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566A - 래칭 릴레이 - Google Patents

래칭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566A
KR20130111566A KR1020137012462A KR20137012462A KR20130111566A KR 20130111566 A KR20130111566 A KR 20130111566A KR 1020137012462 A KR1020137012462 A KR 1020137012462A KR 20137012462 A KR20137012462 A KR 20137012462A KR 20130111566 A KR20130111566 A KR 2013011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ovable iron
iron piece
mov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 후지타
쇼타 키쿠치
노리요시 마치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63Polarised relays comprising rotatable armature, rotating around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of the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7Relays with armature having two stable magnetic states and operated by change from one state to the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의 전자석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래칭 릴레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중간에 여자(勵磁) 코일을 감아 장착하고, 양단에 자극편(磁極片)을 가지는 대략 U자형의 고정 철심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막대형상 철편(鐵片)의 사이의 중앙부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고, 절연성 수지의 홀더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한 가동 철편과, 전환 가능한 전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철심의 양측의 자극편이 각각 상기 가동 철편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의 공간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가동 철편을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편을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이 정렬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동(回動)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 철편과 상기 전기 접점부를 연계하여, 상기 가동 철편에 의해 전기 접점부의 전환을 행한다.

Description

래칭 릴레이{LATCHING RELAY}
본 발명은, 전기 접점의 전환을 전자석으로의 통전(通電)에 의해 제어하고, 통전 정지 후에는,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전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래칭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래칭 릴레이는,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석의 여자 코일로 직류의 정(正), 역(逆)의 전류를 교대로 흘리고, 고정 철심의 양단의 자극면의 각각 대해 가동 철편(可動鐵片)의 양단이 각각 교대로 접극(接極)함으로써 가동 철편을 반전 동작시키며, 이 가동 철편의 반전 동작에 의해 전기 접점을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여자(勵磁)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전자석을 무(無)여자로 했을 때,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가동 철편의 고정 철심의 자극면에 대한 흡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기 접점의 전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래칭 릴레이(10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석부(110)와, 가동 철편부(120)와, 가동 접점부(130)와, 고정 접점부(14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부는, 각각 미리 조립되어, 블록화되어 있으며, 절연성 수지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10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철편부(120)와 가동 접점부(130)는, 슬라이드 부재(150)를 통하여 연계(連係)되어 있다. 이러한 부재를 베이스 부재(102)에 설치한 후에, 커버 부재를 씌운다.
전자석부(110)는, 도 20에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의 고정 철심(111)과, 이 고정 철심(111)과 일체적으로 인서트 성형된 코일보빈(112)과, 코일보빈(112)에 감아 장착된 여자 코일(1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자 코일(113)의 양단은 코일 단자(114)에 접속된다. 또, 이 전자석부(110)의 고정 철심(111)의 양 다리에서 형성된 자극편(111a, 111b)의 사이에는, 이것을 브릿징(橋絡, bridged) 연결하는 보조요크(auxiliary yoke)(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가동 철편부(120)는, 도 20에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의 영구자석(121)과, 영구자석(121)이 고착되는 보조요크(122)와, 회전 지지기구(123)(도 19 참조)를 통하여 영구자석(121)에 대해서 회동(回動)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철편(1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철편(124)은, 예를 들어 연자성 철판 등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板狀)체이며, 영구자석(121)에 대향하는 면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 서 영구자석(121)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지점(支點)용 볼록부(124a)를 가진다(도 20 참조).
영구자석(121)은, 예를 들어 보조요크(122) 측을 N극, 가동 철편(124) 측을 S극이 되는 것과 같은 배치로 한다. 가동 철편부(120)를 조립했을 때에는, 영구자석(121)은, 보조요크(122)와 가동 철편(124)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영구자석(121)의 N극으로부터 나오는 자속(磁束)은, 도 20(A)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요크(122)- 여자 코일(113)의 여자에 의해 가동 철편(124)의 일단을 흡인한 고정 철심(111)의 자극편(111a)- 가동 철편(124)- 지점용 돌기(124a)를 경유하여, 영구자석(121)의 S극으로 돌아온다.
이러한 영구자석(121)의 자속에 의한 자기 작용에 의해, 여자 코일(113)로의 통전을 멈추고 전자석(110)을 무여자상태로 한 다음에도, 가동 철편(124)의 고정 철심(111)에 의한 자기 흡착의 상태는 유지된다.
