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338A - 통풍 신발 패드 - Google Patents

통풍 신발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338A
KR20130113338A KR1020127033159A KR20127033159A KR20130113338A KR 20130113338 A KR20130113338 A KR 20130113338A KR 1020127033159 A KR1020127033159 A KR 1020127033159A KR 20127033159 A KR20127033159 A KR 20127033159A KR 20130113338 A KR20130113338 A KR 20130113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d
air bag
valv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쿠오 초우
펭 졘
Original Assignee
웨이-쿠오 초우
펭 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쿠오 초우, 펭 졘 filed Critical 웨이-쿠오 초우
Publication of KR2013011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밟도록 신발 내에 넣는 통풍 신발 패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통풍 신발 패드는 패드 본체(10)와, 패드 본체 내에 매설되는 공기 주머니(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 본체(10)는 공기 흡입구역(30), 공기 배출구역(40), 공기 주머니(20)와 공기 흡입구역(30)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진입 덕트(50)가 설치된다. 공기 주머니(20)는 공기 진입 덕트(50)와 공기 배출 덕트(60)에 대응되는 연결부분에 각각 단방향 밸브(70)를 내부에 구축하여, 통풍 신발 패드가 사용자에 의해 밟히는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환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공기 진입 덕트(50)와 공기 배출 덕트(60)에는 삼각형 구조를 지니는 단면을 구비하여 공기 덕트의 상부가 뾰족하여 쉽게 납짝하게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아 공기의 유통을 쉽게 차단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에, 얇게 형성된 통풍 신발 패드는 각종 신발 내에 편리하게 응용되어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게 한다.

Description

통풍 신발 패드{Ventilated shoe pad}
본 발명은 신발 패드의 구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수 설계된 삼각형 단면 공기 덕트 구조를 통해 통풍 신발 패드를 얇게 형성하고, 또한 밟을 때 강제적으로 능동적 환기를 하여 사용자의 발이 건조하고 쾌적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신발 패드는 신발 내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마모 방지 및 완충을 하는 장치다. 그러나 신발은 착용할 때 마모 방지 및 완충 효과를 고려하는 외에, 쾌적성, 진동흡수능력 및 통풍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현재 대다수 통풍 신발 패드의 통풍 기능의 생성은 반드시 밑창과 조합을 이루거나 밑창과 통합해야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국 대만의 실용신안 문헌 공고 제 180846호 '분리형 환기장치'는 밀폐된 중공 공기 주머니, 단방향 유입 밸브 및 단방향 유출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 밸브 및 배출 밸브는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공기 주머니의 일측에 배치되며, 공기 주머니 중에서 공기 진출 경로로서 상기 환기장치는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밑창의 앞쪽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요홈에 삽입되어 착용자가 보행할 때 앞쪽 발바닥의 구부리는 운동으로 공기 주머니를 휘어짐으로써 압축하여 신발 안쪽을 신선한 공기로 대체하도록 하고 또한 신발 내의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중국 대만의 실용신안 문헌 공고 제M312209호 '일체로 성형되는 통풍 지지 신발 패드'는 발뒤꿈치 부분이 돌기된 구조로서, 상기 돌기 구조의 중앙은 중공 원통형 용기 요홈이고, 상기 용기 요홈의 중앙은 원통형 지지대로서 둘레에는 다수 개의 공기 진입장치 및 공기 배출 가이드 홈이 설치된다; 용기 요홈、공기 진입장치 및공기 배출 가이드 홈의 연통된 관계에 의해 공기로 하여금 신발 내의 공간에서 유통하여 발의 통풍을 유지하고; 상기 지지대는 지지작용을 하여 신발 패드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또한 일체로 성형하는 개념으로 통풍 신발 패드에 필요로 하는 부속품을 하나의 전체로 개량하였다. 이와 유사한 기술수단에 의한 신발 패드는 밑창과 일체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발 패드를 혼자서 분리할 ㅜㅅ 없거나 신발 패드를 다른 곳으로 넣을 때 고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며, 소비자에게 있어 사용 시의 선택권이 제한을 받게 되고 관련된 통풍 구조가 손상될 때에는 신발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에, 업계에서는 소비자가 자체 준비하여 신발 내에 설치하며 또한 통풍 효과를 발휘하는 신발 패드를 설계하였다. 에를 들면, 중국 대만의 실용신안 문헌 공고 제200624048호 '공기 순환식 신발 패드'는 주로 기저층, 차단층, 제1 단방향 밸브 및 제2 단방향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층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구비되는 상단면과 밑면 및 상기 상기 상단면과 밑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기저층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저층과 함께 하나의 에어 챔버를 정의하고 상기 에어 챔버와 상기 관통 구멍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제1 단방향 밸브는 상기 기저층과 상기 차단층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에어 챔버에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2 단방향 밸브는 상기 기저층과 상기 차단층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챔버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수단을 실시할 때 상기 에어 챔버가 너무 커서 공기에 대한 압박 효과를 분산시키고 또한 충분한 마이너스 압력의 흡입력을 생성할 수 없어서 공기가 에어 챔버 내에 체류하여 배출 및 흡입을 어려져서 통풍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다.
