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88A -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88A
KR20130120288A KR1020120043427A KR20120043427A KR20130120288A KR 20130120288 A KR20130120288 A KR 20130120288A KR 1020120043427 A KR1020120043427 A KR 1020120043427A KR 20120043427 A KR20120043427 A KR 20120043427A KR 20130120288 A KR20130120288 A KR 20130120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monitoring
information
real
location information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175B1 (ko
Inventor
낭종호
유정수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17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2Input other than that of destination using image analysis, e.g. detection of road signs, lanes, buildings, real preceding vehicle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은,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가 도래될 때마다 차량 단말기들이 전송하는 현재위치정보와 차량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 차량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다수의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 서비스 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상기 다수의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할당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 대한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을 요청받으면,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를 상기 차량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검출하고, 그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푸쉬 요청을 하고, 상기 푸쉬 요청에 따라 차량 단말기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분할 영역에 할당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로 푸쉬하면, 그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Real ti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treet based on push typ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단말기를 기반으로 도로에 대해 고품위의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등과 같은 교통 방식은 배차의 정시성이 보장되어 배차 신뢰성을 제공함과 함께 각 정류장마다 지하철의 운행정보를 전광판과 음성정보를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등 이용자의 편의를 최대화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반 시내 버스나 자가용, 택시, 화물차 등 도로를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지하철 등의 교통 방식이 제공되지 않는 대부분의 지역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로를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경우에는 상습 정체 도로 구간이나 갑작스러운 교통사고 구간, 공사 구간 등을 알게 모르게 지나가야 하므로 정시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IT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다양한 형태의 단말이 개발되어 상용 서비스 또는 시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Mobile phone, Mobile Notebook, PDA), 기타 교통정보 전용단말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일부 교통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교통정보 제공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을 명칭으로 특허출원된 제10-2002-0076960호가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02-0076960호는 교통정보 시스템에서 수집한 교통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서 교통정보 수신장치로 상기 교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정보 수신장치가 상기 교통정보 수신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링크간 교통정보 소통상황을 상기 교통정보에 따라서 미리 설정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서비스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도로의 상태를 색상으로만 표시하므로 현장감있는 고품위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에 통합 노변기지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방법을 명칭으로 특허출원된 제10-2005-0119334호는, 교통관제서버 및 공중망, 가입자회선, 통합 노변기지국 장치, 외부의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교통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노변 기지국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통합 노변 기지국 시스템의 상기 통합 노변기지국 장치는, 상기 가입자회선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교통관련 정보를 교통관제서버와 송수신하는 가설사설망과, 상기 외부의 무선통신장치인 웹 카메라, 버스정보 키오스크 및 이동통신기기와 무선으로 교통관련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2무선 인터넷 접속장치와, 상기 제2무선 인터넷 접속장치에 의해, 상기 웹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화상정보 등의 교통관련 정보를 가설사설망을 통해 교통관제서버에 송신하거나, 다른 노변기지국에 송신하는 노변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웹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화상정보를 교통관제서버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집중화로 인한 서버 병목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종래에는 버스 등과 같이 지정된 차량 또는 노변에 설치한 카메라 장치를 통해서만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최근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과 같이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단말기가 개인의 차량에 급속도로 설치되어가고 있으므로, 이러한 차량용 단말기를 기반으로 도로에 대해 고품위의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차량 단말기를 기반으로 도로에 대해 고품위의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은,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가 도래될 때마다 차량 단말기들이 전송하는 현재위치정보와 차량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 차량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다수의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 서비스 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상기 다수의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할당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 대한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을 요청받으면,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를 상기 차량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검출하고, 그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푸쉬 요청을 하고, 상기 푸쉬 요청에 따라 차량 단말기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분할 영역에 할당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로 푸쉬하면, 그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차량 단말기를 기반으로 도로에 대해 고품위의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차량 단말기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영역 분할 및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 할당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많은 수의 차량 단말기를 기반으로 도로에 대해 고품위의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많은 수의 차량 단말기와의 통신 경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병목 현상을 최소화한다.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단말기들(1001~100n)로 구성되는 차량 단말기 그룹(100)과, 상기 차량 단말기들(1001~100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차량 식별정보 또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로 전달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들(1121~112n)로 구성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 그룹(112)과, 상기 차량 단말기들(1001~100n) 각각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102)와, 상기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102)로부터 상기 차량 단말기들(1001~100n) 각각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갱신하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104)와, 상기 차량 단말기들(1001~100n) 각각을 통한 도로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영역내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할당함을 물론이고, 외부로부터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 대한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을 요청받으면,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를 상기 위치저보 데이터베이스(104)에서 획득하여, 그 차량 단말기들로 도로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푸쉬 요청을 하고, 그 푸쉬 요청에 따라 전달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모니터링 단말기(110) 또는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베이스(108)로 전달하는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와,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로부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할영역별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 할당정보, 차량 단말기들(1001~100n)로부터의 도로 모니터링 정보 등을 저장하는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베이스(108)와,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를 통해 원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들을 안내받고, 그 중 어느 한 차량 단말기로부터의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는 모니터링 단말기(110)로 구성된다.
