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535A - 화상 정보처리 서버 - Google Patents

화상 정보처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535A
KR20130108535A KR20137004159A KR20137004159A KR20130108535A KR 20130108535 A KR20130108535 A KR 20130108535A KR 20137004159 A KR20137004159 A KR 20137004159A KR 20137004159 A KR20137004159 A KR 20137004159A KR 20130108535 A KR20130108535 A KR 2013010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server
terminal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히코 나오노
Original Assignee
리플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플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플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82Tablespace storage structures;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06F21/6254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by anonymising data, e.g. decorrelating personal data from the owner's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1Device related settings, e.g. IP address, Nam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6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촬상 단말로부터 화상 정보군과 단말 ID를 수신해,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제1 화상을 특정하는 제1 ID와, 단말 ID와 제1 화상을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촬상 단말로부터 보내진 화상 정보군 중 다른 하나의 제2 화상을 특정하는 제2 ID와, 단말 ID와 제2 화상을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해, 정보 단말로부터 이용자 ID와 단말 ID를 수신해, 이용자 ID와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이용자 ID를 키로서 제2 기억을 검색해 단말 ID를 추출하고, 단말 ID를 키로서 제1 기억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제1 화상 및 제2 화상을 추출하고, 제1 요약 화상을 단말 ID 및 제1 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해, 제2 요약 화상을 단말 ID 및 제2 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해, 제1 요약 화상 및 제2 요약 화상을 정보 단말에 보내는 서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정보처리 서버{IMAGE IMFORMATION PROCESSING SERVER}
본 발명은, 촬상 단말, 정보 단말, 표시 단말과 서버가 제휴하여, 화상 정보의 정리, 기억, 프린트, 송부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촬상 단말, 정보 단말, 표시 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에 따라, 은염 필름 방식의 카메라가 주류였던 시기에 비해, 이용자 1인이 촬영하는 화상의 수가 극적으로 증가했다. 이것은, 화상 촬영 1매 당 비용이 낮은 것이 이유이다. 또한 최근, 반도체 기술의 미세화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플래쉬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의 기억 용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도, 촬영되는 화상의 수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카메라 이용자는, 비용이나 기억 용량의 제약에 신경 쓰지 않고, 대량의 화상을 촬영하고 사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양질의 화상만을 선택하여 남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 카메라 이외에 휴대형 정보 단말, 예를 들어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등에 촬상 소자가 탑재되게 되었다. 이것에 의해 휴대형 정보 단말을 이용해 화상 촬영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 단말의 상당수는 인터넷과 접속이 가능하여, 촬영한 화상을 단말 내의 기억 수단에 기억할 뿐 아니라, 이것을 인터넷을 통해서 서버에 전송하여 촬영한 화상을 다양한 웹 서비스에서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 전화기의 대부분이 촬상 기능을 갖는다. 카메라를 상시 휴대하는 사람은 많지 않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휴대 전화기를 상시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촬영을 오로지 카메라 전용기에 의지했었던 시기에 비해, 더욱 더 대량의 화상이 촬영되게 되었다. 휴대 전화기의 대부분이 인터넷과의 접속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로 촬영된 화상의 상당수는 인터넷상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425175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 제3664203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공개 2003-283900호 공보 특허 문헌 4  :  특허공개 2010-178360호 공보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 기억 장치의 용량 증대, 다양한 휴대 단말로의 촬상 기능의 탑재, 나아가 이들의 인터넷으로의 접속 등에 의해, 이용자 1인이 촬영하는 화상의 수가 극적으로 증가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다양한 이점을 누리고 있다. 한편, 이용자 1인이 복수의 촬상 단말을 사용해 대량의 화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한 화상의 관리나 유지가 곤란하게 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량의 화상의 관리나 유지와 관련된 촬영자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해결해야 할 문제는 이하 7가지다.
제1은, 촬상 단말로부터 화상 정보의 관리나 유지를 수행하는 정보 단말로의 카피가 번잡하다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나 정보 단말로 촬영된 화상 정보는,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기억 매체로는, SD 메모리 카드, 컴팩트플래쉬(등록상표) 카드 등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이용자는 화상의 촬영 후, 이러한 기억 매체를 촬상 단말로부터 제거하여, 화상의 관리나 유지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 단말과 접속한 다음, 이 정보 단말에 카피한다. 화상의 관리나 유지를 수행하는 정보 단말로는, 퍼스널 컴퓨터가 이용되는 일이 많다. 일반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대량의 화상 정보를 기억 매체로부터 퍼스널 컴퓨터 등에 카피하는 조작은 번잡하다.
제2는, 1인 이용자가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의 복수의 촬상 단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상의 소재를 일원(一元) 관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이다. 복수의 촬상 단말을 갖는 이용자의 화상 정보는, 각각의 촬상 단말에 부수(附隨)하는 기억 매체에 분산하여 기억된다. 촬영한 화상 정보를 일원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억 매체의 화상 정보를, 화상 정보의 관리나 유지를 위한 퍼스널 컴퓨터 등에, 순차 카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작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촬상 단말마다 화상 정보의 포맷이 다른 경우에는, 화상 정보의 포맷 변환을 한 다음,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일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역시 화상 정보가 대량인 경우에는, 이러한 처리는 곤란하다.
제3은, 1인 이용자가 화상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이용 방법마다 화상 정보를 카피하고, 또한 화상 포맷의 변환을 실행할 필요가 있는 점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로 촬영한 정보를, 인터넷상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업로드하는 경우, 이용자는 우선 카메라의 기억 매체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에 화상 정보를 카피하고, 또한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해상도나 화상 포맷의 변환을 실행하고 나서 SNS 서버에 업로드한다고 하는 복잡한 처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화상 정보를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기억 매체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에 화상 정보를 카피하고, 또한 그 화상 정보를 디스크에 카피하여 프린트 서비스 사업자에게 반입한다. 최근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 포토 프레임 등의 화상 열람용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역시 화상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를 경유해 다른 기억 매체에 카피한 후, 기억 매체를 화상 열람용 기기에 접속하는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 특히 복수의 촬상 단말로 촬영한 화상을 다양한 용도에 사용하는 것으로, 번잡함은 더욱 늘어나 이제는 촬영한 모든 화상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이용자는 많지 않다고 하는 상황이다.
제4는, 백업이 곤란하다는 점이다. 이용자가 복수의 촬상 단말로 대량의 화상을 촬영하는데 더하여, 최근 촬상 소자의 성능 향상에 수반해 화상 1매 당 기억 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승효과에 의해, 이용자 1인이 촬영하는 화상 정보의 총 용량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모든 화상의 총 용량은, 메모리 카드, 보존용 디스크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의 기억 장치도 웃도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촬영한 화상 정보를 잃지 않기 위해 백업하는 것은 더욱 곤란하게 되고 있다. 백업해야 할 화상 정보의 용량이 통상의 기억 매체의 용량을 뛰어넘는 경우, 백업 수단으로서 HDD(Hard Disk Drive) 등의 대용량 외부 기억 장치를 이용하거나, 혹은 인터넷으로 접속 가능한 서버에 의한 백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비용이 들 뿐 아니라,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걸린다.
상기 제1 부터 제3 문제와 제4 문제는 표리 관계에 있다. 대량으로 촬영한 화상의 정리가 곤란하기 때문에, 정리할 수 없는 채 대부분의 화상 정보를 유지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기억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정보를 모두 대용량의 기억 수단에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부터, 더욱 화상 정보의 정리가 곤란하게 되어, 점점 정리되지 않는 화상 정보가 증가한다. 많은 이용자는, 이러한 악순환에 빠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터넷을 사용해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휴대 전화나 퍼스널 컴퓨터는 이미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것이 많다. 또한 카메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나, 나아가서는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기억 매체를, 직접 인터넷에 접속하는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또한, 촬영한 화상 정보를 촬상 단말의 메모리 카드에 기억할지, 직접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업로드 할지를 선택 또는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 제안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4).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을 활용한 시도에서는, 이하 제5부터 제7과 같은 문제가 새롭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인터넷을 활용한 화상 정보의 관리나 유지가 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상기 제1 부터 제4 문제의 해결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제5 문제는, 복수의 촬상 단말로 촬영되는 대량의 화상 정보를, Web 서버의 기억 장치로 일원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드는 점이다. 인터넷상의 서버로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서비스의 상당수는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상한 기억 용량 이상은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상한 기억 용량을 넘는 정보의 기억은 유료이다. 이러한 상한 기억 용량은, 대부분의 이용자가 모든 화상 정보의 일원적인 기억에 필요로 하는 기억 용량을 밑돌고 있다. 많은 이용자는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싫어하여,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부터 제4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제6 문제는, 프라이버시 유지의 문제가 있어, 편리성을 높일 수 없는 점이다. 이용자가 촬영하는 화상 정보를, Web 서버의 기억 장치로 일원 관리하려면, 적어도 그 Web 서비스의 제공자는, 각각의 이용자가 촬영한 화상 정보를 특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사진 기억 서비스는, 화상 정보의 인터넷상에서의 공개 또는 인터넷상의 지인에 의한 열람을 주로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정보를 소유하는 이용자가 바라지 않는 정보가, 인터넷상에서 개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복수의 촬상 단말로 촬영된 화상 정보에, 인터넷상에서 촬상 단말을 일의(一意)로 특정하는 정보나, 이용자를 일의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관련지어 두는 것으로, 각각의 화상 정보가 누구에 의해, 어느 촬상 단말로 촬영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하면, 화상 정보의 기억에 관련된 Web 서비스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화상 정보가 인터넷상에 공개될 가능성이 있는 정보인 이상, 촬상 단말이나 이용자에 관한 정보를, 화상 정보와 관련짓는 것이 어렵다.
제7 문제는, 인터넷상에는 수많은 화상의 기억, 공유, 송부와 관련되는 Web 서비스가 존재하고 있고, 1인 이용자가 촬영한 화상 정보가 다양한 Web 서비스에 산재하는 상황이 생기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1인 이용자는 수많은 Web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이용자는 주로 화상 정보의 백업을 위해 인터넷상의 스토리지 서비스 Z를 사용하고, 화상 정보의 프린트를 위해서 인터넷상의 프린트 서비스 U를 사용하고, 지인과의 화상 정보를 포함한 일기의 교환을 위해서 인터넷상의 서비스 V를 사용하고, 지인에게 화상 정보를 보내기 위해서 전자 메일을 사용한다고 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화상 관련 Web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1인 이용자가 촬영한 모든 화상이 인터넷상의 서버에 있다고 해도, 다양한 서비스에 분산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상기 제1부터 제3 문제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정리의 곤란함의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용자가 인터넷상의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촬상 단말로 촬영되고 또한 다양한 서버나 단말에 분산되어 기억된 화상 정보군을, 통일적으로 정리,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서버, 촬상 단말, 정보 단말, 표시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리, 관리 및 유지의 번잡함을 증가시키지 않고, 다양한 기억 매체에 분산시켜 화상 정보를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상에서 대량의 화상 정보를 기억할 때 드는 비용의 문제나, 백업의 곤란함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과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촬상 단말로부터 보내진 제1 화상 정보군 중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과 상기 제1 촬상 단말 ID과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1 화상 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2 화상 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화상 정보군이 촬영된 상기 제1 이유자의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정보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1 화상 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2 화상 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과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제1 스크럼블 PID 및 제2 스크럼블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2의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화상 정보군이 촬영된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제1 스크럼블 PID 및 제2 스크럼블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2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이,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촬상 단말 ID를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상기 제1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1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2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관련지어 제5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5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2의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의 표시 수단이, 수신한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이,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을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제1 촬상 단말 ID를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상기 제1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에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1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에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2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관련지어 제5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5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2의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의 표시 수단이, 수신한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다양한 촬상 단말로 촬영되고 또한 서버, 정보 단말을 불문하고 다양한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정보를, 인터넷상의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통해서 통일적으로 정리,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서버, 정보 단말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리, 관리 및 유지의 번잡함을 증가시키지 않고, 다양한 기억 매체에 분산시켜 화상 정보를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상에서 대량의 화상 정보를 기억할 때 드는 비용의 문제나, 백업의 곤란함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서버 X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서버 Y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서버 Y 및 서버 U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서버 V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촬상 단말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단말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표시 단말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단말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이용자 등록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이용자 정보 테이블의 일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요약 화상군의 일람 표시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에 의해 갱신된 일람 표시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 Y가 갖는 스토리지 서비스 테이블의 일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 Y가 제공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 Z가 제공하는 인증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 X가 제공하는 갱신된 일람 표시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시퀀스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프린트 서비스에 있어서의 인증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 X가 제공하는 표시 단말 ID 취득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 Y가 갖는 Web 서비스 테이블의 일례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인증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 V가 갖는 이용자 테이블의 일례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 송부처 선택 화면의 일례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일례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현재 고려될 수 있는 최선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되고, 단지 발명의 일반 원리를 예시하는 목적으로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인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인 화상 정보 처리 시스템은,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서버(100), 브릿지 서비스 Y의 서버(120),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서버(140), 프린트 서비스 U의 서버(150), Web 서비스 V의 서버(160), 스토리지 서비스 W의 서버(137), 프린트 서비스 T의 서버(138), Web 서비스 S의 서버(139), 이용자 A의 촬상 단말(170), 이용자 A의 제2 촬상 단말(115), 이용자 C의 촬상 단말(116), 이용자 A의 정보 단말(180), 이용자 A의 표시 단말(190), 이용자 B의 정보 단말(195) 및 이용자 C의 정보 단말(117)로 구성되고, 이들 모든 서버, 정보 단말 및 표시 단말이 네트워크(19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 및 부수하는 도표에서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서버(100)를 서버 X, 브릿지 서비스 Y의 서버(120)를 서버 Y,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서버(140)를 서버 Z, 프린트 서비스 U(150)의 서버를 서버 U, Web 서비스 V의 서버(160)를 서버 V, 또한 스토리지 서비스 W의 서버(137)를 서버 W, 프린트 서비스 U의 서버(138), Web 서비스 S의 서버(139)를 서버 S로, 각각 약기하는 일이 있다. 또한, 이용자 A의 촬상 단말(170)을 촬상 단말 A, 이용자 A의 정보 단말(180)을 정보 단말 A, 이용자의 표시 단말(190)을 표시 단말 A, 또한 이용자 B의 표시 단말(195)를 정보 단말 B로 각각 약기하는 일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화상은, 정지 화면이라도 동영상이라도 무방하다.
