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735A - 파이프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735A
KR20130113735A KR1020120036165A KR20120036165A KR20130113735A KR 20130113735 A KR20130113735 A KR 20130113735A KR 1020120036165 A KR1020120036165 A KR 1020120036165A KR 20120036165 A KR20120036165 A KR 20120036165A KR 20130113735 A KR20130113735 A KR 2013011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pin
coupling
cov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장명휘
Original Assignee
(주)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3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735A/ko
Priority to PCT/KR2012/005470 priority patent/WO2013009075A1/ko
Publication of KR2013011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수용된 파이프를 덮어서 조이면서 구속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와 덮개를 체결하도록 상기 몸체와 덮개가 결합된 부분에 삽입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덮개는 각각,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 1 및 제 2수용부, 상기 제 1 및 제 2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힌지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수용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 간의 최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체결핀이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결합부에서 상기 체결핀과 면 접촉되는 판면에는 체결 유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용 클램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몸체 및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이용해 파이프의 구경 및 형상에 따라 수용공간을 조절하고, 간단한 구조의 결합부에 체결핀을 삽입하여 수용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용 클램프{CLAMP FOR STEEL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구경과 형태를 갖는 파이프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해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수용하는 파이프를 조이면서 고정하는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또는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재 중 하나인 비계용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고정하기 위하여 흔히 클램프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용 클램프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0-0006289호(2000년01월25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상호 일단이 중첩 및 힌지결합되어 파이프의 외연에 회동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몸체(1)와 제 2몸체(2), 제 1몸체(1)에 힌지 결합되는 나사막대(3) 및 제 2몸체(2) 측으로 회동하여 제 2몸체(2)의 플랜지(5)에 형성된 삽입홈(6)에 삽입된 나사막대(3)에 체결되는 너트(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너트(4)가 나사막대(3)의 축선을 따라 나선 이동하여 제 2몸체(2)의 플랜지(5)를 가압함으로써 제 1몸체(1)와 제 2몸체(2)가 파이프를 조임 결합한다.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나사막대(3)에 너트(4)를 체결하여 원형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너트를 완전하게 체결하기 위해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대구경 및 소구경 원형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지만, 너트(4)가 불완전하게 체결된 경우 클램프로부터 파이프가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제 1몸체(1)와 제 2몸체(2)가 체결되었을 때의 내경에 해당하는 원형파이프만을 클램핑할 수 있기 때문에, 사각 형상의 각형파이프를 클램핑하기 위해서는 각형파이프에 대응되는 별도의 클램프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비용소모가 크고, 또한 현장에서 일일이 파이프의 형상에 맞는 클램프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0-0006289호(2000년01월25일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구경을 갖는 원형파이프는 물론 사각의 각형파이프까지 하나의 클램프를 이용해 클램핑할 수 있는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클램프를 이용해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용 클램프의 가공 공차와 파이프의 생산 공차가 있더라도 구경의 차이를 보완하여 다양한 구경과 형상의 파이프를 좀더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파이프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클램핑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이 간편해지고 생산비용 또한 절감될 수 있는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파이프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수용된 파이프를 덮어서 조이면서 구속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와 덮개를 체결하도록 상기 몸체와 덮개가 결합된 부분에 삽입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덮개는 각각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 1 및 제 2수용부, 상기 제 1 및 제 2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힌지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수용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 간의 최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체결핀이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결합부에서 상기 체결핀과 면 접촉되는 판면에는 체결 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와 덮개는 상기 체결핀의 회전 동작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되고, 상기 체결 유지부는 상기 제 2결합부가 상기 체결핀과 면 접촉되는 상기 제 2결합부의 판면에서 상기 체결핀이 회전되는 경로를 따라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 유지부는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 2결합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결합부의 선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제 1결합부의 제 1 및 제 2굴곡부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걸어지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부의 선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핀의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돌기가 걸어지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 2결합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2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결합부와 결합 및 해제되도록 상기 제 2결합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굴절되어 일체로 형성된 굴절 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 2결합부를 가로질러 관통된 단부에 구비된 머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결합부에서 상기 체결 유지부가 형성된 판면의 반대 측 판면과 상기 체결핀의 머리부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 및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이용해 파이프의 구경 및 형상에 따라 수용공간을 조절한다.