가동 접점부(130)는,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된 가동 단자 (131)와, 스프링성을 가지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가동 접점 스프링(132)과, 이 스프링(132)에 고착된 금속제의 가동 접점(13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가동 접점 스프링(132)의 선단에는, 슬라이드 부재(150)와 걸림결합되는 돌기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접점부(140)는, 스프링성을 가진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되며, 고정 단자(141)를 가진 고정 단자판(142)과, 금속제의 고정 접점(14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래칭 릴레이(100)에 있어서의 전기 접점의 전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9 상태는 전기 접점이 오프인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도 20(A)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과하는 영구자석(121)의 자속에 의해, 가동 철편(124)의 상단측이 고정 철심(111)의 상측의 자극편(111a)에 자기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스프링(132)이 슬라이더 부재(150)를 통하여 가동 철편(124)에 의해 전자석부(110) 측으로 이끌리며, 가동 접점(133)이 고정 접점(143)으로부터 이격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20(A)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한 자속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극성의 여자 전류를 여자 코일(113)로 통류(通流)시키면, 가동 철편(124)의 하단부와 고정 철심(111)의 하측의 자극편(111b)과의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그리고 접촉하고 있는 가동 철편(124)의 상단부와 고정 철심(111)의 상측의 자극편(111a)과의 사이에 자기 반발력이 발생하므로, 가동 철편(124)이, 지점용 볼록부(124a)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回動)하며, 도 20(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 가동 철편(124)의 상단의 돌기편(protruding piece, 124c)에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150)가, 가동 접점 스프링(132)의 방향을 향해 밀린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150)의 타단에 연결된 가동 접점 스프링(132)이, 고정 단자판(142)을 향해 이동하며, 가동 접점 스프링(132)에 고착된 가동 접점(133)을 고정 단자판(142)의 고정 접점(143)에 접촉시킴으로써, 접점의 전환이 이루어져, 온 상태로 전환된다.
코일(113)의 여자 전류를 정지하면, 전자석에 의한 자속이 형성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고정 철심(111)의 하측의 자극편(111b)의 가동 철편(121)에 대한 자기 흡인력은 약해진다. 그러나, 도 20(B)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121)의 N극-보조요크(122)-가동 철편(124)-영구자석(121)의 S극으로 돌아오는 폐(閉)자로를, 영구자석(121)이 만드는 자속이 통과하기 때문에, 이 자속에 의한 자력에 의해 가동 철편(124)의 하단부의, 고정 철심(111)의 하측 자극편(111b)에 대한 흡인이 유지되어, 전기 접점의 온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 여자 코일(113)로 상술한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를 흘려 도 20(B)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향의 자속을 발생하도록 여자하면, 고정 철심(111)의 상측의 자극편(111a)이 가동 철편(124)의 상단부를 흡인하는 자기극성이 되고, 하측의 자극편(111b)이, 가동 철편(124)을 반발하는 자기극성으로 되어, 가동 철편(124)의 상단이 상측의 자극편(111a)에 흡인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철편(124)은, 지점용 볼록부(124a)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도 17(A)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 가동 철편(124)의 돌기편(124c)에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150)가 가동 접점 스프링(1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슬라이드 부재(150)의 타단에 연결된 가동 접점 스프링(132)을, 고정 단자판(142)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스프링(132)의 가동 접점(133)이 고정 단자판(142)의 고정 접점(143)으로부터 개리(開離)하여, 전기 접점이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여자 코일(113)의 여자 전류를 정지하면, 전자석에 의한 자속이 없어지기 때문에, 상측의 자극편(111a)의 가동 철편(124)에 대한 자기 흡인력은 약해지지만, 영구자석(121)의 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가동 철편(124)의 상단부가 고정 철심(111)의 상측의 자극편(111a)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되어, 전기 접점을 오프 상태 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래칭 릴레이(100)는, 전자석부(110)의 여자 코일(113)로 통류되는 여자 전류의 극성을 전환함으로써, 전기 접점의 개폐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여자 전류를 정지해도 영구자석에 의해 전기 접점의 전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본 2009-199732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래칭 릴레이는, 전자석의 가동 철편의 회동 동작을 위한 지점(支点)을 영구자석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여자 코일이 감아 장착된 고정 철심, 영구자석을 유지하는 보조요크, 영구자석 및 가동 철편이, 동일축 상에 겹쳐 쌓여 나란한 구조로 되어, 래칭 릴레이의 전자석의 전체의 치수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 래칭 릴레이는, 어느 일정한 긴 시간의 동안, 전기 접점을 폐쇄하고 제어 회로에 연속 통전하는 것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릴레이에 기계적인 커다란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전기 접점이 부적당하게 전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동작이 발생하는 일 없이, 안정된 유지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전자석부의 자기적 흡인력을 크게 하면 좋지만, 전자석부에 의해 커다란 자기적 흡인력을 얻으려고 하면,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전자석부를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자석부의 치수가 커져, 래칭 릴레이의 소형화가 저해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의 전자석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래칭 릴레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중간에 여자(勵磁) 코일을 감아 장착하고, 양단에 자극편(磁極片)을 가지는 대략 U자형의 고정 철심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막대형상 철편(鐵片)의 사이의 중앙부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고, 절연성 수지의 홀더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한 가동 철편과, 전환 가능한 전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철심의 양측의 자극편이 각각 상기 가동 철편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의 공간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가동 철편을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편을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이 나란하게 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동(回動)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 철편과 상기 전기 접점부를 연계하여, 상기 가동 철편에 의해 전기 접점부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중간에 여자 코일을 감아 장착하고, 양단에 자극편을 가지는 대략 I자형의 고정 철심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대략 U자형 철편의 사이의 중앙부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고, 절연성 수지의 홀더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한 가동 철편과, 전환 가능한 전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철심의 양측의 자극편이 각각 상기 가동 철편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U자형 철편의 사이의 공간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가동 철편을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편을 상기 2개의 U자형 철편이 나란하게 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 철편과 상기 전기 접점부를 연계하여, 상기 가동 철편에 의해 전기 접점부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게다가 청구항 3의 발명은, 중간에 여자 코일을 감아 장착하고, 양단에 자극편을 가지는 대략 C자형의 고정 철심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의 중앙부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고, 절연성 수지의 홀더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한 가동 철편과, 전환 가능한 전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철심의 양단의 자극편이 각각 상기 가동 철편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의 공간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가동 철편을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편을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이 나란하게 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 철편과 상기 전기 접점부를 연계하여, 상기 가동 철편에 의해 전기 접점부의 전환을 행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철심과 가동 철편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설치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칭 릴레이의 전자석부의 가동 철편을 구성하는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은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영구자석을 크게 해도 전자석부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어, 래칭 릴레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것으로, 래칭 릴레이의 커버를 벗긴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래칭 릴레이의 전자석부의 가동 철편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래칭 릴레이의 전자석부의 가동 철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래칭 릴레이의 전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전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전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것으로, 래칭 릴레이의 커버를 벗긴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래칭 릴레이에 사용하는 전자석부의 전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래칭 릴레이의 커버를 벗긴 정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래칭 릴레이의 전환 동작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래칭 릴레이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1은, 래칭 릴레이이며, 전자석부(10)와 전기 접점부(20)를 구비하며, 절연성 수지로 구성한 케이스(2)에 수용되어 있다.
