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710B1 - 휴대단말기의 버전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버전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710B1
KR101426710B1 KR1020070070099A KR20070070099A KR101426710B1 KR 101426710 B1 KR101426710 B1 KR 101426710B1 KR 1020070070099 A KR1020070070099 A KR 1020070070099A KR 20070070099 A KR20070070099 A KR 20070070099A KR 101426710 B1 KR101426710 B1 KR 10142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data
program
version
updat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132A (ko
Inventor
오성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0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8Incremental updates; Differential 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Software or firmware update, e.g. device firmwar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 시스템의 시스템 정보 갱신장치가, 제1버전정보를 저장하는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저장영역들을 구비하는 제1메모리와, 시스템 구동용 갱신 버전정보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와, 갱신패키지에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더와,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제1메모리의 설정된 영역에 인스톨하는 인스톨러와, 갱신요구시 제1메모리에서 갱신패키지 및 제1버전정보를 로드하고, 로드한 제1버전정보에 갱신패키지를 조합하여 갱신버전 정보를 생성하여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트랜스레이터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70070099
소프트웨어 갱신, 펌웨어 갱신, FOTA,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버전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UPGRADING VERSION INFORMATION OF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갱신패키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전송되는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시스템 프로그램의 갱신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신패키지 생성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신패키지 생성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 도 4f는 갱신패키지 생성기에서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도 2와 같은 갱신패키지생성기에서 발생되는 갱신패키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도 3과 같은 갱신패키지생성기에서 발생되는 갱신패키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시스템 프로그램의 버전을 갱신하는 단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시스템의 제1메모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는 제1메모리의 제2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갱신패키지들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b는 상기 도 8a와 같은 갱신패키지에서 히스토리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제1메모리 및 제2메모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가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2버전 갱신패키지가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단말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신패키지 생성 및 갱신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 시스템이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하는 절차 및 상기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갱신하여 운용하는 절차 등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 시스템에서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에 인스톨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 시스템에서 제1메모리에 인스톨 된 갱신패키지를 제1버전의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갱싱되는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에 저장한 후 시스템을 운용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a - 도 17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시스템이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인스톨 및 트랜스레이팅하는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인스톨 및 트랜스레이팅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 시스템에 포함되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등은 많은 검증 과정을 거쳐 상품화된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 시스템에 채택된 모든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프로그램의 버그 또는 프로그램의 버전 변경 등에 의해 프로그램을 갱신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의 변경이 일반적인 유형의 사용 중에 발생되면, 단말 시스템을 공급하는 제조사나 서비스 캐리어(service carrier)등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등을 갱신시켜 줄 의무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조사 및 서비스캐리어의 갱신서비스는 좀더 나은 형태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교체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갱신 서비스는 주로 사용자가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여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인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업그레이드 서비스는 OTA(over the air) 형태로도 가능하다. 상기 OTA의 경우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패치 소프트웨어(patch software) 전송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모듈과 현재 단말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갱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software package)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시키는 업그레이드 처리모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기준 버전의 프로그램에 다운로드되는 갱신 패키지를 결합하여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준 버전 프로그램 및 적어도 하나의 갱신패키지를 제1메모리에 저장하며, 갱신 시점에서 상기 기준 버전 프로그램에 상기 갱신 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갱신버전 블록의 수, 매크로블록의 크기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갱신"(upgrade)이라는 용어는 시스템의 프로그램(firmware 및 software 등)을 갱신패키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시스템 프로그램으로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갱신 패키지"는 기준 프로그램과 갱신 프로그램 간의 차이에 따라 생성되며, 갱신 프로그램 생성시 이를 기준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갱신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들의 패키지를 의미한다. 상기 갱신패키지는 갱신데이터 및/또는 인스톨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스톨 데이터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맵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갱신 데이터"(upgrade data)는 상기 정보 갱신시 이전 버전의 데이터를 대체하여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인스톨 데이터"는 상기 정보 갱신시 이전 버전을 갱신버전으로 변경할 때의 인스톨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인스톨 데이터는 히스토리정보 및 맵(map) 데이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맵데이터"는 블록 어드레스(macro-block address) 및 해당 블록에서 수행할 명령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어들은 복사(C: copy), 이동(S: shift) 및 변경(M: modify) 등이 될 수 있으며, 블록 어드레스는 대응되는 기준버전 프로그램의 블록 인덱스가 될 수 있다. "제1버전"은 시스템의 최초 버전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의 기준이 되는 버전의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제2버전"은 갱신 버전으로써,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때 수신측의 장치는 장치 제조시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으며, 갱신 프로그램이 발생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버전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메모리"는 상기 제1버전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의미한다. "제2메모리"는 상기 제1버전에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1메모리 및 제2메모리는 하나의 메모리 상에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메모리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2개의 메모리들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메모리가 서로 다른 2개의 메모리들이라고 가정하며, 여기서 각각 상기 "제1메모리"는 비휘발성메모리(non-volatile memory)로써 플래시 메모리가 될 수 있으며, "제2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로써 SDRAM이 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메모리는 상기 제1버전,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며,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은 각 버전을 식별하기 위한 히스토리 데이터(그리고 맵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음) 및 갱신데이터들을 각각 저장한다. 그리고 시스템 기동시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시스템은제1버전에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에 저장한 후, 갱신된 버전으로 시스템의 운용한다. 상기 갱신패키지는 인스톨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인스톨 데이터는 히스토리데이터 및/또는 맵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버 전은 시스템의 최초 프로그램(또는 기준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는 상기 제1버전과의 차이를 가지는 갱신 데이터 및 이를 인스톨하기 위한 인스톨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상기 제1버전에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결합하여 생성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갱신 및 유지보수 방법은 갱신 패키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 시스템 및 상기 갱신패키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수신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신시스템이 휴대단말기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mobile phone),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PNP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갱신패키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전송되는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시스템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제2버전 발생시 상기 제1버전과 비교하여 그 차에 따른 갱신패키지를 생성한 후, 이를 갱신서버2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갱신서버20과의 연결 방법에 따라 무선(air protocols: CDMA, UMTS 등), 근거리 통신(bluetooth, Zigbee 등), 근거리 유선통신(USB, UART), 유무선 인터넷(Wibro, Wifi, Wimax 등)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갱신서버20은 이를 통지서버25에 알리고, 그러면 상기 통지서버25는 상기 갱신패키지가 발생되었음을 다수의 휴대단말기30들에 통지(notification)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의 발생을 통지받은 휴대단말기30들이 응답하면, 상기 갱신서버20은 상기 응답한 휴대단말기30들에게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수신시스템의 갱신패키지 다운로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갱신서버20 및 휴대단말기30의 연결 방법에 따라 무선(air protocols: CDMA, UMTS 등), 근거리 무선 통신(bluetooth, Zigbee 등), 근거리 유선통신(USB, UART), 유무선 인터넷(Wibro, Wifi, Wimax 등)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30의 메모리는 제1메모리 및 제2메모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메모리 및 제2메모리는 하나의 메모리 상에 영역을 할당하여 구분된 메모리들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 서로 다른 메모리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메모리는 다운로드되는 버전들을 인스톨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제2메모리는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을 상기 갱신패키지에 의해 갱신하여 생성된 제2버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에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로 저장한다. 이후 갱신요구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에 상기 다운로드된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결합(merge)하여 생성된 제2버전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운용한다.
먼저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의 동작을 살펴본다.
그리고 도 2는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제1 및 제2버전을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두 버전들을 비교 분석하여 맵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상기 맵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스톨데이터 및 상기 갱신데이터를 합성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갱신패키지 생성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제1 및 제2버전을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두 버전들을 비교 분석하여 갱신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상기 맵데이터를 포함하지않는 인스톨데이터 및 상기 갱신데이터를 합성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갱신패키지 생성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 도 4f는 상기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갱신패키지 처리기10에서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a는 상기 도 2와 같은 갱신패키지처리기10에서 발생되는 갱신패키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 는 상기 도 3과 같은 갱신패키지처리기10에서 발생되는 갱신패키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 -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버전발생기50은 제1버전을 발생하고, 제2버전발생기55는 제2버전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버전은 수신시스템30의 최초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신시스템30의 기준이 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은 상기 수신시스템30의 제1메모리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버전 프로그램은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의 갱신된 프로그램으로써, 상기 수신시스템30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그 램이 될 수 있다. 그면 제1압축기160은 상기 제1버전을 설정된 크기(이하 매크로 블록(macro block)이라 칭한다)로 분할하여 압축하며, 또한 상기 제2버전도 상기 매크로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압축한다. 상기 제1압축기160이 설정된 블록 크기로 압축을 하는 이유는 뒷단의 비교기110이 두 버전들을 블록 단위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상기 비교기110은 압축된 두 버전의 프로그램들의 블록 데이타들을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두 버전들의 대응되는 블록 데이터들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비교기110은 상기 제1버전 및 제2버전의 블록 데이터가 설정된 탐색 구간 내의 제1버전 블록 데이터들과 비교한다. 상기와 같이 두 버전의 블록 데이터들을 비교한 후, 상기 비교기110은 비교 결과값 및 대응되는 상기 제1버전의 블록 인덱스 값을 상기 인스톨데이터 발생기180에 전달한다.
즉, 상기 비교기110은 현재의 제2버전 블록 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의 대응되는 인덱스의 블록 데이터와 비교하며, 동일하면 비교 결과값과 함께 해당 블록의 인덱스를 인스톨데이터 발생기180에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제2버전의 블록데이터와 상기 제1버전의 블록 데이터가 다르면, 상기 비교기110은 상기 제1버전의 설정된 구간 내의 블록 데이터들과 비교하면서 동일한 블록 데이터가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동일한 블록 데이터가 있으면 비교결과 값과 함께 상기 제1버전의 블록 인덱스를 상기 인스톨데이터 발생기180에 전달한다. 즉, 상기 비교기110은 설정된 구간의 블록 수만큼 현재 블록 인덱스 위치에서 전후로 스윙하면서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2버전의 블록 데이터를 상기 제1블록의 설정된 탐색 구간 내의 블록 데이터들과 비교한 결과 동일한 블록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현재 제2버전의 블록의 인덱 스 및 이에 따른 비교 결과값을 상기 인스톨데이터 발생기180에 전달한다.
상기 인스톨데이터 발생기180은 상기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히스토리데이터발생기120 및 맵데이터발생기15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스토리데이터발생기12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히스토리데이터발생기120은 제2버전의 번호(version number)를 포함한다. 즉, 버전 번호가 5인 경우, 상기 제2버전은 버전번호 5가 되며, 상기 제1버전 및 버전번호 5인 제2버전을 결합하여 갱신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상기 맵데이터발생기150은 상기 비교기110의 출력을 분석하여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 및 블록 인덱스를 결정하는 맵 데이터를 발생한다.
도 4a -도 4e는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에서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갱신 패키지는 갱신데이터, 히스토리 데이터 및 맵 데이터로 구성되는 갱신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V2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경우, 갱신 과정에서 쉬프트 동작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1버전 V1의 프로그램에 갭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도 4a - 도 4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맵데이터를 포함하는 갱신패키지의 생성 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버전 및/또는 V1이라 칭한다) 및 제2버전 프로그램(이하 제2버전 및/또는 V2라 칭한다)의 데이터들을 설정 크기의 블록(이하 매크로 블록(macro block: MB)라 칭함) 크기로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각 블록들의 속성(복사(C: copy), 변경(M: modify), 쉬프트(S: shift))을 찾고, 상기 블록 데이터들의 속성에 따라 갱신 패키지를 생성한다.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이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갱신패키지를 발생하는 경우, 상기 맵 데이터는 C(copy), M(modify; insert or replace as same size), S(shift)의 명령어(command)를 가지며, 맵 데이터 형태(map format)는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Cmd][start block No, number of block][flag][distance][difference]
상기 맵 데이터에서 Cmd는 C,M,S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start block No는 해당 명령어의 시작 블록번호를 의미하며, number of block는 해당 명령어에 대응되는 블록의 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플래그 flag는 0,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flag 0은 복사(just copy(Cmd:C)) 및 쉬프트(just shift(Cmd:S)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플래그이며, flag 1은 V1 프로그램에서 블록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는 경우(generate data from V1(Cmd:M))에 사용될 수 있는 플래그이고, flag 2는 V1 프로그램에서 블록 데이터를 발생할 수 없으며 블록 데이터는 델타 패키지(delta package)가 되는 경우(data is in delta package(not use V1)(Cmd:M))에 사용되는 플래그이다. 상기 distance는 V2 프로그램의 해당 블록이 위치되는 V1 프로그램의 블록 인덱스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difference는 상기 V2 프로그램의 블록 데이터와 상기 V1 프로그램의 블록 데이터의 차이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V1 블록 및 V2 블록의 데이터가 서로 다르면 변경 블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V2의 변경 블록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V1의 설정된 구간의 블록들을 탐색(searching)하여 상기 V2 변경 블록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있는가 확인한다. 도 4a - 도 4c는 상기 설정 구간이 상기 V2 프로그램의 해당 블록과 대응되는 V1 프로그램의 블록 위치에서 전후 15개의 블록 데이터들이 상기 설정된 탐색 구간 내에 포함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V2 프로그램에서 변경 블록 데이터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V1 프로그램의 대응되는 블록 위치에서 설정된 구간 내의 블록 데이터들을 탐색하여 동일한 블록 데이터가 있는가 확인한다. 이때 상기 V1 프로그램의 설정된 구간 내에서 동일한 블록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갱신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맵 데이터에 대응되는 V1 프로그램의 블록 인덱스를 포함시켜 갱신패키지를 생성한다.
