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605A -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605A
KR20130108605A KR1020137013163A KR20137013163A KR20130108605A KR 20130108605 A KR20130108605 A KR 20130108605A KR 1020137013163 A KR1020137013163 A KR 1020137013163A KR 20137013163 A KR20137013163 A KR 20137013163A KR 20130108605 A KR20130108605 A KR 20130108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application
state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289B1 (ko
Inventor
젱 리
Original Assignee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0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가 서버의 하향 이벤트를 수신할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단말기 업무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EVEN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본 출원은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으로 2010년 10월 26일에 출원된 중국특허출원 제201010527311.5호에 근거한 우선권 출원이며, 그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버 디 에어(OTA, Over The Air) 어플리케이션은 단문 메시지 메커니즘에 근거하여, 휴대폰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유저로 하여금 맞춤형 정보 서비스를 얻게 하는 데이터 부가 서비스이다. OTA 어플리케이션은 휴대폰 단말기,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에 저장되며, 서비스 메뉴의 동적 다운로드, 삭제, 및 업데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단말기의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 또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방식을 통해 서버와 티켓 구매, 티켓 수령, 티켓 반환 등의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휴대폰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한 회의 업무는 보통 여러 번의 신호 전달(signaling) 상호작용을 거쳐 완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업무는 메시지 하향(MT, Mobile Terminated) 또는 메시지 상향(MO, Mobile Originated) 방식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기존 기술의 휴대폰 단말기와 서버의 시스템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휴대폰 단말기의 OTA 어플리케이션이 MO 방식을 통해 서버에 업무 요청을 발송한 후, OTA 어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는 상태에 있으며,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에서 회신한 업무 응답을 수신한 후, 휴대폰 단말기는 업무를 완성하고 유휴(idle) 상태가 된다. 서버도 MT 방식을 통해 단말기에 업무 지시를 발송하며, 단말기의 OTA 어플리케이션은 업무 지시를 수신한 후, 서버에 응답을 회신하고 서버의 응답을 대기하는 상태가 되며, 서버에서 회신한 업무 응답을 수신한 후, 업무를 완성하고 유휴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 있어서, 발명자는 기존 기술에 적어도 아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기존 기술은 비동기 통신 방식을 채용하기 때문에, 서버가 휴대폰 단말기의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을 확보할 수 없으며, 또한 신뢰성이 낮고, 메시지 분실이 용이하며, 서버가 MT 방식으로 휴대폰 단말기에 발송한 업무 지시는 휴대폰 단말기가 진행 중인 MO 방식의 업무를 중단시켜, OTA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다. 그에 더해, 휴대폰 단말기의 업무 과정 중에, MO 방식을 통해 새로운 업무를 개시하면, 이전 업무의 중단을 초래하여, 마찬가지로 OTA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아래와 같은 기술 방안을 채택한다.
단말기에 적용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desired)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서버의 하향 이벤트를 수신할 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버에 적용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가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상기 하향 이벤트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 관리기,
서버의 하향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서버에 있어서,
하향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 관리기,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 모듈이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상기 하향 이벤트를 발송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는 하향 이벤트를 선택함으로써, 단말기의 현재 업무를 중단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말기 업무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도 1은 기존 기술에 있어서의 단말기와 서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와 서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업데이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버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에 있어서, 단말기에는 그 단말기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desired)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고, 단말기가 서버의 하향 이벤트를 수신할 때,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며, 또한 그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그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며; 단말기가 상향 이벤트를 생성할 때,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며, 또한 그 상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그 상향 이벤트를 서버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서버에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고, 서버는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가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며, 서버가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단말기에 상기 하향 이벤트를 발송한다. 상술한 두 가지 방안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술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일부분이며, 실시예의 전부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 작업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획득하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와 서버의 구조 모식도이다. 단말기는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태 관리기를 마련하고, 그 상태 관리기를 통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유지하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수신한 하향 이벤트를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확인할 때, 그 하향 이벤트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또한 생성한 상향 이벤트가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일 때 그 상향 이벤트를 서버에 발송함으로써, 단말기 측에서의 처리를 통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버도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태 관리기를 마련하고, 그 상태 관리기를 통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기록하며,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일 때, 생성한 하향 이벤트를 단말기에 발송함으로써, 서버 측에서의 처리를 통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이벤트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는 상태 관리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태 관리기에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다. 단말기는 MO 방식 또는 MT 방식을 통해 현재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든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에서, 단말기는 서버의 하향 이벤트를 수신한다.
