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329A - 원터치 클램프 - Google Patents

원터치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329A
KR20130112329A KR1020120034604A KR20120034604A KR20130112329A KR 20130112329 A KR20130112329 A KR 20130112329A KR 1020120034604 A KR1020120034604 A KR 1020120034604A KR 20120034604 A KR20120034604 A KR 20120034604A KR 20130112329 A KR20130112329 A KR 20130112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 body
hose
ear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212B1 (ko
Inventor
조청용
김진우
김명훈
박규동
배영진
Original Assignee
(주)동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금속 filed Critical (주)동아금속
Priority to KR102012003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21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를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으면서 호스 노화에 따른 보정을 통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호스 분리시에는 도구를 이용하여 호스클램프를 손상 없이 분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을 가지면서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판상소재를 원형상으로 밴딩하여 형성하는 클램프바디와, 상기 클램프바디의 우측단 중심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를 수용하도록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에 요입되게 형성하는 돌기홈과, 상기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여 호스 노화로 직경 축소시 단속력을 더 부여하여 유체 누출을 방지하는 보정부와, 상기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하여 클램프바디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하여 직경을 축소시켜 호스를 단속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원터치 클램프{HOSE CLAMP}
본 발명은 원터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를 연결하는 데 적용하여 원터치 타입으로 체결과 분리를 통하여 연속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특히 직경이 10㎜ 이하인 소직경의 호스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원터치 클램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 클램프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나, 에어컨시스템, 파워스티어링 및 엔진룸에 유체나 기체를 유통시킬 수 있도록 사용되는 호스나, 기타 산업현장에서 유체나 기체의 유통을 위하여 파이프 또는 연결관체의 외면에 결합 되는 호스를 단속하여 이탈현상 등이 없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호스클램프는 직경이 10㎜ 이하의 소직경 호스를 단속하기 위한 클램프와 10㎜ 이상의 중직경 및 대직경의 호스를 단속하기 위한 클램프로 구분되어 진다.
중,대직경용 호스를 단속하기 위한 클램프는 단속과 해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호스의 직경이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 노후로 인한 호스의 직경이 축소되더라도 보정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원터치 클램프의 대표적인 구성을 도 8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호스클램프(1)는 탄성을 가지는 판상부재의 양단부가 서로 겹치게 인너밴드(2)와 아웃밴드(3)를 가지는 원형상의 밴드(4)를 형성한다.
상기 인너밴드(2)의 끝단에는 폭이 축소되어 돌출되는 수가이드(5)를 형성하여 밴드(4)에 형성되는 암가이드(6)와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아웃밴드(3)의 끝단에는 다수개의 후크홀(7)을 형성하여 밴드(4)에 형성되는 후크(8)와 결합 되도록 한다.
상기 인너밴드(2)와 아웃밴드(3)가 겹치는 부위 중간위치에는 클램핑 도구 또는 치구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밴드(4)의 직경을 축소시켜 클램핑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이어(10)를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호스클램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집게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이어를 잡고 강하게 눌러줌으로써 이어의 폭이 줄어들게 되면서 밴드의 직경이 축소되므로 호스를 단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호스를 단속할 때에는 이어를 변형시키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도구가 정확하게 이어를 가압하지 않을 경우에는 불균형적인 형상으로 이어가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와 같이 이어가 어느 한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불균형적인 형상으로 변형이 있을 경우에는 밴드의 직경이 정원형태로 축소되지 못하고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된 상태로 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불균형적인 변형이 있을 경우에는 단속 대상물인 호스에 균일한 힘이 전도되지 못하고 편중되어 늘어나거나 수축되는 변형과 변형으로 인하여 쉽게 손상되는 것은 물론, 호스가 이어 내부에 끼여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유체 또는 기체의 누설로 인한 안전사고는 물론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호스를 체결하기 위하여 이어를 변형시킨 후에는 호스와 연결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클램프를 해제하여야 하는 데, 한번 변형된 이어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게 되므로 호스와 연결구를 분리할 때마다 새로운 클램프를 사용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 번 사용된 호스클램프를 분리하는 데에도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호스클램프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호스가 손상될 수 있는 우려가 높기 때문에 재사용이 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호스를 단속하는 과정에서 장기간이 지속 되거나, 호스를 유통하는 유체의 특성에 의하여 단기간에도 쉽게 호스의 노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호스의 노화로 인하여 호스의 직경이 줄어들 경우에는 직경이 줄어든 만큼 호스클램프가 단속력을 더 발생하여 보상하지 못하게 되므로 호스를 연결하는 부위가 느슨하게 되어 유체의 누출을 야기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탄성을 가지면서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판상소재를 원형상으로 밴딩하여 형성하는 클램프바디와, 상기 클램프바디의 우측단 중심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를 수용하도록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에 요입되게 형성하는 돌기홈과, 상기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여 호스 노화로 직경 축소시 단속력을 더 부여하여 유체 누출을 방지하는 보정부와, 상기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하여 클램프바디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하여 직경을 축소시켜 호스를 단속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하여,
