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806A -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Google Patents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0806A KR20130110806A KR1020120033057A KR20120033057A KR20130110806A KR 20130110806 A KR20130110806 A KR 20130110806A KR 1020120033057 A KR1020120033057 A KR 1020120033057A KR 20120033057 A KR20120033057 A KR 20120033057A KR 20130110806 A KR20130110806 A KR 20130110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ivator
- plowing
- main frame
- shaft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01B35/22—Non-rotating tools; Resilient or flexible mounting of rigid tools
- A01B35/26—Rigid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01B35/08—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with rigid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축연결부(11)가 마련된 메인프레임(10)과, 상기 축연결부(11)에 연결되는 경운기연결축(20) 및 보조연결축(3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는 밭갈이부(40,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프레임의 축연결부에 경운기의 전, 후방으로 연결되는 경운기연결축 및 보조연결축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서로 대칭인 부분원호판 구조를 갖는 한 쌍의 밭갈이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밭갈이가 경운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어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부분원호판 구조의 밭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기본 밭두둑, 밭고랑, 밭갈이 형성 등 다양한 용도의 밭갈이 작업이 가능하게 되면서 장치에 대한 신뢰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따라서, 메인프레임의 축연결부에 경운기의 전, 후방으로 연결되는 경운기연결축 및 보조연결축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서로 대칭인 부분원호판 구조를 갖는 한 쌍의 밭갈이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밭갈이가 경운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어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부분원호판 구조의 밭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기본 밭두둑, 밭고랑, 밭갈이 형성 등 다양한 용도의 밭갈이 작업이 가능하게 되면서 장치에 대한 신뢰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의 축연결부에 경운기의 전, 후방으로 연결되는 경운기연결축 및 보조연결축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서로 대칭인 부분원호판 구조를 갖는 한 쌍의 밭갈이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밭갈이가 경운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어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부분원호판 구조의 밭갈이부를 이용하여 밭두둑, 밭고랑, 밭갈이 등 다양한 용도의 밭갈이 작업이 가능하여 장치에 대한 신뢰성 향상도 꾀할 수 있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고랑이라고 함은 밭이랑 사이의 홈이 진 부분을 말하여, 이와 대응되는 밭두둑은 갈아 놓은 밭의 고랑 사이에 흙을 두둑하게 올려 만든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밭고랑은 보통 경운기 등의 동력장치나 농업용 소 등을 이용하여 이들에 쟁기 등 밭갈이용 농기구를 장착한 후 소정 방향으로 일직선을 따라 진행되는 과정에서 농기구가 해당 농지를 파 걷어내면서 소정의 홈이 형성되는 데 이 홈이 결과적으로 밭고랑이 되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농기구를 통해 흙을 걷어내어 밭고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걷어져지는 흙은 밭고랑 형성 방향 양측으로 밀려나면서 소정의 밭두둑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밭두둑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른바 반원기둥 형상으로 다듬어져 소정의 밭두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밭고랑이나 밭두둑을 형성하는 작업은 보통 경운기 등의 동력을 이용하더라도 어느 정도 밭두둑은 형성할 수 있으나, 밭두둑 구조의 밭고랑은 다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그 형상을 다져놓아야만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관계로 종래 기술의 농기구만으로는 밭두둑을 형성하기가 여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폭 조절 등을 행하는 것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일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의 축연결부에 경운기의 전, 후방으로 연결되는 경운기연결축 및 보조연결축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서로 대칭인 부분원호판 구조를 갖는 한 쌍의 밭갈이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밭갈이가 경운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어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부분원호판 구조의 밭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밭두둑, 밭고랑, 밭갈이 등 다양한 용도의 밭갈이 작업이 가능하여 장치에 대한 신뢰성 향상도 꾀할 수 있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는 경운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부에 축연결부가 마련된 메인프레임; 상기 축연결부의 일단부에 그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경운기에 연결 고정되는 경운기연결축; 상기 축연결부의 타단부에 그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경운기에 힌지 연결 고정되는 보조연결축;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으로 연장되는 밭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연결부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직교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서로 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상기 경운기연결축의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공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장공 사이에 상기 보조연결축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힌지핀으로 힌지 연결된다.