도 2는, 서버 X(100)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서버 X는, 송수신 수단(101),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 이용자 정보 테이블(105),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 인증 수단(104), HTML 생성 수단(106), 요약 화상 생성 수단(107), 검색 수단(108) 및 화상 송부 URL 생성 수단(111)을 갖는다.
도 3은, 서버 Y(120)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서버 Y는, 송수신 수단(121), 기억 수단(122), SPID 테이블(123), 스토리지 서비스 테이블(124), Web 서비스 테이블(125), 송부처 일시 기억 영역(126), 검색 수단(131), SPID 생성 수단(133) 및 HTML 생성 수단(134)을 갖는다.
도 4A는, 서버 Z(140)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서버 Z는, 송수신 수단(141), HTML 생성 수단(142), 인증 수단(143),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 검색 수단(145), 이용자 정보 테이블(146)을 갖는다. 도 4B는, 서버 U(150)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서버 U는, 송수신 수단(151), HTML 생성 수단(152), 인증 수단(153), 화상 정보 기억 수단(154), 검색 수단(155) 및 이용자 정보 기억 수단(156)을 갖는다. 또한, 서버 U(150)는, 네트워크(119)를 통해서 인쇄 장치(157)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119)는, 네트워크(199)와 동일한 네트워크여도, 다른 네트워크여도 무방하다.
도 5는, 서버 V(160)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서버 V는, 송수신 수단(161), HTML 생성 수단(162), 검색 수단(163), 이용자 테이블(164) 및 인증 수단(168)을 갖는다.
도 6은, 촬상 단말 A(170)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촬상 단말 A는, 송수신 수단(171), 촬상 수단(172), 화상 기억 수단(173), CID 기억 수단(174) 및 입력 수단(175)을 갖는다. 촬상 단말 A는, 송수신 수단(171)을 구비해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7은, 정보 단말 A(180)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정보 단말 A는, 송수신 수단(181), HTML 해석 수단(182), 표시 수단(183), 입력 수단(184), 화상 기억 수단(185) 및 검색 수단(186)을 갖는다.
도 8은, 표시 단말 A(190)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표시 단말 A는, 송수신 수단(191), HTML 해석 수단(192), 표시 수단(193), 입력 수단(194), 화상 기억 수단(149) 및 HID 기억 수단(148)을 갖는다.
도 9는, 정보 단말 B(195)의 개략 구성도의 일례이다. 정보 단말 B는, 송수신 수단(196), 메시지 해석 수단(197), 표시 수단(198), 입력 수단(158) 및 화상 기억 수단(159)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이용자 A의 제2 촬상 단말(115) 및 이용자 C의 촬상 단말의 개략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이용자 A의 촬상 단말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에 의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이용자 C의 정보 단말(117)의 개략 구성도는, 도 7에 도시한 이용자 A의 정보 단말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에 의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촬상 단말로 촬영되고, 촬상 단말의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 정보를 원 화상(源畵像)이라고 부른다. 또한, 임의의 원화상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화상을 그 원화상의 처리 화상이라고 한다. 임의의 원화상 또는 그것의 처리 화상 중에서, 2개의 화상을 비교했을 때, 정보량이 큰 화상을 실체 화상, 정보량이 작은 화상을 요약 화상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RAW 형식의 임의의 원화상을, 보다 정보가 작은 JPEG 형식(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으로 변환했을 때는, 원화상이 실체 화상, 이 원화상의 처리 화상이 요약 화상이다. 또한, 하나의 원화상으로부터 2개의 처리 화상이 생성되는 경우는, 정보량이 큰 처리 화상이 실체 화상, 정보량이 적은 처리 화상이 요약 화상이 된다. 실체 화상은, 촬상 단말의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 정보이면, 예를 들어 각 촬상 단말 고유의 소위 RAW 형식, JPEG 형식,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형식,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등 어떠한 화상 형식이어도 무방하다. 요약 화상도, 예를 들어 JPEG 형식, RAW 형식, PNG(Portable Network Graphic) 형식,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형식, GIF 형식 등, 어떠한 화상 형식이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3개의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먼저, 도 10, 도 14 및 도 16의 플로우도에 도시하는 처리에서, 이용자 A가 촬상 단말 A로 촬영한 실체 화상을, 서버 X, 정보 단말 A 및 서버 X에 분산시켜 기억한다. 이 때, 실체 화상의 기억 장소에 관계없이, 이용자 A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를 유일한 창구로 하여, 통일적으로 화상을 취급할 수 있다. 이 도 10, 도 14 및 도 16의 플로우도에서 도시하는 처리는, 3개의 실시 형태에 공통이며, 각각의 실시 형태의 처리는, 도 16의 스텝 S1613에 이어서 실행된다. 도 22의 플로우도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1에서는, 실체 화상의 기억 장소에 관계없이, 이용자 A가 서버 X를 창구로 하여, 프린트 서비스 U에서 선택한 화상의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도 24의 플로우도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체 화상의 기억 장소에 관계없이, 이용자 A가 서버 X를 창구로 하여, 선택한 화상을 표시 단말 A로 표시한다. 도 26의 플로우도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3에서는, 실체 화상의 기억 장소에 관계없이, 이용자 A가 Web 서비스 V에 있어서 지인인 이용자 B의 정보 단말에 선택한 화상을 보낸다.
먼저, 도 10의 플로우도를 이용해 본 발명의 설명을 개시한다. 이용자 A가 촬상 단말 A의 입력 수단(175)을 조작하는 것으로 촬상 수단(172)이 촬영하고, 촬영된 복수의 실체 화상군을 화상 기억 수단(173)에 기억한다. 이 때, 각각의 실체 화상에는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실체 화상군 중에서, 그 화상을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ID를 관련지은 상태로, 화상 기억 수단(173)에 기억한다(스텝 S1001). 본 명세서에서는,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실체 화상 중에서, 그 화상을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ID를 PID라고 부른다. 이 일례에서는, 이용자 A가 촬영한 각각의 실체 화상 전부에, 각각을 특정하기 위한 PID가 관련지어져 기억된다. 촬영 및 실체 화상 기억의 시점에서, 송수신 수단(171)은 네트워크(199)에 접속되어 있어도,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촬상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71)을 네트워크(199)에 접속한다(스텝 S1002). 송수신 수단(171)이 화상 기억 수단(173)에 기억된 실체 화상군을, 각각의 PID가 관련지어진 상태에서,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100)에 보낸다. 또한 이 때, 송수신 수단(171)은, 모든 촬상 단말 중에서 촬상 단말 A를 특정할 수 있는 ID를 각각의 실체 화상 및 PID와 관련지은 상태에서 서버 X(100)에 보낸다(스텝 S1003). 본 명세서에서는, 모든 촬상 단말 중에서, 임의의 촬상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ID를 CID라고 부른다. 또한, 촬상 단말 A의 CID를 CIDa로 한다. CIDa는, 촬상 단말 A의 CID 기억 수단(174)에 기억되어 있다.
이 일례는, 촬상 단말 A가 송수신 수단(171)을 갖고, 스텝 S1002에서 이것이 네트워크(199)와 접속된 일례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텝 S1002 및 S1003 대신에 이하의 처리 2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해도 무방하다. 첫 번째 방법은, 네트워크(199)를 통하지 않고, 촬상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71)에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을 직결하고, 화상 기억 수단(173)에 기억된 실체 화상군 및 각각의 실체 화상의 PID를, 정보 단말 A를 통해서 서버 X(100)에 보내는 방법이다. 2번째 방법은, 네트워크와의 송수신 수단을 갖지 않는 촬상 단말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이용자 A가 화상 기억 수단(173)을 촬상 단말 A(170)로부터 꺼낸 다음,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에 접속한다. 그 후, 정보 단말 A가 화상 기억 수단(173)으로부터 실체 화상을 추출하고, 또한 이들 실체 화상과 각각의 PID를 서버 X(100)에 보낸다. 이 2개의 방법과 같이, 촬상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73)에 기억된 실체 화상을, 정보 단말 A를 통해서 서버 X(100)에 보내는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촬상 단말 A(170) 또는 정보 단말 A(180)로부터, 서버 X(100)에 실체 화상군을 보낼 때는, 각각의 실체 화상에 PID를 관련지어 보냈다. 그러나, 촬상 단말 A 또는 정보 단말 A로부터 PID를 관련짓지 않고 실체 화상을 서버 X(100)에 보낸 후, 서버 X에서 PID를 생성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들 실체 화상군과 각각에 관련지어진 PID 및 CIDa를 수신하면, 이들을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한다. 즉, 각각의 실체 화상에는, 이것을 특정하는 PID 및 CIDa가 관련지어져,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된다(스텝 S1004).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는, 복수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1인의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가 복수의 촬상 단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이용자가 다른 촬상 단말로 촬영한 실체 화상이,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된다. 그러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된 모든 실체 화상에는, 각각 PID 및 CID가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된 모든 실체 화상은, PID와 CID의 조합이 부여되면, 일의로 특정할 수 있다.
다만 이 방법에 의하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운영자는,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된 실체 화상을, CIDa를 검색키로서 검색함으로써, 이용자 A가 촬영한 실체 화상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운영자가, 각 이용자가 촬영한 실체 화상을 검색할 수 없게 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방법이 이용된다.
우선,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CIDa와, 상기 스텝 S1003에서 촬상 단말 A에서 보내진 실체 화상에 관련지어진 PID군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브릿지 서버 Y(120)에 보낸다.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이들을 수신하면, SPID 생성 수단(133)이, 수신한 PID군의 각각과 CIDa를 조합해 불가역인 연산 F에 의해, 아래 식에서 스크럼블 PID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스크럼블 PID를 SPID라고 표기한다.
SPIDn=F(PIDn, CIDa)
여기서, 첨자 n는, 촬상 단말 A가 촬영한 실체 화상군 중에서, 각각의 실체 화상을 특정하는 번호이다. 또한 여기서, 이 연산 F는, x1≠x2 또는 y1≠y2의 경우에 F(x1, y1)≠F(x2, y2)를 만족한다. 이 성질에 의해, SPID는, 일시 실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실체 화상군 중에서, 각각의 실체 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ID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된 SPID군은, 서버 Y의 기억 수단(122)에 있는 SPID 테이블에 CIDa와 관련지어져 기억된다. 송수신 수단(121)은, 생성된 SPID군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에 보낸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SPID군을 수신하면, 스텝 S1003에서 촬상 단말 A로부터 보내진 실체 화상의 각각에, PID의 대신에 SPID를 관련지은 상태에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한다(스텝 S1004). F는 불가역인 연산이므로,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운영자는, CIDa로부터 SPID를 도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운영자는, CIDa로부터, 이용자 A가 촬영한 실체 화상을 검색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이용자 A가 정보 단말 A(180)를 사용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 등록을 수행한다. 정보 단말 A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형 정보 단말기, 카메라, 음악 재생 단말 등, 어떠한 정보 단말이라도 무방하다. 정보 단말 A는 촬상 기능을 구비한 정보 단말이라도 무방하다. 이용자 A는, 입력 수단(184)을 조작해, 서버 X(100)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정보 단말 A에 입력한다. 서버 X(100)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는 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81)이 이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에 보낸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 정보를 수신하면, HTML 생성 수단(106)이 이용자 정보 등록 화면 또는 인증 화면의 HTML 코드를 생성한다. 송수신 수단(101)은, 이 HTML 코드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180)에 보낸다. 송수신 수단(181)이 이 HTML 코드를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이것을 해석해, 이것을 표시 수단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이용자 A가 입력 수단(184)를 사용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만약 상기 HTML 코드가 인증 화면용인 경우에는, 이용자 A가 입력 수단(184)을 사용해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하에서는, 이용자 등록의 경우로 설명한다.
