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914A -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914A
KR20130112914A KR1020137017297A KR20137017297A KR20130112914A KR 20130112914 A KR20130112914 A KR 20130112914A KR 1020137017297 A KR1020137017297 A KR 1020137017297A KR 20137017297 A KR20137017297 A KR 20137017297A KR 20130112914 A KR20130112914 A KR 20130112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ire
barbed wire
barri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벤 퓌루스
얀헨드릭 스트뢰어
Original Assignee
렉스가비니아 유쥐 (하프퉁스베쉬랭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가비니아 유쥐 (하프퉁스베쉬랭크트) filed Critical 렉스가비니아 유쥐 (하프퉁스베쉬랭크트)
Publication of KR2013011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8Barbed-wire obstacles; Barricades; Stanchions; Tank traps; Vehicle-impeding devices; Calt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8Barbed-wire obstacles; Barricades; Stanchions; Tank traps; Vehicle-impeding devices; Caltrops
    • F41H11/10Dispensing-apparatus therefor, e.g. devices for dispensing or reeling barbed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nc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조망은 제 1 방향(A)으로 나선형의 방식으로 압축될 수 있고, 제 2의 반대 방향(B)으로 잡아 당겨질 수 있다. 더욱이, 디바이스(100)는 안내 요소, 특히 인장 케이블(120)을 갖고, 이것은 제 1 및 제 2 방향(A, B)으로 연장하고, 제 2 방향(B)으로의 컨테이너(110)로부터 리드-형태의 요소(115) 및/또는 철조망(101)의 제 2 방향으로의 용기쪽으로의 모션을 안내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설계는 압축된 상태로 철조망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리드는 컨테이너 상에 놓인다). 동시에, 상기 설계는, 철조망이 장벽을 건설하기 위해 안내 방식으로 잡아 당겨질 때 철조망을 조절 가능하고 안전하게 라우팅할 수 있게 한다. 인장 케이블(120)은 인장 요소(121), 특히 기계적, 공압적, 또는 수합적으로 동작하는 인장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방어 와이어, 특히 전류 운반 알람 와이어 및/또는 고압 운반 와이어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인장 케이블(120)은 또한 전류를 운반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방어 와이어와 함께 전기 방어 시스템 및/또는 알람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 FOR CONSTRUCTING A BARRIER MADE OF BARBED WIRE}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면도날 철조망, 또는 소위 NATO 와이어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조망은 제 1 방향으로 나사선의 방식으로 압축될 수 있고, 제 2의 반대 방향으로 떨어지게 잡아 당겨질 수 있다.
특허 US 5 996 504 A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나사선의 방식으로 압축될 수 있고 제 2의 반대 방향으로 떨어지게 잡아 당겨질 수 있는 철조망, 특히 면도날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는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디바이스는, 철조망의 제 1 단부(본 특허에서 도 3에서 좌측 단부를 참조)가 부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방향으로 압축된 철조망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철조망의 제 2 단부(도 3에서 우측 단부를 참조)가 부착되고, 장벽을 건설하기 위해 제 2 방향으로 컨테이너로부터 멀어지게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철조망을 떨어지게 잡아 당기도록 설계되는 컨테이너에 매칭하는 리드-형태의(lid-shaped) 요소를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압축된 철조망의 절반을 수용하는 제 1 절반-셀-형태의 컨테이너로서 구현된다; 리드-형태의 요소는 압축된 철조망의 다른 절반을 수용하는 제 2 절반-셀-형태의 컨테이너로서 구현된다. 파이프의 부품은 절반-셀-형태의 컨테이너 각각 내부에 장착되고, 파이프의 상기 부품은, 파이프의 하나의 부품이 다른 부품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다(dimensioned). 충격 추진제 장전량(impact propellant charge){"충격식 뇌관(impact detonator)(28)"}은 파이프의 하나의 부품에 삽입되고, 폭발을 야기하기 위해 점화되고, 이것은 파이프의 2개의 부품을 구동하고, 이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게 2개의 절반-셀-형태의 컨테이너를 구동한다(본 특허에서 도 4를 참조). 이것은 다시 철조망이 풀려지도록 하여, 장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건설 및 폭발의 이용은 무계획성이고 또한 위험한 장벽의 건설이다. 더욱이, 이러한 알려진 해결책은 긴 장벽을 건설하는데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데, 이는 폭발의 목표로 삼는 것이(targeting)이 매우 불량하고 폭발력이 구조 자체가 파괴되거나 손상을 입도록 너무 높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특허 US 4 484 729는, 드럼-형태의 컨테이너가 철조망의 코일을 수용하는 철조망, 특히 면도날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는 디바이스를 기재한다. 컨테이너는 차량의 후미 상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한다. 차량이 이동할 때, 코일의 단부는 컨테이너로부터 잡아 당겨지고, 코일은 장벽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특허 CH 191 265는,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정사각형의 구부러진 스프링{도 2에서 스프링(5)을 참조}이 형성되고 하우징에 수용되는 랜드(land)의 영역을 차단하는 디바이스를 기재한다. 특히, 철조망의 여러 부품은 탄성의 관절형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커버가 제거될 때, 인장(tensioned) 스프링은 하우징으로부터 공수되고(flies), 상호 연결된 철조망이 장벽을 형성한다.