상기 경운기에는 그 상측부가 전후방으로 축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관체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연결축은 그 상단부가 상기 높이조절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되며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밭갈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어 지면에서 일정거리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그 타측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원호판 형상의 두둑형성부; 상기 두둑형성부의 지면과 맞닿는 하단부에 마련된 밭갈이날; 및 상기 두둑형성부의 선단 테두리 전체에 걸쳐 상향 직립되는 직립벽 형상의 두둑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밭갈이날은 상기 둔덕형성부의 하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다가 그 단부에서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각 절곡 구조로 되고, 상기 밭갈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밭갈이부의 연결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형을 감싸는 관체 형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소정 위치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별도의 체결구를 마련하여, 상기 체결공으로의 상기 체결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체결구의 선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표면을 가압하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밭갈이부는 상기 축연결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인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상단부가 다른 하나의 상단부를 덮어씌우도록 서로 간의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대칭인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는 메인프레임의 축연결부에 경운기의 전, 후방으로 연결되는 경운기연결축 및 보조연결축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서로 대칭인 부분원호판 구조를 갖는 한 쌍의 밭갈이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밭갈이가 경운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어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부분원호판 구조의 밭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기본 밭두둑, 밭고랑, 밭갈이 형성 등 다양한 용도의 밭갈이 작업이 가능하게 되면서 장치에 대한 신뢰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이 장애물에 의해 상측으로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밭갈이를 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밭두둑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밭두둑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밭고랑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이 장애물에 의해 상측으로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밭갈이를 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밭두둑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밭두둑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밭고랑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는 축연결부(11)가 마련된 메인프레임(10)과, 상기 축연결부(11)에 연결되는 경운기연결축(20) 및 보조연결축(3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는 밭갈이부(40,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경운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부 상면에 축연결부(11)가 마련된 사각 관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연결부(1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 중앙에 직교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어 그 전후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서로 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각각의 브래킷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니은자(ㄴ) 직립판 형상으로, 상기 경운기연결축(20)의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힌지핀(21)으로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브래킷의 선단부에 각각 핀관통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후단부에는 상기 보조연결축(30)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장공힌지핀(31)으로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힌지핀(31)이 전후로 소정거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공(11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운기연결축(20)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연결부(11)의 선단부에 그 하단부가 핀관통공(11a)을 통한 힌지핀(21)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경운기에 연결 고정되는 원관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연결축(3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연결부(11)의 후단부인 장공(11b) 사이에 그 하단부가 장공힌지핀(31)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경운기에 힌지 연결 고정되는 원관체 형상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경운기에는 그 상측부가 전후방으로 축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관체(35)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연결축(30)은 그 상단부가 상기 높이조절관체(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되며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연결축(30)을 높이조절관체(35)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강구할 수 있을 것이며, 일례로 상기 보조연결축(30)의 외주면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관통공(30a)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관체(35)의 외주면에는 단일 관통공(35a)을 형성한 후 상기 보조연결축(30)을 높이조절관체(35)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출몰시켜 가면서 이들 서로의 관통공(30a,35a)들을 일치시킨 다음 별도의 고정핀(37)을 통해 상기 보조연결축(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축연결부(11)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경운기연결축(20)과 보조연결축(30)을 각각 