단계 302에서, 단말기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수신한 하향 이벤트가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판단 결과가 YES이면, 단계 303을 실행하고, NO이면 단계 304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에서의 상태 관리기는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를 확인하고, 수신한 하향 이벤트가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중,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는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하향 이벤트일 수 있다.
단계 303에서, 단말기는 수신한 하향 이벤트를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수신한 하향 이벤트를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한 후,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하향 이벤트에 근거하여 처리를 성공했음을 표시하기 위해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이 돌려보낸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단말기에서의 상태 관리기가, 어플리케이션이 하향 이벤트에 근거하여 처리를 성공하지 못했음을 표시하기 위해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이 돌려보낸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예정된 시간 내에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이 돌려보낸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때에, 단말기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유지한다.
단말기의 상태 관리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 업데이트 모식도에 따라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유휴(idle) 상태이고, 또 수신한 하향 이벤트가 업무1에 대한 MT 지시일 때, 상태 관리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무1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업무1 진행 상태이고, 또 수신한 하향 이벤트가 업무 1에 대한 업무 응답일 때, 상태 관리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먼저 업무1 완성 상태로 업데이트하고, 유휴 상태로 다시 한번 업데이트한다.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유휴 상태이고, 또 수신한 하향 이벤트가 업무 응답일 때, 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업무1 진행 상태이고, 또 수신한 하향 이벤트가 기타 업무에 대한 MT 지시일 때, 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단계 304에서, 단말기는 수신한 하향 이벤트를 폐기하고, 서버에 통지 메시지를 발송한다.
그 중, 통지 메시지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데, 그 상태 정보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상태를 명확하게 지시하는 직접 상태 정보(예를 들어, 상태 명칭 또는 표시)일 수 있고, 또는 간접 상태 정보(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표시 또는 명칭 또는 이벤트 내용 등)일 수 있으며, 서버는 그 간접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의 OTA 기능이 효력을 잃는 극단적인 상황에 대응하여, 단말기는 데이터 케이블, RFID, 블루투스, 적외선, WiFi 등 대안을 통해서도 서버와 상호 교류할 수 있다. 단말기가 업무 진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대안을 통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서버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305는 바람직한 하나의 단계이고, 본 발명의 기타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기는 수신한 하향 이벤트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그 하향 이벤트를 폐기하고 서버에 통지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 외의 기타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하향 이벤트에 응답하지 않고, 가장 최근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다시 서버에 발송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이벤트 처리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저에 재진행 옵션 또는 취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유저가 재진행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는 유저가 제출한 재발송 지시에 근거하여, 이미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다시 그 서버에 발송한다. 유저가 취소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는 유저가 제출한 상태 취소 지시에 근거하여, 서버에 취소 요청을 발송하며,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려 보내거나, 직접 유휴 상태로 돌려보낸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서버에 취소 요청을 발송한 후, 곧바로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이전의 상태 또는 유휴 상태로 돌려보낼 수 있으며, 서버에서 돌려보낸 취소 응답을 수신한 후, 곧바로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이전의 상태 또는 유기 상태로 되돌려 보낼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및 단말기가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는 유휴 상태, STK 티켓 구매 상태, SKT 티켓 반환 상태 및 STK 티켓 수령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가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는 티켓 기입 지시, 인터넷 티켓 구매 확인 요청 지시, 티켓 수령 티켓 기입 지시, 티켓 구매 취소 지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기술방안에 대해 서술하고 있을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단말기의 휴대폰 지갑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기타 어플리케이션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는 하향 이벤트를 선택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현재 업무를 중단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서버에 반영함으로써, 단말기가 현재 업무를 진행하는 과정 중에 서버가 새로운 MT 지시를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말기 업무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물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예의 임의의 제품은 반드시 이상의 모든 이점을 동시에 실현하지 않아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며, 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는 상태 관리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태 관리기에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다. 단말기는 MO 방식 또는 MT 방식을 통해 현재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며,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01에서, 단말기가 상향 이벤트를 생성한다.