DE 1 933 030 A는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 나사 형태 또는 나선형 방식으로 파괴되는 철조망 테이프 유닛을 개시한다. 철조망 테이프 유닛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는 여기에 기재되지 않는다. 추가 철조망 장벽은 예를 들어 DE 601 646, DE 1 162 234 및 AT 159 161에 기재된다.
US 2009/0200415 A1으로부터,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추가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여기에 개시된 디바이스는 차량, 특히 트랙터에 부착될 수 있는 소위 운반 구조(도 3을 참조)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구조는 나선형의 방식으로 감겨진 철조망의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운반할 수 있다. 장벽을 구축하기 위해, 구조 상에 운반된 철조망이 감겨지지 않거나, 권선마다 떨어지게 잡아 당겨질 수 있도록(이 특허에서 도 11을 참조) 차량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알려진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철조망용 운송 디바이스인데, 이러한 운송 디바이스는 보호 벽 또는 장벽을 구축하기 위해 운반 구조로부터 철조망을 푸는데 적합하다. 그러므로, 여기에 개시된 디바이스는 항해가능한(navigable) 표면 상, 즉 개방된 지형 또는 시가 광장에 사용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하지만, 종종 설치부(installations)를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어 빌딩, 또는 예를 들어 선박 등과 같은 다른 설치부 상에서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 또는 보호 벽을 세울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알려진 디바이스는 이러한 유형의 이용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설치부 상에, 특히 선박 상에 사용될 수 있는 철조망, 특히 면도날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는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최상으로 가능한 조정 능력(manipulability)을 갖는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의 구축을 허용하는 디바이스가 제안된다. 더욱이, 특히 장벽을 구축하기 위해 철조망을 다룰 때 부상 위험이 가능한 한 회피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은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제안되며, 이 디바이스는, 철조망의 제 1 단부가 부착되는 컨테이너가 제공되고, 컨테이너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방향으로 압축된 철조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점에 의해 특징지어 진다. 또한 철조망의 제 2 단부가 부착되는 컨테이너에 매칭하는 리드-형태의 요소가 제공되며, 요소는, 철조망이 제 2 방향으로 컨테이너로부터 멀어지게 이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철조망이 멀어지게 잡아 당겨지도록 설계된다. 디바이스는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요소, 특히 인장 케이블 또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고, 이것은 리드-형태의 요소의 모션을 안내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그러므로 용기 및 매칭 리드 요소를 갖는 디바이스가 제안되며, 이 디바이스는 압축된 상태에서 철조망의 안전한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장벽을 건설하기 위해 안내될 때 철조망의 조정 가능하고 안전한 전개를 용이하게 한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들에 따라, 인장 요소가 인장 케이블을 인장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나선형의 방식으로 감겨진 철조망의 잡아 당겨짐 및 압축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수단이 제공되고, 이것이 예를 들어 선박과 같은 설치부 상에서, 장벽의 원하는 코스에 따라 장착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인장 요소는 기계적으로, 공압적으로, 또는 수압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드-형태의 요소는 슬라이딩 요소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요소는 리드-형태의 요소 및/또는 철조망의 모션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 요소와 협력한다. 안내 요소는 예를 들어 케이블, 특히 인장 케이블, 또는 레일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요소는 관형 요소 또는 슬라이딩 슈(sliding shoe)로서 적합하게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리드-형태의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철조망을 멀어지게 잡아 당기기 위해 빠르고 낮은 마찰력 모션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는 철조망과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해 리드-형태의 요소 상에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드럼-형태, 특히 일측부 상에서 개방되는 드럼으로서 구현되고, 리드-형태의 요소는 둥근, 접시-형태 및/또는 드럼-형태로서 구현되고, 컨테이너를 밀봉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컨테이너의 형태는 철조망의 코일형 롤에 매칭되고, 매칭 리드-형태의 요소에 의해 단단히 밀봉된다. 이것은 압축된 철조망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더욱이, 컨테이너는, 그 내부, 이에 따라 또한 그 안에 포함된 철조망이 스프레이 물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드럼-형태의 컨테이너는 압축된 철조망을 위한 운송 컨테이너가 되도록 전체적으로 간주될 수 있어서, 디바이스의 모바일 응용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컨테이너는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절반-셀-형태의 부분 컨테이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컨테이너를 개방되게 접고 이것에 철조망을 설치하는 것을 매우 간단하게 한다.
