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618A -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618A
KR20130110618A KR1020120032730A KR20120032730A KR20130110618A KR 20130110618 A KR20130110618 A KR 20130110618A KR 1020120032730 A KR1020120032730 A KR 1020120032730A KR 20120032730 A KR20120032730 A KR 20120032730A KR 20130110618 A KR20130110618 A KR 2013011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in
holder
pin material
measu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5789B1 (ko
Inventor
이상원
남궁승
송병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78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는, 하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단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부품의 핀 홀과 동일한 조건의 지름과 상하 깊이를 갖도록 측정 홈을 형성하는 링크 소재와, 상기 링크 소재의 상방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에 상단이 고정되며, 하단에는 상기 측정 홈과 동일한 지름과 상하 두께로 형성되어,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측정 홈에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되는 핀 소재 및, 상기 핀 소재가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측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측정하여 상기 링크 소재와 상기 핀 소재 간의 조립강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STRENGTH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 소재가 승강 동작에 의해 측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될 때 구동부로 전달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측정하여, 링크 소재와 상기 핀 소재 간의 조립강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부품을 이용하므로 다양한 조립 조건을 도출할 수 있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의 조립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제품 제작 후 조립강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중심축 및 가공조건 등의 제약이 많았다.
따라서, 실제 부품과 유사한 시험 편을 제작하여 조립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에서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특1995-0025423호(1995년09월15일)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동력전달부품의 비틀림응력에 대한 강도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핀 소재가 승강 동작에 의해 측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될 때 구동부로 전달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측정하여, 링크 소재와 상기 핀 소재 간의 조립강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부품을 이용하므로 다양한 조립 조건을 도출할 수 있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는, 하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단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부품의 핀 홀과 동일한 조건의 지름과 상하 깊이를 갖도록 측정 홈을 형성하는 링크 소재와, 상기 링크 소재의 상방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에 상단이 고정되며, 하단에는 상기 측정 홈과 동일한 지름과 상하 두께로 형성되어,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측정 홈에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되는 핀 소재 및, 상기 핀 소재가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측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측정하여, 상기 링크 소재와 상기 핀 소재 간의 조립강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 소재에는 상기 측정 홈과 연통된 하나 또는 다수의 에어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 배출홀은 상기 링크 소재의 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 소재는 하단 테두리 부위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 소재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홀더의 상단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며, 축 선이 상기 링크 소재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하부 그립부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 소재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홀더의 하단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며, 축 선이 상기 핀 소재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상부 그립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그립부와 상기 상부 그립부는 상기 하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에 파지되는 높이가 표시되도록 외주 면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 소재가 상기 측정 홈에 삽입될 때의 압축력과, 상기 핀 소재가 상기 측정 홈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응력 변형률 곡선 그래프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상의 시험 편을 이용해 실제 부품의 조립 강도를 평가할 수 있어, 다양한 조립 조건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서 링크 소재의 측정 홈에 핀 소재가 삽입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서 링크 소재의 측정 홈에 핀 소재가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서 링크 소재의 측정 홈에 핀 소재가 삽입될 때의 응력 변형률 곡선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서 링크 소재의 측정 홈으로부터 핀 소재가 분리될 때의 응력 변형률 곡선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서 링크 소재의 측정 홈에 핀 소재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서 링크 소재의 측정 홈에 핀 소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서 링크 소재의 측정 홈에 핀 소재가 삽입될 때의 응력 변형률 곡선 그래프이다.
아울러,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서 링크 소재의 측정 홈으로부터 핀 소재가 분리될 때의 응력 변형률 곡선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는, 하부 홀더(100)와, 링크 소재(200)와, 상부 홀더(300)와, 핀 소재(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부 홀더(100)는 바닥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상부에는 후술 될 링크 소재(200)의 하부 그립부(23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링크 소재(200)의 하부 그립부(230) 지름에 따라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링크 소재(200)는, 하부 홀더(100)의 파지부에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소재(200)의 상단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부품의 핀 홀과 동일한 조건의 지름과 상하 깊이를 갖도록 측정 홈(2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 소재(200)에는 측정 홈(210)과 연통된 하나 또는 다수의 에어 배출홀(220)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 배출홀(220)은, 에어가 용이하게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링크 소재(200)의 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소재(200)의 하단에는 하부 홀더(100)의 파지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며, 축 선이 링크 소재(200)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하부 그립부(230)가 더 형성된다.
상부 홀더(300)는, 링크 소재(200)의 상방에서 구동부(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홀더(300)의 하단에는 후술 될 핀 소재의 상부 그립부(42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후술 될 상부 그립부(420)의 지름에 따라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핀 소재(400)는, 상부 홀더(300)의 파지부에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핀 소재(400)의 하단에는 측정 홈(210)과 동일한 지름과 상하 두께로 형성되어, 승강 동작에 의해 측정 홈(210)에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된다.
또한, 상기 핀 소재(400)는 상기 측정 홈(21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이도록 하단 테두리 부위가 곡면(4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핀 소재(400)의 상단에는 상부 홀더(300)의 하단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며, 축 선이 상기 핀 소재(400)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상부 그립부(4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핀 소재(400)가 승강 동작에 의해 링크 소재(200)의 측정 홈(210)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경우, 구동부(미도시)로 전달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링크 소재(200)와 핀 소재(400) 간의 조립강도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핀 소재(400)가 링크 소재(200)의 측정 홈(210)에 삽입될 때의 압축력과, 핀 소재(400)가 측정 홈(210)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응력 변형률 곡선 그래프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에는 응력 변형률 곡선 그래프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표시부(5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가상의 시험 편을 이용해 실제 부품의 조립 강도를 평가할 수 있어, 다양한 조립 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부 홀더 200: 링크 소재
210: 측정 홈 220: 에어 배출홀
230: 하부 그립부 300: 상부 홀더
400: 핀 소재 410: 곡면
420: 상부 그립부 500: 제어부
510: 표시부

