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56A - 태양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56A
KR20130120256A KR1020120043364A KR20120043364A KR20130120256A KR 20130120256 A KR20130120256 A KR 20130120256A KR 1020120043364 A KR1020120043364 A KR 1020120043364A KR 20120043364 A KR20120043364 A KR 20120043364A KR 20130120256 A KR20130120256 A KR 2013012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able
output cable
output
cel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301B1 (ko
Inventor
박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301B1/ko
Priority to US13/612,009 priority patent/US10110159B2/en
Priority to EP12006542.0A priority patent/EP2657983B1/en
Priority to CN201210359165.9A priority patent/CN103378202B/zh
Publication of KR2013012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외곽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를 개선한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 전지 패널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태양 전지를 구비하는 태양 전지 패널은 정션 박스에 연결된 출력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된다. 그런데 이러한 출력 케이블은 별도로 고정이 되지 않거나, 테이프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모듈의 이송 시에 출력 케이블에 의하여 태양 전지 모듈의 이동성이 저하되거나 태양 전지 모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태양 전지 모듈과의 연결 또는 출력 측정 시 출력 케이블을 풀거나 정리하는 등의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공정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안정성, 내구성, 이동성을 향상할 수 있고 다른 태양 전지 모듈과의 연결 및 출력 측정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외곽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케이블을 수용하는 고정 부재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출력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케이블의 불필요한 움직임에 의한 균열(crack) 발생 또는 태양 전지 모듈의 이동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태양 전지 모듈의 안정성, 내구성 및 이동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 공간에 제3 부분을 설치하고, 이 제3 부분에 고정 부재를 위치시켜 고정 부재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을 함께 설치할 때 쉽게 설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출력 케이블을 각기 다른 측에 고정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복수 개 연결할 때 쉽게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 측정 시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 및 정션 박스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출력 케이블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0)은, 태양 전지 패널(20)와, 태양 전지 패널(20)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이때, 프레임(40)에 고정 홀(도 4의 참조부호 422)이 형성되어 정션 박스(30)의 출력 케이블(32)이 고정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태양 전지 패널(20)는 복수의 태양 전지들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태양 전지 패널(20)는 실리콘 태양 전지 패널, 염료 감응 태양 전지 패널,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탠덤형 태양 전지 패널 방식의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실리콘 태양 전지 패널 방식의 태양 전지를 포함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 및 정션 박스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도 2에서는 정션 박스(30)의 출력 케이블(32), 고정 부재(50) 등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20)는. 전면 기판(210)과 후면 기판(220)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스트링(230)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된 복수의 태양 전지(240)를 포함한다. 전면 기판(210)과 태양 전지 패널 스트링(230) 사이에 제1 밀봉 필름(252)이 위치하고, 태양 전지 패널 스트링(230)과 후면 기판(220) 사이에 제2 밀봉 필름(254)가 위치할 수 있다.
전면 기판(210)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태양 전지(240)를 보호하고 태양광을 투과하도록 하기 위해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면 기판(210)으로 태양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태양광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철분이 적게 들어간 저철분 강화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후면 기판(220)은 태양 전지(240)의 이면에서 태양 전지(240)를 보호하는 층으로서, 방수, 절연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한다. 후면 기판(220)은 TPT(Tedlar/PET/Tedlar)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면 기판(220)은 전면 기판(210) 측으로부터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하여 재이용될 수 있도록 반사율이 우수한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기판(220)이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양면 태양전지 모듈(10)을 구현할 수도 있다.