배경기술에서 사용자가 자체 교체하고 덕트 장치를 설치하여 통풍 효과를 집약할 수 있는 신발 패드를 개발하였다. 에를 들면, 중국 대만의 실용신안 문헌 공고 제515243호 '환기 신발 패드'는 패드 본체, 공기 주머니,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관, 공기 흡입관에 설치되는 단방향 밸브,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관 및 공기 배출관에 설치되는 단방향 밸브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패드 본체의 발뒤꿈치부에 설치되는 공기 주머니는 중공 캡슐이고 내부에는 탄성기구나 스프링을 수용하며, 공기 주머니의 적절한 곳에서는 각각 공기 흡입관 및 공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설치한다. 사용자가 보행할 때 발이 공기 주머니를 연속해서 압박하여 신선한 공기가 공기 흡입관을 통해 공기 주머니 내에 유입되고, 공기 주머니 내의 공기는 공기 배출관을 통해 강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신선한 공기를 신발 내로 유입시키고 신발 내의 더러운 공기는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공기순환 효과를 얻게 되어 사용자의 발에 대한 통풍 및 쾌적함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공기 흡입관, 공기 배출관 등의 덕트를 매설하는 신발 패드는 사용할 때 아래 나열한 제한을 받게 된다:
1. 연질 덕트를 사용하면 압박에 의해 막히기 쉽다.
2. 경질 덕트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발밑이 이물질을 느낄 수 있다.
3. 직접 노출되는 에어 패드는 마모되기 쉽고 발밑이 평탄하지 못한 촉감을 느끼고, 심지어 발꿈치 위치의 마찰력이 달라서 미끄러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4. 단일 덕트로 공기를 발밑의 앞쪽에 밀어넣음으로써 공기가 단일 경로(단일 발가락 사이)만을 통해 유통되는 문제점이 생기기 쉽다.
5. 에어 밸브는 외부로 노출되기 쉬워서 손상되거나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기 쉽고, 그리고 원형 헤드 모양의 에어 밸브는 사용자가 밟을 때 불쾌감을 느끼기 쉽다.
6. 공기 주머니 내부에 설치된 탄성기구나 스프링은 포장재가 노화된 후 발의 운동 상해를 입히기 쉬워서 개선을 요한다.
상술한 배경 기술의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자체 환기되는 신발 패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없고 상업화를 이룰 수 없게 된다. 이에, 발명자는 신발 패드의 구조 기술을 개선하여 신발 패드의 박형화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하기 쉽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하기에 간편하고 쾌적하여 상업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할 때 건조하고 쾌적함을 느끼고 더 많은 신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밟을 때 강제적으로 능동적 환기를 하는 박형화된 통풍 신발 패드를 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형화된 통풍 신발 패드는, 주로 패드 본체와, 패드 본체 내에 매설되는 공기 주머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 본체는 공기 흡입구역, 공기 배출구역, 상기 공기 주머니와 상기 공기 흡입구역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진입 덕트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 주머니에서 상기 공기 진입 덕트에 대응되는 연결부분에 단방향 밸브를 내부에 구축하고, 또한 상기 공기 배출 덕트에 대응되는 연결부분에 다른 단방향 밸브를 내부에 구축하고; 상기 패드 본체는 상부 패드 및 상부 패드와 서로 맞추어 결합하는 박판 하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패드는 박판 형태로 상기 공기 진입 덕트와 공기 배출 덕트 바닥부를 덮고; 상기 상부 패드는 상기 공기 주머니에 대응되여 상기 공기 주머니 상반부를 수용하도록 위로 솟아오르는 상부 공기 주머니 홈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패드는 상기 공기 주머니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 하반부를 수용하도록 아래로 솟아나는 하부 공기 주머니 홈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주머니와 상기 공기 배출구역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 덕트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공기 진입 덕트와 공기 배출 덕트는 삼각형 구조를 지니는 단면을 구비하여 외부 압력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통로의 공기 유통을 유지하여 패드 본체의 박형화를 이룬다.
상기 패드 본체에서 상기 공기 주머니 이외의 구역에 대응되는 곳의 두께는 2 밀리미터 내지 5 밀리미터다.
상기 공기 주머니 내벽에는 상기 공기 주머니 중심을 둘러서 배열되는 방사형 모양의 돌출 리브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공기 주머니 중심에 가까운 단면 반경이 상기 공기 주머니 중심과 멀리 떨어진 단면 반경보다 작다. 상기 공기 진입 덕트와 공기 배출 덕트는 상단부에는 아크형 근을 구비하여 기류의 진출 공간 및 순조로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패드 본체는, 상기 공기 배출구역에 대응되게 상기 상부 패드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 덕트와 연통되는 배기 홈 및 상기 상부 패드를 관통하여 배기 홈에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배기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구역은 상기 패드 본체 뒷 부분의 함몰부에 위치한다.
