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835A -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835A
KR20130111835A KR1020120034031A KR20120034031A KR20130111835A KR 20130111835 A KR20130111835 A KR 20130111835A KR 1020120034031 A KR1020120034031 A KR 1020120034031A KR 20120034031 A KR20120034031 A KR 20120034031A KR 20130111835 A KR20130111835 A KR 20130111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gital
portable terminal
scoreboard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시
Priority to KR102012003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1835A/ko
Publication of KR2013011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부, 제어부, 통신모듈부, 표시부 및,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점수판;과,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점수판을 제어할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통신모듈부가 무선 통신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 경기 스코어를 표시 할 경기종목을 변경 가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제어정보를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통신모듈부에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부에서 수신한 제어정보에 따라 디지털 점수판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점수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SMART DIGITAL SCORE BOARD}
본 발명은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수 디스플레이를 하나 이상의 경기에 적용 가능하고, 점수 디스플레이를 휴대용 단말 기기에서 조작 가능한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에 관한 것이다.
운동 경기의 스코어를 디지털 판넬에 표시함으로써 경기의 스코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종래의 디지털 점수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점수판은 점수체계가 다른 각 운동경기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점수판을 점수체계가 다른 각 운동경기에 활용할 수 있었으나, 다른 경기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조작과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점수판은 무게나 부피에 비해 활용도 및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디지털 점수판과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디지털 점수판을 조작 가능한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점수판이 디스플레이하는 경기의 종목을 변경 가능하고, 디지털 점수판의 설정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은,
전원부, 제어부, 통신모듈부, 표시부 및,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점수판;과,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점수판을 제어할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통신모듈부가 무선 통신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 경기 스코어를 표시 할 경기종목을 변경 가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제어정보를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통신모듈부에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부에서 수신한 제어정보에 따라 디지털 점수판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점수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배터리 충전부, 상용전원 변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에 소리를 입력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를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 통신 모듈부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소리를 상기 디지털 단말기의 스피커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는 점수안내, 듀스 안내, 어드밴티지 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 받는 제어정보는,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 표시되는 점수를 득점하거나 감점하는 제어를 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된 제어정보가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통신 모듈부에 무선통신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디지털 점수판에 표시되는 점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경기 스코어가 변동될 때, 변동되는 경기 스코어가 실시간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지털 점수판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경기 스코어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점수판을 제어 가능함으로, 점수체계가 다른 운동경기로의 점수 디스플레이 변경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점수판의 설정 변경 등을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은 디지털 점수판(100)과 휴대용 단말기(200)가 무선통신(310)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먼저, 디지털 점수판(100)은 전원부(140), 제어부(130), 통신모듈부(120), 표시부(110) 및 스피커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점수판(100)의 표시부(110)는 PDP, LED, LCD 등 디스플레이 가능한 통상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표시부의 재료를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전원부(150)는 디지털 점수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전원부(150)는 배터리, 배터리 충전부, 상용전원 변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다.
스피커부(150)는 표시부(110)에 점수를 표시하는 진행중인 경기에서 점수안내, 듀스 안내, 어드밴티지 안내, 경기 시작 안내 또는 경기 종료 안내와 같은 상황 발생 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디지털 점수판(100)에 내장되는 통신 모듈부(12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를 디지털 점수판(100)에 수신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와 디지털 점수판(100)이 무선통신(310) 하는 모듈이다.
제어부(13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를 통신 모듈부(12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130)는 수신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가 수행할 제어동작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입력된 제어정보에 따라 디지털 점수판(100)을 조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 점수판(100)을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300)에서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어플리케이션(300)은 휴대용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며,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또는 넷북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00)을 이용하여 디지털 점수판(100)을 제어하는 일 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디지털 점수판(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경기스코어는 휴대용 단말(20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300)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이 때, 경기 중 어느 한 팀이 득점을 하여 경기 스코어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변동되는 경기 스코어가 실시간으로 휴대용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300)에 적용되어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반대로, 휴대용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00)을 이용하여 디지털 점수판(100)에 표시되는 경기스코어를 득점 또는 감점 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점수판(100)으로부터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300)에 표시되는 경기 스코어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2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스마트폰을 들었으므로, 경기 스코어를 저장할 저장부로는 스마트폰에 이미 구성되어 있는 저장부를 이용함은 자명하다. 휴대용 단말기(200)의 저장부에는 경기 결과 및 경기 순위도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경기 스코어, 경기 결과, 경기 순위 등을 경기 종료 후 어플리케이션(300)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00)을 이용하여 경기 운영을 위한 대진표를 입력 가능하며, 입력된 대진표에 해당하는 경기스코어를 디지털 점수판(100)으로부터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200)의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또한, 디지털 점수판(100)에 표시되는 경기 스코어를 휴대용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300)에 표시할 때, 표시 중인 경기 스코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웹 상에 게재하는 서비스도 구현 가능하다. 이 때, 웹 상에 는 현재 표시 중인 경기 스코어 외에도, 경기 결과 및 경기 순위도 게재 가능하다.
이 때, 경기스코어를 휴대용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300)에 표시, 휴대용 단말(200)의 저장부에 저장, 또는 SNS를 이용하여 웹 상에 게재하는 것 과 같은 전술한 기능 이외에, 추가로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서버에 경기 스코어, 경기 결과, 경기 순위 등을 업로드(upload) 가능하다. 서버에 업로드 된 정보들은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200)에서 다운로드(download)하여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점수판(100)에 USB 포트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USB 포트에 별도의 저장장치(USB 또는 외장하드 등)를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점수판(100)에서 발생한 경기 스코어, 경기 결과 등의 정보를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 가능하다.
그리고, 배구 경기에 대한 스코어를 디지털 점수판(100) 및 어플리케이션(300)에 표시하다가, 배구 경기가 종료된 후 축구 경기가 진행 될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300)에서 경기 종목을 배구에서 축구로 변경하는 제어정보를 입력 가능하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300)에서 입력된 제어정보는 통신 모듈부(120)에 무선통신(300)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제어정보는 제어부(130)에 전달되며, 제어부(130)에서는 수신한 제어정보에 따라 경기 종목을 배구에서 축구로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200;바람직한 실시 예로 스마트폰)에 구비된 마이크부(210)를 이용하여, 소리를 입력한다. 입력된 소리는 디지털 점수판(100)의 통신 모듈부(120)를 통해 스피커부(150)로 전달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200)에 입력된 소리를 디지털 점수판(100)에서 출력한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입력한 소리를 디지털 점수판(100)에서 출력함으로써 확성기와 같은 효과를 가지며, 경기 진행에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디지털 점수판 110 : 표시부
120 : 통신 모듈부 130 : 제어부
140 : 전원부 150 : 스피커부
200 : 휴대용 단말기 210 : 마이크부
300 : 어플리케이션

