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275A -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275A
KR20130112275A KR1020120034531A KR20120034531A KR20130112275A KR 20130112275 A KR20130112275 A KR 20130112275A KR 1020120034531 A KR1020120034531 A KR 1020120034531A KR 20120034531 A KR20120034531 A KR 20120034531A KR 20130112275 A KR20130112275 A KR 20130112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ice
dashboard
client
medical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430B1 (ko
Inventor
정진엽
백롱민
황희
윤종활
유수영
이기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3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3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URL의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연동된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서비스 서버 별 제공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에 연계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데쉬보드(Dashboard)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의 고유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데쉬보드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DATA SERVICE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환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 검색을 위해 빈번한 화면의 이동 없이도 의료진에게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단일화면 내에서 통합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종이 챠트로 관리하던 의무 기록 방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료 정보를 일체의 수정 없이 모두 전산화하는 방식을 전자의무기록(Electroic Medical Record, EMR) 방식이라 한다. 이러한 EMR방식은 환자를 진료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의료 정보 예를 들어 환자별 건강 상태, 환자별 병력, 환자별 검사 결과, 환자별 처방 결과, 환자별 약물 반응, 환자별 입원/퇴원 기록 등을 일정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EMR 방식은 병원 경쟁력 강화 차원, 의료 환경 개선 차원 및 임상 연구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즉,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으로 병원 경영 상태 파악 및 인적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개인의 병력을 추적하여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임상 데이터를 축적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의 효율성 개선, 의료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향상, 의료사고 방지에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EMR 시스템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정보를 파악하고자 할 때, EMR 상의 메인 화면을 통해 기본정보, 바이탈 사인(vital sign), 입/출력 데이터, 입원경과 기록지 등 다양한 정보를 정보 별 각각 조회하고, 별도의 검사결과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진료지원 파트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한 후 환자번호를 입력해야만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즉, 의료진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화면을 이동해야 하고,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조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EMR이 통합되어 있지 않은 병원인 경우 한 화면 내에서 모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개별 데이터 항목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번의 화면 이동이 필요 없이 터치 모니터를 통해 다수 개의 데이터 항목들을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있도록 웹 서버에 연동된 서비스 서버들을 통해 데이터를 검색/수집하고, 이를 다수 개의 데이터를 각각 파싱하여 한 번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정의된 데쉬보드 프레임워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항목의 개수만큼 표시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데이터가 항목별로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데쉬보드를 생성하여 환자 정보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생성된 데쉬보드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전송함으로써 특정 환자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해 빈번한 화면의 이동 없이도 의료진에게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단일화면 내에서 통합된 정보를 제공 가능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URL의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연동된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서비스 서버 별 제공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에 연계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데쉬보드(Dashboard)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의 고유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데쉬보드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URL의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각 클라이언트의 요청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특화되어 소정 언어를 통해 클래스 위주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축된 데쉬보드 프레임워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데쉬보드 프레임워크를 통해 각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항목의 개수만큼 표시영역이 분할되어 상기 데이터가 항목별로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클라이언트의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표시영역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데쉬보드 생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환자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해 빈번한 화면의 이동 없이도 의료진에게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단일화면 내에서 통합된 정보를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자를 치료하거나 간호하는 병원 특성을 고려하여 제공된 정보에 대한 의료진의 신속한 인지 향상을 위해 수치 중심의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이미지화하여 환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 별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5의 (a), (b), (c), (d) 및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쉬보드의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진이 환자 정보를 파악하고자 병원 내 각 영역에 설치된 컴퓨터 단말을 통해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이하 EMR)으로 특화된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환자의 신상 정보, 현재 상태, 과거 이력, 진료 기록 및 투약 현황 등의 데이터 검색 시 메인 화면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각각의 개별 데이터 항목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번의 화면 이동이 필요 없이 터치 모니터를 통해 다수 개의 데이터 항목들을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웹 서버에 연동된 서비스 서버들을 통해 데이터를 검색/수집하여 이를 다수 개의 데이터를 각각 파싱하여 한 번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정의된 데쉬보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 항목의 개수만큼 표시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데이터가 항목별로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데쉬보드를 생성하여 환자 정보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생성된 데쉬보드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전송함으로써 특정 환자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해 빈번한 화면의 이동 없이도 의료진에게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단일화면 내에서 통합된 정보를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자를 치료하거나 간호하는 병원 특성을 고려하여 제공된 정보에 대한 의료진의 신속한 인지 향상을 위해 수치 중심의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이미지화하여 환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아이패드(Ipad),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통신 시스템에 모두 적용 가능한 기술이나, 이하 후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병원 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단말(114, 116, 118), 웹 서버(112) 및 EMR DB 서버(110)을 포함 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114, 116, 118)은 병원 내 각 영역 즉, 특수치료시설(Intensive care unit, ICU), 응급실(Emergency Room), 각 병동에 설치된 단말이고, 환자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상기 웹 서버(112)를 통해 요청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웹 서버(112)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상기 EMR DB 서버(110)를 관리 제어하고, 병원 내 설치된 단말(114, 116, 118)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EMR DB 서버(110)에서 검색/수집하여 상기 단말(114, 116, 118)에 제공한다.
