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955A -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955A
KR20130115955A KR1020120038813A KR20120038813A KR20130115955A KR 20130115955 A KR20130115955 A KR 20130115955A KR 1020120038813 A KR1020120038813 A KR 1020120038813A KR 20120038813 A KR20120038813 A KR 20120038813A KR 20130115955 A KR20130115955 A KR 2013011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ming
target
display unit
audit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대
김경석
이현배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955A/ko
Publication of KR2013011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7/00Auxiliary mechanisms for bringing the breech-block or bolt or the barrel to the starting position before automatic firing; Drives for externally-powered guns; Remote-controlled gun char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인 1조로 운용하던 조준 감사를 1인이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총포가 장착되는 무장 마운트; 상기 무장 마운트에 장착되어 표적을 촬영하고 제1조준점을 제공하는 영상 장치; 상기 무장 마운트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을 촬영하고 제2조준점을 제공하는 조준 감사 카메라; 상기 무장 마운트의 방향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영상 장치로부터의 상기 표적 및 제1조준점을 제1표시부로 표시하는 운용전시기; 및, 상기 조준 감사 카메라로부터의 표적 및 제2조준점을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Remote Controlled Weapon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제어무장체계, 원격무장조종체계 또는 원격무장이란 무장 터미널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나, 운영자는 차량이나 건물 내부에서 원격으로 무장체계를 조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격제어무장체계는 내부에서도 무장 위치 시점에서 주변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장치와, 무장 체계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운용 시스템을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원격제어무장체계는 영상 장치와 총포가 동기화되어야 정확한 위치로 사격이 가능하다. 다시 설명하면, 영상 장치의 조준점과 총포에 의한 실제 조준점이 일치하도록, 상호간의 조준 감사 작업이 이루어져야 정확한 위치로 사격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준점의 일치를 위해 종래에는 2명의 인원이 필요했다. 즉, 1명의 운영자가 총포에 의한 실제 조준점을 파악하여, 영상 장치를 운영하는 또다른 1명의 인원에게 무전기로 알려준다. 그러면, 영상 장치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영상 장치의 조준점이 총포에 의한 실제 조준점에 일치하도록 영상 장치를 조정함으로써, 조준 감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감사 방법은 총포의 실제 조준점과 영상 장치의 조준점이 상호간 일치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인 1조로 운용하던 조준 감사를 1인이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는 총포가 장착되는 무장 마운트; 상기 무장 마운트에 장착되어 표적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 장치; 상기 총포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조준 감사 카메라; 상기 무장 마운트의 방향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영상 장치로부터의 상기 표적 및 제1조준점을 제1표시부로 표시하는 운용전시기; 및, 상기 조준 감사 카메라로부터의 표적 및 제2조준점을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총포에는 상기 총포와 일렬을 이루는 조준 감사 맨드릴이 설치되고, 상기 맨드릴에 상기 조준 감사 카메라가 설치된다.
상기 운용전시기에는 상기 무장 마운트, 영상 장치 및 조준 감사 카메라의 방향을 일체로 조정하는 조이스틱이 장착되고, 상기 제1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1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좌우 조정 버튼이 장착된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의 제2표시부를 통해 상기 표적에 상기 제2조준점이 조준되도록 상기 운용전시기의 조이스틱이 조작된다.
상기 운용전시기의 제1표시부를 통해 상기 표적으로 제1조준점이 움직이도록 상기 상하좌우 조정 버튼이 조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얻는 제1표시부를 갖는 운용전시기 및 조준 감사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얻는 제2표시부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를 구비함으로써, 운용자가 운용전시기의 제1표시부 및 노트북 컴퓨터의 제2표시부를 동시에 보면서 조준 감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2인 1조로 운용하던 조준 감사를 1인이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100)는 무장 마운트(120), 영상 장치(130), 조준 감사 맨드릴(140), 조준 감사 카메라(150), 운용전시기(160) 및 노트북 컴퓨터(170)를 포함한다.
