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305A -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305A
KR20130119305A KR1020120042361A KR20120042361A KR20130119305A KR 20130119305 A KR20130119305 A KR 20130119305A KR 1020120042361 A KR1020120042361 A KR 1020120042361A KR 20120042361 A KR20120042361 A KR 20120042361A KR 20130119305 A KR20130119305 A KR 20130119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way clutch
twenty
gea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겸
강영순
서무송
강다검
강유록
강희춘
강성규
임재석
강창규
Original Assignee
강대겸
강영순
서무송
강다검
강유록
강희춘
강성규
임재석
강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겸, 강영순, 서무송, 강다검, 강유록, 강희춘, 강성규, 임재석, 강창규 filed Critical 강대겸
Priority to KR102012004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305A/ko
Priority to PCT/KR2012/003158 priority patent/WO2013162087A1/ko
Publication of KR2013011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spur gea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원웨이클러치(one way clutch)가 상기 제1입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1입력 축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출력 축;과, 상기 제1출력 축 상에 위치되며, 외주면에는 제2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의 제1기어와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2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1출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 제3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3회전체;와, 상기 제1입력 축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입력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4기어가 형성되는 제4회전체;와, 상기 제3회전체의 제3기어와 상기 제4회전체의 제4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4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4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회전체의 제1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4회전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4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의 외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연결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축 상에 형성되어 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를 통해서 출력 축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출력 축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입력 축 상에 형성되는 회전체로 회수되어 다시 출력 축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Automatically increase or decrease dual torque speed change device}
본 발명은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축 상에 형성되어 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를 통해서 출력 축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출력 축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입력 축 상에 형성되는 회전체로 회수되어 다시 출력 축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력이나 회전력을 증강하거나 증속하기 위해서는 회전체의 회전비 차이 즉,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축과 입력된 동력을 제공받아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축 상에 다단기어나 다단스프로킷 등의 회전체를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력을 증강하는 방식으로 소정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까지는 미치지 못하여, 회전력을 증강하는 방법 및 구조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축 상에 형성되어 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를 통해서 출력 축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출력 축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입력 축 상에 형성되는 회전체로 회수되어 다시 출력 축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원웨이클러치(one way clutch)가 상기 제1입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1입력 축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출력 축;과, 상기 제1출력 축 상에 위치되며, 외주면에는 제2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의 제1기어와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2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1출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 제3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3회전체;와, 상기 제1입력 축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입력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4기어가 형성되는 제4회전체;와, 상기 제3회전체의 제3기어와 상기 제4회전체의 제4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4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4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회전체의 제1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4회전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4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의 외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와 상기 제3회전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연결하는 제3연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회전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원웨이클러치의 내주면이 상기 제1출력 축과 이격되게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3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제3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2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3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2입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5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2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5회전체;와, 상기 제2입력 축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2출력 축;과,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4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2출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4원웨이클러치의 내륜에는 제6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6회전체;와, 상기 제5회전체의 제5기어와 상기 제6회전체의 제6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5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6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6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3동력전달체;와,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5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2출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5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7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7회전체;와, 상기 제2입력 축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2입력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8기어가 형성되는 제8회전체;와, 상기 제7회전체의 제7기어와 상기 제8회전체의 제8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7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8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8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4동력전달체;와, 상기 제5회전체의 제3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8회전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8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5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의 외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4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6회전체에 형성되는 제4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상기 제7회전체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의 내륜을 상호 결합하는 제6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6회전체와 제7회전체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상기 제7회전체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의 내주면이 상기 제2출력 축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5원웨이클러치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6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6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제7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6연결체를 대신하여, 상기 제6회전체에 형성되는 제4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7회전체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의 내륜을 상호 결합하는 제7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6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7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제7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3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6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3입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9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3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9회전체;와, 상기 제3입력 축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3출력 축;과,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7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3출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7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0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0회전체;와, 상기 제9회전체의 제9기어와 상기 제10회전체의 제10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9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0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10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5동력전달체;와,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8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3출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8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1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1회전체;와, 상기 제3입력 축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3입력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2기어가 형성되는 제12회전체;와, 상기 제11회전체의 제11기어와 상기 제12회전체의 제12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1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2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12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6동력전달체;와, 상기 제9회전체의 제6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12회전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12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9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의 외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8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0회전체에 형성되는 제7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상기 제11회전체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의 내륜을 상호 결합하는 제10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0회전체와 제11회전체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상기 11회전체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의 내주면이 상기 제3출력 축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8원웨이클러치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10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10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제11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0연결체를 대신하여, 상기 제10회전체에 형성되는 제7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11회전체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의 내륜을 상호 결합하는 제11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0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11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제11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4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9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4입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3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4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3회전체;와, 제14회전체가 고정되는 제1고정 축;과,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0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1고정 축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 내륜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고정 축이 내부로 관통되는 제1베어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 내륜의 외주면에는 제14기어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1고정 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하는 제14회전체;와, 상기 제13회전체의 제13기어와 상기 제14회전체의 제14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3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4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14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7동력전달체;와,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1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1고정 축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의 내부에는 상기 제1고정 축과 이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5기어가 형성되는 제15회전체;와, 일단은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어, 상기 제14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15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제12연결체;와, 상기 제4입력 축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4입력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6기어가 형성되는 제16회전체;와, 상기 제15회전체의 제15기어와 상기 제16회전체의 제16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5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6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16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8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3회전체의 제9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16회전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16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3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의 외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3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연결체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는 제14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4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4연결체를 통해서 상기 제15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5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2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5입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7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5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7회전체;와, 제18회전체가 고정되는 제2고정 축;과,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3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2고정 축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 내륜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고정 축이 내부로 관통되는 제2베어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8기어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2고정 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하는 제18회전체;와, 상기 제17회전체의 제17기어와 상기 제18회전체의 제18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7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8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18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9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4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2고정 축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의 내부에는 상기 제2고정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19기어가 형성되는 제19회전체;와, 일단은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어, 상기 제18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19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제15연결체;와, 상기 제5입력 축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5입력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0기어가 형성되는 제20회전체;와, 상기 제19회전체의 제19기어와 상기 제20회전체의 제20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9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0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20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0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7회전체의 제12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0회전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0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7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의 외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6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5연결체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는 제17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8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17연결체를 통해서 상기 제19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6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5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6입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21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6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1회전체;와, 제22회전체가 위치되는 제3고정 축;과,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6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3고정 축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의 내주면은 상기 제3고정 축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3고정 축과 이격되며,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의 내륜에는 제22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은 동력을 제공받아 소모하는 동력장치와 연결되는 제22회전체;와, 상기 제21회전체의 제21기어와 상기 제22회전체의 제22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1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2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22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1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7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3고정 축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의 내부에는 상기 제3고정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23기어가 형성되는 제23회전체;와, 일단은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어, 상기 제22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23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제18연결체;와, 상기 제6입력 축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6입력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4기어가 형성되는 제24회전체;와, 상기 제23회전체의 제23기어와 상기 제24회전체의 제24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3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4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24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2동력전달체;와, 상기 제21회전체의 제15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4회전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4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1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의 외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9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7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8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7입력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25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7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5회전체;와, 제26회전체가 위치되는 제4고정 축;과,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9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4고정 축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의 내주면은 상기 제4고정 축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4고정 축과 이격되며,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26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의 내륜은 동력을 제공받아 소모하는 동력장치와 연결되는 제26회전체;와, 상기 제25회전체의 제25기어와 상기 제26회전체의 제26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6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26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3동력전달체;와,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0원웨이클러치가 상기 제4고정 축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의 내부에는 상기 제4고정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는 제27기어가 형성되는 제27회전체;와, 일단은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어, 상기 제26회전체의 회전력이 상기 제27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제21연결체;와, 상기 제7입력 축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7입력 축과 이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8기어가 형성되는 제28회전체;와, 상기 제27회전체의 제27기어와 상기 제28회전체의 제28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7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8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28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4동력전달체;와, 상기 제25회전체의 제18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8회전체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8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5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의 