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568Y1 - 트랙터용 고정쟁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고정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568Y1
KR200445568Y1 KR2020090000758U KR20090000758U KR200445568Y1 KR 200445568 Y1 KR200445568 Y1 KR 200445568Y1 KR 2020090000758 U KR2020090000758 U KR 2020090000758U KR 20090000758 U KR20090000758 U KR 20090000758U KR 200445568 Y1 KR200445568 Y1 KR 200445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low
tractor
frame
fixed p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원
Original Assignee
이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원 filed Critical 이세원
Priority to KR2020090000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36Ploughs mounted on tractors
    • A01B3/40Alternating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고정쟁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에 의하면 트랙터에 장착되는 고정쟁기를 어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좌우이동장치를 구비하여 고정쟁기의 경운되는 좌우 폭을 넓혀 넓은 지역에 대한 경운 작업을 할 수 있으며, 고정쟁기의 경운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트랙터, 고정, 쟁기, 좌우

Description

트랙터용 고정쟁기{Bottom Plow For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용 고정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정쟁기틀을 좌우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경운 폭을 넓히도록 구성하고, 경운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쟁기(Bottom Plow)는 토양의 이화학적인 성질을 개선하고 작물의 생장에 적합한 토양으로 만드는 동시에 지표면에 자란 잡초 뿌리 등의 매몰, 잡초종자 발아 및 해충발생의 방지억제 등이 목적이 있으며, 그 작업으로는 쇄토, 정지, 파종, 관리작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정지도 역시 종자의 발아, 출아 및 그 후의 생육을 양호하게 하고, 파종 및 중경제초 등의 다음 작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계획적인 작업이 목적이 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트랙터용 고정쟁기는 트랙터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어, 그 설치 위치가 항상 일정하여 넓은 지역에 대한 땅 갈이에는 적당하지 않게 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복하여 경운 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해 연료가 많이 소모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트랙터에 장착되는 고정쟁기를 어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고정쟁기의 경운 폭을 넓힐 수 있으며, 또한 경운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트랙터용 고정쟁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은 트랙터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고정쟁기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쟁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트랙터용 고정쟁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전방 영역에 고정쟁기를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는 전방프레임 전방의 상부와 좌,우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부편, 하부편 사이에 각각 고정된 볼 조인트와; 상기 볼 조인트가 각각 삽입 고정된 연결조인트와; 상기 연결조인트에 체결 고정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더 홈이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사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가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의 슬라이더 홈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슬라이더 바와; 상기 슬라이더 바가 후면 상하부에 고정되고, 전방에는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링크가 고정되는 상부결합편과 하부결합편이 구비된 전방보강프레임과; 상기 가이드지지대의 중앙 영역 사이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각각 고정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유압라인이 형성되는 유 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좌우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에 의하면, 트랙터에 장착되는 고정쟁기를 어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고정쟁기의 경운되는 좌우 폭을 넓혀 넓은 지역에 대한 경운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경운 깊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측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가 좌우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10)과; 전방프레임(1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고정쟁기(2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쟁기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쟁기 프레임(20)은 전방프레임(10) 후면에 체결핀(22)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직프레임(24)과; 수직프레임(24)에 수평을 유지하여 연결되고, 다수의 고정쟁기(2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수평프레임(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의 전방 하부 영역에는 고정쟁기(21)를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4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40)는 전방프레임(10) 전방의 상부와 좌,우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부편(41), 하부편(42)(43)과; 상부편(41), 하부편(42)(43) 사이에 고정핀(45)으로써 각각 고정된 볼 조인트(47)와; 볼 조인트(47)가 각각 삽입 고정된 연결조인트(49)와; 연결조인트(49)에 체결 고정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더 