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102A - 역청 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역청 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102A
KR20130110102A KR1020130032966A KR20130032966A KR20130110102A KR 20130110102 A KR20130110102 A KR 20130110102A KR 1020130032966 A KR1020130032966 A KR 1020130032966A KR 20130032966 A KR20130032966 A KR 20130032966A KR 20130110102 A KR20130110102 A KR 2013011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s
tile
ridge
ridge ti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를 드류모
멜리 카밀
Original Assignee
온두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두린 filed Critical 온두린
Publication of KR2013011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04D1/10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of specified materials 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E04D1/04 - E04D1/085, or of combinations of materials, where at least one is 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E04D1/04 - E04D1/08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26Strip-shaped roofing elements simulating a repetitive pattern, e.g. appearing as a row of shing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청-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된 용마루 타일(1)의 지붕 덮개용 용도에 관한 것이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형상이고 중앙 부분옆에 측방향 하향 경사의 두 개의 평탄한 플랜지(3)들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된 아래로 오목한 대칭 중앙 부분(2)을 횡방향으로 포함하는 용마루 타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아래로 대면하는 내각에서 교차하는 두 면들에 수반되고,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경사면들 사이의 각진 연결을 따라 뒤집힌 V-형상 지붕의 두 개의 평탄한 경사면들에 대하여 평탄하게 적용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들은 정해진 용마루 각으로 정의된다. 변형 응력이 없을 때,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상기 내각은 106°±10°, 플랜지 각은 즉 수평선에 대하여 37°±5°이다.

Description

역청 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 및 이의 용도{A MOLDED RIDGE TILE MADE OF BITUMEN IMPREGNATED CELLULOSE, AND AN APPLICATION THEROF}
본 발명은 역청-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ridge)타일 및 지붕을 덮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루우핑 부재(roofing element)들을 제작하고 지붕을 포함하는 건물(building)을 건축하는 분야이다.
역청-함침 셀룰로오스 섬유들로 이루어진 루우핑 부재들은 수년 동안 알려져 왔고 단순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건물의 지붕을 덮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부재들은 비교적 강성이고, 크래킹(cracking), 인열(tearing) 또는 파쇄(breaking)의 위험 없이 허용될 수 있는 변형은 비교적 제한된 진폭(amplitude)을 보인다. 크게 주름진 시트의 부재들은, 이들이 평평한 경사면에 놓여지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문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루우핑 부재들, 특히 용마루 타일 및 힙(hip) 타일은 평탄하지 않은 형상을 갖는 지붕의 특정 영역들을 덮기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용마루 또는 힙 타일은 두 측방향 플랜지들 사이의 뒤집힌 중앙 홈통의 형태의 긴 일부품(one-piece) 부재이고, 상기 플랜지들이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붕의 가장자리를 따라, 특히 용마루 선을 따라, 가장자리의 양측에서 경사면들 사이의 각은 한 건물에서 다른 건물로 가면서 변할 수 있다. 유효한 방수(rain-proofing) 및 단열을 제공하기 위해, 덮개 부재들, 특히 이들의 측방향 플랜지들은 지붕 및 그의 인접하고 아래의(underlying) 루우핑 부재 상에 비교적 정확하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 루우핑 부재들이 지붕(roofing)에 대하여 적절히 적용되도록 루우핑 부재들을 상당히 변형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 크래킹, 파쇄, 인열 또는 균열의 높은 위험이 즉시 또는 이후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결함들은 용마루 타일의 정상을 따라 및 중앙의 홈통을 측방향 플랜지들에 연결하는 라인들을 따라 나타난다.
그래서, 미국공개특허 제2011-0151170호는 섬유들의 역청-피복(bitumen-covered)매트에 기반한 지붕의 경사면 및 용마루용 지붕널(shingle)평면 플레이트들을 개시한다. 연속적인 절단부 및 점선 또는 파선 형태의 비연속적인 절단부가 플레이트들을 복수의 부분들로 분리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들 상에 형성된다. 플레이트들은 접혀서 지붕의 용마루에 놓일 수 있으나 이렇게 하는 필수적인 조건 및 명시적인 결과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용마루 타일에 있어서, 타일이 변형되지 않을 때, 타일의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용마루 타일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타일의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은 타일의 측방향 플랜지들이 수반되는(carrying) 두 평면들 사이의 교차 라인을 따라 아래쪽으로 대면하는 내각에 대응하고, 이 플랜지는 지붕 및/또는 지붕에 이미 놓여진 아래의 루우핑 부재들에 대고 적용되어야 한다.
