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114A - 바이브레이터 - Google Patents

바이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114A
KR20130115114A KR1020130019721A KR20130019721A KR20130115114A KR 20130115114 A KR20130115114 A KR 20130115114A KR 1020130019721 A KR1020130019721 A KR 1020130019721A KR 20130019721 A KR20130019721 A KR 20130019721A KR 20130115114 A KR20130115114 A KR 2013011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ing
magnet
housing body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로우 이시하라
류우지 아와무라
히데노리 모토나가
켄스케 나까니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8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 G04C3/1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driven by electromagnetic means
    • G04C3/101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driven by electromagnetic means constructional details
    • G04C3/102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driven by electromagnetic mean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echanical oscillator or of the coil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8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 G04C3/1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driven by electromagnetic means
    • G04C3/101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driven by electromagnetic means constructional details
    • G04C3/107Controlling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oscillating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해결수단으로서, 기판(31)에 지지된 코일(33)과, 코일(33)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코일(33)의 축심 방향에 따라서 진동 가능한 진동체(40)를 구비하고 있다. 진동체 (40)는, 밸런스 웨이트(43)와, 코일(33)의 축심 방향으로 분극하는 자석(42)과, 자석(42)을 코일 (33)의 축심 방향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41)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바이브레이터{VIBRATOR}
본 발명은,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년, 여러가지 기기에,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바이브레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에는, 음성 대신에 진동을 이용해 사용자에 착신 등을 알리는 기능이 갖춰져 있다. 휴대형의 게임기나 게임기의 콘트롤러에는, 실제감을 높이기 위해서 게임의 상황에 따라 진동을 주는 기능을 갖춘 것이 있다. 또, 터치 패널에 짜넣어져, 이용자가 패널을 터치했을 때에 터치감을 주는 용도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는, 예를 들면, 코일을 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서스펜션을 개입시켜 자기회로부를 프레임에 대해서 탄성 지지시켜, 코일을 자기회로의 일부를 이루는 자기캡에 배치해서, 자기회로부에 밸런스 웨이트를 갖춘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바이브레이터에서는, 코일에 교류 전류를 주는 것에 의하여 생긴 자계와 자기회로부의 자계와의 사이에 생기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자기회로부를 진동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바이브레이터에서는, 코일과 자기회로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정할 필요가 있지만, 프레임에 코일을 고정할 때의 위치결정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발형상을 한 요크와, 요크의 내부에 차례차례 적층되는 판 형상의 자석 및 탑 플레이트로부터 구성되는 자기회로부와, 자기회로부의 요크의 측벽의 내주부와 탑 플레이트의 외주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자기 갭) 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과, 자기회로부의 바깥쪽에서 보이스 코일을 유지하는 기판과, 통형상 측벽부를 가지며, 통형상 측벽부의 저부에 판스프링을 일체로 성형한 제1서스펜션과, 자기회로부를 유지하는 제2서스펜션과, 요크의 외주부에 고정된 링형상의 밸런스 웨이트와, 제1서스펜션을 덮는 프로텍터를 갖춘 진동체에 있어서, 기판, 탑 플레이트, 요크 및 제1서스펜션의 4개의 부재에, 각각 위치 결정용의 구멍을 마련해서, 위치 결정용의 구멍을 기준으로 해서, 보이스코일을 자기 갭의 중앙 부근에 배치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이 특허 문헌 2의 바이브레이터에서는, 상술한 4개의 부재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의 구멍을 기준으로 해서 각각의 부품을 조립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3-033724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7-184812호공보
특허 문헌 1의 바이브레이터는, 상술한 것처럼 코일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특허 문헌 2의 바이브레이터는, 코일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지만, 각각의 부재에 위치 결정용의 구멍을 형성하는 등, 각각의 부재의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 또, 이러한 바이브레이터에서는, 자기회로나 코일이 서스펜션을 개재하여 하우징체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는, 기판에 지지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일의 축심 방향에 따라서 진동 가능한 진동체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체는,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코일의 축심 방향으로 분극 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을 상기 코일의 축심 방향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코일과 진동체가 코일의 축심 방향(진동체의 진동 방향)에 따라서 대향 배치되어, 진동체를 구성하는 자석은 코일의 축심 방향으로 분극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코일의 축심 위치에서는 그 축심 방향의 자계가 생긴다. 그 때문에,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계와 자석의 자계에 의하여, 척력/인력이 생기며, 지지체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자석을 진동시킬 수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부품의 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진동체측에 돌출하는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볼록부에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 구성에서는, 코일이, 요크의 볼록부에 밖에서 끼워져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요크에 대한 코일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며, 또한, 고정밀도로 된다. 