전자석부(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보빈(12)에 감아 장착된 여자 코일(13)을 장착한 고정 철심(11)과, 이 고정 철심(11)에 흡인되어 반전 전환동작을 하는 가동 철편(14)을 구비한다.
고정 철심(11)은, 상하 양단에 수평으로 연장된 자극편(11a 및 11b)을 구비하며,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철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가동 철편(14)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I자형의 막대형상 철편(15, 16)과, 이 철편(15, 16)의 사이의 중앙부에 끼워 넣어진 직방체의 영구자석(17)을 구비한다. 이들 철편(15, 16) 및 영구자석(17)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수지로 구성한 홀더(18)에 끼워넣음으로써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된다. 일방의 철편(16)의 선단(先端)에는, 전기 접점부(20)와 연계(連係)하기 위한 걸림결합편(16a)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18)의 중심부에는, 가동 철편(1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8a)이 설치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동 철편(14)은,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철심(11)의 양단의 자극편(11a, 11b)이 2개의 철편(15, 16)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고정 철심(11)과 대향 배치하여 케이스(2)에 수납된다. 이때, 가동 철편(14)은, 케이스(2) 또는 도시하지 않는 커버에 의해 지지축(18a)을 통하여 2개의 가동 철편(15, 16)이 나란하게 되어 있는 방향, 즉, 도 1,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기 접점부(20)는, 고정 단자판(21)에 고정 접점(22)을 결합한 고정 접촉부(20A)와, 가동 단자판(23)에, 가동 접점(24)이 결합된 가동 접점 스프링(25)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부(20B)를 구비한다. 고정 접촉부(20A)와 가동 접촉부(20B)를 대향시켜 케이스(2) 내에 수용하고, 고정 접점(22)과 가동 접점(24)을 간격을 두고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한다.
전자석부(10)와 전기 접점부(20)를 연계하기 위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판(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판(31)의 일단을 가동 철편(14)의 걸림결합편(16a)에 걸림결합하고, 타단을 전기 접점부(20)의 가동 접점 스프링(25)의 선단에 걸림결합함으로써, 전자석부(10)와 전기 접점부(20)를 연계시킨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래칭 릴레이의 전기 접점부의 전환 동작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동 철편(14)에 내장된 영구자석(17)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형상 철편(16)에 접하는 측이 N극, 막대형상 철편(15)에 접하는 측이 S극이 되도록 배치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17)의 자력에 의해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부가, 고정 철심(11)의 상단측의 자극편(11a)에,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부가 하단측의 자극편(11b)에 흡착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을 때에는, 막대형상 도체(16)의 선단에 걸림결합된 슬라이드판(3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14)에 의해 좌측으로 끌리므로. 좌측(전자석부측)으로 수평 이동한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전기 접점부(20)의 가동 접점 스프링(25)의 선단이 이 슬라이드판(31)에 의해 좌측으로 끌리기 때문에 가동 접점(24)이 고정 접점(22)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 접점부(20)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여자 코일(13)에, 도 6(A)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향의 자속(Φm)이 발생되는 극성의 직류의 여자 전류를 통류시키면, 이 자속(Φm)은, 영구자석(17)이 만드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자속(Φp)과는 역(逆)극성이 되기 때문에, 서로 접촉하고 있는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a)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과의 사이 및 고정 철심(11)의 하단의 자극편(11b)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과의 사이에 자기 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a)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상단과의 사이 및 고정 철심(11)의 하단의 자극편(11b)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하단과의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철편(14)이 도 6(A)에 나타내는 화살표 R방향(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상단과 막대형상 철편(16)의 하단이 각각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a) 및 하단의 자극편(11b)에 흡착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가동 철편(14)의 회동 위치가 전환됨으로써, 슬라이드판(31)이 가동 철편(14)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전기 접점부(20)의 가동 접점 스프링(25)의 선단이,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가동 접점(24)이 고정 접점(22)에 맞닿아, 전기 접점부(20)가 온 상태로 전환된다. 전기 접점부(20)의 상태가 전환된 후에, 여자 코일(13)로의 여자 전류의 통류가 정지되지만, 통류정지 후에는, 영구자석(17)이 발생하는 자속(Φp)이 도 6(B)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14)과 고정 철심(11)의 사이를 도 6(A)에 나타내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통류되고, 서로 접촉한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상단과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a)과의 사이, 및 막대형상 철편(16)의 하단과 하단의 자극편(11b)과의 사이의 쌍방에 있어서 자기 흡인력이 생겨, 이 회동 위치가 유지되므로, 전기 접점부(20)는 그대로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전회와는 반대의 극성의 여자 전류를 여자 코일(13)로 통류시키면 고정 철심(11)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의 자속(Φm)이 발생되며, 