이는 제조비와 보관 비용을 증가시키며, 타일의 종류가 지붕에 적합하지 않으면 루우핑 부재들을 설치할 때 오류의 위험을 초래한다.
지붕의 용마루에 설치되고 다른 재료들, 특히 금속으로 이루어진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영국특허 제 2,138,050 호는 두 개의 덮개 부재, 평탄한 측방향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내부 부재 및 내부 부재 상에 놓여지는 외부 부재로 구성된 용마루-덮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부재들은 금속들로 구성된다. 횡방향 리브들(7)은 내부 부재위에서 금속을 스탬핑(stamping)하여 만들어진다. 측방향 플랜지들은 각진 연결 라인을 따라 내부 부재의 중앙 부분에 연결된다. 내부 부재의 측방향 플랜지들의 수평선에 대한 각은 바깥쪽으로 30°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내부 부재는 통풍 목적을 위해 내부 부재의 중앙 부분의 두께를 관통하여 천공된다. 국제특허 제2006-108231호는 지붕 용마루용 터미널 부재를 개시한다. 그 부재는 다른 지붕들의 각도에 맞추기 위해 둥근 중앙 부분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정면 및 측방향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측방향 플랜지들은 각각의 연결 라인들을 따라, 플랜지들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피봇 힌지들에 의해 중앙 부재에 연결된다. 변형예에서(도 7), 상기 피봇은 터미널 부재의 각지게 접힌 라인(712, 716)으로 대체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특허들은 본 발명의 역청-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지붕 타일들의 재료들과는 다른 재료들로 구성된 루우핑 부재들에 관한 것이고, 그래서 이들은 지붕 타일들의 거동(behavior)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더욱이, 그것은 다른 형상의 구조이고, 특히 그들의 다양한 부분들사이에서 각진 연결 라인들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역청-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루우핑 부재들이 비교적 강성임에도 불구하고, 루우핑 부재가 악화되거나 파괴될 위험이 없이 응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는 진폭은 상기 루우핑 부재에 특정한 형상을 부여함으로써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악화 또는 파괴는 단기 또는 중기에 크랙, 인열 또는 파쇄의 발생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응력 하의 거동은 정해진 시험조건하에서, 특히, 온도와 습도가 변화하는 기후 주기 하에서 측정된다.
지붕 타일에 있어서, 플랜지들이 사이의 특정 닫힌 내각을 갖는 부재를 만들므로써 부재들이 광범위한 지붕 용마루 각들에 걸쳐서 사용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이 더 넓게 열리는 종래의 용마루 타일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추가적으로, 부재의 다양한 부분의 특정 형상들은 또한, 적용성 면에서 부재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먼저 역청-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의 지붕 덮개용 용도을 제공하며, 타일은, 전체적으로 수직의 대칭면을 갖는 구분 부재(section member)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 부분의 오목한 측(side)에서 측정된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α)을 형성하기 위해 두개의 하향 경사의 평탄한 플랜지들에 의하여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된 아래로 오목한 중앙 부분을 횡방향으로 포함하고, 두 경사면들 사이에 용마루 각(γ)을 형성하는 두개의 경사면들 사이에 정의된 지붕 용마루를 덮도록 배치되고, 플랜지들은 지붕의 두 경사면에 대고 평탄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적용에서, 용마루 타일이 어떠한 응력도 받지 않고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이 소정의 값을 갖는 자유 구조를 가지고서, 악화 또는 파괴없이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을 90°내지 163°에 이르는 용마루 각(γ)의 범위로 변경시켜 타일을 적용한다.
대칭 지붕에 있어서는, 이것은 최대 45°, 즉 100% 내지 16.7°, 즉 30%의 범위로 근사하게 확장된 경사각(수평에 대한 경사각과 동일)의 범위에 대응하고, 변형예로서 45°에서 8.5°, 즉 15%이다.
바람직하게는, 용마루 각의 범위는 90° 내지 147°에 이른다.