<차량 단말기의 구성>
상기 차량 단말기들(1001~100n)은 그 동작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 어느 한 차량 단말기(1001)의 구성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차량 단말기(1001)는 제어부(200)와 메모리부(202)와 GPS 수신모듈(204)와 촬상장치(106)와 촬상정보 처리부(208)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1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GPS 수신모듈(204)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에 따라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102)로 전달하며,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는 상기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102)가 제공하는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 또는 현재속도에 따라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GPS 수신모듈(204)에 의해 검출되는 현재위치의 시간당 변화정도를 토대로 현재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미리 정해둔 스위칭 확인 주기마다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에 의해 관리되는 분할영역별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 할당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확인하고, 그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자신의 통신 노드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의 푸쉬 요청에 따라 촬상장치(106)에 의한 정지영상 촬상정보 또는 동영상 촬상정보 및 차량식별정보,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통해 자신의 통신 노드로 결정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부(202)는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위치정보,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푸쉬하기 위한 통신노드 설정정보, 차량 식별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GPS 수신모듈(204)은 GPS 위성이 송출하는 GPS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GPS 정보에 따라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촬상장치(106)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촬상을 이행하고 그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촬상정보 처리부(208)에 제공한다.
상기 촬상정보 처리부(208)는 상기 촬상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상기 제어부(200)와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들(102,106,112)과의 통신을 담당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치 정보 업로드>
먼저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 단말기들(1001~100n)의 위치 정보 업로드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차량 단말기들(1001~100n) 중 어느 한 차량 단말기는 미리 정해진 위치 정보 업로드 주기가 도래되었는지를 체크한다(300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가 도래하였으면, 상기 차량 단말기는 GPS 정보에 따른 현재위치정보에 차량의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위치정보를 갱신하고(302단계), 그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102)로 업로드한다(304단계).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한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102)는 상기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하고(306,308단계),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A)을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한다(310단계).
Figure pat00001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의 산출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102)는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을 위치정보를 전송한 차량 단말기로 전송한다(312단계).
상기 위치정보의 업로드후에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이 수신되면(314단계), 상기 차량 단말기는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P)를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을 토대로 갱신한다(318단계).
Figure pat00002
상기한 바와 달리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이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 단말기는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P)를 수학식 3에 따라 갱신한다(316단계).
Figure pat00003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가 갱신된 후에 상기 차량 단말기는 갱신된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만큼 대기한 후에 상기 (300)단계로 복귀한다(320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를 정해진 범위내의 차량수 및 정해진 범위내의 영상요청수, 차량의 이동속도 등을 토대로 가변하여, 차량 단말기의 위치를 신뢰도있게 안내함과 더불어 위치정보의 업로드에 대한 부하를 절감시킨다.