경운기로 연결시키면 결과적으로 상기 경운기연결축(20)의 그 상단부는 경운기에 고정 연결되는 동시에 그 하단부는 상기 축연결부(11)와 힌지 연결된 상태가 되고, 또한, 상기 보조연결축(30)은 그 상단부가 상기 높이조절관체(35)에 삽입되어 고정핀(37)에 의해 소정 높이에서 고정되기는 하나 상기 높이조절관체(35) 그 자체가 경운기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보조연결축(30)의 상단부는 힌지 연결된 상태가 되고 그 하단부는 장공힌지핀(31)에 의해 축연결부(11)에 힌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축연결부(11)를 통한 경운기와 메인프레임(10)의 연결 구조는 이른바 4절 링크 구조를 대입시켜 볼 경우, 그 전방 상단은 고정, 전방 하단은 힌지 회전, 후방 상단은 힌지 회전, 후방 하단은 힌지 회전 및 장공 이동의 연결 구조를 갖게 되면서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이 경운기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되어 있는 밭갈이부(40)가 해당 지면의 돌부리 등 장애물에 걸릴 경우 이에 대응해서 상기 축연결부(11)의 후단부가 상기 축연결부(11)의 전방 하단의 힌지점을 기준축으로 하여 힌지 회전과 장공 이동의 복합적인 움직임에 의해 상하로 소정각도 유동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밭갈이부(40)로 하여금 충격 흡수 기능을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연결축(30)을 높이조절관체(35)에 대해 출몰 슬라이딩시키면서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소정의 농기구에 대응되는 농지의 상태나 농작물 등을 고려하여 그 농기구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일반적인 농기구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적용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밭갈이부(4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으로 연장되는 이른바 농기구로서, 특히, 상기 밭갈이부(4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연결되는 연결부(41)와, 상기 연결부(41)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어 지면에서 일정거리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그 타측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원호판 형상의 두둑형성부(42)와, 상기 두둑형성부(42)의 지면과 맞닿는 하단부에 마련된 밭갈이날(43) 및 상기 두둑형성부(42)의 선단 테두리 전체에 걸쳐 상향 직립되는 직립벽 형상의 두둑높이조절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밭갈이날(43)은 상기 두둑형성부(42)의 하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다가 그 단부에서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단면 기역자(ㄱ) 형상의 직각 절곡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밭갈이부(4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밭갈이부(40)의 연결부(41)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외형을 감싸 씌울 수 있도록 하는 사각관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이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소정 위치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41)를 메임프레임(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연결부(41)의 상면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공(41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41a)에 나사 결합되는 별도의 체결구(45)를 마련하여, 상기 체결공(41a)으로의 상기 체결구(45)의 체결에 의해 이 체결구(45)의 선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대응되는 표면을 가압하면 상기 연결부(41)가 상기 메인프레임(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밭갈이부(40)는 상기 축연결부(11)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인 상기 메인프레임(10) 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상단부가 다른 하나의 상단부를 덮어씌우도록 서로 간의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대칭인 형상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밭갈이부(40)의 부분원호판 형상의 두둑형성부(42)는 소정의 장방형판재부(42a)를 복수개 연결하여 대략 4분원호 형상이 되도록 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두둑형성부(42) 중 어느 하나는 원호 크기가 4분원호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장방형판재부(42a)를 3개 연결하여 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원호 크기가 4분원호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장방형판재부(42a)를 2개 연결하여 서로 대략 대칭인 부분원호판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밭갈이부(40)의 용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예를 들어 땅을 파내지 위한 밭갈이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밭갈이부(40)를 이용하여 그 밭갈이날(43)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밭갈이부(40)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장착하여 해당 용도에 맞도록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밭고랑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밭갈이부(40)를 마련하고 이들의 서로의 밭갈이날(43)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중앙에 모이도록 하여 밭갈이부(40)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장착하게 되면 원하는 밭갈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서, 반원호 형상이 되도록 하여 밭갈이부(40)를 장착한 상태에서 경운기를 전진시키면 이들 밭갈이부(40)의 양단으로 향해있는 밭갈이날(43)이 지면을 걷어 올리면서 흙이 양측으로 퍼져나가는데, 이때 서로의 안쪽으로 퍼져나가는 흙이 합쳐지면서 상기 반원호 형상의 밭갈이부(40)의 내부 공간으로 모여 반원기둥 형상의 밭두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중앙으로 모여드는 흙은 다시 그 상부를 상기 두둑형성부(42) 선단부의 직립되어 있는 두둑높이조절부(44)에 의해 경운기의 진행방향인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원하고자 하는 정확한 높이 및 형상의 밭두둑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밭갈이부(40)의 메인프레임(10)에 대한 장착 폭넓이를 조절함으로써 밭두둑랑의 폭 크기도 다르게 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양측의 밭갈이부(40)의 폭 넓이를 좁히게 되면 그 중 하나의 밭갈이부(40)의 상기 한칸 더 연장되어 있는 장방형판재부(42a) 부분이 이웃하는 밭갈이부(40)의 상면을 덮어씌우는 형상이 되면서 결과적으로 밭두둑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를 경운기에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축연결부(11)와 힌지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축(20,30)을 상기 경운기로 연결한다.