또한, 자력을 높이기 위한 요크를 위치 결정 부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는 일도 없다.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고, 측벽을 가지는 제1하우징체와, 상기 진동체를 지지하고, 측벽을 가지는 제2하우징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체의 상기 측벽이 상기 제2하우징체의 상기 측벽에 대하여 안에서 끼우거나 또는 밖에서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1하우징체의 측벽이 제2하우징체의 측벽에 대해서 안에서 끼우거나 또는 밖에서 끼우기 때문에, 하우징체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진동체는, 제1직경을 가지는 제1링과, 상기 제1직경 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가지는 제2링과,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제2링을 상기 제1링에 대해서 상기 진동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암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과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제2링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자석과 밸런스 웨이트를, 제1링에 대해서 진동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2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2링에 자석과 밸런스 웨이트를 부착한 상태로, 제1링을 하우징체 등에 부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서스펜션을 개재하여 하우징체로 지지하는 구성에 비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체는 상기 기판과 동일한 형상의 저판을 가지며, 상기 제2하우징체는 상기 제1 링과 동일한 형상의 저판을 가진다.
이 구성에서는, 제1하우징체에 대한 기판의 위치 결정, 및, 제2하우징체에 대한 진동체(지지체)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며, 또한, 고정밀도로 된다. 또, 이러한 위치 결정의 정밀도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이것들에 지지되고 있는 코일과 자석과의 위치 결정 정밀도도 높아진다.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제1링은 상기 제2하우징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진동체의 제1링이 제2하우징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체를 제2하우징체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부품의 수나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어, 진동체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체의 박형화에도 기여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한 바이브레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한 바이브레이터의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한 바이브레이터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이브레이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바이브레이터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B)는, 제1하우징체(10) 및 제2하우징체(20)로 이루어진 하우징체의 내부에 전자회로(30) 및 진동체(40)을 수용하고 있다.
[하우징체]
제1하우징체(10)는, 원판형상의 저판(11)과 저판(11)으로부터 입설된 측벽(12)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12)은 저판(11)의 전체 원둘레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가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를 개재해서 저판(11)으로부터 연장부(11a)가 연장하고 있다.
한편, 제2하우징체(20)는, 제1하우징체(10)의 저판(11)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상의 저판(21)과 저판(21)으로부터 입설된 측벽(22)을 갖추고 있다. 제2하우징체(20)의 측벽은 저판(21)의 사방에 걸쳐서 설치되고 있다. 또한,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하우징체(10)측을 아래, 제2하우징체(20)측을 위로 한다.
이와 같이, 제2하우징체(20)의 저판(21)의 직경을 제1하우징체(10)의 저판(1 1)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1하우징체(10)와 제2하우징체(20)를 끼워 맞추면, 제2하우징체(20)의 측벽(22)이 제1하우징체(10)의 측벽 (12)에 대해서 밖에서 끼운다. 즉, 제1하우징체(10)의 측벽(12)의 외면과 제2하우징체(20)의 측벽(22)의 내면이 거의 접촉하도록 근접해서, 이것들이 위치결정부재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체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전자 회로]
전자 회로(30)는, 기판(31), 기판(31)에 지지된 요크(32), 요크(32)를 개재해서 기판(31)에 지지된 코일(33)을 갖추고 있다. 기판(31)상에는, 바이브레이터(B)가 짜 넣어지는 전자기기 등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요크(32)는, 철, 퍼멀로이(permally) 등의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고, 원반형상의 저부(32a)와, 저부(32a)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는 원주형상의 볼록부(32b)를 구비하고 있다. 요크(32)의 저부(32a)는 기판(31)상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코일(33)은 도전성 선재(線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기판(31)의 회로에 접속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경이 요크(32)의 볼록부(32b)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코일(33)은, 요크(32)의 볼록부(32b)에 삽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요크(32)에 대해서 코일(33)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요크(32) 및 기판(31)에 대한 코일(33)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요크(32)에 코일(33)을 부착한 상태로, 요크(32)의 상단이 코일(33)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31)은 제1하우징체(10)의 저판(11)의 내면(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 기판(31)의 형상과 제1하우징체(10)의 저판(11)의 형상(엄밀하게는, 저판(11) 중 측벽(12) 보다 안쪽의 부분의 형상)이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하우징체(10)에 대해서 기판(31)을 부착할 때에는, 저판 (11)상에 기판(31)을 재치(載置)하면, 기판(31)의 주위면이 측벽(12)의 내면에 접하고, 기판(31)의 위치 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구성과 함께, 제1하우징체(10)에 대한 코일(33)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며, 게다가, 고정도(高精度)로 된다.