상기 EMR DB 서버(110)는 병원에 종사하면서 환자에 제공되는 고유의 업무를 갖는 담당자를 회원으로 등록받아 저장하고, 병원의 외뢰진료를 통해 진찰을 받는 초진, 재진 환자 별 신상정보와 진찰을 담당한 의사 및 진찰 내역을 기록하고, 환자 별 검진 정보, 처방 정보 및 각종 검사 정보가 기록되고, 환자 별 담당의사의 처방 및 투약상황 그리고 환자 관리상황, 오더 수행상황 등과 같은 의무기록이 데이터 별로 특화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상기 단말(114, 116, 118)로부터 상기 웹 서버(112)로 특정 URL의 웹 페이지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웹 서버(112)는 특정 오브젝트 즉, 환자에 대한 데이터 항목 별 변경 내역을 요청 및 단말(114, 116, 118)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EMR DB 서버(110)는 요청된 데이터 혹은 갱신된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112)로 전달한다. 상기 웹 서버(112)는 EMR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된 각종 데이터를 상기 단말(114, 116, 118)로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 별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 별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210), 데쉬보드(Dashboard) 서버(212) 및 데쉬보드 클라이언트(2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10)는 EMR 시스템에 특화된 데이터베이스로서, AIX(Advanced interactive executive) 운영체제 기반 하에 데이터관리 시스템으로는 오라클(oracle)을 이용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데쉬보드 서버(212)는 EMR 시스템에 특화된 서버이고, 서버(21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 콘솔부(242), 서버(212)의 작동상태의 기록, 보존, 클라이언트의 조사 및 동작의 분석 등의 기록을 위한 로깅(logging, 244), 데이터 저장을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246), 다양한 프로토콜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한 WCF(Window Communication Foundation, 248), 보안(security, 250), 상기 WCF(248)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HSF Interface for WCF(252), IIS 7.0(254), FTP 6.0(256), WCF(248) 서비스 호스팅하기 위한 호스팅 .NET Framework 4.0(258), 윈도우 서버(Windows Server 2008)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262)로 구성된다.
상기 데쉬보드 클라이언트(214)는 WPF(Window Presentation Foundation) 기반 하의 데쉬보드 레이어(264), WCF(268), 보안(security, 266), 데쉬보드 프레임워크(Dashboard Framework, 270), WCF(268) 서비스 호스팅하기 위한 호스팅 .Net Framework 4.0(272) 및 윈도우 7(27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데쉬보드 프레임워크(216)의 구조를 더 상세히 살펴보면, 데쉬보드 프레임워크(216)는 적용되는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각 프로세스 요소별로 지원 방식 및 출력을 정의하는 것으로, 수치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정의하는 그래프 제어(220),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표시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이미지 뷰어(222), 스케줄러(224), 웹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하여 획득하는 데이터 파싱(226), 보안을 정의하는 암호화(228), 업데이트(230), 사용자 설정(232),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책(policy) 정보를 이용하여 권한(privilege)을 설정하는 권한관리(234), 기록을 위한 로깅(236) 및 환경설정(238)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데쉬보드 프레임워크(216)는 하기의 도 3 및 도 4의 설명에서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310 과정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URL의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웹 페이지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해당 클라이언트 자신의 상태 정보 즉, 고유 화면 사이즈 및 정보도 함께 수신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병원 내 각 영역 즉, 특수치료시설(Intensive care unit, ICU), 응급실(Emergency Room), 각 병동에 설치된 고정된 혹은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이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특정 환자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요청은 사용자 즉, 의료진이 클라이언트의 특정 URL의 웹 페이지 메인 화면에서 자신의 사원 번호 혹은 특정 오브젝트의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번호를 키(key)값으로 서비스가 수행되는 형태로 이뤄지고, 이러한 동작은 상기 클라이언트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입력을 통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입력된 번호를 통해 사용자 권한을 조회하여 권한이 부여된 정당한 번호인 경우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함께 수신된 고유 화면 정보 및 사이즈인 환경 설정을 조회한다.
