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708A -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708A
KR20130120708A KR1020120043812A KR20120043812A KR20130120708A KR 20130120708 A KR20130120708 A KR 20130120708A KR 1020120043812 A KR1020120043812 A KR 1020120043812A KR 20120043812 A KR20120043812 A KR 20120043812A KR 20130120708 A KR20130120708 A KR 20130120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electronic pen
input device
display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라
이정석
윤인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708A/ko
Priority to CN2013101503978A priority patent/CN103376949A/zh
Priority to US13/871,567 priority patent/US20130285957A1/en
Priority to EP13165653.0A priority patent/EP2672363A3/en
Publication of KR2013012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부착되어 입력기기의 터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와, 상기 입력기기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상기 입력기기가 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펜에 의한 입력 시 진동 세기를 이용하여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입력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패턴 인식을 이용한 입력 위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ING MULTIPLEX DISPLAY PAN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단순히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기능 외에 화면상에 손가락이나 펜의 위치를 인식하여 위치에 따른 입력을 수행하는 입력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기능을 예를 들면, 패턴 인식을 이용한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위치를 센싱하여 위치에 따른 입력을 수행하는 기능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턴 인식을 이용한 방식은 전자펜 등과 같은 카메라를 구비한 입력기기(이하 '전자펜'으로 설명함)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패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패턴을 인식하여 패턴에 해당하는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값을 통해 입력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패턴 인식을 이용한 입력 방식은 전자 칠판 등에 이용되어 전자적 판서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패턴 인식을 이용한 방식은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패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좌표값만 검출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가 점점 커짐에 따라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데 반해, 디스플레이 패널은 크기가 커질수록 가격이 높아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여러 장 조합한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패턴 인식을 이용한 방식은 각각의 단일 디스플레이 내의 위치를 검출할 수는 있지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된 것인지는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패턴 인식을 이용한 방식이 사용조차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패턴 인식을 이용한 방식으로 입력 위치 검출이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위치가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로 변경된 경우에도 패널 변경에 대한 검출이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부착되어 입력기기의 터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와, 상기 입력기기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상기 입력기기가 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입력기기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기기가 터치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세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진동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상기 입력기기가 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펜에 의한 입력 시 진동 세기를 이용하여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입력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패턴 인식을 이용한 입력 위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펜의 드로잉 동작에 의한 입력 시 입력 위치가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로 변경된 경우 변경된 패널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패턴 인식을 이용한 위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값싼 진동 센서와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자펜에 의해 입력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분함으로써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쉽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 기기(이하 '전자펜'이라 칭함)에 의한 패턴 인식 방식으로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펜에 의한 입력이 수행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에 따라 입력이 수행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입력 위치를 계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드로잉 동작 등에 의해 전자펜이 위치한 좌표가 변화되는 경우 좌표(예컨대 X좌표)값의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전자펜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입력 위치를 계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각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등과 같이 패턴이 형성된 이면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이든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부화소들(R, G, B)과 블랙매트릭스(BM:Black Matrix)를 이용하여 화소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R, G, B 각각의 부화소는 화소의 위치 판단을 위해 미리 정해진 패턴 방식에 따라 내부의 특정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의 홀(hole)들을 포함한다. 이때 홀들은 블랙매트릭스 영역이 R, G, B 각각의 부화소 영역 내부로 인입되어 포함된 형태로서, 블랙매트릭스 영역의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은 R, G, B 영역에서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는 다른 물질도 가능하며,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패턴은 전자펜에 의해 촬영되어, 촬영된 영상에서 패턴이 인식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전자펜의 입력 위치가 계산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패턴은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위치만 계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세기 또는 전자펜이 위치한 좌표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위치인지 계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를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01), 제2 디스플레이 패널(102), 제3 디스플레이 패널(103)과 같이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연결한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와 같은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펜(200)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터치 온(touch on)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펜(200)의 터치 온에 의한 진동 세기를 감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된 