즉, 본 발명은 수용하는 파이프의 구경에 따라 덮개의 힌지핀을 한 쌍의 회전공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몸체와 덮개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소구경 및 대구경 파이프를 모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용하는 파이프가 각형파이프인 경우, 수용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각관절곡부를 이용해 각형파이프의 모서리를 고정하여 각형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구경 및 대구경 원형파이프와 각형파이프 등의 다양한 구경 및 형상의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결합부에 체결핀을 삽입하여 수용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체결핀의 중앙부에 굴절 캠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굴곡부를 고정함으로써, 몸체와 덮개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몸체에 제 1 및 제 2굴곡부 대신에 제 1 및 제 2걸이공을 형성하고 굴절 캠부의 선단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몸체와 덮개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체결핀을 덮개의 제 1 및 제 2삽입공에 관통 결합한 수 체결핀의 선단을 가격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체결핀과 덮개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체결핀을 덮개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함에 따라 체결핀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에서 체결핀과 면 접촉되는 제 2결합부의 판면에는 부채꼴의 경로를 따라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체결 유지부가 형성되어 몸체 및 덮개 간의 최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체결핀이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파이프용 클램프의 가공 공차와 파이프의 생산 공차가 있더라도 구경의 차이를 보완하여 다양한 구경과 형상의 파이프를 좀더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고, 파이프의 구경에 따른 제 1결합부와 제 2결합부 간의 체결위치를 조절하는 체결핀의 회전 후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덮개의 제 2결합부에서 체결 유지부가 형성된 판면의 반대 측 판면과 체결핀의 머리부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파이프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에 의해 진동이 감쇄되어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핀의 결합을 해제하려면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탄성부재에 의해 체결핀이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핀의 굴절 캠부는 제 2결합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체결핀의 중앙부에서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와 덮개가 결합되도록 몸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굴곡부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캠부를 마련하여 체결핀에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이 간편해지고 부품수를 줄여 생산비용 또한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램프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절개공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
도 5는 대구경 원형파이프 또는 각형파이프를 조이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소구경 원형파이프를 조이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단면도,
도 9는 클램핑되는 파이프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몸체와 덮개 간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10은 체결핀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클램프의 평면도,
도 12 및 도 13은 몸체 및 덮개에 삽입된 체결핀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에 체결핀(40)이 결합되는 위치를 '하부'라 하고, 덮개(30)에 결합된 체결핀(40)의 선단 위치를 '상부'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10)는 통상적으로 원형관이나 각관 등의 파이프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강철, 수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의 클램프로서, 파이프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U자형의 몸체(20), 몸체(20)에 수용된 파이프를 덮어 조이면서 구속하는 U자형의 덮개(30) 및 몸체(20)와 덮개(30)를 체결하도록 몸체(20)와 덮개(30)가 결합된 부분에 삽입되는 체결핀(4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몸체(20)와 덮개(30)는 체결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몸체(20) 및 덮개(30)는 각각, 원형 또는 각형의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 1 및 제 2수용부(21,31), 몸체(20) 및 덮개(30)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고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힌지부(22,32) 그리고 제 1 및 제 2수용부(21,31)의 타측, 즉 제 1 및 제 2힌지부(22,32)의 반대측에 체결핀(40)이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23,33)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수용부(21,31)는 파이프의 하중을 분담하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수용부(21,31)는 도 2 및 도 3에서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소구경 및 대구경 원형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만곡 형성되는 제 1 및 제 2만곡부(211,311) 그리고 제 1 및 제 2만곡부(211,311)의 양단에 각형파이프를 수용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각관 절곡부(212,312)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만곡부(211,311)는 소구경 원형파이프의 직경에 따른 곡률로 형성되고, 수용된 파이프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미끌림 방지홈(213,313)이 형성된다.
그래서 대구경 원형파이프를 수용하는 경우, 제 1 및 제 2만곡부(211,311)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되지 않지만, 미끌림 방지홈(213,313)의 폭이 넓어지도록 변형되면서 파이프와 강하게 접촉하여 밀착된다.
