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400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400A
KR20130117400A KR1020120039658A KR20120039658A KR20130117400A KR 20130117400 A KR20130117400 A KR 20130117400A KR 1020120039658 A KR1020120039658 A KR 1020120039658A KR 20120039658 A KR20120039658 A KR 20120039658A KR 20130117400 A KR20130117400 A KR 20130117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tube
catheter
sl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822B1 (ko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김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진 filed Critical 김희진
Priority to KR102012003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8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고정시키거나 필라멘트의 고정을 해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필라멘트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필라멘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라멘트를 따라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튜브를 체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CATHETER}
본 발명은 인체의 내부에 삽입하여 의료용 물질을 체내로 주입하거나 체액 등을 체내로부터 배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환자의 체내로 삽입하여 의료용 물질을 체내로 주입하거나 체내의 체액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카테터는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와,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라멘트와, 튜브 및 필라멘트를 고정하기 위한 몸체로 구성된다.
튜브는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필라멘트의 일단은 튜브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환자의 간, 담낭 등 장기의 내부로 형성된 구멍에 튜브를 삽입한 후,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당기게 되면, 튜브의 선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튜브가 체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종래의 카테터는 필라멘트를 당겨 튜브의 선단부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한 후 당겨진 필라멘트를 몸체에 감거나 별도의 고정구를 몸체에 끼워 필라멘트를 고정하였으므로, 필라멘트를 고정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테터는 필라멘트의 고정이 불확실하였기 때문에 필라멘트가 풀어져 튜브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이 적절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의료용 물질이나 체액 등이 튜브를 따라 원활하게 주입되거나 배출되지 않았으며, 튜브가 체내로부터 쉽게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테터는 필라멘트의 고정이 정확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튜브 내에서 유동하는 의료용 물질 또는 체액이 필라멘트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이와 같은 누설에 의하여 카테터의 주위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필라멘트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1307호, 제10-2010-0101308호 및 제10-2011-0060055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필라멘트를 실링부재로 통과시켜 실링부재의 위치변동 없이 실링부재에 대한 압박 및 해제를 통하여 필라멘트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특허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필라멘트의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에도 필라멘트가 실링부재에 압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튜브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부분을 펴는 작업이 어렵고, 이에 따라, 인체에 대한 시술 후 튜브를 체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동작만으로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고정시키거나 필라멘트의 고정을 해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통하여 체내의 체액 등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대한 시술 후 튜브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때, 튜브의 선단부가 용이하게 펴지게 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중공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와, 상기 튜브 및 상기 필라멘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관통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에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이동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통과홀을 개폐하는 탄성재실의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중공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와, 상기 튜브 및 상기 필라멘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관통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통과홀을 개폐하는 탄성재질의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슬라이드부재를 직선형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만 또는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필라멘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필라멘트의 고정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개폐부재의 탄성복원력을 통과홀 및 필라멘트에 작용시킴으로써, 통과홀을 긴밀하게 폐쇄할 수 있고 필라멘트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물질이 필라멘트를 따라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고, 필라멘트가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부재가 통과홀로부터 벗어날 때 필라멘트가 통과홀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튜브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이 용이하게 펴지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튜브를 인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카테터의 잠금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잠금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잠금장치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부에 물질의 체내로의 주입 및 체내로부터의 배출을 위한 통공(11)이 형성되는 튜브(10)와, 적어도 일부분이 튜브(10)의 내부로 