Claims (7)

  1.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단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부품의 핀 홀과 동일한 조건의 지름과 상하 깊이를 갖도록 측정 홈을 형성하는 링크 소재;
    상기 링크 소재의 상방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홀더;
    상기 상부 홀더에 상단이 고정되며, 하단에는 상기 측정 홈과 동일한 지름과 상하 두께로 형성되어,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측정 홈에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되는 핀 소재; 및
    상기 핀 소재가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측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측정하여, 상기 링크 소재와 상기 핀 소재 간의 조립강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소재에는,
    상기 측정 홈과 연통된 하나 또는 다수의 에어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홀은,
    상기 링크 소재의 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소재는,
    하단 테두리 부위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소재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홀더의 상단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며, 축 선이 상기 링크 소재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하부 그립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핀 소재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홀더의 하단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며, 축 선이 상기 핀 소재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상부 그립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그립부와 상기 상부 그립부는,
    상기 하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에 파지되는 높이가 표시되도록 외주 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 소재가 상기 측정 홈에 삽입될 때의 압축력과, 상기 핀 소재가 상기 측정 홈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응력 변형률 곡선 그래프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KR1020120032730A 2012-03-29 2012-03-29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KR101355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730A KR101355789B1 (ko) 2012-03-29 2012-03-29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730A KR101355789B1 (ko) 2012-03-29 2012-03-29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618A true KR20130110618A (ko) 2013-10-10
KR101355789B1 KR101355789B1 (ko) 2014-01-28

Family

ID=4963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730A KR101355789B1 (ko) 2012-03-29 2012-03-29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7360A (zh) * 2021-09-01 2021-09-28 新沂新世纪高科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砖制作成型后强度测试装置及测试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9183B (zh) * 2016-03-14 2018-04-10 镇江市建科工程质量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安全绳断裂强力检测夹具及试验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14Y2 (ko) * 1975-11-05 1980-01-11
JP3914291B2 (ja) * 1996-11-18 2007-05-1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キャップ用治具
JPH11271200A (ja) * 1998-03-23 1999-10-05 Shimadzu Corp 材料試験機
JP2009020082A (ja) * 2007-07-16 2009-01-29 Ntn Corp 鍛造用潤滑剤の潤滑性評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7360A (zh) * 2021-09-01 2021-09-28 新沂新世纪高科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砖制作成型后强度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3447360B (zh) * 2021-09-01 2021-11-09 新沂新世纪高科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砖制作成型后强度测试装置及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789B1 (ko)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982B1 (ko) 인장시험기용 신장계 측정장치
WO2006028984A3 (en) Noninvasive testing of a material intermediate spaced walls
TW200508630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inspecting electric characteristics of specimen
CN103743305A (zh) 一种螺母内螺纹检测机
KR101355789B1 (ko) 링크부품의 조립강도 평가장치
MX2018001585A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soldar homogeneamente estructuras dobladas en dos dimensiones mediante soldadura por friccion-agitacion.
CN106018094B (zh) 混凝土温度应力试验机及徐变测试方法
CN202837111U (zh) 简易拉拔装置
RU2005140099A (ru) Тестовый рычаг
CN201449241U (zh) 一种锥形轴锥度检测工具
CN205844083U (zh) 一种拉力测量装置
CN105973701B (zh) 同时测定低合金高强度钢的屈服强度与断裂韧度的方法
CN107388997B (zh) 一种玻璃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5865306A (zh) 一种高精度锥孔检具
CN102426077B (zh) 一种推拉力计的辅助校准装置
KR20150055781A (ko) 인장몰드, 초기재령 인장실험장치 및 방법
MY1593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lly determining a load applied by a jack
CN205449380U (zh) 一种拉力压力测试机
CN205506274U (zh) 轴承拉力测试工装
CN204945021U (zh) 一种橡胶制品检测试验设备
CN200996920Y (zh) 一种脆性材料受力变形测量装置
CN204630829U (zh) 一种电源线拉扭试验机
JP6366528B2 (ja) エレベータかご自重測定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自重測定装置
JP5972153B2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
CN207487858U (zh) 一种扭力传感器主体及扭力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