몸체(20)의 제 1힌지부(22)는 제 1수용부(21) 일단으로부터 단차지게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결합판(221)을 구비한다. 한 쌍의 결합판(221)에는 덮개(30)의 제 2힌지부(32)에 구비된 힌지핀(323)이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공(22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절개공(222)은 상기 결합판(2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공(223) 및 힌지핀(323)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전공(223) 사이를 연결하는 핀 이동공(224)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공(223)은 도 4에서 보았을 때,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이동공(224)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이동공(224)에 중앙부가 위치되도록 형성되거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이동공(224)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핀 이동공(224)은 비록 직선 형태로 개시되었으나,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등 힌지핀(323)이 이동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절개공(222)은 힌지핀(323)과의 결합력을 높이고, 덮개(30)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폭만큼을 하방 또는 상방으로 가압하여 휘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30)의 제 2힌지부(32)는 제 2수용부(31) 일단의 상하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한 쌍의 연장판(321) 및 한 쌍의 연장판(321)에 형성된 힌지공(322)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핀(323)을 구비한다.
힌지핀(3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에서 위 아래가 깎인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힌지공(322)은 힌지핀(323)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핀(323)의 원형 외주면은 절개공(222)의 회전공(223)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납작하게 깎인 평면 외주면은 절개공(222)의 핀 이동공(224)을 통해 이동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힌지핀(323)의 원형 단면 지름은 회전공(223)의 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납작하게 깎인 평면의 폭은 핀 이동공(224)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한 쌍의 결합판(221)은 한 쌍의 연장판(321) 사이에 삽입되어 겹쳐지고, 힌지핀(323)은 힌지공(322) 및 절개공(222)을 연이어 관통하여 힌지축 역할을 수행한다.
비록 도 2 및 도 3에서는 절개공(222)이 몸체(20)에 형성되어 있고, 힌지공(322)은 덮개(30)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절개공(222)이 덮개(30)에 형성되고 힌지공(322)이 몸체(20)에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 한 쌍의 결합판(221)이 한 쌍의 연장판(321)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한 쌍의 결합판(221) 사이에 한 쌍의 연장판(321)이 삽입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용하는 파이프의 구경에 따라 덮개의 힌지핀을 한 쌍의 회전공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몸체와 덮개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소구경 및 대구경 파이프를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몸체(20)의 제 1결합부(2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수용부(21)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결합부(23)는 외면 중앙부에 선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굴곡부(24,25)를 구비한다.
제 1굴곡부(24)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원형파이프나 각형파이프 수용시 아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할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가 걸어지는 부분이고, 제 2굴곡부(25)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구경 원형파이프 수용시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 1 및 제 2굴곡부(24,2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클램프(10)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몸체(20)의 제 1결합부(23)에만 제 1 및 제 2굴곡부(24,25)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몸체(20)의 제 1결합부(23) 내면 및 외면 모두에 제 1 및 제 2굴곡부(24,25)를 형성하고 덮개(30)의 제 2결합부(33) 내면을 제 1 및 제 2굴곡부(24,25)에 대응되게 굴곡지게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체결핀의 굴절 캠부 회전시 몸체 및 덮개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몸체외 덮개 사이에 수용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 1 및 제 2굴곡부(24,25)는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가 결합된 상태에서 굴절 캠부(42)와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돌기(241,251)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덮개(30)의 제 2결합부(3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수용부(31)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 2결합부(33)의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제 2수용부(31)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단차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 2결합부(33)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체결핀(40)이 삽입되는 제 1 및 제 2삽입공(34,3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 1삽입공(34)의 직경은 체결핀(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핀(40)의 선단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고, 제 2삽입공(35)은 체결핀(40)의 삽입부(41) 선단을 제 2삽입공(35)에 관통시킨 후 삽입부(41)와 굴절 캠부(42)를 결합하는 경우, 삽입부(41)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물론, 제 2삽입공(35)은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2삽입공(35)에 삽입하는 경우, 굴절 캠부(42)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굴절 캠부(42)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결합부(33)에서 체결핀(40)과 면 접촉이 이뤄지는 판면인 제 2결합부(33)의 상면에는 제 1 및 제 2결합부(23,33) 간의 최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체결핀(40)이 단계적으로 고정되어 체결핀(40)이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핀(40)을 임시 고정하는 체결 유지부(3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구경에 따른 몸체(20)의 제 1결합부(23)와 덮개(30)의 제 2결합부(33) 간의 밀착 정도를 조절하는 체결핀(40)이 회전된 후 체결핀(40)이 체결 유지부(36)에 맞물려 체결핀(40)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파이프용 클램프(10)의 가공 공차와 파이프의 생산 공차가 있더라도 구경의 차이를 보완하여 다양한 구경과 형상의 파이프를 좀더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결합부(23,3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가 제 2결합부(33)와 직각이 되도록 클램프(10)의 외측을 향해 회전된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폐쇄 상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결합부(23,33)의 결합시 굴절 캠부(42)와 제 1 및 제 2굴곡부(24,25)가 서로 결합되도록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가 제 2결합부(33)와 일체가 되도록 회전된 상태를 말한다.