[진동체]
진동체(40)는, 지지체(41), 지지체(41)에 지지되는 자석(42) 및 밸런스 웨이트(4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41)는, 제1직경을 가지는 제1링(41a)과,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가지는 제2링(41b)과, 제1링(41a)에 대해서 제2링(41b)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암(41c)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 암(41c)에 의해, 제2링(4 1b)은 제1링(41a)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 된다. 즉, 제2링(4 1b)은 제l링(41a)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석(42)은 두께가 있는 원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 즉, 진동 방향으로 분극하고 있다. 밸런스 웨이트(43)는, 중심부분에 개구(43a)가 형성된 도너츠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43)의 아래면 측에는, 요크(32) 및 코일(33)을 끼워넣기 가능한 오목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밸런스 웨이트(43)의 상면측에는, 개구(43a)의 주위에 자석(42)을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43c)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런스 웨이트(43)의 상면의 직경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둘레방향에 따라서 환형상의 오목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42)은 지지체(41)의 제2링(41b)의 내측면 및 밸런스 웨이트(43)의 자석 지지부(43c)에 부착된다. 한편, 밸런스 웨이트(43)는 지지체(41)의 제2링(41b)의 아래면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링(41a)의 형상은, 제2하우징체(20)의 저판(21)의 형상(엄밀하게는, 저판(21)중 측벽(22)보다 안쪽 부분의 형상)과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41)를 제2하우징체(20)에 부착하면, 지지체(41)의 제1링(41a)의 외측면이 제2하우징체(20)의 측벽(22)의 내벽에 접해서, 지지체(4 1)가 제2하우징체(20)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 또, 상술한 것처럼, 지지체(41)에는 자석(42) 및 밸런스 웨이트(43)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도 제2하우징체(20)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
[조립 방법]
이하에, 본 실시예의 바이브레이터(B)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판(31)의 중심에 요크(32)를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한다. 다음에, 코일(33)을 요크(32)의 볼록부(32b)에 삽통하고, 코일(33)의 아래면을 요크(32)의 저부(32a)의 상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한다. 그리고, 요크(32)와 코일(33)이 부착된 기판(3 1)을 제1하우징체(10)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한다. 이 때, 상술한 것처럼, 기판 (31)의 형상이, 제1하우징체(10)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하우징체(10)에 대해서, 전자 회로(기판(31), 요크(32), 코일(33))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위치결정 할 수 있다.
한편, 진동체(40)의 조립은, 우선, 자석(42)의 외주면을 지지체(41)의 제2링 (41b)의 내측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자석(42)의 아래면이 제2링(41 b)의 아래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자석(42)의 아래면이 밸런스 웨이트(43)의 자석 지지부(43c)에 닿아서 접하도록, 밸런스 웨이트(43) 위에 지지체(41)를 위치시켜, 지지체(41)의 제2링(41b)의 아래면과 밸런스 웨이트(43)의 상면을 레이저 용접한다. 또한, 자석(42)을 밸런스 웨이트(43)에 대해서 접착제등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립한 진동체(40)은, 지지체(41)의 제1링(41a)의 상면과 제2하우징체(20)의 저판(21)의 아랫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제1링(41a)의 상면과 저판(21)의 아래면이 레이저 용접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링(41a)의 형상이, 제2하우징체(20)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하우징체(20)에 대해서, 진동체 (지지체(41), 자석(42), 밸런스 웨이트(43))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제2하우징체(20)를 제1하우징체(10)에 대해서 밖에서 삽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바이브레이터(B)를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제2하우징체(20)의 측벽(22)이 제1하우징체(10)의 측벽(12)에 밖에서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제1하우징체(10)와 제2하우징체(20)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회로(30)와 진동체(40)의 위치 관계도 정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작동 방법]
본 실시예의 바이브레이터(B)는 교류 전류에 의해 구동된다. 우선, 자석(42)에 대한 인력이 생기는 방향의 자계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코일(33)에 대해서 전류를 흘리면, 그 인력에 의해 자석(42), 즉, 진동체(40)가 아래쪽으로 변위한다. 다음에, 자석(42)에 대하여 척력이 생기는 방향의 자계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코일( 33)에 대해서 전류를 흘리면, 그 척력에 의해 자석(42), 즉, 진동체(40)가 윗쪽으로 변위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자석(42), 즉, 진동체(40)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코일(33)에 흐르는 전류의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진동의 진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진동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도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바이브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바이브레이터는, 제2하우징체(20)와 지지체(4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다르다. 또한, 실시예1과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2하우징체(20)의 저판(21)은,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21)의 안쪽 둘레의 가장자리에 지지체(41)의 지지 암(41c)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저판(21)이 지지체(4 1)의 제1링(41a)을 구성하고, 제1링(41a)은 제2하우징체(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41)의 제1링(41a)을 제2하우징체(20)와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 전체의 부품 수나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41)를 제2하우징체(20)에 부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지체(41)의 제2하우징체(20)에 대한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비하여, 제2하우징체(2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체를 대략 원주형상으로 했지만 다른 형상으로 해도 상관없다.