홈(51)이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50)와; 슬라이딩가이드(50) 사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가이드(50)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지지대(52)와; 슬라이딩가이드(50)의 슬라이더 홈(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슬라이더 바(53)와; 슬라이더 바(53)가 후면 상하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각각 고정되고, 전방에는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상부링크(55) 및 하부링크(56)(57)가 고정되는 상부결합편(60)과 하부결합편(61)(62)이 형성된 전방보강프레임(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방프레임(10)의 고정쟁기(21)를 선택적으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이동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 조인트(47)는 양단이 수평으로 절단된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핀(45)이 삽입되는 삽입공(45a)이 형성되고, 연결조인트(49)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연결조인트(49)는 내부에 볼 조인트(47)가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0)의 슬라이더 홈(51) 양측 내부에는 다수의 구름베어링(51a)이 축설되어 슬라이더 바(53)를 따라 좌우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 다. 이때, 슬라이더 바(53)는 슬라이드 홈(51)의 형상에 적절하게 이루어져 있어, 슬라이드 홈(51)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좌우이동수단(70)은 가이드지지대(52)의 중앙 영역 사이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각각 고정된 고정브라켓(72)과; 고정브라켓(72)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피스톤로드(74)와; 피스톤로드(74)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유압라인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76)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의 경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동작상태도로서, 이는 트랙터용 고정쟁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고정쟁기(21)에 대한 경운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운깊이조절장치(100)는 고정쟁기 프레임(20)의 수평프레임(26)에 힌지(101)로써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쟁기(21)와 수평프레임(26) 사이에 대응되게 고정된 체결브라켓(110)(120)과; 체결브라켓(110)(12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고정쟁기(2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130)은 체결브라켓(110)(12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피스톤로드(131)와; 피스톤로드(13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유압라인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13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전방 영역의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40)를 구성하는 전방보강프레임(64)으로써 트랙터에 장착한 다음, 트랙터를 운행하면, 전방프레임(10) 후면에 좌우이동장치로써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고정쟁기 프레임(20)의 고정쟁기(21)에 의해 적정 깊이로 땅이 경운 된다.
이와 같이 전방프레임(10) 후면에 고정된 고정쟁기(21)로써 땅을 경운 하면, 경운할 수 있는 폭이 한정되는 것이다. 이때, 전방프레임(10)의 전방 영역에 구비된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40)를 동작시키면, 고정쟁기(21)가 원하는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경운 폭이 넓어지게 된다.
이를 도 4a,4b를 참조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40)를 구성하는 좌우이동수단(70)의 유압실린더(76)에 유압을 공급하면, 유압실린더(76)에 삽입되고, 양단이 가이드지지대(52)의 고정브라켓(72) 사이에 고정된 피스톤로드(74)가 일측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프레임(10) 전방 상부와 하부 양측의 상부편(41), 하부편(42)(43) 사이에 고정핀(45)으로써 고정된 볼 조인트(47)가 각각 삽입 고정되는 연결조인트(49)에 체결 고정된 슬라이딩가이드(50) 전방의 슬라이더 홈(51)이, 전방보강프레임(64)에 고정된 상태의 슬라이더 바(53)를 따라 일측방으로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거리만큼 고정쟁기(21)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좌우폭을 보상하게 된다.
한편, 전방보강프레임(64)은 전방에 고정된 상부결합편(60)과 하부결합편(61)(62)에 상부링크(55) 및 하부링크(56)(57)가 고정되어 트랙터에 연결된다.
이때, 슬라이딩가이드(50)의 슬라이더 홈(51) 양측 내부에는 다수의 구름베어링(51a)이 축설되어 슬라이더 바(53)를 따라 좌우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트랙터용 고정쟁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고정쟁기(21)에 대한 경운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경운깊이조절장치(100)를 구성하는 각도조절수단(130)의 유압실린더(132)에 유압을 제공하면, 유압실린더(132)의 피스톤로드(131)가 일측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쟁기 프레임(20) 상단에 힌지(101)로써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쟁기(21)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그 각도가 조절된다. 즉, 유압실린더(132)의 동작으로 고정쟁기(21)가 외측방향(도면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각도가 넓어져 경운 깊이가 깊어지게 되고, 반대이면 각도가 좁아져 경운 깊이가 얕아 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가 좌우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고정쟁기의 경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방 프레임 21 : 고정쟁기
40 :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 41,42,43 : 상,하부편
47 : 볼 조인트 49 : 연결조인트
50 : 슬라이딩가이드 51 : 슬라이더 홈
52 : 가이드지지대 53 : 슬라이드 바
60 : 상부결합편 61,62 : 하부결합편
64 : 전방보강프레임 70 : 좌우이동수단
72 : 고정브라켓 74 : 피스톤로드
76 : 유압실린더 100 : 경운깊이조절장치
101 : 힌지 110,120 : 체결브라켓
130 : 각도도절수단
131 : 피스톤로드 132 : 유압실린더

Claims (2)

