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227A -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227A
KR20130112227A KR1020120034454A KR20120034454A KR20130112227A KR 20130112227 A KR20130112227 A KR 20130112227A KR 1020120034454 A KR1020120034454 A KR 1020120034454A KR 20120034454 A KR20120034454 A KR 20120034454A KR 20130112227 A KR20130112227 A KR 2013011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verse
connector
shift lever
cam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266B1 (ko
Inventor
탁양호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26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입력장치는, 변속레버 조작에 연동하는 제한된 구간 내에서 정, 역회전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커넥터는 중앙 힌지부를 기준으로 연결측과 타측의 조작측이 일정 각도로 벌어진 구성을 갖고, 상기 조작측 선단은 조작단이 되고, 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조작단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 스위치가 장치되어, 변속레버 후진조작에 연동한 상기 조작단의 움직임에 의해 스위치가 접속될 수 있도록 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Reverse signal input device of vehicle back alarm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 후진 시 후진 상황임을 다른 사람에게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에 있어, 이 시스템 구동과 관련한 신호를 입력시키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차량이 후진하게 되면 후진 등이 점등되고 후진 방향에 대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후진 등은 차량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살피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차량 주변 특히, 후방에 위치한 사람에게 차량이 후진 중임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차량 후진 시 경보음과 같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차량 주변에 위치한 사람에게 차량이 후진 상황임을 명확히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 경보 시스템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이 경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센서부재를 통해 변속레버가 후진위치 있는 것이 감지되면, ECU 제어에 의해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수단으로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변속레버 후진조작 시 그 위치를 감지하고 신호를 출력하는 고가의 스위칭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어, 가격경쟁 측면에서 불리하다. 특히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소형의 다목적 운반차량(Utility vehicle, UTV)의 경우, 이미 출시되고 있는 차량에 추가로 상기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변속조작부의 레이아웃 변경이 불가피하여 적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2954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속조작부의 레이아웃 변경 없이도 차량에 적용 가능한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후진에 연동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차량용 후진 경보 시스템에 있어 이 시스템 구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변속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제한된 구간 내에서 정, 역회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커넥터는 중앙 힌지부를 기준으로 연결측과 타측의 조작측이 일정 각도로 벌어진 구성을 갖고, 상기 조작측 선단은 조작단이 되고, 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조작단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 스위치가 장치되어, 변속레버 후진조작에 연동한 상기 조작단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의 조작단에는 변속아암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변속기로 전달하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연결되고, 스위치와 마주하는 상기 조작단 외연에는 상기 스위치 접속조작을 위한 캠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캠면은 스위치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곡선상의 캠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브래킷에 지지되어 공간상에 위치하는 바디와, 이 바디와 결합된 고정단을 기준으로 타측 자유단이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가동편으로 구성되며, 가동편의 자유단은 상기 조작단 캠면과의 접속에 따라 바디를 향해 탄성변위되고 스위치 온(ON) 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가동편의 자유단에는, 상기 조작단의 캠면과 접촉 시 구름운동을 유도하는 소형의 롤러가 장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방향을 따라 규정된 변속구간 내에서 상기 변속레버가 가장 아래에 위치했을 때 후진위치일 수 있고, 상기 커넥터의 조작단은 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 제한된 스윙범위 내에서 가장 높이 위치하게 되며, 조작단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의 대응되는 높이에 상기 스위치가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의 변속레버와 연결된 커넥터의 조작단이 위치하는 지점에 스위치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종래와 같이 값비싼 고가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칭 시스템을 채택하지 않고도 후방 경보 시스템 구동을 위한 신호입력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변속조작부의 레이아웃 변경이 요구되지 않아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의 사시도로서, 변속레버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는 커넥터의 각도변화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하되, 도면과 같이 L(저속), H(고속), N(중립), R(후진) 등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변속기구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 후진에 연동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차량용 후진 경보 시스템에 있어 시스템 구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토록 하는 신호입력장치로서 크게, 커넥터(2)와, 스위치(3)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2)는 변속레버(1) 조작에 연동되는 움직임을 갖고, 스위치(3)는 상기 커넥터(2) 조작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경보음의 출력을 위한 전기회로를 통전시킨다.
커넥터(2)는 차체 프레임에서 연장되는 브래킷(5)에 횡방향으로 지지점을 형성하는 중앙 힌지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변속레버(1) 조작에 연동하여 제한된 구간 내에서 정, 역회전 된다. 커넥터(2)는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힌지부(20)를 기준으로 변속레버(1)에 연결되는 일측의 연결측(22)과 타측의 조작측(24)이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채 각각이 중앙 힌지부(20)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커넥터(2)의 상기 조작측(24) 선단은 후술되는 스위치(3) 접속에 관여하는 조작단(25)이 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2)의 조작단(25)에는 이 커넥터(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변속기로 전달하는 케이블 어셈블리(4) 일측 단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치(3)와 마주하는 상기 조작단(25) 외연에는 후술되는 스위치(3) 접속조작을 위한 캠면(26)이 형성된다. 이때 캠면(26)은 스위치(3)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곡선상의 캠면(26)일 수 있다.