상기 각 배기 홀 주변 둘레에는 북모양의 돌출부를 설치한다.
상기 공기 주머니에서 상기 각 단방향 밸브에 대응되게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의 내부 둘레에는 격판 홈을 설치하며, 상기 각 단방향 밸브는 격판 홈, 상기 격판 홈 내에 삽입되는 격판 및 격판에 힌지결합되는 제1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격판에는 제1 밸브 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랩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아래로 수직으로 늘어져서 상기 제1 밸브 홀의 일측을 닫는다.
상기 공기 주머니에서 상기 각 단방향 밸브에 대응되게 납짝한 타원형 밸브 홈을 설치하고 상기 각 밸브 홈의 내부 둘레에는 납짝한 타원형 외부 슬리브를 설치하며, 상기 외부 슬리브는 측면 둘레에 중공 가이드 돌출 슬릿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한 밀폐된 단부에서는 제2 밸브 홀을 설치하고, 납짝한 타원형 밸브 내부 슬리브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밸브 내부 슬리브에서 상기 가이드 돌출 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바가 돌출 연장되어 상기 밸브 내부 슬리브가 상기 가이드 바를 통해 상기 돌출 슬릿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외부 슬리브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밸브 내부 슬리브는 일단부에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아래로 수직으로 늘어져서 상기 제2 밸브 홀를 닫도록 하는 제2 플랩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기술수단은 아래와 같다:
상기 패드 본체는 상부 패드 및 상기 상부 패드와 서로 맞추어 결합하는 하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드에는 일체로 성형되어 위로 솟아오르는 상부 공기 주머니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 패드는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에 대응하여 함몰된 하부 공기 주머니부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패드와 하부 패드가 서로 맞추어 결합할 때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와 하부 공기 주머니부가 상응하게 서로 맞추어 결합하여 중공 캡슐형상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와 하부 공기 주머니부 내벽에는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와 하부 공기 주머니부 중심을 둘러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방사형 돌출 리브를 설치하고,또한 상기 돌출 리브에서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와 하부 공기 주머니부 중심에 가까운 단면 반경이 상기 공기 주머니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면 반경보다 작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적어도 아래 나열한 장점을 구현하게 된다:
1. 신발 패드 내에 덕트를 매설하지 않아도 되고, 신발 패드에서 공기 주머니를 설치한 곳 이외의 구역에서 2 밀리미터~5 밀리미터로 박형화할 수 있고, 또한 덕트가 돌출되는 이물질 느낌이 안 나기 때문에 착용하고 밟을 때의 쾌적감을 높인다.
2. 공기 주머니과 공기 흡입구역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진입 덕트 및 공기 주머니과 공기 배출구역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배출 덕트는 특수 삼각형 구조를 지니는 단면 설계를 통해 종래의 원형 관 지름 단면과 차별화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공기 진입 덕트 및 공기 배출 덕트는 삼각형 단면구조를 통해 공기 통로의 상단부가 뾰족하여 쉽게 납짝하게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아 공기의 유통을 쉽게 차단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패드 본체를 대폭 박형화하여 패드 본체의 두께를 엷게 하며 사용자가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공기 주머니 중심을 둘러서 배열되는 방사형 돌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 리브는 반원형 단면구조를 갖고 또한 돌출 리브는 공기 주머니 중심에 가까운 단면의 반경이 공기 주머니 중심과 멀리 떨어진 단면 반경보다 작아서 공기 주머니의 신축 회복 기능이 우수하다.
4. 단방향 밸브의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 제조 및 교체하기 쉽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5. 단방향 밸브가 납짝한 타원형일 때 공기 주머니의 압축 높이(즉, 두께)를 가장 작은 값으로 감소시키고 또한 어긋나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위치 고정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며 조립 시의 실수 방지 기능도 구현한다.