단계 502에서, 단말기는 단말기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상향 이벤트가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판단 결과가 YES이면, 단계 504를 실행하고, NO이면 단계 503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상태 관리기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를 확인하며, 또한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상향 이벤트가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한다. 그 중,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는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상향 이벤트 일 수 있으며, 그 상향 이벤트는 서버로의 발송이 허용되며, 현재 업무를 중단시키지 않는다.
그 중,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상향 이벤트는 요청 이벤트 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요청 이벤트 사이는 상호 배제(mutex) 관계일 수 있다. 단말기가 현재 업무를 실행하는 과정 중에, 만약 서버에 현재 업무의 요청 이벤트와 상호 배제 관계에 있는 요청 이벤트가 발송되면, 현재 업무를 중단시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단말기의 상태 관리기는 현재 업무의 요청 이벤트와 상호 배제 관계에 있는 요청 이벤트를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 상태에서의 비기대(undesired)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그 요청 이벤트를 생성할 때, 상태 관리기는 그 요청 이벤트가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503에서, 단말기는 상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한다.
단계 504에서, 단말기는 상향 이벤트를 서버에 발송하고,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상향 이벤트를 서버에 발송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또한 상향 이벤트를 서버에 발송한 후,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단말기의 상태 관리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 업데이트 모식도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유휴 상태이고, 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가 업무1에 대한 MO 지시일 때, 상태 관리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무1의 상태로 업데이트하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업무1의 진행 상태이고, 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가 업무1에 대한 취소 요청일 때, 상태 관리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먼저 업무1의 중지 상태로 업데이트하고, 다시 유휴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업무1의 진행 상태이고, 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가 기타 업무에 대한 MO 지시일 때,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는 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 작업을 진행할 때,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표시하며, 재진행 및 취소의 두 가지 옵션을 제공한다. 유저가 재진행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는 서버에 이전의 업무 요청을 재발송하고, 서버는 재발송한 업무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에 업무 응답을 회신한다. 유저가 취소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는 서버에 현재 업무에 대한 취소 요청을 발송하고, 유휴 상태로 돌아가며, 또는 서버로부터의 취소 응답을 수신한 후, 유휴 상태로 돌아갈 수도 있다.
휴대폰 티켓을 예로 들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하향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향 이벤트를 발송한 후의 상태 변화를 표 1에 도시한다.
상태 지시 유휴 STK 티켓 구매 STK 티켓 반환 STK 티켓 수령
티켓 기입 지시 N/A 유휴 N/A N/A
인터넷 티켓 구매 확인 요청 지시 STK 티켓 구매 STK 티켓 구매(새로운 인터넷 티켓 구매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 실패) STK 티켓 반환(인터넷 티켓 구매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 실패) STK 티켓 수령(인터넷 티켓 구매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 실패)
티켓 수령 티켓 기입 N/A N/A N/A 유휴
티켓 반환 결과 응답 N/A N/A 유휴 STK 티켓 수령
티켓 구매 취소 지시 N/A 유휴 N/A N/A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표>
여기서, 표 1의 제1 행은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이 하향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향 이벤트를 발송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표 1의 제1 열은 수신한 하향 이벤트나 또는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나타내며, 표 1의 기타 내용은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이 하향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향 이벤트를 발송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N/A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이 수신한 하향 이벤트 또는 발송한 상향 이벤트가 무효이며,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은 상응한 지시를 실행하지 않고, 응답을 반송하지도 않음을 나타낸다.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이 업무 진행 상태에 있을 때, 유저가 1차 메뉴 "휴대폰 티켓"에 들어간 후,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은 처리 대기 중인 현재 STK 업무를 보여주며, "고객님의 XXXX(인터넷 티켓 구매, 티켓 수령 또는 티켓 반환) 업무는 처리 중이며, 고객님은 돌아가기, 계속 대기, 또는 선택 확인, 재발송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라는 내용일수 있다. 유저가 재발송을 선택한 후에,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은 로컬(local) 업무 요청을 서버에 재차 발송하며, 또한 로컬 업무 요청을 발송한 후, 2차 메뉴에 들어간다. 