이번에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a)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상단과의 사이 및 고정 철심(11)의 하단의 자극편(11b)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하단과의 사이에 자기 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a)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과의 사이 및 고정 철심(11)의 하단의 자극편(11b)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과의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철편(14)이 도 6(B)에 나타내는 화살표 L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과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이 각각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a) 및 하단의 자극편(11b)에 흡착되며,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가동 철편(14)의 회동 위치가 전환됨으로써, 슬라이드판(31)이 가동 철편(14)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전기 접점부(20)의 가동 접점 스프링(25)의 선단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므로, 가동 접점(24)이 고정 접점(22)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 접점부(2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전기 접점부(20)의 상태가 전환된 후에, 여자 코일(13)로의 여자 전류의 통류가 정지되지만, 통류 정지 후에는, 영구자석(17)의 자속(Φp)이 도 6(A)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14)과 고정 철심(11)의 사이에서 도 6(B)의 통류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통류되어, 서로 접촉한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과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a), 및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과 하단의 자극편(11b)과의 사이의 쌍방에 있어서 생기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이 회동 위치가 유지되므로, 전기 접점부(20)는, 그대로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도 7 및 도 8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자석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의 실시예 1에 대해서는, 전자석부(10)의 고정 철심(11)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철심으로 구성되며, 이것과 대향하는 가동 철편(14)이 I자형의 2개의 막대형상 철편(15, 16)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전자석부(10)의 고정 철심(11′)이 I자형의 막대형상 철심으로 구성되며, 이것에 대향하는 가동 철편(14′)이, 2개의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가동 철편(15′, 16′)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가동 철편(15′, 16′)은, 중간부에 영구자석(17)을 사이에 끼우고, 절연 수지제의 홀더(18)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일방의 가동 철편(16′)의 선단에는, 전기 접점부(2)와 연계하기 위한 걸림결합편(16′a)이 형성되며, 홀더(18)의 중앙부 외측에는, 가동 철편(1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8a)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동 철편(14′)은,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철심(11′)의 자극편(磁極片)이 되는 양단부가 2개의 가동 철편(15′, 16′)의 다리편부(脚片部)(15′b, 16′b) 사이 및 다리편부(15′c, 16′c)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고정 철심(11′)과 대향 배치하고, 도 1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에 수납된다. 이때, 가동 철편(14′)은, 케이스(2) 또는 도시하지 않는 커버에 의해 지지축(18a)을 통하여 2개의 가동 철편(15′, 16′)이 정렬되어 있는 방향, 즉, 도 7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실시예 2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전자석부(10)의 여자 코일(13)에 통류되는 여자 전류의 극성을 전환함으로써, 가동 철편(14′)의 회동 위치를 정회전 위치(forward pivotal position)와 반전(反轉)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가능하여, 전기 접점부(20)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여자 전류의 통전 정지 후에도,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전환 후의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9로부터 도 12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전자석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3은, 상기의 실시예 1의 전자석부(10)의 가동 철편(14)의 회동 스트로크(pivotal stroke)(회동 각도) 및 전자석부(10)의 고정 철심과 가동 철심편과의 자기 흡착 유지력을 증대하도록 개량한 것이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전자석부(10)는, 실시예 1의 전자석부(10)와 마찬가지로, 고정 철심(11)이 대략 U자형 철심으로 구성되며, 이것과 대향하는 가동 철편(14)이 2개의 I자형의 막대형상 철편(15, 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가동 철편(15, 16)은, 중간부에 영구자석(17)을 사이에 끼우고, 절연 수지제의 홀더(18)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일방의 가동 철편(16)의 선단에는, 전기 접점부(2)와 연계하기 위한 걸림결합편(16a)이 형성되며, 홀더(18)의 중앙부 외 측에는, 가동 철편(1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8a)이 설치되어 있다.(도 9, 도 10 참조)