외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22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1연결체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의 내륜과 결합되는 제23연결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6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3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제27회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8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8입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8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1원웨이클러치;와,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 결합되어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와 함께 회전되는 제29회전체;와, 상기 제8입력 축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8입력 축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4출력 축;과, 상기 제4출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4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30회전체;와, 상기 제29회전체와 상기 제30회전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9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30회전체로 전달하여 상기 제30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5동력전달체;와,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4출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4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2원웨이클러치;와,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의 회전력을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로 전달하는 제16동력전달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을 상호 연결하는 제16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9회전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의 회전력을 상기 제29회전체로 전달하는 제17동력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9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9입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9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3원웨이클러치;와,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의 내륜에 결합되어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와 함께 회전되는 제31회전체;와, 상기 제9입력 축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9입력 축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5출력 축;과, 상기 제5출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5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4원웨이클러치;와, 상기 제31회전체와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1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로 전달하여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8동력전달체;와,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5출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5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5원웨이클러치;와,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의 회전력을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로 전달하는 제19동력전달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을 상호 연결하는 제19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31회전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의 회전력을 상기 제31회전체로 전달하는 제20동력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0입력 축;과,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10입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0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6원웨이클러치;와,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의 외륜에 결합되어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와 함께 회전되는 제32회전체;와, 상기 제10입력 축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10입력 축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6출력 축;과, 상기 제6출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6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7원웨이클러치;와, 상기 제32회전체와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2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로 전달하여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1동력전달체;와,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6출력 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6출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8원웨이클러치;와,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의 회전력을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로 전달하는 제22동력전달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의 외륜을 상호 연결하는 제22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의 외륜과 상기 제32회전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의 회전력을 상기 제32회전체로 전달하는 제23동력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전거의 바퀴와 함께 회전축과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바퀴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자전거 바퀴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하는 발전기;와, 자전거 운행에 따른 주행 정보를 송신하는 자전거 단말기;와,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어박스의 기어를 효율적으로 변속되도록 하는 원격제어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에 의하면,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축 상에 형성되어 입력 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를 통해서 출력 축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출력 축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입력 축 상에 형성되는 회전체로 회수되어 다시 출력 축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제어 스마트폰을 통해서 자전거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자전거의 기어변속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자전거의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2회전체와 제2원웨이클러치를 연결하는 제3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6회전체와 제7회전체를 연결하는 제6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6회전체와 제7회전체를 연결하는 제7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0회전체와 제11회전체를 연결하는 제10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0회전체와 제11회전체를 연결하는 제11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2연결체를 대신하여 제14연결체가 사용된 개념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5연결체를 대신하여 제17연결체가 사용된 개념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21회전체를 대신하여 제23회전체를 사용한 개념도
도 22은 도 20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6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제17동력전달체가 사용된 개념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9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제20동력전달체가 사용된 개념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22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제23동력전달체가 사용된 개념도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2는 도 1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2회전체와 제2원웨이클러치를 연결하는 제3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6회전체와 제7회전체를 연결하는 제6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를,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6회전체와 제7회전체를 연결하는 제7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를,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0회전체와 제11회전체를 연결하는 제10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를,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0회전체와 제11회전체를 연결하는 제11연결체가 포함된 개념도를,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2연결체를 대신하여 제14연결체가 사용된 개념도를,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5연결체를 대신하여 제17연결체가 사용된 개념도를,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21회전체를 대신하여 제23회전체를 사용한 개념도를, 도 22은 도 20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6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제17동력전달체가 사용된 개념도를,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2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19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제20동력전달체가 사용된 개념도를,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개념도를,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제22동력전달체를 대신하여 제23동력전달체가 사용된 개념도를,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1입력 축(110)과, 제1회전체(120)와, 제1출력 축(130)과, 제2회전체(140)와, 제1동력전달체(150)와, 제3회전체(160)와, 제4회전체(170)와, 제2동력전달체(180)와, 제1연결체(19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력 축(1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체(1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원웨이클러치(121:one way clutch)가 상기 제1입력 축(1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121)의 외륜(121a)에는 제1기어(1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입력 축(11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1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121)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의 제1기어(122) 및 후설될 기어의 형상을 스프로킷으로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출력 축(130)은 상기 제1입력 축(1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력 축(130)은 상기 제1입력 축(1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후설될 상기 제2회전체(140)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1출력 축(13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1입력 축(1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체(140)는 상기 제1출력 축(130) 상에 위치되며, 외주면에는 제2기어(14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 축(13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출력 축(130)과 함께 회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동력전달체(150)는 상기 제1회전체(120)의 제1기어(122)와 상기 제2회전체(140)의 제2기어(141)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회전체(1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체(140)로 전달하여 상기 제2회전체(1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체(150) 및 후설될 동력전달체는 스프로킷으로 구체화된 기어에 적합한 체인으로 구체화됨이 바람직하나, 구체화되는 기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회전체(160)는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1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원웨이클러치(162)가 상기 제1출력 축(1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162)의 외륜(162a)에 제3기어(16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 축(13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회전체(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162)는 상기 제2회전체(140)와 상기 제3회전체(160)의 회전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이를 보상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체(140)와 상기 제3회전체(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원웨이클러치(162)의 내륜과 연결하는 제3연결체(19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회전체(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원웨이클러치(162)의 내주면이 상기 제1출력 축(13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162)의 내부에 중공(163)을 형성하여 상기 제2회전체(140)의 회전력이 상기 제3연결체(192)를 통하여 상기 제3회전체(1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회전체(170)는 상기 제1입력 축(1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입력 축(110)과 이격되는 중공(17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4기어(172)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동력전달체(180)는 상기 제3회전체(160)의 제3기어(161)와 상기 제4회전체(170)의 제4기어(17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회전체(160)의 회전력을 상기 제4회전체(170)로 전달하여 상기 제4회전체(14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체(190)는 상기 제1회전체(120)의 제1원웨이클러치(121)의 외륜(121a)과 상기 제4회전체(17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4회전체(170)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1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121)의 외륜(121a)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1입력 축(110)이 회전되어 상기 제1입력 축(1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회전체(120)의 제1원웨이클러치(121)가 잠금상태 되어 상기 제1회전체(120)가 회전되면, 상기 제1회전체(120)와 상기 제1출력 축(1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회전체(14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동력전달체(150)로 인해서 상기 제2회전체(140)가 회전되며, 상기 제2회전체(140)의 회전으로 상기 제1출력 축(1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출력 축(13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1,2회전체(120,140) 및 제1동력전달체(150)를 통해서 상기 제1입력 축(110)에서 상기 제1출력 축(13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1출력 축(1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3회전체(1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회전체(16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2동력전달체(180)를 통해서 상기 제4회전체(170)로 전송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회전체(17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1회전체(120)의 제1기어(122)로 전송되어 상기 제1입력 축(1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1출력 축(13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회전체(14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1입력 축(1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입력 축(1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1회전체(120)를 통해서 상기 제1출력 축(13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1출력 축(130)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1입력 축(1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회전체(1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1출력 축(130)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2입력 축(210)과, 제5회전체(220)와, 제2출력 축(230)과, 제6회전체(240)와, 제3동력전달체(250)와, 제7회전체(260)와, 제8회전체(270)와, 제4동력전달체(280)와, 제4연결체(290)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입력 축(2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회전체(2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3원웨이클러치(221)가 상기 제2입력 축(2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의 외륜(221a)에는 제5기어(222)가 형성되어 상기 제2입력 축(21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의 제5기어(222) 및 후설될 기어의 형상을 스프로킷으로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출력 축(230)은 상기 제2입력 축(2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출력 축(230)은 상기 제2입력 축(2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후설될 상기 제6회전체(240)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2출력 축(23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2입력 축(2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회전체(240)는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4원웨이클러치(241)가 상기 제2출력 축(2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내륜(241b)에는 제6기어(242)가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 축(23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출력 축(230)과 함께 회전된다.
즉, 후설될 상기 제3동력전달체(250)를 통해서 상기 제5회전체(22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6기어(242)가 형성된 상기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내륜(241b)은 외륜(241a)과 잠금상태가 되어 상기 제6회전체(2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만약 상기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외륜(241a)에 제6기어(242)가 형성되어 외륜(241a)이 회전하게 되면 내륜(241b)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여서 공회전 되므로 상기 제6기어(242)는 상기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내륜(241b)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동력전달체(250)는 상기 제5회전체(220)의 제5기어(222)와 상기 제6회전체(240)의 제6기어(24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5회전체(220)의 회전력을 상기 제6회전체(240)로 전달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3동력전달체(250) 및 후설될 동력전달체는 스프로킷으로 구체화된 기어에 적합한 체인으로 구체화됨이 바람직하나, 구체화되는 기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회전체(260)는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가 상기 제2출력 축(2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외륜(262a)에는 제7기어(261)가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 축(230)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7회전체(2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로 인해 상기 제6회전체(240)와 상기 제7회전체(260)의 회전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이를 보상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회전체(240)에 형성되는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내륜(241b)과 상기 제7회전체(260)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내륜(2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6연결체(29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의 회전력이 더욱 용이하게 상기 제7회전체(260)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와 제7회전체(260)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7회전체(260)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내주면이 상기 제2출력 축(23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내부에 중공(263)을 형성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의 회전력이 상기 제6연결체(292)를 통하여 상기 제7회전체(2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연결체(292)를 대신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에 형성되는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외륜(241a)과 상기 제7회전체(260)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내륜(2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7연결체(29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의 회전력이 상기 제7연결체(293)를 통하여 상기 제7회전체(2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회전체(270)는 상기 제2입력 축(2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2입력 축(210)과 이격되는 중공(27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8기어(272)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동력전달체(280)는 상기 제7회전체(260)의 제7기어(261)와 상기 제8회전체(270)의 제8기어(27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7회전체(260)의 회전력을 상기 제8회전체(270)로 전달하여 상기 제8회전체(27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연결체(290)는 상기 제5회전체(220)의 제3원웨이클러치(221)의 외륜(221a)과 상기 제8회전체(27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8회전체(270)의 회전력을 상기 제5기어(222)가 형성되는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의 외륜(221a)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2입력 축(210)이 회전되어 상기 제2입력 축(2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5회전체(220)의 제3원웨이클러치(221)가 잠금상태 되어 상기 제5회전체(220)가 회전되면, 상기 제5회전체(220)와 상기 제2출력 축(2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6회전체(240)를 연결하는 상기 제3동력전달체(250)로 인해서 상기 제6회전체(240)가 회전되며, 상기 제6회전체(240)의 회전으로 상기 제2출력 축(2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출력 축(23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5,6회전체(220,240) 및 제3동력전달체(250)를 통해서 상기 제2입력 축(210)에서 상기 제2출력 축(23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2출력 축(2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7회전체(2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회전체(26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4동력전달체(280)를 통해서 상기 제8회전체(270)로 전송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회전체(27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5회전체(220)의 제5기어(222)로 전송되어 상기 제2입력 축(2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2출력 축(23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6회전체(24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2입력 축(2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입력 축(2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5회전체(220)를 통해서 상기 제2출력 축(23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2출력 축(230)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2입력 축(2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5회전체(2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2출력 축(230)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3입력 축(310)과, 제9회전체(320)와, 제3출력 축(330)과, 제10회전체(340)와, 제5동력전달체(350)와, 제11회전체(360)와, 제12회전체(370)와, 제6동력전달체(380)와, 제8연결체(390)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입력 축(3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9회전체(3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6원웨이클러치(321)가 상기 제3입력 축(3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의 외륜(321a)에는 제9기어(322)가 형성되어 상기 제3입력 축(31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의 제9기어(322) 및 후설될 기어의 형상을 스프로킷으로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출력 축(330)은 상기 제3입력 축(3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3출력 축(330)은 상기 제3입력 축(3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후설될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3출력 축(33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3입력 축(3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0회전체(340)는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7원웨이클러치(341)가 상기 제3출력 축(3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7원웨이클러치(341)의 외륜(341a)에는 제10기어(342)가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 축(33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출력 축(330)과 함께 회전된다.