삽입되며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라멘트(20)와, 튜브(10)의 선단부의 반대측 일단이 고정되고 필라멘트(20)의 일단이 고정되는 잠금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튜브(10)는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라멘트(20)는 튜브(10)의 선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튜브(10)의 선단부가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라멘트(20)를 당기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의 선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튜브(10)의 선단부가 체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잠금장치(30)는 튜브(10) 및 필라멘트(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아울러 체내로 물질을 주입하거나 체내로부터 물질이 배출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잠금장치(30)에는 배액포집주머니, 드레인 백(drain bag)이나 시린지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30)는, 그 내부에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41)가 형성되며, 필라멘트(20)가 통과하는 통과홀(42)이 관통되는 바디부재(40)와, 바디부재(40)에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50)와, 슬라이드부재(50)에 설치되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통과홀(42)을 개폐하는 탄성재질의 개폐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재(40)의 유로(41)는 체내로 주입되는 의료용 물질 또는 체내의 체액이 배출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며, 튜브(10)의 일단이 바디부재(40)에 고정될 때, 유로(41)는 튜브(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바디부재(40)의 통과홀(42)을 통하여 유로(41)의 내부로 도입된 필라멘트(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디부재(40)의 양단에는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이동을 제한하는 제1돌출부(43) 및 제2돌출부(4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2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도 2의 좌측에 마련되는 제1돌출부(43)에 슬라이드부재(50)가 접촉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도 3의 우측에 마련되는 제2돌출부(44)에 슬라이드부재(50)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돌출부(44)는 필라멘트(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필라멘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필라멘트(20)는 슬라이드부재(50)와 제2돌출부(44)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필라멘트(2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40)의 측면에는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5)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45)은 슬라이드부재(5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슬라이드부재(50)의 내면에는 가이드레일(4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돌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재(40)에 가이드레일(45)이 구비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50)는 바디부재(40)가 슬라이드부재(50)의 내부로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부재(50)에는 그 이동방향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바디부재(40)가 수용되는 수용홈(51)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50)에는 바디부재(40)의 측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드부재(50)가 바디부재(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면(52)이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60)는 슬라이드부재(50)의 수용홈(51)의 내부에 설치된다.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이동에 의하여 개폐부재(60)는 바디부재(40)의 일면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한다. 이때, 개폐부재(60)와 바디부재(40)의 일면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개폐부재(60)는 슬라이드부재(5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개폐부재(6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부재(50)의 이동방향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개폐부재(60)를 관통하는 회전축(61)을 통하여 슬라이드부재(5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61)의 양단이 슬라이드부재(5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드부재(50)의 내면에는 회전축(61)의 양단을 수용하는 수용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60)가 통과홀(42)상에 위치되면서 필라멘트(20)가 고정될 때, 슬라이드부재(50)가 바디부재(40)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과홀(42)의 둘레에는 개폐부재(60)가 밀착되는 돌기(4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60)가 통과홀(42)로부터 이격되면서 필라멘트(20)의 고정이 해제될 때, 슬라이드부재(50)가 바디부재(40)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60)의 이동경로상에는 바디부재(40)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재(40)에는 둘레에 요철부(48)를 가지는 튜브고정부(49)가 연장되고, 튜브고정부(49)에는 튜브(10)의 일단을 고정하는 튜브고정캡(70)이 끼워질 수 있다. 튜브고정캡(70)의 내면에는 튜브고정부(49)의 요철부(48)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철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고정부(49)와 튜브고정캡(70)의 사이에 튜브(10)의 일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튜브고정부(49)가 튜브고정캡(70)의 내부로 원 터치 방식으로 끼워짐에 따라 튜브(10)가 바디부재(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튜브고정부(49)의 요철부(48)와 튜브고정캡(70)의 요철부(71)가 긴밀하게 치합되어 튜브고정캡(70)이 튜브고정부(49)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튜브(10)를 바디부재(4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고정부(49)를 튜브고정캡(70)에 끼우는 원 터치 방식을 통하여 튜브(10)를 바디부재(4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의료적인 처치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는 튜브고정부(49)가 튜브고정캡(70)에 끼워지는 방식을 통하여 튜브(10)가 바디부재(40)에 고정되고, 튜브(10)의 선단부에 고정된 필라멘트(20)가 바디부재(40)의 유로(41) 및 통과홀(4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50)는 