유저가 돌아가기를 선택한 후에,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은 바로 2차 메뉴에 들어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503은 바람직한 하나의 단계이고, 본 발명의 기타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기는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상향 이벤트를 서버에 발송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향 이벤트 발송을 거부하는 것 외의 기타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그 하향 이벤트를 폐기함으로써 이벤트 처리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기술방안에 대해 서술하고 있을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단말기의 기타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휴대폰 지갑 어플리케이션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서버에 발송하는 상향 이벤트를 선택하기 때문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가 단말기의 현재 업무를 중단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단말기는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유저에게 재발송 MO 지시 및 취소 MO 지시의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유저가 오조작하는 확률을 낮추고, 단말기 업무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예의 임의의 제품은 반드시 이상의 모든 이점을 동시에 실현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며, 이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는 상태 관리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태 관리기에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다. 단말기는 MO 방식 또는 MT 방식을 통해 현재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며, 서버는 단말기가 발송한 통지 메시지 또는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향 이벤트를 수신한 후, 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는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보유하고, 그 상태 정보는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명확하게 지시하는 직접 상태 정보(예를 들어, 상태 명칭 또는 표시)일 수 있고, 또는 간접 상태 정보(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표시 또는 명칭 또는 이벤트 내용 등)일 수 있으며, 서버는 그 간접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601에서, 서버가 하향 이벤트를 생성한다.
단계 602에서, 서버는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서버가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판단 결과가 YES이면, 단계 604를 실행하고, NO이면 단계 603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서버의 상태 관리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를 확인하고,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한다. 그 중,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는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하향 이벤트 일수 있다.
단계 603에서, 서버는 하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한다.
단계 604에서, 서버는 단말기에 하향 이벤트를 발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603은 바람직한 하나의 단계이고, 본 발명의 기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는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할 때, 하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하는 것 외의 기타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하향 이벤트를 폐기함으로써 이벤트 처리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는 하향 이벤트를 선택하기 때문에, 서버의 하향 이벤트가 단말기의 현재 업무를 중단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말기 업무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물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예의 임의의 제품은 반드시 이상의 모든 이점을 동시에 실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모두 단말기 또는 서버의 일방에 상태 관리기를 마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서술하고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관리기를 단말기와 서버에 동시에 마련하여, 단말기가 수신한 하향 이벤트, 단말기가 생성한 상향 이벤트, 및 서버가 생성한 하향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이벤트 처리 방법을 응용한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이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 관리기(710),
서버의 하향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720),
상향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730),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수신 모듈(720)이 수신한 하향 이벤트 및/또는 생성 모듈(730)이 생성한 상향 이벤트가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모듈(740), 및
판단 모듈(740)이 하향 이벤트를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할 때, 그 하향 이벤트를 그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며, 및/또는 판단 모듈(740)이 상향 이벤트를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할 때, 그 상향 이벤트를 서버에 발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처리 모듈(75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750)은 하향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한 후,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하향 이벤트에 근거하여 처리를 성공했음을 표시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돌려보낸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상기 처리 모듈(750)은, 판단 모듈(740)이 하향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할 때, 그 하향 이벤트를 폐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처리 모듈(750)은, 판단 모듈(740)이 하향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할 때, 서버에 통지 메시지를 발송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다시 그 서버에 발송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통지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상태 정보는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상태를 명확하게 지시하는 직접 상태 정보(예를 들어, 상태 명칭 또는 표시)일 수 있고, 또는 간접 상태 정보(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표시 또는 명칭 또는 이벤트 내용 등)일 수도 있으며, 서버는 그 간접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폰 티켓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모듈(750)은, 판단 모듈(740)이 상향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할 때, 그 상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처리 모듈(750)은, 유저가 제출한 상태 취소 지시에 근거하여, 서버에 취소 요청을 발송하고,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데 사용된다.