체결 유지부(36)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결합부(33)가 체결핀(40)과 면 접촉되는 상기 제 2결합부(33)의 판면에서 상기 체결핀(40)이 회전되는 경로를 따라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덮개(30)에서 체결핀(40)과 면 접촉되는 제 2결합부(33)의 판면에는 부채꼴의 경로를 따라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체결 유지부(36)가 형성되어 몸체(20) 및 덮개(30) 간의 최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체결핀(40)의 후술할 손잡이부(43)가 체결 유지부(36)의 돌출된 둔턱에 맞물려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파이프용 클램프(10)의 가공 공차와 파이프의 생산 공차가 있더라도 구경의 차이를 보완하여 다양한 구경과 형상의 파이프를 좀더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고, 파이프의 구경에 따른 제 1결합부(23)와 제 2결합부(33) 간의 체결위치를 조절하는 체결핀(40)의 회전 후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체결 유지부(36)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제 2결합부(33)의 판면으로부터 리브(rib) 형상으로 돌출 구비된 스토퍼(3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체결핀(40)에 의한 제 1결합부(23) 및 제 2결합부(33) 간의 최대 개방 위치와 최대 폐쇄 위치가 스토퍼(37)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 2결합부(33)의 선단부 내측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결합부(23)의 제 1 및 제 2굴곡부(24,25)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걸어지도록 걸림턱(331)이 형성되고, 제 2결합부(33)의 선단부 외측면 하부에는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에 형성되는 손잡이 돌기(431)가 걸어지는 걸림홈(3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이프 클램핑 시 제 2결합부의 걸림턱에 제 1 결합부의 제 1 및 제 2굴곡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임시 고정한 후, 손잡이부 회전시켜 파이프를 완전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돌기를 제 2결합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고정시켜 체결핀이 움직이거나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핀(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의 제 2결합부(33)의 내부를 가로질러 덮개(30)에 구비되고, 몸체(20)의 제 1결합부(23)와 결합 및 해제되도록 제 2결합부(33)의 내부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굴절되어 일체로 형성된 굴절 캠부(42)와, 제 2결합부(33)의 내부를 관통하는 부분의 전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 구비된 손잡이부(4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는 제 2결합부(33)의 내부를 관통하는 체결핀(40)의 중앙부에서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20)와 덮개(30)가 결합되도록 몸체(2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굴곡부(24,25)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캠 부재를 마련하여 체결핀(40)에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이 간편해지고 부품수를 줄여 생산비용 또한 절감될 수 있다.
굴절 캠부(42)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굴곡부(24,25)에 맞물릴 수 있도록 체결핀(40)의 중앙부에서 대략 'ㄷ'자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부(43)가 개방 상태이면 굴절 캠부(42)는 제 2결합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한 상태가 되고, 손잡이부(43)가 폐쇄 상태로 회전하면 굴절 캠부(42)는 제 1 및 제 2굴곡부(24,25)의 오목한 부분에 걸어져서 제 1 및 제 2굴곡부(24,25)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본 발명은 몸체와 덮개의 결합시 체결핀에 형성된 굴절 캠부(42)를 이용해 제 1결합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굴곡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체결핀은 삽입부와 손잡이부 및 굴절 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를 제거하고 삽입부(41)와 굴절 캠부(42)만을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4)의 하단부에 다각형, 예컨대 사각 형상의 홈(441)을 요입되게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삽입부의 홈에 래칫 핸들이나 렌치과 같은 공구를 결합시켜 체결핀을 회전시킴으로써 굴절 캠부와 제 1 및 제 2굴곡부를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5)의 하단부에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각형, 예컨대 육각 형상의 머리(451)를 구비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된 머리에 소켓이 결합된 래칫 핸들이나 렌치,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결합시켜 체결핀을 회전시킴으로써 굴절 캠부와 제 1 및 제 2굴곡부를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에는 손잡이 돌기(431)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손잡이 돌기(431)가 체결 유지부(36)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 1 및 제 2결합부(23,33) 간의 최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체결핀(40)이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핀(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상으로 단면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체결핀(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결합부(33)의 제 1 및 제 2삽입공(34,35)에 삽입되어 제 2결합부(33)를 가로질러 관통된 단부인 삽입부(41)와, 삽입부(41)에 구비되되 삽입부(41)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된 머리부(47)를 포함한다.