이후, 특수치료시설(Intensive care unit, ICU), 응급실(Emergency Room), 각 병동에 설치된 고정된 혹은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의 고유 화면 정보 및 사이즈에 맞게 맵 뷰(Map View)의 환자 리스트 화면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맵 뷰의 환자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오브젝트 혹은 사용자 업무 관리 선택여부를 체크하여,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본인 담당 여부를 다시 한번 체크하여 본인 담당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맵 뷰의 환자 리스트 화면에 특화된 환자 선택 사유를 선택한 후 312 과정으로 이동하고, 본인 담당이 아닌 경우 바로 312 과정으로 이동한다.
312 과정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310 과정에서 요청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병원에 종사하면서 환자에 제공되는 고유의 업무를 갖는 담당자를 회원으로 등록받아 저장한 서비스 서버, 병원의 외뢰진료를 통해 진찰을 받는 초진, 재진 환자 별 신상정보를 저장한 서비스 서버, 진찰을 담당한 의사 및 진찰 내역을 기록하고, 환자 별 검진 정보, 처방 정보 및 각종 검사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서버, 환자 별 담당의사의 처방 및 투약상황 그리고 환자 관리상황, 오더 수행상황이 저장된 서비스 서버 등과 같은 각종 의무기록이 데이터 별로 특화되어 저장된 다수의 서비스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요청된 데이터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외로진료를 통해 진찰을 받는 초진, 재진 환자 오브젝트에 대한 신상정보 혹은 입원접수내역 혹은 응급접수내역에서의 환자 오브젝트 신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검진, 처방 및 각종 검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는 미리 설정되어 310 과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즉 의료진이 사원 번호 혹은 특정 오브젝트의 번호를 입력하면,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함께 수신된 해당 단말의 고유 화면 정보에 따라 필요한 설정된 데이터 각각이 각 서비스 서버로 브로드캐스팅된다.
314 과정에서는 상기 연동된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를 수집한다.
이후 316 과정에서 상기 수집된 서비스 서버별 제공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에 연계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된 각각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정의되고,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유동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접근 제어 규칙이 설정되어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책(policy) 정보를 이용하여 권한을 설정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워크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특화되어 소정 언어를 통해 클래스 위주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축된다.
318 과정에서는 상기 수집된 서비스 서버 별 제공된 데이터가 수치 데이터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바이탈 사인(vital sign)과 같은 수치 데이터인 경우 320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의 뷰어(viewer)를 통해 그래프 형태로 이미지화하여 즉각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322 과정에서 상기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데쉬보드(Dashboard)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상기 데쉬보드는,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를 통해 각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항목의 개수만큼 표시영역이 분할되어 상기 데이터가 항목별로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어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되고, 클라이언트의 고유 화면 정보 즉, 특수치료시설(Intensive care unit, ICU), 응급실(Emergency Room), 각 병동에 설치된 고정된 혹은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별 타입에 따라 특화된 화면에 대한 상기 표시영역의 사이즈가 조절되어 생성된다.
이는 도 5의 (a), (b), (c),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병동에 위치하는 고정된 혹은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에 디스플레이 된 데이터를 보인 것으로, 상기 단말은 병동에 특화된 데이터 항목 즉, 각 병동별 환자 리스트, 각 환자별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항목들을 표시하고, 도 5의 (b)는 특수치료시설에 위치하는 고정된 혹은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에 디스플레이 된 데이터를 보인 것으로, 상기 단말은 특수치료시설에 특화된 데이터 항목 즉, 특수치료 대상 환자별 리스트, 각 환자별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항목들을 표시하고, 도 5의 (c)는 응급실에 위치하는 고정된 혹은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에 디스플레이 된 데이터를 보인 것으로, 상기 단말은 응급실에 특화된 데이터 항목 즉, 응급실 내 환자별 리스트, 각 환자별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항목들을 표시하고, 도 5의 (d)는 상기 응급실의 맵 뷰(map view)를 디스플레이 한 것으로, 상기 응급실 맵 뷰에는 각종 응급실 현황 예컨대, 당직의 명단, 응급실 포화도, 대기실 현황 등이 디스플레이 되어 전체 응급실 현황을 한 화면에 확인 가능하다.
