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460A -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460A
KR20130070460A KR1020110137795A KR20110137795A KR20130070460A KR 20130070460 A KR20130070460 A KR 20130070460A KR 1020110137795 A KR1020110137795 A KR 1020110137795A KR 20110137795 A KR20110137795 A KR 20110137795A KR 20130070460 A KR20130070460 A KR 20130070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frame
cell module
locking po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0460A/ko
Publication of KR2013007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제1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제1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태양전지 모듈; 및 제2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제2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는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
실시예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광전 변환 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은 지구 환경의 보전에 기여하는 무공해 에너지를 얻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이 개선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 모듈을 구비한 많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주거 용도로까지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일광으로부터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 전지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해, 양 전극 및 음 전극의 기능을 하는 전도체들이 태양광 발전 모듈에 배치되며, 전류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 단자들로서, 전도체들의 단부들이 광기전성 모듈의 외부로 꺼내어진다.
특히,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끼리 연결하기 위해,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프레임에 지지대를 연결하는데, 이러한 지지대가 다수 개 필요하고 지지대 설치에 따라 설치 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제1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제1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태양전지 모듈; 및 제2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제2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는 서로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를 통해,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지지대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기와를 올리는 형태처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단차를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계단 형태를 가지며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 상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프레임(100), 태양전지 패널(200), 보호기판(300), 완충 시트(500) 및 걸림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완충 시트(500)를 수용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의 측면을 둘러싼다.
상기 프레임(100)은 예를 들어, 금속 프레임(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걸림부(400)는 수용부(414) 및 돌출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414)는 리세스 형상이다. 즉, 상기 수용부(414)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2)는 상기 수용부(414)와 달리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걸림부(410) 및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걸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400)는 상기 프레임(100)에 다수개로 수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00)를 통해,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지지대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은 상기 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다수 개의 태양전지들(210)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예를 들어, CIGS계 태양전지, 실리콘 계열 태양전지, 연료감응 계열 태양전지,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또는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유리기판 등과 같은 투명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들(210)은 매트릭스(matrix)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버스 바(도시하지 않음, 이하 동일)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버스 바는 상기 태양전지들(210) 중 둘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태양전지들(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는 제 1 버스 바 및 제 2 버스 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버스 바는 상기 태양전지들(210) 중에 한쪽 끝의 태양전지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 2 버스 바는 상기 태양전지들(210) 중 다른 쪽 끝의 태양전지의 상면과 접촉한다.
상기 버스 바는 도전체이며, 상기 버스 바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호기판(3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보호기판(300)은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에 대향되어 배치된다.
상기 보호기판(300)은 투명하며, 높은 강도를 가진다. 상기 보호기판(3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강화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완충 시트(500)는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완충 시트(5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을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완충 시트(500)는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 시트(5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에 보다 많은 광이 입사되도록 반사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시트(5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thylenevinylacetate resin;EVA resi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완충 시트(500)는 상기 프레임(100) 내측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태양전지 패널(200), 상기 보호기판(300) 및 상기 완충 시트(500)의 측면은 상기 프레임(1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설명한다.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제1 태양전지 모듈(10)은 제1 프레임(100) 및 제1 걸림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걸림부(400)는 상기 제1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 걸림부(410) 및 상기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부 걸림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 걸림부(410)는 제1 수용부(414) 및 제1 돌출부(412)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1 하부 걸림부(420)도 수용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2 태양전지 모듈(20)은 제2 프레임(102) 및 제2 걸림부(40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걸림부(402)는 상기 제2 프레임(10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상부 걸림부(430) 및 상기 제2 프레임(10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하부 걸림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부 걸림부(440)는 제2 수용부(444) 및 제2 돌출부(442)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상부 걸림부(430)도 수용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걸림부(400) 및 상기 제2 걸림부(40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부 걸림부(410) 및 상기 제2 하부 걸림부(440)가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414) 및 상기 제2 돌출부(44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412) 및 상기 제2 수용부(44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14) 및 상기 제2 돌출부(442)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412) 및 상기 제2 수용부(444)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용부(414) 내에 상기 제2 돌출부(442)가 위치하여, 상기 제1 태양전지 모듈(10) 및 상기 제2 태양전지 모듈(2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용부(414) 내에 상기 제2 돌출부(442)가 끼워짐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기 제1 태양전지 모듈(10) 및 상기 제2 태양전지 모듈(20)이 기와를 올리는 형태처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태양전지 모듈(10) 및 상기 제2 태양전지 모듈(20)이 단차를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태양전지 모듈(10) 및 상기 제2 태양전지 모듈(20)이 계단 형태를 가지며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상술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 상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를 통해, 제1 태양전지 모듈(10) 및 제2 태양전지 모듈(20)이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지지대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되는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수용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리세스 형상인 태양전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걸림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걸림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5. 제1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제1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태양전지 모듈; 및
    제2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제2 태양전지 패널을 수용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는 서로 연결되는 태양전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 걸림부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부 걸림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상부 걸림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하부 걸림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걸림부 및 상기 제2 하부 걸림부가 연결되는 태양전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걸림부는 제1 수용부 및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걸림부는 제2 수용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연결되는 태양전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대응되는 태양전지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내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위치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0110137795A 2011-12-19 2011-12-19 태양전지 모듈 KR20130070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795A KR20130070460A (ko) 2011-12-19 2011-12-19 태양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795A KR20130070460A (ko) 2011-12-19 2011-12-19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460A true KR20130070460A (ko) 2013-06-27

Family

ID=4886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795A KR20130070460A (ko) 2011-12-19 2011-12-19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04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55B1 (ko) * 2013-12-19 2014-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 패널 구조체
KR102452558B1 (ko) * 2022-04-21 2022-10-11 (주)진전기엔지니어링 철도 역사의 전력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55B1 (ko) * 2013-12-19 2014-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 패널 구조체
KR102452558B1 (ko) * 2022-04-21 2022-10-11 (주)진전기엔지니어링 철도 역사의 전력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115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US10236823B2 (en) Solar battery module
KR101055013B1 (ko) 태양전지 모듈
US9972726B2 (en) Photovoltaic apparatus
KR101305624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6225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05849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30070460A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06411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06441B1 (ko) 태양전지 모듈
US20150187974A1 (en)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06443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9685574B2 (en) Solar cell module
KR20130070462A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71823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20086219A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8272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26953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30101244A (ko) 태양전지 모듈
KR20130078256A (ko) 태양전지 모듈
KR20130101818A (ko) 태양전지 모듈
KR20130064657A (ko) 태양전지 모듈
KR20130113237A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53748A (ko) 태양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