머리부(47)는 체결핀(4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와셔(washer)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삽입부(41)의 선단은 제 1삽입공(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지만, 제 2결합부(33)에 결합된 상태에서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제 1삽입공(3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변형된다.
즉, 체결핀(40)은 제 1 및 제 2삽입공(34,35)에 삽입된 후 선단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제 1삽입공(3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체결핀을 덮개에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체결핀의 선단을 가격하여 변형시켜서 안정적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간단한 구조의 체결핀을 이용해 덮개와 몸체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의 제 2결합부(33)에서 체결 유지부(36)가 형성된 판면의 반대 측 판면과 체결핀(40)의 머리부(47)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50)가 구비된다.
탄성부재(50)는 대략 'U'자의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로 마련된 한 쌍의 판상 부재를 서로 볼록한 부분이 맞닿도록 덮개(30)의 판면과 체결핀(40)의 머리부(47) 사이에 설치된다.
즉, 탄성부재(50)는 상하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웨이브 스프링 와셔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50)에 의해 진동이 감쇄되어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는 체결 유지부(36)에 걸려있고 삽입부(41)는 탄성부재(50)에 의해 억지로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체결핀(40)의 결합을 해제하려면 탄성부재(50)를 가압하여 눌러줘야 하므로 체결핀(40)의 분리 이탈을 탄성부재(5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덮개(30)의 제 1 및 제 2삽입공(34,35)에 체결핀(40)을 관통 결합한 후 체결핀(40)의 선단을 가격하여 제 1삽입공(3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변형시킴으로써, 체결핀(40)과 덮개(30)를 결합한다.
이어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원형파이프를 수용하는 경우, 제 2힌지부(32)의 힌지핀(323)을 제 1힌지부(22)의 핀 이동공(224)을 따라 선단측 회전공(223)으로 이동시킨 후, 파이프를 제 1수용부(21)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힌지핀(323)을 중심으로 덮개(30)를 회전운동시켜 몸체(20)의 제 1결합부(23)와 덮개(30)의 제 2결합부(33)를 겹쳐지게 한다. 그러면 몸체(20)의 선단측에 형성된 제 1굴곡부(24) 위치와 덮개(30)의 제 1 및 제 2삽입공(34,35)의 위치가 대략 겹쳐지게 된다.
제 2결합부(33)의 제 1 및 제 2삽입공(34,35)에 결합된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를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그러면,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가 제 1굴곡부(24)의 중앙부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결합되어 제 1굴곡부(24)의 선단에 형성된 볼록한 부분에 걸어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체결핀(40)과 제 1 및 제 2결합부(23,33) 사이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몸체(20)와 덮개(30) 사이에 수용된 파이프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어서 제 2결합부(33)의 하면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37)에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가 걸림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에서 발생된 진동이 파이프나 클램프에 전달되더라도 체결핀이 몸체 및 덮개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수용된 파이프를 분리하는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를 들어올리면, 손잡이부(43)가 스토퍼(37)를 넘어서 개방 위치를 향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가 회전함에 따라 굴절 캠부(42)와 제 1결합부(23)의 제 1굴곡부(2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몸체(20)의 제 1결합부(23)가 체결핀(40) 및 덮개(30)로부터 분리된다.