이 실시예 3에 있어서는, 게다가 가동 철편(14)의 2개의 I자형의 막대형상 철편(15, 16)의 상하 단부의 고정 철심(11)과 대향하는 면에, 각각, 고정 철심(11)과 접촉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비스듬하게 잘라내어 형성한 경사면(15b, 15c 및 16b, 16c)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점이 실시예 1과는 다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3의 전자석부(10)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전자석부(10)의 여자 코일(13)에 통류되는 여자 전류의 극성을 전환함으로써, 가동 철편(14)의 회동 위치를 정회전 위치와 반전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하여, 전기 접점부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여자 전류의 통전 정지 후에도,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회동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전자석부(10)의 가동 철편(14)의 I자형의 2개의 막대형상 철편(15, 16)의 각각의 상하 단부의 고정 철심(11)과 대향하는 면의 고정 철심(11)과 접촉하는 부분에, 경사면(15b, 15c 및 16b, 16c)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편(14)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각각 고정 철심(11)에 접촉하며, 유지된 회동 위치에 있어서는, 도 11의(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15c와 16b), 및 경사면(15b와 16c)의 대략 전면(全面)이 각각 고정 철심(11)의 대향하는 측면에 접촉하여, 가동 철편(14)과 고정 철심(11)이 면(面)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 철편(14)의 상하 단부의 고정 철심(11)과 접촉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가동 철편(14)이 좌우로 회동하여 고정 철심(11)에 접촉하여 유지된 회동 위치에 있어서, 가동 철편(14)과 고정 철심(11)이 면접촉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기 때문에, 가동 철편(14)의 고정 철심(11)의 자력에 의한 유지력이 증대하며, 외부로부터의 진동, 충격력 등에 대한 내력(耐力)이 높아져, 전기 접점부의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예 3에 의하면, 경사면을 설치하기 위해서 가동 철편(14)을 잘라낸 양만큼, 가동 철편(14)의 회동 각도가 증대한다. 이 결과, 도 12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실시예 1의 가동 철편(14)과, 실선으로 나타내는 본 실시예 3의 가동 철편(14)을 겹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자의 변위차(x)만큼, 실시예 3의 가동 철편(14)의 회동 스트로크(회동 각도)가 커진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예 3의 전자석부를 사용한 래칭 릴레이는, 전기 접점부의 접점 개극(開極) 거리가 커져, 래칭 릴레이의 내(耐)전압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4]
도 13 내지 도 15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전자석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4는, 상기의 실시예 2의 전자석부(10)의 가동 철편(14′)의 회동 스트로크(회동 각도) 및 전자석부(10)의 고정 철심과 가동 철심편과의 자기 흡착 유지력을 증대하도록 개량한 것이다.
실시예 4의 전자석부(10)는, 실시예 2의 전자석부(10)와 마찬가지로, I자형의 막대형상 철심으로 구성된 고정 철심(11′)과, 2개의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가동 철편(15′, 16′)으로 구성된 가동 철편(14′)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가동 철편(15′, 16′)은, 중간부에 영구자석(17)을 사이에 끼우고, 절연 수지제의 홀더(18)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일방의 가동 철편(16′)의 선단에는, 전기 접점부(2)와 연계하기 위한 걸림결합편(16′a)이 형성되며, 홀더(18)의 중앙부 외측에는, 가동 철편(1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8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 4에 있어서는, 게다가, I자형의 막대형상 철심으로 구성된 고정 철심(11′)의 상하 단부의 가동 철편(14′)과 대향하는 양측면에, 각각 가동 철편(15′, 16′)과 접촉하는 부분을 비스듬하게 잘라내어 형성한 경사면(11′c, 11′d 및 11′e, 11′f)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점이 상기의 실시예 2와는 다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4의 전자석부(10)는, 실시예 2와 완전히 동일하게 전자석부(10)의 여자 코일(13)로 통류되는 여자 전류의 극성을 전환함으로써, 가동 철편(14′)의 회동 위치를 정회전 위치와 반전 위치로 전환하여, 전기 접점부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여자 전류의 통전 정지 후에도, 도 15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회동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4의 전자석부(10)의 I자형의 고정 철심(11′)의 상하 단부의 가동 철편(14′)과 대향하는 면의 가동 철편과 접촉하는 부분에, 각각, 경사면(11′c, 11′d 및 11′e, 11′f)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편(14′)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각각 고정 철심(11′)에 접촉하여 유지된 회동 위치에 있어서는, 도 15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11′d, 11′e) 및 경사면(11′c, 11′f)의 거의 전면에 가동 철편(14′)의 대향하는 측면이 접촉하여, 고정 철심(11′)과 가동 철편(14′)이 면(面)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 4에 의하면,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고정 철심(11′)의 상하 단부의 가동 철편(14′)과 접촉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가동 철편(14′)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고정 철심(11′)에 접촉하여 유지된 회동 위치에 있어서, 가동 철편(14′)과 고정 철심(11′)이 면접촉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기 때문에, 가동 철편(14′)의 고정 철심(11′)의 자력에 의한 유지력이 증대하며, 외부로부터의 진동, 충격력 등에 대한 내력이 높아져, 전기 접점부의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예 4에 의하면, 경사면을 설치하기 위해서 고정 철심(11′)을 부분적으로 비스듬하게 잘라낸 양만큼, 가동 철편(14′)의 회동 각도가 증대한다. 이 결과,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가동 철편(14′)의 회동 스트로크(회동 각도)가 커지기 때문에, 이 실시예 4의 전자석부를 사용한 래칭 릴레이는, 전기 접점부의 접점 개극 거리가 커져, 래칭 릴레이의 내전압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래칭 릴레이의 실시예 5를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다.
이 실시예 5의 래칭 릴레이(1)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석부(10), 전기 접점부(20)를 절연 수지제의 케이스(2)에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이 실시예 5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 점이, 실시예 1과는 다르다.
우선, 제1점은, 전자석부(10)의 여자 코일(13)을 장착한 고정 철심(11)의 방향이, 실시예 1(도 1)의 고정 철심(11)을 수평 방향으로 90°회전시킨 방향으로 한 구성이다.