디바이스를 설치부, 예를 들어 선박의 측면 벽 상에 장착하기 위해, 컨테이너는, 바람직하게 안내 요소 또는 인장 케이블이 연장하는 제 1 홀더 상에 장착된다. 리드-형태의 요소는 다시 안내 요소 또는 인장 케이블이 연장하는 제 2 홀더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인장 케이블로서 구현되는 안내 요소는 2개의 홀더 사이에 위치하고, 이러한 2개의 홀더는 다시 예를 들어 선박의 측면 벽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홀더들은 또한 각 경우에 복수의 컨테이너 또는 복수의 리드-형태의 요소의 장착을 위해 설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철조망의 2개 이상의 잡아 당겨진 롤을 포함하는 다중 스테이지 장벽의 건설을 가능하게 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방어 와이어, 특히 전류-운반 알람 와이어 및/또는 고전압을 운반하는 와이어 또는 스트립(예를 들어 전기 펜스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방어 와이어는 공격자에 대한 추가 방어에 사용되고, 특히 경고 또는 억제(전기 충격)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디바이스는 방어 와이어를 위한 제 1 와이어 홀더, 특히 방어 와이어의 일단부에 대한 복수의 홀더 요소를 포함하는 링-형태의 와이어 홀더가 설치되고, 컨테이너 상에 장착가능하게 배치된다. 디바이스는 또한 제 2 와이어 홀더를 갖고, 이러한 제 2 와이어 홀더는 방어 와이어의 타단부 상에 부착되는 인장 케이블 상에서 변위가능하다. 또한 권선 코일이, 2개의 와이어 홀더가 모일 때 방어 와이어를 감기 위해 와이어 홀더의 하나 상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장 케이블이 전류-운반으로서 구현되고, 방어 와이어와 함께 전기 방어 시스템 및/또는 알람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컨테이너가 플로어, 특히 선박의 데크에서 하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계단과 같은 영역이 빠르게 보호되도록 한다.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소위 유로 팔릿(Euro pallets)의 치수와 같은 컨테이너의 운송을 위한 표준 치수와 같은 치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의 표준화된 크기에 따라, 2개 또는 4개의 컨테이너는 하나의 유로 팔릿 상에 운송될 수 있다.
다음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 및 그로부터 야기된 장점을 설명하고, 첨부도가 인용된다.
본 발명은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설치부 상에, 특히 선박 상에 사용될 수 있는 철조망, 특히 면도날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는 디바이스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철조망이 압축되는 제 1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컨테이너 및 후속 리드-형태의 요소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철조망이 잡아 당겨져서 장벽을 나타내는 제 2 상태에서의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접혀 개방된 상태에서 2개 부분의 형태로 컨테이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컨테이너가 선박의 데크에 해당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바이스가 철조망 또는 리드-형태의 요소에 대한 안내 요소로서 레일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다중 스테이지 또는 다중-스텝 장벽 및 선박의 측면 벽 상의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추가 알람 와이어가 설치된 장벽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추가 알람 와이어가 설치된 장벽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컨테이너 내부의 철조망의 부착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운송가능한 디바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측면 벽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 복수의 컨테이너를 위한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아래로 선회하거나 위로 선회하는 위치에서 도 13에 도시된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컨테이너가 철조망의 조합을 간략하게 하는 중심 위치 수단(centring means)을 포함하는 도 3과 유사한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예를 들어 선박의 측면 벽(140)을 따라 건설되는 장벽 또는 보호 벽을 건설하는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이 때문에, 디바이스는 나선형의 방식으로 감겨진 철조망(101) 또는 면도날 철조망을 수용한다. 디바이스느 또한 리드-형태의 요소(115)를 포함하고, 이러한 리드-형태의 요소를 통해 일측부 상에 개방되는 컨테이너(110)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115)를 갖는 컨테이너(110)는 철조망(101)을 위한 차단된 유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철조망(101) 자체는 제 1 단부(102)에 의해 컨테이너, 특히 드럼 컨테이너의 플로어 부분에 부착된다. 철조망(101)의 타단부(103)는 드럼-형태의 리드(115)에 부착된다. 따라서, 컨테이너(110)로부터 또는 그쪽으로 다시 리드-형태의 요소(115)의 모션은 철조망(110)이 편안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다시 잡아 당겨지고 압축되도록 한다. 안전히 다루기 위해, 리드(115)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117)을 포함한다.