Claims (7)

  1. 전원부, 제어부, 통신모듈부, 표시부 및,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점수판;과,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점수판을 제어할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통신모듈부가 무선 통신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 경기 스코어를 표시 할 경기종목을 변경 가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제어정보를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통신모듈부에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부에서 수신한 제어정보에 따라 디지털 점수판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점수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배터리 충전부, 상용전원 변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에 소리를 입력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를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 통신 모듈부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소리를 상기 디지털 단말기의 스피커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점수안내, 듀스 안내, 어드밴티지 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 받는 제어정보는, 상기 디지털 점수판에 표시되는 점수를 득점하거나 감점하는 제어를 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된 제어정보가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통신 모듈부에 무선통신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디지털 점수판에 표시되는 점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점수판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경기 스코어가 변동될 때, 변동되는 경기 스코어가 실시간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점수판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경기 스코어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KR1020120034031A 2012-04-02 2012-04-02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KR20130111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031A KR20130111835A (ko) 2012-04-02 2012-04-02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031A KR20130111835A (ko) 2012-04-02 2012-04-02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830A Division KR101506266B1 (ko) 2014-02-13 2014-02-13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835A true KR20130111835A (ko) 2013-10-11

Family

ID=4963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031A KR20130111835A (ko) 2012-04-02 2012-04-02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18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879A (ko) * 2014-05-30 2015-12-09 김진규 스마트 스코어보드 시스템
KR102077513B1 (ko) * 2018-12-28 2020-02-14 김현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당구 게임진행과 기록관리 시스템
WO2020105973A1 (ko) * 2018-11-23 2020-05-28 김현철 당구장 보조 시스템 및 그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879A (ko) * 2014-05-30 2015-12-09 김진규 스마트 스코어보드 시스템
WO2020105973A1 (ko) * 2018-11-23 2020-05-28 김현철 당구장 보조 시스템 및 그 서버
CN113164810A (zh) * 2018-11-23 2021-07-23 金贤哲 台球室辅助系统及其服务器
KR102077513B1 (ko) * 2018-12-28 2020-02-14 김현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당구 게임진행과 기록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172B2 (en) Accessory management of virtual reality system
US20150301959A1 (en) Inter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within an Ecosystem of Accessories
EP2327460A3 (en) Game system and controller
WO2014185984A3 (en) Bingo game system with multiple game functionality
JP6663634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の制御方法、ビデオ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7190680A1 (zh) 设备控制系统、方法、装置及控制设备
CN108367198A (zh) 一体式移动游戏控制器
JP201522908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
JP2011212296A5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KR20130111835A (ko)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KR101506266B1 (ko) 스마트 디지털 점수판
JP2017225518A (ja) 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制御システム
JP2013198542A5 (ko)
US20180308400A1 (en) Interactive clothing incorporating electronic components
JP2018153610A (ja) 多種目スポーツ競技用スコアボード装置
KR101656305B1 (ko) 스마트 스코어보드 시스템
KR20190005359A (ko) 점수표시를 위한 무선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장치
CN110716773A (zh) 一种运动信息展示方法和装置
JP2016024803A (ja) 端末装置
JP2014083264A5 (ko)
KR102043593B1 (ko) 영상광고가 가능한 스코어보드 시스템
CN205721627U (zh) 一种三维虚拟场景可视设备及可视系统
US10786731B2 (en) Wearable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a
JP2020028342A5 (ko)
KR101590954B1 (ko) 스마트 플랫폼 적용을 위한 멀티형 아케이드 게임기기 및 펀치 아케이드 게임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