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565A - 속성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선택의 관리 - Google Patents

속성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선택의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565A
KR20130108565A KR1020137007698A KR20137007698A KR20130108565A KR 20130108565 A KR20130108565 A KR 20130108565A KR 1020137007698 A KR1020137007698 A KR 1020137007698A KR 20137007698 A KR20137007698 A KR 20137007698A KR 20130108565 A KR20130108565 A KR 20130108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ttribute
interface
computing devic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099B1 (ko
Inventor
조이스 엘. 비뇨
Original Assignee
아브 이니티오 테크놀로지 엘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브 이니티오 테크놀로지 엘엘시 filed Critical 아브 이니티오 테크놀로지 엘엘시
Publication of KR2013010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3Multi-dimensional databases or data warehouses, e.g. MOLAP or ROL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G06F16/24553Query execution of query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2Hierarchical databases, e.g. IMS, LDAP data stores or Lotus 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데이터 저장소(102)에 저장된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108, 118)가 컴퓨팅 디바이스(106) 상에 제공된다. 둘 이상의 속성을 식별하는 정보 및 식별된 속성에 대한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이 수신된다. 계층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고,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는 상기 나타낸 순서에 대응한다. 속성에 대한 복수의 속성값이 결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제1 속성의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레벨의 각 노드에 할당하는 단계, 및 제2 속성의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레벨의 각 노드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레벨의 각각의 노드에는 또한, 선행하는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된 각각의 속성값이 할당된다.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여기에는 각 노드와 연관되는 인터페이스 요소(113-117, 123-128)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속성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선택의 관리{MANAGING DATA SELECTION BASED ON ATTRIBUTES}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0년 9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제61/381,74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속성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선택의 관리에 관한 것이다.
몇 가지 예에서, 데이터는 복수의 속성을 갖는다. 이러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속성을 갖는 데이터를 배열하고 조직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소팅가능한(sortable) 스프레드시트, 그래프, 트리, 또는 다른 계층구조로 호출하는 것과 같은 기술이 구현될 수 있다. 일단 배열되면, 사용자는 데이터의 조직화 및 표시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일반적으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입력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둘 이상의 속성을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식별된 속성에 대하여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계층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는 상기 식별된 속성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계층구조 레벨을 갖는 계층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는 상기 식별된 속성에 대해 나타낸 순서에 대응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 단계는, 상기 식별된 속성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복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속성 중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의 제1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1 속성의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속성 중 제2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의 제2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2 속성의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은 또한,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받는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는 상기 계층구조에 따라 각각의 상기 노드와 연관되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로서, 일반적으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제1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상기 제1 속성의 복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속성값 중 각각의 특정 속성값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속성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요소의 각각의 서브세트 내의 데이터 요소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는 또한,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제1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1 속성의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할당하고,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계층구조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속성값을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하여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를 기초로 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조의 상기 노드 중 하나 이상의 노드의 선택을 포함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질의가 생성되고, 각각의 노드는, 상기 계층구조에서 이러한 노드에 할당되는 속성값의 조합으로 데이터 요소를 나타내고, 상기 질의에 의해 리턴되는 데이터 요소의 세트는, 개별적인 노드 각각으로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 요소의 합(union)에 대응한다. 상기 식별된 속성 중 각각의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의 각각의 연속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각각의 속성의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가 할당되고, 각각의 연속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또한,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모든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받는다.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립은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섹션은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 중 대응하는 수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1 스트립 및 제2 스트립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스트립을 부가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스트립은 각각 부가적인 속성과 연관된다.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제2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상기 제2 속성의 복수의 제2 속성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속성값 중 각각의 특정 속성값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속성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요소의 각각의 서브세트 내의 데이터 요소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속성을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하여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를 기초로 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속성에 대응하는 제2 스트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립은 복수의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트립 및 제2 스트립의 각각의 섹션은 상기 데이터 요소의 상이한 각각의 그룹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스트립에 대한 상기 제1 스트립의 순서 정렬은 상기 데이터 요소가 그룹핑(grouping)되는 순서를 특정한다. 상기 순서 정렬이 변경되어 상기 데이터 요소가 그룹핑되는 순서가 변경된다. 상기 복수의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의 선택을 포함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질의가 생성되고, 상기 질의는 상기 복수의 섹션 중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의 각각의 데이터 요소와 연관된다. 상기 복수의 섹션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선택해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질의가 변경된다. 상기 복수의 섹션 중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은 상기 제2 스트립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립의 섹션은 상기 제1 스트립의 복수의 섹션 중 하나의 섹션으로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 요소의 서브세트를 나타낸다. 상기 질의는 상기 순서 정렬에서 상기 제2 스트립에 선행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섹션을 기초로 한다.
상기 복수의 섹션 중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은 상기 제2 스트립의 2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질의는 상기 제2 스트립의 상기 2개의 섹션 각각의 합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를 리트리빙(retrieving)하기 위한 식(expression)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트립의 상기 복수의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스트립의 상기 복수의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이 선택된다. 상기 제1 스트립은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지 않는 상기 제1 속성값에 대해 개별적인 섹션을 포함하지 않는다. 데이터 요소가 상기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부가되거나 제거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스트립 또는 섹션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스트립 또는 섹션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트립 또는 상기 제2 스트립의 복수의 섹션 중 특정 섹션 위에서 커서가 호버링(hovering)하고 있음이 식별되고, 이러한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섹션과 관련되는 상기 데이터 요소와 연관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되는 모든 섹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트립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트립 또는 상기 제2 스트립의 복수의 섹션 중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복수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구현예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시각적 표시는 특정 속성에 의해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스트립의 스택구조에서의 각 스트립은 속성 중 하나에 대응하며, 속성값은 데이터 요소를 그룹으로 분할하며, 각 그룹은 스트립의 섹션으로 나타난다. 특정 속성값을 갖는 데이터 요소의 각 서브세트에서 데이터 요소의 결정된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함으로써, 속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스트립은, 데이터 요소의 결정된 수 중 대응하는 것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섹션은 또한, 복수의 단계의 필터링에 걸친 복수의 단계의 내비게이션을 요하지 않고, 필터링 제약요소(또는 기타 다른 처리 제약요소)를 설정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해 속성값의 다양한 조합을 갖는 데이터 요소의 임의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데이터 요소 내에 실제로 존재하는 속성값을 표시함으로써, 시각적 표시는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필터에 대응하는 섹션으로 제한될 수 있다. 어떠한 데이터도 생성하지 못하는(즉, 비어있는 세트) 필터링에 대해서는 속성값의 조합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필요는 없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속성의 계층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계층구조에는 고유의 자연적인 계층구조가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스택형 스트립은 잠재적으로 분리된(disjoint) 속성값들 사이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계층구조의 레벨을 재배열하면 그룹핑을 변화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관심 있는 측면에 신속히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데이터를 동적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다차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다차원 데이터를 그룹핑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a는 다차원 데이터를 그룹핑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4b는 필터 스트립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형태의 버킷 섹션을 포함하는 필터 스트립을 나타낸다.