(2)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하우징체(20)의 측벽(22)이 제1하우징체(1 0)의 측벽(12)에 대해서 밖에서 끼우도록 구성했지만, 제2하우징체(20)의 측벽(22)이 제1하우징체(10)의 측벽(12)에 대해서 안에서 끼우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3)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교류 전류에 의해 바이브레이터(B)를 구동했지만, 직류 전류를 온 오프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B)를 구동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자석(42)에 대한 척력이 생기는 방향의 자계가 발생하는 방향의 직류 전류가 코일(33)에 흐른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가지는 단말, 휴대전화 등의 휴대 기기, 휴대형 게임기, 게임기의 콘트롤러, 마이크로폰, 발전기, 스피커 등에 이용할 수 있다.
B : 바이브레이터
10 : 제1하우징체
11 : 저판
12 : 측벽
20 : 제2하우징체
21 : 저판
22 : 측벽
31 : 기판
32 : 요크
32b: 볼록부
33 : 코일
40 : 진동체
41 : 지지체
41a : 제1링
41b : 제2링
41c : 지지 암
42 : 자석
43 : 밸런스 웨이트

Claims (6)

  1. 기판에 지지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코일의 축심 방향에 따라서 진동 가능한 진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체는,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코일의 축심 방향으로 분극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을 상기 코일의 축심 방향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요크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는 상기 진동체 측에 돌출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볼록부에 밖에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지지하고, 측벽을 가지는 제1하우징체와,
    상기 진동체를 지지하고, 측벽을 가지는 제2하우징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체의 상기 측벽이 상기 제2하우징체의 상기 측벽에 대해서 안에서 끼우거나 또는 밖에서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제1직경을 가지는 제1링과,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가지는 제2링과,
    상기 제1링과 상기 제2링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제2링을 상기 제1링에 대해서 상기 진동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암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과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제2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체는 상기 기판과 동일한 형상의 저판을 가지며,
    상기 제2하우징체는 상기 제1링과 동일한 형상의 저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은 상기 제2하우징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KR1020130019721A 2012-04-10 2013-02-25 바이브레이터 KR20130115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9502 2012-04-10
JPJP-P-2012-089502 2012-04-10
JP2012139037A JP2013233537A (ja) 2012-04-10 2012-06-20 バイブレータ
JPJP-P-2012-139037 2012-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114A true KR20130115114A (ko) 2013-10-21

Family

ID=4784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721A KR20130115114A (ko) 2012-04-10 2013-02-25 바이브레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03750A1 (ko)
EP (1) EP2651019A3 (ko)
JP (1) JP2013233537A (ko)
KR (1) KR20130115114A (ko)
CN (1) CN103357566B (ko)
TW (1) TWI5758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9854B2 (ja) * 2012-05-22 2016-11-24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子及び振動発生器
JP6023691B2 (ja) * 2013-11-18 2016-11-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6309871B2 (ja) * 2014-09-30 2018-04-1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6365190B2 (ja) 2014-09-30 2018-08-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動ブラシ、電動切削機及び電動エアポンプ
WO2016194762A1 (ja) * 2015-05-29 2016-12-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CN105720776B (zh) * 2016-03-28 2019-04-12 歌尔股份有限公司 振动马达以及便携式设备
KR20190034667A (ko) * 2016-09-13 2019-04-02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가동자, 진동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841A (en) * 1963-10-22 1967-04-04 Shinko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vibrator
JPS553677B2 (ko) * 1972-09-14 1980-01-26
JP3969780B2 (ja) * 1997-03-19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発生方法
CN1277625C (zh) * 1998-02-06 2006-10-04 并木精密宝石株式会社 电磁式驱动器及其安装构造
