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342A - 메시징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징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342A
KR20130110342A KR1020120032210A KR20120032210A KR20130110342A KR 20130110342 A KR20130110342 A KR 20130110342A KR 1020120032210 A KR1020120032210 A KR 1020120032210A KR 20120032210 A KR20120032210 A KR 20120032210A KR 20130110342 A KR20130110342 A KR 20130110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lien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son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승
Original Assignee
송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희승 filed Critical 송희승
Priority to KR102012003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342A/ko
Publication of KR2013011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과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식별문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개봉 시각을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징 서버로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메시징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DB에 저장하는 단계; 메시징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을 포함하는 1차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계된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메시징 서버가 메시지DB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2차 메시지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메시징 서비스 방법 {Method for Messaging Service}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형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필두로 하는 지능형 휴대 단말기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사람들의 생활 환경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존 휴대전화의 음성통신기능에 덧붙여 언제 어디서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지능형 휴대 단말기 덕분에, 지능형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간에 짧은 글을 주고받음으로써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기존 휴대전화에서도 단문 문자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가 지원되었으나, 이는 단순히 문자의 내용을 전송하는 일방향성이 강하였던 반면, 지능형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문자 송수신 서비스는 종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PC를 통하여 수행하던 채팅과 유사한 양방향성 실시간 문자 송수신 서비스, 즉 메신저 서비스로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지능형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사회망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범주에 포함시켜 인식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사회망 서비스에는 종래의 블로그나 마이크로블로그와 유사한 것에서부터 전술한 메신저 서비스까지 여러 종류가 있는데, 메신저 부류에 해당하는 서비스들은 대체로 유사한 유저인터페이스, 예컨대 대화형 메시지 창을 제공하면서,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메시지 전달에 주안점을 두어 개발되고 개선되는 경향이 있었다.
메신저 서비스의 기본적인 기능은 의사소통과 정보의 전달이지만,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에 치중한 많은 종류의 메신저 서비스들이 난립하여 시장이 사실상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여타 메신저 서비스와 차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메신저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사소통과 정보 전달이라는 기존 메신저의 기능을 포함하면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흥미거리를 제공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종래와 상이한 개념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일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음성출력 장치, 입력 장치 및 무선송수신 장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사용자와 연계된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과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식별문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개봉 시각을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징 서버로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메시징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DB에 저장하는 단계; 메시징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을 포함하는 1차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계된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메시징 서버가 메시지DB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2차 메시지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는, 메시지 제목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는 상기 메시지 제목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는, 배경음악,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을 첨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1차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2차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푸시 알림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징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DB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에 고유의 메시지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메시지 식별정보를 이전에 수신된 1차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식별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메시지 식별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2차 메시지를 메시지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1차 메시지와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2차 메시지가 상기 1차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푸시 알림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내용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메시지 내용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메시징 서버가 메시지DB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2차 메시지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의 도래 또는 상기 2차 메시지의 발송 중 하나 이상을 알리는 푸시 알림을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와의 1대1 대화를 개시하는 대화개시버튼을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대화개시버튼을 작동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1 대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1대1 대화 화면에 대화 문구를 입력하여 발송하면, 상기 메시징 서버를 거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 1 대화 화면이 표출되는 동시에 상기 대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메시지 작성개시를 선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표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작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제2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음성출력 장치, 입력 장치 및 무선송수신 장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사용자와 연계된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개봉 시각을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징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계된 제2 클라이언트로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내용과 