도 4a는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이 상기 V2 프로그램의 변경 블록 데이터를 설정된 구간 내에서 찾을 수 있는 경우의 갱신 패키지 생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V1 및 V2 프로그램을 매크로 블록 단위로 비교한다. 상기 비교 과정에서 상기 V2 프로그램의 변경된 매크로 블록 데이터를 상기 V1 프로그램의 특정 구간 내에서 찾을 수 있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변경 블록 데이터를 갱신데이터로 생성하지 않고 맵 데이터에 상기 V1의 대응되는 블록 인덱스 정보를 포함시킨다. 즉,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V2 프로그램의 변경 블록 데이터와 동일한 블록 데이터를 가지는 V1 프로그램의 블록 인덱스를 찾은 후 이를 맵 데이터에 표시한다.
상기 도 4a는 V2 프로그램의 블록 16-19가 변경되고 블록 20-24가 쉬프트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V1 프로그램의 설정 구간 내에서 V2 프로그램의 블록 16-19의 데이터들과 동일한 값을 가지는 V1 블록12,13,8,9의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V2 프로그램의 블록 16-17은 V1 프로그램의 블록 12-13과 동일하고, 상기 V2 프로그램의 블록 18-19는 V1 프로그램의 블록 8-9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4a와 같은 V1 및 V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하기 <표 1>과 같은 맵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C:0,15, F:0, null, null
M:16,4 F:1, (16-12),(17-13),(18-8),(19-9), 0,0,0,0
S:20,5, F:0, (20-4), 0
또는
C:0,15, F:0, null, null
M:16,4 F:1, (16-12),(17-13),(18-8),(19-9), 0,0,0,0
S:20,5, F:0, (20-16), 0
상기 <표 1>과 같은 맵 데이터는 V2 블록 0-15는 V1 블록 0-15와 동일하고, V2 블록 16-19는 각각 V1 블록 12,13,8,9와 동일하며, V2 블록 20-24는 V1 블록 16-20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도 4a와 같은 V1 및 V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특정 구간 내에서 V2의 변경 블록을 찾을 수 있는 경우는 해당 변경 블록 데이터를 V1의 대응되는 블록 인덱스를 매핑시켜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런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히스토리 데이터 및 상기 <표 1>과 같은 맵데이터를 결합하여 갱신패키지로 생성한다.
상기 도 4b는 갱신패키지처리기10이 V2 프로그램의 변경 블록 데이터를 V1 프로그램의 설정된 구간 내에서 비슷한 블록 데이터를 찾을 수 있는 경우에 상기 갱신 패키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b는 V2 프로그램의 블록 16-19가 변경되고 블록 20-24가 쉬프트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표 1>에서 "S:20,5, F:0, (20-4), 0"은 V2에서 블록 20을 포함하는 5개 블록(20-24)들은 V1의 블록 20에서 4개 블록 이전 블록(20-4=16)을 포함하는 5개 블록(16-20)들과 동일함은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S:20,5, F:0, (20-16), 0"은 V2의 블록 20이 V1의 블록 16과 동일하며, 상기 V2의 블록20을 포함하는 5개 블록(20-24)들은 V1의 블록(16-20)들과 동일함은 의미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쉬프트블럭은 "S:20,5, F:0, (20-4), 0"의 형태로 표시하기로 한다.
상기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V2 프로그램의 블록 16은 V1 프로그램의 설정 구간 내인 블록 12와 동일하지만 블록 17은 V1 프로그램의 설정된 탐색구간 내에서 일치하는 블록을 찾을 수 없으며, 상기 V2 프로그램의 블록 18은 V1 프로그램의 설정된 탐색구간 내에서 일치하는 블록을 찾을 수 없지만 블록 19는 V1 프로그램의 설정 구간 내인 블록 6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0은 상기 변경 블록 16 및 17은 탐색 구간 내의 V1의 블록 12 및 13과 유사한 블록으로 결정하고, 상기 변경 블록 18 및 19는 탐색 구간 내의 V1의 블록 6 및 7과 유사한 블록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도 3b와 같은 V1 및 V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하기 <표 2>와 같은 맵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C:0,15, F:0, null, null
M:16,4 F:1, (16-12),(17-13),(18-6),(19-7), 0,code(B,K),code(B,C),0
S:20,5, F:0, (20-4), 0
상기 <표 2>와 같은 맵 데이터는 V2 블록 0-15는 V1 블록 0-15와 동일하고, V2 블록 20-25는 V1 블록 16-20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맵데이터는 V2 블록 16 및 19는 각각 V1 블록 12 및 9와 동일하며, V2 블록 17은 V1 블록13과의 차 값으로 앤트로피 코딩(code(B,K))되었고, V2 블록18은 V1 블록8과의 차 값으로 앤트로피 코딩(code(B,C)) 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도 4b와 같은 V1 및 V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특정 구간 내에서 V2의 변경 블록을 찾을 수 없는 경우는 해당 변경 블록 데이터를 V1의 대응되는 블록 인덱스를 매핑시키고, 상기 매핑된 V1 및 V2 블록의 데이터의 차를 앤트로피 코딩하여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4c는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이 상기 V2 프로그램의 변경 블록 데이터를 설정된 구간 내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의 갱신 패키지 생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V1 및 V2 프로그램들이 입력되면, 설정 구간 내에서 상기 V1 및 V2 프로그램들을 설정된 크기의 매크로 블록 단위로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두 버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각 블록 데이터들의 속성(C, M, S)을 찾은 다음, 갱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변경 블록의 데이터들은 갱신 데이터들로써 갱신 패키지에 포함되어야 할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V1 및 V2의 블록 데이터들을 비교하는 방법은 상기 V2 블록 데이터를 상기 V1의 앞 또는 뒤의 설정 구간 내에서 찾을 수 있는지 검사하고, 찾을 수 없으면 두 데이터의 차이를 그대로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하여 갱신 데이터로 생성한다.
상기 도 4c에서 블록 16 - 19의 4개 블록 데이터 Z,W,P,X가 삽입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설정된 구간들의 블록 데이터들을 검사하여 동일한 값을 가지는 블록 데이터들이 있는지 검사한다. 이때 설정된 구간 내에서 동일한 값을 가지는 블록 데이터들이 없으므로, 상기 해당 블록들의 속성을 M으로 설정하고, 해당 블록의 데이터들을 갱신 데이터로 설정한다. 즉,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V2 프로그램의 블록 16-19는 V1 프로그램의 설정된 구간 내에서 일치하는 블록을 찾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4c와 같은 V1 및 V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하기 <표 3>과 같은 맵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으며, Z,W,P,X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갱신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C:0,15, F:0, null, null
M:16,4, F:2, null, null
S:20,5, F:0, (20-4), 0
상기 <표 3>과 같은 맵 데이터는 V2 블록 0-15는 V1 블록 0-15와 동일하고, V2 블록 20-25는 V1 블록 16-20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맵데이터는 V2 블록 16 -19는 갱신데이터의 Z,W,P,X로 앤트로피 코딩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도 4c와 같은 V1 및 V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특정 구간 내에서 V2의 변경 블록을 찾을 수 없는 경우는 해당 변경 블록 데이터의 플래그를 2(F=2)로 설정하여 대응되는 V1 프로그램의 블록이 없음을 표시하고, 별도의 갱신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런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는 히스토리 데이터,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 4c와 같이 V2의 변경 블록 데이터가 V1의 설정된 구간 내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갱신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맵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하기 <표 4>는 상기 V2의 변경 블록 데이터를 상기 V1의 설정된 구간 내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의 맵 데이터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C:0,15, F:0, null, null
M:16,4, F:2, null, Z,W,P,X
S:20,5, F:0, (20-4), 0
따라서 상기 도 4c와 같은 V1 및 V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특정 구간 내에서 V2의 변경 블록을 찾을 수 없는 경우는 해당 변경 블록 데이터를 앤트로피 코딩하여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표 4>와 같이 맵 데이터를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갱신 데이터를 발생하지 않고, 히스토리 데이터 및 상기 <표 4>와 같은 맵 데이터를 생성하여 갱신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d는 V1 프로그램이 갭 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V2 프로그램으로 갱신될 때의 쉬프트 동작을 개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도 4d 및 도 4e는 V1 프로그램의 일부 블록 데이터들이 V2 프로그램에서는 삭제되는 경우의 갱신 패키지 생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V1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V2 프로그램을 비교할 때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삭제되면, 해당 영역의 다음 블록들을 쉬프트시킨다. 이때 상기 변경 블록의 크기에 따라 앞으로 쉬프트가 발생하면,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V1 프로그램의 설정된 구간을 탐색하여 상기 변경 블록과 동일한 블록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며, 있는 경우에는 상기 V1 블록의 번호를 상기 V2의 변경 블록에 매핑시킨다. 그러나 동일한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V2의 해당 블록 데이터를 앤트로피 코딩하여 갱신 데이터로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V1 프로그램을 V2 프로그램으로 갱신하는 경우, 상기 V2 프로그램은 상기 V1프로그램에서 많은 블록들의 쉬프트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쉬프트를 고려하여 상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1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갭(gap)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1의 갭 영역은 V2 프로그램의 갱신 데이터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V2 프로그램의 쉬프트 동작은 상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갭 영역을 통해 그 다음 컴포넌트(component)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수준까지 쉬프트 된다. 상기 도 4d를 예로들면, 상기 V2 프로그램은 상기 V1 프로그램의 블록 6-10의 5개 블록 데이터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블록 3-4, 8-9, 13, 17-19의 8개 블록들이 추가되며, 블록 15는 동일한 크기로 대체되는(replaced as same size) 구조를 가진다. 이런 경우, 상기 V2 프로그램은 V1 프로그램에서 5개 블록이 삭제되고 8개 블록이 추가되므로, 상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블록은 3개 블록의 쉬프트가 발생된다. 이때 최종 블록의 쉬프트는 상기 V1 프로그램의 갭 영역에서 발생되므로, 상기 V2 프로그램의 다음 컴포넌트는 쉬프트 동작 없이 처음 블록부터 상기 V1 프로그램의 해당 컴포넌트와 비교되어 갱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4e를 참조하면, FOTA(Firmware over-the-air)를 지원하는 바이너리는 물리적으로 갭 영역을 가지고 있어 갱신시 각 컴포넌트 영역 간의 침범을 막아준다. 따라서 상기 V1 프로그램은 상기 도 4e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V1 프로그램은 다수개의 컴포넌트(상기 도 4e에서는 5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음)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 4e와 같은 V1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V2 프로그램이 생성되면,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0은 변경된 블록 데이터들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쉬프트되는 블록들을 상기 갭 영역에 매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컴포넌트 단위로 갱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각 컴포넌트 단위로 독립적인 갱신 패키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히스토리 데이터, 맵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로 구성된 갱신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맵 데이터는 V1 및 V2 프로그램의 차이에 따른 블록들의 속성(복사, 변경, 쉬프트) 및 블록의 인덱스 정보들을 포함하며, 상기 갱신 데이터는 상기 변경 블록 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맵 데이터 및 히스토리 데이터만으로 상기 갱신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맵 데이터에 V1 및 V2 프로그램의 차이에 따른 블록들의 속성(복사, 변경, 쉬프트) 및 블록의 인덱스 정보 이외에 변경된 데이터의 데이터(또는 변경 블록의 인덱스 정보)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맵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제1콤프래서160에서 출력되는 제2버전의 블록데이터 및 상기 맵데이터 발생기150에서 상기 맵데이터를 분석하여 갱신패키지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맵데이터발생기150에서 발생되는 맵데이터를 분석하여 갱신 데이터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맵 데이터의 명령어를 분석하여 복사C 및 쉬프트S의 명령어를 가지는 블록인 경우에는 갱신데이터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맵데이터의 명령어가 변경M인 경우,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맵데이터가 해당 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해당 블록의 데이터를 인덱싱하는 제1버전의 블록 인덱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갱신데이터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맵데이터의 명령어가 변경 M이며, 상기 맵 데이터가 제2버전의 해당 블록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제1버전의 인덱스 또는 앤트로피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비교기110에서 상기 압축된 제2버전의 블록 데이터를 입력하여 갱신데이터로 설정한다. 즉,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맵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사 C 및 쉬프트 S 명령어를 가지는 맵데이터이면 갱신데이터를 발생하지 않으며, 변경 M 명령어이면 플래그를 분석하여 F1 플래그이면 갱신데이터를 발생하지 않고, F2 플래그인 경우에만 갱신데이터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갱신 패키지는 제2압축기140을 통해 압축된 후 갱신패키지서버20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1압축기160에서 상기 제1 및 제2버전을 정보를 압축하는 경우, 압축해제기165는 압축된 제1 및 제2버전을 정보를 압축 해제한다. 이는 상기 압축기160에서 압축된 제1 및 제2버전 정보들이 정상적으로 압축되었는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 시 오류가 발생된 경우 상기 압축기160을 제어하여 재압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압축기140에서 상기 갱신된 갱신패키지를 압축하는 경우, 제압축해제기145는 상기 압축된 갱신패키지의 압축을 해제한다. 이는 상기 상기 갱신패키지가 정상적으로 압축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1압축기160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비교기110은 압축되지 않은 제1 및 제2버전 프로그램 50 및 55를 입력하게 된다. 이런 경우, 상기 제1 및 제2버전 50 및 55는 설정된 크기의 블록 크기로 상기 비교기110에 입력되며, 상기 비교기110은 압축되는 제1 및 제2버전을 블록 단위로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이 상기 제1압축기160을 통해 압축된 버전들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제2압축기140은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에서 생성되는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 이미 압축된 데이터들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압축기160 및 제2압축기140을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맵 데이터를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수신측에서 상기 제1버전을 이용하여 갱신데이터를 인스톨하기 위한 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이 상기 제1버전의 블록 데이터들과 관련되는 명령어 및 블록 인덱스를 포함하는 갱신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스톨데이터에서 상기 맵데이터 발생기150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인스톨데이터 발생기180을 구비하는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스톨데이터발생기180은 맵데이터 발생기150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제2버전의 각 블록들이 상기 제1버전의 각 블록들에 매핑되는 블록 인덱스 값 및 블록 데이터들에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4f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구성되는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런 경우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맵데이터 발생기를 구비하지 않으며,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도 4f와 같은 갱신데이터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갱신데이터는 V2 버전의 각 블록의 인덱스 정보 및 블록 데이터 정보들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4f를 참조하면, V1은 제1버전의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V2는 제2버전의 갱신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상기 V1과 V2를 비교하면, V2는 6,7,13,14,15,16,17번 블록 데이터들이 추가되고, V1의 9,10,11,12번 블록 데이터가 삭제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V1 및 V2의 비교 결과값을 분석하여 V2의 각 블록들의 블록 인덱스(V1과 같의 블록 매핑을 위한 인덱스) 및 블록 데이터들의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신데이터는 상기 맵데이터와 유사한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갱신데이터이 명령어는 C(copy), M(modify, insert or replace as same size), S(shift)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명령어들의 포맷은 하기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복사(copy format)
[cmd][start block no][number of block]
변경(modify format)
[cmd][start block no][number of block][data]
쉬프트(shfit format)
[cmd][start block no][number of block][previous version position]