스위치(3)는 변속레버(1)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커넥터(2)의 조작단(25)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 근접 장착됨으로써 조작단(25) 진입 여부에 따라 스위칭 온(On) 되거나 오프(Off)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스위치(3)는 상기 변속레버(1)의 후진조작에 연동한 커넥터(2)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단(25)의 움직임에 따라 접속이 구현됨으로써 경보음 출력을 위한 경보 시스템의 전기회로를 통전시키도록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스위치(3)는 바람직하게 도 5의 요부 확대도와 같이, 브래킷(6)에 지지되어 공간상에 위치하는 바디(30)와, 이 바디(30)에 연결된 고정단을 기준으로 타측 자유단이 상기 바디(30)로부터 경사지게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가동편(32)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편(32)의 자유단은 상기 조작단(25) 외연의 캠면(26)과의 접속에 따라 바디(30)를 향해 탄성변위 됨으로써 스위치(3) 온(ON)을 구현시킨다.
조작단(25)의 캠면(26)과 접촉 시 마찰에 따른 기계적인 소음 없는 부드러운 구름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편(32)의 자유단 외측에는 상기 조작단(25)의 캠면(26)을 따라 구름운동하게 되는 소형의 롤러(34)가 회전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롤러(34)는 생략될 수 있으며, 롤러(34) 외에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돌기를 상기 가동편(32) 자유단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러(34)를 대체할 수 있다.
승강방향을 따라 규정된 변속구간, 구체적으로는 변속단수 및 변속경로를 형성한 패널(7)에 의해 규정된 변속구간 내에서 도면과 같이 변속레버(1)가 가장 아래에 위치했을 때가 후진위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후진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2)의 조작단(25)은 반대로 제한된 스윙구간 내에서 가장 높은 위치하게 되고, 조작단(25)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의 대응되는 높이에 상기 스위치(3)가 위치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신호입력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에 대한 신호입력과정에 대해 상기 신호입력장치의 동작에 연계하여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은 변속레버가 후진 외의 영역에 위치했을 때의 커넥터 조작단과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변속레버(1)가 후진에 위치했을 때 커넥터 조작단에 의해 스위치 접속이 구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도시와 같이 변속레버(1)가 L(저속), H(고속), N(중립)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커넥터(2) 조작측(24)의 조작단(25)은 스위치(3)와 이격된 지점 구체적으로는, 변속레버(1)의 위치에 따라 N, H, L 순으로 스위치(3)로부터 먼 곳에 조작단(25)이 위치하며, 이처럼 스위치(3)와 떨어진 지점에 조작단(25)이 위치하는 구간(N ~ L) 내에서는 변속레버(1)를 아무리 조작하더라도 스위치(3)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변속레버(1)를 R(후진)에 위치시키기 위해 하향 이동시키면, 스위치(3)는 변속레버(1)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2)의 조작단(25)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함으로써, 후진조작을 위한 변속레버(1)의 하향 이동에 연동된 조작단(25)의 상향 이동으로 캠면(26) 상부부터 스위치(3)의 가동편(32)이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조작단(25)의 상향 이동으로 가동편(32)은 볼록하게 만곡진 캠면(26)을 따르면서 스위치(3)의 바디(30)를 향해 탄성변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위과정에서 변속레버(1)가 결국 지정된 R(후진)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조작단(25)의 상기 캠면(26)의 대략 만곡된 지점에 스위치(3) 가동편(32)의 자유단이 접속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편(32)이 스위치(3) 바디(30)에 밀착하여 스위치(3) 온(ON)이 구현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3) 온(On)은 차량 후진 경보음 출력을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기회로의 통전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후진과 연동하여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의 변속레버와 연결된 커넥터의 조작단이 위치하는 지점에 스위치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종래와 같이 값비싼 고가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칭 시스템을 채택하지 않고도 후방 경보 시스템 구동을 위한 신호입력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변속조작부의 레이아웃 변경이 요구되지 않아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변속레버 2 : 커넥터
3 : 스위치 4 : 케이블 어셈블리
5 ,6 : 브래킷 7 : 패널
20 : 중앙 힌지부 22 : 연결측
24 : 조작측 26 : 캠면
30 : 바디 32 : 가동편
34 : 롤러

Claims (6)

  1. 후진에 연동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차량용 후진 경보 시스템에 있어 이 시스템 구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변속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제한된 구간 내에서 정, 역회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커넥터는 중앙 힌지부를 기준으로 연결측과 타측의 조작측이 일정 각도로 벌어진 구성을 갖고,
    상기 조작측 선단은 조작단이 되고,
    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조작단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 스위치가 장치되어,