하지만, 체결핀(40)의 선단은 제 1삽입공(34)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변형된 상태이므로 덮개(3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결핀이 덮개의 제 2결합부에 항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체결핀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각형 파이프를 수용하는 경우, 대구경 원형파이프 수용시와 마찬가지로, 제 2힌지부(32)의 힌지핀(323)을 제 1힌지부(22)의 핀 이동공(224)을 따라 선단측 회전공(223)으로 이동시킨 후, 파이프의 모서리 한 쌍을 제 1수용부(21)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 제 1각관 절곡부(212)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힌지핀(323)을 중심으로 덮개(30)를 회전운동시켜 몸체(20)의 제 1결합부(23)와 덮개(30)의 제 2결합부(33)를 겹쳐지게 한다. 이때, 파이프의 나머지 모서리 한 쌍은 제 2수용부(32)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 제 2각관 절곡부(312)에 위치된다.
그래서 몸체(20)의 선단측에 형성된 제 1굴곡부(24) 위치와 덮개(30)의 제 1 및 제 2삽입공(34,35) 위치가 대략 겹쳐지면, 제 2결합부(33)의 제 1 및 제 2삽입공(34,35)에 결합된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를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즉, 각형파이프는 제 1 및 제 2수용부(21,31)에 형성된 제 1 및 제 2각관 절곡부(212,312)에 걸리게 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후, 각형파이프의 수용 및 분리 과정은 대구경 원형파이프 수용 및 분리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구경의 원형 파이프를 수용하는 경우, 제 2힌지부(32)의 힌지핀(323)을 제 1힌지부(22)의 핀 이동공(224)을 따라 제 1수용부(21)에 인접한 회전공(223)으로 이동시킨 후, 파이프를 제 1수용부(21)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힌지핀(323)을 중심으로 덮개(30)를 회전운동시켜 몸체(20)의 제 1결합부(23)와 덮개(30)의 제 2결합부(33)를 겹쳐지게 한다. 그러면 몸체(20)의 제 1수용부(21)에 인접한 제 2굴곡부(25) 위치와 덮개(30)의 제 1 및 제 2삽입공(34,35) 위치가 대략 겹쳐지게 된다.
이어서 제 2결합부(33)의 제 1 및 제 2삽입공(34,35)에 결합된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를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이후, 소구경 원형파이프의 수용 및 분리 과정은 대구경 원형파이프 수용 및 분리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에 의해 대구경의 원형 파이프가 클램핑될 때의 몸체(20)와 덮개(30) 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에 의해 소구경의 원형 파이프가 클램핑될 때의 몸체(20)와 덮개(30) 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9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에 의해 각형 파이프(48 mm 전용)가 클램핑될 때의 몸체(20)와 덮개(30) 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다음,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를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제 1 및 제 2결합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상기 실시 예와 유사하고, 다만 몸체(20)의 제 1결합부(23)에 제 1 및 제 2굴곡부(24,25) 대신에 제 1 및 제 2걸이공(24',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핀(40)의 굴절 캠부(42')에는 제 1 및 제 2걸이공(24',25')에 결합되는 걸림돌기(421)가 형성된다.
즉, 굴절 캠부(42')의 걸림돌기(421)는 체결핀(40)의 회전시 제 1 및 제 2걸이공(24',25')에 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굴절 캠부의 걸림돌기와 제 1결합부의 제 1 및 제 2걸이공을 이용해 체결핀과 몸체 및 덮개를 결합시켜 몸체와 덮개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몸체 및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이용해 파이프의 구경 및 형상에 따라 수용공간을 조절하고, 간단한 구조의 결합부에 체결핀을 삽입하여 수용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클램프를 이용해 대구경 및 소구경 원형 파이프와 각관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구경 또는 형상의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전용클램프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1결합부에 클램핑하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하나의 굴곡부만을 형성하여 해당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전용클램프로 사용될 수도 있다.