도 5의 (e)는 상술한 병동, 특수치료시설 혹은 응급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고정된 혹은 이동 가능한 휴대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데이터 항목들에서 특정 환자 선택 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보인 것으로, 도 5의 (e)는 선택된 환자에 해당하는 수치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의 뷰어를 통해 그래프 형태로 이미지화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324 과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데쉬보드 전송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의 초과 여부를 체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한 경우 326 과정으로 이동하여 해당 데쉬보드 내 표시된 데이터 항목을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재점검하여 328 과정에서 변동 사항을 확인하고, 상기 변동 사항이 발생한 경우 전송된 데쉬보드의 각 데이터 항목별 데이터 값을 변경하여 상기 데쉬보드를 갱신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된 맵 뷰의 환자 리스트 화면에서 사용자 업무 관리 선택 시 사용자 업무 관리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화이트 보드(White Board Media), 업무인수 인계 등을 포함한 기타 사용자 환경설정 변경여부 선택한 후 상기 314 과정 이후의 동작을 동일하게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400)은 입력부(410), 제어부(412), 데쉬보드 프레임워크(418) 및 데쉬보드 생성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URL의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412)는 입력부(410)로부터 출력된 각 클라이언트의 요청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검색부(414)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고, 데이터 수집부(416)를 통해 요청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2)는 데이터 수집부(416)를 통해 수집된 서비스 서버 별 제공된 데이터가 수치 데이터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수치 데이터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 뷰어를 통해 그래프 형태로 이미지화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12)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데쉬보드 전송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한 경우 해당 데쉬보드 내 표시된 데이터 항목을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재점검하여 변동 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쉬보드 생성부(420)를 통해 데쉬보드가 갱신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쉬보드 프레임워크(418)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특화되어 소정 언어를 통해 클래스 위주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축된다.
그리고 상기 데쉬보드 프레임워크(418)은 제어부(412)의 제어 하에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각각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정의되고,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유동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접근 제어 규칙이 설정되어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책 정보를 이용하여 권한을 설정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데쉬보드 생성부(420)는 제어부(412)의 제어 하에 데쉬보드 프레임워크를 통해 각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항목의 개수만큼 표시영역이 분할되어 상기 데이터가 항목별로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고, 클라이언트의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412)의 제어 하에 표시영역의 사이즈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10: 입력부 412: 제어부
418: 데쉬보드 프레임워크 420: 데쉬보드 생성부

Claims (15)

  1.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URL의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연동된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서비스 서버 별 제공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에 연계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데쉬보드(Dashboard)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의 고유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데쉬보드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데이터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외뢰진료를 통해 진찰을 받는 초진, 재진 환자 오브젝트에 대한 신상정보 혹은 입원접수내역 혹은 응급접수내역에서의 환자 오브젝트 신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검진, 처방 및 각종 검사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된 각 서비스 서버는,
    오브젝트별 검진, 처방, 각종 검사 및 투약 상황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무기록이 데이터별로 특화되어 DB화된 서비스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된 각각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정의되고,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근 제어 규칙이 설정되어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책(policy) 정보를 이용하여 권한을 설정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특화되어 소정 언어를 통해 클래스 위주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쉬보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를 통해 각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항목의 개수만큼 표시영역이 분할되어 상기 데이터가 항목별로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클라이언트의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영역의 사이즈가 조절되어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서비스 서버 별 제공된 데이터가 수치 데이터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수치 데이터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의 뷰어(viewer)를 통해 그래프 형태로 이미지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데쉬보드 전송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한 경우 해당 데쉬보드 내 표시된 데이터 항목을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재점검하여 변동 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쉬보드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URL의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각 클라이언트의 요청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특화되어 소정 언어를 통해 클래스 위주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축된 데쉬보드 프레임워크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데쉬보드 프레임워크를 통해 각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항목의 개수만큼 표시영역이 분할되어 상기 데이터가 항목별로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클라이언트의 화면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표시영역의 사이즈가 조절되는 데쉬보드 생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쉬보드 프레임워크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적어도 둘 이상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각각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정의되고,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근 제어 규칙이 설정되어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책(policy)정보를 이용하여 권한을 설정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데이터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외뢰진료를 통해 진찰을 받는 초진, 재진 환자 오브젝트에 대한 신상정보 혹은 입원접수내역 혹은 응급접수내역에서의 환자 오브젝트 신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검진, 처방 및 각종 검사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된 각 서비스 서버는,