제1돌출부(4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바디부재(40)에 걸림부(47)가 형성된 경우에는, 개폐부재(60)가 걸림부(47)에 걸림에 따라 그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재(50)가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필라멘트(20)는 그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부로 노출된 필라멘트(20)를 당기면 필라멘트(20)와 연결된 튜브(10)의 선단부가 당겨지면서 구부러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테터의 사용자는, 천자침, 투관침 또는 니들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체내의 복강, 혈관, 뼈 또는 장기 등의 체내로 소정의 구멍을 천공한 후, 튜브(10)의 선단부가 체내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튜브(10)를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체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체내를 관찰할 수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비를 통하여 체내에 위치된 튜브(10)의 형상을 확인하면서, 외부로 노출된 필라멘트(20)를 당기면, 튜브(10)의 선단부가 당겨지면서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튜브(10)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이 적합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필라멘트(20)를 당기는 동작을 중단하고, 필라멘트(20)를 잠금장치(30)에 고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필라멘트(20)를 고정하게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슬라이드부재(50)을 직선형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60)가 슬라이드부재(5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필라멘트(20)가 노출된 통과홀(42)상에 위치되면서 통과홀(42)을 폐쇄함과 동시에 필라멘트(20)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개폐부재(60)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개폐부재(60)는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바디부재(40)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47)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60)가 통과홀(42) 둘레의 돌기(46)에 밀착될 때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는데, 이때, 개폐부재(60)의 내부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이 통과홀(42) 및 통과홀(4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필라멘트(20)에 작용하므로, 통과홀(42)이 긴밀하게 폐쇄될 수 있고, 필라멘트(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필라멘트(20)는 슬라이드부재(50)와 제2돌출부(44)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필라멘트(2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라멘트(20)가 고정되고 튜브(10)의 선단부가 구부러진 상태가 유지되어 튜브(10)가 체내로부터 이탈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잠금장치(30)의 바디부재(40)에 시린지 등의 물질주입장치 또는 드레인관 등의 물질배출장치를 연결하여 물질을 체내로 주입하거나 체내의 체액, 혈액 등을 체내로부터 배출시킨다.
이때, 물질은 바디부재(40)의 유로(41) 내에서 유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물질이 필라멘트(20)를 따라 통과홀(4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물질의 이동은 개폐부재(60)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물질이 필라멘트(20)를 따라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질의 주입이나 배출이 완료되면, 튜브(10)를 인체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튜브(10)의 선단부가 직선형상으로 펴져야 한다.
튜브(10)의 선단부가 펴지도록 하게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부재(50)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부재(5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50)가 제1돌출부(43)에 접촉될 때까지 또는 개폐부재(60)가 걸림부(47)에 걸리게 될 때까지 슬라이드부재(50)를 이동시키면, 개폐부재(60)가 걸림부(47)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드부재(50)가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개폐부재(60)가 슬라이드부재(50)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개폐부재(60)가 통과홀(42)로부터 벗어나면 필라멘트(20)는 통과홀(42)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필라멘트(20)의 고정이 해제되면, 구부러져 있던 튜브(10)의 내부에 소정의 길이의 와이어를 삽입하여 필라멘트(20)의 선단부가 펴지게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필라멘트(20)가 튜브(10)의 선단부를 향하여 당겨지면서 튜브(10)의 선단부가 펴지게 되며, 튜브(10)가 체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카테터를 체내로부터 빼낸 후에는, 체내에 천공된 구멍에 대한 후속적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필라멘트(2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필라멘트(20)를 이동을 구속하는 요소가 없는 상태이므로 필라멘트(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튜브(10)의 내부에 와이어를 삽입하는 힘을 크게 하지 않아도 튜브(10)의 선단부를 쉽게 펴지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슬라이드부재(50)를 직선형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필라멘트(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필라멘트(2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60)의 탄성복원력을 통과홀(42), 통과홀(42)의 둘레에 형성되는 돌기(46) 및 필라멘트(20)에 작용시킴으로써, 통과홀(42)을 긴밀하게 폐쇄할 수 있고 필라멘트(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물질이 필라멘트(20)를 따라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고, 필라멘트(20)가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60)가 통과홀(42)로부터 벗어날 때 필라멘트(20)가 통과홀(42)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튜브(10)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이 용이하게 펴지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튜브(10)를 인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서, 튜브고정캡(70)에는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7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2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튜브고정캡(70)의 돌출부(73)에 슬라이드부재(50)가 접촉될 수 있으며, 필라멘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2돌출부(44)에 슬라이드부재(50)가 접촉될 수 있다.