이제 장벽을 건설하기 위해 특정 방향으로 철조망(101)을 멀어지게 잡아당기기 위해, 인장 케이블은 안내 요소(120)로서 제공되고, 이러한 안내 요소는 제 1 홀더(131)와 제 2 홀더(132) 사이에 부착된다. 홀더들은 다시 선박의 측면 벽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은 측면 벽에 평행하게 간단하고 빠르게 건설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장착 요소(111)에 의해 제 1 홀더(131) 상에 장착되고, 리드-형태의 요소(115)는 슬라이딩 요소(116)에 의해 인장 케이블(120)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리드(115)가 컨테이너(110)로부터 제거되고, 방향(B)으로 이동하면, 리드(115)는 거기에 부착하기 위해(도 3을 참조) 인장 케이블(120)을 따라 제 2 홀더(132)만큼 멀리 안내된다. 이것은, 인장 케이블의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장벽이 건설되도록 간단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철조망이 잡아 당겨지도록 한다. 인장 케이블은 수미터, 예를 들어 10 내지 50미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양호하게 다루기 위해, 컨테이너(110)는 핸들(112)을 포함하고, 핸들을 통해 컨테이너는 홀더로부터 장착 해제될 때 운반될 수 있다. 리드-형태의 요소(115)는 다시 적어도 하나의 핸들(117)을 포함하고, 이 핸들을 통해 리드는 부상 위험 없이 철조망을 멀어지게 잡아 당길 수 있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사전에 건설된 장벽의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이것이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115)는 제 2 홀더(132)만큼 멀리 인장 케이블(120)을 따라 이동되고, 예를 들어 코터 핀(cotter pin), 트렁크 잠금쇠(trunk lock) 등에 의해 이 위치에서 잠겨진다; 패드락(padlock) 등에 의한 추가 고정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부(fixing)(102 및 103)로 인해, 철조망(101)은 또한 방향(B)으로 잡아 당겨져서, 이제 인장 케이블(1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장벽을 나타낸다. 인장 케이블을 따라 안내를 개선하기 위해, 인장 요소(121)가 또한 제공된다. 도 3은 건설된 장벽의 간략한 도면을 도시하고, 장벽의 전체 길이가 쉽게 수미터, 예를 들어 10 내지 50미터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도 4a 및 도 4b가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자체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절반-셀-형태의 부분 컨테이너(110a 및 110b)로 구성된다. 이것은, 드럼-형태의 컨테이너(110)(도 2a 및 도 2b를 참조)가 철조망(101)이 설치되기 위해 쉽게 개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벽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컨테이너(110)는 제 1 홀더(131) 상에 장착된다(도 1을 참조). 그런 후에, 컨테이너의 상부 절반 셀(110a)이 개방되어, 철조망(101)으로 만들어진 압축된 나선형이 하부 절반 셀(110b)(도 4a 및 도 4b 참조)에 도입될 수 있다. 그런 후에, 제 1 홀더(131)와 제 2 홀더(132) 사이의 인장 케이블(120)은 측면 벽 또는 선박의 레일에 평행하게 조여진다(도 1 및 도 3 참조). 컨테이너의 상부 절반 셀(110)은 다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리드-형태의 요소(115)가 컨테이너 상에 위치되고 상기 컨테이너를 차단하는 것을 보장한다(도 4a 및 도 4b 참조). 컨테이너(110)는 또한 사전에 철조망(101)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각 경우에, 디바이스는 빠른 건설을 위해 장벽을 사용할 준비가 항상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알람의 경우에,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은, 사용자가 리드(115)의 핸들(117) 상에 잡아 당기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에 위치한 철조망의 롤을 잡아 당긴다는 점에서(도 3을 참조) 매우 빠르게 인장 케이블(120)을 따라 잡아 당겨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리드(115)는 제 2 홀더(132) 상에 장착된다. 이것은, 케이블(1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장벽이 간단하고 안전하게 건설되도록 한다. 제안된 건설로 인해, 사용자는 장벽의 건설 동안 철조망(101)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서, 부상 위험을 크게 감소시킨다. 컨테이너는 또한 예를 들어 스프레이 물 또는 바닷물과 같은 외부 영향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컨테이너(110)는 또한 모바일 유닛으로서 운송될 수 있고, 고정될 설치부, 특히 선박 상의 임의의 지점에 장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그러한 디바이스의 이용은 완전한 설치가 모든 점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된 발명은 특히 선박 상의 이용이 해적의 공격 등에 대해 보호하는데 적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는 컨테이너가 선박의 데크에 하강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에서의 컨테이너(110')는, 플로어에서, 여기서 선박(D)의 데크에 완전히 하강하거나 통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리드(115')는 컨테이너(110')로서 작용하고, 이에 따라 선박(D)의 데크의 부분을 형성한다. 컨테이너(110')는 와이어(101')의 하나 이상의 압축된 롤을 포함한다(도 5a를 참조). 와이어의 각 롤의 일단부(102')는 컨테이너의 플로어에 연결된다; 타단부(103')는 리드(115')에 연결된다.
리드(115')가 이제 컨테이너(110')로부터 제거되면(도 5b를 참조), 와이어(110')의 롤은 동시에 잡아 당겨지고, 대상, 여기서 계단(T)을 보호하도록 즉시 사용될 수 있다. 리드(115')가 하나 이상의 핸들(117')을 포함하기 때문에, 와이어의 롤은 예를 들어 여기서 계단(T)의 상단부에 대한 방향(B)으로, 사용자의 어떠한 부상 위험 없이 장벽을 형성하도록 잡아 당겨질 수 있다.