상기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경우, 상기 복사는 시작 블록의 번호 및 복사할 블록의 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가지며, 변경은 시작블록의 번호, 변경 블록의 수 및 각 변경 블록의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정보를 가지고, 쉬프트는 시작블록의 번호, 쉬프트블록의 수 및 첫 번째 쉬프트블록에 대응되는 V1의 블록 인덱스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도 4f의 경우, V2의 복사 블록들에 대한 갱신데이터는 C:0,6이 되며, 변경 블록들에 대한 갱신데이터는 M:6,2,X,Y 및 M:13,5, A,B,C,D,E가 되고, 쉬프트 블록에 대한 갱신데이터는 S:8,3,6, S:11,2,13 및 S:18,7,15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갱신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수신측에서는 제2버전인 V2 프로그램으로 갱신할 때, V2의 0번 블록에서 부터 6개의 블록은 상기 V1의 0번에서 5번까지의 블록을 복사하고, 6번 블록에서부터 2개의 블록은 X 및 Y를 추가하며, 13번 블록에서부터 5개의 블록은 순차적으로 A,B,C,D,E를 추가하고, 8번 블록에서부터 3개의 블록은 쉬프트뒤어 V1의 6,7,8번 블록을 복사하며, 11번 블록에서부터 2개 블록은 쉬프트되어 V1의 13,14번 블록을 복사하며, 18번 블록에서부터 7개의 블록들은 쉬프트되어 각각 V1의 15,16,17,18,19,20,21번 블록들을 복사하라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도 4f와 같은 V1 및 V2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의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도 4f의 갱신패키지(delta package)의 갱신데이터를 <표 5>와 같이 생성하게 된다.
C:0,6
M:6,2,X,Y
S:8,3,6,
S:11,2,13
M:13,5, A,B,C,D,E
S:18,7,15
이후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은 상기 갱신데이터와 히스토리 데이터를 결합하여 갱신패키지로 생성하며, 상기 갱신패키지는 갱신패키지서버2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패키지발생기130에서 생성되는 갱신패키지는 제2압축기140을 통해 압축되어 상기 갱신패키지서버2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맵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갱신데이터를 이용하여 V2 프로그램의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갱신 패키지 생성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갱신패키지 처리기10은 상기 제1버전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버전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인스톨데이터를 포함하는 갱신 패키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비교 과정에서 상기 제2버전이 상기 제1버전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변경이 발생되면, 상기 제2버전의 블록들은 상기 제1버전의 해당 영역에 이어지는 다음 블록들에 비해 쉬프트되는 결과를 갖는다. 이런 경우, 상기 제2버전의 블록들은 상기 제1버전에서 상기 변경된 블록을 따라 앞으로 쉬프트되거나 또는 뒤로 쉬프트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 제2버전의 변경된 블록은 제1버전의 탐색구간 내에서 동일한 블록이 존재하는지 탐색되며, 탐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블록 데이터를 가지는 제1블록의 블록 인덱스를 지정하거나 또는 해당 블록의 데이터를 앤트로피 코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변경블록 이후의 제2버전의 블록 데이터들은 상기 제1버전의 블록 데이터들에서 상기 삽입 또는 삭제된 블록 수만큼 쉬프트된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상기 제1버전 및 제2버전을 비교한 후, 명령어 복사S, 변경M 및 쉬프트S로 이루어지는 맵 데이터(상기 맵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갱신데이터에 이를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음)를 생성하며, 맵데이터, 히스토리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상기 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생성하여 상기 갱신패키지서버20에 전송한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갱신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a는 상기 갱신패키지가 히스토리데이터, 맵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상기 도 5b는 상기 갱신패키지가 히스토리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에서 갱신패키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갱신서버20과의 연결 방법에 따라 무선, 근거리통신 또는 유선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갱신서버20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30들에 새로운 갱신패키지의 발생을 통지한다. 그리고 상기 통지 결과에 따라 응답하는 휴대단말기30들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따라서 상기 갱신서버20은 갱신패키지의 발생을 각 휴대단말기들에 통지하는 통지서버(notification server)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30은 다운로드할 갱신패키지의 발생을 통지받으면, 이에 대한 응답을 하고 갱신서버20에서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시스템 버전을 갱신하는 단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다운로더(down-loader)220은 상기 갱신서버20에서 다운로드하는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는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제2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갱신 패키지의 일시 저장은 인스톨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인스톨러(installer)230은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에서 인스톨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인스톨데이터는 히스토리데이터 및 맵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히스토리데이터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스톨 데이터가 맵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버전의 제1버전 매핑 정보는 갱신데이터에 포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스톨러230은 상기 맵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인스톨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버전과 상기 갱신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스톨러230에서 상기 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트랜스레이터240에서 상기 갱신데이터의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패키지를 직접 상기 제1버전에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러230은 상기 제1메모리250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영역(pool)에 각각 히스토리 데이터,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1메모리250에는 최초 버전인 제1버전 및 상기 제1버전을 갱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갱신패키지가 저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최대 N개의 갱신 패키지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N=6개라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새로운 버전의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사용자에게 버전을 갱신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갱신 요구가 발생되거나 또는 시스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의 트랜스레이터(translator)240은 상기 제1메모리250에서 제1버전 및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로딩한 후, 상기 제1버전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조합하여 상기 제2버전으로 갱신한 후,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갱신패키지의 인스톨데이터를 분석하여 버전번호 및 결합할 버전을 결정하며, 맵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를 상기 결합할 버전(여기서는 상기 제1버전이 될 수 있음)에 조합하여 버전을 갱신한다. 또한 인스톨 데이터에 맵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합할 제1버전을 결정하며, 갱신데이터에 의해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버전에 결합시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1버전을 제2버전으로 갱신하면,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며, 이후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된 갱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메모리250에는 제1버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2버전 갱신패키지는 인스톨데이터(히스토리 및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 또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 또는 인스톨 데이터(히스토리 및 맵 데이터)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데이터는 상기 제1버전에 상기 갱신데이터를 갱신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로써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와 갱신데이터의 매핑 관련 정보인 맵데이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맵데이터는 두 버전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3가지 형태(copy, modify, shift)들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맵 데이터는 특정 데이터(여기서는 제1버전의 프로그램)의 비교를 통해서 CMS(copy, modify, shift)를 찾는 생성방법으로 빠른 주소 계산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제1메모리250에 포함되어 있는 제1버전을 토대로 상기 제2메모리260에서 상기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는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에서 생성되는데, 이때 상기 인스톨데이터의 맵 데이터는 생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는 맵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맵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 경우, 상기 인스톨러230은 역으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된 제1버전과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에 매핑하기 위한 맵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스톨러230은 상기 갱신데이터를 분석하여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갱신데이터는 상기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스톨러230이 상기 갱신데이터로부터 맵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유는 트랜스레이터240에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갱신데이터가 제1버전의 블록들과 매핑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인스톨러230은 상기 다운로드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그대로 저장하고,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갱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버전과 갱신패키지를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제1버전과 가장 최근에 다운로드된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조합하여 갱신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버전의 갱신패키지로 갱신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버전을 저장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은 최대 6개까지 저장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특정의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가 상기 제2메모리260에서 재조합이 실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재조합 가능한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선택하여 갱신 버전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메모리250은 다수개(여기서는 최대 6개로 가정하고 있음)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할 수 있는저장영역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필요한 경우 다운로딩되어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저장영역에 저장되며, 다음의 갱신패키지가 다운로드되더라도 이전에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는 지우지 않는다. 따라서 버전의 변경에 따른 히스토리들이 누적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1버전의 저장상태를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갱신의 신뢰성(fault-tolerance)이 높다. 또한 특정 제2버전이 로딩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모든 버전의 갱신 패키지 로딩이 실패되는 최악의 경우에도 최초 버전의 제1버전을 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시스템의 제1메모리25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에서 참조번호 310은 제1버전 V1을 저장하는 제1저장영역으로써, 이때 상기 제1버전 V1은 압축 또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320은 적어도 하나의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는 제2저장영역으로써, 대응되는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들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저장영역320에 저장되는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은 각각 대응되는 버전의 갱신데이터 및 인스톨 데이터들이 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갱신 데이터(명령어, 실제 데이터 등) 및 블록 인덱스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영역320의 크기는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의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330은 사용자 영역으로 파일 시스템(file system)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8a는 제1메모리250의 제2저장영역320에 저장되는 갱신패키지들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b는 상기 도 8a와 같은 갱신패키지에서 히스토리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저장영역320은 설정된 수(여기서는 6개)의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할 수 있는 영역들을 구비하며, 각 버전의 저장영역은 대응되는 버전의 히스토리 데이터, 맵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는 인스톨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스톨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히스토리데이터 또는 히스토리데이터 및 맵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저장영역320에는 제1버전의 히스토리데이터 및 맵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버전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유는 상기 제1저장영역310에 저장된 제1버전과 연결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1버전의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는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널 데이터(null data)로 채워넣을 수도 있다. 상기 도 8a는 상기 갱신패키지가 히스토리데이터, 맵데이터 및 갱신데이터 등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히스토리 데이터 및 맵 데이터로 구성되는 갱신패키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320의 각 갱신패키지의 저장영역은 대응되는 버전의 히스토리 및 맵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히스토리데이터 구조는 히스토리 데이터의 버전(version), 크기(size), 결합플래그(combined flag), 실패플래그(fail flag)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전(version)은 제2버전의 버전번호(도 8a의 경우 V#2 - V#7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으며, 크기(size)는 해당 버전의 히스토리 데이터 크기가 될 수 있고, 결합플래그(combined flag)는 해당 버전의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할 버전번호(여기서는 제1버전의 번호 V#1이 될 수 있음)가 될 수 있고, 실패플래그(fail flag)는 로딩 중에 실패(fail) 발생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버전의 히스토리 데이터는 버전(version) 영역에 V#1이 저장될 수 있으며, 결합플래그(combined flag) 영역에 V#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임의의 갱신패키지 영역의 히스토리 데이터에서 버전(version) 영역에 V#5가 저장될 수 있으며, 결합플래그(combined flag) 영역에 V#0이 저장된 경우, 휴대단말기30은 버전5의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 에 결합하여 프로그램을 갱신하게 된다.