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577A - 압연코일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코일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577A
KR20130121577A KR1020120044904A KR20120044904A KR20130121577A KR 20130121577 A KR20130121577 A KR 20130121577A KR 1020120044904 A KR1020120044904 A KR 1020120044904A KR 20120044904 A KR20120044904 A KR 20120044904A KR 20130121577 A KR20130121577 A KR 2013012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ing coil
guide
pai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용
김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1577A/ko
Publication of KR2013012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to vertical edge portions of sheets, tubes, or like thin or thin-walled articles
    • B66C1/485Coil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Abstract

압연코일이송장치가 개시된다. 압연코일을 공중으로 운반하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에 의해 운반된 상기 압연코일이 상부면을 따라 목표지점까지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운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상기 운반부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부, 및 상기 위치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상대적 위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연코일이송장치{Apparatus for conveying rolling coil}
본 발명은 압연코일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연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강판은 코일형태로 권취되어 오버헤드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어 진다. 압연코일은 크레인에 의해 새들(saddle) 위에 놓여지고 정정처리를 위해 SPM(skin pass mil)공정으로 이동된다. 새들에서 SPM공정으로 압연코일을 이동시키는 것은 새들의 하부에 설치된 워킹빔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워킹빔의 폭이 코일의 폭에 비해 좁기 때문에, 코일이 새들 위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워킹빔이 코일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코일이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0919호(2009.07.29 등록, 슬래브 위치 자동 조정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압연코일을 가이드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반부에 위치 측정부를 구비하고, 위치 측정부에서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가이드부의 중앙에 압연코일을 위치하게 할 수 있는 압연코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압연코일을 공중으로 운반하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에 의해 운반된 상기 압연코일이 상부면을 따라 목표지점까지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운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상기 운반부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위치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상대적 위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정부는 한 쌍으로 상기 운반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각각의 면적이 비교되어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압연코일이송장치는 상기 목표지점에서의 상기 압연코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정부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연코일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 데이터를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압연코일을 가이드부의 중앙에 안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압연코일이 가이드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편심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부가 측정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각각의 면적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리프트부가 대상체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코일이송장치는 열연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강판을 코일형태로 권취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반부(100), 가이드부(200), 위치 측정부(300) 및 출력부(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운반부(100)에 의해 열연공정을 거친 압연코일(C)은 가이드부(200)로 운반되고, 가이드부(200)로 운반된 압연코일(C)은 목표지점까지 수평이동되며, 목표지점까지 이동된 압연코일(C)은 리프트부(500)에 의하여 들어올려져 SPM(skin pass mil)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운반부(100)는 열연공정을 거친 압연코일(C)을 들어올려 가이드부(200)의 상부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운반부(100)는 기중기 또는 크레인 일 수 있다.
가이드부(200)는 운반부(100)로부터 전달된 압연코일(C)을 목표지점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운반부(100)의 운전자는 압연코일을 가이드부(200)의 정중앙에 안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운반부(100)에 설치되는 위치 측정부(300)는 운반부(100)의 운전자가 압연코일을 가이드부(200)의 정중앙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부(200)에 대한 운반부(10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운반부(100)에 설치되는 위치 측정부(300)는 가이드부(200)의 영상을 취득하여 가이드부(200)에 대한 운반부(10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위치 측정부(30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는 가이드부(200)의 영상을 취득하여 가이드부(200)와 운반부(100)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출력부(400)는 위치 측정부(300)에서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여 운반부(100)의 운전자가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운반부(100)의 운전자는 출력부(400)에 표시된 위치 데이터를 가지고, 압연코일을 매달고 있는 운반부(100)와 압연코일(C)이 놓이게 될 가이드부(200)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운반부(100)가 가이드부(200)의 중앙부가 동일 수직선상에 놓이게 될 때, 운전자는 운반부(100)를 하강시키고, 운반부(100)에 매달려 있는 압연코일(C)을 가이드부(200)의 정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부(200)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00)는 새들(saddle)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는 경우 위치 측정부(300)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위치 측정부(300)는 운반부(100)의 좌측 및 우측 양단에 설치되어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각각의 면적을 비교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출력부(400)가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 쌍의 위치 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된 각 가이드 레일의 면적(200')이 일치하지 않으면 운전자는 운반부(100)를 좌우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면적을 동일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운전자는 출력부(400)에서 출력된 위치 정보를 가지고, 운반부(100)가 가이드부(200)의 상부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고, 운반부(100)가 가이드부(200)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운반부(100)를 이동하여 운반부(100)가 가이드부(200)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다.
한 쌍의 위치 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된 가이드 레일의 면적(200')이 동일하게 되면, 운반부(100)가 가이드부(200)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운전자는 운반부(100)를 하강하여 가이드부(200)의 상부에 압연코일(C)을 위치시키게 된다.
운반부(100)가 가이드부(200)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하게 될때 운반부(100)를 하강하여 압연코일(C)을 가이드부(200)의 상부면에 위치시키면 압연코일(C) 또한 가이드부(200)의 상부면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연코일(C)을 SPM 공정으로 진행시키기 위하여 후술할 리프트부(500)가 압연코일(C)을 상승시킬 때, 리프트부(500)와 압연코일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 즉 편심으로 인한 압연코일(C)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코일이송장치는 리프트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500)는 가이드부(200)에 의해 전달된 압연코일(C)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켜 SPM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리프트부(500)가 압연코일(C)을 수직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압연코일(C)이 리프트부(500)의 정중앙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압연코일(C)이 리프트로부터 추락하거나 전도될 위험이 산재하는 것이므로, 압연코일(C)이 리프트부(500)의 정중앙 상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고, 따라서 운반부(100)로부터 압연코일이 가이드부(200)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프트부(50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압연코일(C)과 접하는 받침부(510) 및 받침부(5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승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부(500)는 압연코일(C)을 상승시켜 SPM공정으로 이송시키고, 압연코일(C)과 분리된 리프트부(500)는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다음 압연코일(C)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운반부
200: 가이드부
200': 가이드 레일의 면적
300: 위치 측정부
400: 출력부
500: 리프트부
510: 받침부
520: 상승부
C: 압연코일