6. 단방향 밸브가 돌출된 공기 주머니 내에 구축되기 때문에 신발 패드의 기타 위치에서 이물질 같은 느낌을 주지 않으며, 이에 공기 흡입구역을 신발 패드의 후단에 직접 설치하는 등 공기 흡입구역과 공기 배출구역의 설치 위치가 제한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통풍 신발 패드처럼 신발 벽에다 별도의 구멍을 개설하여 에어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7. 공기 배출구역이 신발 패드에서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 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또한 배기 홀 주변 둘레에는 북모양의 돌출부를 설치하여(배기 홀은 북모양의 돌출부의 상단에 구비됨) 배기 홀이 쉽게 평편하게 눌러지거나 차단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외형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입체외형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분해도다;
도 2x, 도 2y는 도 2의 국부 확대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구역 단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머니 입체 단면도다;
도 4a, 도 4b,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머니의 국부 확대 단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단면도다;
도 5a는 도 5의 국부 확대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머니가 자연 회복하여 확장되는 설명도다;
도 7a는 도 7의 국부 확대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머니가 밟혀서 압박되는 설명도다;
도 8a는 도 8의 국부 확대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머니 입체 단면도다;
도 9a, 도 9b, 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밸브구조 설명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입체 분해도다;
도 10a, 도 10b는 도 10에서 공기 진입, 배출 덕트의 국부 확대도다;
도 11,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국부 확대 입체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설치 부위 설명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대응되는 발의 설명도다;
도 14, 도 14a는 본 발명이 압박을 받을 때 아크형 근의 국부 확대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입체 분해도다;
도 15a, 도 1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국부 확대 입체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조합 단면 설명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외형도 및 입체 분해도다.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신발 패드의 주요 기술수단은, 패드 본체(10)와, 패드 본체(10) 내에 매설되는 공기 주머니(20)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본체(10)는 공기 흡입구역(30), 공기 배출구역(40), 공기 주머니(20)와 공기 흡입구역(30)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진입 덕트(50), 공기 주머니(20)와 공기 배출구역(40) 사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 덕트(60)이 설치된다.
이 중에서, 상기 패드 본체(10)는 상부 패드(11) 및 상부 패드(11)와 서로 맞추어 결합하는 하부 패드(1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진입 덕트(50)와 공기 배출 덕트(60)는 특수 설계된 공기 통로로서 삼각형 단면구조를 구비하고(도 2x, 도 2y 참조) 또한 상부 패드(11) 저면에 오목하게 설치되고, 하부 패드(12)는 공기 진입 덕트(50)와 공기 배출 덕트(60) 바닥을 덮기 때문에, 공기 진입 덕트(50) 및 공기 배출 덕트(60)는 삼각형 구조를 통해 공기 통로의 상단부를 뾰족하게 하여 쉽게 납짝하게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아 공기의 유통을 쉽게 차단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패드 본체를 대폭 박형화하여 패드 본체의 두께를 엷게 하며 사용자가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도 10 참조).
패드 본체(10)에서 공기 주머니(20) 이외의 구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두께는 2 밀리미터 내지 5 밀리미터다.
상부 패드(11)는 공기 주머니(20)에 대응하여 공기 주머니(20) 상반부를 수용하도록 위로 솟아오르는 상부 공기 주머니 홈(111)를 설치하고, 상부 패드(11) 표면에는 다수 개의 안마 돌기(112)가 구비된다. 상부 패드(11) 표면에는 안마 돌기(112) 외에도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의 보건 혈도 자리에 대응되는 보건 돌기(113)가 구비되고; 하부 패드(12)는 공기 주머니(20)에 대응하여 공기 주머니(20) 하반부를 수용하도록 아래로 솟아나는 하부 공기 주머니 홈(121)을 설치하고; 상기 공기 흡입구역(30)은 신발 패드 뒷 부분의 함몰부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구역 단면도다. 패드 본체(10)는, 공기 배출구역(40)에 대응되게 상부 패드(11) 저면에 설치되어 공기 배출 덕트(60)와 연통되는 배기 홈(41), 상부 패드(11)를 관통하여 배기 홈(41)에 연통되는 다수 개의 배기 홀(42)을 포함하고, 배기 홈(41)과 공기 주머니(2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 덕트(60)를 연결하여 유통되는 공기를 공급한다. 배기 홀(42)은 둘레에 북모양의 돌출부(43)를 구비하며 또한 배기 홈(41)의 내부 둘레에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반원형 기둥(44)를 설치하여 배기 홈(41)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도 4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머니의 입체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머니의 국부 확대 단면도다. 상기 공기 주머니(20)는 비행접시 모양을 하고, 또한 공기 진입 덕트(50)에 대응되는 연결부분에는 단방향 밸브(70)를 내부에 구축하고 공기 배출 덕트(60)에 대응되는 연결부분에는 다른 단방향 밸브(70)를 내장한다.
공기 주머니(20)에서 각 단방향 밸브(70)에 대응되게 개구부(21)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21) 의 내부 둘레에는 U형 격판 홈(22)을 설치하며, 각 단방향 밸브(70)는 경질의 격판(71) 및 격판(71)에 힌지결합되는 제1 플랩(72)을 포함하고, 그 힌지부(73)는 상방에 제어된다.
격판(71)에는 제1 밸브 홀(711)이 구비되며 격판(71) 하방 및 좌우 양측에는 모두 격판 홈(22) 내에 삽입되어 공기 진입, 배출 덕트(50, 60)을 밀폐 시켜서 기류가 제1 밸브 홀(711)로만 진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단방향 밸브(70)에 포함되는 격판(71) 및 제1 플랩(72)은 적당한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또한 격판(71) 및 제1 플랩(72) 사이에서 비교적 얇은 동일 재료의 힌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연결 시킬 수 있다.