도 11에, 이용자 등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시 수단(183)은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 등록 화면 윈도우(1101)를 갖는다. 또한 윈도우(1101)는, 이것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1102), 이용자 ID입력부(1111), 패스워드 입력부(1112), 카메라 ID1 입력부(1121), 카메라 ID2 입력부(1122), 카메라 ID3 입력부(1123) 및 이용자 등록 버튼(1130)을 갖는다. 여기서 이용자 ID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 중에서, 각 이용자를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ID이다. 카메라 ID는 몇 개 입력할 수 있어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에 있어서의 이용자 ID를 UIDx로 나타낸다. 또한, 이용자 A의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에 있어서의 UID를 UIDxa로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일례에서는, UIDxa로서 「hoge@example. com」, 패스워드로서 「12345」가 입력되어 있다. 단 도 11의 일례에서는, 패스워드 입력부(1112)에 있어서의 표시는 특수 문자로 표시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 ID입력부는, 이용자 A가 소유하는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CID를 입력한다. 도 11의 일례에서는, CIDa로서 「N12345678」가 입력되어 있다. 도 11의 일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이용자 ID에 대해서 복수의 CID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이 일례에서는, 이용자 A는 복수의 촬상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UID에 관련지어 등록되는 CID의 수는 몇 개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용자 A가 입력 수단(184)에 의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103)를 이동시켜, 이용자 등록 버튼(1130)을 선택한다. 송수신 수단(181)이 UIDxa, 패스워드 및 CIDa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100)에 보낸다(스텝 S1005).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용자 정보 테이블(105)이 UIDxa와 패스워드 및 CIDa를 관련지은 상태로 기억한다(스텝 S1006).
도 12에는, 이용자 정보 테이블(105)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용자 정보 테이블은, 이용자 ID 열(列)(1201), 패스워드 열(1202), CID 열(1203) 및 HID 열(1204)을 갖는다. 도 12에는 없지만, 이용자 정보 테이블은, 이용자 ID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이름이나 주소와 같은, 이용자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열을 갖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용자 정보 테이블이 복수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12에서는, 스텝 S1006에서 기억된 정보는, 이용자 ID(1211), 패스워드(1212) 및 CID(1213)에 기억되어 있다. 이용자 테이블(105)에서는, 1개의 이용자 ID에 복수의 CID를 관련지어 기억할 수도 있다. 이용자 테이블(105)에서는, 1개의 이용자 ID에 복수의 HID를 관련지어 기억할 수도 있다. 이용자 테이블에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 ID와 그 이용자가 갖는 촬상 단말의 CID의 관련성이 기억된다. 스텝 S1006에서는 하나의 UID에 대해 복수의 CID를 관련지어 이용자 테이블(1203)의 열에 기억할 수도 있다. 이것은, 1인 이용자가 복수의 촬상 단말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용자 A가 미리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 등록을 마친 경우에는, 그 인증 정보를 서버 X에 보내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검색 수단(108)이, 복수의 이용자가 복수의 촬상 단말로 촬영한 실체 화상군을 기억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으로부터,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실체 화상군을 검색한다. 스텝 S1004에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실체 화상과 CID가 관련지어져 보존되어 있는 경우, 검색 수단(108)은 CIDa를 검색 키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을 검색함으로써,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실체 화상군을 얻는다(스텝 S1007). 스텝 S1004에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실체 화상과 SPID가 관련지어져 보존되어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실체 화상군을 얻는다. 우선 송수신 수단(101)이 CIDa를 네트워크(199)를 경유하여 서버 Y(120)로 보낸다.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이것을 수신하면, 검색 수단(131)이 SPID 테이블을 검색해, CIDa에 관련지어진 SPID군을 얻는다. 송수신 수단(121)은 이 SPID군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100)에 보낸다. 서버 X의 검색 수단(108)이 이 SPID군을 검색 키로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을 검색한다(스텝 2007).
다음으로, 서버 X의 요약 화상 생성 수단(107)이, 스텝 S1007에서 검색된 실체 화상군의 요약 화상군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서버 X의 HTML 생성 수단(106)이, 생성된 요약 화상군을 이용해,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화상의 요약 화상군을 일람 표시하기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한다. 각각의 요약 화상에는, PID 또는 SPID가 관련지어져 있다. 송수신 수단이 이 HTML 코드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120)에 보낸다(스텝 S1008).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 HTML 코드를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해석한 다음, 표시 수단(183)에 표시한다(스텝 S1009).
또한 이 설명에서는, 서버 X(100)에 있어서 요약 화상의,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으로의 기억은, 후술하는 스텝 S1405에서 실행되었다. 그러나, 상기 스텝 S1008 후에, 상기 스텝 S1008에 있어서 생성된 요약 화상을, CIDa 및 PID, 또는 SPID를 관련지어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에 기억해도 무방하다.
도 13에는, 요약 화상군의 일람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시 수단(183)은, 일람 표시 화면 윈도우(1300)를 갖는다. 일람 표시 화면 윈도우(1300)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1301)와 인증 완료한 이용자 정보 표시(1302)를 갖는다. 일람 표시 윈도우(1300)는 또한 요약 화상 표시 영역(1310), 기억처 선택 버튼 영역(1320) 및 송부처 선택 버튼 영역(1330)을 갖는다. 기억처 선택 버튼 영역(1320)은, 정보 단말 A 버튼(1321) 및 스토리지 서비스 버튼(1323)을 갖는다. 송부처 선택 버튼 영역(1330)은, 프린트 서비스 버튼(1331), 표시 단말 버튼(1332) 및 타 서비스의 지인 버튼(1333)을 갖는다. 요약 화상 표시 윈도우(1310)에는, 스텝 S2005에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으로부터 검색한 실체 화상의 요약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도 13의 일례에서는, 각 요약 화상에 부수하여 「T」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T」마크는, 각각의 요약 화상의 바탕이 된 실체 화상이,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예를 들어, 요약 화상(1311)에 부수하여 「T」마크(1312)가 표시되어 있는 것은, 요약 화상(1311)의 바탕이 된 실체 화상이,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체 화상이 일시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표시 수단(183)으로 나타내는 방법은 「T」마크의 부가일 필요는 없고, 어떠한 화상, 색, 문자에 의한 설명, 영역에 의한 분리 등으로 무엇이든지 무방하다. 요약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것은, 각각의 실체 화상의 요약 화상이어도, 또한 복수의 실체 화상을 정리한 것을 나타내는, 소위 폴더의 요약 화상이어도 무방하고, 「T」마크는 폴더에 부수하여 있어도 무방하다.
이상, 도 10에 나타내는 플로우도를 이용해, 촬상 단말 A(170)로 촬영된 실체 화상군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용자 A의 제2 촬상 단말(115)로 촬영된 실체 화상군도, 동일한 처리에 의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는, 도 11에 나타낸 정보 단말 A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이용자 등록 화면 또는 인증 화면에서, 이용자 A의 제2 촬상 단말(115)의 HID를 입력하고, 이것이 서버 X에 보내지면, 도 12에 나타내는 이용자 정보 테이블(105)의 CID 열(1204)에, 이용자 A의 이용자 ID(1211)와 관련지어져 기억된다. 또한, 이용자 A의 제2 촬상 단말로 촬영된 실체 화상은, 각각에 PID 및 이용자 A의 제2 촬상 단말의 CID, 또는 SPID가 관련지어진 상태에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 A의 제2 촬상 단말로 촬영되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실체 화상에 대해서는, 이하, 도 14, 도 16, 도 22, 도 24, 및 도 26과 동일한 처리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용자 A의 제2 촬상 단말로 촬영된 실체 화상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용자 C의 촬상 단말(116)로 촬영된 실체 화상군도, 같은 처리에 의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는, 정보 단말 C(117)에 표시된 이용자 등록 화면 또는 인증 화면에서, 이용자 C의 제상 단말(116)의 HID를 입력하고, 이것이 서버 X에 보내지면, 도 12에 나타내는 이용자 정보 테이블(105)의 CID 열(1204)에, 이용자 C의 이용자 ID와 관련지어져 기억된다. 또한, 이용자 C의 촬상 단말(117)로 촬영된 실체 화상은, 각각에 PID 및 이용자 C의 촬상 단말의 CID, 또는 SPID가 관련지어진 상태에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 C의 촬상 단말로 촬영되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실체 화상에 대해서는, 이하, 도 14, 도 16, 도 22, 도 24 및 도 26과 동일한 처리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용자 C의 촬상 단말로 촬영된 실체 화상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플로우도를 이용해, 도 10의 플로우차트가 나타낸 처리가 계속되는 처리를 설명한다. 다시 도 13을 참조해,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임의의 요약 화상을 선택한다. 도 13의 일례에서는, 요약 화상(1313, 1314, 1315, 및 1316)이 선택되어 있다. 도 13의 일례에 있어서, 요약 화상이 이중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여기서 선택된 요약 화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기억처로서 정보 단말 A의 버튼(1321)이 선택된다(스텝 S1401).
그러면,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이, 선택된 요약 화상에 관련지어진 PID 및 CIDa, 또는 SPID 및 정보 단말 A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100)에 보낸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들을 수신한다(스텝 S1402). 여기에서는, 스텝 S1008에서 각각의 요약 화상에 PID 및 CIDa, 또는 SPID를 관련지은 다음 정보 단말 A에 보내고, 스텝 S14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를 서버 X에 보내는 방법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정보 단말 A에 있어서 PID 및 CIDa 또는 SPID가 각각의 요약 화상과 관련지어져 있을 필요는 없고, 서버 X가 스텝 S14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검색 수단(108)은, 스텝 S1402에서 수신한 PID와 CIDa의 조합을 검색 키로 하거나, 또는 SPID를 검색 키로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을 검색한다(스텝 S1403).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01)은, 이 검색의 결과 얻어진 실체 화상군 각각에 PID 및 CIDa 또는 SPID가 관련지어진 상태에서, 실체 화상군을 정보 단말 A(180)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01)이 실체 화상군을 수신하면, 화상 기억 수단(185)에, 각각에 PID 및 CIDa, 또는 SPID가 관련지어진 상태에서 기억한다(스텝 S1404).
다음으로 서버 X는, 스텝 S1401에서 선택된 화상의 요약 화상군 각각에, PID 및 CIDa 또는 SPID, 및 기억처 정보로서 정보 단말 A를 일의로 특정하는 정보와 관련지어, 요약 화상군을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에 기억한다(스텝 S1405).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일례에서는, 이 스텝 S1405에서 기억되는 요약 화상군은, 스텝 S1008에서 일람 표시 화면의 HTML 코드용으로,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이 생성한 요약 화상군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스텝 S1405에서 기억되는 요약 화상은 스텝 S1008와는 별도의 처리에서 생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 스텝 S1405에서 기억되는 요약 화상은, 촬상 단말 A로 생성되어 실체 화상군과 함께 서버 X에 보내진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텝 S14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이, 상기 스텝 S1008에서 이미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405에서 기억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이, 스텝 S1404에서 정보 단말 A에 보내진 실체 화상군을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으로부터 삭제한다(스텝 S1406).
이상의 처리에 의해, 서버 X에서 일시적으로 기억한 실체 화상군이며,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실체 화상군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 단말 A로 이동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에서 보관하는 화상 정보량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1405가 실행된 후의 임의의 시각에, 서버 X의 HTML 생성 수단은, 갱신된 일람 표시 화면의 HTML 코드를 생성한다. 송수신 수단(101)이 이 HTML 코드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180)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 HTML 코드를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해석한 다음, 표시 수단(183)에 표시한다(스텝 S1407).