이때, 선단부의 경운기연결축(20)은 그 상단부가 상기 경운기에 연결 고정되고, 그 후단부의 보조연결축(30)은 그 상단부가 상기 경운기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높이조절관체(35)로 삽입되어 그 높이가 조절된 후 별도의 고정핀(37)으로 상기 높이조절관체(35)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축(20,30) 연결이 완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 종류에 따라 상기 밭갈이부(40)를 메인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단순 밭갈이 작업의 경우, 단일 밭갈이부(40)만을 이용하여 그 밭갈이날(43)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면 되고, 한편, 밭두둑을 형성하는 작업의 경우, 한 쌍의 밭갈이부(40)의 각각의 밭갈이날(43)이 메인프레임(10)의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여 상기 밭갈이부(40)를 메인프레임(10)에 장착하면 되며, 또한, 밭두둑을 형성하는 작업의 경우, 한 쌍의 밭갈이부(40)의 각각의 밭갈이날(43)이 메인프레임(10)의 양단을 향하도록 하여 장착하면 서로가 만나는 형상이 소정의 반원호를 형성하여 밭두둑에 적합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이에 더해 상기 밭갈이날(40)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밭두둑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상기 해당 작업에 맞는 밭갈이부(40)를 장착한 후 경운기를 작동시켜 작업자가 진행방향을 따라 전진시키는 동시에 상기 밭갈이부(40)의 밭갈이날(43)을 지면으로 가압시키면 이 밭갈이날(43)이 지면의 흙을 파 올려 걷어내면서 밭갈이가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이렇게 흙을 걷어내는 과정에서, 예를 들어 일반 밭갈이의 경우, 단일 밭갈이날(43)에 의해 해당 지면이 진행방향을 따라 걷어내어 지면서 밭갈이가 이루어진다.
또한, 밭두둑 작업의 경우, 두 개의 밭갈이날(43)에 의해 지면이 일정폭 넓이로 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파헤쳐진 흙더미는 두둑높이조절부(44)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그 자취를 따라 소정의 밭두둑이 형성된다.
또한, 밭두둑 작업의 경우, 두 개의 밭갈이날(43)에 의해 파헤쳐진 흙더미가 밭갈이날(43)의 중앙 공간부로 모이게 되면서 두둑형성부(42)에 의해 소정의 밭두둑을 형성하는 동시에 두둑높이조절부(44)에 의해 일정 두둑 높이 이상의 흙더미는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원하는 높이 및 형상의 두둑, 즉 밭두둑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밭갈이가 진행되는 동안 지면에 돌부리 등 장애물이 있을 경우, 상기 밭갈이날(43)의 선단부가 걸리게 되면 이에 대응해서 상기 축연결부(11)의 힌지핀(21)을 힌지축으로 하여 그 후단부가 장공(11b)을 따라 이동 및 힌지 회전되는 장공연결핀(31)의 움직임에 의해 적절히 완충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밭갈이날(43)을 포함한 밭갈이부(40) 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는 메인프레임의 축연결부에 경운기의 전, 후방으로 연결되는 경운기연결축 및 보조연결축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고 서로 대칭인 부분원호판 구조를 갖는 한 쌍의 밭갈이부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밭갈이가 경운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어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부분원호판 구조의 밭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기본 밭두둑, 밭고랑, 밭갈이 형성 등 다양한 용도의 밭갈이 작업이 가능하게 되면서 장치에 대한 신뢰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메인프레임 11 : 축연결부
11a : 핀관통공 11b : 장공
20 : 경운기연결축 30 : 보조연결축
30a : 관통공 31 : 장공힌지핀
35 : 높이조절관체 35a : 관통공
37 : 고정핀 40 : 밭갈이부
41 : 연결부 41a : 체결공
42 : 두둑형성부 42a : 장방형판재부
43 : 밭갈이날 44 : 두둑높이조절부
45 : 체결구
11a : 핀관통공 11b : 장공
20 : 경운기연결축 30 : 보조연결축
30a : 관통공 31 : 장공힌지핀
35 : 높이조절관체 35a : 관통공
37 : 고정핀 40 : 밭갈이부
41 : 연결부 41a : 체결공
42 : 두둑형성부 42a : 장방형판재부
43 : 밭갈이날 44 : 두둑높이조절부
45 : 체결구
Claims (9)
- 경운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부에 축연결부가 마련된 메인프레임;
상기 축연결부의 일단부에 그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경운기에 연결 고정되는 경운기연결축;
상기 축연결부의 타단부에 그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경운기에 힌지 연결 고정되는 보조연결축;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으로 연장되는 밭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부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직교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서로 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상기 경운기연결축의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후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공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장공 사이에 상기 보조연결축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힌지핀으로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기에는 그 상측부가 전후방으로 축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관체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연결축은 그 상단부가 상기 높이조절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딩되며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밭갈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어 지면에서 일정거리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그 타측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원호판 형상의 두덕형성부;