함께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는 메시지 내용과 별도로 입력된 메시지 제목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와의 1대1 대화를 개시하는 대화개시버튼을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대화개시버튼을 작동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1 대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메시지 작성개시를 선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표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작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메시지 개봉 시각이 지정된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 이전에,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조기 개봉 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 이전에,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발신자 공개 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이 공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의사소통, 정보 전달이라고 하는 종래 메신저의 기능에 더하여, 기대효과에 의한 흥미 유발을 통하여 현대인의 일상 생활에서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지능형 휴대 단말기를 통한 메시징 활동을 보다 풍요롭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메신저 서비스와 차별화되면서도 동시에 양립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포화 상태에 있는 메시징 서비스 시장에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상기 실시예들 중 메시지 작성개시 및 수신자 선택 항목의 선택사항을 도시한 부분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지능형 휴대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로그인 화면, 메시지 작성 선택 화면, 메시지 수신자 선택 화면, 수신자 목록 화면, 수신자 지정 화면, 메시지 입력 화면, 및 메시지 발송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지능형 휴대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이 표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지능형 휴대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메시지 수신 알림 화면, 수신 메시지 목록 화면, 수신 메시지 화면, 1대1 대화 화면, 메시지 내용 화면을 각각 도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은, 스마트폰 등 무선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휴대 단말기, 즉 클라이언트(110, 120)와, 지능형 휴대 단말기간의 메시징을 중개하고 관장하는 메시징 서버(200), 그리고 이러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네트워크(30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상에서 구현된다. 클라이언트(110, 120)는 무선송수신 장치 외에 디스플레이 장치, 음성출력 장치, 입력 장치 등(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며, 날짜 정보와 시간 정보를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110, 120)는 개별 사용자의 개인확인정보를 매개로 하여 각 사용자와 연계되어 있다. 사용자의 개인확인정보에는 메시징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아이디(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사용자의 성명, 메시징 서비스에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한 사용자의 별명,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메시징 서비스에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한 문구,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그에 상응하는 번호 내지 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개인확인정보 중 로그인 아이디(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특히 개인식별정보라 지칭하며, 개인식별정보는 메시징 서비스에서 특정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기타 개인확인정보 역시 특정 사용자와 연계되어 있는 그 특정 사용자 고유의 정보이므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특정 사용자 식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취지에서 기타 개인확인정보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 볼 수 있다. 개인식별정보와 명확히 구별하기 위하여,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개인식별정보를 제외한 기타 개인확인정보만을 개인확인정보라고 지칭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무선 네트워크(300)는 지능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전화 서비스 및/또는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회사가 구축한 네트워크, 즉 cdma, tdma, w-cdma, gsm, lte 등의 통신망일 수도 있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이 유선 인터넷망 등의 유선 네트워크(400)와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통신회사가 제공하는 무선통신망 역시 메시징 서버(200)와의 접속을 위해 유선 인터넷망 등의 유선 네트워크(400)와 접속되어 있거나, 접속가능할 필요가 있다.
메시징 서버(200)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인터넷망(400)을 통하여 상기 언급한 무선 네트워크(300)와 접속되고, 따라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지능형 휴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00) 역시 날짜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메시지 저장을 위한 메시지DB(250)와 연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장치, 음성출력 장치, 입력 장치 및 무선송수신 장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사용자와 연계된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제1실시예에서, 우선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한다(S110).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나, 계정 생성은 이런 류의 사회망 서비스에서 사용자 식별을 위해 어떤 형태로든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로그인 후 제1 사용자는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를 선택하고,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한다(S120). 이때 제1 사용자는 메시지 작성개시를 선택한 후에 수신자를 선택할 수도 있고, 수신자를 먼저 선택한 후에 메시지 작성개시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메시지 작성개시 및 수신자 선택이 완료되면,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와 메시지 개봉 시각을 입력한다(S130).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문구를 포함하는데, 이 메시지 식별문구는 메시지의 일부, 예를 들어 메시지의 첫 몇 단어일 수도 있고, 별도로 입력된 메시지 제목일 수도 있다. 메시지 제목을 별도로 입력하도록 구성한 경우, 메시지 입력단계는 메시지 제목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메시지를 입력할 때에, 문자 텍스트 외에 배경음악, 이미지,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을 메시지에 첨부할 수도 있다.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징 서버로 메시지를 발송한다(S140). 메시징 서버는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면(S150), 이 메시지를 메시지DB에 저장하는 한편(S155),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을 포함하는 1차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자로 지정된 제2 사용자와 연계된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한다(S160).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에서는, 이러한 1차 메시지를 발송할 때에, 메시지 발신자의 신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지정된 메시지 개봉 시각까지 메시지 내용과 함께 메시지 발신자에 관한 정보를 숨김으로써, 메시지 수신자에게 흥미와 기대를 유발하게 하는 유희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발신자의 신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고, 수신자가 수신자에게 허용된 방법을 통하여 발신자의 신원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대비하여 신원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발신자의 신원에 관한 정보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개인확인정보이며, 다양한 개인확인정보 중 어떠한 정보(들)를 메시지에 포함할 것인지는 미리 설정하여 둔 바에 따른다. 발신자의 신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신자에게 허용된 방법이란, 예를 들어 수신자에게 발급된 발신자 확인 쿠폰 같이 것이 있을 수 있다.