태양 전지(240)은, 제1 도전형의 실리콘 기판과,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되며 제1 도전형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면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반사방지막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면에 접촉하는 전면전극과,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방식의 태양 전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태양 전지(240)은 리본(232)에 의하여 복수 개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 전지 패널 스트링(230)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태양 전지 패널 스트링(230)이 있는 경우에 태양 전지 패널 스트링(230)은 버스 리본(23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양 전지(240)의 종류 및 방식에 따라 하나의 태양 전지(24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밀봉 필름(252, 254)은 태양 전지(240)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이나 산소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밀봉 필름(252, 254)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 필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 및 방식의 태양 전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결합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정션 박스(30)는, 태양 전지 패널(20)의 후면 기판(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션 박스(30)는 태양 전지(240)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시키는 커패시터부와 전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 등의 회로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션 박스(30)의 내부는 회로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수분 침투 방지용 코팅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정션 박스(30)의 동작 시 다이오드 등으로부터 고열이 발생될 수 있는데, 발생된 열은 정션 박스(30)와 가까이 위치하는 태양 전지(240)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태양 전지 패널(20)와 정션 박스(30) 사이에 방열 부재(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방열 부재의 면적은 정션 박스(3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정션 박스(3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방열 부재가 태양 전지 패널(20)의 배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부재는 열 전도도가 좋은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텅스텐(W)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정션 박스(30)은 태양 전지(240)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하거나, 또는 다른 태양 전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출력 케이블(32)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 케이블(32)이 고정 부재(50)에 의하여 프레임(40)에 고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층으로 구성된 태양 전지 패널(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태양 전지 패널(20)를 고정 및 결속하는 프레임(40)이 위치한다. 도 3을 참조하여 프레임(40)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40)은, 태양 전지 패널(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1 부분(410)과, 제1 부분(410)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420)과, 제2 부분(420)과 제3 부분(430)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부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부분(410)은, 태양 전지 패널(20)의 수광면에 위치한 부분(410a), 태양 전지 패널(20)의 측면에 위치한 부분(410b) 및 태양 전지 패널(20)의 후면에 위치한 부분(410c)이 서로 연결되어, 이 내부에 태양 전지 패널(20)의 외곽부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부분(410)이 "ㄷ"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410)이 태양 전지 패널(20)의 외곽부 전체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부분(410)이 태양 전지 패널(20)의 일부만을 감싸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2 부분(420)이 태양 전지 패널(20)와 수직하는 수직부(420a)와, 태양 전지 패널(20)와 평행한 수평부(4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분(420)은 일례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부분(430)은 제1 부분(410)과 수평부(420b) 사이에서 수직부(420a)와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수직부(420a)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420a)는 고정 부재(50)가 고정되는 고정 홀(도 4의 참조부호 422)을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션 박스(30)의 출력 케이블(32)은 고정 부재(50)에 의하여 프레임(4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50)의 구조 및 고정 부재(50)가 프레임(40)에 고정되는 구조 등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출력 케이블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xz 평면이 보여지도록 자른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50)는, 출력 케이블(32)이 고정되는 케이블 수용부(52), 고정 홀(422)에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을 형성하는 걸림부(54), 케이블 수용부(52)와 걸림부(54)를 연결하는 연결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50)는 일부가 고정 홀(422)에 삽입되어 프레임(40)(좀더 상세하게는 제3 부분(43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블 수용부(52)는 출력 케이블(32)의 일부를 감싸면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케이블 수용부(52)의 내면은 출력 케이블(32)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수용부(52)는 출력 케이블(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출력 케이블(32)을 좀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수용부(52)에 형성된 개구부는 출력 케이블(3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출력 케이블(32)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출력 케이블(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수용부(52)의 개구부의 폭(W)는 출력 케이블(32)의 직경(L)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면 출력 케이블(32)에 압력을 가하여 케이블 수용부(52)의 개구부를 통하여 출력 케이블(32)을 밀어 넣어 출력 케이블(32)을 케이블 수용부(52)에 안착 및 고정할 수 있다. 즉, 출력 케이블(32)은 케이블 수용부(52)에 끼움 결합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출력 케이블(32)을 안정적으로 케이블 수용부(52) 내에 고정할 수 있다.