즉, 후설될 상기 제5동력전달체(350)를 통해서 상기 제9회전체(32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10기어(342)가 형성된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41)의 외륜(341a)은 내륜(341b)과 잠금상태가 되어 상기 제10회전체(3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만약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41)의 내륜(341b)에 제10기어(342)가 형성되어 내륜(341b)이 회전하게 되면 외륜(341a)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여서 공회전 되므로 상기 제10기어(342)는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41)의 외륜(341a)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동력전달체(350)는 상기 제9회전체(320)의 제9기어(322)와 상기 제10회전체(340)의 제10기어(34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9회전체(320)의 회전력을 상기 제10회전체(3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5동력전달체(350) 및 후설될 동력전달체는 스프로킷으로 구체화된 기어에 적합한 체인으로 구체화됨이 바람직하나, 구체화되는 기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회전체(360)는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가 상기 제3출력 축(3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외륜(362a)에는 제11기어(361)가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 축(330)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1회전체(3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로 인해 상기 제10회전체(340)와 상기 제11회전체(360)의 회전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이를 보상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0회전체(340)에 형성되는 제7원웨이클러치(341)의 내륜(341b)과 상기 제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륜(3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10연결체(39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주면이 상기 제3출력 축(33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부에 중공(363)을 형성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0연결체(392)를 통하여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0연결체(392)를 대신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에 형성되는 제7원웨이클러치(341)의 외륜(341a)과 상기 제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륜(3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11연결체(39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1연결체(393)를 통하여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0회전체(340)에 형성되는 제7원웨이클러치(341)의 내륜(341b)과 상기 제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륜(3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10연결체(39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력이 더욱 용이하게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와 제11회전체(36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0회전체(340)에 형성되는 제7원웨이클러치(341)의 외륜(341a)과 상기 제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륜(3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11연결체(393)를 더 포함하되, 상기 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주면이 상기 제3출력 축(33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부에 중공(363)을 형성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1연결체(393)를 통하여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회전체(370)는 상기 제3입력 축(3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3입력 축(310)과 이격되는 중공(37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2기어(372)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동력전달체(380)는 상기 제11회전체(360)의 제11기어(361)와 상기 제12회전체(370)의 제12기어(37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1회전체(360)의 회전력을 상기 제12회전체(370)로 전달하여 상기 제12회전체(37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연결체(390)는 상기 제9회전체(320)의 제6원웨이클러치(321)의 외륜(321a)과 상기 제12회전체(37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12회전체(370)의 회전력을 상기 제9기어(322)가 형성되는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의 외륜(321a)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3입력 축(310)이 회전되어 상기 제3입력 축(3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9회전체(320)의 제6원웨이클러치(321)가 잠금상태 되어 상기 제9회전체(320)가 회전되면, 상기 제9회전체(320)와 상기 제3출력 축(3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0회전체(340)를 연결하는 상기 제5동력전달체(350)로 인해서 상기 제10회전체(340)가 회전되며,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으로 상기 제3출력 축(3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출력 축(33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9,10회전체(320,340) 및 제5동력전달체(350)를 통해서 상기 제3입력 축(310)에서 상기 제3출력 축(33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3출력 축(3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6동력전달체(380)를 통해서 상기 제12회전체(370)로 전송되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회전체(37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9회전체(320)의 제9기어(322)로 전송되어 상기 제3입력 축(3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3출력 축(33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0회전체(34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3입력 축(3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입력 축(3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9회전체(320)를 통해서 상기 제3출력 축(33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3출력 축(330)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3입력 축(3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9회전체(3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3출력 축(330)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4입력 축(410)과, 제13회전체(420)와, 제1고정 축(430)과, 제14회전체(440)와, 제7동력전달체(450)와, 제15회전체(460)와, 제12연결체(470)와, 제16회전체(480)와, 제8동력전달체(490)와, 제13연결체(471)를 포함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입력 축(4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3회전체(4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9원웨이클러치(421)가 상기 제4입력 축(4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의 외륜(421a)에는 제13기어(422)가 형성되어 상기 제4입력 축(410)과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의 제13기어(422) 및 후설될 기어의 형상을 스프로킷으로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 축(430)은 후설될 상기 제14회전체(440)가 고정되도록 하는 축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4회전체(440)는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0원웨이클러치(441)가 상기 제1고정 축(4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 내륜(441b)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고정 축(430)이 내부로 관통되는 제1베어링(4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 내륜(441b)의 외주면에는 제14기어(443)가 형성되어, 상기 제14회전체(440)는 고정되는 상기 제1고정 축(43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한다.
즉, 후설될 상기 제7동력전달체(450)를 통해서 상기 제13회전체(42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14기어(443)가 형성된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의 내륜(441b)은 외륜(441a)과 잠금상태가 되어 상기 제14회전체(4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1고정 축(43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의 내부에는 상기 제1베어링(442)이 설치되어 상기 제14회전체(440)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의 내륜(441b)에 제14기어(443)가 형성되지 않고 외륜(441a)에 형성되어 외륜(441a)이 회전하게 되면, 외륜(441a)이 내륜(441b)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여서 외륜(441a)이 공회전 되므로 상기 제14기어(443)는 상기 제10웨이클러치(441)의 내륜(441b)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4회전체(440)는 상기 제4입력 축(4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7동력전달체(450)를 통해서 제공받아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14회전체(4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제4입력 축(4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동력전달체(450)는 상기 제13회전체(420)의 제13기어(422)와 상기 제14회전체(440)의 제14기어(443)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3회전체(420)의 회전력을 상기 제14회전체(4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4회전체(4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7동력전달체(450) 및 후설될 동력전달체는 스프로킷으로 구체화된 기어에 적합한 체인으로 구체화됨이 바람직하나, 구체화되는 기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5회전체(460)는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1원웨이클러치(463)가 상기 제1고정 축(4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내부에는 상기 제1고정 축(430)과 이격되도록 중공(4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외륜(463a)에는 제15기어(4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5회전체(4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1원웨이클러치(463)로 인해 상기 제14회전체(440)와 상기 제15회전체(460)의 회전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이를 보상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제15회전체(460)는 후설될 상기 제12연결체(470)를 통해서 상기 제14회전체(440)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상기 제1고정 축(430)과의 마찰로 인한 회전력 절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내부에 상기 제1고정 축(430)과 이격되는 중공(461)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연결체(470)는 일단은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의 내륜(441b)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내륜(463b)과 결합되어, 상기 제14회전체(440)의 회전력을 상기 제15회전체(460)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상기 제15회전체(460)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연결체(470)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의 외륜(441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내륜(463b)과 결합되는 제14연결체(47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4회전체(440)의 회전력을 상기 제14연결체(472)를 통해서 상기 제15회전체(4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6회전체(480)는 상기 제4입력 축(4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4입력 축(410)과 이격되는 중공(48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6기어(482)가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동력전달체(490)는 상기 제15회전체(460)의 제15기어(462)와 상기 제16회전체(480)의 제16기어(48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5회전체(460)의 회전력을 상기 제16회전체(480)로 전달하여 상기 제16회전체(48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3연결체(471)는 상기 제13회전체(420)의 제9원웨이클러치(421)의 외륜(421a)과 상기 제16회전체(48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16회전체(480)의 회전력을 상기 제13기어(422)가 형성되는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의 외륜(421a)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4입력 축(410)이 회전되어 상기 제4입력 축(4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3회전체(420)의 제9원웨이클러치(421)가 잠금상태 되어 상기 제13회전체(420)가 회전되면, 상기 제13회전체(420)와 상기 제1고정 축(4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4회전체(440)를 연결하는 상기 제7동력전달체(450)로 인해서 상기 제14회전체(440)는 고정된 상기 제1고정 축(4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4회전체(4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제13,14회전체(420,440) 및 제7동력전달체(450)를 통해서 상기 제4입력 축(410)에서 상기 제14회전체(44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14회전체(440)와 제12연결체(470)를 통해서 연결되는 상기 제15회전체(4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5회전체(46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8동력전달체(490)를 통해서 상기 제16회전체(480)로 전송되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6회전체(48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13회전체(420)의 제13기어(422)로 전송되어 상기 제4입력 축(4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1고정 축(43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4회전체(44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4입력 축(4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4입력 축(4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13회전체(420)를 통해서 상기 제1고정 축(430)에 위치되는 제14회전체(440)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14회전체(440)와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통상의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4입력 축(4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3회전체(4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1고정 축(43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4회전체(440)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5입력 축(510)과, 제17회전체(520)와, 제2고정 축(530)과, 제18회전체(540)와, 제9동력전달체(550)와, 제19회전체(560)와, 제15연결체(570)와, 제20회전체(580)와, 제10동력전달체(590)와, 제16연결체(571)를 포함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입력 축(5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7회전체(5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2원웨이클러치(521)가 상기 제5입력 축(5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의 외륜(521a)에는 제17기어(522)가 형성되어 상기 제5입력 축(510)과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의 제17기어(522) 및 후설될 기어의 형상을 스프로킷으로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 축(530)은 후설될 상기 제18회전체(540)가 고정되도록 하는 축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8회전체(540)는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3원웨이클러치(541)가 상기 제2고정 축(5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 내륜(541b)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고정 축(530)이 내부로 관통되는 제2베어링(5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외륜(541a)에는 제18기어(543)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2고정 축(53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한다.