공기 주머니(20)가 압박을 받지 않았을 때 제1 플랩(72)은 지구인력 작용을 받아서 자연적으로 밑으로 늘어져서 제1 밸브 홀(711)의 일측을 덮는다. 제1 플랩(72)이 제1 밸브 홀(711)의 일측을 닫기 때문에 공기는 제1 밸브 홀(711)에서 제1 플랩(72)으로의 방향으로 제1 플랩(72)을 밀면서 유동할 수만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공기가 제1 플랩(72)에서 제1 밸브 홀(711)을 향해 유동하고자 할 때에는 제1 플랩(72)의 저지를 받기 때문에 단일 방향으로 연통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격판(71)의 양측의 상하단은 격판 홈(22)과 서로 대응되는 사이즈와 모양을 갖고 있어서 실수를 방지하여(Fool Proof) 조립과정에서 격판(71)의 상,하단이 격판 홈(22)에 잘못 삽입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이어서, 공기 주머니(20) 내벽에는 공기 주머니(20) 중심을 둘러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방사형 돌출 리브(23)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 리브(23)는 반원형 단면구조를 구비하며, 또한 돌출 리브(23)에서 공기 주머니(20) 중심에 가까운 단면 반경은 공기 주머니(20)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의 단면 반경보다 작게 하여 공기 주머니(20)가 압박을 받은 후 우수한 탄성복원력을 생성하도록 한다.
공기 배출 덕트(60)에 대응되는 단방향 밸브(70)는 제1 플랩(72)이 격판(71)과 공기 배출 덕트(60)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기 배출 덕트(60) 방향으로만 열려서 공기가 공기 주머니(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공기 주머니(20)를 밟을 때 공기는 대응되는 단방향 밸브(70)를 통해 공기 주머니(20)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 배출 덕트(60)에 진입한다.
공기 진입 덕트(50)에 대응되는 단방향 밸브(70)는 제1 플랩(72)이 격판(71)과 공기 주머니(20) 내부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기 주머니(20) 내부 방향으로만 열려서 공기가 공기 주머니(20) 내에 도입될 수 있도록 공급하며,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신발 패드를 착용하고 발을 들어올려서 공기 주머니(20)의 압력을 해제할 때 공기 주머니(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마이너스 압력을 생성하여 공기 진입 덕트(50) 내의 공기가 대응되는 단방향 밸브(70)를 관통하여 공기 주머니(20) 내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순환작용을 통해 신발 내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기 흡입구역(30)으로 흡입되어서 공기 배출구역(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상기 공기 주머니(20)는 각 단방향 밸브(70)에 대응되게 납짝한 타원형 밸브 홈(24)을 설치하고, 상기 밸브 홈(24) 내부 둘레에는 납짝한 타원형 외부 슬리브(74)를 설치하고 외부 슬리브(74)의 일단은 개방된 단부이고 타단은 밀페된 단부이며, 외부 슬리브(74)의 밀폐된 단부에는 제2 밸브 홀(75)을 설치한다. 외부 슬리브(74)는 측면 둘레에서 중공 돌출 슬릿(741)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납짝한 타원형 밸브 내부 슬리브(76)를 구비하고, 또한 밸브 내부 슬리브(76)에서 외부 슬리브(74) 측면 둘레의 돌출 슬릿(74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 바(761)가 돌출 연장되어 밸브 내부 슬리브(76)가 가이드 바(761)를 통해 상술한 개방된 단부에서 돌출 슬릿(741)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외부 슬리브(74) 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슬리브(74)와 밸브 내부 슬리브(76)가 잘못 조립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조립 시 실수 방지(Fool Proof)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어긋나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위치 고정시키는 기능을 구현한다. 제조의 용이성 및 품질 검사의 편리함을 위해 상기 밸브 내부 슬리브(76)의 일단부에는 제2 플랩(77)을 힌지연결하고, 상기 제2 플랩(77)은 아래로 수직으로 늘어져서 제2 밸브 홀(75)을 닫으며, 상기 밸브 내부 슬리브(76)의 타단은 개방된 단부다.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공기 유입/배출 작용 및 원리는 같다. 공기 배출 덕트(60)에 대응되는 단방향 밸브(70)는 제2 플랩(77)이 공기 배출 덕트(60) 방향으로만 열려서 공기를 공기 주머니(20) 밖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도 8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기 주머니(20)를 밟을 때 공기는 대응되는 단방향 밸브(70)를 통해 공기 주머니(20) 밖으로 배출되어 공기 배출 덕트(60)에 진입한다. 공기 진입 덕트(50)에 대응되는 단방향 밸브(70)는 제2 플랩(77)이 공기 주머니(20) 내부 방향으로만 열려서 공기가 공기 주머니(20) 내에 진입하도록 하기 때문에 도 7, 도 7a에 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신발 패드를 착용하고 발을 들어서 공기 주머니(20)의 압력을 해제할 때 공기 주머니(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마이너스 압력을 생성하여 공기 진입 덕트(50) 내의 공기가 대응되는 단방향 밸브(70)를 관통하여 공기 주머니(20) 내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순환을 통해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기 흡입구역(30)으로 흡입되어서 공기 배출구역(4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입체 분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공기 흡입구역의 국부 확대 단면도다. 