한편, 튜브고정캡(70)과 슬라이드부재(50)가 접촉되는 각 대응면(74, 54)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라멘트(2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튜브고정캡(70)의 대응면(74)과 슬라이드부재(50)의 대응면(54)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필라멘트(20)는 슬라이드부재(50)와 제2돌출부(44)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필라멘트(2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제2실시예의 다른 부분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서, 잠금장치(30)는, 그 내부에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41)가 형성되며, 필라멘트(20)가 통과하는 통과홀(42)이 관통되는 바디부재(40)와, 바디부재(4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80)와, 회전부재(80)에 설치되며 회전부재(8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부재(80)의 회전중심축(83)을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통과홀(42)을 개폐하는 탄성재질의 개폐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80)는 바디부재(40)에 설치되는 회전중심축(8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80)는, 예를 들면, 회전중심축(8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재(40) 및 회전부재(80)에는 회전부재(8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수단은, 예를 들면, 회전중심축(83)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고정부(81) 및 제2고정부(82)와, 바디부재(40)상에 돌출되어 제1고정부(81) 및 제2고정부(82)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을 마련하는 제1돌기(401) 및 제2돌기(40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돌기(401)는 튜브고정캡(70)의 돌출부(73)와 함께 제1고정부(81)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며, 제2돌기(402)는 제2돌출부(44)와 함께 제2고정부(82)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한다. 제1고정부(81) 및 제2고정부(82)는 각각의 삽입홈에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고정부(81) 및 제2고정부(82)는 회전부재(80)에 고정되는 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부재(80)의 회전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한 스토퍼수단의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스토퍼수단으로서, 바디부재(40) 및 회전부재(80) 사이에 구비되는 래치기구나, 바디부재(40) 및 회전부재(80)에 각각 형성되는 요철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수단에 의하여 회전부재(80)의 회전이 제한되며, 이에 따라, 개폐부재(90)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90)가 통과홀(42)상에 위치되면서 필라멘트(20)가 고정될 때, 스토퍼수단에 의하여 회전부재(80)의 회전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개폐부재(90)의 탄성복원력이 통과홀(42) 및 필라멘트(20)에 작용될 수 있다.
개폐부재(90)가 회전부재(80)에 설치되는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개폐부재(60)가 슬라이드부재(50)에 설치되는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개폐부재(9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개폐부재(90)는 통과홀(42)을 개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90)가 통과홀(4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튜브(10)의 선단부가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체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체내에 위치된 튜브(10)의 형상을 확인하면서, 외부로 노출된 필라멘트(20)를 당기면, 튜브(10)의 선단부가 당겨지면서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필라멘트(20)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회전부재(80)를 도 8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90)가 회전중심축(83)을 중심으로 이동되어, 필라멘트(20)가 노출된 통과홀(42)상에 위치되면서 통과홀(42)을 폐쇄함과 동시에 필라멘트(20)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개폐부재(90)는 통과홀(42)의 둘레의 돌기(46)에 밀착될 때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는데, 이때, 개폐부재(90)의 내부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이 통과홀(42), 통과홀(42)의 둘레에 형성되는 돌기(46) 및 통과홀(4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필라멘트(20)에 작용하므로, 통과홀(42)이 긴밀하게 폐쇄될 수 있고, 필라멘트(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필라멘트(20)는 제2고정부(82), 제2돌기(402) 및 제2돌출부(44) 사이에 긴밀하게 끼워지게 되므로, 필라멘트(2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인체에 대한 시술을 완료한 후, 튜브(10)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튜브(10)의 선단부가 펴지도록 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20)를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부재(8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도 7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부재(80)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부재(80)를 제1고정부(81)가 제1돌기(401)와 튜브고정캡(70)의 돌출부(73)가 형성하는 삽입홈에 삽입될 때까지 회전부재(80)를 회전시키면, 제1고정부(81)가 대응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80)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개폐부재(90)가 회전부재(8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함에 따라, 개폐부재(90)가 통과홀(42)로부터 벗어나면, 필라멘트(20)는 통과홀(42)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튜브(10)의 구부러진 형상을 펴지게 한 후, 튜브(10)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필라멘트(2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필라멘트(20)를 이동을 구속하는 요소가 없는 상태이므로 필라멘트(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튜브(10)의 내부에 와이어를 삽입하는 힘을 크게 하지 않아도 튜브(10)의 선단부를 쉽게 