즉, 후설될 상기 제9동력전달체(550)를 통해서 상기 제17회전체(52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18기어(543)가 형성된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외륜(541a)은 내륜(541b)과 잠금상태가 되어 상기 제18회전체(5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2고정 축(53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내부에는 상기 제2베어링(542)이 설치되어 상기 제18회전체(540)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외륜(541a)에 제18기어(543)가 형성되지 않고 내륜(541b)에 형성되어 내륜(541b)이 회전하게 되면, 내륜(541b)이 외륜(541a)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여서 내륜(541b)이 공회전 되므로 상기 제18기어(543)는 상기 제13웨이클러치(541)의 외륜(541a)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8회전체(540)는 상기 제5입력 축(5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9동력전달체(550)를 통해서 제공받아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18회전체(5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제5입력 축(5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9동력전달체(550)는 상기 제17회전체(520)의 제17기어(522)와 상기 제18회전체(540)의 제18기어(543)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7회전체(520)의 회전력을 상기 제18회전체(5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8회전체(5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9동력전달체(550) 및 후설될 동력전달체는 스프로킷으로 구체화된 기어에 적합한 체인으로 구체화됨이 바람직하나, 구체화되는 기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9회전체(560)는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4원웨이클러치(563)가 상기 제2고정 축(5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내부에는 상기 제2고정 축(530)과 이격되는 중공(5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외륜(563a)에는 제19기어(5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9회전체(5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4원웨이클러치(563)로 인해 상기 제18회전체(540)와 상기 제19회전체(560)의 회전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이를 보상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제19회전체(560)는 후설될 상기 제15연결체(570)를 통해서 상기 제18회전체(540)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상기 제2고정 축(530)과의 마찰로 인한 회전력 절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내부에 상기 제2고정 축(530)과 이격되는 중공(561)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5연결체(570)의 일단은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내륜(541b)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내륜(563b)과 결합되어, 상기 제18회전체(540)의 회전력을 상기 제19회전체(560)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상기 제19회전체(56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5연결체(570)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외륜(541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내륜(563b)과 결합되는 제17연결체(57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8회전체(540)의 회전력을 상기 제17연결체(572)를 통해서 상기 제19회전체(5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0회전체(580)는 상기 제5입력 축(5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5입력 축(510)과 이격되는 중공(58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0기어(582)가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0동력전달체(590)는 상기 제19회전체(560)의 제19기어(562)와 상기 제20회전체(580)의 제20기어(58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9회전체(560)의 회전력을 상기 제20회전체(580)로 전달하여 상기 제20회전체(58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6연결체(571)는 상기 제17회전체(520)의 제12원웨이클러치(521)의 외륜(521a)과 상기 제20회전체(58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0회전체(580)의 회전력을 상기 제17기어(5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의 외륜(521a)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5입력 축(510)이 회전되어 상기 제5입력 축(5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7회전체(520)의 제12원웨이클러치(521)가 잠금상태 되어 상기 제17회전체(520)가 회전되면, 상기 제17회전체(520)와 상기 제2고정 축(5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8회전체(540)를 연결하는 상기 제9동력전달체(550)로 인해서 상기 제18회전체(540)는 고정된 상기 제2고정 축(5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8회전체(5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제17,18회전체(520,540) 및 제9동력전달체(550)를 통해서 상기 제5입력 축(510)에서 상기 제18회전체(54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18회전체(540)와 제15연결체(570)를 통해서 연결되는 상기 제19회전체(5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9회전체(56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10동력전달체(590)를 통해서 상기 제20회전체(580)로 전송되고,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0회전체(58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17회전체(520)의 제17기어(522)로 전송되어 상기 제5입력 축(5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2고정 축(53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8회전체(54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5입력 축(5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5입력 축(5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17회전체(520)를 통해서 상기 제2고정 축(530)에 위치되는 제18회전체(540)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18회전체(540)와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통상의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5입력 축(5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7회전체(5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2고정 축(53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8회전체(540)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6입력 축(610)과, 제21회전체(620)와, 제3고정 축(630)과, 제22회전체(640)와, 제11동력전달체(650)와, 제23회전체(660)와, 제18연결체(670)와, 제24회전체(680)와, 제12동력전달체(690)와, 제19연결체(671)를 포함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입력 축(6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회전체(6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5원웨이클러치(621)가 상기 제6입력 축(6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의 외륜(621a)에는 제21기어(622)가 형성되어 상기 제6입력 축(61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의 제21기어(622) 및 후설될 기어의 형상을 스프로킷으로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고정 축(630)은 후설될 상기 제22회전체(640)가 위치되도록 하는 축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회전체(640)는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6원웨이클러치(641)가 상기 제3고정 축(6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주면은 상기 제3고정 축(630)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3고정 축(630)과 이격되며,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륜(641b)에는 제22기어(6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외륜(641a)은 동력을 제공받아 소모하는 동력장치(1)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장치(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제22회전체(640)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후설될 상기 제11동력전달체(650)를 통해서 상기 제21회전체(62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22기어(642)가 형성된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륜(641b)은 외륜(641a)과 잠금상태가 되어 상기 제22회전체(6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3고정 축(63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고정 축(630)과의 접촉으로 인한 회전력 절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주면은 상기 제3고정 축(630)과 이격되어 상기 제22회전체(640)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륜(641b)에 제22기어(642)가 형성되지 않고 외륜(641a)에 형성되어 외륜(641a)이 회전하게 되면, 외륜(641a)이 내륜(641b)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여서 외륜(641a)이 공회전 되므로 상기 제22기어(642)는 상기 제16웨이클러치(641)의 내륜(641b)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2회전체(640)는 상기 제6입력 축(6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1동력전달체(650)를 통해서 제공받아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22회전체(640)에는 동력을 소모하는 상기 동력장치(1)가 연결되어 상기 제6입력 축(6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되며, 상기 동력장치(1)가 상기 제3고정 축(630)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력장치(1)의 내주면에 부싱이나 베어링(1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동력전달체(650)는 상기 제21회전체(620)의 제21기어(622)와 상기 제22회전체(640)의 제22기어(64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1회전체(6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2회전체(640)로 전달하여 상기 제22회전체(6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1동력전달체(650) 및 후설될 동력전달체는 스프로킷으로 구체화된 기어에 적합한 체인으로 구체화됨이 바람직하나, 구체화되는 기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3회전체(660)는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7원웨이클러치(663)가 상기 제3고정 축(6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663)의 내부에는 상기 제3고정 축(630)과 이격되는 중공(6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663)의 외륜(663a)에는 제23기어(6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3회전체(6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7원웨이클러치(663)로 인해 상기 제22회전체(640)와 상기 제23회전체(660)의 회전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이를 보상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제23회전체(660)는 후설될 상기 제18연결체(670)를 통해서 상기 제22회전체(640)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상기 제3고정 축(630)과의 마찰로 인한 회전력 절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663)의 내부에 상기 제3고정 축(630)과 이격되는 중공(661)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8연결체(670)의 일단은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륜(641b)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663)의 내륜(663b)과 결합되어, 상기 제22회전체(640)의 회전력을 상기 제23회전체(660)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상기 제23회전체(66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4회전체(680)는 상기 제6입력 축(6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6입력 축(610)과 이격되는 중공(68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4기어(682)가 형성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동력전달체(690)는 상기 제23회전체(660)의 제23기어(662)와 상기 제24회전체(680)의 제24기어(68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3회전체(660)의 회전력을 상기 제24회전체(680)로 전달하여 상기 제24회전체(68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9연결체(671)는 상기 제21회전체(620)의 제15원웨이클러치(621)의 외륜(621a)과 상기 제24회전체(68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4회전체(680)의 회전력을 상기 제21기어(6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의 외륜(621a)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6입력 축(610)이 회전되어 상기 제6입력 축(6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1회전체(620)의 제15원웨이클러치(621)가 잠금상태 되어 상기 제21회전체(620)가 회전되면, 상기 제21회전체(620)와 상기 제3고정 축(6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2회전체(640)를 연결하는 상기 제11동력전달체(650)로 인해서 상기 제22회전체(640)는 고정된 상기 제3고정 축(6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회전체(6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1)가 연결되어 상기 제21,22회전체(620,640) 및 제11동력전달체(650)를 통해서 상기 제6입력 축(610)에서 상기 제22회전체(64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22회전체(640)와 제18연결체(670)를 통해서 연결되는 상기 제23회전체(6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3회전체(66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12동력전달체(690)를 통해서 상기 제24회전체(680)로 전송되고,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4회전체(68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21회전체(620)의 제21기어(622)로 전송되어 상기 제6입력 축(6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3고정 축(63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2회전체(64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6입력 축(6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6입력 축(6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21회전체(620)를 통해서 상기 제3고정 축(630)에 위치되는 제22회전체(640)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22회전체(640)와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통상의 동력장치(1)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6입력 축(6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1회전체(6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3고정 축(63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2회전체(640)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7입력 축(710)과, 제25회전체(720)와, 제4고정 축(730)과, 제26회전체(740)와, 제13동력전달체(750)와, 제27회전체(760)와, 제21연결체(770)와, 제28회전체(780)와, 제14동력전달체(790)와, 제22연결체(771)를 포함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입력 축(7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5회전체(7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8원웨이클러치(721)가 상기 제7입력 축(7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의 외륜(721a)에는 제25기어(722)가 형성되어 상기 제7입력 축(71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의 제25기어(722) 및 후설될 기어의 형상을 스프로킷으로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고정 축(730)은 후설될 상기 제26회전체(740)가 위치되도록 하는 축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6회전체(740)는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9원웨이클러치(741)가 상기 제4고정 축(7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내주면은 상기 제4고정 축(730)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4고정 축(730)과 이격되며,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의 외륜(721a)에는 제26기어(7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내륜(741b)은 