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293A -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 Google Patents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293A
KR20130109293A KR1020120030885A KR20120030885A KR20130109293A KR 20130109293 A KR20130109293 A KR 20130109293A KR 1020120030885 A KR1020120030885 A KR 1020120030885A KR 20120030885 A KR20120030885 A KR 20120030885A KR 20130109293 A KR20130109293 A KR 20130109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pipe
transfer pipe
heating chamber
pyrolysis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013B1 (ko
Inventor
배희찬
Original Assignee
아노텐금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노텐금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노텐금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01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여 화합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된 유기폐기물을 가열된 열분해로에 공급하고 이들이 열분해되면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각각 분리되어 배출되는 과정에 있어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이 생성 배출될 때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의 내벽면에 이들이 고착되는 경우 외부에서 이를 제거하여 열분해로를 정지시키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열분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A Expansion Joint Sweeping Device}
본 발명은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여 화합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된 유기폐기물을 가열된 열분해로에 공급하고 이들이 열분해되면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각각 분리되어 배출되는 과정에 있어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이 생성 배출될 때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의 내벽면에 이들이 고착되는 경우 외부에서 이를 제거하여 열분해로를 정지시키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열분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분해란 유기물을 무산소 상태하에서 간접열을 가하여 분해시키는 것으로서, 고분자 유기물에 열을 가하면 분자구조가 파괴됨과 동시에 이로부터 발생되는 열분해가스를 응축시켜 보다 간단한 저분자 물질로 전환된 부산물을 얻어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부산물은 고체 상태의 카본, 액체 상의 오일 및 기체상의 불응축성 가스 등이 있다.
오일과 카본을 회수하기 위한 열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폐타이어, 폐고무, 비닐, 플라스틱, 피혁 슬러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열분해 시키면 열분해될 때 발생된 가스는 배기관을 따라 배출되어지고, 배출되어진 가스를 냉각 및 정제하여 오일을 얻게 된다.
이러한 열분해 반응장치는 통상적으로 열분해로를 오일을 정제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컨덴서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열분해로는 열분해된 고형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고형물 배출구, 오일성분을 함유한 가스성분을 배출하기위한 가스배출구, 처리대상인 유기물을 공급받기 위한 투입구, 열분해로의 내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버너, 및 투입된 유기물을 고형물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종래의 열분해로는 배치(batch)타입이어서, 투입구와 고형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어서, 로내를 열분해에 바람직한 상태인 무산소 상태로 유지하기에는 바람직하지만, 연속식 열분해로보다는 수율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분해로가 연속식 타입으로 변경되어야 하지만, 열분해로에서 배출되는 연료가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이 혼재되어 있어서, 열분해로의 가스배출구에서 액화된 고비점 연료가스와 유기물의 열분해 후 고형성분의 카본 입자가 혼합되어 가스배출구가 막히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되어, 연속으로 가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본 등과 같은 고형물은 열분해로에 구비된 고형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될 때 그 배출구를 통해 열분해로 내부로 유입되어 열분해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등록특허 제10-0958425호의 '유기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연료유를 추출하는 시스템'으로 열분해로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분해로에 구비되는 열분해설비(5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하단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5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버너(52), 일측이 상기 케이스(51)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케이스(51) 내의 전장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챔버(53), 일측이 상기 케이스(51)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케이스(51)내의 전장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1챔버(53)보다 낮은 높이 레벨에 배치되어 있는 제2챔버(54), 상기 제1챔버(53) 내의 전장에 걸쳐 뻗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기폐기물 칩을 이송시키는 제1오거(55), 상기 제2챔버(54) 내의 전장에 걸쳐 뻗어서 상기 제1챔버(53)에서 배출된 유기폐기물칩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기폐기물 칩을 이송시키는 제2오거(56), 상기 제1챔버(53)의 타측 하단과 상기 제2챔버(54)의 타측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연결챔버(57) 및 상기 제1챔버(53)의 타측 상단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51)의 타측 상단을 관통하여 노출된 가스배출관(58)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스배출관(58)에는 유증기 성분을 정제하여 오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컨덴서(59)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열분해설비(50)는 투입구(A)를 통해 파쇄된 유기폐기물이 상기 제1오거(55)로 유입되면서 가열되는 열에 의해 분해된 후, 가스성분은 상기 가스배출관(58)으로 빠져 나가 상기 오일컨덴서(59)로 공급되어 여기서 오일이 정제 생산되고, 고형성분인 카본 등은 상기 연결챔버(57)로 떨어져 상기 제2오거(56)를 거쳐 배출구(B)를 통해 빠져 나가 저장고(S)에 축적된 후 제1,2밸브(60,61)를 개방하여 방출 처리되면서 폐타이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의 화합물 분해 과정이 이루어진다.