    오브젝트별 검진, 처방, 각종 검사 및 투약 상황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무기록이 데이터별로 특화되어 DB화된 서비스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서비스 서버 별 제공된 데이터가 수치 데이터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수치 데이터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워크의 뷰어(viewer)를 통해 그래프 형태로 이미지화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데쉬보드 전송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한 경우 해당 데쉬보드 내 표시된 데이터 항목을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재점검하여 변동 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쉬보드가 갱신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20034531A 2012-04-03 2012-04-03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5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31A KR101453430B1 (ko) 2012-04-03 2012-04-03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31A KR101453430B1 (ko) 2012-04-03 2012-04-03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75A true KR20130112275A (ko) 2013-10-14
KR101453430B1 KR101453430B1 (ko) 2014-10-21

Family

ID=4963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531A KR101453430B1 (ko) 2012-04-03 2012-04-03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3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8169A (zh) * 2017-11-13 2018-03-20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电子病历检索方法及装置、电子病历存储方法及装置
CN110827937A (zh) * 2019-09-20 2020-02-21 万达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医疗领域的数据展示方法和系统
CN111863171A (zh) * 2020-07-22 2020-10-30 北京致医健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病历管理方法、管理服务器及电子病历管理系统
US20200365243A1 (en) * 2017-09-13 2020-11-19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retrieval and analysis of medical records
WO2022039474A1 (ko) * 2020-08-18 2022-02-24 서울대학교병원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KR20220064300A (ko) * 2020-11-11 2022-05-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내 데이터를 활용 목적에 따라 대시보드로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73B1 (ko) * 2003-06-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100526566B1 (ko) * 2003-12-31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측 단말에 최적화된 경로안내 데이터를 전달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및 그 방법
JP2007334801A (ja) * 2006-06-19 2007-12-27 Yokogawa Electric Corp 患者情報統合描画システム
KR20100133663A (ko) * 2009-06-12 2010-12-22 김혁만 전자 증례기록지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임상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65243A1 (en) * 2017-09-13 2020-11-19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retrieval and analysis of medical records
CN107818169A (zh) * 2017-11-13 2018-03-20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电子病历检索方法及装置、电子病历存储方法及装置
CN110827937A (zh) * 2019-09-20 2020-02-21 万达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医疗领域的数据展示方法和系统
CN110827937B (zh) * 2019-09-20 2023-11-24 万达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医疗领域的数据展示方法和系统
CN111863171A (zh) * 2020-07-22 2020-10-30 北京致医健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病历管理方法、管理服务器及电子病历管理系统
WO2022039474A1 (ko) * 2020-08-18 2022-02-24 서울대학교병원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KR20220022140A (ko) * 2020-08-18 2022-02-25 서울대학교병원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KR20220064300A (ko) * 2020-11-11 2022-05-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내 데이터를 활용 목적에 따라 대시보드로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430B1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30B1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70011029A1 (en) Access to inpatient medical information for patient and proxies
Alepis et al. M-health: supporting automated diagnosis and electonic health records
JP5640841B2 (ja) 医用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400549A1 (en) Processing of portable device data
WO2002031743A1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the information for a hospital
JP6018446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サーバ、及び電子カルテ表示方法
JP2009266077A (ja) 電子カルテ管理サーバ、及び電子カルテ管理システム
Orsini et al. My smart age with HIV: an innovative mobile and IoMT framework for patient's empowerment
JP2016148999A (ja) 医療支援システム、その作動方法及び医療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医療支援装置
US20120179490A1 (en) Trusted Partner Medical Records System and Method
US201502064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computing devices based on health condition
US20070083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ati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Park et al. A worker-centered personal health record app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using national health care data sets: design and development study
Zhang et al. Healthcare-based on cloud electrocardiogram system: a medical center experience in middle Taiwan
JP4474846B2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管理方法
JP5349950B2 (ja) 電子カルテ管理サーバ、及び電子カルテ管理システム
JP5874524B2 (ja) 医療連携システム
JP2006301760A (ja) 医療情報提供装置及び医療情報提供方法
JP7116192B2 (ja) 診療支援装置及び診療支援システム
JP2011128661A (ja) 地域医療連携システム、登録端末及びプログラム
Shibuya et al. An approach to medical knowledge sharing in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ing MCLink
JP2009266076A (ja) 電子カルテ管理サーバ、及び電子カルテ管理システム
JP2020052457A (ja) 利用者情報管理システム、利用者情報管理装置、権限管理装置、利用者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利用者情報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の構築方法
KR101460174B1 (ko) 영상검사자료 통합검색기능이 구비된 병원진료검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