동력을 제공받아 소모하는 동력장치(1)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장치(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제26회전체(740)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후설될 상기 제13동력전달체(750)를 통해서 상기 제25회전체(72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상기 제26기어(742)가 형성된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외륜(741a)은 내륜(741b)과 잠금상태가 되어 상기 제26회전체(7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4고정 축(73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4고정 축(730)과의 접촉으로 인한 회전력 절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내주면은 상기 제4고정 축(730)과 이격되어 상기 제26회전체(740)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외륜(741a)에 제26기어(742)가 형성되지 않고 내륜(741b)에 형성되어 내륜(741b)이 회전하게 되면, 내륜(741b)이 외륜(741a)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여서 내륜(741b)이 공회전 되므로 상기 제26기어(742)는 상기 제19웨이클러치(741)의 외륜(741a)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6회전체(740)는 상기 제7입력 축(7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3동력전달체(750)를 통해서 제공받아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26회전체(740)에는 동력을 소모하는 상기 동력장치(1)가 연결되어 상기 제7입력 축(7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되며, 상기 동력장치(1)가 상기 제4고정 축(730)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력장치(1)의 내주면에 부싱이나 베어링(1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3동력전달체(750)는 상기 제25회전체(720)의 제25기어(722)와 상기 제26회전체(740)의 제26기어(74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회전체(7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6회전체(740)로 전달하여 상기 제26회전체(7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3동력전달체(750) 및 후설될 동력전달체는 스프로킷으로 구체화된 기어에 적합한 체인으로 구체화됨이 바람직하나, 구체화되는 기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7회전체(760)는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0원웨이클러치(763)가 상기 제4고정 축(7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내부에는 상기 제4고정 축(730)과 이격되는 중공(761)이 형성되며,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외륜(763a)에는 제27기어(7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7회전체(7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0원웨이클러치(763)로 인해 상기 제26회전체(740)와 상기 제27회전체(760)의 회전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이를 보상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제27회전체(760)는 후설될 상기 제21연결체(770)를 통해서 상기 제26회전체(740)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상기 제4고정 축(730)과의 마찰로 인한 회전력 절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내부에 상기 제4고정 축(730)과 이격되는 중공(76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연결체(770)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외륜(741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내륜(763b)과 결합되는 제23연결체(77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6회전체(740)의 회전력을 상기 제23연결체(772)를 통하여 상기 제27회전체(7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연결체(770)의 일단은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내륜(741b)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내륜(763b)과 결합되어, 상기 제26회전체(740)의 회전력를 상기 제27회전체(760)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상기 제27회전체(76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8회전체(780)는 상기 제7입력 축(7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7입력 축(710)과 이격되는 중공(78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8기어(782)가 형성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4동력전달체(790)는 상기 제27회전체(760)의 제27기어(762)와 상기 제28회전체(780)의 제28기어(78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7회전체(760)의 회전력을 상기 제28회전체(780)로 전달하여 상기 제28회전체(78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연결체(771)는 상기 제25회전체(720)의 제18원웨이클러치(721)의 외륜(721a)과 상기 제28회전체(78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8회전체(780)의 회전력을 상기 제25기어(7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의 외륜(721a)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7입력 축(710)이 회전되어 상기 제7입력 축(7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5회전체(720)의 제18원웨이클러치(721)가 잠금상태 되어 상기 제25회전체(720)가 회전되면, 상기 제25회전체(720)와 상기 제4고정 축(7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6회전체(740)를 연결하는 상기 제13동력전달체(750)로 인해서 상기 제26회전체(740)는 고정된 상기 제4고정 축(7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6회전체(7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1)가 연결되어 상기 제25,26회전체(720,740) 및 제13동력전달체(750)를 통해서 상기 제7입력 축(710)에서 상기 제26회전체(74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26회전체(740)와 제21연결체(770)를 통해서 연결되는 상기 제27회전체(7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7회전체(76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14동력전달체(790)를 통해서 상기 제28회전체(780)로 전송되고,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8회전체(78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25회전체(720)의 제25기어(722)로 전송되어 상기 제7입력 축(7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4고정 축(73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6회전체(74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7입력 축(7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7입력 축(7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25회전체(720)를 통해서 상기 제4고정 축(730)에 위치되는 제26회전체(740)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26회전체(740)와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통상의 동력장치(1)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7입력 축(7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5회전체(7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4고정 축(73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6회전체(740)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8입력 축(810)과, 제21원웨이클러치(820)와, 제29회전체(830)와, 제4출력 축(840)과, 제30회전체(850)와, 제15동력전달체(860)와, 제22원웨이클러치(870)와, 제16동력전달체(8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입력 축(8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8입력 축(81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8입력 축(810)과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9회전체(830)는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의 외륜(821)에 결합되어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9회전체(830)는 상기 21원웨이클러치(820)의 외륜(821)에 용접 결합되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용접 결합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출력 축(840)은 상기 제8입력 축(8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8입력 축(810)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4출력 축(840)은 상기 제8입력 축(8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후설될 상기 제30회전체(850)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4출력 축(8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8입력 축(8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0회전체(850)는 상기 제4출력 축(8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4출력 축(840)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29회전체(830)의 회전력을 후설될 상기 제15동력전달체(860)로부터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5동력전달체(860)는 상기 제29회전체(830)와 상기 제30회전체(85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9회전체(830)의 회전력을 상기 제30회전체(850)로 전달하여 상기 제30회전체(85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5동력전달체(86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제29회전체(830)와 상기 제30회전체(850)를 상호 견고히 연결되도록 90°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환형의 원통 등의 형상으로 구체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4출력 축(8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4출력 축(84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6동력전달체(880)는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외륜(871)과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의 외륜(82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회전력을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로 전달하도록 한다.
즉,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6동력전달체(880)를 통해서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다시 상기 제29회전체(830)로 제공되므로, 상기 제8입력 축(810)을 통해서 상기 제29회전체(830)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합쳐져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여기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외륜(871)과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의 외륜(821)을 상호 연결하는 제16동력전달체(880)를 대신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외륜(871)과 상기 제29회전체(8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회전력을 상기 제29회전체(830)로 전달하는 제17동력전달체(89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상기와 같은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8입력 축(810)이 회전되어 상기 제8입력 축(8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가 잠금상태 되어 회전하면,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의 외륜(821)에 결합되는 제29회전체(830)가 회전되고, 상기 제29회전체(830)와 상기 제4출력 축(84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30회전체(850)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제15동력전달체(860)로 인해서 상기 제30회전체(850)가 회전되며, 상기 제30회전체(850)의 회전으로 상기 제4출력 축(84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출력 축(8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8입력 축(810)에서 상기 제4출력 축(84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4출력 축(84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16동력전달체(880)를 통해서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로(820)로 전송되고,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29회전체(830)로 전송되어 상기 제8입력 축(8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4출력 축(84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0회전체(85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8입력 축(8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8입력 축(8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를 통해서 상기 제4출력 축(84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4출력 축(840)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8입력 축(8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4출력 축(840)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9입력 축(910)과, 제23원웨이클러치(920)와, 제31회전체(930)와, 제5출력 축(940)과, 제24원웨이클러치(950)와, 제18동력전달체(960)와, 제25원웨이클러치(970)와, 제19동력전달체(9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9입력 축(9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9입력 축(91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9입력 축(910)과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1회전체(930)는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의 내륜(922)에 결합되어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31회전체(930)는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의 내륜(922)에 용접 결합되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용접 결합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출력 축(940)은 상기 제9입력 축(9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9입력 축(910)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5출력 축(940)은 상기 제9입력 축(9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후설될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5출력 축(9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9입력 축(9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5출력 축(9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5출력 축(940)과 함께 회전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8동력전달체(960)는 상기 제31회전체(930)와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의 외륜(95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1회전체(930)의 회전력을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로 전달하여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가 회전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8동력전달체(960)의 일단이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의 외륜(951)에 연결되지 않고 내륜(952)에 연결되면, 상기 제24원에이클러치(950)의 내륜(952)이 외륜(951)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여서 상기 제18동력전달체(96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내륜(952)이 공회전 되므로 상기 제18동력전달체(960)의 일단이 상기 제24웨이클러치(950)의 외륜(951)에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8동력전달체(96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제31회전체(930)와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를 상호 견고히 연결되도록 90°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환형의 원통 등의 형상으로 구체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5출력 축(9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5출력 축(94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9동력전달체(980)는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외륜(971)과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의 외륜(92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회전력을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로 전달하도록 한다.