도 6은 필터 스트립의 동적 수정(dynamic modification)을 나타낸다.
도 7 내지 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10g는 데이터의 속성을 그룹핑하기 위한 가능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1은 데이터를 그룹핑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소(102)에 저장되어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06)에 의해 액세스 및 조작될 수 있는 데이터(104)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일부 구성에서, 데이터 저장소(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06) 내로 통합될 수 있거나(예컨대, 내장 하드 드라이브 등), 컴퓨팅 디바이스(106)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원격 저장 디바이스, 서버 등). 데이터(104)는 다양한 형태로(예컨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데이터 저장소(102)에 배열될 수 있고, 데이터 저장소(102) 내로 그리고 데이터 저장소(102)로부터 밖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104)를 조작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데이터(104)에 액세스(예를 들면, 질의)함으로써, 컴퓨팅 디바이스(106)는 사용자에게 관심 있는 데이터의 세트를 리트리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데이터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컴퓨팅 디바이스(106)는 데이터(104)의 하나 이상의 속성을 시각적인 구성으로 조직화할 수 있고(예컨대, 디바이스(106)의 스크린 상에), 이러한 구성은 스트립과 스트립 내에 섹션을 포함하고, 스트립은 각각 상이한 속성에 대응하며, 섹션은 개별 요소(예컨대, 레코드) 내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속성값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의 개별 요소의 그룹핑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섹션은 데이터(104)의 필터링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속성 스트립" 또는 "필터 스트립"이라 지칭되는 스트립은, 복수의 스트립의 스택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의 시스템에서, 제1 배열(108)(예컨대, 속성 스트립의 제1 스택구조)은 각각 섹션(113, 115, 및 114, 116, 117)을 포함하는 스트립(110, 112)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배열(108)은 셔츠 스타일에 관한 속성을 나타내는 스트립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스트립(110)은 소매 길이(예컨대, 긴 소매 또는 짧은 소매)를 나타내며, 제2 스트립(112)은 셔츠 색상(예컨대, 청색, 녹색, 또는 적색)을 나타낸다. 컴퓨팅 디바이스(106)는 사용자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배열의 컨텐츠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6)는 제1 배열(108)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각각 섹션(123, 125, 127 및 124, 126, 128)을 갖는 스트립(120, 122)을 포함하는 제2 배열(118)을 제공한다(예컨대, 속성 스트립의 제2 스택구조). 이러한 예에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한편, 제1 배열(108)의 스트립은 상호교환된다. 특히, 제2 배열(118)에서, 제1 스트립(120)은 셔츠 색상을 나타내고, 제2 스트립(122)은 소매 길이를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6)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그 속성이 조작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데이터와 같이, 데이터의 개별 요소를 특징화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다중-측면(multi-faceted)" 데이터이다(예컨대, 주어진 데이터 요소가 복수의 속성을 갖는, 어쩌면 각 속성에 대하여 복수의 고유한 값을 가질 수도 있는 다차원 데이터).
다른 예로서, 제1 배열(108)은 또한 하나 이상의 "작업(job)"의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스트립(110)은 특정 작업과 연관된 국가를 나타내고(종종 "작업 국가"라 지칭됨), 제2 스트립(112)은 대응하는 작업과 연관되는 실행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는 이하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소(102)는 다차원 데이터(104)를 포함한다. 다차원 데이터는 다양한 속성(202)(필드 또는 카테고리로도 지칭됨)을 갖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페이지 상의 소비자 제품은, 가격, 색상, 크기 및 모델과 같은 속성을 갖는 다차원 데이터로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작업"의 실시예의 경우에, 데이터(104)는 다양한 컴퓨팅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작업과 연관되고, 데이터는 적어도 "작업 국가" 및 "진행 상태"의 속성을 가진다. 이러한 속성은 하나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소비자 제품의 예에서는, "색상" 속성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작업"의 예에서는, "진행 상태" 속성이 "완료(Completed)", "진행 중(Running)" 또는 "개시 이전(Unstarted)"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사용자가 다차원 데이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300)이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304)는 데이터 저장소(102) 내에서 특정 속성값을 갖는 데이터(104)의 서브세트, 예컨대 "진행 중"이면서 작업 국가가 "미국"인 작업의 목록을 보기를 원할 수 있다. 시스템이 특정 속성값을 가진 데이터(104)의 서브세트를 리턴하기 위해 데이터 내의 속성값에 기초하여 데이터(104)를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로 그룹핑한 후에, 사용자(304)는 데이터(104) 처리(예컨대, 필터링)의 하나 이상의 기준을 나타내는 입력(314)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룹핑에 기초하여 특정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입력(314)을 수신한 후에, 컴퓨팅 디바이스(302)는 데이터(104)에 필터를 적용하고(310), 필터링된 데이터(308)의 세트를 리턴한다(312). 컴퓨팅 디바이스(302)는 필터링된 데이터(308)가 일단 수신되면 이를 디스플레이(예컨대, 디스플레이(306)) 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로컬 또는 원격 저장소에 필터링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필터링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또는 기타 다른 유사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a는 프로세스 흐름도(400a)이고, 데이터 속성의 그래픽 표시의 시각적 진행(400b)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스 흐름도(400a) 및 시각적 진행(400b)은 다차원 데이터를 그룹핑하기 위한 가능한 기술을 나타내고, 이는 결과로서 생성된 그룹에 기초하는 다차원 데이터의 필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속성을 갖는 다차원 데이터는 스트립의 스택구조로 나타내고, 이러한 각각의 스트립은 속성값에 기초하는, 데이터의 서로 상이한 그룹핑에 대응하는 서로 상이한 섹션을 갖는다. 다중-측면 데이터의 세트(예를 들면, 모든 작업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제공되고(402), 단일 섹션(404)을 갖는 단일 스트립으로 나타낸다. 데이터 저장소 내의 모든 다차원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작업과 연관된다고 가정하면, 섹션(404)은 모든 다차원 데이터를 나타내고, 또한 시스템 내의 "모든 작업"을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우선 각 작업의 진행 상태에 따라 모든 작업을 필터링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데이터에 제1 그룹핑이 적용되고(406), 이는 "진행 상태" 속성에 대응하는 스택구조 내의 스트립(408)의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요소의 각 그룹을 나타내도록 스트립(408) 내의 섹션을 결정하는 것은, 특정 속성값을 갖는 데이터 요소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이하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스택구조 내의 각 스트립(예컨대, 스트립(408))은 종종 "필터 스트립"이라 지칭되며, 이는 필터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섹션을 선택함으로써 대응하는 속성에 따른 필터링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스트립(408)은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수많은 가능한 속성값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속성값은 그룹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스트립(408)이 "작업 상태"에 관한 것인 경우, "작업 상태" 속성 내에 나타나는 속성값은 "개시 이전", "진행 중" 및 "완료"이다. 스트립(408)과 연관되는 그룹핑의 적용(406)에 의해, 데이터의 제1 서브세트 및 제2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세트가 결정되고(414, 416), 이러한 서브세트는 각각 섹션(410 및 412)으로 나타낸다. 속성은 임의의 수의 속성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속성값에 기초하는 그룹핑의 적용에 의해 임의의 수의 서브세트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완료" 서브세트는 또한 제1 그룹핑의 적용에 의해 결정된다.