이러한 적용의 특정 형태에서, 변형 응력이 없을 때에,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α)은 116° 내지 96°의 범위(106°±10°)이고, 예를 들면, 수평선에 대한 플랜지 각(β)은 42° 내지 32°의 범위(37°±5°)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역청-함침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성형 용마루 타일을 제공하며, 상기 타일은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이고, 중앙 부분 옆에서, 측방향 하향 경사의 두 개의 평탄한 플랜지들에 의해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된 아래로 오목한 대칭 중앙 부분을 횡방향으로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아래로 대면하는 내각에서 교차하는 두 평면들에 수반되고, 플랜지는 상기 두 경사면들 사이에 각진 연결에 따라 뒤집힌 V형상 지붕의 두 평탄한 경사면들에 대고 평탄하게 적용되고, 상기 두 경사면들은 그것들 사이에 소정의 용마루 각들을 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 응력이 없을 때,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α)은 116° 내지 96°의 범위(106°±10°)에 놓이고, 주어진 플랜지 각(β)은 수평선에 대하여 42° 내지 32°의 범위(37°±5°)에 놓인다.
용어 "용마루 타일"은 경사 라인의 변화, 특히, 지붕 용마루 뿐만 아니라, 경사각이 변하는 지붕 경사면를 덮기 위한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고, 이 경우에 상기 부재는 힙 타일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수단이 단독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실현가능한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이 106°±10°이다;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이 106°±5°이다;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이 106°, 즉 수평선에 대하여 37°의 플랜지 각
·중앙 부분의 양측에서, 중앙 부분과 대응 플랜지 사이의 연결 영역은 원형상 아치형(circularly arcuate) 라운딩부를 포함한다;
·중앙 부분과 대응 플랜지 사이의 연결 영역의 원형상 아치형 라운딩부는 바깥으로 오목하다;
·중앙 부분은 연결 영역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경사진 직선 세그먼트에 의해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상 아치형 상부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원형상 아치형 상부 세그먼트는 35 mm의 내부 반경 및 약 31 mm의 두배의 수평선에서의 돌출된 진폭을 갖는다;
·중앙 부분과 대응 플랜지 사이의 연결 영역의 원형상 아치형 라운딩부는 15 mm의 외측 반경을 갖는다;
·플랜지들의 각각은 그의 길이에 따라서 그의 폭 내에서 플랜지에 대하여 돌출된 평탄한 엠보싱 스트립을 포함한다;
·엠보싱 스트립은 타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한다;
·엠보싱 스트립은 타일을 루우핑 부재 및 지붕에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fastener means)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고정 수단은 못, 스파이크 및 나사로부터 선택된다;
·중앙 부분은 횡 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들은 쌍으로 배열된다;
·리브들은 타일의 돌출영역들이다;
·리브들의 두 단부들은 중앙 부분과 대응 플랜지 사이의 연결 영역의 원형상 아치형 라운딩부의 시작점 전 또는 바로 시작점에서 끝난다;
·타일은 약 175 mm의 너비, 약 1,060 mm의 길이, 약 79 mm의 높이 및 약 2.5 mm의 두께를 가지며, 플랜지는 약 52 mm의 너비를 갖는다;
·타일은 약 175 mm의 너비를 갖는다;
·타일은 약 1,060 mm의 길이를 갖는다;
·타일은 약 79 mm의 높이를 갖는다;
·타일은 약 2.5 mm의 두께를 갖는다;
·플랜지는 약 52 mm의 너비를 갖는다;
·두 개의 엠보싱 스트립들은 약 1.5 mm만큼 돌출된다;
·엠보싱 스트립들은 약 25 mm의 너비를 갖는다;
·엠보싱 스트립들은 중앙 부분과 대응 플랜지 사이의 연결 영역의 원형상 아치형 라운딩부로부터 약 13 mm에서 끝난다;
·엠보싱 스트립은 플랜지의 자유단으로부터 약 14 mm에서 끝난다;
·타일은 4쌍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타일의 길이 방향의 측정값에 대응되는 리브의 너비는 약 15 mm이다;
·한 쌍에서, 두 개의 리브들은, 두 개의 인접한 가장자리들 사이에 타일의 길이방향에서 측정된 30 mm만큼 이격되어 있다;
·타일의 세로의 단부들 각각은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한다;
·타일의 리브들의 단부 쌍에서, 그 쌍의 첫번째 리브는 타일의 말단으로부터 10 mm의 거리에 단부를 갖는다;
·타일의 블랭크는 병렬의 연속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데, 이 방법에서, 셀룰로오스 스트립을 상기 스트립에 타일들의 평행 라인들을 형성하는 연속 주행 방법으로 성형하고, 그 다음 상기 스트립을 정해진 길이의 세그먼트들로 절단하고, 그 다음 상기 세그먼트들을 고온 역청으로 함침하고, 그 다음 상기 함침된 세그먼트들을 절단하여 개개의 타일들을 얻는다
·타일의 블랭크는 액체들이 형상 및 역형상(counter shape)을 포함하는 몰드로부터 흡입되면서 압력 하에서 셀룰로오스 펄프를 농축하고 열-성형하는 비연속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그 다음 상기 블랭크는 고온 역청에 함침하고; 그리고
·역청에 의한 열-함침은 건조된 셀룰로오스 블랭크 위에서 수행한다.