Claims (7)

  1. 압연코일을 공중으로 운반하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에 의해 운반된 상기 압연코일이 상부면을 따라 목표지점까지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운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상기 운반부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부; 및
    상기 위치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운반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각각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한 쌍의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각각의 면적이 비교되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지점에서의 상기 압연코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이송장치.
KR1020120044904A 2012-04-27 2012-04-27 압연코일이송장치 KR20130121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904A KR20130121577A (ko) 2012-04-27 2012-04-27 압연코일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904A KR20130121577A (ko) 2012-04-27 2012-04-27 압연코일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77A true KR20130121577A (ko) 2013-11-06

Family

ID=4985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904A KR20130121577A (ko) 2012-04-27 2012-04-27 압연코일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15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6022A (zh) * 2013-12-09 2014-03-12 天津市金万方钢结构有限公司 一种钢卷吊装工装
US9896316B2 (en) 2016-06-30 2018-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d effector for a transport device for the movement of parent rolls of convolutely wound web materi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6022A (zh) * 2013-12-09 2014-03-12 天津市金万方钢结构有限公司 一种钢卷吊装工装
US9896316B2 (en) 2016-06-30 2018-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d effector for a transport device for the movement of parent rolls of convolutely wound web materi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9829B (zh) 用于确定轨道的高度误差和横向位置误差的方法以及轨道机
EP3128644B1 (en)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and 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2006290599A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US20170194182A1 (en) Carrier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MY176414A (en) Gantry configuration for combined mobile radiation inspection system
IL276245A (en) A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woofer defects using images of a defective woofer, based on deep learning
KR20130121577A (ko) 압연코일이송장치
JP6206747B2 (ja) キャリアの一時保管装置と保管方法
JP5983311B2 (ja) 鋼板形状矯正方法
JP2012228706A (ja) 矯正プレス
JP2015148522A (ja) 画像処理による架線位置測定装置及び架線位置測定方法
US2021022141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position of a vehicle and associated control assembly
JP6677344B2 (ja) 帯状体の蛇行量測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帯状体の蛇行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DE50301927D1 (de) Verfahren zum lagegenauen aufstellen eines fahewegtr gers un d farhweg
US20090294223A1 (en) Braking apparatus
KR101830486B1 (ko) 소재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JP2017030945A (ja) 搬送車への移載データのティーチング方法とティーチングシステム
JP5396818B2 (ja) コイル吊り上げ方法及びリフター
KR20170137363A (ko)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카
JP7173290B2 (ja) 搬送車システム
KR20200033683A (ko) 용접변형 교정 지그
KR101204849B1 (ko) 열연코일용 권취형상 측정장치
JP5408797B2 (ja) 注湯設備
JP5137865B2 (ja) 電解精製用陽極板の垂直性検査装置及び垂直性検査方法
JP2018151222A (ja) 鋼板の歪み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