KR 10-0955425 (등록번호) 2010.04.22. KR 10-0962480 (등록번호) 2010.06.03. KR 10-2012-0005337 (공개번호) 2012.01.16.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분해설비는 열분해 과정에서 얻어지는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이 제1챔버(53)에서 생성된 후 연결챔버(57, 이를 '익스팬션 조인트'라고도 함)로 낙하되면서 제2챔버(54)의 오거(56)에 의해 배출구(B)를 통해 빠져 나가 저장고(S)에 축적된 다음 밸브(60,6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본 배출과정에서 고형성분인 카본 등이 연결챔버(57)의 내벽면에 고착되어 쌓이게 되면서 결국에는 연결챔버(57)가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연결챔버(57)가 막히게 되면 상기 케이스(51)와 각 챔버(53,54)를 해체하여 보수 및 수리하는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이로 인해 화합물의 열분해 작업에 대한 효율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분해로에 의해 유기폐기물로부터 분리 생산되는 고형성분이 열분해로 내부의 제1이송관에서 제2이송관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그 중간부측에 익스팬션 조인트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로 고형성분을 배출하는 제1이송관에는 외부에서 그 내부를 관찰하여 상기 제1이송관과 연통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의 내벽면에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의 고착 정도를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내부로 고형성분 제거수단을 삽설하여 이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고형성분제거통로관이 설치 구비되어, 익스팬션 조인트에 고형성분이 고착될 경우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을 개방하고 브러쉬 등을 삽설하여 이들을 청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스팬션 조인트의 막힘 현상을 열분해로의 해체없이 손쉽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터와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와,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로부터 투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 상기 제1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으로부터 생성 공급되는 유기물이 이동되어 퇴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의 일측에 익스팬션 조인트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 상기 제2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이 삽설된 제3이송관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 및 상기 제3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오일컨덴서로 구성되는 폐유기물 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관에는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의 입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히팅챔버의 외부측으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의 내벽에 고형성분의 고착 여부를 인식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고형성분제거통로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는 열분해로에서 폐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이 익스팬션 조인트를 통해 제1이송관에서 제2이송관으로 배출될 때, 이들이 그 내벽면에 달라붙어 익스팬션 조인트가 막히는 현상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분해로를 해체하지 않고 익스팬션 조인트를 보수 및 수리할 수 있어 막대한 시간과 비용 절감은 물론 이로 인해 화합물의 열분해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분해로의 운전 중에도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여 열분해로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가 구비된 유기폐기물의 열분해로 장치에서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이 익스팬션 조인트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요부확대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에 브러쉬수단을 이용해 익스팬션 조인트의 막힘상태를 해소시키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열분해로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히터와 같은 열원(111)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110,heating chamber)와,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112)로부터 투입구(1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120)과,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121)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122,auger)과,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122)으로부터 생성 공급되는 유기물(카본)이 이동되어 퇴출구(1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120)의 일측에 익스팬션 조인트(125, 또는 연통관이라고도 함)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130)과,
상기 제2이송관(13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131)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123)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132,auger)과,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141)이 삽설된 제3이송관(140)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110)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120)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150),