도 15에는, 갱신된 일람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화면은, 요약 화상 표시 영역(1310)의 표시 이외는, 도 13의 표시와 같다. 스텝 S1401에서 S1406의 처리에 의해, 도 13의 요약 화상(1313, 1314, 1315 및 1316)으로 나타내어지는 실체 화상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으로부터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으로 이동했다. 도 13과 도 15를 비교하면, 이들 4개의 실체 화상을 나타내는 요약 화상에 부수하는 표시가 「T」마크로부터 「L」마크로 변화하고 있다. 「L」마크는, 각각의 요약 화상에 대응하는 실체 정보가,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나타내는 방법은 「L」마크의 부가일 필요는 없고,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어 있는 실체 화상과 정보 단말 A의 기억 수단(185)에 기억되어 있는 실체 화상이 구별되면, 어떠한 화상, 색, 문자에 의한 설명, 영역에 의한 분리 등 무엇이든 무방하다. 요약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것은, 각각의 실체 화상을 나타내는 요약 화상이어도, 또는 복수의 실체 화상을 모은 폴더의 요약 화상이어도 무방하고, 「L」마크는 폴더에 부수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내는 플로우도를 이용해, 이용자 A가 스텝 S1001에서 촬영해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한 실체 화상군 중 이용자 A가 선택한 화상의 실체 화상을, 스토리지 서비스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에 카피한 다음, 그 요약 화상군 만을 서버 X의 요약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또한 이들 선택된 실체 화상군은 일시 기억 수단(102)으로부터 삭제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5를 참조해,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임의의 요약 화상을 선택한다. 도 15의 일례에서는, 요약 화상(1515, 1516, 1517 및 1518)이 선택되었다. 도 15에 있어서, 요약 화상이 이중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여기서 선택된 요약 화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기억처로서 스토리지 서비스의 버튼(1323)이 선택된다(스텝 S1601).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81)이, 선택된 요약 화상(1515, 1516, 1517 및 1518) 각각의 PID 및 CIDa, 또는 SPID, 및 스토리지 서비스의 버튼(1323)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 서버 X(100)에 보낸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들을 수신한다(스텝 S1402). 여기에서는, 스텝 S1407에서 각각의 요약 화상에 PID 및 CIDa, 또는 SPID를 관련지은 다음 정보 단말 A에 보내고,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를 서버 X에 보내는 방법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정보 단말 A에 있어서 PID 및 CIDa, 또는 SPID가 각각의 요약 화상과 관련지어져 있을 필요는 없고, 서버 X가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검색 수단(108)은, 여기서 수신한 PID와 CIDa의 조합을 검색 키로 하거나 또는 SPID를 검색 키로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을 검색한다(스텝 S1603). 다만, 이 일례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약 화상(1515)은 「L」마크가 부수하고 있다. 이것은, 스텝 S1406에 있어서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으로부터는 삭제되어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4)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요약 화상(1515)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서버 X(100)가, 정보 단말 A(180)에 그 PID 및 CIDa, 또는 그 SPID를 보내고, 정보 단말 A로부터 이 실체 화상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실체 화상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없는 경우에는, 서버 X가 그 실체 화상을 기억하는 정보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실체 화상을 취득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다음의 스텝 S2204로부터 S2206, 스텝 S2404로부터 S2406 및 스텝 S2604로부터 S2606에서 자세하게 설명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스텝 S1602에서 받은, 스토리지 서비스의 버튼(1323)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정보 단말 A(180)와 서버 X(100)의 접속을, 서버 Y(120)에 리다이렉트한다. 다음으로, 서버 Y의 스토리지 서비스 테이블(124)에 기억되어 있는, 스토리지 서비스의 정보를 이용해, HTML 생성 수단(134)이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한다. 도 17에, 스토리지 서비스 테이블(124)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토리지 서비스 테이블(124)은, 스토리지 서비스명의 열(1701), 인증 URL의 열(1702) 및 송신용 URL의 열(1703)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 1의 일례에서는, 브릿지 서비스 Y는, 스토리지 서비스 Z 및 스토리지 서비스 W의 2개의 스토리지 서비스에의 브릿지 서비스를, 이용자에 대해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토리지 서비스 Y나 스토리지 서비스 Z는, 화상 정보의 기억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예를 들어, 주로 사진의 기억과 열람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FLICKR 등),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등 주로 일기의 교환 기능(예를 들어, FACEBOOK 등), 전자 메일(예를 들어, GMAIL 등)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도, 화상 정보의 기억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21)이 이 HTML 코드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에 보낸다(스텝 S1604).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 HTML 코드를 수신하면, HMTL 해석 수단(182)이 이것을 해석해, 표시 수단(183)이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도 18에,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의 윈도우(1801)는, 브릿지 서비스 Y의 서비스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1802), 스토리지 서비스 Z 선택 체크 박스(1811), 스토리지 서비스 W 선택 체크 박스(1812), 선택 완료 버튼(1804)을 갖는다.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은, 브릿지 서비스 표시(1802)를 구비하고 있어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체크 박스(1811 및 1812)는, 각각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무방하다. 또한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은, 1개 밖에 선택할 수 없어도, 동시에 복수 선택할 수 있어도 무방하다. 이 일례에서는,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의 표시에 있어서, 정보 단말 A의 접속을 서버 X(100)로부터 서버 Y(120)에 리다이렉트 한 다음, 서버 Y의 HTML 생성 수단이 HTML 코드를 생성해 정보 단말 A에 보냈다. 이 밖에, 서버 X로부터 정보 단말 A에 보내는 HTML 코드에, 서버 Y로부터의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한 스크립트(예를 들면, 자바 스크립트) 등의 코드를 부가해 두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화면상에, 서버 Y가 보내는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을 직접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서버 X가 스토리지 서비스 테이블에 상당하는 기능을 가져,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을 서버 X가 정보 단말 A에 보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803)를 이동시켜,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체크 박스를 선택한다. 도 18의 일례에서는, 체크 박스(1811)가 선택되고 있다. 그 후, 입력 수단(184)이 커서(1803)를 이동시켜, 선택 완료 버튼(1804)을 선택한다. 송수신 수단(181)이, 체크 박스(1811)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Y(120)에 보낸다(스텝 S1605).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이것을 수신하면, 검색 수단(131)이 스토리지 서비스 테이블(124)로부터, 스토리지 서비스 Z에 관련지어져 기억된 인증 URL(1712)을 검색한다. 송수신 수단(121)이, 단말 A와 서버 Y와의 접속을, 인증 URL(1712)에 따라, 서버 Z(140)에 리다이렉트 한다.
서버 Z의 송수신 수단(141)이 정보 단말 A와의 접속을 확립하면, HTML 생성 수단(142)이,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인증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해, 송수신 수단(141)이 네트워크(191)를 통해서 이것을 정보 단말 A에 보낸다(스텝 S1606).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것을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해석한 후,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인증 화면을, 표시 수단(183)에 표시한다. 도 19에,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인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인증 화면은, 인증 화면 윈도우(1901)를 갖는다. 인증 화면 윈도우(1901)는, 스토리지 서비스 Z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1902), 이용자 ID 입력란(1911), 패스워드 입력란(1912) 및 인증 버튼(1904)을 구비한다. 도 19의 일례에서는, 입력 수단(184)이 커서(1903)를 이용자 ID 입력란(1911)으로 이동한 다음, 이용자 A의 서비스 Z에 있어서의 이용자 ID 「hoge@ServiceZ.com」(1921)를, 또한 패스워드 입력란(1912)에 이동시킨 다음 패스워드(1922)를, 각각 입력한다. 여기서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이용자 ID를 UIDz로 나타낸다. 또한 이용자 A의 스토리지 서비스 Z에 있어서의 UID를 UIDza로 나타낸다. 도 19의 일례에서는, 패스워드(1922)는 특수 문자로 표시되고 있다. 다음으로, 입력 수단(184)이 커서(1903)를 이동시켜, 인증 버튼(1904)을 선택하면, 송수신 수단(181)이 이용자 ID(1921) 및 패스워드(1922)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Z에 보낸다. 서버 Z의 송수신 수단이 이들을 수신하면, 인증 수단(143)이 이용자 테이블에 미리 기억되어 있던 이용자 A의 UIDza와 패스워드 정보를 검색하는 것으로 인증한다(스텝 S1607). 여기에서는, 이용자 A의 UIDza와 패스워드가 미리 이용자 정보 테이블(146)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즉, 이용자 A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인 것과 동시에, 스토리지 서비스 Z 이용자이기도 했다. 만약, 스텝 1606이 실행되는 시점에서, 이용자 A가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이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이 시점에서 UIDza와 패스워드를 서버 Z(140)에 등록한다.
다음으로, 서버 Z의 송수신 수단(141)이 서버 Y(120)에, 이용자 A를 인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보낸다.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이것을 수신하면,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서버 X(100)에,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이용자 A의 실체 화상을 서버 Z(140)에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보낸다. 이 정보는 예를 들어, 송신처인 서버 Z(140)를 네트워크(199) 상에서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ID, 서버 Z(140)에서 실체 화상군을 수신할 때의 서버 Z의 수신 어드레스나 포트 번호, 서버 Y가 이 송신을 위해 생성한 세션 정보나 서버 X와 서버 Z 사이의 네고시에이션 정보, 시큐러티 확보나 실체 화상군의 정확성을 보증하기 위한 화상 정보의 다이제스트 정보 등이 고려되지만, 서버 X(100)로부터 서버 X(140)에 대한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실체 화상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면 무엇이든지 무방하다. 또한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서버 Z(140)에,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화상의 실체 화상군을, 서버 X(1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보낸다. 이 정보는 예를 들어, 송신원인 서버 X(100)를 네트워크(199)상에서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ID, 서버 X(100)가 실체 화상군을 송신할 때의 송신 어드레스나 포트 번호, 서버 Y가 이 수신을 위해 생성한 세션 정보나 서버 X와 서버 Z 사이의 네고시에이션 정보, 시큐러티 확보나 실체 화상군의 정확성을 보증하기 위한 화상 정보의 다이제스트 정보 등이 고려되지만, 서버 X(100)로부터 서버 Z(140)에 대한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실체 화상군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면 무엇이든지 무방하다(스텝 S1608). 이 일례에서는, 서버 Y가 서버 X와 서버 Z 사이의 실체 화상군의 송수신을 위한 네고시에이션을 담당하고, 실체 화상군의 송수신은 서버 X와 서버 Z가 네트워크(199)를 사이에 두고 직접 행하였지만, 서버 Y가 실체 화상군의 송수신을 중계해도 무방하다. 또한 서버 Y가 네고시에이션을 담당하는 일 없이, 서버 X와 서버 Z가 직접 네고시에이션을 실행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 및 서버 Z의 송수신 수단(141)이 각각, 스텝 S1608에서, 서버 Y(120)로부터 보내진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 및 서버 Z의 송수신 수단(141)이,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실체 화상군의 송수신을 위한 세션을 확립한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화상의 실체 화상을, 각각의 PID와 CIDa, 또는 각각의 SPID가 관련지어진 상태에서,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Z에 보낸다(스텝 S1609). 서버 Z의 송수신 수단(141)이 이러한 실체 화상군을 수신하여, 이들과 각각의 PID와 CIDa, 또는 각각의 SPID가 관련지어진 상태에서,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에 기억한다(스텝 S1610).
다음으로 서버 X는,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화상의 요약 화상군 각각에, PID 및 CIDa, 또는 각각의 SPID, 및 기억처 정보로서 스토리지 서비스 Z를 일의로 특정하는 정보와 관련지어, 요약 화상군을 기억 수단(103)에 기억한다(스텝 S1611). 여기서 나타내는 일례에서는, 이 스텝 S1611에서 기억되는 요약 화상군은, 스텝 S1008에서 일람 표시 화면의 HTML 코드용으로,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이 생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스텝 S1611에서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에 기억되는 요약 화상은 스텝 S1008과 독립하여 생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텝 S16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이, 상기 스텝 S1008에서 이미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611에서 기억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이 스텝 S1611에서 요약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요약 화상은, 촬상 단말 A로 생성되어 실체 화상군과 함께 서버 X에 보내진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이, 스텝 S1609에서 정보 단말 A에 보내진 실체 화상군을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으로부터 삭제한다(스텝 S1612).
스텝 S1611가 실행된 후의 임의의 시각에, 서버 X의 HTML 생성 수단은, 갱신된 화상 정보 일람 화면의 HTML 코드를 생성한다. 송수신 수단(101)이 이 HTML 코드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180)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 HTML 코드를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해석한 다음, 표시 수단(183)에 표시한다(스텝 S1613).
도 20에는, 갱신된 일람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내는 화면은, 요약 화상 표시 영역(1310)의 표시 이외는, 도 13 및 도 15의 표시와 같다. 스텝 S1601에서 S1613의 처리에 의해, 도 15의 요약 화상(1516, 1517 및 1518)으로 나타내어지는 실체 화상군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으로부터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으로 이동했다. 또한, 도 15의 요약 화상(1515)으로 나타내어지는 실체 화상군은,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으로부터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에 카피되었다. 도 15와 도 20을 비교하면, 이들 화상 중 요약 화상(1516, 1517 및 1518)에 부수하는 표시가 「T」마크로부터 「S」마크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요약 화상(1515)에는, 「L」마크에 부가하여 「S」마크가 새롭게 부수하고 있다. 「S」마크는, 각각의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 또는 요약 화상이, 서버 Z의 화상 기억 수단(144)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나타내는 방법은 「S」마크의 부가일 필요는 없고,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어 있는 실체 화상 및 정보 단말 A의 기억 수단(185)에 기억되어 있는 실체 화상과,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에 기억되어 있는 실체 화상 또는 요약 화상의 구별이 되면, 어떠한 화상, 색, 문자에 의한 설명, 영역에 의한 분리 등 무엇이든지 무방하다. 요약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것은, 각각의 화상 정보의 요약 화상이어도, 또는 복수의 화상 정보를 모은 폴더의 요약 화상이어도 무방하고, 「S」마크나 「L」마크는 폴더에 부수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요약 화상(1515)에 대해서는, 그 실체 화상이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에 기억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L」마크(1515)에 부가하여, 그 실체 화상 또는 요약 화상이 서버 Z의 화상 기억 수단(144)에 기억되고 있는 「S」마크(2014)가 부수하고 있다. 이것은 요약 화상(1515)으로 나타내지는 화상이,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 및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 양쪽 모두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서버 Y(120)에 있어서의 SPID 생성 및 기억 기능과, 서버 Y가 제공하는 또 다른 브릿지 기능은, 다른 서버에 의해 실현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들 다른 서버가 다른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고 있어도 무방하다.