비록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다음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마루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타일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타일을 앞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타일을 뒤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타일의 우측단부에서 본 축방향/횡축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타일의 좌측단부에서 본 축방향/횡축 도면이다.
도 8은 용마루 라인이 있는 지붕을 포함하는 주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형적으로, 종래의 용마루 타일에서 변형 응력이 없을 때,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은 약 146°이고, 이는 수평선에 대하여 17°로 경사진 플랜지들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용마루 타일에서,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은 더 작을수록, 용마루 타일이 종래의 용마루 타일보다 더 닫혀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 서술된 예에서, 변형 응력이 없을 때,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α)은 약 106°이고, 이는 수평선에 대하여 37°의 각(β)으로 경사진 플랜지들에 대응한다. 도 8은 용마루 라인(17)을 따라 만나는 두 경사면(16)을 포함하는 지붕이 있는 주택을 나타낸다. 도 8에서, 두 경사면들 사이에 용마루 라인에 따른 용마루 각은 γ로 표시된다.
용마루 타일은 뒤집힌 형상의 홈통을 형성하고 중앙 부분으로부터 측방향 하향 경사의 두 개의 평탄한 플랜지(3)들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된 아래로 오목한 중앙 부분(2)을 포함하는 대칭적으로 신장된 부재이다. 도 1에서, 용마루 타일의 좌측 축/횡 말단(4)은 관찰자를 향해 위치하고 또 다른 또는 우측 축/횡 말단(5)은 이의 반대 말단이다. 도 1에서 용마루 타일의 상부(6)는 상부를 향하고, 용마루 타일의 하부(7)는 하부를 향한다. 도 1에서, 용마루 타일의 길이를 따라 첫번째 측면에 대응하는 정면(8)은 관찰자를 향하고, 후면은 용마루 타일의 다른 면을 향한다.
돌출되고(raised), 선형이며 평탄한 엠보싱 스트립(10)은 각각의 플랜지(3)들을 따라 연장된다. 리브들(11)은 용마루 타일의 중앙 부분(2)을 따라 횡방향으로 쌍으로 배치된다. 리브 쌍들의 좌측 또는 우측말단은 용마루 타일들이 이들의 말단에서 타일들이 일부 겹치면서 설치될 때 서로 덮도록 설계된 것이다.
도 2 내지 5는 용마루 타일의 본질적인 대칭 구조를 더 분명히 나타낸다.
도 6 및 7은 아래로 오목하고 두개의 직선/평평한 세그먼트(13)들에 의하여 양측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상 아치형 상부 세그먼트(12)로 구성된 중앙 부분(2)의 구조를 더 분명히 나타낸다. 중앙 부분(2)은 직선 세그먼트(13)와 대응 플랜지(3) 사이의 연결 영역(14)에 의해 대응 플랜지에 연결된다. 이 연결 영역은 원형상 아치형 라운딩부(14)를 포함한다. 원형상 아치형 라운딩부(14)는 응력 하에서 변형에 영향을 받을 때 용마루 타일의 거동을 더 개선시키고 타일의 악화/파괴의 위험을 감수함 없이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의 응력 하에서 변형의 진폭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용마루 타일은 90° 내지 146.6°, 바람직하게는 163°까지 연장되는 용마루 각의 범위(지붕의 두 경사면들 사이에서 아래로 대면하는 내각과 동일)를 나타내는 지붕들에서 악화 또는 파괴의 위험없이 설치될 수 있다.