제안된 디바이스의 컨테이너(도 1 내지 도 4a/b 및 도 5a/b로부터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는 특히 컨테이너가 표준 운송 팔릿(pallets) 상에서 운송되도록 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운송을 위한 표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의 플로어 면적은 800mm x 600mm로 측정되어, 2개의 컨테이너는 유로 팔릿 상에서 운송될 수 있다. 이것은 본래 위치에서의 디바이스의 운송, 보관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도 6은, 디바이스가 철조망 또는 리드-형태의 요소를 위한 안내 요소로서 작용하는 레일(12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레일(120*)은 지상, 예를 들어 도로 상에서 전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파이어링 볼트(firing bolts)로 지상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의 프로파일에 매칭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슈(116*)는 레일(120*)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도시된 예에서, 레일(116*)은 T-프로파일을 갖고, 슬라이딩 슈(116*)는 프로파일에서 맞물리는 클램프-형태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슬라이딩 슈(116*)는 사전 규정된 간격을 갖는 철조망에 연결된다. 이것은,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이 (이전에 놓인) 레일을 따라 매우 빠르게 건설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딩 슈를 리드(115')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5b를 참조); 하지만, 이것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아니다.
철조망이 레일(120*)을 따라 잡아 당겨졌으면, 슬라이딩 슈(116*)는 레일(120*) 상의 각 위치에 고정되거나 잠겨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가 제공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나사, 잠금 핸들 등과 같은 예를 들어 기계적 브레이싱(bracing) 및/또는 나사 요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예에서, 탄성 및 팽창가능한 공압식 호스(PS)(대안적으로 수압 호스)는 레일(120*)에 부착된다. 호스(PS)를 펌핑하는 것은, 레일(120*)과 슬라이딩 슈(116*) 사이에 위치한 호스가 레일 및 각 슬라이딩 슈에 대해 팽창하고 프레스되도록 하여, 모든 슬라이딩 슈의 빠르고 동시적인 잠금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다중 스테이지 또는 다중-스텝의 장벽의 건설 및 선박의 측면 벽 상의 장착을 도시한다. 장벽은 각 경우에 측면 벽(140)에 평행하게 잡아 당겨지는 철조망의 3개 부품(101, 101' 및 101")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각 경우에 3개의 용기(110 내지 110") 및 3개의 리드(115 내지 115")(도 7a를 참조)를 장착하기 위한 홀더(131* 및 132*)가 제공된다. 홀더는 선박의 측면 벽(140) 상의 레일 배치(railing) 아래에 장착되고, 3개의 평행한 안내 케이블을 약 10m의 길이로 신장시킨다. 그러므로, 철조망(101 내지 101")의 부품이 이 길이로 잡아 당겨질 때, 다중-스텝의 장벽이 형성된다. 장벽은 또한 알람 또는 경고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 이것은 다음 예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추가 알람 와이어(160)가 설치된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홀더(131 및 132) 및 컨테이너(110) 및 리드(115)는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응한다. 리드가 명백하게 컨테이너-형태이기 때문에, 이들은 컨테이너로 또한 언급된다. 각 경우에, 2개의 컨테이너는 함께 설치될 수 있다(도 8b). 2개의 컨테이너(110 및 115)가 안내 케이블(120)을 따라 잡아 당겨질 때(도 8a), 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알람 와이어(160)의 장치가 신장된다(도 8a를 참조; 철조망 자체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음). 알람 와이어(160) 및 철조망 및/또는 안내 케이블(120)은 전류-운반 또는 전압-운반될 수 있어서, 알람 와이어(160)와 철조망 또는 안내 케이블(120) 사이의 접촉은 알람을 개시하는 알람 회로를 차단한다. 대안적으로, 알람 와이어는 또한 예를 들어 전기 펜스를 위해 알려진 것과 같은 고압을 운반하는 와이어 또는 스트립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결과는, 연장되지 않은 철조망에서도, 고전압 운반 와이어로 만들어진 장벽이 공격자를 저지하도록 남아있다. 그러므로, 알람 와이어 및 고전압 운반 와이어는 또한 방어 와이어로 언급될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어 와이어(160)는, 와이어 홀더 및 권선 코일이 여기에 배치되는 컨테이너에 통합되게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컨테이너(110 및 115)가 함께 결합될 때, 방어 와이어는 잡아 당겨지고,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감겨진 상태로 위치된다.