호스를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으면서 호스 노화에 따른 보정을 통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호스 분리시에는 도구를 이용하여 호스클램프를 손상 없이 분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소직경의 호스를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도록 호스클램프를 개선하여 단속력의 향상시키면서 호스 외주면 전체에 고른 단속력을 제공하여 단속 과정에소 호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호스 노화에 따르는 보정기능의 추가로 호스클램프의 품질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1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2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3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4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5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6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1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2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3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4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5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터치 클램프의 6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원터치 클램프(100)는, 탄성을 가지면서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판상소재를 원형상으로 밴딩하여 클램프바디(101)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단(102)과 우측단(103)은 소정의 길이로 겹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우측단(103) 중심에는 가이드돌기(104)를 돌출시켜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부에 요입되게 형성하는 돌기홈(105)과 결합 되어 클램프바디(101)의 내경부가 진원상태를 유지하여 단속되는 호스가 끼이는 현상이 없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부에는 반원형상의 보정부(106)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여 호스 노화로 직경이 축소될 경우 단속력을 더 부여하여 연결부위를 통하여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클램프바디(101)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할 수 있는 단속수단(11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단속수단(110)은,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도구를 이용하여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어(111)와, 상기 이어(111)에 의하여 클램프바디(101)의 직경이 축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자웅(雌雄)체로 구비하는 클램프(112)로 구성한다.
상기 이어(111)는,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부에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좌측이어(113)와 우측부에 클램프바디(101)를 절곡시켜 형성하는 우측이어(114)로 구성한다.
상기 좌측이어(113)는 프레싱에 의하여 클램프바디(101)의 폭 방향 양측에 세워지는 서포터(115)의 상측에 슬라브(116)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좌측이어(113)의 슬라브(116) 좌측단(우측이어 반대방향)에는 사용을 위하여 결합한 도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돌기(117)를 일체로 돌출시킨다.
상기 우측이어(114)는 클램프바디(101)를 절곡하여 형성할 때 도구가 결합 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구의 힘을 클램프바디(101)로 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우측(좌측이어 반대방향)으로 절곡 또는 라운딩 형태로 휘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112)의 1 예로서는,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단(102)에 일체로 형성하는 걸림훅(120)과, 우측이어(114)의 좌측위치에 프레싱으로 클램프바디(101)와 일체로 형성하여 돌출시키는 걸림돌기(121)로 구성한다.
상기 걸림훅(120)에는 걸림돌기(121)와 걸림 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121)의 폭과 동일한 유동방지홈(121-1)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이 적용된 본 발명의 원터치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호스를 단속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클램프바디(101)의 탄성에 의하여 단속하고자 하는 호스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유지하여 개방된 상태(클램프가 단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호스에 호스클램프(100)를 결합하여 호스를 대상체와 결합한 후 호스클램프(100)를 단속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호스를 단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집게와 같은 도구를 벌려서 이어(111)를 구성하는 좌,우측이어(113,114)에 결합시킨 후 클램프바디(101)의 직경을 축소시키고, 클램프(112)에 의하여 직경이 축소된 상태를 지속하도록 함으로서 완료된다.
또한, 호스를 단속하고 있는 과정에서 호스의 노화가 발생할 경우에는 클램프바디(101)에 더 구비하는 보정부(106)가 호스를 단속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상태에서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에 의하여 호스의 직경이 축소된 만큼 더 조여서 단속하여 유체의 누출현상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112)에 의하여 클램프바디(101)의 직경을 축소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걸림훅(120)이 걸림돌기(121)와 서로 걸림 되므로 클램프바디(101)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112)의 2 예로서는,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단(102) 위치에 단속홀(122)을 형성하고, 우측이어(114)의 좌측위치에 프레싱에 의하여 클램프바디(101)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23)를 형성하여 서로 걸림 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클램프(112)의 3 예로서는, 좌측이어(113)를 구성할 때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홀(124)과 우측이어(114)의 좌측위치에 프레싱에 의하여 클램프바디(101)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25)를 형성하여 서로 걸림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클램프(112)의 4 예로서는, 클램프바디(101)의 좌측단(102)에 클램프바디(10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하는 소폭부(126)를 형성하고, 상기 소폭부(126)의 중앙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슬로트(127)를 형성하고, 상기 소폭부(126)의 선단 양측에는 진입부(우측이어 방향)는 폭을 좁게 한 걸림편(128)을 형성한 웅체돌기(129)를 형성하고, 상기 우측이어(114)에는 웅체돌기(129)가 걸림될 수 있는 자체홀(13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램프(112)의 5 예로서는, 상기 웅체돌기(129)를 호스의 직경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소폭부(126)의 양측에 걸림편(128)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소폭부(126)의 선단은 자체홀(130)보다 작게 형성하여 진입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슬로트(127)는 개방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램프(112)의 6 예로서는, 웅체돌기(129)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편(128)을 상향 절곡시켜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소직경의 호스를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으면서 호스 노화에 따른 보정을 통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호스 분리시에는 도구를 이용하여 호스클램프를 손상 없이 분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호스클램프
101; 클램프바디
106; 보정부
111; 이어
112; 클램프
113; 좌측이어
114; 우측이어
120; 걸림훅
121; 걸림돌기