진동 세기에 따라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101~103) 중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선택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01) 상의 전자펜(200)의 제1 입력 위치(1)에 해당하는 제1 위치값을 검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펜(200)이 제1 입력 위치(1)에서 터치 오프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한 드로잉 동작에 따라 제2 입력 위치(2)로 이동되는 경우, 전자펜(200)이 이동된 궤적상의 좌표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101~103)이 각각 (0, 0)에서 (1080, 1920)의 위치값들을 가질 경우, 전자펜(200)의 X좌표 값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값 예컨대 1000 이상이면, 전자펜(200)이 X방향의 다른 제2 디스플레이 패널(102)에 이동되어 위치하는 것이므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선택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02) 상의 전자펜(200)의 제2 입력 위치(2)에 해당하는 제2 위치값을 검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펜(200)이 터치 온 됨에 따른 진동세기에 따라 전자펜(200)이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들(101~103)들 중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온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펜(200)의 입력 위치가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101~103)중 어느 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로 변화된 경우에도 변화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인지 알 수 있게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개수 및 진동 센서의 개수 및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진동 센서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연결한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가운데 디스플레이 패널에 2개의 진동 센서가 부착되는 경우의 제1 실시예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연결한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에 진동 센서가 부착되는 경우의 제2 실시예를 각각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면, 도 3은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301, 302, 303)이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301, 302, 303) 중 가운데 2번째 디스플레이 패널(302)의 후면에 2개의 진동 센서(332, 334)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301), 제2 디스플레이 패널(302), 제3 디스플레이 패널(303), 제1 진동 센서(332), 제2 진동 센서(334), 제어부(310), 통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301), 제2 디스플레이 패널(302), 제3 디스플레이 패널(30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을 구비하고, 전자펜(200)이 터치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제1 진동 센서(332) 및 제2 진동 센서(334)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중 가운데 제2 디스플레이 패널(302)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후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제1 진동 센서(332) 및 제2 진동 센서(334)는 전자펜(200)이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세기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제어부(310)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전달받아,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경우 제1 진동 센서(332) 및 제2 진동 센서(334)로부터 수신된 진동 세기에 따라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중 전자펜(200)이 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통신부(320)에 의해 수신된 전자펜(200)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입력 위치를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전자펜(200)이 터치 오프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한 드로잉 동작에 따라 입력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전자펜(200)이 이동된 궤적상의 좌표값(x좌표)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한다.
통신부(320)는 지그비(zeegbe)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펜(200)으로부터 좌표값을 수신한다. 이때 전자펜(200)은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터치되거나 근접하는 등에 의한 입력을 수행할 경우 해당 입력 위치에 형성된 패턴을 촬영하고, 촬영된 패턴 영상에서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좌표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전자펜(200)은 계산된 좌표값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송신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어부(310)는 502단계에서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에 전자펜(200)이 터치 온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각각은 전자펜(200)이 터치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하고, 제어부(310)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로부터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제공받아 전자펜(200)이 터치 온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각각은 물체가 터치될(닿을) 때 발생하는 주파수를 감지하여, 측정된 주파수가 전자펜(200)의 터치에 의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면, 전자펜(200)이 터치 온 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펜(200)의 터치에 의한 주파수 대역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자펜(200)이 닿을 경우, 그 전자펜(200)에 의한 고유 주파수가 발생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손가락이 닿을 경우 저주파수가 발생하고, 딱딱한 물체가 닿을 경우 고주파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펜(200)의 펜팁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닿을 때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을 미리 정해두고, 측정된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경우 전자펜(200)이 터치 온 된 것으로 감지한다.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에 전자펜(200)이 터치 온되면 제어부(310)는 504단계에서 제1 및 제2 진동 센서(332, 334)로부터 전자펜(200)의 터치 온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한 제1 및 제2 진동 세기를 수신한다. 이때 제1 진동 센서(332) 및 제2 진동 센서(334)는 각각 전자펜(200)이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에 대한 제1 및 제2 진동 세기를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진동 센서(332, 334)로부터 각각 측정되는 제1 및 제2 진동 세기는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위치(진원지)와 제1 및 제2 진동 센서(332, 334) 각각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제1 및 제2 진동 세기를 이용하면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인지 구분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506단계에서 제1 진동 세기 및 제2 진동 세기 각각이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 이상인지 판단한다. 제1 임계값(th1)은 전자펜(200)의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601~603)에 대한 터치 온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 진동 세기값으로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 진동 세기 및 제2 진동 세기 각각이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 이상이면 508단계에서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위치를 제2 디스플레이 패널(302)로 선택한다.