도 21에 나타내는 시퀀스도에는, 도 10, 도 14 및 도 16의 각 플로우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처리를 정리하여 표시하였다. 도 21은, 상기 각 플로우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이, 어느 촬상 단말, 정보 단말 또는 서버에서 처리되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모든 화상의 요약 화상이, 서버 X의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에 기억되었다. 한편 이 요약 화상의 실체 화상은,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 및 스토리지 서비스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에 분산되어 기억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 A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를 시초로 하여, 화상의 프린트, 표시 단말에서의 화상 표시 또는 타이용자에게로의 화상 정보의 송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에 나타낸 처리를 공통의 처리로 하고, 스텝 S1613의 실행 후에 있어서, 프린트 서비스 U를 사용한 화상의 프린트 처리를 실시 형태 1로서 설명하고, 표시 단말 A에서의 화상 표시를 실시 형태 2로서 설명하고, 또한 이용자 A가 Web 서비스 V로 지인인 이용자 B에게 화상 정보를 송부하는 처리를 실시 형태 3으로서 설명한다. 하기 실시 형태 1, 2 및 3은 모두 스텝 S1613을 출발점으로 한다. 즉, 실시 형태 1, 2 및 3 각각에 있어서, 정보 단말 A의 표시 수단(183)에, 도 20에 나타낸 요약 화상의 일람 표시 화면이 표시된 상태로부터 처리가 개시된다.
(실시 형태 1 : 프린트 서비스 U에 의한 인쇄)
다음으로, 도 22에 나타내는 플로우도를 이용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를 통해서, 다른 단말 또는 서버에 실체 화상이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을, 일괄하여 프린트 서비스 U로 인쇄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도 20을 참조하면,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임의의 요약 화상을 선택한다. 도 20의 일례에서는, 요약 화상(2051, 2052 및 2054)이 선택되었다. 도 20에 있어서, 요약 화상이 이중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이 시점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일례에서는, 요약 화상(2052)에는 「T」마크(2053)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어 있다. 같은 식으로, 요약 화상(2054)에는 「L」마크(2055)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요약 화상(2051)에는 「S」마크(2011)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에 기억되어 있다. 다음으로,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송부처로서 프린트 서비스의 버튼(1331)이 선택된다(스텝 S2201).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81)이, 선택된 요약 화상(2051, 2052 및 5024) 각각의 PID 및 CIDa 또는 SPID, 및 프린트 서비스의 버튼(1331)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 서버 X(100)에 보낸다. 여기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 대신에, 요약 화상(2051, 2052 및 2054)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라면 무엇을 보내도 무방하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들을 수신한다(스텝 S2202). 여기에서는, 스텝 S1613에서 각각의 요약 화상에 PID 및 CIDa 또는 SPID를 관련지은 다음 정보 단말 A에 보내고, 스텝 S22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를 서버 X에 보내는 방법으로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는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단말 A에 있어서 PID 및 CIDa 또는 SPID가 각각의 요약 화상과 관련지어져 있을 필요는 없고, 서버 X가 스텝 S22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서버 X의 검색 수단(108)이, 요약 화상(2052)에 관련지어진 PID 및 CIDa, 또는 SPID를 검색 키로서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을 검색해, 요약 화상(2052)에 대응하는 실체 화상을 얻는다. 이 실체 화상은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UIDxa와 관련지어 기억한다(스텝 S2203). 또한, 서버 X의 송수신 수단은, 스텝 S1405에서 요약 화상 수단에 기억한, 요약 화상(2054)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의 기억처 정보를 기초로, 정보 단말 A에 요약 화상(2054)의 PID 및 CIDa, 또는 SPID를 보냄으로써, 요약 화상(2054)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의 취득을 요구한다. 이용자 A의 정보 단말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 요구를 수신하면, 검색 수단(186)이, 수신한 PID 및 CIDa, 또는 SPID를 검색 키로서 화상 기억 수단(185)을 검색해, 요약 화상(2054)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을 얻는다. 이 검색은, 스텝 S1404에서 요약 화상(2054)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이, PID 및 CIDa, 또는 SPID와 관련지어 기억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해지고 있다. 송수신 수단(181)이,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이 실체 화상을 서버 X(100)에 보낸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 실체 화상을 수신한다. 이 실체 화상은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UIDxa와 관련지어 기억한다(스텝 S2204).
또한,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정보 단말 A와의 접속을 서버 Z에 리다이렉트한다. 서버 Z의 송수신 수단(141)이, HTML 생성 수단(142)이 생성한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인증 화면을 생성하는 HTML 코드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180)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 HTML 코드를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해석해, 표시 수단이 도 19에 일례로서 나타내는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인증 화면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이용자 A가 인증 정보인 입력 수단(184)을 이용해 이용자 ID(1921) 및 패스워드(1922)를 입력하고, 또한 인증 버튼(1904)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81)이 이들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Z(140)에 보낸다. 서버 Z의 송수신 수단(141)이 이것을 수신하면, 인증 수단(143)이 이용자 A를 인증한다. 이 처리 후, 정보 단말 A와 서버 Z와의 접속은 다시 서버 X로 리다이렉트 된다.
다음으로, 서버 Z의 검색 수단(141)이 이용자 A를 인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에 보낸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것을 수신하면, 요약 화상(2051)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 취득 요구를, 이 실체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와 함께,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Z(140)에 보낸다(스텝 S2205). 서버 Z의 송수신 수단(141)이 이것을 수신하면, 검색 수단(145)이, 요구된 실체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를 검색 키로서 검색한다. 이 검색은, 스텝 S1610에서 요약 화상(2051)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이, PID 및 CIDa 또는 SPID와 관련지어 기억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해지고 있다. 이 검색 결과 얻어진 요약 화상(2052)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송수신 수단(141)에 의해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100)에 보내진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것을 수신한다. 이 실체 화상은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UIDxa와 관련지어 기억한다(스텝 S2206). 또한, 스텝 S220, 스텝 S2204 및 스텝 S2205로부터 2206의 3개의 처리는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상의 스텝 S2203로부터 S2206의 처리에 의해, 서버 X가 스텝 S2201에서 이용자 A가 선택한, 요약 화상(2052, 2054 및 2051)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이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UIDxa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었다. 다음으로,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은, 정보 단말 A(180)와 서버 X(100)와의 접속을, 서버 U(150)에 리다이렉트한다. 서버 U의 HTML 생성 수단(152)이, 프린트 서비스 U의 인증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해, 이것을 송수신 수단(151)이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0)이 이것을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이것을 해석해, 표시 수단(183)에 인증 화면을 표시한다.
도 23에, 프린트 서비스 U의 인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프린트 서비스 U의 인증 화면은, 윈도우(2301)가 프린트 서비스 U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2302), 이용자 ID 입력란(2311), 패스워드 입력란(2312), 송부처 이름 입력란(2313), 송부처 주소 입력란(2314) 및 인증 버튼(2304)을 구비한다. 도 23의 일례에서는, 입력 수단(184)이 커서(1903)를 이용자 ID 입력란(2311)으로 이동한 다음, 이용자 A의 프린트 서비스 U에 있어서의 이용자 ID 「hoge@ServiceU.com」(2321)를, 또한 패스워드 입력란(2312)에 이동시킨 다음 패스워드(2322)를, 각각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프린트 서비스 U의 이용자 ID를 UIDu로 나타낸다. 또한, 이용자 A의 UIDu를 UIDua로 나타낸다. 도 23의 일례에서는, 패스워드(1922)는 특수문자로 표시되고 있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일례에서는, 송부처 이름 입력란(2313)에 이름(2323)을, 또한 송부처 주소 입력란(2314)에 주소(2324)가 각각 입력되고 있다. 다음으로, 입력 수단(184)이 커서(1903)를 이동시켜, 인증 버튼(2304)을 선택하면, 입출력 수단이 이UIDua(2321) 및 패스워드(2322)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U(150)에 보낸다. 서버 U의 송수신 수단(151)이 이들을 수신하면, 인증 수단(153)이 인증한다(스텝 S2207). 또한, 송부처 이름이나 송부처 주소는, 여기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서비스 U의 인증 화면에서 이용자 A가 입력 수단(184)을 이용해 입력해도 무방하다. 또는 프린트 서비스 U의 이용자 정보 기억 수단(156)에 미리 기억된 것을 도 23에 표시해도 무방하다. 또는, 서버 X의 이용자 정보 테이블(105)에 미리 기억된 것을, 네트워크(199)를 경유하여 서버 U에 보내, 서버에서 이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서버 X의 이용자 테이블(105)은, 도 12에 나타내는 열에 부가하여, 이름, 주소 등의 이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열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버 U에 의한 이용자 A의 인증을 생략하고, 스텝 S1005에 있어서의 서버 X에 의한 이용자 A의 인증으로써, 스텝 S2207의 인증 처리를 교체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스텝 S2207는 생략된다.
다음으로 서버 U는, 이용자 A가 인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에 보낸다. 서버 X가 이것을 수신하면, 송수신 수단(101)이 스텝 S2203, 2204 및 2206에서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한 실체 화상군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U(150)에 보낸다(스텝 S2008). 서버 U의 송수신 수단(151)이 이들 실체 화상군을 수신하면, 화상 정보 기억 수단(154)에 이용자 A의 프린트 서비스 U에 있어서의 이용자 ID(UIDua)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51)은, 이러한 실체 화상군을, 네트워크(119)를 통해서 인쇄 장치(157)에 보내고(스텝 S2009), 인쇄 장치(157)가 인쇄한다(스텝 S2010). 화상 정보 기억 수단(154)에 기억한 실체 화상군은, 스텝 S2009가 완료하고, 또한 프린트한 실체 화상의 배송 처리 등이 완료하여, 서비스 U에서 불필요해진 시점에서, 화상 정보 기억 수단(154)으로부터 삭제된다. 또한,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는, 복수의 프린트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동일한 식으로 도 20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실체 화상을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트 서비스 T의 서버에 보내 프린트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식의 처리가 실행된다.
(실시 형태 2 : 표시 단말 A에 의한 화상의 표시)
다음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플로우도를 이용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를 통해서, 단말 또는 서버에 분산되어 기억되고 있는 복수의 실체 화상을, 표시 단말 A로 표시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단말 A(190)는, 소위 디지털 포토 프레임 등의 화상 표시 전용 단말이어도 무방하고, 또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카메라, 텔레비전, 음악 플레이어 등 표시 수단을 구비한 정보 단말이라면 무엇이든지 무방하다. 또한, 표시 단말 A(190)는, 소위 프린터와 같은 종이 등의 타매체에 출력하기 위한 정보 단말이라도 무방하다. 실시 형태 2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식으로, 스텝 S1613의 처리를 실행한 다음부터 처리가 시작된다.
다시 도 20을 참조하면,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임의의 요약 화상을 선택한다. 도 20의 일례에서는, 요약 화상(2051, 2052 및 2054)이 선택되었다. 도 20에 있어서, 요약 화상이 이중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이 시점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일례에서는, 요약 화상(2052)에는 「T」마크(2053)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어 있다. 동일한 식으로, 요약 화상(2054)에는 「L」마크(2055)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요약 화상(2051)에는 「S」마크(2011)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에 기억되어 있다. 다음으로,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송부처로서 표시 단말의 버튼(1332)이 선택된다(스텝 S2401).
다음으로, 도 24의 플로우도에 있어서의 스텝 S2402로부터 스텝 S2406까지의 일련의 처리에 의해, 스텝 S24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군의 실체 화상을, 서버 X의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기억한다. 이 일련의 처리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스텝 S2202로부터 스텝 S2206까지의 처리와 이하 1점을 제외하고 완전히 동일하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스텝 S2202에서는, 정보 단말 A가, 스텝 S22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군 각각에 관련지어진 PID 및 CIDa, 또는 SPID에 부가하여, 프린트 서비스 선택 버튼(1331)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 X에 보냈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스텝 S2402에서는, 정보 단말 A가, 스텝 S24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군 각각에 관련지어진 PID 및 CIDa, 또는 SPID에 부가하여, 표시 단말 선택 버튼(1332)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 X에 보낸다. 여기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 대신에, 요약 화상(2051, 2052 및 2054)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라면 무엇을 보내도 무방하다. 이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 형태 1의 스텝 S2202로부터 스텝 S2206까지의 처리와 본 실시 형태 2의 스텝 S2402로부터 스텝 S2406까지의 처리는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텝 S2403, 스텝 S2404 및 스텝 S2405로부터 2206,의 3개의 처리는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서버 X가 스텝 S2401에서 이용자 A가 선택한 요약 화상(2052, 2054 및 2051)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이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UIDxa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었다.
다음으로, 서버 X의 HTML 생성 수단(106)이 표시 단말 ID 취득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하고, 송수신 수단(101)이 이것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180)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 HTML 코드를 수신해, HTML 해석 수단(182)이 해석한 후, 표시 수단(183)이 표시 단말 ID 취득 화면을 표시한다. 도 25에, 표시 단말 ID 취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시 수단(183)은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윈도우(2501)를 갖는다. 또한, 윈도우(2501)는, 이것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2502), 이용자 A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2503), 표시 단말 ID 입력란(2521, 2522, 2523) 및 등록 버튼(2504)을 갖는다. 표시 단말 ID는, 네트워크(199)에 접속되는 표시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ID이다. 여기에서는 표시 단말 ID를 HID라고 한다. 또한, 표시 단말 A(190)의 HID를 HIDa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1인 이용자 ID에 대해서 복수의 HID를 등록할 수도 있다. 즉 이 일례에서는, 이용자 A는 복수의 표시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용자 A가 입력 수단(184)을 조작함으로써 HIDa(2531)를 입력하고, 또한 등록 버튼(2504)이 선택된다. 송수신 수단(181)이, HIDa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에 보낸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것을 수신하면, 이용자 정보 테이블(105)에 기억한다(스텝 S2407). 도 12의 일례는, 이 스텝에 의해, HIDa(1214)가 이용자 A의 UIDxa(1211)에 관련지어 기억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HIDa는, 스텝 S1005의 처리시, 도 11에 나타내는 인증 정보 취득 화면에서 취득한 다음, 이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억해 두어도 무방하다.