메시징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발송되면,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한다(S170). 제2 클라이언트가 1차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푸시 알림이 표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푸시 알림은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나, 이와 선택적으로 또는 이와 병행하여 제2 클라이언트의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제2 클라이언트에 구비된 진동발생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촉각을 통해 푸시 알림을 전달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푸시 알림에 연동하여, 또는 푸시 알림과 별도로, 상기 1차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이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173).
한편,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이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때,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와의 1대1 대화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개시버튼이 함께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S175). 대화개시버튼이 표출되면, 키보드/키패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대화개시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고, 대화개시버튼이 작동되면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1 대화 화면이 표시된다(S177). 제2 클라이언트에서 1대1 대화 화면에 대화 문구를 입력하여 발송하면, 메시징 서버를 거쳐서 제1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1 대화 화면이 표출되는 동시에 상기 대화 문구가 표시될 것이다. 이러한 1대1 대화는 종래의 실시간 대화형 사회망 서비스, 즉 메신저 서비스와 유사한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원칙적으로 메시지 수신자측에서는 메시지 발신자가 누구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1대1 대화를 진행하게 되므로, 종래의 메신저 서비스와 차별되는 색다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발신자의 신원에 관한 정보, 즉 개인식별정보 또는 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1차 메시지에 포함된 경우에는, 이러한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확인정보가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과 함께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발신자가 발신자 신원을 공개하도록 설정한 경우가 아닌 때에는, 수신자가 발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쿠폰 등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만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확인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발신자가 지정한 메시지 개봉 시각이 도래하면, 메시징 서버는 메시지DB에 저장된 메시지의 내용(메시지 본문)을 포함하는 2차 메시지를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며(S180), 이에 따라 제2 클라이언트는 2차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190). 제2 클라이언트가 2차 메시지를 수신한 때에 상기 2차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내용이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195).
발신자인 제1 사용자의 신원 정보, 즉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확인정보가 1차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신원 정보는 2차 메시지에 포함되게 되며, 이 경우 제2 클라이언트가 2차 메시지를 수신한 때에 메시지 내용과 함께 발신자의 신원 정보도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클라이언트가 2차 메시지를 수신한 때에도, 1차 메시지 때와 마찬가지로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푸시 알림이 제2 사용자의 시각, 청각 또는 촉각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표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푸시 알림에 연동하여, 또는 푸시 알림과 별도로, 상기 2차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내용과 발신자 신원 정보가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2차 메시지와 1차 메시지는 발신자가 서버로 발송한 하나의 동일한 메시지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수신자 측에서도 이를 하나의 메시지로 인식하도록 제2 클라이언트에 표시하여 줄 필요가 있다. 즉, 제2 클라이언트의 수신된 메시지 목록에서 1차 메시지와 2차 메시지가 별개의 항목으로 표시된다면, 이는 수신자인 제2 사용자에게 혼동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또한 제2 클라이언트의 시스템 자원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시징 서버에서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메시지DB에 저장할 때에(S155), 메시지에 다른 메시지들과 구별되는 고유의 메시지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그 후, 제2 클라이언트가 1차 메시지를 수신할 때에(S170) 상기 메시지 식별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2차 메시지를 수신할 때에도(S190) 상기 메시지 식별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즉, 제2 클라이언트가 2차 메시지를 수신할 때 메시지 식별정보도 함께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 식별정보를 이전에 수신된 1차 메시지(들)에 포함된 메시지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메시지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1차 메시지를 찾아내어 2차 메시지를 1차 메시지와 병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2차 메시지에 메시지 내용뿐 아니라 1차 메시지에 포함되었던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까지 모두 포함되도록 하고, 2차 메시지를 수신한 때에 메시지 식별문구 및/또는 메시지 개봉 시각에 근거하여 동일한 메시지의 1차 메시지를 검색한 후, 찾아낸 동일한 1차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지정된 메시지 개봉 시각에, 메시징 서버가 제2 클라이언트로 2차 메시지를 발송하는(S180) 외에, 1차 클라이언트로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S185). 