경사면들 중 하나의 경사각(수평선에 대한 경사각과 동일) 면에서, 대칭인 지붕을 위해, 경사각은 다음 제한된 경사각에 대응한다:45°, 즉 100%; 및 16.7°, 즉 30%, 및 바람직하게는 8.5°, 즉 15% 까지. 수평선에 대하여 측정된 경사각들 사이의 관계 및 퍼센트로의 표현은 탄젠트 각으로 주어진다.
용마루 타일의 응력하의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결정된 적합한 실험 조건의 예로써, 테스트 방법 TS EN 537 7.4.4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한 실시는 아래에 간략히 요약된다:
·결정된 용마루 각을 갖는 지붕 용마루의 단단한 모델 위에 용마루 타일을 설치하고 이를 스파이크 또는 나사로 플랜지들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흡수를 위한 탈염수 욕(bath)에 용마루 타일을 두는 단계
·용마루 타일을 추출하고 동결을 위해 -20℃의 온도에서 동결 챔버에 두는 단계;
·용마루 타일을 추출하고 가열을 위해 +50℃의 온도에서 통풍 오븐에 두는 단계.
이 다양한 흡수, 동결 및 가열 단계들은 결정된 개별적인 내구성에 따라 특정 회수로 반복되고, 마지막으로 타일은 어떠한 악화 또는 파괴가 있는지 아닌지, 특히, 크랙, 파쇄, 인열 또는 균열이 나타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된다.
이 예시된 용마루 타일의 설명에서 주어진 값들은 근사값 및 지시값이고, 이들은 제조된 특정 모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용마루 타일은 경사면들이 동일한 각으로 경사지는 지붕, 즉, 대칭적인 용마루를 갖는 지붕 및 경사면들이 다른 각으로 경사지는 지붕, 즉, 비대칭적인 용마루를 갖는 지붕에 동일하게 잘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용마루 타일은 또한, 힙 타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위에 서술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이념에 따라 임의의 변형 및 이와 동등한 것들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범위를 넘어서지 않으면서 많은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11)

  1. 역청-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1)의 지붕 덮개용 용도로서, 상기 타일은 수직의 대칭면을 갖는 구분 부재의 형태이고, 중앙 부분의 오목 측에서 측정된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α)을 형성하기 위해 두개의 하향 경사의 평탄한 플랜지들에 의하여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된 아래로 오목한 중앙 부분(2)을 횡방향으로 포함하고, 상기 타일의 두 경사면들 사이에 용마루 각(γ)을 형성하는 두개의 경사면들 사이에 정의된 지붕 용마루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들은 지붕의 두 경사면들에 대고 평탄하게 적용되는 성형 용마루 타일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 타일이 어떠한 응력도 받지 않고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상기 내각이 소정의 값을 갖는 자유 구조를 가지고서, 악화 또는 파괴 없이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내각을 90°내지 163°에 이르는 용마루 각(γ)의 범위로 변경시켜 적용되고, 즉, 변형 응력이 없을 때,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상기 내각은 116° 내지 96°의 범위에 놓이고, 즉, 수평선에 대하여 42° 내지 32°의 범위에 놓이는 플랜지 각(β)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의 각 측면 위에, 상기 중앙 부분과 상기 대응 플랜지 사이의 연결 영역은 원형상 아치형 라운딩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역청-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1)로서, 상기 타일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형상이고, 중앙 부분 옆에서 측방향 하향 경사의 두 개의 평탄한 플랜지(3)들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된 아래로 오목한 대칭 중앙 부분(2)을 횡방향으로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아래로 대면하는 내각(α)에서 교차하는 두 면들(P, P`)에 의해 수반되고, 상기 플랜지들은 두 경사면들 사이의 각진 연결을 따라 뒤집힌 V-형상 지붕의 두개의 평탄한 경사면들에 대하여 평탄하게 적용되고, 상기 두 경사면들은 그들 사이에서 결정된 용마루 각으로 한정되는 용마루 타일에 있어서,