    변속레버 후진조작에 연동한 상기 조작단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조작단에는 변속아암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변속기로 전달하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연결되고, 스위치와 마주하는 상기 조작단 외연에는 상기 스위치 접속조작을 위한 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스위치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진 곡선상의 캠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브래킷에 지지되어 공간상에 위치하는 바디와,
    바디에 연결된 고정단을 기준으로 타측 자유단이 상기 바디로부터 경사지게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가동편으로 구성되며,
    가동편의 자유단은 상기 조작단 캠면과의 접속에 따라 바디를 향해 탄성변위 되고 따라서 스위치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의 자유단 외측에는 상기 조작단의 캠면과 접촉 시 구름운동을 유도하는 소형의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방향을 따르는 규정된 변속구간 내에서 상기 변속레버가 가장 아래에 위치했을 때 후진위치가 되고,
    상기 커넥터의 조작단은 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 있을 때 제한된 스윙구간 내에서 가장 높이 위치하게 되며,
    조작단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의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KR1020120034454A 2012-04-03 2012-04-03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KR10190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54A KR101900266B1 (ko) 2012-04-03 2012-04-03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54A KR101900266B1 (ko) 2012-04-03 2012-04-03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27A true KR20130112227A (ko) 2013-10-14
KR101900266B1 KR101900266B1 (ko) 2018-09-20

Family

ID=4963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454A KR101900266B1 (ko) 2012-04-03 2012-04-03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2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211Y1 (ko) * 1990-06-28 1992-10-08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변속레버의 후진등 개폐장치
KR980008784A (ko) * 1996-07-11 1998-04-30 박병재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KR19980022118U (ko) * 1996-10-25 1998-07-15 박병재 유압 래쉬 조정기(hla)의 오일 공급 구조
KR19980034939U (ko) * 1996-12-11 1998-09-15 박병재 메인머플러의 부식 방지구조
KR20010065900A (ko) * 1999-12-03 2001-07-11 김병환 자동차의 조향용 보조라이트
JP2002097000A (ja) * 2000-09-20 2002-04-02 Komatsu Forklift Co Ltd 車両の警報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211Y1 (ko) * 1990-06-28 1992-10-08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변속레버의 후진등 개폐장치
KR980008784A (ko) * 1996-07-11 1998-04-30 박병재 자동차용 후진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KR19980022118U (ko) * 1996-10-25 1998-07-15 박병재 유압 래쉬 조정기(hla)의 오일 공급 구조
KR19980034939U (ko) * 1996-12-11 1998-09-15 박병재 메인머플러의 부식 방지구조
KR20010065900A (ko) * 1999-12-03 2001-07-11 김병환 자동차의 조향용 보조라이트
JP2002097000A (ja) * 2000-09-20 2002-04-02 Komatsu Forklift Co Ltd 車両の警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266B1 (ko)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6588B (zh) 具有磁性传感器的线性致动器组件
US20130293713A1 (en) Device having a camera unit
EP1647436A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an astride riding type vehicle
FR2986676B1 (fr)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le dispositif d'entrain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JP2007521178A (ja) 左右対称ギヤシフトのための装置
JP2013097762A (ja) 車両用入力装置
WO2018164823A1 (en) System for selectively extending and retracting a license plate holder
US10414346B2 (en) Vehicle with camera unit
ATE547656T1 (de) Steuervorrichtung eines computergesteuerten kraftfahrzeuggetriebes
KR20090100496A (ko) 전동파워스티어링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 틸트 및텔레스코픽 장치
JP5778112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130112227A (ko) 차량 후진 경보 시스템의 신호입력장치
JP2015178870A (ja) 手動変速機における変速段検出装置
EP3118061A1 (en) Vehicular mirror device
US20190186626A1 (en) Shift device
EP1772649B1 (fr) Levier de commande de vitesses
CA2502748A1 (en) Vehicle provided with switch device
JP2007189759A (ja) ワイパモータ
ES2395498T3 (es) Transmisión
KR102448612B1 (ko) 전자식 자동변속 시스템
KR101724953B1 (ko) 차량의 변속제어 콘솔
CN111911617B (zh)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JP2017087931A (ja) 車両の後方モニタシステム
JP2014100955A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装置
KR101989073B1 (ko) 자동변속기용 인히비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