상기 제3이송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오일컨덴서(160, 증류기)로 구성되는 폐타이어 등과 같은 유기폐기물을 가열하고 고형성분과 유증기를 분리하여 카본과 오일을 추출하는 폐유기물 분해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관(120)에는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의 입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히팅챔버(110)의 외부측으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의 내벽에 고형성분의 고착현상 여부를 관찰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고형성분제거통로관(170)이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170)은 그 일단이 상기 제1이송관(120)과 연통되고 타단에는 외부와의 연통을 제어하는 커버플레이트(171)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170)은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의 양측 내벽면을 각각 관찰하고 이에 고형성분 고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도록 1개 이상 다수개가 설치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170)은 상기 유증기배출관(150)의 측면으로 설치되어 이와는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일컨덴서(160)은 바닥면의 형상에 있어 그 중앙부가 높게 형성되고 모서리부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구배로 되어 있어 가스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오일이 모서리부로 용이하게 흘러 고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모서리부의 바닥부측에는 가스성분으로부터 생성되어 고인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배출구(161)가 연결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배출구(161)는 한군데 이상 설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170)은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의 양측 내벽면에 고형성분이 고착되어 그 기능을 다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커버플레이트(171)를 열고 그 내부로 브러쉬수단(180)를 삽설하여 고형성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수단(180)은 그 일단부에 사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을 용이하게 게거할 수 있도록 브러쉬 등과 같은 제거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유기물 분해장치(200)의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100)는 폐타이어나 폐고무 등과 같은 폐유기물을 작은 조각으로 분쇄한 다음 컨베이어장치와 공급호퍼 등을 이용하여 상기 투입구(113)를 통해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히팅챔버(110)는 열원(111)을 이용하여 일정온도 이상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폐유기물의 분쇄조각이 상기 제1이송관(120) 내부로 공급되면 상기 구동수단(1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오거수단(122)이 회전되면서 이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오거수단(122)에 의해 이동되는 폐유기물의 분쇄조각은 상기 히팅챔버(110) 내부의 고온에 의해 가열 분해되면서 유증기성분과 고형성분으로 분리되어 유증기성분은 상기 유증기배출관(150)을 통해 상기 제3이송관(140)으로 배출되고, 고형성분은 연통관 즉,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를 통해 상기 제2이송관(140)으로 떨어져 상기 구동수단(131)으로 작동되는 상기 제2오거수단(132)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퇴출구(123)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관(140)으로 배출되는 유증기 성분은 상기 오일컨덴서(160)로 공급되면서 여러과정을 통해 오일과 가스 등으로 분리되어 오일은 상기 오일컨덴서(160)의 바닥면에 구비된 상기 오일배출구(161)를 통해 배출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폐유기화합물이 열분해로에서 화학적인 열분해 과정이 반복 처리되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의 내벽면에는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이 점차 고착되게 되고 이를 해소하지 않게 되면 그 통로를 막아 열분해로의 기능을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는 스틸강관으로 구비되나 근래에 들어서는 외부의 강한 충격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이를 주름관 형상으로 설치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가 주름관 형상으로 하여 설치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 주름 사이에 카본 등의 고형성분이 더욱 용이하게 달라붙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때문에, 정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를 외부에서 관찰 검사하여 이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의 내벽면에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이 다량 고착된 것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171)를 열고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170) 내부로 상기 브러쉬수단(180)를 삽설한다.
상기 브러쉬수단(180)은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170)을 삽설하여 그 단부측에 구비된 브러쉬가 상기 제1이송관(120)을 통과하여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의 내벽면에 달라붙어 고착된 고형성분을 떨어뜨리는 작업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170)을 통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125)의 내벽면을 정기적으로 청소하여 이에 고착된 고형성분을 제거시켜 줌으로써 열분해로를 분해하지 않고 정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수리 비용의 절감은 물론 운전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는 열분해로에 의해 유기폐기물로부터 분리 생산되는 고형성분이 열분해로 내부의 제1이송관에서 제2이송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그 중간부측에 익스팬션 조인트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에 고형성분을 공급하는 제1이송관에는 외부에서 그 내부를 관찰하여 상기 제1이송관과 연통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의 내벽면에 카본 등과 같은 고형성분이 고착된 정도를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내부로 고형성분 제거수단을 삽설하여 이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고형성분제거통로관이 설치 구비되어, 익스팬션 조인트에 고형성분이 고착될 경우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을 개방하고 브러쉬 등을 삽설하여 이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스팬션 조인트의 막힘 현상을 열분해로의 해체없이 손쉽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분해로의 운전 중에도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여 열분해로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연속 운전을 가능할 수 있게 한다.