그리고, 제2점은, 고정 철심(11)의 상하의 수평 방향의 자극편(11a 및 11b)의 선단을 각각 내측으로 직각으로 접어 구부리며, 새롭게 상하 방향으로 짧게 연장된 자극편(11c 및 11d)을 형성하여, 고정 철심(11)을 대략 C자형으로 형성한 구성이다.
전자석부(10)는, 도 17에 상세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상하 방향으로 짧게 연장된 자극편(11c 및 11d)을 구비한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된 고정 철심(11)을 가진다. 이 고정 철심(11)의 중간 부분에는, 여자 코일(13)이 감아 장착된 코일보빈(1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보빈(12)에 감아 장착된 여자 코일(13)의 감김 높이(h)는, 권선(券線)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고정 철심(11)의 자극편(11c와 11d)의 사이의 틈새 폭(d) 이하의 치수로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 철심(11)의 대향하는 자극편(11c와 11d)의 사이의 절개(切開)된 공간(G) 내에, 가동 철편(14)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동 철편(14)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가동 철편과 마찬가지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I자형의 막대형상 철편(15, 16)과, 이 철편(15, 16) 사이의 중앙부에 끼워 넣은 직방체의 영구자석(17)을, 절연성 수지로 구성한 홀더(18)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일방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에는 전기 접점부(20)와 연계하기 위한 슬라이드판(31)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편(16a)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홀더(18)에는, 가동 철편(14)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동 지지축(18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18a)은, 케이스(2)에 수납되었을 때, 이 케이스(2)에 형성된 여기에는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가동 철편(14)을 막대형상 철편(15, 16)이 정렬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동 철편(14)을 고정 철심(11)의 대향하는 자극편(11c와 11d)의 사이의 절개된 공간(G) 내에 삽입 배치할 때, 고정 철심(11)의 상하의 자극편(11c 및 11d)의 선단부가 각각, 2개의 막대형상 철편(14와 16)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도록 가동 철편(14)과 고정 철심(11)을 대향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 막대형상 철편(15, 16)의 상하 양단부의 자극편(11c 및 11d)과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경사면(15b, 15c 및 16b, 16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5의 래칭 릴레이의 전환 동작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의 래칭 릴레이의 전환 동작과 다르지 않다.
즉,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는 극성으로 자화된 영구자석(17)의 자력에 의해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부의 경사면(16b)이, 고정 철심(11)의 상단측의 자극편(11c)에,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부의 경사면(15c)이 하단측의 자극편(11d)에 흡착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막대형상 도체(16)에 결합된 걸림결합편(16a)에 의해 슬라이드판(31)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14)에 의해 좌측으로 끌어 당겨진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전기 접점부(20)의 가동 접점 스프링(25)의 선단이 이 슬라이드판(31)에 의해 좌측으로 끌어 당겨지기 때문에 가동 접점(24)이 고정 접점(22)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 접점부(20)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여자 코일(13)에, 도 18(A)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향의 자속(Φm)을 발생하는 극성의 직류의 여자 전류를 통류시키면, 이 자속(Φm)은, 영구자석(17)이 만드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자속(Φp)과는 역극성이 되기 때문에, 서로 접촉하고 있는 고정 철심(11)의 상측의 자극편(11c)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부의 경사면(16b)과의 사이 및 고정 철심(11)의 하측의 자극편(11d)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부의 경사면(15c)과의 사이에 자기 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철심(11)의 상측의 자극편(11c)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상단부의 경사면(15b)과의 사이 및 고정 철심(11)의 하측의 자극편(11d)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하단부의 경사면(16c)과의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철편(14)이 도 18(A)에 나타내는 화살표 R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상단부의 경사면(15b)과 막대형상 철편(16)의 하단부의 경사면(16c)이 각각 고정 철심(11)의 상측의 자극편(11c) 및 하측의 자극편(11d)에 흡착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가동 철편(14)의 회동 위치가 전환됨으로써, 슬라이드판(31)이 걸림결합편(16a)을 통하여 가동 철편(14)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전기 접점부(20)의 가동 접점 스프링(25)의 선단이, 도 16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가동 접점(24)이 고정 접점(22)에 맞닿아, 전기 접점부(20)가 온 상태로 전환된다. 전기 접점부(20)의 상태가 전환된 후에, 여자 코일(13)로의 여자 전류의 통류가 정지되지만, 통류 정지 후에는, 영구자석(17)이 발생하는 자속(Φp)이 도 18(B)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14)과 고정 철심(11)의 사이에서 통류된다. 이 자속(Φp)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상단부의 경사면(14b)이, 고정 철심(11)의 상측의 자극편(11c)에, 그리고, 막대형상 철편(16)의 하단부의 경사면(16c)이 하측단의 자극편(11d)에 각각 자기 흡착되어, 이 회동 위치가 유지되므로, 전기 접점부(20)를 그대로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8(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전회와는 반대의 극성의 여자 전류를 여자 코일(13)에 통류시키면 고정 철심(11)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의 자속(Φm)이 발생되며, 이번에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고정 철심(11)의 상측의 자극편(11c)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상단부의 경사면(15b)과의 사이 및 고정 철심(11)의 하측의 자극편(11d)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하단부의 경사면(16c)과의 사이에서 자기 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철심(11)의 상측의 자극편(11c)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부의 경사면(16b)과의 사이 및 고정 철심(11)의 하측의 자극편(11d)과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부의 경사면(15c)과의 사이에서 자기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철편(14)이 