<통신경로 설정과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위해서는 차량 단말기와의 통신경로가 항상 온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차량 단말기들과 통신경로를 유지하는 서버를 분산시켜 병목 현상을 회피함과 아울러 신뢰도 높은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경로 설정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영역을 설정한다(400단계). 이러한 서비스 영역은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등을 통해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관심 영역을 미리 정해둔 수의 하위 레벨 영역으로 균등 분할하고, 각 하위 레벨 영역에 대해 혼잡도를 검출한다(402단계). 여기서, 상기 혼잡도는 분할 영역내의 차량 단말기의 수 등으로 검출될 수 있고, 분할 영역내의 차량 단말기의 존재 유무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104)로부터 획득된다.
이후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상기 하위 레벨 영역들 중 혼잡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는 하위 레벨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404단계). 상기 혼잡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는 하위 레벨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혼잡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는 하위 레벨 영역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둔 수의 하위 레벨 영역으로 다시 균등 분할하고, 분할된 하위 레벨 영역들 각각에 대해 혼잡도를 검출한다(406단계).
이후 상기 검출된 혼잡도 중 임계치를 초과하는 하위 레벨 영역이 존재하면 해당 영역에 대한 분할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서비스 영역에 대해 혼잡도가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분할된 후에,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분할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인접한 두 분할영역의 혼잡도를 더한 것이 제2임계치 미만인 분할영역들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410단계).
상기 인접한 두 분할영역의 혼잡도를 더한 것이 제2임계치 미만인 분할영역들이 존재하면,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인접한 두 분할영역을 병합한다(412단계).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서비스 영역을 분할하고 이를 트리 구조화한 것을 예시한 것이 도 7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영역이 4개의 분할영역으로 균등 분할된 후에, 다시 각 분할영역이 다시 4개의 분할영역으로 균등분할되는 과정이 반복된 것이 도시되었다.
그리고 상기 분할영역 각각은 트리 구조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트리구조의 마지막 노드들 각각에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가 할당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인접한 두 분할영역의 혼잡도를 더한 것이 제2임계치 미만인 분할영역들은 물론이며 한 분할영역의 혼잡도가 제1임계치를 초과하는 분할영역들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할이 완료되면,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각 분할영역에 대해 대응되게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1121~112N)를 할당한다(414단계). 이에 해당 분할영역에 존재하는 차량 단말기들은 해당 분할영역에 할당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와 통신경로를 유지한 상태에서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의 요청에 따라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해당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 단말기들(1001~100n)은 스위칭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로부터 제공받아 해당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자신의 통신 노드로 재설정한다.
<스위칭 확인 절차>
상기한 차량 단말기는 이동가능한 차량에 위치하므로, 상기 임의로 정한 분할영역 사이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차량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 변경에 따라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푸쉬할 통신 노드인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재설정하며,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차량 단말기는 미리 정해둔 스위칭 확인 주기가 도래되는지를 체크한다(500단계). 상기 스위칭 확인 주기는 출퇴근 시간이나 주말 등과 같이 도로 상태가 급변하는 시기에는 단시간으로 설정되고, 야간 등에는 장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확인 주기가 도래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갱신한다(502단계).
상기 차량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그 위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와 이전에 설정된 통신노드인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가 동일한지를 체크한다(504단계).
상기 차량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그 위치에 대응되게 설정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와 이전에 설정된 통신노드인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가 동일하면, 스위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자신의 통신 노드로 재설정한다(506단계).
상기한 차량 단말기의 스위칭을 예시한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은 310 분할영역에서 1 분할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의 통신 노드 역시 310 분할영역에 대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에서 1 분할영역에 대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로 변경된다.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을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모니터링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관심지역이 선택되는지를 체크한다(600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관심지역이 선택되면,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110)는 관심지역 선택정보를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로 전송한다(602단계).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상기 관심지역을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존재하는 차량 단말기들을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104)로부터 획득하고, 그 분할영역에 존재하는 차량 단말기들로 위치 또는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를 요청하고(604단계), 그 푸쉬 요청에 따라 차량 단말기들이 위치 또는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그 관심지역을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할당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통해 제공하면(606단계), 그 위치 또는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들을 모니터링 단말기(110)로 제공한다(608단계).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110)는 상기 위치 또는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들을 표시하며(610단계), 이를 예시한 것이 도 9의 (a)~(c)이다. 도 9의 (a)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관심 지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 즉 차량의 위치를 도식적으로 안내한 것이고, 도 9의 (b)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들을 표시한 것이고, 도 9의 (c)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들로부터 제공된 정지 영상들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된 위치 또는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들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어느 한 촬상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612단계), 이를 예시한 것이 도 9의 (d)이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어느 한 촬상정보를 선택하면,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로 제공한다(614단계).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한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상기 선택정보에 따른 차량 단말기로 동영상 촬상정보 푸쉬 요청하고(616단계), 그 푸쉬 요청된 차량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 촬상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110)로 전달한다(618,620단계).