섹션(410)을 일례로 들면, 섹션(410)으로 나타낸 데이터는 다음의 속성값을 갖는다: (1) 하나 이상의 작업과 연관되는 데이터; 및 (2) "개시 이전"인 작업(예컨대, "진행 중" 또는 "완료"가 아닌 작업). 각 섹션은 또한, 섹션이 속하는 스택구조에서 그 위에 있는 섹션(들)의 속성값과 연관된다. 다시 한번 섹션(410)을 일례로 들면, 섹션(410)은 섹션(410)이 섹션(404) 아래에 놓여 있으므로 작업과 연관되는 데이터만을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스택구조 내의 각 스트립은 계층구조의 레벨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모든 작업" 섹션(404)은 섹션(410)에 대해 페어런트 노드이고, 이러한 섹션(410)은 차일드 노드로 간주될 수 있다(계층구조를 나타내는 노드의 트리에서).
제2 그룹핑도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고(418), 이는 차례로 각 서브세트(410, 412)에 적용된다. 도 4a의 예에서, 제2 그룹핑은 모든 서브세트에 적용되고(418), 스택구조에 스트립(420)을 추가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2 그룹핑은 각 작업의 "프로세스 국가"에 관한 것이고, 각 작업은 멕시코(MX), 미국(US), 또는 캐나다(CN)의 가능한 속성값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420)과 연관된 그룹핑의 적용에 의해, 결과적으로 보다 미세한 구조인(finer-grained) 임의의 수의 데이터의 서브세트가 결정될 수 있지만, 단순화를 위해 단지 서브세트(426 및 428) 및 이에 대응하는 섹션(422 및 424)만이 논의될 것이다. 섹션(422)을 예로 들면, 섹션(422)은 "개시 이전"이면서 프로세스 국가인 멕시코와 연관되는 모든 작업을 나타낸다. 이는 또한, 스택구조 내의 기타 다른 섹션 아래에 위치하는 섹션들 간의 계층구조 관계의 결과이다. 마찬가지로, 섹션(424)은 "진행 중"이면서 프로세스 국가인 캐나다와 연관되는 모든 작업을 나타낸다. 기저의(underlying)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특정 속성값에 의해 데이터의 상이한 그룹핑을 나타내도록 임의의 수의 추가적인 속성 스트립이 스택구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속성의 스택형 표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섹션으로 나타내는 서브세트 내의 데이터에 관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포인팅 장치(예컨대, 마우스)로 제어되는 커서를 스택구조 내의 이러한 섹션 위에서 "호버링(hovering)"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는, 섹션 위에서 커서를 호버링하는 것에 의해 "팝업"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팝업 윈도우(401)(도 4b)는 이슈 심각도(issue severity) "에러" 그리고 "개시 이전"인 작업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팝업 윈도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서브세트 내의 작업의 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팝업 윈도우는 기타 다른 정보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작업의 전체 수에 대한 서브세트 내의 작업의 수, 평균 작업 기간, 최대 작업 기간, 평균 CPU 이용률, 및/또는 최대 CPU 이용률을 제공할 수 있다. 섹션 위에서 커서를 호버링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윈도우는 "툴팁(tooltip)" 또는 "버블"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든 정보는 섹션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이와 다른 윈도우, 탭, 또는 시각적 작업공간 내의 기타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보다 많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섹션 또는 스트립을 선택하거나(예를 들면, 그래픽 디스플레이 내의 특정 위치에 커서가 있을 때 마우스를 "클릭"함으로써), 또는 특정 속성값을 갖는 데이터 요소의 목록을 생성하기 위해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서, 사용자가 섹션(422 및 424)을 선택한다면(선택에 의해 이러한 섹션이 강조되거나, 음영처리되거나, 또는 그외 기타 방식으로 선택되지 않은 섹션과 구별됨), 캐나다에서 "진행 중"인 작업과 함께 멕시코에서 "개시 이전"인 작업으로 이루어진 목록이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시 이전" 섹션(410) 만을 선택하게 되면, 연관된 프로세스 국가에 관계없이, 모든 개시 이전 작업의 목록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개시 이전" 섹션(410)을 선택하게 되면, 미국에서 개시 이전인 모든 작업과 함께 멕시코에서 개시 이전인 모든 작업의 목록을 제공하게 될 수 있고, 이는 이러한 서브세트 모두가 "개시 이전" 섹션(410) 아래에 있는 모든 섹션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복수의 속성값은 필터가 적용될 단일 섹션을 규정하기 위해 함께 그룹핑되고 이용될 수 있다(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예를 들면, "진행 상태" 섹션은 가능한 값으로서 "개시 이전"을 포함하도록 규정될 수 있고, 여기서 "개시 이전"은 아직 예정된 개시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작업, 및 예정된 개시 시간에 도달하였지만 어떤 다른 프로세스가 완료되도록 대기 중인 작업(예컨대, 파일이 나타나도록 대기 중인 작업 또는 리소스가 이용가능하게 되도록 대기 중인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완료" 값은, 진행되었으나 실패한 작업 및 진행되어 성공한 작업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속성의 스택형 표시의 그래픽 특성은 기저의 데이터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섹션(예를 들면, 섹션(424))의 폭은, 그 섹션 위의 섹션과 연관된 데이터의 전체 세트에 대한 특정 속성값을 갖는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션(424)의 폭은 섹션(432)의 폭보다 크다. 이는, 예를 들어 미국에서 진행 중인 작업보다 캐나다에서 진행 중인 작업이 더 많음을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섹션(410 및 412)의 폭 간의 차이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진행 중"인 작업의 양은 "개시 이전" 작업의 양보다 크다.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상황들에서는, 각각 비교적 작은 양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다 낮은 레벨 속성의 다수의 서브세트가 단일 섹션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개시 이전"이란 제목에 의해 규정되는 "진행 상태" 섹션(510)은, 다수의 기타 다른 섹션뿐만 아니라, 섹션(504)("MX")으로 나타내는, 다수의 보다 낮은 레벨의 "프로세스 국가" 서브세트를 포괄한다. 각 섹션의 폭으로 나타낸 비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서브세트 섹션은 하나 이상의 "버킷(bucket)" 섹션(예컨대, 버킷 섹션(502))으로 그룹핑될 수 있고, 이러한 버킷 섹션은 이들의 컨텐츠를 드러내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높은 레벨의 섹션(510) 내의 전체 데이터 양에 대한 보다 낮은 레벨의 섹션(504)의 데이터 양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비해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섹션(504)이 섹션(502)에 포함된 데이터보다 비례적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섹션(502)의 컨텐츠를 보기 위해서, 사용자는 버킷 섹션(502) 상에서 커서(508)를 호버링하거나 클릭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러한 섹션의 컨텐츠에 대해 확장된 뷰(view)가 생성된다. 확장된 뷰는 버킷 섹션(502)의 컨텐츠를 브라우징하기 위한 디바이스, 예컨대 수평 스크롤 바(506) 또는 기타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뷰 내에서 하나 이상의 섹션(예컨대, 섹션(512))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비-버킷 섹션의 선택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면, 이러한 섹션으로 나타낸 데이터의 서브세트 내의 작업을 디스플레이하는 등).