즉,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9동력전달체(980)를 통해서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다시 상기 제31회전체(930)로 제공되므로, 상기 제9입력 축(910)을 통해서 상기 제31회전체(930)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합쳐져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여기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외륜(971)과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의 외륜(921)을 상호 연결하는 제19동력전달체(980)를 대신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외륜(971)과 상기 제31회전체(9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회전력을 상기 제31회전체(930)로 전달하는 제20동력전달체(99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상기와 같은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9입력 축(910)이 회전되어 상기 제9입력 축(9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가 잠금상태 되어 회전하면,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의 내륜(922)에 결합되는 제31회전체(930)가 회전되고, 상기 제31회전체(930)와 상기 제5출력 축(94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제18동력전달체(960)로 인해서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가 회전되며,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의 회전으로 상기 제5출력 축(94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출력 축(9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9입력 축(910)에서 상기 제5출력 축(94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5출력 축(94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19동력전달체(980)를 통해서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로(920)로 전송되고,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31회전체(930)로 전송되어 상기 제9입력 축(9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5출력 축(94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9입력 축(9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9입력 축(9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를 통해서 상기 제5출력 축(94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5출력 축(940)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9입력 축(9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5출력 축(940)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제10입력 축(1010)과, 제26원웨이클러치(1020)와, 제32회전체(1030)와, 제6출력 축(1040)과, 제27원웨이클러치(1050)와, 제21동력전달체(1060)와, 제28원웨이클러치(1070)와, 제22동력전달체(10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0입력 축(1010)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10입력 축(101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0입력 축(1010)과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외륜과 내륜이 잠금상태(외륜과 내륜이 서로 걸려 힘이 받는 상태)가 되면 회전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공회전하는 기기로,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웨이클러치의 기본적인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2회전체(1030)는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의 외륜(1021)에 결합되어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32회전체(1030)는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의 외륜(1021)에 용접 결합되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용접 결합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출력 축(1040)은 상기 제10입력 축(10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10입력 축(1010)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6출력 축(1040)은 상기 제10입력 축(10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후설될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이러한 상기 제6출력 축(10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10입력 축(10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6출력 축(10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6출력 축(1040)과 함께 회전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동력전달체(1060)는 상기 제32회전체(1030)와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의 외륜(105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2회전체(1030)의 회전력을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로 전달하여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가 회전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21동력전달체(1060)의 일단이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의 외륜(1051)에 연결되지 않고 내륜(1052)에 연결되면, 상기 제27원에이클러치(1050)의 내륜(1052)이 외륜(1051)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여서 상기 제21동력전달체(106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내륜(1052)이 공회전 되므로 상기 제21동력전달체(1060)의 일단이 상기 제27웨이클러치(1050)의 외륜(1051)에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1동력전달체(106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제32회전체(1030)와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를 상호 견고히 연결되도록 90°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환형의 원통 등의 형상으로 구체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제6출력 축(10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6출력 축(104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동력전달체(1080)는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외륜(1071)과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의 외륜(102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회전력을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로 전달하도록 한다.
즉,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2동력전달체(1080)를 통해서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다시 상기 제32회전체(1030)로 제공되므로, 상기 제10입력 축(1010)을 통해서 상기 제32회전체(1030)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합쳐져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여기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외륜(1071)과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의 외륜(1021)을 상호 연결하는 제22동력전달체(1080)를 대신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외륜(1071)과 상기 제32회전체(10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회전력을 상기 제32회전체(1030)로 전달하는 제23동력전달체(109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상기와 같은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10입력 축(1010)이 회전되어 상기 제10입력 축(10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가 잠금상태 되어 회전하면,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의 내륜(1022)에 결합되는 제32회전체(1030)가 회전되고, 상기 제32회전체(1030)와 상기 제6출력 축(104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제21동력전달체(1060)로 인해서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가 회전되며,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의 회전으로 상기 제6출력 축(104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출력 축(1040)에는 통상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10입력 축(1010)에서 상기 제6출력 축(1040)으로 공급되는 회전력의 일부가 소모가 되고,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6출력 축(104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22동력전달체(1080)를 통해서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로(1020)로 전송되고,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로 전송된 회전력은 상기 제32회전체(1030)로 전송되어 상기 제10입력 축(10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과 함께 상기 제6출력 축(1040)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로 전달되므로 안정적으로 회전력 증강이 유도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동력이 입력되는 상기 제10입력 축(10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0입력 축(101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를 통해서 상기 제6출력 축(104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6출력 축(1040)과 통상 연결되어 동력을 소모하는 동력장치에서 일부 소모되고, 동시에 나머지 회전력은 상기 제10입력 축(10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로 회수되어 다시 상기 제6출력 축(1040)으로 제공되는 구조로 인해서 안정적인 회전력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자전거의 바퀴와 함께 회전축과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바퀴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자전거 바퀴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하는 발전기;와, 자전거 운행에 따른 주행 정보를 송신하는 자전거 단말기;와,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어박스의 기어를 효율적으로 변속되도록 하는 원격제어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100)는 원격제어 스마트폰을 통해서 자전거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자전거의 기어변속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자전거의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자전거, 자동차, 펌프, 조선, 발전기, 전동기 및 스마트폰 원격제어장치 등의 동력전달장치에 사용가능하다.
1. 동력장치 1a. 베어링
100.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10. 제1입력 축 120. 제1회전체
130. 제1출력 축 140. 제2회전체
150. 제1동력전달체 160. 제3회전체
170. 제4회전체 180. 제2동력전달체
190. 제1연결체
210. 제2입력 축 220. 제5회전체
230. 제2출력 축 240. 제6회전체
250. 제3동력전달체 260. 제7회전체
270. 제8회전체 280. 제4동력전달체
290. 제4연결체
310. 제3입력 축 320. 제9회전체
330. 제3출력 축 340. 제10회전체
350. 제5동력전달체 360. 제11회전체
370. 제12회전체 380. 제6동력전달체
390. 제8연결체
410. 제4입력 축 420. 제13회전체
430. 제1고정 축 440. 제14회전체
442. 제1베어링
450. 제7동력전달체 460. 제15회전체
470. 제12연결체 471. 제13연결체
480. 제16회전체 490. 제8동력전달체
510. 제5입력 축 520. 제17회전체
530. 제2고정 축 540. 제18회전체
542. 제2베어링
550. 제9동력전달체 560. 제19회전체
570. 제15연결체 571. 제16연결체
580. 제20회전체 590. 제10동력전달체
610. 제6입력 축 620. 제21회전체
630. 제3고정 축 640. 제22회전체
650. 제11동력전달체 660. 제23회전체
670. 제18연결체 671. 제19연결체
680. 제24회전체 690. 제12동력전달체
710. 제7입력 축 720. 제25회전체
730. 제4고정 축 740. 제26회전체
750. 제13동력전달체 760. 제27회전체
770. 제21연결체 771. 제22연결체
780. 제28회전체 790. 제14동력전달체
810. 제8입력 축 820. 제21원웨이클러치
830. 제29회전체 840. 제4출력 축
850. 제30회전체 860. 제15동력전달체
870. 제22원웨이클러치 880. 제16동력전달체
890. 제17동력전달체
910. 제9입력 축 920. 제23원웨이클러치
930. 제31회전체 940. 제5출력 축
950. 제24원웨이클러치 960. 제18동력전달체
970. 제25원웨이클러치 980. 제19동력전달체
990. 제20동력전달체
1010. 제10입력 축 1020. 제26원웨이클러치
1030. 제32회전체 1040. 제6출력 축
1050. 제27원웨이클러치 1060. 제21동력전달체
1070. 제28원웨이클러치 1080. 제122동력전달체
1090. 제23동력전달체

Claims (22)

  1.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입력 축(1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원웨이클러치(121:one way clutch)가 상기 제1입력 축(1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121)의 외륜(121a)에는 제1기어(1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입력 축(110)과 함께 회전되는 제1회전체(120);
    상기 제1입력 축(1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출력 축(130);
    상기 제1출력 축(130) 상에 위치되며, 외주면에는 제2기어(14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 축(130)과 함께 회전되는 제2회전체(140);
    상기 제1회전체(120)의 제1기어(122)와 상기 제2회전체(140)의 제2기어(141)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회전체(1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체(140)로 전달하여 상기 제2회전체(14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동력전달체(150);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1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원웨이클러치(162)가 상기 제1출력 축(1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162)의 외륜(162a)에 제3기어(16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출력 축(130)과 함께 회전되는 제3회전체(160);
    상기 제1입력 축(1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1입력 축(110)과 이격되는 중공(17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4기어(172)가 형성되는 제4회전체(170);
    상기 제3회전체(160)의 제3기어(161)와 상기 제4회전체(170)의 제4기어(17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회전체(160)의 회전력을 상기 제4회전체(170)로 전달하여 상기 제4회전체(14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동력전달체(180); 및
    상기 제1회전체(120)의 제1원웨이클러치(121)의 외륜(121a)과 상기 제4회전체(17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4회전체(170)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1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121)의 외륜(121a)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연결체(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140)와 상기 제3회전체(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원웨이클러치(162)의 내륜과 연결하는 제3연결체(19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회전체(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원웨이클러치(162)의 내주면이 상기 제1출력 축(13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162)의 내부에 중공(163)을 형성하여 상기 제2회전체(140)의 회전력이 상기 제3연결체(192)를 통하여 상기 제3회전체(1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3.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2입력 축(2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3원웨이클러치(221)가 상기 제2입력 축(2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의 외륜(221a)에는 제5기어(222)가 형성되어 상기 제2입력 축(210)과 함께 회전되는 제5회전체(220);