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는 상기 도 8a와 같은 구조로 상기 도7과 같은 제1메모리250의 제2저장영역32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2저장영역320에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는 갱신요구시 상기 제1저장영역310의 제1버전정보에 결합되어 갱신된 프로그램을 생성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갱신패키지가 맵 데이터, 히스토리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제1메모리250 및 제2메모리26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갱신요구시 도시하지 않은 로더는 제2저장영역320에서 갱신할 버전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하고,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로딩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저장영역310의 제1버전에 갱신하여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갱신요구는 휴대단말기30의 사용자 응답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시점 또는 시스템 초기화 수행 후 갱신되지 않은 버전의 갱신패키지가 존재하는 경우, 갱신 여부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갱신요구시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서 버전을 갱신한 후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제2메모리260에 도 9b와 같이 저장된 갱신버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0을 운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갱신 동작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초기화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는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으며, 갱신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1버전에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버전을 생성하고, 이 갱신 버전을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도 10은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가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가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320에 저장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메모리250은 제1버전을 저장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버전은 초기 버전(initial version)의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버전은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블록(B#1-B#n)들로 이루어졌음을 가정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버전의 인스톨 데이터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맵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스토리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버전 영역에 V#0이 저장되고, 결합플래그 영역에 V#0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맵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표 1> 내지 <표 3>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맵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갱신요구 명령이 발생되면,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인스톨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도 10과 같은 경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맵데이터는 맵 데이터를 null 상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C:0,n, F:0, null, null} 구조의 맵 데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맵데이터는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1버전을 그대로 상기 제2메모리260에 복사하라는 명령이므로,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1버전을 상기 제2메모리260에 그대로 복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제2메모리260에 상기 도 10과 같이 복사된 버전 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는 버전들은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전이 압축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압축해제기270을 통해 상기 압축된 버전을 해제한 후 상기 제2메모리260에 복사한다. 또한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이 제2압축기140을 통해 상기 갱신패키지를 압축하는 경우,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먼저 상기 로딩되는 갱신패키지의 압축을 해제한 후 상기와 같은 트렌스레이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메모리250은 제1저장영역310에 제1버전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2저장영역320에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버전은 초기 버전(initial version)의 프로그램 또는 기준으로 설정된 버전의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는 갱신데이터 및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에 결합하여야 정보들을 포함하는 인스톨데이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제2버전의 버전번호 및 결합하여야 할 버전(여기서는 제1버전)의 번호 등을 저장하는 히스토리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의 맵 데이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버전은 상기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블록(B#1-B#n)들로 이루어졌음을 가정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히스토리데이터는 결합플래그 영역에 V#0이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며, 상기 맵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표 1>(도 13a의 경우) 또는 <표 3>(도 13b의 경우)과 같은 맵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1영역310은 상기 도 11a에 도시된 같은 제1버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320의 특정 갱신패키지는 상기 <표 1>과 같은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과 결합하기 위한 플래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맵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을 갱신하여 제2버전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맵 데이터를 살펴보면, 0번 블록에서 15번 블록까지는 상기 제1버전의 블록을 복사하고, 16번째 블록에서 19번째 블록까지의 4개의 블록은 각각 제1버전의 12, 13, 8, 9번째 블록을 복사하여 삽입하고, 20번째의 블록에서 마지막 블록(앞의 20개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블록)은 4개 블록씩 쉬프트시키라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도 13b의 제2메모리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맵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을 상기 맵데이터에 따라 갱신한다.
두 번재로 상기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1영역310은 상기 도 11b에 도시된 같은 제1버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320의 특정 갱신패키지는 상기 <표 3>과 같은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과 결합하기 위한 플래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맵 데이터를 살펴보면, 0번 블록에서 15번 블록까지는 상기 제1버전의 블록을 복사하고, 16번째 블록에서 19번째 블록까지의 4개의 블록은 각각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 {Z,W,P,X}로 삽입하고, 20번째의 블록에서 마지막 블록(앞의 20개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블록)은 4개 블록씩 쉬프트시키라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도 13b의 제2메모리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맵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을 상기 맵데이터에 따라 갱신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제2메모리260에 상기 도 11과 같이 갱신된 버전에 따라 휴대단말기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는 제1버전의 프로그램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은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전이 압축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압축해제기270을 통해 상기 압축된 제1버전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버전 및 제2버전의 프로그램들을 압축한 후(갱신패키지처리기10의 제1압축기160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경우), 압축된 제1버전 및 제2버전의 블록들을 비교하면서 갱신패키지를 생성한 경우,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에서 트랜스레이팅한 제2버전의 블록 데이터들은 압축된 데이터들이 된다. 이런 경우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압축해제기275를 이용하여 압축을 해제한 후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도 12는 상기 수신시스템30이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에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제2버전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절차를 종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메모리2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버전의 프로그램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갱신 요구시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버전에 결합하여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30은 제1메모리250에 저장하고 있는 제1버전의 프로그램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제2메모리260에서 조합하여 사용하며, 상기와 같은 갱신은 시스템 초기화 수행 후 또는 갱신 요구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프로그램 갱신 방법은 갱신 패키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갱신패키지를 결정된 네트워크 통신 방법에 따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하여 제1저장하고, 상기 제1저장된 갱신패키지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갱신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2저장한 후, 상기 제2저장된 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먼저 빠른 갱신을 위한 갱신패키지 생성 방법을 제안하고, 두 번째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 후 빠른 실행을 위핸 인스톨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안하며, 세 번째로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에서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보관 및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네번째로 상기 보관하고 있는 갱신패키지를 이용하여 시스템 갱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상기 빠른 갱신을 위한 갱신패키지의 생성 방법을 살펴보면, 제1버전의 프로그램과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갱신패키지의 생성을 위한 입력으로 하며, 두 버전은 상기 갱신패키지 생성시 압축하거나 또는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비교된 후, 상기 두 버전들 간에 차이점들을 찾아낸다. 이때 상기 두 버전들 간의 차이점들은 이를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제1버전에 상기 갱신 패키지를 재조합하기 위한 인스톨데이터(install data: 특히 map data가 될 수 있음)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데이터와 함께 갱신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갱신패키지로 생성한다.
두 번째로 상기와 같이 생성된 갱신패키지는 휴대단말기에 다운로드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 후 빠른 실행을 위한 갱신 패키지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갱신패키지에 포함되는 인스톨데이터는 기준이 되는 프로그램(여기서는 제1버전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통해서 얻을 수 있으며, 빠른 주소 계산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제1메모리250에 저장된 제1버전과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260에서 결합될 때 상기 인스톨데이터를 이용하여 빠르게 블록별로 처리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 후 빠른 실행을 위한 인스톨 처리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인스톨 데이터는 기준 프로그램(여기서는 제1버전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과의 비교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맵데이터를 찾는 생성방법으로 빠른 주소 계산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제1메모리250에 포함되어 있는 제1버전과 갱신 패키지를 제2메모리에서결합하기 위한 도움 역할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맵데이터가 상기 갱신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단말기는 역으로 제1메모리에 포함된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과 갱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맵 기능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스톨데이터는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히스토리데이터는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된 갱신패키지 및 갱신패키지가 결합될 버전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6개의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보관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이때 특정 갱신패키지가 제2메모리260에서 결합 실패가 발생되는 경우, 휴대단말기30이 보관하고 있는 다른 갱신패키지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갱신패키지로 갱신할 수 있다.
네 번째로 갱신패키지의 보관 및 처리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갱신패키지는 제1메모리250 상에 구성되는 특정 저장영역에 보관되며, 상기 저장영역들은 복수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다운로딩되어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고 그 다음 갱신패키지가 다운로딩되는 경우에도 이전 갱신패키지는 지워지지 않는다. 그리고 특정 갱신패키지가 로딩되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기30은 사용자에게 보관하고 있는 갱신패키지들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특정 버전을 재조합하기 위한 선택을 지원한다. 그리고 최악의 경우 모든 갱신패키지들의 로딩이 실패되는 경우에는 최초 버전인 제1버전을 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신패키지 생성 및 갱신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3의 동작은 상기 도 1에서 갱신패키지 처리기10 및 휴대단말기30의 동작을 중심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411단계에서 갱신패키지를 생성하기 위한 버전들을 수신한다. 상기 갱신패키지는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이 생성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되는 갱신 패키지는 기준이 되는 버전과 프로그램과 비교되어 생성되는 데이터 (갱신 데이터 및 인스톨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제1버전은 최초 버전 또는 다른 버전들과 결합될 수 있는 기준 버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버전은 갱신되는 버전들과 결합되는 기준 버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는 상기 제1버전과 결합되어 갱신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정보로써,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버전들이 수신되면, 상기 갱신패키지처리기10은 413단계에서 상기 두 버전들의 차이를 분석하며, 415단계에서 상기 두 버전들의 차이에 따른 갱신패키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는 상기 두 버전들의 차이에 따라서 상기 제1버전에 갱신하여야 하는 갱신데이터와,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에 결합하기 위한 정보인 인스톨데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데이터는 상기 제2버전의 히스토리를 표시하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상기 갱신데이터를 제1버전에 갱신할 때의 매핑 정보를 나타내는 맵 데이터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맵데이터는 갱신패키지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맵데이터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할 때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스톨 데이터는 상기 프로그램 갱신시 갱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갱신패키지는 갱신서버20에 전달되며, 상기 갱신서버20은 휴대단말기30들에 상기 갱신패키지의 생성을 통지한다. 그리고 상기 갱신패키지의 발생을 감지한 휴대단말기30이 상기 갱신서버20에 다운로딩을 요구하면, 상기 갱신서버20은 대응되는 휴대단말기30에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딩한다. 이때 상기 다운로딩 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30의 통신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30이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면,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CDMA, UMTS, GSM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다운로딩되며, 또한 인터넷 망과 연결된 경우에는 USB, 블루투스, 와이브로, 무선랜 등과 같은 통신 방법으로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딩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30은 451단계에서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 후, 453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1메모리250은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1영역310 및 상기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는 영역들로 구성되는 제2영역3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영역320은 다수개의 영역들로 구성되어 복수의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영역320이 6개의 저장영역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인스톨 데이터인 히스토리데이터 및 맵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영역과 갱신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하는 과정에서 상기 갱신패키지에 맵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인스톨러는 상기 제1버전에 상기 갱신데이터를 매핑하여 갱신하기 위한 맵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갱신패키지가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갱신 요구시 455단계에서 상기 제1버전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갱신하여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갱신 버전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운용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260은 워크메모리(work memory)가 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제2메모리260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시스템 초기화 과정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된 제1버전에 가장 최근에 다운로드된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결합시켜 생성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며, 상기 휴댕단말기30은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한다. 또한 상기 수신시스템300은 상기 프로그램의 갱신이 실패하는 경우, 이전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프로그램 갱신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시스템300은 프로그램 갱신이 실패하는 경우, 이전 버전들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전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프로그램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초기화시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의 버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시스템3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도 있다.