도 10에서, 패드 본체(10)의 분해된 층의 순서는 도 2와 반대이며 하부 패드(12)는 분해도에서 상부 패드(11)와 서로 맞추어서 결합할 때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류의 진출 공간 및 순조로움을 더 잘 유지하기 위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진입 덕트(50) 및 공기 배출 덕트(60)의 상단부에서 아크형 근(51, 61)을 일체로 연장하여 공기 진입 덕트(50) 및 공기 배출 덕트(60)의 구조적 탄성을 보강함으로써 상방 압력을 받을 때 공기 통로의 양측을 당겨서 가급적 기류의 진출 공간 및 순조로움을 유지하도록 하고, 최대한도로 압축되어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진입 덕트(50) 및 공기 배출 덕트(60)가 아크형 근(51, 61)의 양측에서 기류가 진출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패드(11)는 공기 흡입구역(30)의 상반부에서 박판(31)이 연장 형성되고 또한 박판(31)에다 다수 개의 작은 통기홀(311)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공기 진입 덕트(50) 끝단의 삼각형 요홈 구조에 떨어져서 막힘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가급적 저지하여 공기 진입 덕트(50)의 후방 개구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최대한도로 방지하면서도 공기의 순조롭게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설치 부위 설명도, 대응되는 발의 설명도다.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신발 패드는 사용자 자신이 적합한 신발(100) 내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 주머니(20)의 제일 바람직한 설치 위치는 발꿈치(200)에 대응되는 위치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공기 흡입구역(30)이 패드 본체(10) 후단에서 인체 뒷발꿈치(20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공기 배출구역(40)이 패드 본체에서 발바닥(202)과 발가락(203) 사이의 하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서 에어홀(42)과 발가락 틈새(204)가 서로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배기, 통풍 효과를 발휘하여 착용자의 발이 건조함과 쾌적함을 느끼도록 한다.
도 15, 도 15a, 도 15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입체 분해도 및 국부 확대 입체도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 본체(10A)는 상부 패드(11A) 및 상부 패드(11A)와 서로 맞추어 결합하는 하부 패드(12A)를 포함하고, 또한 상부 패드(11A)에서 인체 발뒤꿈치와 마주보는 위치에 일체로 성형되어 위로 솟아오르는 상부 공기 주머니부(111A)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또한 하부 패드(12A)는 상부 공기 주머니부(111A)에 대응되게 함몰되는 하부 공기 주머니부(121A)를 일체로 성형하고, 또한 상부, 하부 패드(11A, 12A)가 서로 맞추어 결합할 때 도 16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부 공기 주머니부(111A, 121A)도 상응하게 서로 맞추어 결합하여 중공 캡슐형상 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조립작업 및 생산과정을 간단화 한다.
상부 공기 주머니부(111A)의 솟아오른 부분의 내벽 및 하부 공기 주머니부(121A)의 함몰부분의 내벽에다 공기 주머니부 중심을 둘러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방사형 돌출 리브(13A, 14A)를 설치하고, 돌출 리브(13A, 14A)는 반원형 단면구조를 구비하며, 돌출 리브(13A, 14A)에서 공기 주머니부 중심에 가까운 곳의 단면 반경이 공기 주머니부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보다 작게 하여 상부, 하부 공기 주머니부(111A, 121A)가 압박을 받을 때 우수한 탄성복원력을 생성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0)

  1. 패드 본체와, 패드 본체 내에 매설되는 공기 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본체는 공기 흡입구역, 공기 배출구역, 상기 공기 주머니와 상기 공기 흡입구역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진입 덕트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밟도록 신발 내에 넣는 통풍 신발 패드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머니는 상기 공기 진입 덕트에 대응되는 연결부분에 단방향 밸브를 내부에 구축하고, 또한 상기 공기 배출 덕트에 대응되는 연결부분에 다른 단방향 밸브를 내부에 구축하며; 상기 패드 본체는 상부 패드 및 상부 패드와 서로 맞추어 결합하는 박판 하부 패드를 포함하며,상기 하부 패드는 박판 형식으로 상기 공기 진입 덕트와 공기 배출 덕트 바닥부를 덮고; 상기 상부 패드는 상기 공기 주머니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 상반부를 수용하도록 위로 솟아오르는 상부 공기 주머니 홈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패드는 상기 공기 주머니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 하반부를 수용하도록 아래로 솟아나오는 하부 공기 주머니 홈을 설치하며, 상기 공기 주머니와 상기 공기 배출구역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 덕트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공기 진입 덕트와 공기 배출 덕트는 삼각형 구조를 지니는 단면을 구비하여 외부 압력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통로의 공기 유통을 유지하여 패드 본체의 박형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에서 상기 공기 주머니 이외의 구역에 대응되는 곳의 두께는 2 밀리미터 내지 5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머니 내벽에는 상기 공기 주머니 중심을 둘러서 배열되는 방사형 모양의 돌출 리브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공기 주머니 중심에 가까운 단면 반경이 상기 공기 주머니 중심과 멀리 떨어진 단면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진입 덕트와 공기 배출 덕트는 상단부에는 아크형 근을 구비하여 기류의 진출 공간 및 순조로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는, 상기 공기 배출구역에 대응되게 상기 상부 패드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 덕트와 연통되는 배기 홈 및 상기 상부 패드를 관통하여 배기 홈에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배기 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구역은 상기 패드 본체 뒷 부분의 함몰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기 홀 주변 둘레에는 북모양의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머니에서 상기 각 단방향 밸브에 대응되게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 내부 둘레에는 격판 홈을 설치하며, 상기 각 단방향 밸브는 격판 홈, 상기 격판 홈 내에 삽입되는 격판 및 격판에 힌지결합되는 제1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격판에는 