상기 동영상 촬상정보를 수신받은 모니터링 단말기(110)는 도 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영상 촬상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에 대해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 및 차량 식별정보를 안내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차량에서 촬상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10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가 촬상한 도로 모니터링 정보만을 수집하여 제공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위치정보 관리,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여 구성하였으나 시스템 부하 정도에 따라 하나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할 수 있음도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100 : 차량 단말기 그룹
102 :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
104 :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106 :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
108 : 도로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베이스
110 : 모니터링 단말기
112 :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 그룹

Claims (14)

  1.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차량 단말기에 있어서,
    촬상장치;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가 도래될 때마다 현재위치정보와 차량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의 푸시가 요청되면,
    상기 촬상장치를 통해 촬상된 촬상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자신의 현재위치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단말기의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를 차량 단말기의 속도에 대응되게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신의 위치가 속한 영역내의 차량수에 비례하며, 그 영역에 대한 평균영상요청수에 반비례하는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을 외부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에 대응되게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모니터링 정보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촬상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5.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차량 단말기들 각각이,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가 도래될 때마다 현재 위치정보와 차량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제1단계;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차량 단말기들로부터 위치정보들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제2단계;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할당하는 제3단계;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버가, 외부로부터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 대한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을 요청받으면,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를 상기 차량 단말기들의 위치정보들로부터 검출하고, 그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로 도로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푸쉬 요청을 하는 제4단계;
    상기 푸쉬 요청을 받은 차량 단말기는,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분할영역에 할당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로 푸쉬하는 제5단계;
    상기 도로 모니터링 정보 송수신 서버는, 상기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을 요청한 외부로 전달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기들 각각은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를 차량 단말기의 속도에 대응되게 변경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기들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둔 시기마다 해당 차량 단말기의 위치가 속한 분할 영역내의 차량수에 비례하며, 그 영역에 대한 평균영상요청수에 반비례하게 변경되는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을 생성하여 해당 차량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을 수신한 차량 단말기는,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에 대응되게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혼잡도를 검출하고,
    상기 분할영역들 중 혼잡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분할영역들에 대해서는, 분할영역내 혼잡도가 상기 제1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분할영역들 중 인접되는 분할영역들의 혼잡도를 더한 값이 제2임계치 미만이면 그 인접되는 분할영역들을 병합하는 단계;
    분할 또는 병합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할당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외부로부터 어느 한 위치에 대한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이 요청되면,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받은 정지영상들을 외부로 반환하는 단계;
    상기 정지영상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정보가 외부로부터 제공되면, 그 선택된 차량 단말기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푸쉬를 요청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10.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가 도래될 때마다 차량 단말기들이 전송하는 현재위치정보와 차량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
    차량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다수의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
    서비스 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상기 다수의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를 할당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 대한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을 요청받으면,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를 상기 차량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검출하고, 그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푸쉬 요청을 하고,
    상기 푸쉬 요청에 따라 차량 단말기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분할 영역에 할당된 도로 모니터링 정보 푸쉬 서버로 푸쉬하면, 그 도로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기들 각각은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를 차량 단말기의 속도에 대응되게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기들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둔 시기마다 해당 차량 단말기의 위치가 속한 분할 영역내의 차량수에 비례하며, 그 영역에 대한 평균영상요청수에 반비례하게 변경되는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을 생성하여 해당 차량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을 수신한 차량 단말기는,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 조절값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업로드 주기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영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혼잡도를 검출하고,