만약 제1 및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310)는 510단계에서 제1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 이상이고,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제 제1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 이상이고,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보다 작으면 512단계에서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위치를 제1 디스플레이 패널(301)로 선택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514단계에서 제1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 보다 작고,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이상인지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제1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 보다 작고,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th1)이상이면 516단계에서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위치를 제3 디스플레이 패널(303)로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펜(200)이 터치온 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면 제어부(310)는 518단계에서 전자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좌표값(제N 좌표값, N=1)과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제1 입력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310)는 520단계에서 전자펜(200)이 터치 오프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펜(200)이 터치 오프되면 종료하고, 전자펜(200)이 터치 오프되지 않으면 52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310)는 522단계에서 N값을 1올리고, 전자펜(200)으로부터 제N 좌표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524단계에서 현재 수신된 좌표값의 X값(XN)에서 이전 수신된 좌표값의 X값(XN-1)을 뺀 값(XN - XN-1)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때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이 1080×1920의 해상도를 가짐에 따라 (0, 0)~(1080, 1920)의 좌표값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1000이 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각각이 (0, 0)~(1080, 1920)의 좌표값을 가지는 경우, 터치펜(200)이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결되는 경계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변경된 경우 좌표값이 1080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080으로 급격히 변화되기 때문이다.
제어부(310)는 (XN - XN-1)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면, 526단계에서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우측 디스플레이 패널로 선택한다.
한편, 제어부(310)는 XN - XN-1의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 아니면, 528단계에서 XN - XN-1의 값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이때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은 -1000이 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 각각이 (0, 0)~(1080, 1920)의 좌표값을 가지는 경우, 터치펜(200)이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결되는 경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변경된 경우 좌표값이 0에서 1080으로 급격히 변화되기 때문이다.
제어부(310)는 (XN - XN-1)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이하이면, 530단계에서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좌측 디스플레이 패널로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532단계에서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제N 입력 위치를 계산하고 520단계로 되돌아간다. 제어부(310)는 터치 오프될 때까지 520단계 내지 53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동작에 따르면,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경우, 2개의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분할 수 있어 전자펜(200)이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에 위치하는지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정확한 위치 계산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면, 도 6은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601, 602, 603)이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601, 602, 603) 각각의 후면에 진동 센서들(632, 634, 636)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601), 제2 디스플레이 패널(602), 제3 디스플레이 패널(603), 제1 진동 센서(632), 제2 진동 센서(634), 제3 진동 센서(636), 제어부(610), 통신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601), 제2 디스플레이 패널(602), 제3 디스플레이 패널(60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을 구비하고, 전자펜(200)이 터치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610)로 전달한다.
제1 진동 센서(632), 제2 진동 센서(634), 제3 진동 센서(636)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의 상단 후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진동 센서(632~636)는 전자펜(200)이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세기를 제어부(610)로 전달한다.
제어부(610)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전달받아,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610)는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경우 제1 내지 제3 진동 센서(632~636)는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진동 세기에 따라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중 전자펜(200)이 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610)는 통신부(620)에 의해 수신된 전자펜(200)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입력 위치를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610)는 전자펜(200)이 터치 오프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한 드로잉 동작에 따라 입력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전자펜(200)이 이동된 궤적상의 좌표값(x좌표)의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한다.
통신부(620)는 지그비(zeegbe)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펜(200)으로부터 입력 위치 좌표값을 수신한다. 이때 전자펜(200)은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터치되거나 근접하는 등에 의한 입력을 수행할 경우 해당 입력 위치에 형성된 패턴을 촬영하고, 촬영된 패턴 영상에서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좌표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전자펜(200)은 계산된 좌표값을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송신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어부(610)는 802단계에서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301~303)에 전자펜(200)이 터치 온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각각은 전자펜(200)이 터치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610)로 전달하고, 제어부(310)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로부터 전자펜(200)의 터치 온 여부를 제공받아 전자펜(200)이 터치 온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각각은 물체가 터치될(닿을) 때 발생하는 주파수를 감지하여, 측정된 주파수가 전자펜(200)의 터치에 의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면, 전자펜(200)이 터치 온 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펜(200)의 터치에 의한 주파수 대역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자펜(200)이 닿을 경우, 그 전자펜(200)에 의한 고유 주파수가 발생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에 전자펜(200)이 터치 온되면 제어부(610)는 804단계에서 제1 내지 제3 진동 센서(632, 634, 636)로부터 전자펜(200)의 터치 온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한 제1 및 제2 제3 진동 세기를 수신한다. 이때 제1 내지 제3 진동 센서(632, 634, 636)는 각각 전자펜(200)이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에 대한 제1 및 제2 및 제3 진동 세기를 제어부(6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은 단절(isolation)이 된 상태로 서로간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 제1 내지 제3 진동 센서(632, 634, 636)로부터 각각 측정되는 제1 및 제2 및 제3 진동 세기를 이용하면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인지 선택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어부(610)는 806단계에서 제1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th2) 보다 큰지 판단한다. 제2 임계값(th2)은 전자펜(200)의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601~603)에 대한 터치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진동 세기값으로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th2)보다 크면 808단계에서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위치를 제1 디스플레이 패널(602)로 선택한다.