HIDa가 이용자 정보 테이블(105)에, UIDxa와 관련지어져 기억된 후의 임의의 시각에, 표시 단말 A(190)가 네트워크(199)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표시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91)이 표시 단말 A의 HIDa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100)에 보낸다. 이 HIDa는, 표시 단말 A의 제조시에 HID 기억 수단(148)에 기억되어 있던 것을 보내거나, 입력 수단(194)을 이용해 이용자 A에 의해 입력된 것을 보내도 무방하다.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표시 단말 A로부터 HIDa를 수신(스텝 S2408)하면, 검색 수단(108)이 HIDa를 검색 키로서 이용자 테이블(105)을 검색하고, 이용자 A의 UIDxa를 얻는다. 또한, 검색 수단(108)이 이 UIDxa를 검색 키로서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을 검색해, 스텝 S2403, S2404 및 S2406에서 기억된 실체 화상군을 얻는다.
송수신 수단(101)이, 여기서 얻어진 실체 화상군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표시 단말 A(190)에 보낸다(스텝 S2409). 표시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91)이 이 실체 화상군을 수신하면, 화상 기억 수단(159)에 기억하고, 또한 표시 수단(198)이 이 실체 화상군을 표시한다(스텝 S2410).
(실시 형태 3 : 이용자 B의 표시 단말에 의한 화상의 표시)
다음으로, 도 26에 나타내는 플로우도를 이용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를 통해서, 단말 또는 서버에 분산하여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실체 화상을, 이용자 B의 정보 단말(195)로 표시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 2에서는, 표시 단말 A(190)는 이용자 A의 것이며, 이 때문에 이용자 A는 정보 단말 A(180)를 통해서 서버 X에 표시 단말 A(190)를 일의로 특정하는 HIDa를 보내는(스텝 S2407) 것이 가능했었다.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정보 단말 B(195)는 이용자 A의 것은 아니며, 이용자 A가 정보 단말 B의 HID를 모르기 때문에, 정보 단말 A(180)로부터 서버 X에 정보 단말 B의 HID를 보낼 수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의 일례에서는, 이용자 B는, 예를 들어 Web 서비스 V를 통한 이용자 A의 지인이다.
정보 단말 B(195)는, 소위 디지털 포토 프레임 등의 화상 표시 전용 단말이면 무방하고, 또한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카메라, 텔레비전, 음악 플레이어 등, 표시 수단을 구비한 정보 단말이라면 무엇이든지 무방하다. 또한, 정보 단말 B(195)는, 소위 프린터와 같은 종이 등의 타매체에 출력하기 위한 정보 단말이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 3도, 상술한 실시 형태 1 및 2와 동일하게, 스텝 S1613의 처리를 실행한 후부터 처리가 시작된다.
다시 도 20을 참조하면,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임의의 요약 화상을 선택한다. 도 20의 일례에서는, 요약 화상(2051, 2052 및 2054)이 선택되었다. 도 20에 있어서, 요약 화상이 이중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이 시점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일례에서는, 요약 화상(2052)에는 「T」마크(2053)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고 있다. 동일한 식으로, 요약 화상(2054)에는 「L」마크(2055)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에 기억되고 있다. 또한, 요약 화상(2051)에는 「S」마크(2011)가 부수하고 있고, 이 요약 화상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에 기억되고 있다. 다음으로,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1303)를 이동시켜, 송부처로서 타서비스의 지인 버튼(1333)이 선택된다(스텝 S2601).
다음으로, 도 26의 플로우도에 있어서의 스텝 S2602로부터 스텝 S2606까지의 일련의 처리에 의해, 스텝 S26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군의 실체 화상을, 서버 X의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기억한다. 이 일련의 처리는, 상술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스텝 S2402로부터 스텝 S2406까지의 처리와 이하 1점을 제외하고 완전히 동일하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스텝 S2402에서는, 정보 단말 A가, 스텝 S24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군 각각에 관련지어진 PID 및 CIDa, 또는 SPID에 부가하여, 표시 단말(1332)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 X에 보낸다. 한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스텝 S2602에서는, 정보 단말 A가, 스텝 S26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군 각각에 관련지어진 PID 및 CIDa, 또는 SPID에 부가하여, 타서비스의 지인 선택 버튼(1333)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 X에 보낸다. 여기서, 선택된 요약 화상의 PID 및 CIDa, 또는 SPID 대신에, 요약 화상(2051, 2052 및 2054)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라면 무엇을 보내도 무방하다. 이 점을 제외하고, 상술한 실시 형태 1의 스텝 S2402로부터 스텝 S2406까지의 처리와 본 실시 형태 3의 스텝 S2602로부터 스텝 S2606까지의 처리는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텝 S2603, 스텝 S2604 및 스텝 S2605로부터 2606,의 3개의 처리는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서버 X가 스텝 S2601에서 이용자 A가 선택한 요약 화상(2052, 2054 및 2051)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이 일시 화상 기억 수단(109)에 UIDxa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었다.
다음으로, 스텝 S2602에서 받은, 타서비스의 지인 선택 버튼(1333)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정보 단말 A(180)와 서버 X(100)와의 접속을, 서버 Y(120)에 리다이렉트한다. 다음으로, 서버 Y의 Web 서비스 테이블(125)에 기억되어 있는 Web 서비스의 정보를 이용해, HTML 생성 수단(134)이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한다. 도 27에, Web 서비스 테이블(125)의 일례를 나타낸다. Web 서비스 테이블(125)은, Web 서비스명의 열(2701), 인증 URL의 열(2702), 지인 리스트 취득용 URL의 열(2703) 및 메시지 송신용 URL의 열(2704)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 3의 일례에서는, 브릿지 서비스 Y는, Web 서비스 V(160) 및 Web 서비스 S(139)의 2개의 Web 서비스에의 브릿지 서비스를, 이용자에 대해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Web 서비스 V나 Web 서비스 S는, 이용자 A의 지인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이면 무엇이든지 무방하다. 예를 들어, 주로 사진의 기억과 열람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FLICKR 등),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예를 들어, FACEBOOK 등), 전자 메일(예를 들어, GMAIL 등), 채팅이나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소위 메신저 서비스(예를 들어, SKYPE 등), 물건 판매 서비스(예를 들어, AMAZON 등) 등도, 각각의 서버에서 이용자 지인의 ID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으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Web 서비스이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21)이 이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HTML 코드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 HTML 코드를 수신하면, HMTL 해석 수단(182)이 이것을 해석해, 표시 수단(183)이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도 28에,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의 윈도우(2801)는, 브릿지 서비스 Y의 서비스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2802), Web 서비스 V의 선택 버튼(2811), Web 서비스 S의 선택 버튼(2812), 선택 완료 버튼(2804)을 갖는다.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은, 브릿지 서비스 표시(2802)를 구비해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버튼(2811 및 2812)은, 각각의 Web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면 버튼일 필요는 없다. 이 일례에서는,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의 표시에 있어서, 정보 단말 A의 접속을 서버 X(100)로부터 서버 Y(120)에 리디렉트 한 다음, 서버 Y의 HTML 생성 수단이 HTML 코드를 생성해 정보 단말 A에 보낸다. 이 밖에, 서버 X로부터 정보 단말 A에 보내는 HTML 코드에, 서버 Y로부터의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한 스크립트(예를 들어 자바 스크립트) 등의 코드를 부가해 두고,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화면상에, 서버 Y가 보내는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을 직접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서버 X가 Web 서비스 테이블에 상당하는 기능을 가져, Web 서비스 선택 화면을 서버 X가 정보 단말 A에 보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2803)를 이동시켜, Web 서비스 선택 버튼을 선택한다. 도 28의 일례에서는, 버튼(2811)이 선택되고 있다. 그 후, 입력 수단(184)이 커서(2803)를 이동시켜, 선택 완료 버튼(2804)을 선택한다. 송수신 수단(181)이, 체크 박스(2811)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Y(120)에 보낸다(스텝 S2607).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이것을 수신하면, 검색 수단(131)이 Web 서비스 테이블(125)을, Web 서비스명 V를 검색 키로서 검색해, Web 서비스 V에 관련지어져 기억된 인증 URL(2712)을 얻는다. 송수신 수단(121)이, 단말 A와 서버 Y와의 접속을, 인증 URL(2712)에 따라, 서버 V(160)로 리다이렉트한다.
서버 V의 송수신 수단(161)이 정보 단말 A와의 접속을 확립하면, HTML 생성 수단(162)이, Web 서비스 V의 인증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해, 송수신 수단(161)이 네트워크(191)를 통해서 이것을 정보 단말 A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것을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해석한 후, Web 서비스 V의 인증 화면을, 표시 수단(183)에 표시한다. 도 29에, Web 서비스 V의 인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Web 서비스 V의 인증 화면은, 인증 화면 윈도우(2901)를 갖는다. 인증 화면 윈도우는, Web 서비스 V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2902), 이용자 ID 입력란(2911), 패스워드 입력란(2912) 및 인증 버튼(2904)을 구비한다. 도 29의 일례에서는, 입력 수단(184)이 커서(2903)를 이용자 ID 입력란(2911)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용자 A의 Web 서비스 V에 있어서의 이용자 ID 「hoge@svcV.com」(2921)를, 또한 패스워드 입력란(2912)에 이동시킨 다음 패스워드(2922)를 각각 입력한다. 여기서, Web 서비스 V로 이용자를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ID를 UIDv로 나타낸다. 또한, 이용자 A의 Web 서비스 V의 ID를 UIDva로 나타낸다. 도 29의 일례에서는, 패스워드(2922)는 특수문자로 표시되고 있다. 다음으로, 입력 수단(184)이 커서(2903)를 이동시켜 인증 버튼(2904)을 선택하면, 송수신 수단(181)이 이용자 ID(2921) 및 패스워드(2922)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V(160)에 보낸다. 서버 V의 송수신 수단이 이들을 수신하면, 인증 수단(168)이 인증한다(스텝 S2608). 여기서 나타내는 일례에서는, 이용자 A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인 것과 동시에, Web 서비스 V의 이용자이기도 하여, UIDva와 패스워드는 미리 서버 V의 이용자 테이블(164)에 기억되어 있다. 이 스텝 S2608에 있어서, 이용자 A가 정보 단말 A(180)를 통해서, UIDva와 패스워드를 서버 V(160)에 보내고, 이용자 테이블(164)에 이용자 등록을 실행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서버 V의 검색 수단(163)이, UIDva를 검색 키로서 이용자 테이블(164)을 검색한다. 도 30에, 이용자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일례에서는, 이용자 테이블(164)은, 이용자 ID의 열(3001), 이용자의 표시명의 열(3003) 및 지인 ID의 열(3004)을 구비한다. 열(3004)에서는, 하나의 UIDv에 관련지어 복수의 지인의 UIDv가 기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30의 일례에서는, UIDva(3011)에 관련지어져, 2개의 UID 「foo@svcV.com」(3014) 및 「bar@svcV.com」(3015)가 기억되고 있다. 검색 수단(163)은 UIDva를 검색해 이들 지인의 UIDv를 얻고, 또한 이들 지인의 UIDv를 검색 키로서 각각의 표시명 「Betty」(3023) 및 「Fred」(3033)을 얻는다. 다음으로, 서버 V의 송수신 수단(161)이, 이 검색에 의해 얻어진 지인의 UID와 각각의 표시명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Y에 보낸다. 서버 Y가, 이들 지인의 ID와 각각의 표시명을 송부처 일시 기억 영역(126)에 기억한다(스텝 S2609). 이 밖에 각각의 지인의 UIDv나, 각각의 지인의 부가 정보를 서버 Y에 보내도 무방하다.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이것을 수신하면, HTML 생성 수단(134)이 화상 송부처 선택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한다.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은, 이 HTML 코드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A(180)에 보낸다. 정보 단말 A의 송수신 수단(181)이 이것을 수신하면, HTML 해석 수단(182)이 해석한 후, 표시 수단(183)에, 화상 송부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도 31에 화상 송부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상 송부처 화면의 윈도우(3101)는, 브릿지 서비스 Y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1302), 화상 송부처 선택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3103), 이용자 A의 Web 서비스 V에 있어서의 지인의 표시명(3121 및 3122), 각각의 지인의 선택 체크 박스(3111 및 3112) 및 선택 완료 버튼(3105)을 구비한다. 화상 송부처 선택 화면(3101)에 있어서, 표시(1302)는, 브릿지 서비스 Y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여도, Web 서비스 V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여도,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화상 송부처 선택 화면은, 서버 Y(120)가 생성해 정보 단말 A(180)로 보냈지만, 서버 V(160)가 생성해 정보 단말 A(180)에 보내도 무방하다. 또한, 스텝 S2609에서, 지인의 표시명을 서버 Y에 보냈지만, 이것을 서버 X에 보낸 다음, 서버 X(100)가 화상 송부처 선택 화면을 작성한 후, 정보 단말 A(180)에 보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이용자 A는, 정보 단말 A의 입력 수단(184)을 사용해, 표시 수단(183)에 표시된 커서(3104)를 이동시켜, 이용자 A의 지인인 이용자 B 「Betty」의 선택 체크 박스(3111)를 선택하고, 또한 선택 완료 버튼(3105)을 선택한다(스텝 S2610). 여기서, 「Betty」는 이용자 B의 표시명이며, 「foo@svcV.com」(3021)은 그 ID의 UIDvb이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81)이, 「Betty」가 선택된 것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Y에 보낸다.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이 통지를 수신하면, 스텝 S2609에서 송부처 일시 기억 영역(126)에 기억된 이용자 A의 지인 리스트 중에서, 스텝 S2610에서 이용자 A가 선택한 지인의 ID에, 선택이 완료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혹은 스텝 S2610에서 선택된 지인 이외의 지인의 ID를, 송부처 일시 기억 영역(126)으로부터 삭제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스텝 S2603, S2604 및 S2606에서 UIDxa와 관련지어 기억한 실체 화상군의 화상 송부 URL의 요구를,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X에 보낸다(스텝 S2611).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 요구를 수신하면, 화상 송부 URL 생성 수단(111)이, 이러한 실체 화상군의 화상 송부 URL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텝 S2603, S2604 및 S2606에서, UIDxa와 관련지어 일시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한 실체 화상군에 생성한 화상 송부 URL을 관련지어 기억한다. 또한, 송수신 수단(101)이 생성한 화상 송부 URL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Y(120)에 보낸다(스텝 S2612).