푸시 알림의 내용은 메시지 개봉 시각이 도래했음을 알리거나 2차 메시지가 발송되었음을 알리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푸시 알림에 의해, 메시지 발신자인 제1 사용자는 메시지가 개봉된 사실 또는 개봉되었을 가능성에 대해서 인지하고 필요한 후속 조치를 준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2 실시예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 역시, 적어도 디스플레이 장치, 음성출력 장치, 입력 장치 및 무선송수신 장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사용자와 연계된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방법으로, 기본적인 개념은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제2실시예에서, 메시징 서비스 개시를 위하여,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한다(S210). 이어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고(S220), 메시지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을 입력한다(S230).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진 수신자 선택의 순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음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확인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시지 식별문구는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내용과 별도로 입력한 메시지 제목일 수도 있고, 단순히 메시지 내용 중 일부를 추출한 것일 수도 있다.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징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계된 제2 클라이언트로 메시지를 발송하고(S240), 이어서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다(S250). 제2 클라이언트가 메시지를 수신한 때에,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이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270). 더불어 발신자인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확인정보가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을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에, 발신자인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와의 1대1 대화를 개시하는 대화개시버튼이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S273). 대화개시버튼이 표출된 때에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대화개시버튼을 작동하면,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1 대화 화면이 표시된다(S275).
또한, 제2 클라이언트가 메시지를 수신한 때에(S250), 제2 클라이언트에서 제1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메시지 개봉 시각이 지정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S280). 이는 회신 메시지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통상적인 사회망 서비스에서와 달리 최초 수신자(제2 클라이언트)가 최초 발신자(제1 클라이언트)의 정체를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보내는 회신 메시지라는 측면, 그리고 최초 발신자(제1 클라이언트) 역시 지정된 시각까지는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메시지를 받게 된다는 측면에서 새로운 흥미 요소가 있다.
메시지 개봉 시각이 도래하면, 제2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S260). 다만, 사전에 제2 클라이언트에 부여된 쿠폰, 즉 조기 개봉 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지정된 메시지 개봉 시각 이전에도 상기 조기 개봉 코드를 이용하여 메시지 개봉 시각을 더 앞당기거나 메시지를 즉시 개봉하는 등 메시지 개봉 시각을 변경할 수 있다(S291). 한편, 발신자 공개 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발신자 공개 코드를 이용하여 메시지 개봉 시각 이전에 발신자인 제1 사용자의 신원 정보, 즉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확인정보가 공개되도록 할 수 있다(29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상기 실시예들 중 메시지 작성개시 및 수신자 선택 항목의 선택사항을 도시한 부분 순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 각각에서 메시지 작성개시 및 수신자 선택 부분(S120, S220)은 그 순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첫 번째로, 메시지 작성개시를 먼저 선택하고(S122, S222), 이어서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S124, S224) 순서를 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먼저 선택하고(S121, S221), 그러면 제1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이 표출되며(S123, S223),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작동하는 순서를 택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인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참조하여 다시한번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지능형 휴대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로그인 화면, 메시지 작성 선택 화면, 메시지 수신자 선택 화면, 수신자 목록 화면, 수신자 지정 화면, 메시지 입력 화면, 및 메시지 발송 화면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5g, 도6, 및 도 7a 내지 도 7e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전제하여 도시한 것이나, 키보드, 마우스 등 기타 다른 입력방법에 기반한 인터페이스로써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5a는 로그인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개인식별정보인 에그 네임을 입력하여 메시징 서비스에 로그인하게 된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도 5b의 초기화면, 즉 메시지 작성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메시지 작성 선택 화면에서는 현재 수신된 미확인 메시지, 즉 타임 에그의 개수가 표시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신된 미확인 메시지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메시지 작성 선택 화면에서 <타임 에그 보내기> 항목을 선택하면 메시지 작성 화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도 5c는 메시지 작성 초기화면으로서, 메시지 수신자 선택 화면을 나타낸다. 메시지 수신자는 <나>, <친구>, <커플>의 3개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중 <친구> 항목을 선택하면 도 5d의 수신자 목록 화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도 5d는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 즉 에그 친구의 목록을 나타낸다. 수신자의 이름이나 달리 선택된 개인확인정보가 사진과 함께 표시된다. 수신자 목록에서 <홍길동>을 선택하면 다시 이전의 도 5c와 유사한 도 5e의 수신자 지정 화면이 나타난다. 도 5e에는 도 5c와 달리 <TO.> 다음에 수신자인 <홍길동>이 표시되어 있다. 