도 18(B)에 나타내는 화살표 L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부의 경사면(16b)과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부의 경사면(15c)이 각각 고정 철심(11)의 상단의 자극편(11c) 및 하단의 자극편(11d)에 흡착되며, 도 18(A)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가동 철편(14)의 회동 위치가 전환됨으로써, 슬라이드판(31)이 가동 철편(14)에 의해 끌어 당겨져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전기 접점부(20)의 가동 접점 스프링(25)의 선단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므로, 가동 접점(24)이 고정 접점(22)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 접점부(2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전기 접점부(20)의 상태가 전환된 후에, 여자 코일(13)로의 여자 전류의 통류가 정지되지만, 통류 정지 후에는, 영구자석(17)의 자속(Φp)이 도 18(A)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14)과 고정 철심(11)의 사이에서 통류된다. 이 자속(Φp)의 자력에 의해 서로 접촉한 가동 철편(14)의 막대형상 철편(16)의 상단부의 경사면(16b)과 고정 철심(11)의 상측의 자극편(11c), 및 막대형상 철편(15)의 하단부의 경사면(15c)과 하측의 자극편(11d)이 각각 자기 흡착하여, 이 위치가 유지되므로, 전기 접점부(20)를 그대로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 5와 같이, 전자석(10)의 고정 철심(11)을 대략 C자형으로 형성한 철심에 의해 구성하고, 이 C자형 고정 철심(11)의 절개된 부분의 공간(G) 내에 가동 철심(14)을 배치하도록 하면, 가동 철심(11)의 일방의 막대형상 철심(15)이 C자형 고정 철심의 빈 곳 내에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전자석(10)의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부(10)의 여자 코일(13), 가동 철편(14) 및 전기 접점부(20)를 직선 형상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래칭 릴레이의 두께를 대략 여자 코일(13)의 직경 범위에 둘 수 있어,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자석부의 고정 철심과 가동 철편의 쌍방의 대향면에 각각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 철심과 가동 철편의 쌍방에 경사면을 설치하도록 하면, 가동 철편의 회동 스트로크(회동 각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래칭 릴레이의 전자석부의 여자 전류의 통전극성을 전환함으로써, 가동 철편의 회동 위치를 반전시켜, 전기 접점부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여자 전류의 통전 정지 후에도,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칭 릴레이의 전자석부의 가동 철편을 구성하는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은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영구자석을 크게 해도 전자석부의 치수를 억제할 수가 있어, 래칭 릴레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한 유지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철편의 일방의 철편의 상단과 타방의 철편의 하단, 또는 일방의 철편의 하단과 타방의 철편의 상단의 쌍방이, 반드시 고정 철심(11)의 상하 양단의 자극편에 접촉함으로써, 영구자석에 의한 가동 철편의 흡인력을 증대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의 영구자석을 사용해도, 전기 접점의 유지 동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져도 전기 접점이 부적당하게 전환되는 것과 같은 오동작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어, 래칭 릴레이의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다.
1:래칭 릴레이
2:케이스
10:전자석부
11:고정 철심
11 a, 11 b:자극편
12:코일보빈
13:여자 코일
14:가동 철편
15, 16:막대형상 철편
16a:걸림결합편
17:영구자석
18:절연 수지제 홀더
18a:회동 지지축
20:전기 접점부
21:고정 단자판
22:고정 접점
23:가동 단자판
24:가동 접점
25:가동 접점 스프링

Claims (6)

  1. 중간에 여자(勵磁) 코일을 감아 장착하고, 양단에 자극편(磁極片)을 가지는 대략 U자형의 고정 철심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막대형상 철편(鐵片)의 사이의 중앙부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고, 절연성 수지의 홀더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한 가동 철편과, 전환 가능한 전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철심의 양측의 자극편이 각각 상기 가동 철편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의 공간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가동 철편을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편을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이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回動)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 철편과 상기 전기 접점부를 연계하여, 상기 가동 철편에 의해 전기 접점부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2. 중간에 여자 코일을 감아 장착하고, 양단에 자극편을 가지는 대략 I자형의 고정 철심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대략 U자형 철편의 사이의 중앙부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고, 절연성 수지의 홀더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한 가동 철편과, 전환 가능한 전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철심의 양측의 자극편이 각각 상기 가동 철편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U자형 철편의 사이의 공간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가동 철편을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편을 상기 2개의 U자형 철편이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 철편과 상기 전기 접점부를 연계하여, 상기 가동 철편에 의해 전기 접점부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3. 중간에 여자 코일을 감아 장착하고, 양단에 자극편을 가지는 대략 C자형의 고정 철심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의 중앙부에 영구자석을 끼워 넣고, 절연성 수지의 홀더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 고정한 가동 철편과, 전환 가능한 전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철심의 양단의 자극편이 각각 상기 가동 철편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의 사이의 공간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가동 철편을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편을 상기 2개의 막대형상 철편이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 철편과 상기 전기 접점부를 연계하여, 상기 가동 철편에 의해 전기 접점부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철심과 가동 철편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철심과 가동 철편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철심과 가동 철편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KR1020137012462A 2010-11-30 2011-11-24 래칭 릴레이 KR20130111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6732 2010-11-30