이하 휴대단말기30에서 갱신패키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 시스템이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하는 절차 및 상기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갱신하여 운용하는 절차 등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0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1영역310에 상기 제1버전 V1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버전 V1은 시스템 제조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 제조 후 기준이 되는 새로운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이를 기준 버전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를 통지받으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갱신서버20으로부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03단계 - 507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갱신서버20에서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일시 저장되는 갱신패키지는 메모리에 인스톨되어 이후 갱신시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일시저장된 상기 갱신패키지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여야하는데, 이때 상기 인스톨 동작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즉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단말기30의 정상적인 동작모드를 수행한 후에 인스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 다운로드 후 인스톨 명령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1단계에서 휴대단말기30의 정상 동작모드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정상모드를 수행한 후, 인스톨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일시 저장중인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509단계에서 인스톨 명령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13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인스톨시킨다. 이때 상기 제1메모리250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 있으며, 버전 갱신시 기준이 되는 제1버전을 저장하는 영역과, 복수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는 영역들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메모리250은 상기 도 7, 도8a-도 8b와 같이 제1버전의 프로그램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는 제1 및 제2영역들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 다운로드시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13단계에서 해당하는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영역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인스톨시킨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는 이전의 갱신패키지와 독립적으로 저장되므로, 상기 제1메모리250은 상기 제1버전의 갱신 패키지들이 생성된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버전의 갱신 히스토리들을 모두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시스템 초기화(system reboot)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이때 시스템 초기화 명령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7단계에서 정상 동작모드를 수행한다. 이런 경우 상기 동작모드는 현재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에 의한 버전 갱신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전 버전의 프로그램으로 동작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515단계에서 시스템 리부팅 명령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21단계에서 시스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초기화 동작 수행후 버전 갱신을 위해 523단계에서 트랜스레이터240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생성된 갱신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로인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이를 토대로 동작모드를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25단계에서 상기 갱신패키지의 인스톨데이터를 검사하여 상기 갱신패키지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으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33단계에서 갱신 이전의 버전 프로그램(제2버전) 또는 제1버전의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갱신패키지의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7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해당하는 갱신패키지를 로드하고, 529단계에서 사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하고 있는 제1버전의 프로그램에 상기 로드한 갱신패키지를 조합하여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531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된 갱신버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 시스템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면, 인스톨(install step)과정 및 갱신 과정(translating step)을 수행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 시스템에서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 시스템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제1버전에 갱신하여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 후, 시스템을 운용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다운로드 필요시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01단계에서 다운로더(down loader)를 실행시키며, 603단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갱신서버20에서 전송되는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는 휴대단말기30의 통신 링크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30이 이동통신 단말기이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설정되는 무선링크(예를들면 CDMA, UMTS, GSM, GPRS 등)를 통해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이면 또는 무선 인터넷(wibro, wifi, wimax, 무선 랜 등)을 통해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USB와 같은 유선통신 링크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시스템에 연결되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해당 유선통신 방법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에 따라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운로드는 갱신패키지 전체가 다운로드될 때 까지 계속되며, 다운로드 중 에러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07단계 및 609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갱신패키지의 재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605단계에서 정상적으로 다운로드를 완료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11단계에서 인스톨러(installer)를 로드하여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할 준비를 한다.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13단계 - 617단계에서 상기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확인한 후, 제1메모리250의 해당 갱신패키지 저장영역 내의 히스토리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갱신패키지 내에 맵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 내에 맵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37단계 및 639단계에서 상기 갱신패키지 내에서 맵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메모리250의 해당 갱신패키지 저장영역 내에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641단계에서 상기 갱신패키지 저장영역 내의 갱신데이터 저장영역에 갱신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635단계가 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수신된 갱신패키지에서 히스토리데이터,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각각 추출한 후 상기 제1메모리250의 해당하는 갱신패키지 저장영역 내에 히스토리데이터, 맵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인스톨하여 저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갱신패키지 내에 맵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1단계 및 623단계에서 압축해제기를 구동하고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갱신데이터를 추출하여 압축을 해제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25단계 - 629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압축해제된 갱신 데이터를 파싱한 후 이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하고 있는 제1버전과 비교하여 차 데이터를 구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에 맵핑하기 위한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31단계 및 633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할당된 갱신패키지의 저장영역에 상기 생성된 맵 데이터 및 상기 갱신데이터를 각각 저장한다.
또한 상기 625단계에서 압축 해제한 갱신데이터가 맵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스톨러230은 상기 맵데이터의 생성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갱신데이터가 상기 도 3f와 같이 맵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맵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도 3f의 경우, 상기 갱신데이터는 상기 제2버전 프로그램의 각 블록들에 대한 명령어(복사, 변경, 쉬프트) 및 해당 블록의 인덱스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갱신데이터가 맵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맵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627 단계 - 633단계의 단계의 동작은 생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30은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가 통지되면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메모리250의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히스토리데이터,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인스톨한다. 이때 상기 맵데이터는 상기 갱신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에 상기 맵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하고 기준버전인 제1버전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데이터를 비교하여 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갱신패키지 저장영역에 인스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인 상기 갱신데이터가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갱신데이터로부터 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6은 상기 휴대단말기30에서 상기 도 15와 같은 절차로 다운로드하는 갱신패키지를 제2메모리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갱신패키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0의 버전을 갱신하는 절차는 시스템 전원온 또는 사용자의 갱신 요구에 의해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30은 시스템 초기화시 하드웨어 등의 초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된 제1버전및 가장 최근에 갱신된 갱신패키지(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갱신패키지)를 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시스템 프로그램, 동작코드, 소프트웨어 등 비휘발성 메모리에 인스톨될 수 있는 모든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시스템 초기화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51단계 - 655단계를 수행하면서 시스템 초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제1메모리250에서 제1버전의 프로그램 및 갱신패키지를 로딩하기 위한 로더를 실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57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 내의 갱신패키지 저장영역들을 분석하여 상기 갱신패키지가 하나 이상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5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59단계에서 상기 갱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트랜스레이터240을 로딩하며, 661단계에서 시큐리티를 검사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63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는 제1버전이 압축된 상태인가 검사하며, 압축된 상태이면 665단계에서 압축해제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1버전의 압축을 해제한 후, 667단계에서 상기 제1버전을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며, 669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된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한다. 그러나 상기 663단계에서 상기 제1버전이 압축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67단계 및 669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한다.
그러나 상기 657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갱신패키지가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71단계에서 트랜스레이터240을 로딩한 후, 673단계에서 가장 최근에 갱신된 갱신패키지를 로드한다. 이때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는 히스토리 데이터, 맵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 또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맵 데이터, 또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75단계에서 압축해제기를 구동하여 상기 로드된 갱신패키지(여기서 상기 갱신데이터만 압축되어 있을 수도 있음)의 압축을 해제하며, 894단계에서 시큐리티를 검사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79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는 제1버전의 프로그램이 압축된 상태인가 검사하며, 압축된 상태이면 681단계에서 압축해제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의 압축을 해제한 후, 683단계에서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며, 669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260에 상기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한다. 이때 683단계에서 상기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에 갱신할 때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에 맵핑한다. 또한 상기 679단계에서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이 압축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683단계 및 669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에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한다.
도 17a - 도 17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시스템이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인스톨 및 트랜스레이팅하는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갱신서버20으로부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상기 다운로드한 갱신패키지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인스톨하고, 갱신 필요시 상기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기준 버전의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도 17a는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하는 과정의 절차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7b는 상기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트랜스레이팅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고, 도 17c는 가장 최근에 인스톨된 갱신패키지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에 다른 갱신패키지를 선택한 후 트랜스레이팅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7d는 인스톨된 모든 갱신패키지들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에 최초 버전인 제1버전을 트랜스레이팅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고, 도 17e는 갱신패키지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다음 시스템 초기화 상태에서 다시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7f는 도 17f는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한 후 트랜스레이팅하지 않은 경우에 다음 시스템 초기화 시점에서 인스톨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하고 아이들 모드로 진행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고, 도 17g는 시스템 초기화후 이전 상태에서 요구된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되지 않은 갱신패키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7a - 도 17g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갱신서버20으로부터 갱신패키지가 생성되었음을 통지받으면, 휴대단말기30은 7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 여부의 결정을 알리는 메세지를 표시한다. 이때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입력을 발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이를 감지하고 703단계에서 상기 갱신서버20에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갱신서버20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05단계에서 다운로드되는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면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는데, 이때 상기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로써 상기 제2메모리260이 될 수 있다. 상기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07단계에서 다운로딩의 완료를 표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는 일시 저장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320에 인스톨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는 이유는 상기 갱신 필요시마다 상기 제1버전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조합하여 갱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하여야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갱신패키지는 안정된 상태로 저장되어 반복적으로 갱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할 때 사용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인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707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30의 표시부에 인스톨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스톨할 것을 설정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이를 감지하고 7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갱신패키지에 포함된 인스톨데이터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인스톨데이터는 히스토리 데이터 또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맵 데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하는 제2버전 식별정보 및 갱신데이터를 결합할 기준버전(여기서는 제1버전이 될 수 있음)의 식별정보 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맵 데이터는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에 매핑하기 위한 명령어 및 블럭의 인덱스 정보들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맵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갱신패키지를 생성할 때 맵데이터를 함께 생성하여 합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히스토리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만 합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11단계에서 상기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하기 전에 버전(여기서는 Vx버전에서 Vy버전으로 갱신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CRC 및 맵데이터 등을 검사한다.
이때 상기 711단계의 검사에서 갱신 버전이 Vx->Vy이며, CRC는 정상이고, 맵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인스톨러230은 713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715단계에서 상기 도 7 및 도 8a와 같은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320에서 해당하는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인스톨하고, 717단계에서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의 맵 데이터를 인스톨하며, 719단계에서 갱신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를 인스톨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의 맵데이터가 갱신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스톨러230은 상기 7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갱신패키지의 저장하는 영역에 갱신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즉,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의 인스톨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인스톨러230은 갱신패키지에서 각각 히스토리데이터,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데이터들을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320의 할당된 영역에 인스톨한다.
또한 상기 711단계의 검사에서 갱신 버전이 Vx->Vy이며, CRC는 정상이고, 맵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21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723단계에서 상기 도 7 및 도 8a와 같은 갱신패키지 저장영역 영역에서 해당하는 갱신패키지 저장영역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인스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25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하고 있는 제1버전을(여기서는 Vx) 로드하고, 상기 제1버전에 상기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를 매핍시키면서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27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의 해당 갱신패키지 영역에서 맵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 상기와 생성한 맵 데이터를 인스톨하며, 729단계에서 갱신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를 인스톨한다. 즉,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의 인스톨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맵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히스토리데이터, 맵 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메모리250의 해당하는 갱신패키지 저장영역에 할당된 각 영역들에 인스톨한다. 또한 상기 갱신데이터가 상기 도 3f와 같이 맵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인스톨러230은 상기 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갱신데이터를 그대로 인스톨할 수 있다. 즉, 상기 갱신데이터가 제2버전 프로그램과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 간의 블록 데이터들의 명령어 및 이들 각각에 따른 블록 인덱스 값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인스톨 과정에서 맵데이터의 생성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되는 갱신패키지(또는 갱신데이터만)는 압축되어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메모리250에 저장되는 갱신패키지의 메모리 용량을 감소시켜 상기 제1메모리250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메모리250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제조시 또는 기준버전으로 인스톨된 제1버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복수개의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할 수 있는 갱신패키지 영역들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상기 제1메모리250에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할 때, 이전에 인스톨된 갱신패키지 저장 영역에 인스톨하지 않고 비어 있는 저장영역 또는 비어있는 갱신패키지 저장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오래전에 인스톨된 갱신패키지 저장 영역에 인스톨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제1버전 및 최근에 인스톨된 복수의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들을 보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버전 프로그램 갱신시 오류가 발생되더라도 다른 버전들을 이용하여 갱신할 수 있어 폴트 톨러런트가 양호해진다.