상기 처리 모듈(750)은, 유저가 제출한 재발송 지시에 근거하여,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다시 그 서버에 발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는 하향 이벤트와 서버에 발송하는 상향 이벤트를 선택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현재 업무를 중단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말기 업무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물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예의 임의의 제품은 반드시 이상의 모든 이점을 동시에 실현하지 않아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의 구조 모식도이며,
하향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810),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 관리기(820),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생성 모듈(810)이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모듈(830), 및
판단 모듈(820)이 하향 이벤트를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할 때, 하향 이벤트를 단말기에 발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처리 모듈(8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840)은 하향 이벤트를 단말기에 발송한 후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이 하향 이벤트에 근거하여 처리를 성공하였음을 표시하기 위해 단말기가 돌려보낸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모듈(840)은 판단 모듈(830)이 하향 이벤트를 그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할 때, 그 하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서버는,
단말기가 발송한 통지 메시지 또는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향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이 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가 포함되고, 이 상태 정보는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명확하게 지시하는 직접 상태 정보(예를 들어, 상태 명칭 또는 표시)일 수 있고, 또는 간접 상태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표시 또는 명칭 또는 이벤트 내용 등)일 수 있는 것인, 수신 모듈(850), 및
수신 모듈(850)이 통지 메시지 또는 상향 이벤트를 수신한 후,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모듈(8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는 하향 이벤트를 선택하기 때문에, 서버의 하향 이벤트가 현재 업무를 중단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물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예의 임의의 제품은 반드시 이상의 모든 이점을 동시에 실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의 모듈은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에 따라 실시예에서의 장치에 분포되어 있거나,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 또는 복수의 장치에 위치하도록 상응하는 변화를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통합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서브 모듈로 더욱 나뉘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번호는 단지 서술을 위한 것이며, 실시예의 우열을 대표하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 형태의 서술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에 더해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도움을 받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가능하지만, 많은 경우에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이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 기술에 대하여 기여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단말 장치(휴대폰, 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가 서술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여러 개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서술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어느 정도 개선과 수정을 할 수 있고 이러한 개선과 수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Claims (22)

  1.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서버의 하향 이벤트를 수신할 때,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desired)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하향 이벤트에 근거하여 처리를 성공했음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돌려보낸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하향 이벤트를 폐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 통지 메시지를 발송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상기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다시 상기 서버에 발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상기 서버에 통지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상기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상기 발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상향 이벤트를 생성할 때,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상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상향 이벤트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상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할 때, 상기 상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유저가 제출한 상태 취소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에 취소 요청을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전의 상태로 돌려보내는 단계; 및/또는
    상기 단말기가 유저가 제출한 재발송 지시에 근거하여, 이미 상기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다시 상기 서버에 발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가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상기 하향 이벤트를 발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9.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desired)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상기 하향 이벤트를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하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가 발송하는 통지 메시지 또는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향 이벤트를 수신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상기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상기 업데이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처리 방법.
  12.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desired) 이벤트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 관리기;
    서버의 하향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발송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하향 이벤트에 근거하여 처리를 성공했음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돌려보낸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하향 이벤트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 통지 메시지를 발송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상기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다시 상기 서버에 발송하며, 상기 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상기 서버에 통지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상기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향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모듈은,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상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상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향 이벤트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상향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상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유저가 제출한 상태 취소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에 취소 요청을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전의 상태로 돌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유저가 제출한 재발송 지시에 근거하여, 이미 상기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를 다시 상기 서버에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0. 서버에 있어서,