하단의 <다음> 버튼을 터치하면 도 5f의 메시지 입력 화면이 나타나며, 도 5f에서 메시지 개봉 시각, 즉 <후라이 데이>를 설정하고, 메시지 제목, 즉 <타임 에그 명>을 입력한 다음, 메시지 내용을 입력한다. 메시지 입력란 우측 상부에 있는 카메라 모양의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이미지, 동영상 등을 메시지에 첨부할 수 있다.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수신자인 <홍길동> 우측의 <다음> 버튼을 터치하여, 메시지 발송 화면인 도 5g로 이동한다. 도 5g에서는 메시지의 제목과 지정된 메시지 개봉 시각이 표시되고, 메시지를 발송할 것인지 아니면 취소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나타나 있다. <타임 에그 보내기>를 터치하면 입력된 메시지가 메시징 서버를 거쳐 수신자인 <홍길동>에게 발송된다. 물론,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때 발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사항은 달라질 수 있으며, 입력했던 사항 모두가 한번에 발송될 수도 있고(제2 실시예), 입력한 사항 중 일부만이 발송될 수도 있다(제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지능형 휴대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이 표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g에서는 <타임 에그 보내기>를 선택한 후에 수신자 목록에서 수신자를 선택하는 순서가 도시되었으나, 앞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신자 목록에서 수신자를 먼저 선택하고 <타임 에그> 작성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b의 로그인 후 초기화면, 즉 메시지 작성 선택 화면에서 하단의 버튼들 중에서 <에그 친구>를 선택하면, 도 5d의 수신자 목록 화면이 나타난다. 수신자 목록에서 <이몽룡>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에 확대되는 동시에 <타임 에그> 버튼이 표출된다. 여기서 <타임 에그> 버튼을 터치하면 도 5f의 메시지 입력 화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지능형 휴대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메시지 수신 알림 화면, 수신 메시지 목록 화면, 수신 메시지 화면, 1대1 대화 화면, 메시지 내용 화면을 각각 도시한다.
도 7a는 도 5b와 동일한 로그인 후 초기화면이나, 도 5b와 달리 수신된 미확인 메시지가 1개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메시지 수신 알림 화면이다. 숫자 “1” 이 표시된 버튼을 터치하면, 도 7b의 수신 메시지 목록 화면으로 넘어가서 수신된 메시지 전체 목록을 보여주는 동시에, 미확인 메시지에 하이라이트 표시가 되어 있다. 하이라이트 표시된 미확인 메시지를 터치하면 도 7c의 수신 메시지 화면으로 넘어간다. 본 화면에서는 메시지의 제목과 메시지 개봉 시각만이 표시되며, 메시지 내용은 원칙적으로 지정된 개봉 시각 이전에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메시지 발신자와 접촉하고자 할 경우 하단의 <1:1 에그 대화> 버튼을 선택하면 도 7d의 1대1 대화 화면으로 넘어가며, 메시지 발신자에게 대화 문구를 전송하고 메시지 발신자의 대화 문구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d는 메시지 수신자의 화면이므로, 상단에 <에그 대화>라고만 표시되고 메시지 발신자에 관한 정보는 표시되지 않는다. 메시지 발신자의 화면에는 <에그 대화> 대신 수신자인 <홍길동>이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 개봉 시각, 즉 <후라이 데이> 가 도래하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전송되거나 공개되어 도 7e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완전한 메시지를 볼 수 있게 되고, 또한 메신저 발신자, 즉 <후라이맨> 이 <변사또> 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Claims (32)

  1. 디스플레이 장치, 음성출력 장치, 입력 장치 및 무선송수신 장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사용자와 연계된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과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식별문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개봉 시각을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징 서버로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메시징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DB에 저장하는 단계;
    메시징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을 포함하는 1차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계된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메시징 서버가 메시지DB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2차 메시지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는, 메시지 제목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는 상기 메시지 제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는, 배경음악,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을 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푸시 알림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DB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에 고유의 메시지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1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메시징 서버로부터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메시지 식별정보를 이전에 수신된 1차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식별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메시지 식별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2차 메시지를 메시지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1차 메시지와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메시지가 상기 1차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푸시 알림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내용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2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메시지 내용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메시징 서버가 메시지DB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2차 메시지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의 도래 또는 상기 2차 메시지의 발송 중 하나 이상을 알리는 푸시 알림을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 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와의 1대1 대화를 개시하는 대화개시버튼을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대화개시버튼을 작동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1 대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1대1 대화 화면에 대화 문구를 입력하여 발송하면, 상기 메시징 서버를 거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 1 대화 화면이 표출되는 동시에 상기 대화 문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메시지 작성개시를 선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표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작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2. 