상기와 같이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60의 해당하는 갱신패키지 영역에 인스톨 완료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33단계에서 시스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로 버전을 갱신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시스템 초기화(power reset)를 요구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4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단말기30의 파워온 리세트 동작을 수행한다.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시스템 전원 온 명령이 발생되면 741단계에서 시스템 전원 온 기능을 수행하면서 시스템 초기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초기화 기능은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초기화시키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는 743단계 및 745단계를 수행하면서 시스템 프로그램의 갱신을 표시한 후, 표시된 갱신 패키지를 트랜스레이팅하여 제2메모리270에 부팅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30의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에 상기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30이 상기 제1버전 V1(Vx)에 상기 제2버전 V2(Vy)를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상기 갱신패키지가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맵데이터는 상기 <표 1> - <표 4>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수신시스템30의 트랜스레이터240은 상기 <표 1>, <표 2> 및 <표 4>와 같은 맵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버전 V1에 상기 갱신패키지의 맵데이터를 결합하여 제2버전 V2의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즉, 상기 <표 1>과 같은 맵데이터{C:0,15, F:0, null, null},{M:16,4 F:1, (16-12),(17-13),(18-8),(19-9), 0,0,0,0}, {S:20,5, F:0, (20-4), 0}이면 상기 C,M,S 명령어에 따라 맵데이터에 포함된 블록인덱스에 대응되는 제1버전 V1의 블록 데이터를 대응되는 제2버전V2의 블록 데이터로 저장한다. 이런 경우 상기 수신시스템300은 제2버전 V2의 0번에서 15번 블록은 제1버전 V1의 블록 0번에서 15번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블록 16에서 19번 블록은 제1버전V1의 블록12,13,8,9번 블록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블록 20번에서 24번 블록은 상기 제1버전V1의 블록 16번에서 20번 블록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표 2>와 같은 맵데이터 {C:0,15, F:0, null, null}, {M:16,4 F:1, (16-12),(17-13),(18-8),(19-9), 0,code(B,K),code(E,C),0}, {S:20,5, F:0, (20-4), 0}이면, 상기 수신시스템30은 상기 C 및 S 명령어에 따른 제2버전 V2의 블록은 상기 맵데이터에 대응되는 블록 인덱스의 제1버전 V1의 블록 데이터를 대응되는 제2버전의 블록데이터로 저장한다. 그리고 M 명령어에 따른 제2버전의 블록은 상기 맵데이터에 포함된 블록 인덱스 및 앤트로피 코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런 경우, 상기 수신시스템30은 제2버전 V2의 0번에서 15번 블록은 제1버전 V1의 블록 0번에서 15번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블록 16에서 19번 블록은 제1버전V1의 블록12,code(B,K),code(E,C),9번 블록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블록 20번에서 24번 블록은 상기 제1버전V1의 블록 16번에서 20번 블록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코드(B,K)는 제1버전 V1의 13번 블록 데이터와 제2버전V2의 17번 블록 데이터의 차를 앤트로피 코딩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코드(E,C)는 제1버전 8번의 블록 데이터와 제2버전 V2의 18번 블록 데이터의 차를 앤트로피 코딩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표 3>과 같은 맵데이터 {C:0,15, F:0, null, null}, {M:16,4, F:2, null, null}, {S:20,5, F:0, (20-4), 0}이면, 상기 수신시스템30은 상기 C 및 S 명령어에 따른 제2버전 V2의 블록은 상기 맵데이터에 대응되는 블록 인덱스의 제1버전 V1의 블록 데이터를 대응되는 제2버전의 블록데이터로 저장한다. 그리고 M 명령어에 따른 제2버전의 블록은 상기 맵데이터에 포함된 블록 인덱스 값 및 갱신데이터의 수를 확인하고, 이를 갱신데이터에서 억세스하여 블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런 경우, 상기 수신시스템30은 제2버전 V2의 0번에서 15번 블록은 제1버전 V1의 블록 0번에서 15번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블록 16에서 19번 블록은 상기 갱신데이터에서 4개의 블록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억세스하여 각각 대응되는 블록 인덱스의 블록 데이터로 저장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2버전 V2의 블록 16,17,18,19의 블록 데이터는 Z,W,P,X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데이터 없이 히스토리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로 구성된 갱신패키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시스템30은 상기 갱신데이터 및 제1버전 V1의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갱신데이터가 상기 <표 5>와 같이 상기 제1버전 V1의 블록 인덱스 정보 {C:0,6}, {M:6,2,X,Y}, {S:8,3,6,} {S:11,2,13}, {M:13,5, A,B,C,D,E}, {S:18,7,15}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맵데이터의 생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수신시스템30은 상기 갱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버전V2의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 5>와 같은 갱신데이터이면, 상기 수신시스템30은 제2버전 V2의 0번에서 5번 블록은 제1버전 V1의 0번에서 5번 블록 데이터로 저장하고, 6번 및 7번 블록은 X,Y 데이터로 저장하며, 8번에서 10번 블록은 제1버전의 6번에서 8번 블록 데이터로 저장하고, 11번 및 12번 블록 데이터는 제1버전 V1의 13번 및 14번 블록데이터로 저장하며, 13번에서 17번 블록은 각각 A,B,C,D,E로 저장하고, 18번에서 24번 블록은 제1버전 V1의 15번에서 21번 블록 데이터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한 후 첫 번째로 시스템 전원 온이 수행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743단계에서 버전이 Vx에서 Vz로 변경됨을 설정시간 동안 표시(여기서는 2초로 가정함)하고, 745단계에서 상기 Vz 버전을 가지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버전에 적용시켜(즉, 트랜스레이팅) 갱신된 제2버전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는 747단계로 진행하여 휴대단말기의 아이들 모드(idle mode)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템 파워 온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상기 제1메모리250에서 인스톨된 제1버전의 프로그램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하며,상기 제1버전의 프로그램 및 제2버전의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생신된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된 갱신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는 가장 최근의 버전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하여 갱신하며, 이때 휴대단말기의 갱신절차는 상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버전 및 갱신패키지를 로딩하며, 상기 로딩된 상기 제1버전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적용하여 갱신된 버전의 제2버전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가장 최근의 버전인 갱신패키지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다른 갱신패키지를 선택하여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들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인스톨하고, 시스템 초기화시 상기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들 중에서 가장 최근의 버전을 가지는 갱신패키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갱신패키지를 선택하여 제2메모리에 부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갱신패키지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최적의 갱신패키지를 선택하여 휴대단말기를 부팅시킬 수 있다. 따라서 753단계에서 가장 최근 갱신 버전을 가지는 갱신패키지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상기 도 17c에서는 가장 최근의 버전번호 5(V#5)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음), 상기 휴대단말기는 755단계에서 표시부에 사용자의 버전 선택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버전의 갱신패키지를 처리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갱신패키지의 버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버전 선택 기능을 선택하면, 75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57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버전들을 표시부에 표시한다(표시되는 제2버전의 번호들이 V#4, V#3, V#2인 경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버전의 특정 버전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75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61단계에서 선택된 버전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하며, 763단계에서 상기 제1버전에 상기 로딩된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제2버전은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되며,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된 제2버전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는 765단계에서 아이들모드로 천이하여 다음 동작모드에 대비한다.
그러나 상기 755단계에서 사용자가 버전 선택 명령을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767단계 및 769단계에서 이상이 발생된 버전을 제외한 가장 최근의 버전(여기서는 version 3이 될 수 있음)의 갱신패키지를 선택 및 로드한 후 771단계에서 상기 로드한 버전의 갱신패키지로 시스템의 버전을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갱신하여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 후, 773단계의 아이들모드로 진행한다. 즉, 가장 최근의 버전에 이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버전 선택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정상 갱신패키지들 중에서 가장 최근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하여 갱신버전을 생성하며, 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7d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모든 갱신패키지들이 정상이 아닌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7d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781단계 및 783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모든 갱신패키지들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면, 785단계 - 789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제1버전을 로딩한 후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며, 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에 인스톨된 모든 갱신패키지들이 정상 상태가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최초 버전인 제1버전을 로딩하여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 또는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이를 감지하고 도 17e의 821단계에서 다음 시스템 초기화 상태(next boot up time)에서 사용자가 해당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설정하고, 823단계에서 대기 모드로 천이한다. 즉,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기30은 다음 부팅 시점에서 다시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설정한 후, 대기 모드로 진행하여 다음 동작에 대비한다. 즉, 상기 대기상태에서 시스템 초기화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 실행 여부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한 후 트랜스레이팅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랜스레이팅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이를 감지하고 도 17f의 831단계에서 다음 시스템 초기화 시 현재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적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833단계에서 휴대단말기의 아이들 모드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아이들 모드에서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인스톨된 가장 최근의 갱신패키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0의 시스템 프로그램을 갱신한다. 따라서 상기 가장 최근의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한 후 트랜스레이팅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시스템 파워업하는 시점에서 상기 가장 최근의 갱신패키지를 이용하여 시스템 프로그램을 버전업시킨 후, 다음 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생성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 인스톨 또는 트랜스레이팅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다음 전원 온 시점에서 상기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 여부를 안내한다. 도 17g를 참조하면, 시스템 전원 온 명령이 발생시 상기 휴대단말기는 801단계 및 803단계에서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초기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는 905단계에서 부팅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된 가장 최근 버전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하여 시스템 프로그램을 갱신한다. 따라서 이전 상태에서 인스톨 후 갱신되지 않은 경우, 다음 시스템 전원 온 시점에서 새로운 갱신패키지에 의해 시스템 프로그램이 갱신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팅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는 807단계에서 대기모드로 천이하며, 상기 대기모드에서 이전 상태에서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할 갱신패키지가 있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809단계에서 다운로드할 갱신패키지가 이전 상태에서 있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811단계에서 상기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 여부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선택하면 상기 도 17a의 70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선택하지 않으면 도 17e의 821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파워업 시점에서 다시 문의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813단계에서 인스톨할 갱신패키지 있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815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의 인스톨 여부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인스톨을 선택하면 상기 도 17a의 70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인스톨 기능을 선택하지 않으면 도 17e의 821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파워업 시점에서 다시 문의하도록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30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제1메모리250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메모리250은 최초 버전인 제1버전을 저장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버전은 휴대단말기 제조시 제조사에 인스톨하는 버전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버전이 갱신될 때 마다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며, 이때 제1메모리250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들이 할당되어 있고, 이런 저장영역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의 갱신패키지들을 인스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는 갱신된 버전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상기 제1버전에 갱신데이터가 포함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버전과 차이를 가지는 갱신데이터들을 구비하는 갱신패키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후자의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제2메모리260을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제2메모리260은 휘발성 메모리로써 휴대단말기의 워크 메모리(work memory)가 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시스템 전원 온시 시스템의 하드웨어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소프트웨어 부팅을 수행할 때 상기 제1메모리250에서 상기 제1버전 및 가장 최근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하며, 상기 제1버전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translating)하고,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는 제2메모리260에 저장된 갱신된 버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 인스톨 및 트랜스레이팅은 해당 이벤트가 발생되는 시점에서 즉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이벤트의 처리 시점을 다음 시스템 초기화 시점까지 대기한 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인스톨 및 부팅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예로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휴대전화기인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RF통신부930은 휴대 전화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통신부93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키입력부94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제1메모리250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써, 제1버전을 저장하는 제1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되는 제1버전의 프로그램은 휴대전화기 제조시 제조사에서 인스톨하는 단말기의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영역에 저장되는 갱신패키지는 상기 제1버전과 갱신 버전의 차이에 따른 갱신패키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갱신데이터 및 히스토리 및 맵 데이터들로 구성되는 인스톨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맵데이터가 갱신데이터를 포함하는 구조이면 상기 히스토리데이터 및 맵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갱신데이터가 맵데이터를 포함하는 구조이면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 및 맵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은 일정 크기를 가지는 영역들로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영역들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영역들이 될 수 있다.