100: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110:히팅챔버 111:열원
120:제1이송관 121:구동수단 122:제1오거수단 123:퇴출구
125:익스팬션 조인트
130:제2이송관 131:구동수단 132:제2오거수단
140:제3이송관 141:제3오거수단
150:유증기배출관
160:오일컨덴서 161:오일배출구
170:고형성분제거통로관 171:커버플레이트
180:브러쉬수단
200:폐유기물 분해장치

Claims (4)

  1. 히터와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챔버와,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파쇄된 유기물이 공급장치로부터 투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제1이송관,
    상기 제1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오거수단,
    상기 히팅챔버 내부에 삽설되고 일단이 그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오거수단으로부터 생성 공급되는 유기물이 이동되어 퇴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관의 일측에 익스팬션 조인트로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된 제2이송관,
    상기 제2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유입되는 유기물을 상기 퇴출구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오거수단,
    일단으로는 유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3오거수단이 삽설된 제3이송관이 연통 설치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히팅챔버의 일측단부에 삽설되어 상기 제1이송관의 일단부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증기배출관, 및
    상기 제3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로부터 오일을 생산하는 오일컨덴서로 구성되는 폐유기물 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관에는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의 입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히팅챔버의 외부측으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의 내벽에 고형성분의 고착 여부를 인식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고형성분제거통로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은 그 일단이 상기 제1이송관과 연통되고 타단에는 외부와의 개방을 제어하는 커버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성분제거통로관은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의 양측 내벽면에 고착되는 고형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1개 이상 다수개가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는 그 외형이 주름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KR1020120030885A 2012-03-27 2012-03-27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KR101357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885A KR101357013B1 (ko) 2012-03-27 2012-03-27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885A KR101357013B1 (ko) 2012-03-27 2012-03-27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293A true KR20130109293A (ko) 2013-10-08
KR101357013B1 KR101357013B1 (ko) 2014-02-03

Family

ID=4963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885A KR101357013B1 (ko) 2012-03-27 2012-03-27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4405A (en) * 2015-04-01 2015-09-23 Green Conservation Resourc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supply of commingled plastic from municipal solid waste (MSW) to an in-vessel and obtaining oil/liquid fu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312B2 (ja) * 1993-07-29 1997-04-30 日立造船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の熱分解装置における異物、残渣の除去方法
JP3869593B2 (ja) 1999-09-22 2007-01-17 株式会社タクマ 熱分解ガスダクトの清掃装置
KR100924081B1 (ko) * 2007-11-09 2009-11-02 (주)이앤페트로테크놀러지 고분자류 폐기물 유화장치
JP5352096B2 (ja) 2008-02-29 2013-11-27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燃焼炉及び堆積物除去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4405A (en) * 2015-04-01 2015-09-23 Green Conservation Resourc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supply of commingled plastic from municipal solid waste (MSW) to an in-vessel and obtaining oil/liquid fuel
GB2537194A (en) * 2015-04-01 2016-10-12 Green Conservation Resourc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supply of commingled plastic from municipal solid waste (MSW) to an in-vessel and obtaining oil/liquid fuel of consistent
GB2537194B (en) * 2015-04-01 2020-12-30 Green Conservation Resourc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Supply of Commingled Plastic from Municipal Solid Waste (MSW) to An In-vessel and Obtaining Oil/Liquid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013B1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728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연속 가동식 유화설비
CN114127234A (zh) 废弃物的热解油生产系统
KR100820868B1 (ko) 탈염기능을 갖는 고분자류 폐기물 유화장치
KR20030066811A (ko) 플라스틱 액화장치
KR20110075308A (ko)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재생연료유를 생산하는 회분식 공정의 연속공정화 방법
KR102529219B1 (ko) 연속가동식 열분해 유화장치
KR101055794B1 (ko) 다기능 복합처리장치
US11807813B2 (en)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oil, gas and char for a coal black from elastomers, especially rubber waste,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pyrolysis
KR101357013B1 (ko) 열분해로 내부에 구비된 익스팬션 조인트 막힘 해소 장치
KR101175550B1 (ko) 열분해로 고형성분 배출이송관 막힘 방지 장치
KR101327169B1 (ko) 열분해로에 연결된 오일컨덴서의 오일배출구 막힘 해소 장치
WO2009130524A1 (en) Pyrolytic apparatus and method
CN216639236U (zh) 旋转刮料立式油泥处理设备
JPS62187791A (ja) プラスチツクスクラツプから油脂状炭化水素燃料等の回収方法
KR101357025B1 (ko) 열분해로의 공기유입 차단 카본 실링장치
KR100955425B1 (ko) 유기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연료유를 추출하는 시스템
KR100582948B1 (ko)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분리장치
KR20230078078A (ko) 스크래퍼를 구비한 응축기
KR101213754B1 (ko) 열분해로
KR101565544B1 (ko) 복수 개의 열교환부를 구비한 폐원료 이용 재생오일 생산장치
JPS62184034A (ja) プラスチツク廃棄物の油化装置
WO2019096019A1 (zh) 工业连续化污油泥热分解设备
KR102213139B1 (ko) 열분해로 슬러지 배출장치
KR100817738B1 (ko) 폐플라스틱의 유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58161A (ko)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열분해 유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