Claims (9)

  1. 탄성을 가지면서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판상소재를 원형상으로 밴딩하여 형성하는 클램프바디와;
    상기 클램프바디의 우측단 중심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를 수용하도록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에 요입되게 형성하는 돌기홈과;
    상기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여 호스 노화로 직경 축소시 단속력을 더 부여하여 유체 누출을 방지하는 보정부와;
    상기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하여 클램프바디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하여 직경을 축소시켜 호스를 단속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도구를 이용하여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어와;
    상기 이어에 의하여 클램프바디의 직경이 축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자웅(雌雄)체의 클램프로 구성하고;
    상기 이어는, 클램프바디의 좌측부에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좌측이어와 우측부에 클램프바디를 절곡시켜 형성하는 우측이어로 구성하고;
    상기 좌측이어는 프레싱에 의하여 클램프바디의 폭 방향 양측에 세워지는 서포터 상측에 슬라브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브 좌측단에 도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이어는 클램프바디를 절곡하여 형성할 때 도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구의 힘을 클램프바디로 전달할 수 있도록 우측으로 휘어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바디의 좌측단에 일체로 형성하는 걸림훅과;
    우측이어의 좌측위치에 프레싱으로 클램프바디와 일체로 형성하여 돌출시키는 걸림돌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바디의 좌측단 위치에 형성하는 단속홀과;
    우측이어 좌측위치에 프레싱에 의하여 클램프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좌측이어를 구성할 때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홀과;
    우측이어의 좌측위치에 프레싱에 의하여 클램프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바디의 좌측단에 클램프바디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하는 소폭부와, 상기 소폭부의 중앙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슬로트와, 상기 소폭부의 선단 양측에 형성하는 걸림편으로 구성하는 웅체돌기와;
    우측이어에는 웅체돌기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하는 자체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훅에는 걸림돌기와 걸림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의 폭과 동일한 유동방지홈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웅체돌기는, 소폭부의 양측에 걸림편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소폭부의 선단은 자체홀보다 작게 형성하여 진입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슬로트는 개방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웅체돌기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편을 상향절곡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프.
KR1020120034604A 2012-04-03 2012-04-03 원터치 클램프 KR10138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604A KR101380212B1 (ko) 2012-04-03 2012-04-03 원터치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604A KR101380212B1 (ko) 2012-04-03 2012-04-03 원터치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329A true KR20130112329A (ko) 2013-10-14
KR101380212B1 KR101380212B1 (ko) 2014-04-01

Family

ID=4963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604A KR101380212B1 (ko) 2012-04-03 2012-04-03 원터치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2763A1 (de) 2016-11-02 2018-05-11 Oetiker Schweiz Ag Spannschelle
DE202018100855U1 (de) 2018-02-15 2018-02-26 Oetiker Schweiz Ag Spannschel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4485U (ko) * 1986-11-20 1988-06-02
JPS63110789U (ko) * 1987-01-10 1988-07-16
DE19750010C1 (de) * 1997-11-12 1999-05-12 Rasmussen Gmbh Schelle
EP1191270B1 (de) * 2000-09-26 2004-11-24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Schlauchklem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212B1 (ko)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985U (ja) ガスチャージコネクタ
US20080169648A1 (en) Pipe coupling
JP5391273B2 (ja) ホースクランプ
KR101269686B1 (ko) 호스용 클램프
TW201640037A (zh) 長條物之導引裝置
KR101380212B1 (ko) 원터치 클램프
KR20150042150A (ko) 이어 클램프
JP2013011352A (ja) ホース用クランプ
KR20110135688A (ko) 호스용 클램프
CN101818839A (zh) 双半环连接器总成
TW201506292A (zh) 易於部件組裝的觸發插入式導管連接裝置
KR20160144940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229584B1 (ko) 호스클램프
KR20140065794A (ko) 배관용 커플링
US9239124B2 (en) Hose clamp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KR100983087B1 (ko) 파이프용 커플러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JP2013079722A (ja) ホースクランプ用トルクコントロールキャップ
KR100945494B1 (ko) 금속관 연결구조
KR20080003496U (ko) 호스용 클램프
JP2015077674A (ja) ホースクランプ取り外し用工具
KR20130117945A (ko) 밴드 클램프 및 밴드 클램프 제조 방법
JP2012145208A (ja) ホース用クランプ
JP2009121569A (ja) 接続部シール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