제1 밸브 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랩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아래로 수직으로 늘어져서 상기 제1 밸브 홀의 일측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머니에서 상기 각 단방향 밸브에 대응되게 납짝한 타원형 밸브 홈을 설치하고 상기 각 밸브 홈 내부 둘레에는 납짝한 외부 슬리브를 설치하며, 상기 외부 슬리브는 측면 둘레에 중공 가이드 돌출 슬릿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한 밀폐된 단부에서는 제2 밸브 홀을 설치하고, 납짝한 타원형 밸브 내부 슬리브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밸브 내부 슬리브에서 상기 가이드 돌출 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바가 돌출 연장되어 상기 밸브 내부 슬리브가 상기 가이드 바를 통해 상기 돌출 슬릿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외부 슬리브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밸브 내부 슬리브는 일단부에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아래로 수직으로 늘어져서 상기 제2 밸브 홀을 닫도록 하는 제2 플랩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9. 공기 흡입구역과 공기 배출구역이 설치되는 패드 본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밟도록 신발 내에 넣는 통풍 신발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는 상부 패드 및 상기 상부 패드와 서로 맞추어 결합하는 하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드에는 일체로 성형되어 위로 솟아오르는 상부 공기 주머니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 패드는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에 대응하여 함몰된 하부 공기 주머니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패드와 하부 패드가 서로 맞추어 결합할 때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와 하부 공기 주머니부가 서로 맞추어 결합하여 중공 캡슐형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와 하부 공기 주머니부 내벽에는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와 하부 공기 주머니부 중심을 둘러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방사형 돌출 리브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돌출 리브에서 상기 상부 공기 주머니부와 하부 공기 주머니부 중심에 가까운 단면 반경이 상기 공기 주머니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면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패드.
KR1020127033159A 2010-05-20 2011-05-19 통풍 신발 패드 KR20130113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179357.2A CN101874663B (zh) 2010-05-20 2010-05-20 活气鞋垫
CN201010179357.2 2010-05-20
PCT/CN2011/074307 WO2011144035A1 (zh) 2010-05-20 2011-05-19 活气鞋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338A true KR20130113338A (ko) 2013-10-15

Family

ID=4301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159A KR20130113338A (ko) 2010-05-20 2011-05-19 통풍 신발 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67766A1 (ko)
EP (1) EP2572600A1 (ko)
JP (1) JP3183852U (ko)
KR (1) KR20130113338A (ko)
CN (1) CN101874663B (ko)
WO (1) WO201114403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939B1 (ko) * 2015-11-06 2017-02-24 (주) 영운산업 통풍 신발의 밸브 구조
KR20190030855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블루피치 신발 내 공기순환이 가능한 기능성 인솔
KR20230012819A (ko) * 2021-07-16 2023-01-26 서창화 공기 유입 및 배출 구조의 신발용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8756A1 (en) * 2012-09-03 2015-07-30 Rebecca Patchett Footwear Insole
US20140250722A1 (en) * 2013-03-08 2014-09-11 Chao Meng Shoes Material Company Limited Insole
US20140259750A1 (en) * 2013-03-18 2014-09-18 Torng-Haur Yeh Air-cushioned heel with breathing function
US9232830B2 (en) * 2013-09-19 2016-01-12 Nike, Inc. Ventilation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CN103462306A (zh) * 2013-09-23 2013-12-25 安金玉 半码鞋垫
CN103564962B (zh) * 2013-11-16 2016-02-17 陈玉柱 一种透气呼吸鞋
US11559103B2 (en) * 2016-07-21 2023-01-24 BootBud LLC Shoe-lifting device
CN106805370B (zh) * 2017-03-03 2018-10-30 陈韦同 一种鞋用除菌气垫
CN107280140A (zh) * 2017-08-17 2017-10-24 施小华 一种安全警示排气按摩鞋底
CN107912819A (zh) * 2018-01-05 2018-04-17 张广平 一种防汗乳胶手套
WO2020044356A1 (en) * 2018-08-30 2020-03-05 Mathew Zakariahs Air flow guided shoe for working in muddy field
CN109349739A (zh) * 2018-10-18 2019-02-19 景素玲 一种调节气流的袜垫、袜子及鞋子
CN109430995A (zh) * 2018-12-18 2019-03-08 谭炎 自动排气防臭鞋
US11564450B2 (en) 2019-01-11 2023-01-31 Boot Ba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ot comfort and style
WO2023199948A1 (ja) * 2022-04-14 2023-10-19 株式会社インフォム 換気機能付き中敷きおよび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849A (en) * 1910-07-01 1911-05-23 Joseph Chalke Fresh-air-inlet device.