그룹핑은 데이터의 세트에 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데이터의 스택형 표시와 상호작용함으로써 그룹핑이 데이터에 적용되는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택구조(602)는 진행 상태(Run Status), 프로세스_국가(PROCESS_COUNTRY), 및 이슈 심각도(Issue Severity)의 제목을 갖는 3개의 스트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트립은 데이터의 세트의 3개의 상이한 속성을 나타낸다(이러한 예에서는 데이터가 작업의 세트임). 전술한 섹션들 간의 계층구조 관계로 인하여, 그룹핑이 적용되는 순서는 최상부 스트립으로부터 최하부 스트립으로 나아간다(예를 들면, 진행 상태 → 프로세스_국가 → 이슈 심각도). 예를 들면, "이슈 심각도" 그룹핑이 먼저 적용되도록 사용자가 그룹핑이 적용되는 순서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즉, 사용자가 계층구조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커서를 이용하여 최하부 스트립(604)("이슈 심각도")을 선택하고 스택구조의 상부의 위치로(점선 박스(606)로 강조됨) 스트립을 드래그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스택구조의 상부로 이슈 심각도 스트립을 드래그하면(점선 박스(604)로 강조됨) 스택구조(602)의 동적 수정(dynamic modification)이 발생하게 된다(608). 업데이트된 스택구조(6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제 데이터는 먼저 이슈 심각도에 따라 그룹핑되고, 그 다음에 진행 상태에 의해서, 그 후 프로세스_국가에 의해서 그룹핑된다. 스택형 표시의 이러한 동적 업데이트는 실시간으로 발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섹션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동적 수정의 결과로서 새로운 섹션(612)이 생성되고, 이는 "이슈 심각도" 그룹핑이 "진행 상태" 그룹핑(3개)보다 많은 속성값(4개)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또한 스택구조(602)로부터 스트립을 부가 또는 삭제하는 것에 의해, 유사한 방식으로 스택구조(602)가 동적으로 수정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7은 필터 스트립 및 기타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예컨대, 메뉴 및 목록)의 조합을 이용하여 데이터 세트에 필터를 적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인터페이스(700)를 나타낸다. 인터페이스(700)는 메뉴(702)(예를 들어, 드롭다운 메뉴)를 포함하고, 이러한 메뉴(702)에 의해, 라벨(70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작업"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세트에 사용자가 선택된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메뉴(702)는 데이터 세트를 필터링하기 위해 "진행 상태" 속성이 이용 중임을 나타낸다. "진행 상태" 속성에 대해 데이터 내에 나타나는 속성값(706)은, "개시 이전", "진행 중" 및 "완료"이고, 이들은 속성값 뷰 페인(viewing pane; 704)에 디스플레이된다. 속성값 뷰 페인(704) 내에서 상이한 속성값들(706) 중에서 선택하면, 작업 목록(712)에 나타나는 작업이 필터링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모든" 선택이 선정되어, 작업 목록(712)에 나타나는 작업들은 작업의 진행 상태와 관련된 특정 속성값에 의해 필터링되지 않는다. 작업 목록(712)은 각각의 디스플레이된 작업에 관해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작업 목록(712)은 (적용가능한 경우) 각 작업의 실제 개시 시간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국가 및 기타 다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기술과 유사한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필터 스트립을 이용하여 작업에 필터가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예에서는, 모든 프로세스 국가가 선택되기 때문에(예컨대, 캐나다, 멕시코, 미국 및 기타 다른 국가) 필터 스트립(710)이 작업 목록(712)에 나열된 작업을 추가적으로 필터링하지 않을 수 있지만, 예컨대 필터 스트립(710)은 메뉴(702)에 의해 적용되는 "진행 상태" 필터와 함께 데이터 세트에 적용되고 있다.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터 스트립(710) 내의 각각의 섹션은, 전체 데이터 세트에 대한 특정 섹션 내의 데이터 양, 또는 이중 특정 부분을 비례적으로 반영하는 폭을 갖는다. 그러므로, 섹션이 모두 선택된 필터 스트립은 어떠한 필터링도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이한 섹션으로 나타내는 그룹핑에 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필터 스트립(71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국가 멕시코(MX)인 작업보다 프로세스 국가 캐나다(CN)인 작업의 수가 더 많다. 인터페이스(700)에 추가적인 필터 스트립이 부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추가" 버튼(708)을 활성화하는 등의 다수의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세트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 스트립은 "삭제" 버튼(714)을 활성화함으로써 인터페이스(7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필터 스트립은 또한, 기타 다른 프로그램, 탭, 또는 여타 다른 위치로부터 인터페이스(700)로 드래그될 수 있거나, 메뉴(702)와 유사한 드롭다운 메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데이터 세트에 필터를 적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800)의 일례를 보여준다. 필터 스트립(809)은 "진행 상태" 속성에 기초하여 데이터 세트를 필터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800) 내에서 데이터 세트에 복수의 필터 스트립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터 스트립(809, 810)은 동적으로 조정가능한 필터링 단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필터 스트립(809) 위의 위치로 필터 스트립(810)을 드래그함으로써 필터 스트립이 데이터 세트에 적용되는 순서를 변경하는 경우, 필터 스트립(809, 810) 내의 각 섹션의 배열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800)가 나타내는 작업 간의 계층구조는, 수정된 계층구조에 따라 동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 필터 스트립(810) 내의 특정 섹션(818)의 선택 때문에, 작업 목록(812)은 프로세스 국가가 미국이면서 진행 중인 작업과 함께 프로세스 국가가 캐나다이면서 진행 중인 작업을 디스플레이한다. 작업 목록(812)은 디스플레이된 작업에 관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터 스트립은 또한 "속성 스트립"으로도 지칭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된 스택구조 또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A)에 나타난 속성 스트립(910A, 912A)이다. 속성 스트립(910A, 912A)은 필터 스트립에 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특징을 제공하고, 예를 들면 데이터의 조직화, 선택 및 그룹핑을 위한 도구를 제공한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A) 내에서, 속성 스트립(910A, 912A)은 "내부 밸류 바(interior value bar)"(예컨대, 내부 밸류 바(906A))라 지칭되는 섹션 및 "리프 밸류 바(leaf value bar)"(예를 들어 리프 밸류 바(908A))라 지칭되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예에서, 속성 스트립 내에 나타난 값은 속성 스트립 위에 있는 속성 스트립(들)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리프 밸류 바(908A)는 내부 밸류 바(906A)로 나타낸 데이터의 서브세트를 나타내는 한편, 속성 값(910A, 912A) 중 어느 한쪽의 속성 값 내의 모든 밸류 바는 "상부 바"(902A)로 나타낸 데이터의 서브세트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바(902A)는 전체 데이터 세트를 나타낸다. 속성 스트립(910A, 912A)은 각각, 속성 명칭(904A)(예를 들면, 속성 1 및 속성 2)에 의해 식별된다. 전술한 필터 스트립과 마찬가지로, 속성 스트립은 데이터세트 내에서 데이터의 속성의 조사 및 표시를 허용한다.