JP2010266732 2010-11-30
JPJP-P-2011-125262 2011-06-03
JP2011125262 2011-06-03
PCT/JP2011/077028 WO2012073780A1 (ja) 2010-11-30 2011-11-24 ラッチングリレ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566A true KR20130111566A (ko) 2013-10-10

Family

ID=4617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462A KR20130111566A (ko) 2010-11-30 2011-11-24 래칭 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3473B2 (ko)
EP (1) EP2648203A4 (ko)
JP (1) JPWO2012073780A1 (ko)
KR (1) KR20130111566A (ko)
CN (1) CN103222023A (ko)
WO (1) WO20120737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04A (ko) * 2015-04-06 2016-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래칭 릴레이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KR20190048793A (ko) * 2017-10-31 2019-05-0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래칭 릴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2012068896A (en) * 2012-09-17 2014-04-28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Tool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ctromagnetic relay
EP2881963B1 (de) * 2013-12-09 2017-08-09 Gruner AG Relais-Magnetantrieb
FR3028090B1 (fr) * 2014-11-05 2018-04-13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et contacteur electriqu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KR101951428B1 (ko) * 2015-07-15 2019-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래치 릴레이
JP6631068B2 (ja) * 2015-07-27 2020-01-15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EP3185273A1 (en) * 2015-12-22 2017-06-28 ABB Schweiz AG Bi-stable relay
CN106384697A (zh) * 2016-11-09 2017-02-08 东莞市三友联众电器有限公司 一种磁路构造及带有磁路构造的继电器
US11501938B2 (en) 2019-07-09 2022-11-15 Xiamen Hongfa Electroacoustic Co., Ltd. Magnetic latching relay
US11257647B1 (en) * 2021-01-21 2022-02-22 Song Chuan Precision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605823U (de) * 1967-12-23 1970-07-09 Gruner Wolfgang Polarisiertes haftrelais
JPS5562636A (en) * 1978-11-02 1980-05-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gnetic circuit block for polarized relay
US4843360A (en) * 1987-02-05 1989-06-27 Takamisawa Electric Co., Ltd.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JPH01136312A (ja) * 1987-11-24 1989-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石装置
JP2887959B2 (ja) * 1990-09-06 1999-05-10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継電器の電子部品取付装置
DE9320696U1 (de) * 1993-07-15 1994-11-24 Gruner Kg Relais Fabrik Relais zum Schalten hoher Stromstärken
US6025766A (en) * 1997-04-11 2000-02-15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KR100388768B1 (ko) * 1999-10-26 2003-06-25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 릴레이
US6949997B2 (en) * 2003-09-26 2005-09-2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i-stable trip-free relay configuration
US7710224B2 (en) * 2007-08-01 2010-05-04 Clodi, L.L.C.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JP2009199732A (ja) 2008-02-19 2009-09-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ラッチングリレー
JP2009259612A (ja) * 2008-04-17 2009-11-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双安定リレー
US7889032B2 (en) * 2008-07-16 2011-02-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CN201247742Y (zh) * 2008-08-06 2009-05-27 厦门宏发电声有限公司 一种电磁继电器
US8502627B1 (en) * 2012-09-19 2013-08-06 International Controls And Measurements Corporation Relay with stair-structured pole fa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04A (ko) * 2015-04-06 2016-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래칭 릴레이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KR20190048793A (ko) * 2017-10-31 2019-05-0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래칭 릴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8203A1 (en) 2013-10-09
CN103222023A (zh) 2013-07-24
JPWO2012073780A1 (ja) 2014-05-19
WO2012073780A1 (ja) 2012-06-07
US8823473B2 (en) 2014-09-02
EP2648203A4 (en) 2014-12-03
US20130229246A1 (en)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1566A (ko) 래칭 릴레이
JP5797351B2 (ja) 2つの反対に作動可能なスイッチを備える継電器
CN110164725B (zh) 电磁继电器
JP5768223B2 (ja) 接点装置
US20210375569A1 (en) Contact device, electromagnetic relay, and electrical device
JP6168785B2 (ja) 有極電磁継電器
JP5629108B2 (ja) 接点装置
JP2011204473A (ja) 接点装置
US8963660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5549642B2 (ja) 継電器
EP3706152B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3557586A (zh) 电磁继电器
WO2019167825A1 (ja) 接点装置モジュール、電磁継電器モジュール及び電気機器
JP2011204476A (ja) 接点装置
JPWO2019103063A1 (ja) 接点モジュール、接点装置、電磁継電器モジュール、及び電気機器
JP7357193B2 (ja) 電磁継電器
CN113223904A (zh) 电磁脱扣器以及包括该电磁脱扣器的电气保护设备
JP6964252B2 (ja)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JP2012104362A (ja) 接点装置
JP2019139885A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継電器
JP6994672B2 (ja) 電磁リレー
JP5629106B2 (ja) 接点装置
JP7117497B2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リレー
JP4742790B2 (ja) 電磁石装置および電磁リレー
JP2011204477A (ja) 接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