펴지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회전부재(8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필라멘트(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필라멘트(2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90)의 탄성복원력을 통과홀(42) 및 필라멘트(20)에 작용시킴으로써, 통과홀(42)을 긴밀하게 폐쇄할 수 있고 필라멘트(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물질이 필라멘트(20)를 따라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고, 필라멘트(20)가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90)가 통과홀(42)로부터 벗어날 때 필라멘트(20)가 통과홀(42)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튜브(10)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이 용이하게 펴지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튜브(10)를 인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개별적인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튜브 20: 필라멘트
30: 잠금장치 40: 바디부재
50: 슬라이드부재 60: 개폐부재
70: 튜브고정캡 80: 회전부재

Claims (12)

  1. 중공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와, 상기 튜브 및 상기 필라멘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관통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에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이동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통과홀을 개폐하는 탄성재질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의 둘레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밀착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바디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바디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에는 둘레에 요철부를 가지는 튜브고정부가 연장되고,
    상기 튜브고정부에는 상기 튜브를 고정하는 튜브고정캡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고정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1. 중공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와, 상기 튜브 및 상기 필라멘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관통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과홀을 개폐하는 탄성재질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120039658A 2012-04-17 2012-04-17 카테터 KR10135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58A KR101351822B1 (ko) 2012-04-17 2012-04-17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58A KR101351822B1 (ko) 2012-04-17 2012-04-17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00A true KR20130117400A (ko) 2013-10-28
KR101351822B1 KR101351822B1 (ko) 2014-01-15

Family

ID=4963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658A KR101351822B1 (ko) 2012-04-17 2012-04-17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881A1 (ko) * 2017-08-11 2019-02-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액 카테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840B1 (ko) * 2016-10-14 2018-07-17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카테터 장치
KR102295749B1 (ko) * 2021-02-02 2021-09-01 (주)덕우메디칼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6598B2 (ja) * 1992-12-04 2004-05-17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近位制御および遠位制御を独立して行う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ハンドル/アクチュエータ
US7578814B2 (en) 2005-08-05 2009-08-25 Merit Medical Systems, Inc. Drainage catheter with lockable hub
US8177773B2 (en) 2008-03-28 2012-05-15 Uresil, Llc Locking medical catheter
KR200461395Y1 (ko) 2010-06-16 2012-07-10 이치영 배액용 카테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881A1 (ko) * 2017-08-11 2019-02-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액 카테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822B1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4520B2 (ja) 留置針装置
US20230173228A1 (en) Drainage catheter hub with a semi-compressed suture seal
JP4287114B2 (ja) 医療装置の管状要素間の動きを軸方向に抑止する保持装置
BRPI0709052A2 (pt) cánula equipada com uma carcaça protetora
US20080097394A1 (en) Drainage catheter with pig-tail straightener
EP3569168A1 (en) Button cannula
JPS62192174A (ja) 医療装置
KR101351822B1 (ko) 카테터
KR102091851B1 (ko)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싱글포트
US20100179588A1 (en) Vascular puncture closure system with guide sheath stabilizer
KR102536177B1 (ko) 결석 적출 메쉬 바스켓 및 결석 적출 메쉬 바스켓에 사용되는 더블 캐비티 엔드캡
JP2017164423A (ja) カテーテル組立体
JPH0538342A (ja) カテーテル装置
KR101037970B1 (ko) 카테터
KR20110060055A (ko) 카테터
JP2011147551A (ja) カテーテルおよびカテーテル挿入器具
KR102190496B1 (ko) 경막외 카테터
KR20100101308A (ko) 카테터
KR101037985B1 (ko) 카테터
KR102295749B1 (ko) 카테터
WO2018149751A1 (en) Access device
UA76423C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internal body organ and elongated sheath
KR101142684B1 (ko) 관장용 카테타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시술방법
JP4080708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KR20150117517A (ko) 렌즈 투시창 와이핑용 섬유를 포함하는 트로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