서버 Y의 송수신 수단(121)이, 서버 X로부터 화상 송부 URL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21)이, 스텝 S2609에서 송부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고, 또한 스텝 S2610에서 이용자 A가 선택한 지인의 ID인 UIDva 및 서버 X로부터 수신한 화상 송부 URL을, 도 27에 나타내는 메시지 송신용 URL(2711)에 대해서,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서버 V(160)에 보낸다(스텝 S2613).
서버 V의 송수신 수단(161)이 이들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서버 V의 송수신 수단(161)이 서버 Y로부터 수신한 이용자 B 「Betty」의 UIDvb를 수취 주소로 하여, 서버 Y로부터 수신한 화상 송부 URL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B(195)에 송신한다(스텝 S2614). 따라서, 이용자 A가 송부처로서 선택한 「Betty」(3023)에의 화상 송부 URL은, 「foo@svcV.com」(3021)에의 메시지에 포함된다. UIDv는 일반적으로 전자 메일 등의 메시지 송부 수단의 ID여도 무방하고, 어떠한 메시지 송부 수단의 ID여도 무방하다. 정보 단말 B에의 전자 메일에는, 화상 송부 URL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정보 단말 B의 송수신 수단(196)이 서버 V로부터, 이 화상 송부 URL을 포함한 전자 메일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 해석 수단(197)이 해석하여, 표시 수단(198)에 표시한다. 도 32에, 정보 단말 B에 표시된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시 수단(198)은, 메시지 표시를 위한 윈도우(3201)를 구비한다. 윈도우(3201)는, 이 메시지의 제공자인 Web 서비스 V를 나타내는 표시(3202), 화상 송부원인 이용자 A를 나타내는 표시(3203), 화상 송부 URL의 표시(3204)를 구비한다. 이용자 B가 입력 수단(158)을 조작해, 표시 수단(198)에 표시된 커서(3205)를 이동시켜, 화상 URL의 표시(3204)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96)이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화상 송부 URL이 지시하는 서버 X(100)에 대해서, 이용자 A가 이용자 B에 송부한 화상의 취득 요구를 보낸다(스텝 S2615). 서버 X의 송수신 수단(101)이 이것을 수신하면, 일시 화상 기억 수단을, 수신한 화상 송부 URL을 검색 키로서 검색하고, 스텝 S2612에서 UIDxa와 관련지어 일시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한 실체 화상군을 얻는다. 다음으로 송수신 수단(101)이 이 실체 화상군을 네트워크(199)를 통해서 정보 단말 B(195)에 보낸다. 정보 단말 B의 송수신 수단(196)이 이 실체 화상군을 수신하면, 화상 기억 수단(159)에 기억한 후, 표시 수단(158)이 표시한다(스텝 S2616). 서버 V(160)로부터 정보 단말 B(195)로의 메시지 송부는, 전자 메일이 아닌, 예를 들어 HTML 코드의 송부 등 무엇이든지 무방하다. 또한, 정보 단말 B에 있어서의, 이용자 B의 화상 열람 수락은, URL의 선택이 아닌, 예를 들어 버튼의 선택 등으로 해도 무방하다. 또한,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는 복수의 Web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이용자 A가, 스텝 S2601에서 선택된 요약 화상을 도 1에 나타내는 Web 서비스 S의 서버를 통해서, Web 서비스 S의 지인에게 보내는 경우도, 도 2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 A가 촬영한 화상의 요약 화상은 서버 X의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에 기억된다. 한편 이용자 A가 촬영한 화상의 실체 화상이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 외에,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이나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4)에 분산하여 기억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 A가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으로부터 실체 화상을 삭제하는 것과 같은 경우는, 서버 X에 요약 화상이 기억되어 있지만, 그 요약 화상에 대응하는 실체 화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상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도 20을 다시 참조하면, 이와 같은 상태의 경우에는, 「X」마크(2060)에 의해, 서버 X가 기억하는 요약 화상(2061)에 대응하는 실체 화상이, 정보 단말 A로부터 삭제되어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나타내는 표시는 「X」마크가 아닌, 어떠한 표시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2 및 실시 형태 3을 이용해, 본 발명에 관한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서버, 정보 단말, 촬상 단말, 표시 단말,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이하 9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효과는, 정보 단말로부터 화상 정보의 관리나 유지를 행하는 정보 단말로의 카피의 번잡함을 저감할 수 있는 점이다. 스텝 S1003에 있어서, 촬상 단말 A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모든 실체 화상이 서버 X에 보내져 일시 실체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이 때, 이용자 A는 관리를 위한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전혀 없다.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어느 화상 정보를 네트워크 경유로 서버에 업로드할지를 선택하거나, 적어도 미리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체 화상을 한 번에 모두 서버 X에 업로드하기 때문에, 정보 단말로의 카피의 번잡함은 크게 저감한다.
또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촬상 단말 A가 정보 단말 A를 통해서 실체 화상을 서버 X에 업로드해도 무방하다. 또한, 촬상 단말 A가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촬상 단말 A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실체 화상을, 기억 매체를 정보 단말 A에 접속하는 것으로 정보 단말 A를 경유해 서버 X에 업로드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역시, 이용자 A는, 어느 실체 화상을 정보 단말 A나 서버 X에 카피할지를 설정할 필요가 전혀 없고, 자동적으로 모든 실체 화상을 서버 X에 업로드하면 무방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이 제1 효과는 유효하다.
제2 효과는, 복수의 촬상 단말로 촬영된 화상 정보군을, 이용자가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 A의 UIDxa에는, 복수의 CID를 관련지을 수 있다. 복수의 촬상 단말로 촬영된 실체 화상은 모두,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된다. 이용자 A가 복수의 촬상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UIDxa에 관련지어진 모든 CID와 PID, 또는 SPID로 일시 실체 기억 수단을 검색한다. 이것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일람 표시 화면에서는, 모든 촬상 단말로 촬영된 화상 정보를 일원적으로 취급할 수 있어서, 종래의 방법에 비해서 이용자 A에 의한 화상 정보의 관리의 수고가 크게 저감한다.
제3 효과는, 복수의 기억처에 분산하여 기억된 실체 화상을, 이용자가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체 화상의 복수의 기억처는, 서버라도 정보 단말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실체 화상의 복수의 기억처는,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이용자 A가 촬상 단말 A로 촬영한 실체 화상군은, 스텝 S1003에서 모두 서버 X의 일시 실체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그러나 그 후, 스텝 S1404 실체 화상의 일부가 정보 단말 A의 기억 수단에, 스텝 S1609에서 실체 화상의 일부가 서버 Z의 기억 수단에, 각각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스텝 S1613에 있어서, 정보 단말 A에 도 20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촬상 단말 A로 촬영된 실체 화상은, 서버 X, 정보 단말 A 및 서버 Z에 분산하여 기억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 형태 1, 2 및 3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용자 A는, 실체 화상의 소재를 의식하는 일 없이, 프린트, 백업, 지인에게로의 송부 등을 실행할 수 있다. 기억처가 복수여도, 이용자에 의한 화상 관리의 수고가 증가하지 않는 점이, 본 발명의 중요한 효과 중 하나이다.
제4 효과는, 대량 화상 정보의 백업이 용이하다고 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이용자가 사용하는 모든 촬상 단말로 촬영된 실체 화상의 모두를,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를 통해서 용이하게 임의의 정보 단말 또는 서버에 카피 또는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실체 화상을 복수의 정보 단말 또는 서버에 카피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화상 정보의 백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있어서, 요약 화상(1515)에는 「L」마크(1511) 및 「S」마크(2014)가 부수하여 표시되고 있다. 이것은, 이 요약 화상(1515)이 나타내는 실체 화상은, 정보 단말 A의 화상 기억 수단(185) 및 서버 Z의 화상 정보 기억 수단(141) 양쪽 모두에 기억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어느 쪽의 기억처에 기억된 실체 화상이 없어져도,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화면을 통해, 실체 화상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제5 효과는, 복수의 촬상 단말로 촬영된 대량 실체 정보를, Web 서버로 일원 관리하여 기억하기 위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점이다. 비용에 대해서는, 이하 3가지 비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운영자 비용,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운영자 비용, 그리고 이용자 A의 비용이다.
우선,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운영자 비용에 대해 검토한다. 지금까지, 실체 화상을 서버에서 기억하는 Web 서비스 또는 스토리지 서비스는, 모든 실체 화상을 그 서비스의 서버에 있는 기억 수단에 기억해 둘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이용자로부터 보관되는 실체 화상의 용량에 제한을 두거나, 상한 용량보다 대량인 화상 데이터의 기억은 유료로 하지 않으면, 서비스 사업자의 비용이 증대해, 서비스의 유지 운영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 X에서는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서 일시적으로 모든 실체 화상을 기억하지만, 그 후 실체 화상은 정보 단말이나 다른 스토리지 서비스로 이동된 다음, 요약 화상 기억 수단(103)에서 요약 화상만을 기억해 둔다. 통상, 요약 화상의 용량은, 실체 화상에 비해 현저히 작기 때문에, 서버 X에서 기억하는 1인 당 정보량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는, 모든 화상 정보를 통일적으로 취급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운영자 비용에 대해 검토한다. 인터넷상의 스토리지 서비스의 대부분은, 화상 정보의 열람이나 지인과의 교환을 위한 화면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대가로서, 그 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는 것으로 수익을 실현하고 있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이용자 1인 당 필요로 하는 기억 용량의 제공에 드는 비용이, 그 광고 수익을 웃도는 일이 많았다. 이 때문에, 스토리지 서비스의 용도는, 인터넷에서의 사진의 공개나 지인에게로의 소개 등에 한정되어, 이용자의 방문수가 늘지 못하여 수익 기회를 잃고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리지 서비스 Z의 운영자는, 그 광고 수익에 걸맞은 범위에서, 실체 화상을 수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스토리지 서비스 Z에의 방문 빈도가 향상하여, 수익 증대가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A의 비용을 검토한다. 이용자는 지금까지, 복수의 기억처에 실체 화상을 기억시키는 것이 번잡하여, 현실적으로는 정보 단말 1대, 또는 스토리지 서비스 하나에 정리하여 실체 화상을 기억하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임의의 기억처에 실체 화상을 기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복수의 정보 단말 중, 비어 있는 기억 수단에 실체 화상을 많이 기억할 수 있다. 또는 인터넷상의 Web 스토리지 서비스를 복수 사용해, 각각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실체 화상을 분산하여 기억하는 일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방법에 비해, 이용자 A가 대량 화상의 실체 화상을 보존해 두는 비용은, 큰 폭으로 저감한다.
제6 효과는, 인터넷 서비스로 화상 정보를 보관하는 경우의 프라이버시의 보호이다. 종래 방법에 의하면, 모든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서버에서 이용자가 촬영한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경우, 그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자 ID와 관련지어 화상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어도 인터넷 서비스의 운영자는, 이용자 ID로부터, 서버에서 기억한 화상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각각의 이용자가 촬영한 모든 실체 화상을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는, 실체 화상은,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것뿐이며, 이용자 UIDa와 관련지어 기억되고 있는 것은 모든 요약 화상이다. 따라서, 종래 방법과 비교하면, 프라이버시의 문제는 적다. 또한, 스텝 S1004에 있어서, 실체 화상군이, PID와 CIDa의 조합이 아닌, SPID와 관련지어져 일시 실체 기억 수단(10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운영자여도, 이용자 A가 촬상 단말 A로 촬영한 화상을 특정할 방법은 없다. 이것은 SPID가 아래 식으로 표현되며, 연산 F가 불가역이고, 또한 CIDa와 SPID의 관련성을 서버 X에서 기억하지 않기 때문에 실현된다.