제2메모리260은 휘발성 메모리로써 휴대단말기의 워크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메모리260은 부팅시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1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버전에 상기 제2영역에 저장된 가장 최근 버전을 가지는 갱신패키지를 결합시켜 생성된 제2버전을 저장하며, 제어부900의 제어하에 상기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9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은 코덱 및 모뎀을 구비하여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 및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전화기의 경우, 상기 제어부900이 데이터처리 및 오디오처리 기능이 하나의 칩으로 집적된 MSM 칩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 및 데이터처리 기능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휴대전화기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900은 상기 갱신패키지서버20에서 전송되는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더220,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의 특정 저장영역에 인스톨하는 인스톨러230와, 상기 인스톨된 제1버전의 프로그램에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하는 트랜스레이터240의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950은 제어부900의 제어하에 휴대단말기의 표시 데이터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95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95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960은 상기 제어부900에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960은 USB 등과 같이 유선을 통해 컴퓨터 등의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블루투스(bluetooth) 및 IrDA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Wibro, Wifi, Wimax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8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전화기에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 인스톨 및 부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휴대전화기의 제어부900은 RF통신부930을 통해 기지국과 RF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의 RF 무선통신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CDMA, UMTS, GSM 등의 통신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갱신패키지서버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전화기의 통신인터페이스부960은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갱시패키지서버20과 연결될 수 잇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서버20으로부터 갱신패키지가 생성되었음이 통지되면, 상기 제어부900은 상기 RF통신부930을 통해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며, 그러면 상기 갱신패키지 서버20은 상기 생성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그러면 상기 갱신패키지는 기지국에 의해 공중 무선망에 적합한 형태의 무선 데이터(예를들면 CDMA, UMTS, or GSM format의 RF data)로 변환되며, 제어부900은 이를 RF통신부930을 통해 수신하여 일시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0은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일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메모리260은 휘발성 메모리이므로,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되는 갱신패키지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시켜야 상기 갱신패키지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900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 후 표시부950에 상기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를 표시하고, 인스톨 여부의 선택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인스톨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900은 상기 일시저장 중인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의 제2영역 중 빈 영역(또는 빈 영역이 없으면 가장 오래 전에 인스톨된 갱신패키지가 인스톨된 영역)에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인스톨한다. 이때 상기 갱신패키지는 갱신데이터와 인스톨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스톨데이터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맵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맵데이터는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0은 상기 갱신패키지를 분석하여 상기 맵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갱신패키지이면, 상기 갱신패키지와 상기 제1버전을 비교하여 맵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갱신패키지 인스톨시 생성한 맵데이터를 함께 인스톨한다. 또한 상기 맵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갱신데이터에 맵 데이터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갱신패키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스톨러230은 상기 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상기 제1메모리250의 해당 갱신패키지 저장 영역에 상기 갱신데이터 및 히스토리데이터를 갱신패키지로 인스톨한다. 또한 상기 갱신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맵데이터가 상기 갱신데이터를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인스톨러230은 상기 제1메모리250의 해당하는 갱신패키지 영역에 히스토리 데이터 및 맵데이터를 인스톨한다.
그러나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스톨 기능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900은 이를 기억한 후, 다음 시스템 전원온 시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가 있음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인스톨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전화기는 갱신패키지가 일시 저장중인 상태이면 상기 저장중인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며, 상기 갱신패키지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갱신패키지서버20에 갱신패키지의 다운로드를 요구하고,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한다. 따라서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한 후,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갱신패키지의 인스톨 여부를 설정하도록 반복적으로 안내하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 상기 갱신패키지를 공중 무선망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할 수 있다.
상기 갱신패키지가 상기 제1메모리250에 인스톨되면, 상기 갱신패키지는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스템 초기화 이후 부팅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900은 상기 제1메모리250에서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 및 가장 최근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제1버전 프로그램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매핑시켜 제2버전의 갱신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즉, 상기 제어부900은 가장 최근의 갱신패키지를 로딩한 후 먼저 히스토리데이터를 분석하여 버전번호 및 결합할 버전을 확인하며, 상기 결합할 버전(여기서는 제1버전)를 로딩한 후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인스톨데이터의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써 갱신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버전의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전화기는 상기 제2메모리260에 저장된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해당하는 동작 및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갱신 방법은 상기 RF통신부930 이외에 통신인터페이스부960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즉, 상기 휴대전화기가 USB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등에 컴퓨터 등의 외부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장치에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면, 상기 제어부900은 상기와 같은 다운로드, 인스톨 및 트랜스레이팅 절차를 수행하면서 휴대전화기의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갱신 버전을 생성할 때 기준버전과 갱신버전의 차에 따른 갱신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갱신버전의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갱신버전을 다운로드할 때 휴대단말기는 제1메모리에 상기 기준버전 및 갱신버전을 독립적으로 인스톨하여 보관하며, 상기 보관된 기준버전 및 갱신버전을 제2메모리에서 조합하여 갱신하므로써 안정되게 프로그램을 갱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1)

  1.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준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영역을 구비하는 제1메모리와,
    갱신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2메모리와,
    외부 시스템과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에 인스톨하고, 갱신요구시 상기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기준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프로그램을 갱신하며, 갱신된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갱신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가 상기 기준 프로그램과 갱신 프로그램 간의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갱신데이터와,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기준 프로그램에 결합하기 위한 인스톨데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톨데이터가,
    갱신패키지의 버전식별정보 및 상기 갱신패키지가 결합될 기준 버전의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기준 프로그램에 매핑하기 위한 맵 데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프로그램은 적어도 두 개의 블록들로 구분되며, 상기 맵데이터는 상기 블록 인덱스 및 해당 블록에 대한 명령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맵데이터의 명령어는 복사, 이동 및 변경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경 명령어의 블록의 데이터는 갱신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모리가,
    상기 기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제2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가 기준 프로그램과 갱신 버전의 프로그램 간의 차이에 따른 데이타들인 갱신데이터와,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기준 프로그램에서에 결합하기 위한 인스톨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인스톨 데이터는
    갱신패키지의 버전식별정보 및 상기 기준 프로그램의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기준 프로그램에 매핑하기 위한 맵 데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 통지시 상기 통지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인스톨하고, 갱신요구시 상기 제1메모리에서 상기 기준 프로그램 및 상기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로드하고, 상기 인스톨 데이터에 따라 기준 프로그램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2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갱신 프로그램에 의해 시스템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에 인스톨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맵 데이터 포함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맵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기준프로그램과 상기 갱신데이터를 비교하여 맵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히스토리데이터, 맵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프로그램은 시스템 제조시 설치되는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12.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에서 생성된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제1메모리에 인스톨하는 과정과,
    갱신요구시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되어 제1버전 프로그램 및 상기 갱신패키지를 로드하고,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갱신프로그램 생성 과정과,
    상기 갱신 프로그램에 의해 시스템을 구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메모리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준 프로그램과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들을 저장하는 영역들을 구비하며, 제2메모리는 상기 기준프로그램과 갱신패키지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갱신 프로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은 상기 제1메모리의 제1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갱신패키지는 상기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제2영역은 복수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는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과 갱신 프로그램 간의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갱신데이터와, 갱신패키지의 버전식별정보 및 상기 갱신패키지가 결합될 제1버전 프로그램의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에 매핑하기 위한 맵 데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맵데이터의 명령어는 복사, 이동 및 변경 등의 명령어와 블록 인덱스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경 명령어의 블록 데이터는 갱신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에 인스톨하는 과정이,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맵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갱신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상기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에 인스톨하는 과정이,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영역에 히스토리 데이터로 인스톨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에서 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영역에 맵 데이터로 인스톨하는 과정과,
    상기 맵데이터를 제외한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에 인스톨하는 과정이,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패키지에 맵 데이터의 포함 여부를 검사하며, 상기 맵데이터 포함시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맵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2영역에 인스톨하고, 상기 맵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았으면 상기 갱신데이터에서 매핑 정보를 추출하여 맵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과정과,
    상기 맵데이터 인스톨 후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프로그램 생성 과정은
    갱신 요구시 상기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인스톨된 갱신패키지를 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로드된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갱신된 제2버전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되는 갱신패키지는 최신 버전의 갱신패키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상기 제2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요구는 시스템 초기화 수행 후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요구는 상기 갱신패키지 인스톨 종료 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프로그램 생성 과정은 갱신패키지의 히스토리 데이터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패키지의 맵 데이터에 따라 제1버전 프로그램에 갱신패키지의 갱신데이터를 매핑하여 갱신버전의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25.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 장치에 있어서,
    제1버전 프로그램 저장하는 제1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제2영역들을 구비하는 제1메모리와,
    갱신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2메모리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더와,
    상기 다운로드되는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인스톨러와,
    갱신요구시 상기 제1메모리에서 상기 갱신패키지 및 제1버전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상기 로드한 제1버전 프로그램에 상기 갱신패키지를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상기 갱신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트랜스레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상기 제2메모리는 휘발성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가 제1버전 프로그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과의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맵데이터 및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의 차이를 가지는 데이터인 갱신데이터들로 구성되며,
    상기 인스톨러가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상기 히스토리데이터, 맵데이터 및 갱신데이터를 추출하여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패키지가 제1버전 프로그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과의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맵데이터 및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의 차이를 가지는 데이터인 갱신데이터들로 구성되며,
    상기 인스톨러가 상기 갱신패키지에서 상기 히스토리데이터를 추출하여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인스톨하고, 상기 갱신데이터에서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과의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맵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인스톨하며, 상기 상기 갱신데이터를 상기 제1메모리의 제2영역에 인스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레이터가,
    상기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버전 프로그램에 상기 갱신데이터를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갱신버전 프로그램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요구는 시스템 초기화 수행 후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 장치.