상기 무장 마운트(120)에는 유탄 발사기와 같은 총포(1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무장 마운트(12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유탄 발사기와 같은 총포(110)가 표적을 향하여 조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영상 장치(130)는 상기 무장 마운트(1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외부의 표적을 촬영하여 상기 운용전시기(160)에 전달한다. 더불어, 이러한 영상 장치(130)는 기본적으로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조준 감사 맨드릴(140)은 상기 총포(11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조준 감사 맨드릴(140)은 상기 총포(110)와 일렬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상기 조준 감사 맨드릴(140)은 상기 영상 장치(130)와 다르게 상기 총포(110)에 직접 설치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총포(110)가 바라보는 방향을 향한다.
상기 조준 감사 카메라(150)는 상기 조준 감사 맨드릴(140)에 장착되고, 외부의 표적을 촬영하여 상기 노트북 컴퓨터(170)에 전달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기 영상 장치(130) 및 조준 감사 맨드릴(140)(또는 조준 감사 카메라(150))이 바라보는 방향은 상호간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기 운용전시기(160)는 상기 무장 마운트(120)의 방향을 제어하는 동시에, 제1표시부(161)가 구비되어 상기 영상 장치(130)로부터의 상기 표적 및 제1조준점을 함께 표시한다. 또한, 상기 운용전시기(160)에는 상기 무장 마운트(120)의 상,하,좌,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이스틱(162)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제1표시부(161)에 표시되는 제1조준점의 위치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하,좌,우 버튼(163)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이스틱(162)이 조작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총포(110), 무장 마운트(120), 영상 장치(130), 조준 감사 맨드릴(140) 및 조준 감사 카메라(150)가 함께 움직인다. 그러나, 상기 상,하,좌,우 버튼(163)이 조작되면, 실질적으로 제1표시부(161)에서 제1조준점의 위치만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뿐이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170)는 제2표시부(171)가 구비되어 상기 조준 감사 카메라(150)로부터의 표적 및 제2조준점을 제2표시부(171)에 표시한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노트북 컴퓨터(170) 대신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영상 처리 장치도 여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100)의 조준 감사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조준 감사가 수행되기 전에 우선 총포(110)가 무장 마운트(120)에 장착된다. 이어서,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무장 마운트(120), 영상 장치(130) 및 운용전시기(160)가 활성화된다.
이어서, 상기 총포(110)에 조준 감사 맨드릴(140)이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조준 감사 맨드릴(140)에 조준 감사 카메라(1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준 감사 카메라(150)와 노트북 컴퓨터(170) 사이에 영상 송출용 케이블(172)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질적인 조준 감사가 수행된다.
먼저 운용전시기(160)의 제1표시부(161)에 표시되는 메뉴에서 탄종을 선택하지 않는다. 즉, 탄종을 선택할 경우 거리 측정시 탄도 계산이 포함되어 총포(110)의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운용전시기(160)의 제1표시부(161)에 표시되는 메뉴에서 조준 감사 설정 메뉴를 선택한다.
이어서, 운용전시기(160)에 구비된 조이스틱(162)을 조정하여, 감사 모드에서 대략 200 내지 500m 사이의 원하는 표적을 조준한다.
이어서, 운용전시기(160)의 제1표시부(161)를 보면서 조이스틱(162)을 조정하여 줌 및 포커스를 조정한다. 이때, 제1표시부(161)에 나타나는 조준점을 제1조준점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조이스틱(162)을 조정할 때 상기 표적에 제1조준점이 일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일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장치(130)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 표적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 표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이유는 영상 장치와 조준 감사 카메라가 바라보는 방향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므로, 운용전시기(160)의 제1표시부(161)에 표시되는 제1조준점의 변경시, 그 변경된 각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노트북에 구비된 제2표시부(171)를 보면서 조이스틱(162)으로 무장 마운트(120)의 방향을 움직여, 제2조준점이 상기 표적에 일치하도록 한다.
이때, 운용전시기(160)의 제1표시부(161)에 표시된 제1조준점이 상기 표적을 정확히 조준하고 있으면, 조준 감사가 정확하다는 의미이다.