10: 클램프 20: 몸체
21: 제 1수용부 211: 제 1만곡부
212: 제 1각관 절곡부 213: 미끌림 방지홈
22: 제 1힌지부 221: 결합판
222: 절개공 223: 회전공
224: 핀 이동공 23: 제 1결합부
24,25: 제 1,제 2굴곡부 24',25': 제 1,제 2걸이공
241,251: 제 1,제 2돌기 30: 덮개
31: 제 2수용부 311: 제 2만곡부
312: 제 2각관 절곡부 313: 미끌림 방지홈
32: 제 2힌지부 321: 연장판
322: 힌지공 323: 힌지핀
33: 제 2결합부 331: 걸림턱
332: 걸림홈 34,35: 제 1,제 2삽입공
36: 체결 유지부 37: 스토퍼
40: 체결핀 41,44,45: 삽입부
42,42': 굴절 캠부 421: 걸림돌기
43: 손잡이부 431: 손잡이 돌기
47: 머리부 441: 홈
451: 머리 50: 탄성부재

Claims (6)

  1. 파이프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몸체(20)
    상기 몸체(20)에 수용된 파이프를 덮어서 조이면서 구속하는 덮개(30) 및
    상기 몸체(20)와 덮개(30)를 체결하도록 상기 몸체(20)와 덮개(30)가 결합된 부분에 삽입되는 체결핀(4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20)와 덮개(30)는 각각 파이프가 안착 수용되는 제 1 및 제 2수용부(21,31), 상기 제 1 및 제 2수용부(21,31)의 일측에 형성되고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힌지부(22,32) 및 상기 제 1 및 제 2수용부(21,31)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40)이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23,3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23,33) 간의 최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체결핀(40)이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결합부(33)에서 상기 체결핀(40)과 면 접촉되는 판면에는 체결 유지부(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덮개(30)는 상기 체결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되고,
    상기 체결 유지부(36)는 상기 제 2결합부(33)가 상기 체결핀(40)과 면 접촉되는 상기 제 2결합부(33)의 판면에서 상기 체결핀(40)이 회전되는 경로를 따라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지부(36)는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 2결합부(33)의 판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된 스토퍼(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33)의 선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제 1결합부(23)의 제 1 및 제 2굴곡부(24,25)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걸어지도록 걸림턱(33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결합부(33)의 선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핀(40)의 손잡이부(43)에 형성되는 손잡이 돌기(431)가 걸어지는 걸림홈(3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40)은 상기 제 2결합부(33)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 2결합부(33)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결합부(23)와 결합 및 해제되도록 상기 제 2결합부(33)의 내부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굴절되어 일체로 형성된 굴절 캠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40)은 상기 제 2결합부(33)를 가로질러 관통된 단부에 구비된 머리부(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결합부(33)에서 상기 체결 유지부(36)가 형성된 판면의 반대 측 판면과 상기 체결핀(40)의 머리부(47)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KR1020120036165A 2011-07-12 2012-04-06 파이프용 클램프 KR20130113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65A KR20130113735A (ko) 2012-04-06 2012-04-06 파이프용 클램프
PCT/KR2012/005470 WO2013009075A1 (ko) 2011-07-12 2012-07-10 파이프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65A KR20130113735A (ko) 2012-04-06 2012-04-06 파이프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735A true KR20130113735A (ko) 2013-10-16

Family

ID=4963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165A KR20130113735A (ko) 2011-07-12 2012-04-06 파이프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7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372B1 (ko) * 2023-05-23 2023-10-26 (주)신담엔지니어링 건축물 공사용 비계의 내진 강관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372B1 (ko) * 2023-05-23 2023-10-26 (주)신담엔지니어링 건축물 공사용 비계의 내진 강관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388B2 (en) Pipe clamp with spring nut
US7614590B2 (en) Attachment device for fixing various elements to a support
WO2014027625A1 (ja) スタッド係止具
KR101190245B1 (ko) 파이프용 클램프
RU2487285C1 (ru) Стяжной элемент
JP494501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KR102045345B1 (ko) 센서 설치도구
JP2015515340A (ja) ロッド間クロスコネクタ
US20100058563A1 (en) Clamp Securement
KR20170054188A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130113735A (ko) 파이프용 클램프
US20220136553A1 (en) Two-part nut with high pressing force
KR101120626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101199923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101214008B1 (ko) 파이프용 클램프
US20090169294A1 (en) Reinforcing Bar Connector
KR101187602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11196391A (ja) 配設体支持具
JP2010120097A (ja) 打撃スパナと併用するクリップ
KR101070460B1 (ko) 파이프용 클램프
US6899000B1 (en) Wrench open end having a pushing tongue
KR101506531B1 (ko) 밸브 핸들 고정용 클램프
KR200213667Y1 (ko) 파이프 클램프.
JP5342723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連結体
JP5276033B2 (ja) 止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