US4095615A (en) * 1976-05-21 1978-06-20 Ramco Manufacturing, Inc. Check valve and siphon tube assembly employing same
CN2059546U (zh) * 1990-01-12 1990-07-25 田兆宏 排汗鞋垫
US5333397A (en) * 1993-02-12 1994-08-02 Red Wing Shoe Company, Inc. Inflatable ventilating insole
US5894687A (en) * 1997-06-18 1999-04-20 Gnan-Jang Plastics Co., Ltd. Shoe pad having massaging effect
US6510624B1 (en) * 1999-09-10 2003-01-28 Nikola Lakic Inflatable lining for footwear with protective and comfortable coatings or surrounds
DE102004038674A1 (de) * 2004-08-10 2006-02-23 Dürr, Jürgen Matte aus einem flexiblen Material
TW200624048A (en) 2005-01-05 2006-07-16 Shyang Shin Bao Ind Co Ltd Air-circulation type shoe pad
JP2006192218A (ja) * 2005-01-11 2006-07-27 Fumihiro Kato 換気機能付き靴の中敷
US7331121B2 (en) * 2005-01-19 2008-02-19 Chie-Fang Lo Inflatable shoe sole
CN2927766Y (zh) * 2006-06-30 2007-08-01 留清挺 空气循环式鞋垫
TWM312209U (en) 2006-10-24 2007-05-21 Jeng-Ping Yau Building-integrated porous supporting shoe pad
CN201039786Y (zh) * 2007-05-31 2008-03-26 青岛亨达集团有限公司 呼吸鞋垫
CN201167626Y (zh) * 2008-02-20 2008-12-24 李意军 一种排气鞋垫及鞋子
CN201754836U (zh) * 2010-05-20 2011-03-09 邹为国 活气鞋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939B1 (ko) * 2015-11-06 2017-02-24 (주) 영운산업 통풍 신발의 밸브 구조
KR20190030855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블루피치 신발 내 공기순환이 가능한 기능성 인솔
KR20230012819A (ko) * 2021-07-16 2023-01-26 서창화 공기 유입 및 배출 구조의 신발용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4663A (zh) 2010-11-03
CN101874663B (zh) 2015-09-16
US20130067766A1 (en) 2013-03-21
JP3183852U (ja) 2013-06-06
WO2011144035A1 (zh) 2011-11-24
EP2572600A1 (en)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3338A (ko) 통풍 신발 패드
US20090151203A1 (en) Ventilating shoe
US20050005473A1 (en) Self-cushion airflow shoes
CN201754836U (zh) 活气鞋垫
KR200448371Y1 (ko) 기능성 신발창
CN201831033U (zh) 活气鞋
KR20010083715A (ko) 공기 배출 신발
JP3120393U (ja) 靴底
KR200469939Y1 (ko) 피스톤 방식의 환기구조를 갖는 신발
JP3542981B2 (ja) 長靴
JP3089695U (ja) ダブル吸気孔を具えた靴構造
JP3837426B2 (ja) 靴内換気装置及び換気靴
CN214547644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高透气性运动鞋
CN210581218U (zh) 一种通风鞋底及通风透气鞋
CN217826935U (zh) 活塞式可换气鞋垫和鞋子
JP3067515U (ja) 靴内空気入替え可能な通気装置
CN212036283U (zh) 一种具有透气功能的女鞋鞋底
JP3134777U (ja) 中敷と中底でエアボックスを形成する靴底構造
CN210276124U (zh) 一种会呼吸的高弹力鞋垫
KR200412709Y1 (ko) 통풍구를 가지는 슬리퍼
KR200333446Y1 (ko) 욕실용 슬리퍼
KR200208480Y1 (ko)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깔창
JPH0424963Y2 (ko)
KR200207650Y1 (ko) 공기(空氣) 공급기능이 부설된 신발
KR20160000216U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