걸림부(54)는 서로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부분(5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부분(540)은 연결부(56)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부분(540)의 외측 부분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수용부(52) 및 걸림부(54)에서 연결부(56)에 가까운 부분의 면적은 고정 홀(422)의 면적보다 크고, 연결부(56)의 면적은 고정 홀(422)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고정 홀(422)을 좀더 쉽게 통과한 다음 걸림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고정 부재(50)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 부재(50)가 수지를 포함하면, 제조가 용이하며 고정 홀(422)에 삽입할 때 깨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고정 부재(50)를 이용하여 출력 케이블(32)을 프레임(40)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케이블(32)을 고정 부재(50)의 케이블 수용부(52)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 부재(50)를 프레임(40)의 제3 부분(430) 앞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고정 부재(50)의 걸림부(54)를 고정 홀(422)에 삽입한 후에 압력을 가하여 걸림부(54)가 고정 홀(422)을 통과하도록 한다. 걸림부(54)의 복수의 부분들(도 4의 참조부호 540, 이하 동일)이 서로 밀려 들어가면서 가까워져서 쉽게 고정 홀(422)을 통과한다. 그러면, 도 5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홀(422) 내에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연결부(56)가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걸림부(54)의 복수의 부분들(540)이 서로 이격되면서 걸림부(54)에서 연결부(56)에 가까운 부분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고정 부재(50)가 다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 케이블(32)을 수용하는 고정 부재(50)를 프레임(4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출력 케이블(32)이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케이블(32)의 불필요한 이동에 의한 균열(crack) 발생 또는 이동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모듈(10)의 안정성, 내구성 및 이동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0)에서 제1 부분(410)과 제2 부분(420) 사이 공간에 제3 부분(430)을 설치하고, 이 제3 부분(430)에 고정 홀(42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출력 케이블(32) 또는 출력 케이블(32)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5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태양 전지 모듈(10)을 함께 설치할 때 서로 사이에 간격이 생기거나 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50)의 케이블 수용부(52)는 출력 케이블(32)을 쉽게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부재(50)의 걸림부(54)는 서로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걸림부(540)를 가져 고정 홀(422)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걸림부(540)의 외측 부분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면, 고정 홀(422)을 좀더 쉽게 통과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출력 케이블(32)은 제1 케이블(32a)과 제2 케이블(32b)을 포함하여, (+) 단자와 (-)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블(32a)은 프레임(40)의 제1 측(도면의 우측)에 고정되고, 제2 케이블(32b)은 제1 측에 대향하는 프레임(40)의 제2 측(도면의 좌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태양 전지 모듈(10)을 복수 개 연결할 때 쉽게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 측정 시 시간 손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종래에는 2개의 출력 케이블을 함께 고정하여 이웃한 태양 전지 모듈(10)과의 전기적 연결이 불편하고, 출력 측정 시 2 개의 출력 케이블을 풀어서 출력 측정을 한 후에 다시 고정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고정 부재(50)는 제1 및 제2 출력 케이블(32a, 32b)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50)가 복수 개로 구비되면 제1 및 제2 출력 케이블(32a, 32b)를 좀더 견고하게 프레임(40)에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40)의 장변 및 단변 중 장변에 고정 홀(422)이 형성되어 고정 부재(50)가 장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장변에서 고정 홀(422) 및 고정 부재(50)가 형성되어, 고정 부재(50)를 고정 홀(422)에 원활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태양 전지 모듈
20: 태양 전지 패널
30: 정션 박스
40: 프레임
50: 고정 부재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외곽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은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일면에 장착되며 출력 케이블을 구비하는 정션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의 일부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상기 출력 케이블이 고정되는 태양 전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장변 및 단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홀은 상기 프레임의 장변에 형성되는 태양 전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태양 전지 패널와 수직하는 수직부 및 상기 태양 전지 패널와 평행한 평행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평행부 사이에서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에 상기 고정 홀이 형성되는 태양 전지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출력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수용부,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을 형성하는 걸림부, 상기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 및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연결부에 가까운 부분의 면적은 상기 고정 홀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연결부의 면적은 상기 고정 홀의 면적보다 작은 태양 전지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상기 출력 케이블의 일부를 감싸면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태양 전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출력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은 태양 전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상기 출력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출력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태양 전지 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끼움 결합에 의하여 고정되는 태양 전지 모듈.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서로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은 상기 연결부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면적이 줄어드는 태양 전지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태양 전지 모듈.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케이블은,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프레임의 제1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제1 측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제2 측에 고정되는 태양 전지 모듈.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각 출력 케이블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태양 전지 모듈.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수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KR1020120043364A 2012-04-25 2012-04-25 태양 전지 모듈 KR10195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64A KR101959301B1 (ko) 2012-04-25 2012-04-25 태양 전지 모듈