TW550873B (en) * 1999-05-17 2003-09-01 Nec Tokin Corp Electrodynamic type of vibration actua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948697B2 (en) * 2000-02-29 2005-09-27 Arichell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
JP2003033724A (ja) 2001-07-23 2003-02-04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気−機械振動変換器とこれを組み込んだ小型携帯機器
JP2005323054A (ja) * 2004-05-07 2005-11-17 Azden Corp 骨伝導スピーカ
JP2006007161A (ja) * 2004-06-29 2006-01-1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100541112B1 (ko) * 2004-07-01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동내장형 수직진동자
KR100541113B1 (ko) * 2004-07-01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패턴코일형 수직진동자
JP4592088B2 (ja) * 2005-05-30 2010-12-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振動体
JP2007184812A (ja) * 2006-01-10 2007-07-19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振動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004729A1 (en) * 2006-07-07 2008-01-10 Yea Il Electronics Co., Ltd. Vibrator
WO2008060060A1 (en) * 2006-11-15 2008-05-22 Jung-Hoon Kim Subminiature linear vibrator
KR100904743B1 (ko) * 2007-06-07 2009-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장치
CN101486029A (zh) * 2007-10-11 2009-07-22 西铁城电子股份有限公司 振动发生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0069356A (ja) * 2008-09-16 2010-04-02 Sanyo Electric Co Ltd 往復振動器
JP2010104864A (ja) * 2008-10-28 2010-05-13 Sanyo Electric Co Ltd 往復振動発生器
KR101580688B1 (ko) * 2008-11-24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 모터
KR101009112B1 (ko) * 2009-05-04 201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20100119970A (ko) * 2009-05-04 2010-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20110042745A (ko) * 2009-10-20 2011-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5659426B2 (ja) * 2010-02-16 2015-01-28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KR101079416B1 (ko) * 2010-05-14 2011-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133422B1 (ko) * 2010-05-14 2012-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004879B1 (ko) * 2010-05-25 2010-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US8872394B2 (en) * 2011-06-16 2014-10-28 Jahwa Electronic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US8729746B2 (en) * 2011-11-16 2014-05-20 Young Jin Hi-Tech Co., Ltd. Linear vibration device
KR101320136B1 (ko) * 2012-07-27 2013-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액추에이터
KR101516056B1 (ko) * 2012-12-06 2015-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JP5889259B2 (ja) * 2013-02-18 2016-03-2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33537A (ja) 2013-11-21
EP2651019A3 (en) 2016-08-24
CN103357566A (zh) 2013-10-23
CN103357566B (zh) 2016-12-28
TW201342780A (zh) 2013-10-16
TWI575848B (zh) 2017-03-21
US20140103750A1 (en) 2014-04-17
EP2651019A2 (en)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744B1 (ko) 선형진동장치
KR20130115114A (ko) 바이브레이터
KR100417017B1 (ko) 전기 신호를 휴대 전자 장치의 소자의 진동으로 변환하는다기능 컨버터
KR20070075328A (ko) 진동체
US9025796B2 (en) Vibration generator
JP2007184812A (ja) 振動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56507A1 (ja) リニア振動モータ
JP2010109795A (ja) 多機能型振動発生装置
KR101831930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060099227A (ko) 스피커장치
KR20100111368A (ko) 진동 장치
KR20160114313A (ko) 코어리스 햅틱 액추에이터
KR20100088290A (ko)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101130064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078597B1 (ko) 수평 진동형 리니어 모터
KR20130025636A (ko) 진동발생장치
US11025147B2 (en) Vibration motor
KR101439937B1 (ko) 선형 진동자
KR101254211B1 (ko) 선형 진동자
KR20130031528A (ko) 선형 진동모터
KR10119807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266793B1 (ko) 햅틱 엑추에이터
CN217159520U (zh) 振动马达和触觉器件
WO2017073855A1 (ko) 진동 액추에이터
CN216929842U (zh) 振动马达及触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