    변형 응력이 없을 때, 상기 플랜지들 상이의 내각(α)은 116° 내지 96°의 범위에 놓이고, 수평선에 대하여 42° 내지 32°의 범위에 놓이는 플랜지 각(β)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상기 내각(β)은 106°이고, 즉, 플랜지 각은 수평선에 대하여 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의 양측 위에, 상기 중앙 부분과 상기 대응 플랜지 사이의 상기 연결 영역은 원형상 아치형 라운딩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은 상기 연결 영역으로 연장된 두 개의 경사 직선 세그먼트(13)에 의하여 양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상 아치형 상부 세그먼트(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상 아치형 상부 세그먼트(12)는 35 mm 의 내부 반경을 가지고, 수평선에 대하여 약 31 mm의 두배의 진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들 각각은 그의 길이에 따라서 그의 폭 내에서 상기 플랜지에 대하여 돌출된 평탄한 엠보싱 스트림(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2)은 쌍으로 배치되는 횡방향 리브들(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 타일의 너비는 약 175mm, 길이는 약 1,060 mm이고, 높이는 약 79 mm이고, 두께는 약 2.5 mm이고, 상기 플랜지들의 너비는 약 5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의 형상은 셀룰로오스 스트립이 상기 스트립에서 용마루 타일 형상의 평행한 라인들을 형성하는 연속 주행 방법으로 성형되고, 그 다음 상기 스트립은 정해진 길이의 세그먼트들로 절단되고, 그 다음 상기 세그먼트들은 고온 역청으로 함침되고, 그 다음 상기 함침된 세그먼트들은 절단되어 개별적인 타일들을 얻는 병렬의 연속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타일.
KR1020130032966A 2012-03-27 2013-03-27 역청 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 및 이의 용도 KR20130110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2752 2012-03-27
FR1252752A FR2988750B1 (fr) 2012-03-27 2012-03-27 Faitiere en cellulose moulee impregnee de bitume,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102A true KR20130110102A (ko) 2013-10-08

Family

ID=4799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966A KR20130110102A (ko) 2012-03-27 2013-03-27 역청 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782963B2 (ko)
EP (1) EP2644798B1 (ko)
JP (1) JP6348255B2 (ko)
KR (1) KR20130110102A (ko)
CN (1) CN103362252B (ko)
AR (1) AR090484A1 (ko)
BR (1) BR102013007092A2 (ko)
CA (1) CA2810379C (ko)
ES (1) ES2528907T3 (ko)
FR (1) FR2988750B1 (ko)
MX (1) MX336656B (ko)
MY (1) MY170073A (ko)
PH (1) PH12013000097A1 (ko)
PL (1) PL2644798T3 (ko)
RU (1) RU2610950C2 (ko)
UA (1) UA11314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2736B1 (fr) 2015-02-12 2017-03-10 Imerys Tc Tuile de toiture
GB201514046D0 (en) 2015-08-07 2015-09-23 Rivard Daniel Roof ridge shingle unit method of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7031A (en) * 1925-03-16 1928-07-10 Milwaukee Corrugating Company Sheet-metal roofing
US1653847A (en) * 1927-01-15 1927-12-27 Oliver P Greenstreet Ridge cap
US1855357A (en) * 1929-11-18 1932-04-26 Milcor Steel Company Sheet metal roofing
JPS5021296Y1 (ko) * 1967-04-20 1975-06-27
US3491573A (en) * 1967-09-18 1970-01-27 Alfred A Tennison Jr Pre-draw crimping method and article
JPS4629030Y1 (ko) * 1967-11-06 1971-10-07
US4322924A (en) * 1978-10-13 1982-04-06 Marley Tile Ag Roof ridge capping
BE892078A (fr) * 1982-02-09 1982-05-27 Manet Claude Closoir universel de faitage pour toit de batiment
FR2544363B1 (fr) * 1983-04-14 1987-07-31 Mines Fond Zinc Vieille Nouveau systeme de faitage a ventilation continue
GB2210072B (en) * 1987-02-19 1991-01-23 Peter Westwood Fully adjustable multi angle roof ridge & hiptile
JPH0542451U (ja) * 1991-11-08 1993-06-08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建築用棟部分防水シート材
US5605018A (en) * 1995-08-04 1997-02-25 Illinois Tool Work Inc. Flexible roof end cap
FR2755712B1 (fr) * 1996-11-12 1999-08-06 Onduline Sa Materiau de couverture
DE29709933U1 (de) * 1997-06-07 1997-08-07 Fleck Oskar Dachzierkörper
GB2338968B (en) * 1998-07-03 2002-07-10 Barry Peter Newel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idge cappings
