 폭에 의한 단차를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에 투명 레진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패턴 및 투명 레진은 스크린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및 다수의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 합착하며 다수의 컬러필터패턴이 형성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위치를 반전시켜 상기 제 1 기판이 표시면이 되도록 구현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금속패턴에서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두리 패턴의 폭에 의한 단차를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에 투명 레진을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패턴 및 투명 레진은 스크린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게이트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후 상기 제 1 기판의 끝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밴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20045175A 2012-04-30 2012-04-30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175A KR101345279B1 (ko) 2012-04-30 2012-04-30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175A KR101345279B1 (ko) 2012-04-30 2012-04-30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107A true KR20130122107A (ko) 2013-11-07
KR101345279B1 KR101345279B1 (ko) 2013-12-26

Family

ID=4985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175A KR101345279B1 (ko) 2012-04-30 2012-04-30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2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3524A (zh) * 2015-07-24 2015-11-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模组及终端
CN107247372A (zh) * 2017-07-24 2017-10-1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智能移动设备
WO2021017223A1 (zh) * 2019-07-29 2021-02-0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屏及其制备方法
CN116149093A (zh) * 2023-04-23 2023-05-23 深圳赛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碎tft显示面板承载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803A (ko) 2015-10-15 2017-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3322A (ja) 2005-03-03 2006-09-14 Seiko Epson Corp パネルアッセンブリ、および移動体の表示モジュー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3524A (zh) * 2015-07-24 2015-11-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模组及终端
CN105023524B (zh) * 2015-07-24 2017-06-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模组及终端
CN107247372A (zh) * 2017-07-24 2017-10-1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智能移动设备
WO2021017223A1 (zh) * 2019-07-29 2021-02-0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屏及其制备方法
CN116149093A (zh) * 2023-04-23 2023-05-23 深圳赛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碎tft显示面板承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279B1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32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display device
CN100426498C (zh) 用于封装驱动集成电路的显示器件的基板
KR101931248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351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4527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79779B1 (ko) 칩 온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108057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80088387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40013902A (ko) 표시장치
KR20150101044A (ko) 표시 장치
KR10196890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6653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50228B1 (ko) 다중 실 라인 및 블랙매트릭스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037331A (ko) 액정표시장치
KR10160449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46984B1 (ko) 표시장치
KR20080002336A (ko) 액정표시장치
US74328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20113903A (ko) 액정 표시장치
KR20090081948A (ko) 액정패널유닛,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62709B1 (ko) 평판표시장치
KR102237751B1 (ko) 표시 장치
KR202000823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3273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283144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