도 9는 추가 방어 와이어가 설치된 장벽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때문에, 장벽을 건설하는 디바이스(도 1 참조)는 방어 와이어(160)(컨테이너의 외부)를 연장하는데 사용되는 추가 링(150 및 155)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링(150)은 컨테이너(110) 주위에 위치하고, 이에 부착된다; 제 2 링(155)이 리드(115)에 부착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그렇지 않고, 안내 케이블(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제 2 링(155)은 파이프의 부품의 형태인 안내 요소(156)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안내 케이블(120)은 연장하고, 제 2 홀더(13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건설은 제 2 링(155)이 리드(115)와 독립적으로 안내되도록 하고, 홀더(132)에 부착되도록 하여, 그러므로 철조망의 잡아 당겨짐과 독립적으로 방어 와이어(160)를 클랭핑하고, 이에 따라 방어 와이어의 장벽을 건설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10a 및 도 10b는 링(15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링은 각 경우에 방어 와이어 중 하나가 부착 및/또는 안내(컨테이너 외부, 및 그 안에 위치된 철조망)될 수 있는 6개의 홀더 요소(151)를 갖는다. 특히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은 또한 여러 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링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링 세그먼트는 컨테이너 [상에] 놓이고, 함께 결합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조여진다. 링 부분 또는 링 세그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 요소(153)는 힌지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또한 컨테이너 상에 링(150)을 클램프하는 작용을 한다. 방어 와이어를 위한 홀더 요소(151)(또한 도 9를 참조)는 또한 권선 코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이것은 링(150 및 155)이 모일 때(도 9를 참조) 방어 와이어가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한다. 설치된 방어 와이어는 전류를 운반하거나 고압(전기 펜스)에 노출된 와이어 또는 스트립일 수 있다. 추가 방어 와이어는 독립 펜스 시스템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자가-조절 전기-펜스 디바이스 또는 발전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펄스 에너지를 환경(펜스의 길이, 접지 용량 등)에 적응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사이렌 알람, 신호 발신 램프, 알람 통보 등과 같은 알람 기능을 통합시킬 수 있다. 전원은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에 의해,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에 의해, 또는 배의 갑판 전원 시스템으로의 연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태양광 호일(박막, CIGS, CIS)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 호일들을 컨테이너 등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방어 와이어가 절단되었는 지를(전기 펜스 루프) 인식하는 검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슬라이딩 요소(116)(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 상에 컨테이너의 내부에 장착된 다중-부분 고정 디바이스(B)에 의해 컨테이너(110) 내부로의 철조망(101)의 고정을 도시한다. 고정 디바이스(B)는 실질적으로 중간 부품을 포함하고, 이러한 중간 부품 상에 복수의 알람 요소(B1, B2 및 B3)가 부착되고, 컨테이너(110)의 중간으로부터 에지(A)로 연장한다. 철조망(101)을 고정시키는 고정 요소(BK)는 각 아암 요소(B1, B2, 또는 B3)의 단부에 제공된다. 고정 요소는 예를 들어, 각 아암 요소의 단부 상에서 보어(bore)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 또는 브라킷의 부품일 수 있다. 중간 부품은 관형 슬라이딩 요소(116) 상의 삽입을 위한 구멍 또는 보어가 제공된 금속 플레이트의 형태이다. 중간 부품은 잠금 너트(lock nut)(횡방향 나사 핀)를 갖는 고정 링(BM)으로 장착된다. 고정 디바이스(B)는 또한 잡아당겨진 철조망을 따라 여러 번 사용될 수 있어서, 철조망을 섹션 별로(와이어 나선형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하고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 디바이스는 인장 케이블 상에서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어서, 와이어 나선형이 잡아 당겨질 때 뒤따르게 된다. 각 고정 디바이스는 와이어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한다.
도 12는 장벽을 건설하는 운송가능한 디바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컨테이너(110)를 포함하고, 리드(115) 및 와이어는 그 안에 위치한다. 여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랙(RG)의 형태인 프레임 구조물은 디바이스를 지지하고, 어디서든 설치될 수 있다. 랙(G)은 2개의 부분 또는 다중 부분 격자 튜브 프레임(예를 들어 함께 결합된 2개 부분 랙)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컨테이너(110)는 일측부(부분 랙)에 부착되고, 리드(115)는 타측부에 부착된다. 컨테이너 및 리드는 또한 2개의 절반-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랩은 예를 들어 볼트 파이어링(bol firing) 공구 등의 도움으로 기반(접지 앵커)에 연결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양쪽 부분 랙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3은 측명 벽 상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복수의 컨테이너(110, 110' 및 110")를 위한 홀더(131*)를 도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다중 스테이지 장벽(도 7a/b를 참조)을 건설하는데 사용되고, 측면 벽(140) 또는 선박의 레일 배치 상에 매우 빠르게 장착될 수 있다. 홀더(131*)는 특히 레버(HB)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레버는 홀더(131*) 자체에 장착가능하고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레버(HB)는 용기(HB')에 변위가능하게 수용된다. 안전 바(ST)는 이 장치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 안전 바(ST')는 측면 벽(140)에 대한 기계적 타격(예를 들어 강력한 파장 작용의 경우에)에 대항하여 그리고 파괴 행위(sabotage)에 대항하여 장치를 고정시킨다. 이것은 체인, 파이프 클립 등을 이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도 14a는 아래로 선회된 위치, 즉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위치에서 도 13에 도시된 홀더(131*) 또는 전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b는 위로 선회된 위치, 즉 유지 보수, 수리 및 컨테이너에 철조망 및/또는 알람 와이어를 설치하는데 적합한 위치에서 홀더(131*) 또는 전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3과 유사한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컨테이너(110)는 원뿔형 내장 요소의 형태인 중심 위치 수단(ZT)을 포함하고, 이것은 철조망(101)의 조립을 간략하게 한다. 이것은 중심 위치 수단(ZT)이 철조망의 압축시 중심 위치 기능을 수행한다.