CA2500984C (en) * 2002-10-02 2008-03-04 Martin J. Rotter Contoured ventilation system for tile roofs
MY141359A (en) * 2004-03-30 2010-04-16 Cyberlogic Engineering Sdn Bhd Ventilation unit
WO2006108231A1 (en) * 2005-04-14 2006-10-19 Michael John Sophocleous A roof ridge end cap
CN2828191Y (zh) * 2005-08-10 2006-10-18 汤小鹏 斜面屋顶瓦板
JP4651572B2 (ja) * 2006-04-19 2011-03-16 株式会社トーコー 勾配対応型換気棟
US9017791B2 (en) * 2008-05-13 2015-04-28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Shingle blank having formation of individual hip and ridge roofing shingles
US20110225907A1 (en) * 2010-03-18 2011-09-22 Hung-Sen Chang Ventilating Unit and Ventilating Top Construction for Building
FR2969671B1 (fr) * 2010-12-22 2012-12-28 Onduline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 element de couverture de toiture en fibres vegetales moulees sous presse et impregne de bitume, element notamment de faitage, solin, costiere, aret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88750B1 (fr) 2015-07-03
JP2013204419A (ja) 2013-10-07
ES2528907T3 (es) 2015-02-13
EP2644798A1 (fr) 2013-10-02
BR102013007092A2 (pt) 2015-06-23
MY170073A (en) 2019-07-03
PH12013000097B1 (en) 2014-10-08
JP6348255B2 (ja) 2018-06-27
RU2013113487A (ru) 2014-10-10
CA2810379A1 (fr) 2013-09-27
AR090484A1 (es) 2014-11-12
CN103362252B (zh) 2018-02-09
RU2610950C2 (ru) 2017-02-17
FR2988750A1 (fr) 2013-10-04
PL2644798T3 (pl) 2015-04-30
MX2013003292A (es) 2013-09-26
UA113148C2 (xx) 2016-12-26
CN103362252A (zh) 2013-10-23
CA2810379C (fr) 2020-01-14
PH12013000097A1 (en) 2014-10-08
US20130255164A1 (en) 2013-10-03
US8782963B2 (en) 2014-07-22
EP2644798B1 (fr) 2014-11-12
MX336656B (es)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4228C (en) Synthetic shingle or tile with stress relief nail zones
US3520100A (en) Rigid interlocking overlapping panel joint with a drain groove
US8397462B2 (en) Open web grid runner
US6061973A (en) Roof venting system for trussed and raftered roofs
US8806827B2 (en) Roof element
US9151059B2 (en) Roof venting closure member including convoluted foam
US20180112411A1 (en) Subframe support for retrofit roof
KR20130110102A (ko) 역청 함침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성형 용마루 타일 및 이의 용도
EA031739B1 (ru) Элемент кровельного черепицеподобного покрытия с рельефн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RU177951U1 (ru) Профильный лист
RU187563U1 (ru) Профильный лист
US9157237B2 (en) Roof tile crown support
US20210047834A1 (en) Reinforced notched sub-purlin
RU178910U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лицовки стен
US20070251171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collecting falling mortar
RU2322555C2 (ru) Кровля
RU2037042C1 (ru) Черепица
BR112015013160B1 (pt) Calha para um canal de drenagem ou um poço de inspeção
RU52888U1 (ru) Кровля
RU44126U1 (ru) Крове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для этой системы
US9637929B1 (en) Hip ventilator
JPS6016175Y2 (ja) 彎曲状建築用板
ITRE20110029A1 (it) Dispositivo di sostegno per pannelli
TWM561113U (zh) 新浪板覆蓋舊浪板之按裝固定隔件
EP3105516A1 (en) Solar thermal collec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