도 9b는 속성 스트립(902B)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B)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B) 및 이에 대응하는 속성 스트립(즉, 속성 스트립(902B))은,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B)로 나타내는 데이터 중 일부 또는 데이터 모두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어 키를 누르면서 커서(904B)로 선택을 함으로써) 리넨 리프 밸류 바(906B) 및 코튼 리프 밸류 바(908B)를 선택하고(예컨대, 커서(904B)를 이용하여), 결과적으로 상부 바(901B)로 나타내는 남성 셔츠 스타일 데이터세트의 서브 세트가 선택된다. 속성 명칭(912B)("섬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성 스트립(902B)은 이용가능한 남성 셔츠의 다양한 섬유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그룹을 선택하면(예컨대, 리프 밸류 바 또는 내부 밸류 바, 종종 섹션이라고 지칭됨), 질의(910B), 예컨대 선택된 그룹으로 나타내는 데이터를 리트리빙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질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코튼 리프 밸류 바(908B)와 리넨 리프 밸류 바(906B) 중에서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질의가 생성된다: SELECT * FROM MensShirtStyles WHERE Fabric = 'Cotton' OR Fabric = 'Linen'. 질의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선택은 섬유 속성값 리넨을 갖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섬유 속성값 코튼을 갖는 데이터를 리트리빙한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B) 내에서 하나 이상의 섹션을 선택하면 데이터가 필터링된다; 즉,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B) 내에서의 속성 스트립의 배열은 데이터의 그룹핑을 제어하고, 한편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B) 내에서의 하나 이상의 그룹의 선택은 선택된 그룹과 연관되는 데이터를 리트리빙하기 위한 질의를 생성한다. 섹션을 선택해제하여 질의를 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선택해제된 섹션과 연관된 질의로부터 파라미터를 제거함으로써).
도 9c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900C) 내에서 그룹을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선택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상부 바(901C)를 선택하거나(에컨대, 커서(904C)를 이용하여), 또는 모두 선택 제어(916C)를 선택하면, 디폴트로, 상부 바 아래에 위치한 모든 그룹이(예를 들면, 속성 스트립(902C)과 연관된 모든 그룹이) 선택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901C)가 선택되기 전에, 리프 밸류 노드(906C 및 908C)가 선택되고, 상부 바(901C)가 선택된 후에는, 속성 스트립(902C) 내의 모든 그룹이 선택된다(강조된 영역(914C)으로 나타남). 이와 같이, (속성 스트립(902C)과 연관되는 모든 5개의 리프 밸류 바를 포함하는) 강조된 영역(914C)의 선택은, 다음의 질의(910C)를 생성할 수 있다: SELECT * FROM MensShirtStyles. 이러한 실시예에서, 강조된 영역(914)(및 이에 대응하는 질의)은 데이터 세트 MensShirtStyles 내의 모든 데이터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9a를 다시 참조해보면, 내부 밸류 바(906A)가 선택되면 연관된 모든 그룹이 선택될 수 있다(예컨대, 선택된 내부 밸류 바(906A) 바로 아래에 위치한 리프 밸류 바, 또는 아래의 임의의 위치).
도 10a는 속성 스트립(1002A, 1004A)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A)의 첫 번째 인스턴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A)의 첫 번째 인스턴스에서, 일차적으로 셔츠의 소매 길이를 기초로 하는 그룹이 형성되고 둘째로 셔츠의 색상에 기초하여 그룹핑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새로운 그룹핑이 생성되도록 속성 스트립은 재구성(reorganization)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0e 및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 스트립을 드래그 앤 드롭하거나, 배열 제어부를 활성화함으로써). 이와 같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A)의 포커스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6A)의 두 번째 인스턴스는, 속성 스트립(1002A) 위에 속성 스트립(1004A)을 위치시킴으로써 속성 스트립의 배열이 변경되는 경우에 발생된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6A)의 두 번째 인스턴스에서는, 일차적으로 셔츠 색상을 기초로 하고 두 번째로 셔츠의 소매 길이를 기초로 하는 그룹이 형성된다.
짧은 리프 밸류 바(1008A)를 선택하면, 데이터를 식별 및 리트리빙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질의(1010A)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질의(1010A)는 다음과 같다: SELECT * FROM MensShirtStyles WHERE Color = 'Blue' AND SleeveLength = 'Short'. 질의(1010A)를 제출하면, 기록 시스템이 짧은 소매의 청색 셔츠와 연관되는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0b는 속성 스트립(1002B, 1004B)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B)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는, 짧은 리프 밸류 바(1008B) 및 긴 리프 밸류 바(1006B)가 속성 스트립(1004B) 내에서 선택되었다. 짧은 리프 밸류 바(1008B) 및 긴 리프 밸류 바(1006B)를 선택하면, 질의(1010B)가 생성될 수 있다. 질의(1010B)는 다음과 같다: SELECT * FROM MensShirtStyles WHERE (Color = 'Blue' AND SleeveLength = 'Short') OR (Color = 'Red' AND SleeveLength = 'Long'). 상이한 내부 밸류 바(1012B, 1014B)와 연관되는 리프 밸류 바가 선택되기 때문에, 질의(1010B)는 적색이면서 긴 소매의 셔츠뿐만 아니라 청색이면서 짧은 소매의 셔츠와 연관되는 데이터를 식별 및 리트리빙할 수 있다.
도 10c는 속성 스트립(1002C, 1004C)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C)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는, 녹색 내부 밸류 바(1005C)가 선택되었다(예를 들면, 커서(1006C)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밸류 바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내부 밸류 바(1005C) 바로 아래에 위치한 그룹, 또는 그 아래의 임의의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내부 밸류 바(1005C)의 선택에 의해, 긴 리프 밸류 바(1012C) 및 짧은 리프 밸류 바(1014C)를 포함하는 클러스터(1008C)가 선택된다. 클러스터(1008C)의 선택에 의해, 다음과 같은 질의(1010C)가 생성된다: SELECT * FROM MensShirtStyles WHERE Color = 'Green' AND (SleeveLength = 'Long' OR SleeveLength = 'Short'). 이러한 질의는 짧은 소매를 갖는 녹색 셔츠뿐만 아니라 긴 소매를 갖는 녹색 셔츠와 연관되는 데이터를 식별 및 리트리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질의(1010C)는 다음 질의와 동일하게 데이터를 식별 및 리트리빙할 것이다: SELECT * FROM MensShirtStyles WHERE Color = 'Green' (즉, 모든 녹색 셔츠).