또한 제1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th2) 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610)는 810단계에서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th2)보다 큰지 판단한다. 제어부(610)는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th2)보다 크면 812단계에서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위치를 제2 디스플레이 패널(602)로 선택한다.
또한 제어부(610)는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th2) 보다 크지 않으면 814단계에서 제3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th2) 보다 큰지 판단한다. 제어부(610)는 제2 진동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값(th2)보다 크면 816단계에서 전자펜(200)이 터치 온된 위치를 제3 디스플레이 패널(603)로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펜(200)이 터치온 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면 제어부(610)는 818단계에서 전자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좌표값(제N 좌표값, N=1)과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제1 입력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도 8b를 참조하면, 제어부(610)는 820단계에서 전자펜(200)이 터치 오프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펜(200)이 터치 오프되면 종료하고, 전자펜(200)이 터치 오프되지 않으면 82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610)는 822단계에서 N값을 1올리고, 전자펜(200)으로부터 제N 좌표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610)는 824단계에서 현재 수신된 좌표값의 X값(XN)에서 이전 수신된 좌표값의 X값(XN-1)을 뺀 값(XN - XN-1)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때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이 1080×1920의 해상도를 가짐에 따라 (0, 0)~(1080, 1920)의 좌표값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1000이 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각각이 (0, 0)~(1080, 1920)의 좌표값을 가지는 경우, 터치펜(200)이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결되는 경계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변경된 경우 좌표값이 1080에서 0으로 급격히 변화되기 때문이다.
제어부(610)는 (XN - XN-1)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면, 826단계에서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우측 디스플레이 패널로 선택한다.
한편, 제어부(610)는 XN - XN-1의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 아니면, 828단계에서 XN - XN-1의 값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이때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은 -1000이 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패널들(601~603) 각각이 (0, 0)~(1080, 1920)의 좌표값을 가지는 경우, 터치펜(200)이 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결되는 경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변경된 경우 좌표값이 0에서 1080으로 급격히 변화되기 때문이다.
제어부(610)는 (XN - XN-1)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이하이면, 830단계에서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좌측 디스플레이 패널로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610)는 832단계에서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제N 입력 위치를 계산하고 820단계로 되돌아간다. 제어부(310)는 터치 오프될 때까지 820단계 내지 832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동작에 따르면,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경우, 각각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3개의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펜(20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할 수 있어, 전자펜(200)의 정확한 위치 계산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 위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는 복수 개라면 몇 개이든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 내지 3개의 진동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자펜이 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분할 수 있다면 진동 센서의 수는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같은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부착되어 입력기기의 터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와,
    상기 입력기기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상기 입력기기가 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기로부터 상기 입력기기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패턴이 인식됨에 따라 산출된 좌표값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기기로부터의 좌표값과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기기의 입력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기기로부터의 좌표값이 변화되는 경우, 상기 좌표값의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기기가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연결된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는 2개의 진동 센서이며, 상기 2개의 진동 센서는 상기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가운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연결된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는 3개의 진동 센서이며, 상기 3개의 진동 센서는 상기 3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각각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7.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입력기기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기기가 터치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세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진동 세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상기 입력기기가 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기로부터 상기 입력기기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패턴이 인식됨에 따라 산출된 좌표값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기로부터의 수신된 좌표값과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기기의 입력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기로부터의 좌표값이 변화되는 경우, 상기 좌표값의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기기가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20043812A 2012-04-26 2012-04-26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30120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12A KR20130120708A (ko) 2012-04-26 2012-04-26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2013101503978A CN103376949A (zh) 2012-04-26 2013-04-26 使用多个显示面板的显示设备和方法