만약, 제1표시부(161)에 표시된 제1조준점이 상기 표적을 정확히 조준하고 있지 않다면, 조준 감사가 부정확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때에는 운용전시기(160)에 구비된 상,하,좌,우 버튼(163)을 조작하여, 상기 제1표시부(161)에 표시된 제1조준점이 상기 표적을 정확히 조준하도록 그 위치를 조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30)와 조준 감사 카메라(150)가 바라보는 방향은 상호간 평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운용전시기(160)의 제1표시부(161)에 표시된 제1조준점만을 표적으로 옮기게 되면, 표적까지의 거리는 이미 알고 있으므로, 상기 제1조준점과 표적 사이의 각도 계산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총포(110)의 실 사격시 표적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면, 상기 제1조준점과 표적 사이의 각도도 함께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음으로써, 조준 감사시 이용된 표적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정확한 사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100)의 운용전시기(160)와 무장 마운트(120) 사이의 거리가 멀다고 해도 조준 감사 카메라(150) 및 노트북 컴퓨터(170)를 이용함으로써, 운용인원이 2인1조에서 1인 단독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170)의 제2표시부(171)에 표시된 영상을 보며 바로 총포(110)의 방향을 표적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구두로 방향으로 알려주고 총포(110)의 방향을 바로잡을 때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빠른 사격 준비가 가능해진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170)의 제2표시부(171)를 통해 총포(110)의 방향을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맞추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110; 총포 120; 무장 마운트
130; 영상 장치 140; 조준 감사 맨드릴
150; 조준 감사 카메라 160; 운용전시기
161; 제1표시부 162; 조이스틱
163; 상,하,좌,우 버튼 170; 노트북 컴퓨터
171; 제2표시부

Claims (5)

  1. 총포가 장착되는 무장 마운트;
    상기 무장 마운트에 장착되어 표적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 장치;
    상기 총포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조준 감사 카메라;
    상기 무장 마운트의 방향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영상 장치로부터의 상기 표적 및 제1조준점을 제1표시부로 표시하는 운용전시기; 및,
    상기 조준 감사 카메라로부터의 표적 및 제2조준점을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포에는 상기 총포와 일렬을 이루는 조준 감사 맨드릴이 설치되고,
    상기 맨드릴에 상기 조준 감사 카메라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전시기에는
    상기 무장 마운트, 영상 장치 및 조준 감사 카메라의 방향을 일체로 조정하는 조이스틱이 장착되고,
    상기 제1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1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좌우 조정 버튼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무장체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컴퓨터의 제2표시부를 통해 상기 표적에 상기 제2조준점이 조준되도록 상기 운용전시기의 조이스틱이 조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무장체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전시기의 제1표시부를 통해 상기 표적으로 제1조준점이 움직이도록 상기 상하좌우 조정 버튼이 조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무장체계장치.
KR1020120038813A 2012-04-13 2012-04-13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KR20130115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13A KR20130115955A (ko) 2012-04-13 2012-04-13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13A KR20130115955A (ko) 2012-04-13 2012-04-13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955A true KR20130115955A (ko) 2013-10-22

Family

ID=4963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813A KR20130115955A (ko) 2012-04-13 2012-04-13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9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1725B1 (en) Removably coupled boresight camera assembly for aligning weapons
KR100963681B1 (ko) 원격 화기 사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237129B1 (ko) 원격조정 사격시스템용 조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준 정렬방법
US20110315767A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gun sight
KR101578028B1 (ko) 무장 장치 및 이의 조준 각도 보상 방법
RU136148U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гнем
US20230142324A1 (en) Firearm sighting device and system
US20240053125A1 (en) Firearm sighting device and system
TWI642893B (zh) 目標獲取裝置及其系統
US20090133572A1 (en) Boresighting system and method
KR20120037667A (ko) 화포의 야간 운용 시스템에 적용된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7213392B2 (ja) 視準校正装置および視準校正方法
JP6362227B2 (ja) 視準校正装置、視準校正システムおよび視準構成方法
KR20130115955A (ko) 원격제어무장체계 장치
KR20200045160A (ko) 타격 장치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원격 무장 시스템
US10801812B2 (en) Boresight alignment device for aiming systems
KR101716177B1 (ko) 원격 제어 무장 장치
KR20140087832A (ko) 무장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RU2011130436A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едением снайперского огня
KR101408362B1 (ko) 영상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시스템
KR20180042735A (ko) 원격 무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탄도 보정 방법
GB2530612A (en) Aiming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a gunner of a weapon system
KR20210060861A (ko) 조준선 정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5009B1 (ko) 거리측정용 가변 레티클을 구비한 조준장치
UA82784C2 (uk) Спосіб прицілювання і стрільби по цілі та система для його здійсненн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