도 10d는 속성 스트립(1002D, 1004D)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D)를 나타낸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D)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몇몇 시각적 개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D) 내의 주어진 그룹은 하나 이상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심볼은 이들이 위치하는 그룹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 긴 내부 밸류 바(1006D)는 긴 소매 셔츠를 나타내는 이미지(1010D)를 포함하고, 한편 짧은 내부 밸류 바(1008D)는 짧은 소매 셔츠를 나타내는 이미지(1012D)를 포함한다. 이미지(1010D, 1012D)에 의해, 사용자는 주어진 그룹이 나타내는 속성값을 보다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D)는 또한, 1016D와 같이 개선된 경계표시(deline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선된 경계표시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D) 내에, 외부에서 시작되지만 리프 밸류 바 내로 교차하는 볼드형(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강조된) 수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D)의 하부에 있는 그룹). 이러한 개선된 경계표시는 (예를 들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D)를 위에서 아래로 가로지를 때) 데이터를 통해 상이한 "경로"를 시각적으로 더 부각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D)는 또한 주어진 밸류 바에 관해 개선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룹(예컨대 녹색 리프 밸류 바(1022D)) 위에서 커서(1018D)를 호버링하는 경우, 그룹에 관한 정보가 정보 박스(1020D)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정보 박스(1020D)는 미리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예를 들면, 2초 이상) 주어진 그룹 위에서 커서(1018D)가 호버링한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정보 박스(1020D)(또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반드시 커서(1018D) 근방에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다른 위치 및 지점에 나타나거나 기록될 수 있다.
도 10e는 속성 스트립(1002E, 1004E)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를 나타낸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배열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는 순서정렬 제어부(1006E)를 포함하고, 이러한 순서정렬 제어부(1006E)는 활성화될 때 속성 스트립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 내에서 상하로 시프트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서정렬 제어부(1006E)와 연관되는 "아래방향 화살표"를 활성화하면, 속성 스트립(1002E)은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 내에서 아래의 한 위치로 시프트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에 의해 속성 스트립(1004E)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 내의 제1 위치를 점유하고, 속성 스트립(1002E)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 내의 제2 위치를 점유하게 됨).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는 또한 삭제 제어부(1008E) 및 부가 제어부(1010E)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부는 활성화될 때 속성 스트립이 각각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로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에 부가되도록 한다. 속성 스트립의 부가 또는 제거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E)가 새로운 그룹 및 이와 연관된 값을 자동으로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0f는 속성 스트립(1002F, 1004F)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F)를 나타낸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F)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몇몇 배열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F)는 드래그-앤-드롭 순서정렬 제어부(1006F)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어부는 드래그 및 드롭될 때, 속성 스트립으로 하여금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F) 내에서 상하로 시프트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스트립(1002F)과 연관되는 드래그-앤-드롭 순서정렬 제어부(1006F)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F) 내에서 아래의 한 위치로 속성 스트립(1002F)을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에 의해 속성 스트립(1004F)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F) 내의 제1 위치를 점유하고, 속성 스트립(1002F)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F) 내의 제2 위치를 점유하게 됨).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서, 섹션, 그룹 및/또는 밸류 바는 단지 존재하는 속성 값에 대해 생성되고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어있는 그룹은 필터 스트립 또는 속성 스트립 내에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그룹의 속성값을 갖는 어떠한 데이터 오브젝트가 데이터에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예컨대, 각각의 가능한 속성값에 대하여 하나씩) 데이터 그룹의 정적인 디스플레이를 요하는 고정형 분류(taxonomy) 기술과 대조적이다. 필터 스트립 또는 속성 스트립과 관련하여 비어있는 세트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유리하게도, 사용자가 어떠한 결과도 생성하지 못하는 질의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한 임의의 데이터 배열(예컨대, 필터 스트립 및/또는 속성 스트립)은 데이터 세트 내로 데이터를 도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에 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도 10f를 예로 들면, 청색 긴 소매 셔츠와 연관된 모든 데이터가 데이터 세트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청색 리프 밸류 바(1008F)는 속성 스트립(1004F)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나머지 리프 밸류 바는 이에 따라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각각의 비율에 따라). 데이터 세트로 새로운 데이터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또한 전적으로 새로운 밸류 바가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에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스트립(1004F) 내에 나타나지 않은 속성값을 포함하는 새로운 데이터가 도입되는 경우, 새로운 밸류 바가 이러한 속성 스트립에 나타날 수 있다.
도 10g는 속성 스트립(1002G, 1004G)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G)를 나타낸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G)는 또한, 사용자가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G)와 연관된 줌 레벨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는 줌인 제어부(1008G), 줌아웃 제어부(1012G), 및 줌 레벨 표시부(1010G)(예를 들면, 100%의 줌 레벨을 나타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줌인 제어부(1008G) 및 줌아웃 제어부(1012G)를 활성화하거나, 줌 레벨 표시부(1010G)에 줌 레벨 수치를 입력함으로써,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G)의 줌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줌 레벨은 150%로 변경되고(줌 레벨 표시부(1010G)의 두 번째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결과적으로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G)의 줌처리된 뷰(1014G)를 생성한다. 스크롤 제어부(1016G)의 활성화에 의해, 사용자가 수평으로(또는 줌 레벨에 따라 수직으로) 스크롤할 수 있게 하여,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G)의 원하는 측면을 보여주게 된다. 줌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G)의 특정 부분을 보다 정확히 볼 수 있게 된다(예를 들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1000G)의 줌처리되지 않은 뷰에서는 많은 작은 셀로 디스플레이될 많은 수의 셀을 특정 속성 스트립이 포함할 때)
도 11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1100)이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이 수신된다(1102). 몇몇 실시예에서 이러한 입력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둘 이상의 속성을 식별하는 정보, 및 식별된 속성에 대해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계층 데이터 구조가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다(1104). 몇몇 실시예에서, 계층 데이터 구조는 식별된 속성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계층구조 레벨을 갖는 계층구조를 포함하고,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는 식별된 속성에 대해 나타낸 순서에 대응한다.
데이터 저장소 내의 데이터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계층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기 위해 처리된다(1106). 식별된 속성에 대하여,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복수의 속성값이 결정된다(1108).
제1 속성의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이, 식별된 속성의 제1 속성에 대응하는 계층 데이터 구조의 제1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할당된다(1110). 제2 속성의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이, 식별된 속성의 제2 속성에 대응하는 계층 데이터 구조의 제2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할당된다(1112).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계층구조 레벨의 각각의 복수의 노드에는 또한,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되는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이 할당된다. 인터페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여기에는 계층구조에 따라 각 노드와 연관되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포함된다(1114).