    상기 분할영역들 중 혼잡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분할영역내 혼잡도가 상기 제1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분할영역들 중 인접되는 분할영역들의 혼잡도를 더한 값이 제2임계치 미만이면 그 인접되는 분할영역들을 병합하고,
    분할 또는 병합된 분할영역들 각각에 대해 도로 모니터링 정보 송수신 서버를 할당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외부로부터 어느 한 위치에 대한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이 요청되면,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영역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받은 정지영상들을 외부로 반환하고,
    상기 정지영상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정보가 외부로부터 제공되면, 그 선택된 차량 단말기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푸쉬를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방식 통신 기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KR1020120043427A 2012-04-25 2012-04-25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7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27A KR101373175B1 (ko) 2012-04-25 2012-04-25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27A KR101373175B1 (ko) 2012-04-25 2012-04-25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88A true KR20130120288A (ko) 2013-11-04
KR101373175B1 KR101373175B1 (ko) 2014-03-14

Family

ID=4985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427A KR101373175B1 (ko) 2012-04-25 2012-04-25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1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5055A (zh) * 2017-05-23 2017-08-29 上海双微导航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信息的应用和地理信息匹配系统
DE102017220873A1 (de) 2017-11-22 2019-05-23 Dr. Ing. H.C. F. Porsche Ag Kommunikation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KR20190106176A (ko) * 2018-03-08 2019-09-18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단말장치
KR102150005B1 (ko) * 2020-05-14 2020-08-31 주식회사 씨에이에스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교통 영상 중개 장치 및 방법
KR102149987B1 (ko) * 2020-05-14 2020-08-31 주식회사 씨에이에스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 사고 처리 현황 안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906B1 (ko) 2018-01-08 2023-07-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 대한 원격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6610A1 (en) * 2005-03-09 2006-09-14 Yibei L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aware content push service and location-based dynamic attachment
KR100957605B1 (ko) * 2008-03-25 2010-05-13 박민홍 도로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103343B1 (ko) * 2010-03-29 2012-01-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교통 센서 네트워크의 교통정보 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5055A (zh) * 2017-05-23 2017-08-29 上海双微导航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信息的应用和地理信息匹配系统
DE102017220873A1 (de) 2017-11-22 2019-05-23 Dr. Ing. H.C. F. Porsche Ag Kommunikation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KR20190106176A (ko) * 2018-03-08 2019-09-18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단말장치
KR102150005B1 (ko) * 2020-05-14 2020-08-31 주식회사 씨에이에스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교통 영상 중개 장치 및 방법
KR102149987B1 (ko) * 2020-05-14 2020-08-31 주식회사 씨에이에스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 사고 처리 현황 안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175B1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175B1 (ko)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5669767B2 (ja) 情報提供装置
US20180288502A1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TWI407392B (zh) 以全球定位系統(gps)為主之交通監視系統
US10567251B2 (en) Accurate mobile traffic information acquisition with minimal transmission cost and optional V2V extension
CN113498011B (zh) 车联网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系统
US10217359B2 (en) System of correlated video and lighting for parking management and control
CN103826203A (zh) 公交运行预测方法和装置
CN104751635B (zh) 一种智能停车监视系统
CN102196030A (zh) 自适应场景绘制v2x视频/图像共享
EP3196859A2 (en) Traffic visualization system
US202200445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ehicle, and cloud control platform
CN105788280A (zh) 一种基于车联网的智慧城市车辆自动追踪系统
KR102206559B1 (ko) 데이터를 캡처 및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Lujic et al. Increasing traffic safety with real-time edge analytics and 5g
KR20190043396A (ko) 도로 경로 촬영 영상을 이용한 도로 경로 별 날씨정보 생성 및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0880235A (zh) 路况信息处理系统中的路侧设备、处理方法及装置
CN111314651A (zh) 基于v2x技术的路况显示方法、系统、v2x终端及v2x服务器
US112109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data fusion and filtering
US10154393B2 (en) Method, motor vehicl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path
CN112839319A (zh) 蜂窝车联网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2202833B (zh) Cdn系统、请求处理方法以及调度服务器
CN112632124B (zh) 多媒体信息获取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201323908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移動体
CN115643203A (zh) 内容分发方法、装置、内容分发网络、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