    하향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각 상태 및 각 상태에서의 기대(desired) 이벤트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 관리기;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 모듈이 생성한 하향 이벤트가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 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상기 하향 이벤트를 발송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판단 모듈이 상기 하향 이벤트를 상기 상태에서의 기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하향 이벤트의 발송을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발송한 통지 메시지 또는 현재 업무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향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로서, 상기 통지 메시지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가 가장 최근에 상기 서버에 발송한 상향 이벤트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상기 수신 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37013163A 2010-10-26 2011-10-26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44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527311.5 2010-10-26
CN201010527311.5A CN102457824B (zh) 2010-10-26 2010-10-26 一种事件处理方法和装置
PCT/CN2011/081316 WO2012055349A1 (zh) 2010-10-26 2011-10-26 一种事件处理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605A true KR20130108605A (ko) 2013-10-04
KR101544289B1 KR101544289B1 (ko) 2015-08-12

Family

ID=4599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163A KR101544289B1 (ko) 2010-10-26 2011-10-26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08916B2 (ko)
KR (1) KR101544289B1 (ko)
CN (1) CN102457824B (ko)
WO (1) WO2012055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80B1 (ko) * 2013-04-26 2020-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S2812541T3 (es) 2013-12-30 2021-03-17 Onespan Int Gmbh Aparato de autenticación con interfaz Bluetooth
CN111800882B (zh) * 2020-06-18 2023-12-05 武汉慧联无限科技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发送的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743A (ja) * 1999-03-24 2000-10-06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端末
JP3901060B2 (ja) * 2002-08-28 2007-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の更新処理方法、更新処理システム及び更新処理プログラム
EP1631110A4 (en) * 2003-05-28 2010-06-02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RVER, PORTABLE TERMINAL, AND DATA TRANSFER METHOD USED IN THIS SYSTEM
JP4608964B2 (ja) * 2004-06-25 2011-01-12 富士通株式会社 モジュール更新プログラム
DE602006019463D1 (de) * 2005-11-01 2011-02-17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zum erhalten und verwalten eines abwärtsstrecken-funkstreckensteuerdatenblocks in einer egprs-mobilelektronik-kommunikationseinrichtung
JP4922620B2 (ja) * 2006-02-15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1083615A (zh) * 2006-05-29 200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域接收业务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426710B1 (ko) * 2006-07-14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버전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CN101262646A (zh) * 2007-12-27 2008-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发送多媒体消息的方法和多媒体消息业务中心
JP2009211260A (ja) * 2008-03-03 2009-09-17 Hitachi Ltd 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9245397A (ja) * 2008-03-31 2009-10-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サーバ補助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CN101668266A (zh) * 2008-09-02 2010-03-1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主叫漏话消息提示方法和系统
CN101765100B (zh) * 2009-08-14 2012-08-22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办公的方法、系统及装置
CN102740511B (zh) * 2011-04-12 2016-01-20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软件无线电的基带射频接口及其应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7824A (zh) 2012-05-16
JP2013544461A (ja) 2013-12-12
WO2012055349A1 (zh) 2012-05-03
JP5908916B2 (ja) 2016-04-26
CN102457824B (zh) 2015-05-27
KR101544289B1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9063B2 (en)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updating transmission paths
CN113489636B (zh) 针对人工对话实体的基于位置的访问控制
CN104902531A (zh) 连接网络的方法、应用认证服务器、终端及路由器
US11824950B2 (en) Subscription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apparatus
CN106502826A (zh) 数据备份及传输方法及移动终端
KR20210002544A (ko) 짧은 메시지 서비스 능력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장치
CN103974206A (zh) 呼叫控制系统、移动台及呼叫限制方法
EP2741245A1 (en) Mobile pay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rver end and client
CN110140369A (zh) 无线网络中的紧急呼叫的建立
CN101557442B (zh) 一种融合呼叫中心和第三方行业应用服务器的方法和系统
KR20130108605A (ko)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3301559A (zh) 终端能力上报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2378123A (zh) 临时组的处理方法及集群系统
CN106231570A (zh) 一种非结构化补充数据业务的数据自动重发方法及装置
JP2009177360A (ja) 通信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03347038A (zh) 一种WEB服务器处理http报文的方法
CN103841508A (zh) 用户信息获取方法和信息汇聚平台
CN110460989B (zh) 电话号码的设置方法、装置及系统
CN114302492A (zh) 切片请求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0003657B2 (en)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677845A (zh) 一种确定应用功能请求状态的方法、网元及系统
CN106470410A (zh) 电话号码处理方法及装置
WO2024093712A1 (zh) 中继通信链路处理方法、中继通信链路配置方法、中继终端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20230171577A1 (en) Method for assisting unregistered user device to access end-to-end call service of private network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8347403A (zh) 一种分配中间通信标识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