전술한 기술은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배열을 통해 모든 "경로"가 동시에 보이게 된다(예를 들어,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는 그래픽 데이터 선택기에 포함되는 속성에 대하여 데이터에 존재하는 속성값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보여줄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의 복수의 별개 서브세트가 동시에 선택될 수 있다(예컨대, 둘 이상의 경로의 리프 밸류 바가 동시에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ND 및 OR 논리 연산자를 제공할 필요 없이 복잡한 질의가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밸류 바의 비례적인 디스플레이가 이용되는 경우, 질의가 생성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양 및 조합에 관한 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데이터 필터링을 위한 기술은,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분산형, 클라이언트/서버, 또는 그리드와 같은 다양한 아키텍쳐를 가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되거나 프로그램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형성하고,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를 포함),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또는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 또는 포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계산 그래프의 설계 및 구성에 관한 기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다 큰 프로그램의 하나 이상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래프의 노드 및 요소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 또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모델에 부합하는 기타 다른 조직화된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CD-ROM과 같이, 범용 또는 전용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저장 매체 상에 제공되거나,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컴퓨터의 저장 매체로 네트워크의 통신 매체를 통해 전달(전파된 신호로 인코딩)될 수 있다. 모든 기능은 전용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거나, 보조처리기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되는 계산의 서로 상이한 부분이 서로 상이한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 또는 디바이스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원에서 논의된 프로시저를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동작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범용 또는 전용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디바이스(예컨대,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또는 매체, 또는 자기 또는 광학 매체)상에 저장되거나 이러한 디바이스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구현되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원에서 논의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한 미리규정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가 논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단계 중 일부는 순서에 독립적이고, 따라서 위에서 논의한 것과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많은 기능적인 단계는 전체적인 처리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기타 다른 실시예도 이어지는 청구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0)

  1.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입력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둘 이상의 속성을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식별된 속성에 대하여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계층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는 상기 식별된 속성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계층구조 레벨을 갖는 계층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는 상기 식별된 속성에 대해 나타낸 순서에 대응하는, 저장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처리 단계는, (i) 상기 식별된 속성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복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단계, (ii) 상기 식별된 속성 중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의 제1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1 속성의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식별된 속성 중 제2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의 제2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2 속성의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은 또한,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받는, 처리 단계;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계층구조에 따라 각각의 상기 노드와 연관되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의 상기 노드 중 하나 이상의 노드의 선택을 포함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질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노드는, 상기 계층구조에서 이러한 노드에 할당되는 속성값의 조합으로 데이터 요소를 나타내고, 상기 질의에 의해 리턴되는 데이터 요소의 세트는, 개별적인 노드 각각으로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 요소의 합(union)에 대응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식별된 속성 중 각각의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계층 데이터 구조의 각각의 연속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각각의 속성의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연속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은 또한,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계층구조 레벨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모든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받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제1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상기 제1 속성의 복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속성값 중 각각의 특정 속성값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속성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요소의 각각의 서브세트 내의 데이터 요소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제1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1 속성의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할당하고,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계층구조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속성값을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하여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를 기초로 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립은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섹션은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 중 대응하는 수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1 스트립 및 제2 스트립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스트립을 부가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스트립은 각각 부가적인 속성과 연관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제2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상기 제2 속성의 복수의 제2 속성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속성값 중 각각의 특정 속성값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속성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요소의 각각의 서브세트 내의 데이터 요소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속성을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하여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를 기초로 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속성에 대응하는 제2 스트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립은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 및 제2 스트립의 각각의 섹션은 상기 데이터 요소의 상이한 각각의 그룹을 나타내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에 대한 상기 제1 스트립의 순서 정렬은 상기 데이터 요소가 그룹핑(grouping)되는 순서를 특정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소가 그룹핑되는 순서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순서 정렬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의 선택을 포함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질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질의는 상기 복수의 섹션 중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의 각각의 데이터 요소와 연관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섹션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선택해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질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섹션 중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은 상기 제2 스트립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립의 섹션은 상기 제1 스트립의 복수의 섹션 중 하나의 섹션으로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 요소의 서브세트를 나타내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는 상기 순서 정렬에서 상기 제2 스트립에 선행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립에서의 하나 이상의 섹션에 기초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섹션 중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은 상기 제2 스트립의 2개의 섹션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는 상기 제2 스트립의 상기 2개의 섹션 각각의 합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를 리트리빙(retrieve)하기 위한 식(expression)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의 상기 복수의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스트립의 상기 복수의 섹션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이 선택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은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지 않는 상기 제1 속성값에 대해 개별적인 섹션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1. 제9항에 있어서,
    데이터 요소가 상기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부가되거나 제거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스트립 또는 섹션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스트립 또는 섹션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 또는 상기 제2 스트립의 복수의 섹션 중 특정 섹션 위에서 커서가 호버링(hovering)하고 있음을 식별하고, 이러한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섹션과 관련되는 상기 데이터 요소와 연관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되는 모든 섹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트립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 또는 상기 제2 스트립의 복수의 섹션 중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복수의 속성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28.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는: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제1 속성을 결정하는 것;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상기 제1 속성의 복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것;
    상기 복수의 속성값 중 각각의 특정 속성값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속성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요소의 각각의 서브세트 내의 데이터 요소의 수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제1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1 속성의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할당하고,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계층구조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하는 것; 및