SPIDn=F(PIDn, CIDa)
제7 효과는, 1인 이용자가 복수의 촬상 단말로 촬영한 모든 화상에 대해, 백업, 프린트, 지인에게로의 송부, 정보 단말이나 표시 단말에서의 표시 등 다양한 조작을 통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점이다. 상기 실시 형태 1, 2 및 3에서는, 이용자 A는 어느 경우에도, 도 20에 나타낸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화면에서 조작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한 다음, 브릿지 서비스 Y에서 서비스나 단말을 선택하는 것으로 백업, 프린트나 지인에게로의 송부를 실행할 수 있었다. 이 때, 이용자 A는, 각각의 화상이 어느 촬상 단말로 촬영되었는지도, 실체 화상의 기억처도 의식할 필요가 없다. 또한, 화상의 송부처가 Web 서비스인지, 표시 단말이나 정보 단말인지도 의식할 필요가 없다.
제8 효과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이용자가, 다른 Web 서비스에서 갖는 지인 관계를,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에서 통일적으로 이용해, 화상 정보의 송부나 공유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점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이용자는, 다양한 Web 서비스를 이용해, 각각의 서비스에 지인 관계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이용자는 전자 메일 서비스에서 송부처 리스트를 갖고, SNS 서비스에서 일기 교환의 지인 리스트를 갖고, 채팅이나 음성 통화 등의 메신저 서비스에서 통화처 리스트를 갖고, 또한 사진 공유 서비스에서 사진 교환을 하는 지인의 리스트를 갖고 있을지 모른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는, 모두 도 20에 나타낸 타서비스의 지인 선택 버튼(1333)을 선택하고, 브릿지 서비스 Y에서 지인 리스트를 사용하고 싶은 Web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화상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제9 효과는, 서비스의 확장성이 높은 점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와, 표시 단말이나 정보 단말, 또한 다양한 Web 서비스가 제휴하여, 화상 정보의 백업, 표시, 프린트, 다른 Web 서비스에서의 지인에게로의 송부 등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현실에서는, 인터넷상의 스토리지 서비스, 화상 열람 서비스, 프린트 서비스, 지인 리스트를 갖는 Web 서비스 등은 많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지금까지 설명한 서버 Y가 제공하는 기능을, 서버 X가 제공해도 실현 가능하다. 그러나,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와, 다양한 단말이나 서버를 제휴시키는 브릿지 기능을 서버 Y가 담당함으로써, 서버 X에 변경을 더하는 일 없이, 대응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프린트 서비스, 지인 리스트를 갖는 Web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텝 S1604나 스텝 S2607에 있어서, 도 19에 나타내는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화면이나, 도 28에 나타내는 Web 서비스의 선택 화면을 서버 Y가 정보 단말 A에 대해서 제공했다. 만약,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의 대응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프린트 서비스, Web 서비스가 증가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브릿지 서비스 Y가 대응하는 것만으로 무방하고, 서버 X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X가 다수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네트워크(199)에, 또한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R이 접속되어, 이것이 스토리지 서비스 Z 및 W, 프린트 서비스 U 및 T, 및 Web 서비스 V 및 S와 각각 제휴하는 상황을 고려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서버 Y에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R에 대응하는 기구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Z, W, U, T, V 및 S의 각 서버에 변경을 더하는 일 없이, 상술한 제1로부터 제8 효과를, 화상 게이트웨이 서비스 R의 이용자에게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촬상 단말로부터 보내진 제1 화상 정보군 중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1 화상 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2 화상 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화상 정보군이 촬영된, 상기 제1 이유자의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정보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1 화상 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2 화상 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용자의 제2 촬상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2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2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촬상 단말로부터 보내진 제2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3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3 화상 ID와, 상기 제2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3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3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3 화상 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상기 제2 요약 화상 및 상기 제3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이용자의 제3 촬상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3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3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3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촬상 단말로부터 보내진 제3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4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4 화상 ID와, 상기 제3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제2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2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2 이용자 ID 및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이용자 ID와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4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4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요약 화상을 상기 제3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4 화상 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4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처로서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1 화상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화상을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처로서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2 화상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화상 정보, 상기 제2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제1 송부처 ID로 특정되는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제2 정보 화상을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송부처로서 프린트 서비스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정보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1 이용자를 인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있어서의 검색을 위해 상기 제2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보내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상기 프린트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송부처로서 표시 단말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있어서의 검색을 위해, 상기 제2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보내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표시 단말을 네트워크 내에서 일의로 특정하는 제2 송부처 ID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송부처로서 Web 서비스의 지인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정보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1 이용자를 인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있어서의 검색을 위해,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상기 제2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보내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대해서, Web 서비스 선택 요구 화면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송부하는 것을 요구하고,
    화상 송부 URL을 생성하여, 상기 화상 송부 URL과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4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화상 송부 URL을, 상기 제1 이용자와 상기 Web 서비스의 지인인 제3 이용자의 정보 단말에, 상기 Web 서비스의 서버를 경유해 보내고,
    상기 제3 이용자의 정보 단말로부터의 상기 화상 송부 URL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제4 기억 수단에 기억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상기 제3 이용자의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제1 스크럼블 PID 및 제2 스크럼블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2의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화상 정보군이 촬영된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제1 스크럼블 PID 및 제2 스크럼블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2의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용자의 제2 촬상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2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2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3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3 화상 ID와,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제3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3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3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3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3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요약 화상을 상기 제3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상기 제2 요약 화상 및 상기 제3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이용자의 제3 정보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3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3 화상 정보군을 촬영한 제3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3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3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4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4 화상 ID와,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제4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제2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2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2 이용자 ID 및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이용자 ID와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4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4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4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4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요약 화상을 상기 제4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4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처로서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화상을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처로서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화상 정보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제1 송부처 ID로 특정되는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제2 정보 화상을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송부처로서 프린트 서비스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정보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1 이용자를 인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있어서의 검색을 위해,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보내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상기 프린트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송부처로서 표시 단말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정보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1 이용자를 인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있어서의 검색을 위해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보내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표시 단말을 네트워크 내에서 일의로 특정하는 제2 송부처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송부처 ID를 상기 제1 이용자 ID에 관련지어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송부처로서 Web 서비스의 지인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정보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1 이용자를 인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보내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대해서, Web 서비스 선택 요구 화면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송부하는 것을 요구하고,
    화상 송부 URL을 생성하고,
    상기 화상 송부 URL과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4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화상 송부 URL을, 상기 제1 이용자와 상기 Web 서비스에서 지인 관계에 있는 제3 이용자의 정보 단말에,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 및 상기 Web 서비스의 서버를 경유해 보내고,
    상기 제3 이용자의 정보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상기 제4 기억 수단에 상기 화상 송부 URL과 관련지어 기억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상기 제3 이용자의 정보 단말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이,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촬상 단말 ID를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상기 제1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1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2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관련지어 제5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5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2의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의 표시 수단이,
    수신한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 이용자의 제1 촬상 단말이,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1 화상 정보군을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제1 촬상 단말 ID를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와, 다른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2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2 화상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상기 제1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에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1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화상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에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2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관련지어 제5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의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5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스크럼블 PID 및 상기 2의 스크럼블 P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1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2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의 표시 수단이,
    수신한 제1 요약 화상 및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용자의 제2 촬상 단말이,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2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2 촬상 단말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2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3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1 화상 ID를 상기 제1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상기 제3 화상 ID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 ID에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3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3 스크럼블 PID를 관련지어 상기 제5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3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3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1 이용자 ID 및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1 이용자 ID와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2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5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상기 제3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3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3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3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3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요약 화상을 상기 제3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1 요약 화상, 상기 제2 요약 화상 및 상기 제3 요약 화상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의 표시 수단이,
    수신한 제1 요약 화상, 상기 제2 요약 화상 및 상기 제3 요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이용자의 제3 촬상 단말이,
    복수의 화상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3 화상 정보군 및 상기 제3 촬상 단말을 일의로 특정하는 제3 촬상 단말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3 화상 정보군 중 하나의 화상 정보인 제4 화상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제4 화상 ID 및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상기 제4 화상 ID 및 상기 제3 촬상 단말 ID에 불가역 연산을 실시한 제4 스크럼블 PID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촬상 단말 ID와 상기 제4 스크럼블 PID를 관련지어 제5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4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4 스크럼블 PID와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제2 정보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중에서 상기 제2 이용자를 특정하는 제2 이용자 ID 및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2 이용자 ID와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관련지어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2 이용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3 촬상 단말 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5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상기 제4 스크럼블 P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수신한 상기 제4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검색 결과로서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4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4 화상 정보 보다 정보량이 작은 제4 요약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요약 화상을 상기 제4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제4 요약 화상을 상기 제2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4 정보 단말의 표시 수단이,
    수신한 제4 요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1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처로서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상기 제1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화상을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제1 스크럼블 PID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제1 이용자가 상기 제2 요약 화상을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처로서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검색 키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해,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요구 화면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송부하기 위한 요구를 상기 브릿지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를 선택지로서 포함한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요구 화면을 상기 제1 정보 단말에 보내고,
    상기 제1 정보 단말이,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브릿지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를 네트워크 내에서 일의로 특정하는 제1 송부처 ID를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버는, 상기 제2 화상 정보 및 상기 제2 스크럼블 PID를, 송부처 ID로 특정되는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보내고,
    상기 제2 정보 화상을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가,
    상기 제2 화상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럼블 PID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20137004159A 2010-09-08 2010-09-08 화상 정보처리 서버 KR20130108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5440 WO2012032626A1 (ja) 2010-09-08 2010-09-08 画像情報処理サー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535A true KR20130108535A (ko) 2013-10-04

Family

ID=4435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04159A KR20130108535A (ko) 2010-09-08 2010-09-08 화상 정보처리 서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128512B2 (ko)
JP (1) JP4717963B1 (ko)
KR (1) KR20130108535A (ko)
CN (1) CN103154998A (ko)
WO (1) WO2012032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3605B2 (ja) * 2011-01-13 2015-05-27 リプレックス株式会社 画像情報処理サーバ
CN104813273B (zh) 2013-04-16 2018-04-0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内容显示方法、内容显示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80474B1 (ko) * 2013-11-20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6324094B2 (ja) * 2014-02-03 2018-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253946A1 (en) * 2014-03-10 2015-09-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files based on user interaction
KR102249197B1 (ko) * 2014-05-31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872465B2 (en) * 2017-05-02 2020-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odel draw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327A (ja) 2000-04-17 2004-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写真システム
US7197531B2 (en) * 2000-12-29 2007-03-27 Fotomedia Technologies, Llc Meta-application architecture for integrating photo-service websites for browser-enabled devices
JP2003345701A (ja) 2002-05-28 2003-12-05 Nikon Corp 画像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中継装置
US7254786B2 (en) * 2002-11-05 2007-08-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con resources group associated with remote application to a local computing system to facilitate virtualization of the remote application
JP3789902B2 (ja) 2003-03-28 2006-06-28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3944160B2 (ja) * 2003-12-25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602981B2 (en) 2004-03-09 2009-10-1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storage and display system, maintenance system therefor, and image storage and display method
JP4227569B2 (ja) 2004-07-07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8023747A1 (fr) * 2006-08-23 2008-02-28 Nikon Corporation Appareil photo électronique et dispositif de serveur
US8910083B2 (en) * 2009-11-10 2014-12-09 Blackberry Limited Multi-source picture view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17963B1 (ja) 2011-07-06
CN103154998A (zh) 2013-06-12
JPWO2012032626A1 (ja) 2013-12-12
US20130182131A1 (en) 2013-07-18
US9864555B2 (en) 2018-01-09
WO2012032626A1 (ja) 2012-03-15
US20150339084A1 (en) 2015-11-26
US9128512B2 (en)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6820B2 (en) Processing files from a mobile device
US9864555B2 (en) Image data processing server
US8347363B2 (en) Contents retrieval system and contents retrieval method
JP4859549B2 (ja) 管理用シンボルを用いた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サーバ
KR2003000673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327650C (zh) 向数据保管系统传送数据的上传方法及其装置
JP5052696B1 (ja) 動画公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412455B2 (en) Image management device
JP5849177B2 (ja)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9075637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9299048A (zh) 处理数据以及发布数据的方法
JPWO2009048050A1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
JP2001036700A (ja) 情報処理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5723605B2 (ja) 画像情報処理サーバ
JP5089353B2 (ja) 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ファイル管理方法
JP2015159559A (ja) 画像情報処理サーバ
JP2001325082A (ja) 画像印刷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画像印刷サービス方法
KR102237940B1 (ko) 동영상이 연계된 ar 사진 제작 및 상영 시스템
JP5909734B2 (ja) 画像表示方法
JPWO2009078420A1 (ja)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再生システム、画像データ生成方法、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3066907A (ja) 訪問記録地図表示システム
JP4339386B2 (ja) 画像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画像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40041107A (ko) 메일 서비스를 이용한 전자 게시판 콘텐츠 등록 방법 및시스템
JP200328103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4227152A (ja) プリント画像変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