Claims (16)

  1. 철조망(101), 특히 면도날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100)로서, 상기 철조망은 제 1 방향(A)으로 나선형의 방식으로 압축될 수 있고, 제 2의 반대 방향(B)으로 떨어지게 잡아 당겨질 수 있고, 디바이스는, 철조망(101)의 제 1 단부(102)가 부착되고 제 1 방향(A)으로 압축된 철조망(101)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컨테이너(110)를 포함하고, 디바이스는, 철조망(101)의 제 2 단부(103)가 부착되고 장벽을 건설하기 위해 요소(115)를 제 2 방향(B)으로 컨테이너(1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으로써 철조망(101)을 떨어지게 잡아 당기도록 설계되는 컨테이너(110)를 매칭하는 리드-형태의 요소(115)를 포함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안내 요소, 특히 인장(tensioning) 케이블(120)을 포함하고, 안내 요소는 제 1 및 제 2 방향(A, B)으로 연장하고, 제 2 방향(B)으로의 컨테이너(110)로부터 리드-형태의 요소(115) 및/또는 철조망(101)의 다른 방향으로의 컨테이너쪽으로의 모션을 안내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인장 케이블(120)을 인장시키기 위해 인장 요소(121), 특히 기계적, 공압적 또는 수압적으로 동작된 인장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리드-형태의 요소(115) 또는 철조망(101)은 슬라이딩 요소(116)를 포함하는데, 슬라이딩 요소(116)는 제 2 방향(B)으로의 컨테이너(110)로부터 리드-형태의 요소(115)의 반대 방향으로의 컨테이너쪽으로의 모션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 요소(120)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드-형태의 요소(115)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드럼-형태, 특히 일측부 상에서 개방되는 둥근 드럼(110)으로서 구현되고, 리드-형태의 요소(115)는 둥근, 접시-형태 및/또는 드럼-형태로서 구현되고, 컨테이너(110)를 밀봉하도록 설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110)는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절반-셀-형태의 부분 컨테이너(110A, 110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110)는 제 1 홀더(130) 상에 장착되고, 안내 요소, 특히 인장 요소(120)는 제 1 홀더(130)로부터 연장하고, 리드-형태의 요소(115)는 제 2 홀더(131)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안내 요소, 특히 인장 케이블(120)은 제 2 홀더(131)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 6항에 있어서, 홀더(131, 132; 131*)는 특히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선박의 측면 벽(140) 상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홀더(131*, 132*)는 각 경우에 복수의 컨테이너(110-110") 또는 리드-형태의 요소(115-115')를 장착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방어 와이어(160), 특히 전류 운반 알람 와이어 및/또는 고전압을 운반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방어 와이어(160)를 위한 제 1 와이어 홀더, 특히 복수의 홀더 요소(151)를 포함하는 링-형태의 와이어 홀더(150)를 포함하고, 컨테이너(110) 상에 장착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인장 케이블(120) 상에서 변위가능한 방어 와이어(160)를 위한 제 2 와이어 홀더(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 케이블(120)은 전류 운반으로서 구현되고, 방어 와이어와 함께 전기 방어 및/또는 알람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14. 제 3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는 플로어 상에 놓일 수 있는 레일(120*)이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요소는, 레일(120*)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철조망(101') 또는 리드-형태의 요소(115')에 연결될 수 있는 슬라이딩 슈(sliding shoe)(1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 특히 팽창가능한 공압 호스(PS)는 슬라이딩 슈를 잠그기 위해 레일(120*)과 슬라이딩 슈(116*) 사이에서 작용하도록 레일(12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110)는 철조망(101)의 압축시 중심 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중심 위치(centring) 수단, 특히 원뿔형 내장 요소(Z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37017297A 2011-01-04 2012-01-03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30112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000006.0 2011-01-04
DE202011000006U DE202011000006U1 (de) 2011-01-04 2011-01-04 Vorrichtung zum Aufbau einer Barriere aus Stacheldraht
PCT/EP2012/050050 WO2012093118A1 (de) 2011-01-04 2012-01-03 Vorrichtung zum aufbau einer barriere aus stacheldra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914A true KR20130112914A (ko) 2013-10-14

Family

ID=4379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297A KR20130112914A (ko) 2011-01-04 2012-01-03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30327666A1 (ko)
EP (1) EP2661602B1 (ko)
JP (1) JP5715265B2 (ko)
KR (1) KR20130112914A (ko)
CN (1) CN103415753B (ko)
AU (1) AU2012204937A1 (ko)
BR (1) BR112013017153A2 (ko)
CA (1) CA2823490A1 (ko)
DE (1) DE202011000006U1 (ko)
RU (1) RU2554725C2 (ko)
SG (1) SG191843A1 (ko)
WO (1) WO2012093118A1 (ko)
ZA (1) ZA2013049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5531B2 (ja) * 2013-01-15 2016-10-12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用侵入防止具
US11447973B2 (en) 2019-04-08 2022-09-20 Allied Tube & Conduit Corporation Portable razor wire rapid deployment uni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7331A (en) * 1915-07-20 1917-11-20 Joseph A Steinmetz Projectile.
DE601636C (de) 1932-06-28 1934-08-21 Wilh Mueller Fa Hindernis aus Stacheldraht in Gestalt einer ausziehbaren, walzenfoermigen Drahtschraube
CH179142A (de) * 1935-01-09 1935-08-31 Dietrich Jakob Vorrichtung zur raschen Erstellung von Hindernissen vor einem Feind.