  1. 트랙터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고정쟁기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쟁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트랙터용 고정쟁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10)의 전방 영역에 고정쟁기(21)를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40)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쟁기 좌우이동장치(40)는
    전방프레임(10) 전방의 상부와 좌,우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부편(41), 하부편(42)(43) 사이에 각각 고정된 볼 조인트(47);
    상기 볼 조인트(47)가 각각 삽입 고정된 연결조인트(49);
    상기 연결조인트(49)에 체결 고정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더 홈(51)이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50);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0) 사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가이드(50)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지지대(52);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0)의 슬라이더 홈(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슬라이더 바(53);
    상기 슬라이더 바(53)가 후면 상하부에 고정되고, 전방에는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링크가 고정되는 상부결합편(60)과 하부결합편(61)(62)이 구비된 전방보강프레임(64); 및
    상기 가이드지지대(52)의 중앙 영역 사이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각각 고정된 고정브라켓(72)과; 상기 고정브라켓(72)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피스톤로드(74)와; 피스톤로드(74)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유압라인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76)로 이루어진 좌우이동수단(7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고정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쟁기 프레임(20)과 상기 고정쟁기(21) 사이에 고정쟁기(21)의 경운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경운깊이조절장치(100)를 구비하되,
    상기 경운깊이조절장치(100)는
    상기 고정쟁기 프레임(20)의 수평프레임(26)에 힌지(101)로써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쟁기(21)와 수평프레임(26) 사이에 대응되게 고정된 체결브라켓(110)(120)과;
    상기 체결브라켓(110)(12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피스톤로드(131)와;
    상기 피스톤로드(13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유압라인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132)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수단(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고정쟁기.
KR2020090000758U 2009-01-22 2009-01-22 트랙터용 고정쟁기 KR200445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758U KR200445568Y1 (ko) 2009-01-22 2009-01-22 트랙터용 고정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758U KR200445568Y1 (ko) 2009-01-22 2009-01-22 트랙터용 고정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568Y1 true KR200445568Y1 (ko) 2009-08-14

Family

ID=4135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758U KR200445568Y1 (ko) 2009-01-22 2009-01-22 트랙터용 고정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5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32A (ko) 2016-12-02 2018-06-12 최준호 스프링 쟁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227Y1 (ko) 2000-03-29 2000-09-01 주식회사태성공업 쟁기의 좌우 편심 자동조절장치
KR200283821Y1 (ko) 2002-04-22 2002-07-27 헌 호 임 트랙터용 쟁기의 폭 및 위치조절장치
JP2002209404A (ja) * 2001-01-16 2002-07-30 Fuji Trailer Manufacturing Co Ltd 整畦機
KR100359260B1 (ko) 2000-06-26 2002-11-07 김재근 이랑 성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227Y1 (ko) 2000-03-29 2000-09-01 주식회사태성공업 쟁기의 좌우 편심 자동조절장치
KR100359260B1 (ko) 2000-06-26 2002-11-07 김재근 이랑 성형기
JP2002209404A (ja) * 2001-01-16 2002-07-30 Fuji Trailer Manufacturing Co Ltd 整畦機
KR200283821Y1 (ko) 2002-04-22 2002-07-27 헌 호 임 트랙터용 쟁기의 폭 및 위치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32A (ko) 2016-12-02 2018-06-12 최준호 스프링 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151B1 (ko)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US11439053B2 (en) Agricultural implements for cultivating agricultural work areas
US20180206388A1 (en) Double rolling basket linkage
US8997886B2 (en) Cultivator with two rows of discs in direction of travel
KR200445568Y1 (ko) 트랙터용 고정쟁기
KR101416645B1 (ko) 트랙터용 쟁기의 높낮이 조절 보습장치
KR100911926B1 (ko) 트랙터용 회전 쟁기 좌우이동장치
CN210444788U (zh) 一种旋耕机
KR20130110806A (ko)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EP2324693B1 (en) Tool suspension
RU2612429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смещения почвы вниз по склону
RU2665069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смещения почвы вниз по склону
RU2653370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учно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культиватор
KR102627989B1 (ko) 고랑 제초장치
EP3607808B1 (en) An implement for soil preparation
RU2748065C1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е орудие
RU215292U1 (ru) Плуг навесной двухсекционный
EP4066606A1 (en) Mounting assembly for plough skimmers
US11357155B2 (en) Agricultural implement
CN201409280Y (zh) 新型前置式心土耕作犁
JP2011142819A (ja) うね立て施肥作業機
JP2011142820A (ja) うね立て施肥作業機
NO336787B1 (no) Et beltearrangement for dybdekontroll av et jordarbeidende redskap
CN2819724Y (zh) 破茬、掏墒一次成垄犁
JP2014230495A (ja) 畝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