    상기 제2입력 축(2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2출력 축(230);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4원웨이클러치(241)가 상기 제2출력 축(2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내륜(241b)에는 제6기어(242)가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 축(230)과 함께 회전되는 제6회전체(240);
    상기 제5회전체(220)의 제5기어(222)와 상기 제6회전체(240)의 제6기어(24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5회전체(220)의 회전력을 상기 제6회전체(240)로 전달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3동력전달체(250);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가 상기 제2출력 축(2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외륜(262a)에는 제7기어(261)가 형성되어 상기 제2출력 축(230)과 함께 회전되는 제7회전체(260);
    상기 제2입력 축(2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2입력 축(210)과 이격되는 중공(27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8기어(272)가 형성되는 제8회전체(270);
    상기 제7회전체(260)의 제7기어(261)와 상기 제8회전체(270)의 제8기어(27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7회전체(260)의 회전력을 상기 제8회전체(270)로 전달하여 상기 제8회전체(27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4동력전달체(280); 및
    상기 제5회전체(220)의 제3원웨이클러치(221)의 외륜(221a)과 상기 제8회전체(27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8회전체(270)의 회전력을 상기 제5기어(222)가 형성되는 상기 제3원웨이클러치(221)의 외륜(221a)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4연결체(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6회전체(240)에 형성되는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내륜(241b)과 상기 제7회전체(260)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내륜(2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6연결체(29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와 제7회전체(26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상기 제7회전체(260)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내주면이 상기 제2출력 축(23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내부에 중공(263)을 형성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의 회전력이 상기 제6연결체(292)를 통하여 상기 제7회전체(2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6연결체(292)를 대신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에 형성되는 제4원웨이클러치(241)의 외륜(241a)과 상기 제7회전체(260)에 형성되는 제5원웨이클러치(262)의 내륜(2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7연결체(29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6회전체(240)의 회전력이 상기 제7연결체(293)를 통하여 상기 제7회전체(2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6.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3입력 축(3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6원웨이클러치(321)가 상기 제3입력 축(3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의 외륜(321a)에는 제9기어(322)가 형성되어 상기 제3입력 축(310)과 함께 회전되는 제9회전체(320);
    상기 제3입력 축(3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3출력 축(330);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7원웨이클러치(341)가 상기 제3출력 축(3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7원웨이클러치(341)의 외륜(341a)에는 제10기어(342)가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 축(330)과 함께 회전되는 제10회전체(340);
    상기 제9회전체(320)의 제9기어(322)와 상기 제10회전체(340)의 제10기어(34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9회전체(320)의 회전력을 상기 제10회전체(3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5동력전달체(350);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가 상기 제3출력 축(33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외륜(362a)에는 제11기어(361)가 형성되어 상기 제3출력 축(330)과 함께 회전되는 제11회전체(360);
    상기 제3입력 축(3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3입력 축(310)과 이격되는 중공(37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2기어(372)가 형성되는 제12회전체(370);
    상기 제11회전체(360)의 제11기어(361)와 상기 제12회전체(370)의 제12기어(37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1회전체(360)의 회전력을 상기 제12회전체(370)로 전달하여 상기 제12회전체(37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6동력전달체(380); 및
    상기 제9회전체(320)의 제6원웨이클러치(321)의 외륜(321a)과 상기 제12회전체(37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12회전체(370)의 회전력을 상기 제9기어(322)가 형성되는 상기 제6원웨이클러치(321)의 외륜(321a)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8연결체(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회전체(340)에 형성되는 제7원웨이클러치(341)의 내륜(341b)과 상기 제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륜(3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10연결체(39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와 제11회전체(36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되,
    상기 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주면이 상기 제3출력 축(33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부에 중공(363)을 형성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0연결체(392)를 통하여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연결체(392)를 대신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에 형성되는 제7원웨이클러치(341)의 외륜(341a)과 상기 제11회전체(360)에 형성되는 제8원웨이클러치(362)의 내륜(362b)을 상호 결합하는 제11연결체(39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0회전체(3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1연결체(393)를 통하여 상기 제11회전체(3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9.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4입력 축(4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9원웨이클러치(421)가 상기 제4입력 축(4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의 외륜(421a)에는 제13기어(422)가 형성되어 상기 제4입력 축(410)과 함께 회전되는 제13회전체(420);
    제14회전체(440)가 고정되는 제1고정 축(430);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0원웨이클러치(441)가 상기 제1고정 축(4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 내륜(441b)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고정 축(430)이 내부로 관통되는 제1베어링(4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 내륜(441b)의 외주면에는 제14기어(443)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1고정 축(43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하는 제14회전체(440);
    상기 제13회전체(420)의 제13기어(422)와 상기 제14회전체(440)의 제14기어(443)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3회전체(420)의 회전력을 상기 제14회전체(4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4회전체(44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7동력전달체(450);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1원웨이클러치(463)가 상기 제1고정 축(4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내부에는 상기 제1고정 축(430)과 이격되도록 중공(4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외륜(463a)에는 제15기어(462)가 형성되는 제15회전체(460);
    일단은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의 내륜(441b)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내륜(463b)과 결합되어, 상기 제14회전체(4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5회전체(4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제12연결체(470);
    상기 제4입력 축(4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4입력 축(410)과 이격되는 중공(48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6기어(482)가 형성되는 제16회전체(480);
    상기 제15회전체(460)의 제15기어(462)와 상기 제16회전체(480)의 제16기어(48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5회전체(460)의 회전력을 상기 제16회전체(480)로 전달하여 상기 제16회전체(48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8동력전달체(490); 및
    상기 제13회전체(420)의 제9원웨이클러치(421)의 외륜(421a)과 상기 제16회전체(48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16회전체(480)의 회전력을 상기 제13기어(422)가 형성되는 상기 제9원웨이클러치(421)의 외륜(421a)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3연결체(4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체(470)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0원웨이클러치(441)의 외륜(441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1원웨이클러치(463)의 내륜(463b)과 결합되는 제14연결체(47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4회전체(4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4연결체(472)를 통해서 상기 제15회전체(4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1.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5입력 축(5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2원웨이클러치(521)가 상기 제5입력 축(5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의 외륜(521a)에는 제17기어(522)가 형성되어 상기 제5입력 축(510)과 함께 회전되는 제17회전체(520);
    제18회전체(540)가 고정되는 제2고정 축(530);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3원웨이클러치(541)가 상기 제2고정 축(5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 내륜(541b)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고정 축(530)이 내부로 관통되는 제2베어링(5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외륜(541a)에는 제18기어(543)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2고정 축(53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하는 제18회전체(540);
    상기 제17회전체(520)의 제17기어(522)와 상기 제18회전체(540)의 제18기어(543)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7회전체(520)의 회전력을 상기 제18회전체(5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8회전체(54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9동력전달체(550);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4원웨이클러치(563)가 상기 제2고정 축(5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내부에는 상기 제2고정 축(530)과 이격되는 중공(5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외륜(563a)에는 제19기어(562)가 형성되는 제19회전체(560);
    일단은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내륜(541b)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내륜(563b)과 결합되어, 상기 제18회전체(5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9회전체(5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제15연결체(570);
    상기 제5입력 축(5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5입력 축(510)과 이격되는 중공(58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0기어(582)가 형성되는 제20회전체(580);
    상기 제19회전체(560)의 제19기어(562)와 상기 제20회전체(580)의 제20기어(58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9회전체(560)의 회전력을 상기 제20회전체(580)로 전달하여 상기 제20회전체(58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0동력전달체(590); 및
    상기 제17회전체(520)의 제12원웨이클러치(521)의 외륜(521a)과 상기 제20회전체(58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0회전체(580)의 회전력을 상기 제17기어(5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2원웨이클러치(521)의 외륜(521a)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6연결체(5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5연결체(570)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3원웨이클러치(541)의 외륜(541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4원웨이클러치(563)의 내륜(563b)과 결합되는 제17연결체(57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8회전체(540)의 회전력이 상기 제17연결체(572)를 통해서 상기 제19회전체(5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3.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6입력 축(6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5원웨이클러치(621)가 상기 제6입력 축(6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의 외륜(621a)에는 제21기어(622)가 형성되어 상기 제6입력 축(610)과 함께 회전되는 제21회전체(620);
    제22회전체(640)가 위치되는 제3고정 축(630);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6원웨이클러치(641)가 상기 제3고정 축(6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주면은 상기 제3고정 축(630)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3고정 축(630)과 이격되며,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륜(641b)에는 제22기어(6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외륜(641a)은 동력을 제공받아 소모하는 동력장치(1)와 연결되는 제22회전체(640);
    상기 제21회전체(620)의 제21기어(622)와 상기 제22회전체(640)의 제22기어(64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1회전체(6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2회전체(640)로 전달하여 상기 제22회전체(64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1동력전달체(650);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7원웨이클러치(663)가 상기 제3고정 축(6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663)의 내부에는 상기 제3고정 축(630)과 이격되는 중공(6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663)의 외륜(663a)에는 제23기어(662)가 형성되는 제23회전체(660);