US13/871,567 US20130285957A1 (en) 2012-04-26 2013-04-26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EP13165653.0A EP2672363A3 (en) 2012-04-26 2013-04-26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12A KR20130120708A (ko) 2012-04-26 2012-04-26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08A true KR20130120708A (ko) 2013-11-05

Family

ID=4832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12A KR20130120708A (ko) 2012-04-26 2012-04-26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85957A1 (ko)
EP (1) EP2672363A3 (ko)
KR (1) KR20130120708A (ko)
CN (1) CN1033769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3066B2 (en) 2014-03-05 2017-08-01 University Of Seoul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rrangement data between devices
US10025414B2 (en) 2015-03-11 2018-07-17 Samsun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and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5172B (zh) * 2013-12-17 2015-10-21 Inventec Corp ㄧ種觸控顯示裝置及其觸控操作方法
US10809842B2 (en) 2016-05-26 2020-10-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ve touch input device pairing negotiation
CN107515675B (zh) * 2017-08-23 2020-09-1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压力反馈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040440A (zh) * 2018-07-25 2018-12-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35817B1 (en) * 2021-10-07 2023-04-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haptic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485A (ja) * 1994-07-29 1996-02-16 Canon Inc 座標入力装置
JP3988476B2 (ja) * 2001-03-23 2007-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5346583A (ja) * 2004-06-04 2005-12-15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座標情報出力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WO2006001070A1 (ja) * 2004-06-25 2006-0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を用いたコマンド入力装置
US7499039B2 (en) * 2005-01-10 2009-03-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terative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location
US9019209B2 (en) * 2005-06-08 2015-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involving multiple touch location processes
JP4019114B1 (ja) * 2006-09-04 2007-12-12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情報出力装置
EP2179351A4 (en) * 2007-07-10 2013-03-27 Anoto Ab SYSTEM, SOFTWARE MODULE, AND METHODS FOR CREATING RESPONSE TO INPUT BY ELECTRONIC PEN
JP5046879B2 (ja) * 2007-11-16 2012-10-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座標パターン、座標パターンの表示装置及び読取装置
JP4926091B2 (ja) * 2008-02-19 2012-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音響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音源位置のポインティング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090256811A1 (en) * 2008-04-15 2009-10-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ptical touch screen
KR20110052621A (ko) * 2008-07-15 2011-05-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터치 접촉면을 통한 신호 전파 속도 변동의 보정 시스템 및 방법
US8863038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302026B2 (en) * 2008-11-28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anel user interface
JP4697558B2 (ja) * 2009-03-09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8934229B2 (en) * 2009-07-03 2015-01-13 Sony Corporation Electronics device having rotatable panels configured for display and adaptive interface
JP2011028555A (ja) * 2009-07-27 2011-02-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TW201209655A (en) * 2010-08-17 2012-03-01 Acer Inc Touch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30088427A1 (en) * 2011-10-11 2013-04-11 Eric Liu Multiple input areas for pen-based compu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3066B2 (en) 2014-03-05 2017-08-01 University Of Seoul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rrangement data between devices
US10025414B2 (en) 2015-03-11 2018-07-17 Samsun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and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6949A (zh) 2013-10-30
EP2672363A3 (en) 2014-06-11
EP2672363A2 (en) 2013-12-11
US20130285957A1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5595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駆動装置
KR1018116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오브젝트 표시 방법
US94542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lized force sensing
KR20130120708A (ko)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1800180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 sensing
US9448675B2 (en) Input sensing using a gate select line of a display device
US9372584B2 (en) Mitigating electrode interference in an integrated input device
US9329731B2 (en) Routing trace compensation
CN104571748A (zh) 触摸控制器、电子设备和显示设备、以及触摸感测方法
US9367189B2 (en) Compensating for source line interference
US101854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lized force sensing
US20150277607A1 (en)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50378498A1 (en) Hybrid capacitive sensor device
US10037112B2 (en) Sensing an active device'S transmission using timing interleaved with display updates
KR102008780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891774B2 (en) Touch noise canceling for dot-inversion driving scheme
KR20170138160A (ko) 표시장치
KR101403421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신호 검출 시스템
KR102235914B1 (ko)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4141627A1 (en)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utual capacitive sensor array, and sensor system
JP6262321B2 (ja) ワンチップタッチパネル駆動装置、これを含む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90041810A (ko) 엣지 파인 터치를 위한 터치 스크린
KR20150062175A (ko) 통합 터치 시스템 및 표시장치
KR20190001101A (ko) 터치스크린의 판서 특성 결정장치
KR20090002383A (ko) 터치 좌표값 산출 방법 및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