상기 두둑형성부의 지면과 맞닿는 하단부에 마련된 밭갈이날; 및
상기 두둑형성부의 선단 테두리 전체에 걸쳐 상향 직립되는 직립벽 형상의 두둑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밭갈이날은 상기 두둑형성부의 하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다가 그 단부에서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각 절곡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밭갈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밭갈이부의 연결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형을 감싸는 관체 형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소정 위치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별도의 체결구를 마련하여, 상기 체결공으로의 상기 체결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체결구의 선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표면을 가압하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밭갈이부는 상기 축연결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인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상단부가 다른 하나의 상단부를 덮어씌우도록 서로 간의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대칭인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057A KR101352158B1 (ko) | 2012-03-30 | 2012-03-30 |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057A KR101352158B1 (ko) | 2012-03-30 | 2012-03-30 |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806A true KR20130110806A (ko) | 2013-10-10 |
KR101352158B1 KR101352158B1 (ko) | 2014-01-15 |
Family
ID=4963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3057A KR101352158B1 (ko) | 2012-03-30 | 2012-03-30 |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15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6021B1 (ko) * | 2019-04-09 | 2019-10-01 | 이범규 | 농업용 관리기에 장착되는 두둑 형성장치 |
KR20190142615A (ko) * | 2018-06-18 | 2019-12-27 | 박기혁 | 트랙터용 써레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9302A (ja) * | 1998-04-23 | 1999-11-02 | Naito Minoru | 複合農機具 |
KR200437684Y1 (ko) * | 2006-11-24 | 2007-12-21 | 황방전 | 퇴비 살포기의 탈부착 장치 |
-
2012
- 2012-03-30 KR KR1020120033057A patent/KR10135215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2615A (ko) * | 2018-06-18 | 2019-12-27 | 박기혁 | 트랙터용 써레 |
KR102006021B1 (ko) * | 2019-04-09 | 2019-10-01 | 이범규 | 농업용 관리기에 장착되는 두둑 형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2158B1 (ko) | 2014-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46887B2 (ja) | 播種機 | |
US10405473B2 (en) | Seed bed preparation and tillage apparatus | |
JP5050004B2 (ja) | 対地作業装置 | |
US10368474B2 (en) | Double rolling basket linkage | |
JP4837948B2 (ja) | 耕起・整地装置の砕土作業具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た耕起・整地装置 | |
KR101313090B1 (ko) | 이랑 쟁기 | |
KR101363086B1 (ko) | 배토기 | |
PL186212B1 (pl) | Ząb, zwłaszcza do zamontowania na narzędziu rolniczym do obróbki gleby | |
KR101352158B1 (ko) |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 |
JP5800393B2 (ja) | その場反転プラウのレキ土反転調整装置 | |
US20140034340A1 (en) | Tiller and Bed Former With Dual Belt Drive | |
CN203457511U (zh) | 旋耕整畦一体机 | |
KR200384643Y1 (ko) | 쟁기의 이중 보습 | |
JP2017163897A (ja) | 除草器具及びトラクター用除草アタッチメント | |
RU2653370C1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учно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культиватор | |
KR200454326Y1 (ko) | 트랙터용 쟁기틀 보습 | |
CN201450731U (zh) | 起垄器 | |
KR20140013511A (ko) | 잔고랑을 형성하는 이랑 성형기 | |
CN110786090A (zh) | 农田耕作起垄机起垄器 | |
CN220422411U (zh) | 用于烤烟种植起垄装置 | |
JP2014124168A (ja) | 農作業機 | |
JP6168848B2 (ja) | ロータリ耕耘機のスキッド | |
KR200445568Y1 (ko) | 트랙터용 고정쟁기 | |
CA2820455C (en) | Seed bed preparation and tillage apparatus | |
CN208128790U (zh) | 一种犁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