    일단은 상기 제16원웨이클러치(641)의 내륜(641b)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7원웨이클러치(663)의 내륜(663b)과 결합되어, 상기 제22회전체(640)의 회전력이 상기 제23회전체(6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제18연결체(670);
    상기 제6입력 축(6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6입력 축(610)과 이격되는 중공(68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4기어(682)가 형성되는 제24회전체(680);
    상기 제23회전체(660)의 제23기어(662)와 상기 제24회전체(680)의 제24기어(68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3회전체(660)의 회전력을 상기 제24회전체(680)로 전달하여 상기 제24회전체(68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2동력전달체(690); 및
    상기 제21회전체(620)의 제15원웨이클러치(621)의 외륜(621a)과 상기 제24회전체(68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4회전체(680)의 회전력을 상기 제21기어(6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5원웨이클러치(621)의 외륜(621a)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9연결체(6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4.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7입력 축(7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제18원웨이클러치(721)가 상기 제7입력 축(710)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의 외륜(721a)에는 제25기어(722)가 형성되어 상기 제7입력 축(710)과 함께 회전되는 제25회전체(720);
    제26회전체(740)가 위치되는 제4고정 축(730);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9원웨이클러치(741)가 상기 제4고정 축(7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내주면은 상기 제4고정 축(730)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4고정 축(730)과 이격되며,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의 외륜(721a)에는 제26기어(7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내륜(741b)은 동력을 제공받아 소모하는 동력장치(1)와 연결되는 제26회전체(740);
    상기 제25회전체(720)의 제25기어(722)와 상기 제26회전체(740)의 제26기어(74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회전체(7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6회전체(740)로 전달하여 상기 제26회전체(74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3동력전달체(750);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0원웨이클러치(763)가 상기 제4고정 축(730) 상에 위치되되,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내부에는 상기 제4고정 축(730)과 이격되는 중공(761)이 형성되며,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외륜(763a)에는 제27기어(762)가 형성되는 제27회전체(760);
    일단은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내륜(741b)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내륜(763b)과 결합되어, 상기 제26회전체(740)의 회전력이 상기 제27회전체(7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제21연결체(770);
    상기 제7입력 축(710) 상에 위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제7입력 축(710)과 이격되는 중공(78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28기어(782)가 형성되는 제28회전체(780);
    상기 제27회전체(760)의 제27기어(762)와 상기 제28회전체(780)의 제28기어(78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7회전체(760)의 회전력을 상기 제28회전체(780)로 전달하여 상기 제28회전체(78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4동력전달체(790); 및
    상기 제25회전체(720)의 제18원웨이클러치(721)의 외륜(721a)과 상기 제28회전체(78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8회전체(780)의 회전력을 상기 제25기어(7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8원웨이클러치(721)의 외륜(721a)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22연결체(7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연결체(770)를 대신하여, 일단은 상기 제19원웨이클러치(741)의 외륜(741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0원웨이클러치(763)의 내륜(763b)과 결합되는 제23연결체(77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6회전체(740)의 회전력이 상기 제23연결체(772)를 통하여 상기 제27회전체(76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6.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8입력 축(8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8입력 축(81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8입력 축(810)과 함께 회전되는 제21원웨이클러치(820);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의 외륜(821)에 결합되어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와 함께 회전되는 제29회전체(830);
    상기 제8입력 축(8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8입력 축(810)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4출력 축(840);
    상기 제4출력 축(8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4출력 축(840)과 함께 회전되는 제30회전체(850);
    상기 제29회전체(830)와 상기 제30회전체(85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9회전체(830)의 회전력을 상기 제30회전체(850)로 전달하여 상기 제30회전체(85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5동력전달체(86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4출력 축(8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4출력 축(840)과 함께 회전되는 제22원웨이클러치(870); 및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외륜(871)과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의 외륜(82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회전력을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로 전달하는 제16동력전달체(8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외륜(871)과 상기 제21원웨이클러치(820)의 외륜(821)을 상호 연결하는 제16동력전달체(880)를 대신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외륜(871)과 상기 제29회전체(8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2원웨이클러치(870)의 회전력을 상기 제29회전체(830)로 전달하는 제17동력전달체(8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8.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9입력 축(9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9입력 축(91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9입력 축(910)과 함께 회전되는 제23원웨이클러치(920);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의 내륜(922)에 결합되어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와 함께 회전되는 제31회전체(930);
    상기 제9입력 축(9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9입력 축(910)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5출력 축(94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5출력 축(9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5출력 축(940)과 함께 회전되는 제24원웨이클러치(950);
    상기 제31회전체(930)와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의 외륜(95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1회전체(930)의 회전력을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로 전달하여 상기 제24원웨이클러치(95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8동력전달체(96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5출력 축(9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5출력 축(940)과 함께 회전되는 제25원웨이클러치(970); 및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외륜(971)과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의 외륜(92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회전력을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로 전달하는 제19동력전달체(9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외륜(971)과 상기 제23원웨이클러치(920)의 외륜(921)을 상호 연결하는 제19동력전달체(980)를 대신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외륜(971)과 상기 제31회전체(9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5원웨이클러치(970)의 회전력을 상기 제31회전체(930)로 전달하는 제20동력전달체(9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20.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0입력 축(101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10입력 축(101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0입력 축(1010)과 함께 회전되는 제26원웨이클러치(1020);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의 외륜(1021)에 결합되어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와 함께 회전되는 제32회전체(1030);
    상기 제10입력 축(101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10입력 축(1010)과 수평되도록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6출력 축(104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6출력 축(10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6출력 축(1040)과 함께 회전되는 제27원웨이클러치(1050);
    상기 제32회전체(1030)와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의 외륜(105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2회전체(1030)의 회전력을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로 전달하여 상기 제27원웨이클러치(105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1동력전달체(1060);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제6출력 축(10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6출력 축(1040)과 함께 회전되는 제28원웨이클러치(1070); 및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외륜(1071)과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의 외륜(1021)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회전력을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로 전달하는 제22동력전달체(10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외륜(1071)과 상기 제26원웨이클러치(1020)의 외륜(1021)을 상호 연결하는 제22동력전달체(1080)를 대신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외륜(1071)과 상기 제32회전체(103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8원웨이클러치(1070)의 회전력을 상기 제32회전체(1030)로 전달하는 제23동력전달체(10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22. 자전거의 바퀴와 함께 회전축과 연결되는 기어박스;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바퀴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자전거 바퀴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하는 발전기;
    자전거 운행에 따른 주행 정보를 송신하는 자전거 단말기; 및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어박스의 기어를 효율적으로 변속되도록 하는 원격제어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KR1020120042361A 2012-04-23 2012-04-23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KR20130119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361A KR20130119305A (ko) 2012-04-23 2012-04-23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PCT/KR2012/003158 WO2013162087A1 (ko) 2012-04-23 2012-04-25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361A KR20130119305A (ko) 2012-04-23 2012-04-23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305A true KR20130119305A (ko) 2013-10-31

Family

ID=4948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361A KR20130119305A (ko) 2012-04-23 2012-04-23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19305A (ko)
WO (1) WO2013162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5102A (zh) * 2014-07-11 2017-11-28 辛辛那提大学 利用电位和阻抗测量的汗液标志物的组合感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7142A (ja) * 2004-06-30 2006-01-19 Iseki & Co Ltd 動力車両の変速装置
JP4158122B2 (ja) * 2006-05-25 2008-10-0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KR20110010314A (ko) * 2009-07-24 2011-02-01 이남구 자전거용 무선 제동 시스템 및 무선 변속 시스템
KR101109291B1 (ko) * 2010-04-07 2012-01-31 손석진 탈부착이 가능하며 전륜구동의 기어변속이 가능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087A1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3080B (zh) 用于风轮机的齿轮单元
CN105142950A (zh) 马达变速器单元以及具有这种马达变速器单元的轮毂驱动装置
JP5776892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CN103847497A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动力传动系统
CN203560361U (zh) 一种双输出水泥搅拌减速机
JP2011157063A (ja) 自転車
JP2007161164A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動力伝達装置
CN207843216U (zh) 传动装置、驱动装置和具有驱动装置的电动车辆
EP2357382A1 (en) Integrated gear train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one-way output
JP2019073127A (ja) 自転車用コンポーネント
US8522634B2 (en) Powertrain comprising a three speed transmission
AU2011200438A1 (en) Coaxial epicyclic gear train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one-way output
JP201318448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CN108278332A (zh) 一种电动车自动变挡及加力的变速箱
CN107314082A (zh) 一种双向输入单向输出齿轮机构
JP2019073123A (ja) 自転車用ドライブユニット
KR20130119305A (ko) 듀얼 토크 자동증감 변속장치
JP2021028515A (ja) 動力伝達装置
KR20050011670A (ko) 자전거 일방향 동력전달장치
KR20110123048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KR102133065B1 (ko) 선박의 구동부용 동력 전달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의 구동부
KR20150063608A (ko) 회전력 증감 변속기
CN201674438U (zh) 联动式棘轮机构磁力机
ITTO20080788A1 (it) Sistema motore
CN208386332U (zh) 电动两轮车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