US13/612,009 US10110159B2 (en) 2012-04-25 2012-09-12 Solar cell module
EP12006542.0A EP2657983B1 (en) 2012-04-25 2012-09-18 Solar cell module
CN201210359165.9A CN103378202B (zh) 2012-04-25 2012-09-24 太阳能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64A KR101959301B1 (ko) 2012-04-25 2012-04-25 태양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56A true KR20130120256A (ko) 2013-11-04
KR101959301B1 KR101959301B1 (ko) 2019-03-18

Family

ID=4708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364A KR101959301B1 (ko) 2012-04-25 2012-04-25 태양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10159B2 (ko)
EP (1) EP2657983B1 (ko)
KR (1) KR101959301B1 (ko)
CN (1) CN10337820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768A (ko) * 2014-01-28 201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JP2018207592A (ja) * 2017-05-31 2018-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整線部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811B1 (ko) * 2013-03-13 202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US8935893B2 (en) * 2013-05-31 2015-01-20 Sunmodo Corporation Direct rooftop mounting apparatus for solar panels
CN103628635A (zh) * 2013-11-13 2014-03-12 河南天恩太阳能科技有限公司 太阳能无机相变保温板
JP6321187B2 (ja) * 2014-08-28 2018-05-09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174462A (ja) * 2015-03-17 2016-09-29 株式会社東芝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架台構造
KR20210017789A (ko) * 2019-08-09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2034282B2 (en) * 2020-01-07 2024-07-09 Samuel Marcus-Flack Truthseeker Insertion tool for use with solar cable management cavity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514A (ja) * 1992-08-25 1994-03-1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0031517A (ja) * 1998-07-09 2000-01-28 Sekisui Che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1135848A (ja) * 1999-11-05 2001-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太陽電池パネル及び太陽電池パネルによる屋根構造
WO2002041407A1 (fr) * 2000-11-16 2002-05-23 Kaneka Corporation Module de batterie solaire, systeme de production d'energie photovoltaique, bloc de support supportant ce module de batterie solaire, et procede d'installation d'un systeme de production d'energie photovoltaique
US20050257453A1 (en) * 2004-05-18 2005-11-24 Barry Cinnamon Mounting system for a solar panel
US20070102038A1 (en) * 2005-11-11 2007-05-10 Christian Kirschning Holding Element For Photovoltaic Modules
WO2011013391A1 (ja) * 2009-07-28 2011-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1096043A1 (ja) * 2010-02-02 2011-08-11 株式会社屋根技術研究所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ケーブルホルダ
JP2012033562A (ja) * 2010-07-28 2012-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5649B2 (ja) 2004-05-11 2011-10-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US20090242715A1 (en) * 2008-03-31 2009-10-01 Kosidlo John M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clip assembly to a structure
US20100043862A1 (en) * 2008-05-15 2010-02-25 Steven Thomas Croft Solar Panel Interconnection System
TW201135951A (en) 2010-04-02 2011-10-16 Foxsemicon Integrated Tech Inc Solar battery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514A (ja) * 1992-08-25 1994-03-1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0031517A (ja) * 1998-07-09 2000-01-28 Sekisui Che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1135848A (ja) * 1999-11-05 2001-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太陽電池パネル及び太陽電池パネルによる屋根構造
WO2002041407A1 (fr) * 2000-11-16 2002-05-23 Kaneka Corporation Module de batterie solaire, systeme de production d'energie photovoltaique, bloc de support supportant ce module de batterie solaire, et procede d'installation d'un systeme de production d'energie photovoltaique
US20050257453A1 (en) * 2004-05-18 2005-11-24 Barry Cinnamon Mounting system for a solar panel
US20070102038A1 (en) * 2005-11-11 2007-05-10 Christian Kirschning Holding Element For Photovoltaic Modules
WO2011013391A1 (ja) * 2009-07-28 2011-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1096043A1 (ja) * 2010-02-02 2011-08-11 株式会社屋根技術研究所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ケーブルホルダ
JP2012033562A (ja) * 2010-07-28 2012-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768A (ko) * 2014-01-28 201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JP2018207592A (ja) * 2017-05-31 2018-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整線部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8202B (zh) 2016-06-08
KR101959301B1 (ko) 2019-03-18
EP2657983A1 (en) 2013-10-30
US20130284238A1 (en) 2013-10-31
EP2657983B1 (en) 2020-01-15
CN103378202A (zh) 2013-10-30
US10110159B2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301B1 (ko) 태양 전지 모듈
ES2432380T3 (es) Módulo solar
US20130206203A1 (en) Photovoltaic module with integrated solar cell diodes
KR101349586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283115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1883757B1 (ko) 양면 수광형 태양 전지 모듈
US10236823B2 (en) Solar battery module
KR101055013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966225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10009367U (ko) 고효율 태양광 모듈 접속함
US20160233345A1 (en) Solar battery module
KR101306441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30065498A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06411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470065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80108518A (ko) 양면 수광형 태양 전지 모듈
KR20130070460A (ko) 태양전지 모듈
US9685574B2 (en) Solar cell module
KR20130059984A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272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71823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20086219A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26953B1 (ko) 태양전지 모듈
CN106601849A (zh) 一种防雷充电式模块
KR20150031884A (ko) 태양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