    상기 제1 속성값을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하여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를 기초로 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는: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제1 속성을 결정하는 것;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상기 제1 속성의 복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것;
    상기 복수의 속성값 중 각각의 특정 속성값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속성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요소의 각각의 서브세트 내의 데이터 요소의 수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제1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1 속성의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할당하고,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계층구조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하는 것; 및
    상기 제1 속성값을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하여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를 기초로 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
  30.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저장소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는: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요소의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제1 속성을 결정하는 것;
    상기 데이터 요소 내에 나타나는 상기 제1 속성의 복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것;
    상기 복수의 속성값 중 각각의 특정 속성값에 대하여, 상기 특정 속성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요소의 각각의 서브세트 내의 데이터 요소의 수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제1 계층구조 레벨의 복수의 노드 각각에, 상기 제1 속성의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할당하고, 대응하는 속성에 대하여,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의 계층구조의 순서에 따라, 선행하는 계층구조 레벨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할당된 상기 결정된 속성값 중 각각의 속성값을 할당하는 것; 및
    상기 제1 속성값을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하여 데이터 요소의 상기 결정된 수를 기초로 하는 정보를 상기 조직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37007698A 2010-09-10 2011-09-12 속성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선택의 관리 KR101826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174410P 2010-09-10 2010-09-10
US61/381,744 2010-09-10
PCT/US2011/051243 WO2012034128A1 (en) 2010-09-10 2011-09-12 Managing data selection based on attribu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565A true KR20130108565A (ko) 2013-10-04
KR101826099B1 KR101826099B1 (ko) 2018-03-22

Family

ID=4467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698A KR101826099B1 (ko) 2010-09-10 2011-09-12 속성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선택의 관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23824B2 (ko)
EP (1) EP2614451B1 (ko)
JP (1) JP5881708B2 (ko)
KR (1) KR101826099B1 (ko)
CN (1) CN103098053B (ko)
AU (1) AU2011298983B2 (ko)
CA (2) CA2806917C (ko)
WO (1) WO20120341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703A (ko) * 2014-05-27 2016-12-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클러스터링 저장 방법 및 장치
KR20210104019A (ko) 2018-12-14 2021-08-2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점착제 수지 조성물, 점착제 수지 경화물,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757A (ko) 2009-02-13 2015-04-08 아브 이니티오 테크놀로지 엘엘시 데이터 저장 시스템과의 통신
CA2782414C (en) 2009-12-14 2021-08-03 Ab Initio Technology Llc Specifying user interface elements
WO2013103615A1 (en) 2011-12-31 2013-07-11 Quest Diagnostics Visual presentation of multi-dimensional data sets
CN102929987B (zh) * 2012-10-19 2016-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标识组合的搜索方法及装置
US9811233B2 (en) 2013-02-12 2017-11-07 Ab Initio Technology Llc Building applications for configuring processes
US8739072B1 (en) * 2013-03-07 2014-05-27 Visual BI Solutions Inc. Multi-selection widget for selecting multiple time periods at multiple levels within a time dimension hierarchy
US10156961B1 (en) * 2013-09-24 2018-12-18 EMC IP Holding Company LLC Dynamically building a visualization filter
US10579602B2 (en) * 2013-10-07 2020-03-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Attribute redundancy removal
CN103686397B (zh) * 2013-11-28 2017-04-19 张翼翔 一种视频显示终端的界面呈现物品属性配置设备及方法
CN103995905A (zh) * 2014-06-13 2014-08-20 重庆大学 一种电子商务内容多维分类、导航及跳转方法
US9965371B2 (en) * 2015-07-31 2018-05-08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Automatically determining and indicating system positions of devices in a hierarchical bus networked system
JP2019522279A (ja) * 2016-06-17 2019-08-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データによって案内されるフィルタリング
US11423083B2 (en) 2017-10-27 2022-08-23 Ab Initio Technology Llc Transforming a specification into a persistent computer program
CN110751440B (zh) * 2019-10-21 2023-11-24 中国民航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餐食库存分配方法及系统
CN114564626B (zh) * 2021-12-23 2023-04-2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一种过滤电子侦察专项态势的方法及存储介质
CN114911387B (zh) * 2022-01-13 2023-07-28 北京网界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584A (ja) * 1996-10-18 1998-06-30 Nippon Steel Corp 文書検索システム
US6334131B2 (en) * 1998-08-29 2001-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ataloging, filtering, and relevance ranking frame-based hierarchical information structures
US6301579B1 (en) * 1998-10-20 2001-10-09 Silicon Graphics,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sualizing a data structure
JP4794709B2 (ja) * 1999-03-01 2011-10-19 新日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496842B1 (en) * 1999-05-28 2002-12-17 Survol Interactive Technologies Navigating heirarchically organized information
US7181438B1 (en) * 1999-07-21 2007-02-20 Alberti Anemometer, Llc Database access system
JP3211956B2 (ja) * 1999-08-31 2001-09-25 勲 清水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JP4098986B2 (ja) 2002-01-21 2008-06-11 株式会社ビーコンインフォメ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集合表示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657499B2 (en) * 2003-04-07 2010-02-02 Belarc, Inc. Grouping of computers in a computer information database system
US7295852B1 (en) * 2003-05-01 2007-11-13 Palm, Inc. Automated telephone 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US8020110B2 (en) * 2005-05-26 2011-09-13 Weisermazars Llp Methods for defining queries, generating query results and displaying same
JP4843428B2 (ja) * 2005-09-16 2011-12-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70255833A1 (en) * 2006-04-27 2007-11-01 Infosys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resources in grid computing
US20080027908A1 (en) 2006-07-24 2008-01-31 Norbert Durbeck Method for requesting and processing metadata which is contained in a data stream and associated device
US8862980B2 (en) * 2007-06-29 2014-10-14 Business Objects Software Limited Guided graphical navigation through multidimensional databases
US8489622B2 (en) * 2008-12-12 2013-07-16 Sas Institute Inc.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ginated search results from a database
KR20150038757A (ko) * 2009-02-13 2015-04-08 아브 이니티오 테크놀로지 엘엘시 데이터 저장 시스템과의 통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703A (ko) * 2014-05-27 2016-12-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클러스터링 저장 방법 및 장치
US10817258B2 (en) 2014-05-27 2020-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lustering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KR20210104019A (ko) 2018-12-14 2021-08-2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점착제 수지 조성물, 점착제 수지 경화물,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81708B2 (ja) 2016-03-09
CA3052470A1 (en) 2012-03-15
KR101826099B1 (ko) 2018-03-22
WO2012034128A1 (en) 2012-03-15
EP2614451A1 (en) 2013-07-17
CN103098053B (zh) 2017-06-13
AU2011298983B2 (en) 2016-03-10
EP2614451B1 (en) 2023-06-07
CA3052470C (en) 2021-06-15
US9323824B2 (en) 2016-04-26
JP2013537333A (ja) 2013-09-30
CA2806917A1 (en) 2012-03-15
US20120089633A1 (en) 2012-04-12
CN103098053A (zh) 2013-05-08
AU2011298983A1 (en) 2013-02-07
CA2806917C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099B1 (ko) 속성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선택의 관리
US10223338B2 (en) Visual designer for editing large schemaless XML file
CA2766652C (en) Expandable and collapsible arrays of documents
US20210382604A1 (en) Highlighting Data Marks in Popup Secondary Data Visualizations According to Selected Data Values from Primary Data Visualizations
CA2736493C (en) Displaying menu for accessing hierarchial content data including caching multiple menu states
JP2710547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002357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rag-And-Drop Graph Building With Live Feedback
JP6018045B2 (ja) 選択したデータの一時的な書式設定とグラフ化
US98810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to manage query results
US8872849B2 (en) Relational rendering of multi-faceted data
IL248314A (en) A system,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data structures through a graphical and interactive interface
US20090198725A1 (en) Visualizing tree structures with different edge lengths
US20070250295A1 (en) Multidimensional model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JP5041817B2 (ja) 空間/表データ表示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984177A (zh) 一种基于vue的图表配置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0884574B1 (en) Highlighting data marks in popup secondary data visualizations according to selected data values from primary data visualizations
Maletic et al. MosaiCode: visualizing large scale software: A tool demonstration
US82591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parameter effective data sets
US8941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ered overview in visualization of large enterprise it environment
US20200327139A1 (en) Data-guided filtering
Kristiansen A Visual Language for Nested Visualization Design
Shearer Omni: Visualizing and editing large-scale volume segmentations of neuronal t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