CH191265A (de) 1937-02-03 1937-06-15 Hoch Ernst Einrichtung zum Absperren von Geländeteilen.
DE725255C (de) * 1937-05-04 1942-09-17 Felten & Guilleaume Ag Oester Auseinanderziehbares bzw. zusammenschiebbares walzenfoermiges Hindernis
US2959399A (en) * 1957-10-01 1960-11-08 Establecimientos Metalurgicos Barbed wire
BE633693A (ko) 1962-07-14
US3379386A (en) * 1966-07-15 1968-04-23 Melbourne W. Bobolts Device for dispensing twisted barbed tape
US3463455A (en) * 1968-07-01 1969-08-26 Physics Technology Labs Inc Helical barbed tape unit
US4484729A (en) * 1982-01-18 1984-11-27 Man Barrier Corporation Barrier coil dispenser
US4571578A (en) * 1983-04-19 1986-02-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Intrusion barrier and detection apparatus
US4602764A (en) * 1985-07-01 1986-07-29 Cacicedo Paulino A Barrier apparatus
US5072980A (en) * 1990-08-20 1991-12-17 Mrm Security Systems, Inc. Helical barbed tape recovery tool
US5156112A (en) * 1991-09-05 1992-10-20 Brown J Edward Squirrel resistant bird feeder
US5387197A (en) 1993-02-25 1995-02-07 Ethicon, Inc. Trocar safety shield locking mechanism
US5996504A (en) * 1997-07-07 1999-12-07 Lowery; Samuel R. Barbed wire deployment apparatus
JPH11223049A (ja) * 1998-02-05 1999-08-17 Hitachi Zosen Corp 鉄条網とその鉄条網の敷設方法及び敷設装置
WO2004065227A2 (en) * 2003-01-16 2004-08-05 Valspar Sourcing, Inc. Resealable containers having internal roller surface
US7290756B2 (en) * 2004-07-19 2007-11-06 Pavlov Michael V Concertina tape products configured for stable deployment and retrieval
US7325787B1 (en) * 2004-11-01 2008-02-05 Gibbs Edward L Barrier
RU2278198C1 (ru) * 2004-11-23 2006-06-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ираса" Заградитель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а
CN2909154Y (zh) * 2005-08-03 2007-06-06 连文平 段接式电子刮刀围篱
WO2009025679A1 (en) * 2007-08-17 2009-02-26 Albritton Samuel H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razor wire
US8197173B2 (en) 2008-02-10 2012-06-12 Ofir Pessach Concertina-wire barrier rapid deployment apparatus and method
CN201214915Y (zh) * 2008-06-06 2009-04-01 杨进争 警用快速防暴阻隔装置
ZA201201548B (en) * 2011-04-20 2012-10-31 Birmingham Barbed Tape Ltd Barrier coll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1602B1 (de) 2014-06-11
JP2014504713A (ja) 2014-02-24
ZA201304907B (en) 2014-03-26
WO2012093118A1 (de) 2012-07-12
JP5715265B2 (ja) 2015-05-07
DE202011000006U1 (de) 2011-03-17
RU2554725C2 (ru) 2015-06-27
BR112013017153A2 (pt) 2016-09-20
SG191843A1 (en) 2013-08-30
CA2823490A1 (en) 2012-07-12
CN103415753A (zh) 2013-11-27
EP2661602A1 (de) 2013-11-13
RU2013136342A (ru) 2015-02-10
US20130327666A1 (en) 2013-12-12
AU2012204937A1 (en) 2013-07-18
CN103415753B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361B2 (en) Security barrier
US10763657B2 (en)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80017008A (ko) 확장가능한 안전 룸
KR20140004705A (ko) 모든 측면이 폐쇄될 수 있는 해양 컨테이너
IL180593A (en) Anti-vehicle security system
US10458133B2 (en) Perimeter warning system
KR20130112914A (ko)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디바이스
US20110227016A1 (en) Gate for marine optic fiber security fence
JP6653019B2 (ja) 海洋浮揚装置
RU2554371C2 (ru) Взрывоустойчивое перемы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7790995B2 (en) Break away base for electrical device
US20180212414A1 (en)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3051946A1 (en) Spring loaded anti piracy fence
CA2937712A1 (en) Pressure test cell
CA2251102A1 (en) Means for the temporary detainment of a wrongdoer
JP6942086B2 (ja) 仮設防護壁および仮設防護壁の構築方法
US10535238B2 (en) Barbed tape and security sensor assembly
US20130318886A1 (en) Deployable Structure Shield
WO2019190458A1 (en)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153088A1 (en) Containment device comprising a dry curtain
US9791245B1 (en) Building protection barrier system
WO2015042653A1 (en) A deployable shield system
CN202630796U (zh) 一种防抢器
IT202100024857A1 (it) Sistema di protezione contro l'asporto di contenuto da un vano, e veicolo equipaggiato con detto sistema
FR2796455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sites contre les frappes de l'av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