  31.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정보 갱신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기준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갱신패키지를 저장하는 영역을 구비하는 제1메모리와,
    갱신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2메모리와,
    외부 시스템과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갱신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상기 다운로드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하고, 갱신요구시 상기 저장된 갱신패키지를 상기 기준 프로그램에 결합하여 갱신된 프로그램을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KR1020070070099A 2006-07-14 2007-07-12 휴대단말기의 버전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KR101426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6509 2006-07-14
KR1020060066509 2006-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132A KR20080007132A (ko) 2008-01-17
KR101426710B1 true KR101426710B1 (ko) 2014-09-23

Family

ID=3892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099A KR101426710B1 (ko) 2006-07-14 2007-07-12 휴대단말기의 버전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19810B2 (ko)
EP (1) EP2076834A4 (ko)
JP (1) JP2009544095A (ko)
KR (1) KR101426710B1 (ko)
CN (1) CN101467129A (ko)
RU (1) RU2419839C2 (ko)
WO (1) WO2008007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6033B2 (en) * 2005-05-27 2011-04-1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supporting new network element software versions in an element management system without upgrading
US8171469B2 (en) * 2006-08-15 2012-05-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ckage compatibility
KR100849212B1 (ko) * 2006-10-12 200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의 구동 프로그램 업데이트방법
US8612538B2 (en) * 2007-08-21 2013-12-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telemonitor unit firmware
US8402455B2 (en) * 2008-03-17 2013-03-19 Landis+Gyr Innova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ng firmware through an over-the-air network
JP5167936B2 (ja) * 2008-05-08 2013-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WO2010002407A1 (en) * 2008-07-02 2010-0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forming administrative tasks associated with a network-attached storage system at a client
CA2675351C (en) 2008-10-08 2015-05-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rver for sending new application portions to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GB2465193A (en) * 2008-11-10 2010-05-12 Symbian Software Ltd Detecting updated files in a firmware over the air update using CRC values
JP5478090B2 (ja) * 2009-02-25 2014-04-2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00242037A1 (en) * 2009-03-17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Software Deployment over a Network
US8683432B2 (en) * 2009-03-20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execution context in continuation based runtimes
US20100293538A1 (en) * 2009-05-15 2010-11-1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program updating in a continuation based runtime
KR101595754B1 (ko) * 2009-11-26 2016-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셋탑박스의 펌웨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1257954A (ja) * 2010-06-08 2011-12-22 Sony Corp 更新管理サーバ、電子機器、更新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2315954A (zh) * 2010-07-02 2012-01-11 无锡华润上华半导体有限公司 客户端软件更新管理系统
CN101917706B (zh) * 2010-07-30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Fota升级的处理方法及装置
CN101937349B (zh) * 2010-08-28 2015-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终端及其软件升级方法
KR20120041384A (ko) * 2010-10-21 201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CN102457824B (zh) * 2010-10-26 2015-05-2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事件处理方法和装置
US8650439B2 (en) * 2010-12-07 2014-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ault tolerant FOTA update
US8924777B2 (en) * 2010-12-23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densed FOTA backup
CN102184115B (zh) * 2011-05-20 2014-12-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升级系统软件的方法及终端设备
WO2013009337A2 (en) 2011-07-08 2013-01-17 Arnold Goldberg Desktop application for access and interaction with workspaces in a cloud-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synchronization mechanisms thereof
US9485521B2 (en) * 2011-09-19 2016-11-01 Lg Electronics Inc. Encoding and decoding image using sample adaptive offset with start band indicator
WO2013082320A1 (en) 2011-11-29 2013-06-06 Box, Inc. Mobile platform file and folder selection functionalities for offline access and synchronization
CN102521031B (zh) * 2011-12-13 2014-11-05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预置应用程序的管理方法和移动终端
US9575981B2 (en) 2012-04-11 2017-02-21 Box, Inc. Cloud service enabled to handle a set of files depicted to a user as a single file in a native operating system
GB2514947B (en) 2012-05-04 2015-06-17 Box Inc Repository redundancy implementation of a system which incrementally updates clients with events that occured via a cloud-enabled platform
FR2993682B1 (fr) * 2012-07-20 2014-08-22 Oberthur Technologies Mise a jour d'un systeme d'exploitation pour element securise
US9794256B2 (en) 2012-07-30 2017-10-17 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control tools for administrators in a cloud-based service
US11150885B2 (en) 2012-08-22 2021-10-19 Transportation Ip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software management
US20140059534A1 (en) * 2012-08-22 2014-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software management
US9558202B2 (en) 2012-08-27 2017-01-31 Box, Inc. Server side techniques for reducing database workload in implementing selective subfolder synchronization in a cloud-based environment
US9553758B2 (en) 2012-09-18 2017-01-24 Box, Inc. Sandboxing individual applications to specific user folders in a cloud-based service
CN102880495A (zh) * 2012-10-15 2013-01-16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软件升级方法
CN102970342A (zh) * 2012-11-01 2013-03-13 山东大学 一种基于ota 技术的嵌入式终端自动升级方法
KR20140077435A (ko) * 2012-12-14 201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10235383B2 (en) 2012-12-19 2019-03-19 Bo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items with read-only permissions in a cloud-based environment
CN103051723B (zh) * 2012-12-27 2016-08-31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增量升级方法及服务器、终端
US9396245B2 (en) 2013-01-02 2016-07-19 Box, Inc. Race condition handling in a system which incrementally updates clients with events that occurred in a cloud-based collaboration platform
US9953036B2 (en) 2013-01-09 2018-04-24 Box, Inc. File system monitoring in a system which incrementally updates clients with events that occurred in a cloud-based collaboration platform
US9507795B2 (en) 2013-01-11 2016-11-29 Box, Inc. Functionalities, features, and user interface of a synchronization client to a cloud-based environment
US10599671B2 (en) 2013-01-17 2020-03-24 Box, Inc. Conflict resolution, retry condition management, and handling of problem files for the synchronization client to a cloud-based platform
WO2014146256A1 (zh) * 2013-03-19 2014-09-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升级方法、智能终端及升级系统
US10725968B2 (en) 2013-05-10 2020-07-28 Box, Inc. Top down delete or unsynchronization on delete of and depiction of item synchronization with a synchronization client to a cloud-based platform
US10846074B2 (en) * 2013-05-10 2020-11-24 Box, Inc. Identification and handling of items to be ignored for synchronization with a cloud-based platform by a synchronization client
CN104135500B (zh) * 2013-05-22 2015-07-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提示应用更新的方法和系统
CN103313229B (zh) * 2013-05-27 2017-04-1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空中下载技术升级的方法及设备
US9633037B2 (en) 2013-06-13 2017-04-25 Bo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event building and/or collapsing by a synchronization component of a cloud-based platform
US9805050B2 (en) 2013-06-21 2017-10-31 Box, Inc. Maintaining and updating file system shadows on a local device by a synchronization client of a cloud-based platform
US9535924B2 (en) 2013-07-30 2017-01-03 Box, Inc. Scalability improvement in a system which incrementally updates clients with events that occurred in a cloud-based collaboration platform
CN103559065B (zh) * 2013-11-13 2017-02-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ota升级的方法和系统
US9665079B2 (en) * 2014-03-26 2017-05-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roller having a version control system
CN105404521B (zh) * 2014-05-30 2017-05-31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增量升级方法及相关装置
US10530854B2 (en) 2014-05-30 2020-01-07 Box, Inc. Synchronization of permissioned content in cloud-based environments
US9383989B1 (en) 2014-06-16 2016-07-05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pplications
EP2993578A1 (en) * 2014-09-02 2016-03-09 Gemalto M2M GmbH Method for adapting firmwar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4484200B (zh) * 2014-12-09 2018-05-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对固件进行升级的方法及装置
US9886264B2 (en) 2014-12-09 2018-02-06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upgrading firmware
US9262152B1 (en) * 2015-01-22 2016-02-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odular system including management and deployment of software updates and revisions
JP6067761B2 (ja) * 2015-01-30 2017-01-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機器およびファームウェア管理プログラム
CN106462424A (zh) * 2015-03-24 2017-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系统的升级方法、终端及系统
CN106203460A (zh) 2015-05-05 2016-12-07 杜比实验室特许公司 训练信号处理模型以用于信号处理系统中的部件替换
JP2017033136A (ja) * 2015-07-30 2017-02-0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制御プログラム、情報制御装置及び情報制御方法
US9507605B1 (en) * 2015-12-15 2016-1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booting timing adjustment for improved performance
CN107015821B (zh) * 2016-01-28 2021-05-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增量更新的方法和装置
CN105744505B (zh) * 2016-01-29 2019-08-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系统升级方法
EP3279811B1 (en) 2016-08-04 2023-10-04 HERE Global B.V. Reducing size of update package data for navigation databases
CN109690478B (zh) * 2016-09-14 2022-06-10 瑞士优北罗股份有限公司 软件更新系统、空中固件更新系统和更新客户端装置的方法
CN106325947A (zh) * 2016-09-18 2017-01-11 北京方研矩行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状态机的ota固件升级方法
CN106851622A (zh) * 2016-12-28 2017-06-13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空中升级方法、装置、中心设备及外围设备
CN107222517B (zh) * 2017-04-12 2020-02-14 惠州市蓝微新源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系统软件的远程升级系统及远程升级方法
ES2827790T3 (es) * 2017-08-21 2021-05-24 Carrier Corp Sistema antiincendios y de seguridad que incluye bucle accesible por dirección y mejora automática de firmware
CN108023778A (zh) * 2017-12-14 2018-05-11 深圳市斑点猫信息技术有限公司 固件升级方法及其系统
CN108108179A (zh) * 2017-12-15 2018-06-0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七研究所 一种基于串口的tms32c6713程序烧录flash方法
JP6988636B2 (ja) * 2018-03-28 2022-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プログラミング方法
CN109062601A (zh) * 2018-08-15 2018-12-21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Mes系统客户端程序更新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865842B (zh) * 2018-08-28 2023-11-03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ota升级方法和设备
CN111093185A (zh) * 2018-10-24 2020-05-01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车辆、车机设备、ota文件服务器及其升级方法
CN109922078B (zh) * 2019-03-28 2023-03-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升级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378123B (zh) * 2019-07-18 2023-11-14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车载终端的软件升级方法及系统
CN110543321A (zh) * 2019-09-06 2019-12-06 深圳市英博超算科技有限公司 Ota升级方法、装置、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809259B1 (en) * 2019-10-16 2023-08-16 NXP USA, Inc. Network node firmware update
US11645086B2 (en) * 2019-11-20 2023-05-09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filesystem agent management solution
CN111865646A (zh) * 2019-12-30 2020-10-30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终端升级方法及相关装置
CN112015458A (zh) * 2020-08-04 2020-12-01 上海艾拉比智能科技有限公司 设备升级方法、终端设备、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667266B (zh) * 2021-01-22 2024-02-0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固件升级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4257509A (zh) * 2021-12-31 2022-03-29 陕西天基通信科技有限责任公司 模块升级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4440389A (zh) * 2022-01-21 2022-05-06 佛山市钒音科技有限公司 空调器及其升级方法、计算机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063A (ko) * 2003-02-05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에 있어서 델타 파일에 따른 무선(ota)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WO2004102382A2 (en) * 2003-05-19 2004-11-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pgraded software from initial software and software upgrade packages
JP2004348434A (ja) 2003-05-22 200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047998A (en) * 1997-06-06 1998-1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lta file software loading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6018747A (en) * 1997-11-26 2000-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onstructing in-place delta files
US6952823B2 (en) * 1998-09-01 2005-10-04 Pkware, Inc. Software patch generator using compression techniques
US7483964B1 (en) * 2000-02-25 2009-01-27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00230B1 (en) 2000-06-21 2006-02-14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based software extensions
US7058941B1 (en) * 2000-11-14 2006-06-06 Microsoft Corporation Minimum delta generator for program binaries
US7082549B2 (en) 2000-11-17 2006-07-25 Bitfone Corporation Method for fault tolerant updat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20020091720A1 (en) * 2001-01-05 2002-07-11 Jun Liu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providing improved software version control in managed devices
US20030074657A1 (en) * 2001-10-12 2003-04-17 Bramley Richard A. Limited time evaluation system for firmware
JP3967121B2 (ja) * 2001-12-11 2007-08-2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ファイルシステム、ファイル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ファイル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7007049B2 (en) * 2002-11-18 2006-02-28 Innopath Software, Inc. Device memory management during electronic file updating
ATE539404T1 (de) * 2002-12-18 2012-01-1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obilteil mit fehlertoleranter aktualisierung
JP3864337B2 (ja) 2002-12-27 2006-12-27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ジョンアップ方法
TWI229291B (en) * 2003-04-03 2005-03-11 Inventec Corp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contents of flash memory unit
US20040230963A1 (en) * 2003-05-12 2004-11-18 Rothman Michael A.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in an operating system agnostic manner
EP1533695B1 (en) * 2003-11-19 2013-08-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dating data in a mobile terminal
US7509636B2 (en) * 2003-12-15 2009-03-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files utilizing delta compression patching
US7197634B2 (en) * 2004-01-16 2007-03-27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device firmware
JP2005222140A (ja) * 2004-02-03 2005-08-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US7587433B2 (en) * 2004-06-01 2009-09-08 Red Bend Ltd. Method and system for in-place updating content stored in a storage device
KR100617793B1 (ko) * 2004-06-24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차이파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버전업그레이드 방법
JP4016025B2 (ja) * 2004-10-12 2007-12-0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
US7603562B2 (en) * 2005-02-02 2009-10-13 Insyde Softw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emory requirements of firmware
JP4561484B2 (ja) * 2005-06-03 2010-10-13 日本電気株式会社 ソフトウエア更新インタフェース、方法、プログラム、サーバ及び携帯通信端末
JPWO2007108127A1 (ja) * 2006-03-23 2009-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システムプログラム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US20070277167A1 (en) * 2006-05-23 2007-1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 system mainten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063A (ko) * 2003-02-05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에 있어서 델타 파일에 따른 무선(ota)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WO2004102382A2 (en) * 2003-05-19 2004-11-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pgraded software from initial software and software upgrade packages
JP2004348434A (ja) 2003-05-22 200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44095A (ja) 2009-12-10
CN101467129A (zh) 2009-06-24
RU2008144691A (ru) 2010-05-20
EP2076834A4 (en) 2009-11-04
RU2419839C2 (ru) 2011-05-27
US20080216066A1 (en) 2008-09-04
WO2008007922A1 (en) 2008-01-17
US8719810B2 (en) 2014-05-06
KR20080007132A (ko) 2008-01-17
EP2076834A1 (en)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710B1 (ko) 휴대단말기의 버전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KR101417759B1 (ko) 시스템 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US7275153B2 (en) Booting and boot code update system using boot strapper code to select between a loader and a duplicate backup loader
US783644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mbedded system for software download and method for software download
US6684324B2 (en) Method for installing two or more operating systems/user interfaces into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CN106020875B (zh) 嵌入式终端的固件更新管理方法和装置
US20160085538A1 (en) Over-the-air updates for ble devices
KR101541112B1 (ko) Fota 시스템 및 그 실행 방법
CN110597542A (zh) 软件自动ota升级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7643898A (zh) 终端升级方法及装置
JP2004213201A (ja) バージョンアップ方法
JP2010044574A (ja) 携帯端末、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10074790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실행 파일 압축 방법
CN112860291B (zh) 固件升级方法及装置
CN108170456B (zh) 电子设备的固件升级方法及装置
KR20080023064A (ko) 무선 통신 단말의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538627B1 (ko) 무선통신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부분 업그레이드 방법
CN110309018B (zh) 充电设备系统切换方法、充电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2202129A (zh) 实现手机操作系统加载的方法
KR1007626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 엔진을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22816B1 (ko) 이동 단말장치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시스템
KR101090718B1 (ko) 텔레매틱스 단말기 소프트웨어 다운로딩 방법
KR100409119B1 (ko) 이동 통신용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유지 및 보수 방법
KR20060013820A (ko)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20230072185A (ko) 기능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서버, 및 전자 기기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