디스플레이 장치, 음성출력 장치, 입력 장치 및 무선송수신 장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사용자와 연계된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계된 제1 클라이언트에 로그인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개봉 시각을 입력하는 단계;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징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계된 제2 클라이언트로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문구와 메시지 개봉 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에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내용과 함께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는 메시지 내용과 별도로 입력된 메시지 제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식별문구 및 메시지 개봉시각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와의 1대1 대화를 개시하는 대화개시버튼을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대화개시버튼을 작동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1대1 대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메시지 작성개시를 선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 작성개시와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수신자 목록에서 메시지 수신자인 제2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표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메시지 작성개시 버튼을 작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메시지 개봉 시각이 지정된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 이전에,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조기 개봉 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개봉 시각 이전에,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서 발신자 공개 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확인정보 중 하나 이상이 공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20120032210A 2012-03-29 2012-03-29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20130110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10A KR20130110342A (ko) 2012-03-29 2012-03-29 메시징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10A KR20130110342A (ko) 2012-03-29 2012-03-29 메시징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42A true KR20130110342A (ko) 2013-10-10

Family

ID=4963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10A KR20130110342A (ko) 2012-03-29 2012-03-29 메시징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03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743B1 (ko) * 2021-05-27 2022-01-24 주식회사 디어유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743B1 (ko) * 2021-05-27 2022-01-24 주식회사 디어유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2424770B1 (ko) * 2021-05-27 2022-07-25 주식회사 디어유 예약 발송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0391B2 (en) Managing availability statu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80153538A1 (en) Terminat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ting Device Configured to Communicate Availability Status Directly Between Terminating Devices
US20150295873A1 (en) Threaded messaging
JP2013175186A (ja) チャット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US20160127301A1 (en) Messaging System for Determining Reliability of Push Messages
US7685608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representations of availability status for application programs
JP2023516822A (ja) 情報共有方法、情報表示方法、装置、電子機器および記憶媒体
KR101377853B1 (ko) 그룹 채팅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545285B1 (ko) 푸시 알림 메시지 관리 서버
KR20190131355A (ko)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WO2019023974A1 (zh) 多主题对话的通信控制装置和方法、及计算机处理设备
JP6338166B1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54277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어방법
KR20130110342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CN106465073B (zh) 信息发送装置及方法和信息接收装置及方法
KR20140062795A (ko)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1437521B1 (ko) 스팸 문자 메시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20180033873A (ko)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1987113B1 (ko) 무음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5290A (ko) 인스턴트 메신져의 다국어 메시징 제공 방법
KR201300121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83211B1 (ko) 통화자 정보 공유 방법
JP7146126B1 (ja) メッセージ中継装置、メッセージ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238298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KR101871808B1 (ko) 전달 매개체를 이용하는 메시지 전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